KR20220079418A - 어망 정리기 - Google Patents
어망 정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9418A KR20220079418A KR1020210115793A KR20210115793A KR20220079418A KR 20220079418 A KR20220079418 A KR 20220079418A KR 1020210115793 A KR1020210115793 A KR 1020210115793A KR 20210115793 A KR20210115793 A KR 20210115793A KR 20220079418 A KR20220079418 A KR 202200794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ing net
- bar
- roller
- organizer
- n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79 wid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1/00—Floating n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망정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선에서 조업 후 얽혀져 있는 어망을 펼쳐 정리하면서 세척할 수 있는 어망정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가압롤러가 회전롤러에 접하는 어망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어망의 폭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당길 수 있어 어망 펼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어망펼침부재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어망이 펼치면서 세척할 수 있어, 어망 정리 작업 전후 별도의 어망 세척작업일 필요없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한계 수준 이상의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에 의해 구동모터의 동력 전달이 즉시 차단되어 무리하게 어망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어망 및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가압롤러가 회전롤러에 접하는 어망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어망의 폭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당길 수 있어 어망 펼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어망펼침부재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어망이 펼치면서 세척할 수 있어, 어망 정리 작업 전후 별도의 어망 세척작업일 필요없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한계 수준 이상의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에 의해 구동모터의 동력 전달이 즉시 차단되어 무리하게 어망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어망 및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망정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선에서 조업 후 얽혀져 있는 어망을 펼쳐 정리하면서 세척할 수 있는 어망정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망은 수중 내에서 상하로 펼쳐졌을 때 일정 폭을 갖도록, 직조된 망체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로프에 수상에 부유하는 부구를 고정하고 망체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로프에 수중에 잠길 수 있는 중량을 갖는 봉돌(무게추)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어망은 망체가 길게 짜여 구성되는데, 어선에서 사용 후 인양된 어망은 인양되는 길이 순으로 겹쳐 쌓아진다. 이렇게 더미 형태로 놓인 어망을 재사용하거나 수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펼쳐 정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 여러 사람이 어망의 양단부를 잡아 당기면서 순차적으로 어망을 풀어 정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더미 형태로 쌓여진 어망의 경우, 순차적으로 당겨 푸는 과정이 상당한 시간을 요하며 더불어 어망을 펼치기 위하여 어망을 당길 때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2307호에는 그물자동정리장치가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6161호에는 그물정리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물자동정리장치는 그물을 당기기위해 회전되는 회전롤러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에 각각 가압롤러가 배치되며, 그물정리장치도 회전되는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에 각각 연통바퀴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전롤러와 가압롤러 사이 또는 회전프레임과 연통바퀴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롤러 또는 회전프레임의 회전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당겨지는 그물이 폭 방향 양측보다 중심측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당겨질 수 있어 균일하게 그물이 이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그물자동정리장치 및 그물정리장치는 그물을 세척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그물 정리 전 또는 그물을 펼친 후에 별도록 세척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그물(이하 '어망'이라 함) 정리 전에는 더미형태로 쌓인 어망을 세척하기는 쉽지 않으며, 펼쳐진 상태의 어망을 세척 시에는 어망이 다시 엉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어망을 안정적으로 당길 수 있으며, 어망을 펼치면서 세척이 가능한 어망정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측판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측판들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측판들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측판들 사이로 진입된 어망을 당기는 회전롤러와, 복수의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어망이 진입하는 방향인 상기 회전롤러의 전방 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어망을 펼치는 어망펼침부재와, 상기 회전롤러의 상방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에 접하는 상기 어망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길이 연장되어 상기 어망을 상기 회전롤러에 밀착시키는 가압롤러와, 상기 어망펼침부재에 의해 펼쳐지는 상기 어망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어망을 세척하는 어망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펼침부재는 상호 이격된 상기 측판들을 연결하여 상기 어망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안내하는 로프안내바와, 상기 로프안내바에서 상방으로 호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회전롤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돌출형성되는 망체 펼침유도바를 구비하고, 상기 로프안내바의 상방에서 위치되되 상기 로프안내바에 대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길이방향 양측이 복수의 상기 측판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어망펼침부재로 진입되려는 상기 어망을 가압하는 제1가압바와, 상기 어망펼침부재와 상기 회전롤러 사이에 위치되게 길이방향 양측이 복수의 상기 측판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어망펼침부재에서 펼쳐져 상기 회전롤러와 상기 가압롤러 사이로 진입되려는 상기 어망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일측이 상기 측판에 축 결합되고 길이방향 중심측에 상기 가압롤러의 길이방향 일단 또는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가압롤러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호 나란한 복수의 회동바와, 복수의 회동바의 각 타측이 상호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가능한 파지바와, 일측이 상기 측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회전롤러에 항상 접하도록 상기 회동바를 하방으로 당기는 당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는 각 상기 측판에 동일 축선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판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상기 회전판들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어망당김바를 구비하고, 상기 어망당김바는 상호 마주하는 회전판들에서 동일 직선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망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지지하는 복수의 직선연장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직선연장부들을 연결하도록 길이연장되되,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연장부에 대해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절곡된 절곡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어망 당김 시 발생되는 부하가 한계를 초과할 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회전롤러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하는 토크리미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가압롤러가 회전롤러에 접하는 어망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어망의 폭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당길 수 있어 어망 펼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어망펼침부재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어망이 펼치면서 세척할 수 있어, 어망 정리 작업 전후 별도의 어망 세척작업일 필요없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한계 수준 이상의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에 의해 구동모터의 동력 전달이 즉시 차단되어 무리하게 어망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어망 및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망 정리기는 가압롤러가 회전롤러에 대해 회동바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여 가압롤러와 회전롤러의 간격 조절됨으로써, 어망에 장착된 뜸돌이나 발돌과 같은 부속구가 가압롤러와 회전롤러 사이로 진입이 용이하여 어망이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어망 정리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어망 정리기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어망 정리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어망정리기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어망 정리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어망 정리기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어망 정리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어망정리기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망 정리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5)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 및 제2측판(11,21)을 포함하는 프레임(10)과; 제1 및 제2측판(11,21) 사이에 위치되게 제1 및 제2측판(11,21)에 각각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면서제1 및 제2측판(11,21) 사이로 진입된 어망(1)을 당기는 회전롤러(40)와; 제1 및 제2측판(11,21) 중, 제1 또는 제2측판(11)(21)에 장착되어 회전롤러(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1)와; 어망(1)이 진입되는 회전롤러(40)의 전방 측에 위치되게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어망(1)을 펼치는 어망펼침부재(55)와; 회전롤러(40)의 상방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롤러(40)에 접하는 어망(1)의 폭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길이 연장되어 어망(1)을 회전롤러(40)에 밀착시키는 가압롤러(66)와; 어망펼침부재(55)에 의해 펼쳐지는 어망(1)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어망(1)을 세척하는 어망세척수단(95);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측판(11), 제2측판(21), 다수의 연결바(31,32,33)와, 거치부(35)를 구비한다.
제1측판(11)과 제2측판(21)은 회전롤러(4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측판(11)은 상하로 폭을 가지며 길이연장된 제1측판본체(12)와, 제1측판본체(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측판(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리브(15)와, 제1측판본체(12)의 선단에서 제2측판(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측판본체(12)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도록 돌출되는 상하로 폭을 갖는 고리 형상의 제1어망가이드부(20)를 구비한다.
제2측판(21)은 상하로 폭을 가지며 길이연장된 제2측판본체(22)와, 제2측판본체(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측판(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리브(25)와, 제2측판본체(22)의 선단, 즉 길이방향 일단에서 제1측판(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측판본체(22)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도록 돌출되는 상하로 폭을 갖는 고리 형상의 제2어망가이드부(3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어망가이드부(20,30)는 회전롤러(40)에 멀어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커진다.
그리고, 제1 및 제2측판본체(12,22)의 각 타측에는 회전롤러(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및 제2리브(15,25)에는 각각 후술되는 회동바(75)와, 당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17,27)과, 회동바구속공(19,29)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측판본체(12)는 길이방향 일단측과, 회전롤러와(40)와 어망펼침부재(55) 사이의 위치에서 각각 관통되되 상하로 길이연장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공(13,14)이 형성되며; 제2측판본체(22)는 길이방향 일단측과, 회전롤러와(40)와 어망펼침부재(55) 사이의 위치에서 각각 관통되되 상하로 길이연장된 제3 및 제4승강가이드공(23,24)이 형성된다.
다수의 연결바(31,32,33)는 제1 및 제2측판(11,21)의 일측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31)와, 회전롤러(40)와 제1연결바(31) 사이의 제1 및 제2측판(11,21)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바(33)와, 회전롤러(40)와 제1연결바(31) 사이의 제1 및 제2측판(11,21)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바(33)로 구분될 수 있다.
거치부(35)는 일정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판(36)과, 일단이 고정판(36)에 연결되어 고정판(36)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1리브(15) 또는 제2리브(25)에 연결되는 다수의 거치바(37)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어망정리기는 고정판(36)이 어선에서 갑판보다 높은 필요한 곳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일정 높이에 매달린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어망펼침부재(55)는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측판을 연결하여 어망(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로프(3) 또는 제2로프(4)를 안내하는 로프안내바(56)와, 로프안내바(56)에서 상방으로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회전롤러(4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돌출형성되는 망체 펼침유도바(58)를 구비한다.
망체 펼침유도바(58)는 로프안내바(56)에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이격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방에 위치되게 호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굴곡지게 연장된다.
회전롤러(40)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1 및 제2측판(11,21)에 동일 축선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회전판(41,42)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및 제2회전판(41,42)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어망당김바(45)와, 일측이 제1측판(11) 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제1회전판(41)과 연결되는 제1회전축부(47)와, 일측이 제2측판(21) 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제2회전판(42)과 연결되는 제2회전축부(5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회전판(41,42)는 각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마주하는 제1 또는 제2측판(11,21) 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게 가장 자리측이 마주하는 제1 또는 제2측판(11,21) 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1회전축부(47)는 구동모터(51)를 제1측판(11)에 고정하기 위한 모터결합부(53)의 중심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며, 구동모터(51)의 구동축(51a)이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모터결합부(53)는 제1측판(11)의 길이방향 타측에 관통결합되는데, 용접에 의해 제1측판(11)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결합부(53)는 제1회전축부(47)가 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도록 관통된 중심측에 베어링(52)이 장착된다.
제1회전축부(47)는 제1회전판(41)에 고정결합되고 베어링(52)의 내륜과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결합부(48)와, 베어링결합부(48) 내로 삽입되며 구동모터(51)의 구동축(51a)과 결합되는 구동축결합부(49)를 구비한다.
구동축결합부(49)는 베어링결합부(48)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부(48)에 삽입결합되는데, 제1회전판(41)과 구동축결합부(49) 사이에 장착된 후술되는 토크리미터(60)에 의해 제1회전판(41)과 함께 회전되거나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구동축결합부(49)는 제2회전판(42) 방향으로 제1회전판(41)에 대해 돌출되는 측 외주면에 인입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구속홈(49a)이 형성된다.
토크리미터(60)는 부하(負荷)가 설정 이상으로 작용한 경우, 구동축(51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이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토크리미터(60)는 한정되지 않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토크리미터(6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구속홈(49a)의 둘레에 위치되게 구동축결합부(49)에 관통결합되고 제1회전판(41)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61)와, 베이스플레이트(61)의 내주면에 인입형성되며 복수의 구속홈(49a)이 상호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볼 안착홈(62)에 각각 수용되는 스프링(63)과, 스프링(62)에 지지되어 볼안착홈(62)에 일부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구속홈(49a)에 수용되어 구동축결합부(49)의 회전력을 베이스플레이트(61)와 제1회전판(41)에 전달하는 다수의 볼(64)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의 토크리미터(60)는 과부하가 없을 경우, 구동축(51a) 회전 시 다수의 볼(64)이 각각 베이스플레이트(61)의 볼 안착홈(62)과, 구동축결합부(49)의 구속홈(49a)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을 베이스플레이트(61)와 제1회전판(41)에 전달시킨다. 반면, 회전롤러(40)가 어망에 의해 회전될 수 없는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면, 스프링(63)이 길이 축소되어 볼(64)이 구속홈(49a)에서 벗어나 볼안착홈(62) 내로 완전 수용되면서, 구동축(51a)의 회전력이 베이스플레이트(61)와 제1회전판(41)에 전달되지 않고 구동축(51a)만 회전되게 된다. 다시 과부하가 해제되면,볼(64)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길이신장되면서, 볼이 구속홈(49a)에 일부 수용되면서, 구동축의 회전력이 제1회전판(41)에 전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계수준 즉, 앞에서 언급한 과부하 기준은 스프링(63)의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회전축부(50)는 제2측판(21)에 장착된 축결합부(54)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된다. 축 결합부(54)는 제2측판(21)의 길이방향 타측에 관통결합되는데, 용접에 의해 제2측판(11)에 결합될 수 있다. 축 결합부(54)는 제2회전축부(50)가 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도록 관통된 중심측에 베어링(52)이 장착된다.
그리고, 어망당김바(44)는 상호 마주하는 제1 및 제2회전판(41,42)에서 동일 직선상으로 돌출되어 어망(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로프(3) 또는 제2로프(4)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직선연장부(45)와, 상호 이격된 직선연장부(45)들을 연결하도록 길이연장되되,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연장부(45)에 대해 회전판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절곡된 절곡연장부(46)를 구비한다.
가압롤러(66)는 길이방향 양측이 후술되는 가압롤러지지부(70)의 롤러지지축(7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압롤러(66)는 어망당김바(44)의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으로 롤러지지축(65)이 관통 결합되는 롤러본체(67)와, 롤러본체(67)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고무와 같은 수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어망(1)을 밀착 가압하는 마찰패드(68)를 구비한다.
한편, 어망 정리기(5)는 회전롤러(40)에 대한 가압롤러(66)의 이격거리가 가변되게 가압롤러(66)를 지지하는 가압롤러지지부(70)를 구비한다.
가압롤러지지부(70)는 롤러지지축(71)과, 복수의 회동바(73)와, 파지바(80)와, 당김부재(83)를 구비한다.
회동바(73)는 일측이 제1 또는 제2측판본체(12,22)에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제1 또는 제2리브(15,25)에 형성된 회동바구속공(19,29)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에 대해 절곡되게 후방측으로 연장된 측판결합부(74)와, 측판결합부(74)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롤러지지축(71)의 일단 또는 타단이 고정되는 지지축결합부(75)와, 지지축결합부(75)에서 측판결합부(74)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지지축결합부(75) 타측의 연장방향에 교차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압롤러(66)에 대해 후방으로 돌출되는 파지부결합부(76)를 구비한다.
롤러지지축(71)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이격된 회동바(73)의 지지축결합부(75)에 각각 결합된다.
파지바는 작업자가 파지가능하여 복수의 회동바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회동바(73)의 각 파지부결합부(76)가 상호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당김부재(83)는 길이신축가능한 용수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측이 제1 또는 제2측판본체(12,22)에 연결되고 제1 또는 제2리브(15,25)의 관통공(17,27)을 관통하여 측판결합부(74)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압롤러(66)가 회전롤러(40)에 당겨지는 어망(1)에 항상 접하도록 회동바(73)를 하방으로 당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5)는 제1연결바(31)과 로프안내바(56) 사이에 위치되게 길이방향 양측이 제1 및 제2측판본체(12,22)에 장착되어 어망펼침부재(55)로 진입되려는 어망(1)을 가압하는 제1가압바(91)와, 어망펼침부재(55)와 회전롤러(40) 사이에 위치되게 길이방향 양측이 제1 및 제2측판본체(12,22)에 장착되어 어망펼침부재(55)에서 펼쳐져 회전롤러(40)와 가압롤러(66) 사이로 진입되려는 어망(1)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바(93)를 구비한다.
제1가압바(91)는 제1 및 제2측판에 대해 상하 이동하도록, 제1측판본체(12)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형성된 제1승강가이드공(13)과 제2측판본체(22)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형성된 제3승강가이드공(23)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제1 및 제2측판(11,21) 상에 구속 및 상하위치 고정을 위해 제1 및 제2승강가이드공(13,23)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양단에 너트가 나사결합된다.
제2가압바(93)는 제1 및 제2측판에 대해 상하 이동하도록, 회전롤러와(40)와 어망펼침부재(55) 사이 위치의 제1 및 제2측판본체(12,22)에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4승강가이드공(14,24)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제1 및 제2측판(11,21) 상에 구속 및 상하위치 고정을 위해 제2 및 제4승강가이드공(14,24)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양단에 너트가 나사 결합된다.
제1 및 제2가압바(91,93)는 제1 측판(11)과 제2측판(21) 사이에 위치되는 직경이 제1 측판(11)과 제2측판(21)을 관통하는 양단보다 크게 형성되어, 양단에 나사 결합된 너트가 제1 또는 제2측판(11,21)에 밀착되면서 상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가압바(91,93)는 제1 내지 제4승강가이드공(13,14,23,24) 상에 상하로 항상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내지 제4승강가이드공(13,14,23,24) 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에 제1 내지 제4승강가이드공(13,14,23,24)를 관통하는 제1 또는 제2가압바(91,93)의 양단이 하방으로 탄성지지될 수 도 있다.
한편, 구동모터(51)는 회전롤러(4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망세척수단(95)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31a)이 형성된 제1연결바(31)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공급관(96)과, 세척수공급관(96)으로 해수와 같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공급펌프(미도시)을 구비하고, 어망펼침부재(55)를 향하는 제1연결바(31)의 외주면에 중공과 연통되게 관통된 세척수분사공(97)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어망세척수단(95)은 세척수분사공에 장착되는 노즐이 구비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5)는 가압롤러(66)가 회전롤러(40)에 접하는 어망(1)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어망(1)의 폭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당길 수 있어 어망 펼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5)는 어망펼침부재(55)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어망(1)이 펼치면서 세척할 수 있어, 어망 정리 작업 전후 별도의 어망 세척작업일 필요없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5)는 한계 수준 이상의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60)에 의해 회전롤러(40)로 구동모터(51)의 동력 전달이 즉시 차단되어 무리하게 어망(1)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어망 및 구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5)는 가압롤러(66)가 회전롤러(40)에 대해 회동바(73)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여 가압롤러(66)와 회전롤러(40)의 간격 조절됨으로써, 어망의 제1 또는 제2로프(3,4)에 장착되는 뜸돌(미도시)이나 발돌(미도시)과 같은 부속구가 가압롤러와 회전롤러 사이로 진입이 용이하여 망이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5)는 필요 시 작업자가 파지바(80)를 들어올려 가압롤러(66)와 회전롤러(40)의 간격을 수동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5)는 한계 수준 이상의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60)에 의해 회전롤러(40)로 구동모터(51)의 동력 전달이 즉시 차단되어 무리하게 어망(1)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어망(1) 및 구동모터(5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105)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105)는 어망(1)의 제1로프(3) 또는 제2로프(4)를 지지하도록 망체펼침유도바(58)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호 이격된 거리에 따라 어망(1)이 펼쳐지는 폭을 조절하는 어망 펼침폭조절유닛(110);을 더 구비한다.
망체펼침유도바(58)는 길이방향 양측의 상호 좌우로 대칭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위치조절공(59)이 각각 형성된다.
어망펼침폭조절유닛(110)은 망체펼침유도바(58)의 길이방향 양측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로프지지부재(111,115)와, 제1 또는 제2로프지지부재(111,115)과 위치조절공(59)을 관통하여 망체펼침유도바(58) 상에 제1 또는 제2로프지지부재(111,115)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핀(12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로프지지부재(111,115)는 망체펼침유도바(58)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이 관통되며 관통위치에 따라 위치조절공(59)과 연통되거나 연통해제되는 핀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유도바 관통부(112,116)와, 유도바 관통부(112,116)의 상단에서 마주하는 제1측판(11) 또는 제2측판(21) 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방향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114,118)이 형성된 플랜지부(113,117)를 각각 구비한다.
플랜지부(113,117)는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회전롤러(40)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105)는 어망펼침부재(55)에 어망(1)이 펼쳐질때, 제1 및 제2로프지지부재(111.115)에 의해 제1로프와 제2로프의 상호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어망이 펼쳐지는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20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20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5)의 구조에, 펼침유도바(58)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회전롤러(40)에 당겨지는 어망(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어망장력조절수단(210);을 더 구비한다.
어망장력조절수단(210)은 어망펼침부재(55)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측판(11,21)들의 하부를 연결하되, 회전롤러(40)와 이격거리가 조절되게 제1 및 제2측판(11,21)에 길이방향 양측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연결바(33)를 포함하며, 일측이 펼침유도바(58)의 길이방향 중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3연결바(33)에 진퇴가능하게 관통하여. 제3연결바(33)를 관통한 위치에 따라 펼침유도바(58)를 하방으로 당기거나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는 기울기조작바(21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측판본체(12,22)는 회전롤러(40)와 어망펼침부재(55) 사이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라이딩공(212)이 각각 형성된다.
제3연결바(33)는 제1 및 제2측판본체(12,22)에 외측으로 돌출된 양단에 너트가 결합되어 제1 및 제2측판본체(12,22)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속된다.
기울기조작바(214)는 상부가 펼침유도바(58)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3연결바(33)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기울기조작바(214)는 제3연결바(33)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작업자가 제3연결바(33)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커지도록 기울기조작바(214)를 회전시키면, 제3연결바(33)가 로프가이드바(56) 측으로 이동되면서 기울기조작바(214)가 펼침유도바(58)를 하방으로 당겨 펼침유도바(58)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어망펼침부재(55)가 회동된다.
반대로, 제3연결바(33)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작아지도록 기울기조작바(214)를 회전시키면, 제3연결바(33)가 회전롤러(40) 측으로 이동되면서 기울기조작바(214)가 펼침유도바(58)를 밀어올려 펼침유도바(58)의 기울기가 커지도록 어망펼침부재(55)가 회동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어망 정리기(205)는 구동모터의 구동축(51a) 회전속도 조작 없이 어망펼침부재(55)의 펼침유도바(58)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어망(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어망(1)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구동모터(51)에 전달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30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30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조에서 제1 및 제2측판(11,21)에 제1 내지 제4승강가이드공(13,14,23,24)이 형성되지 않고, 제1 및 제2가압바(91,93) 및 제2연결바(32) 대신 제1 및 제2회전가압바(310,32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305)는 제1 및 제2측판(11,21) 사이의 제1회전가압바(310) 또는 제2회전가압바(320)의 외주면를 감싸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무와 같은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어획물털이부재(311)를 구비한다.
제1회전가압바(310)는 어망펼침부재(55)로 진입되는 어망(1)과 접촉되게 어망펼침부재(55)의 전방 또는 회전롤러(4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의 상기 어망펼침부재 일측 상방의 위치에서 복수의 상기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가압바(310)는 도 8을 참고하면, 제1연결바(31)와 로프가이드바(56)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 양측이 제1 및 제2측판(1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회전가압바(3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제1측판(11)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된 제1회전모터(315)의 구동축과 연결된다.
제1회전가압바(310)는 제1회전모터(31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어망펼침부재(55)로 진입되려는 어망(1)을 회전롤러(40) 측으로 안내하면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어망(1)에 걸려 있는 어획물이 하망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제2회전가압바(320)는 어망펼침부재(55)와 회전롤러(40) 사이에 위치되게 길이방향 양측이 제1 및 제2측판(1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회전가압바(3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2연결바(32)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제1 및 제2측판(11,21)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회전가압바(3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제1측판(11)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된 제2회전모터(316)의 구동축과 연결된다.
제2회전가압바(320)는 제2회전모터(316)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롤러 측으로 어망(1)을 안내하면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어망(1)에 걸려있는 어획물이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제1회전가압바(310)와 제2회전가압바(320)는 외주면에 고무와 같은 신축가능한소재로 형성된 어획물 털이부재(311)가 각각 장착된다.
어획물털이부재(311)는 제1 및 제2측판(11,21) 사이의 제1회전가압바(310) 또는 제2회전가압바(320)의 외주면를 감싸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어획물털이부재(311)는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요홈(3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305)는 제1 및 제2회전모터(315,316)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가압바(310,320)가 회전되면서 회전롤러(40) 측으로 어망(1)을 당기므로 어망(1)의 이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망정리기(305)는 어망(1)을 이동시킬 때 발생되는 부하가 제1, 제2회전모터(315,316) 및 구동모터(51)에 분산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어망 5 : 어망정리기
10 : 프레임 11 : 제1측판
21 : 제2측판 40 : 회전롤러
51 : 구동모터 55 : 어망펼침부재
66 : 가압롤러 70 : 가압롤러지지부
71 : 롤러지지축 73 : 회동바
80 : 파지바 83 : 당김부재
91 : 제1가압바 93 : 제2가압바
95 : 어망세척수단
10 : 프레임 11 : 제1측판
21 : 제2측판 40 : 회전롤러
51 : 구동모터 55 : 어망펼침부재
66 : 가압롤러 70 : 가압롤러지지부
71 : 롤러지지축 73 : 회동바
80 : 파지바 83 : 당김부재
91 : 제1가압바 93 : 제2가압바
95 : 어망세척수단
Claims (8)
-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측판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측판들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측판들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측판들 사이로 진입된 어망을 당기는 회전롤러와,
복수의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측판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어망이 진입하는 방향인 상기 회전롤러의 전방 측에 위치되게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어망을 펼치는 어망펼침부재와,
상기 회전롤러의 상방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에 접하는 상기 어망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길이 연장되어 상기 어망을 상기 회전롤러에 밀착시키는 가압롤러와,
상기 어망펼침부재에 의해 펼쳐지는 상기 어망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어망을 세척하는 어망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정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펼침부재는
상호 이격된 상기 측판들을 연결하여 상기 어망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안내하는 로프안내바와, 상기 로프안내바에서 상방으로 호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회전롤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돌출형성되는 망체 펼침유도바를 구비하고,
상기 로프안내바의 상방에서 위치되되 상기 로프안내바에 대한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길이방향 양측이 복수의 상기 측판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어망펼침부재로 진입되려는 상기 어망을 가압하는 제1가압바와,
상기 어망펼침부재와 상기 회전롤러 사이에 위치되게 길이방향 양측이 복수의 상기 측판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어망펼침부재에서 펼쳐져 상기 회전롤러와 상기 가압롤러 사이로 진입되려는 상기 어망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정리기. -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측판에 축 결합되고 길이방향 중심측에 상기 가압롤러의 길이방향 일단 또는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가압롤러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호 나란한 복수의 회동바와,
복수의 회동바의 각 타측이 상호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가능한 파지바와,
일측이 상기 측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회전롤러에 당겨지는 상기 어망에 항상 접하도록 상기 회동바를 하방으로 당기는 당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정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는 각 상기 측판에 동일 축선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판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상기 회전판들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어망당김바를 구비하고,
상기 어망당김바는
상호 마주하는 회전판들에서 동일 직선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망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지지하는 복수의 직선연장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직선연장부들을 연결하도록 길이연장되되,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연장부에 대해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커지도록 절곡된 절곡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정리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어망 당김 시 발생되는 부하가 한계를 초과할 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회전롤러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하는 토크리미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정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펼침부재로 진입되는 상기 어망과 접촉되게 상기 어망펼침부재의 전방 또는 상기 회전롤러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의 상기 어망펼침부재 일측 상방의 위치에서 복수의 상기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어망펼침부재로 진입되려는 상기 어망을 상기 회전롤러 측으로 안내하면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어망에 걸려 있는 어획물이 하망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제1회전가압바와,
상기 어망펼침부재와 상기 회전롤러 사이의 위치에서 복수의 상기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롤러 측으로 상기 어망을 안내하면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어망에 걸려있는 어획물이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제2회전가압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정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펼침부재는
상호 이격된 상기 측판들을 연결하여 상기 어망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안내하는 로프안내바와, 상기 로프안내바에 길이방향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방에 위치되게 호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굴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회전롤러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망체 펼침유도바를 구비하고,
상기 어망의 상기 제1로프 또는 상기 제2로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망체펼침유도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호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어망이 펼쳐지는 폭을 조절하는 어망 펼침폭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정리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유도바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어망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어망장력조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어망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어망펼침부재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된 상기 측판들의 하부를 연결하되, 상기 회전롤러와 이격거리가 조절되게 상기 측판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바와,
일측이 상기 펼침유도바의 길이방향 중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바에 진퇴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연결바를 관통한 위치에 따라 상기 펼침유도바를 하방으로 당기거나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는 기울기조작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정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8140 | 2020-12-04 | ||
KR20200168140 | 2020-12-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9418A true KR20220079418A (ko) | 2022-06-13 |
KR102666926B1 KR102666926B1 (ko) | 2024-05-20 |
Family
ID=8198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5793A KR102666926B1 (ko) | 2020-12-04 | 2021-08-31 | 어망 정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692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9568A (ko) * | 2022-10-25 | 2023-03-03 | 박광석 | 어망 아바 투입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1978A (ko) * | 2009-04-08 | 2010-10-18 |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 그물 정렬 장치 |
KR101937691B1 (ko) | 2016-08-10 | 2019-01-14 | 김용수 | 그물 자동정리장치 |
KR20190119889A (ko) * | 2018-04-13 | 2019-10-23 | 지정우 | 어망용 이물질 제거장치 |
KR20200009851A (ko) * | 2018-07-20 | 2020-01-30 | 박창섭 | 그물 정리장치 |
KR20200113471A (ko) * | 2019-03-25 | 2020-10-07 | 김용수 | 그물 자동정리장치 |
KR102186787B1 (ko) * | 2019-01-14 | 2020-12-04 | 김중학 | 그물 견인 및 세척장치 |
-
2021
- 2021-08-31 KR KR1020210115793A patent/KR1026669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1978A (ko) * | 2009-04-08 | 2010-10-18 |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 그물 정렬 장치 |
KR101937691B1 (ko) | 2016-08-10 | 2019-01-14 | 김용수 | 그물 자동정리장치 |
KR20190119889A (ko) * | 2018-04-13 | 2019-10-23 | 지정우 | 어망용 이물질 제거장치 |
KR20200009851A (ko) * | 2018-07-20 | 2020-01-30 | 박창섭 | 그물 정리장치 |
KR102216161B1 (ko) | 2018-07-20 | 2021-02-19 | 박창섭 | 그물 정리장치 |
KR102186787B1 (ko) * | 2019-01-14 | 2020-12-04 | 김중학 | 그물 견인 및 세척장치 |
KR20200113471A (ko) * | 2019-03-25 | 2020-10-07 | 김용수 | 그물 자동정리장치 |
KR102202307B1 (ko) | 2019-03-25 | 2021-01-12 | 김용수 | 그물 자동정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9568A (ko) * | 2022-10-25 | 2023-03-03 | 박광석 | 어망 아바 투입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6926B1 (ko) | 2024-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7691B1 (ko) | 그물 자동정리장치 | |
DE69626959T2 (de) | Handantrieb fur schwimmbeckenabdeckungen | |
KR20220079418A (ko) | 어망 정리기 | |
CN101372867B (zh) | 混凝土镘刀运输系统 | |
KR102578107B1 (ko) | 로프 자동견인장치 | |
KR101834549B1 (ko) | 어선용 양망기 | |
CN207979593U (zh) | 手动自助能旋转搓背机 | |
CN109157170B (zh) | 智能型保姆机器人 | |
CN213741059U (zh) | 一种桩架 | |
KR20220012713A (ko) | 어망 분리기 | |
KR102508122B1 (ko) | 그물정리기 | |
CN211662138U (zh) | 一种切割单元可快速调节的分瓣装置 | |
KR102716995B1 (ko) | 주낙 연승장치 | |
CN210313274U (zh) | 一种具有防松功能的绞盘导绳装置及绞盘 | |
CN112607529A (zh) | 一种便于操控的电缆收放线设备 | |
JP4645444B2 (ja) | 掘削機 | |
WO2015159238A1 (en) | Device for cleaning angled surfaces | |
CN218743710U (zh) | 一种消防用消防水管高效清洗机 | |
KR100519488B1 (ko) | 우렁쉥이 분리장치 | |
CN110235834A (zh) | 一种池塘喂养抛投设备 | |
CN214808140U (zh) | 力量训练机 | |
CN211446919U (zh) | 一种多功能全液压打拔桩机 | |
JP3663513B2 (ja) | 漁労装備自動分離装置 | |
CN215160523U (zh) | 一种便于调节的机电设备移动架 | |
JP4363996B2 (ja) | 地盤改良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