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051A -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051A
KR20220079051A KR1020200168453A KR20200168453A KR20220079051A KR 20220079051 A KR20220079051 A KR 20220079051A KR 1020200168453 A KR1020200168453 A KR 1020200168453A KR 20200168453 A KR20200168453 A KR 20200168453A KR 20220079051 A KR20220079051 A KR 20220079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ste
cooling unit
cooling
contain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제찬
김수산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051A/en
Priority to PCT/KR2021/018285 priority patent/WO2022119404A1/en
Publication of KR2022007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0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in combination with oil conversion- or refi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10G21/0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of waste oils, e.g. PCB's containing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heating, cooling, or pressur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0Working-up undefined normally gaseous mixture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C10G11/00, C10G15/00, C10G47/00, C10G51/00
    • C10G70/04Working-up undefined normally gaseous mixture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C10G11/00, C10G15/00, C10G47/00, C10G51/00 by phys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로부터 열분해 및 극저온 응축기를 이용하여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 회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오일 회수 방법은, 반응기(Furnace) 내에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또는 직물(textile)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 함유 가스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냉각부에서 제1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오일 중 액화된 제1 오일을 포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오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2 냉각부에서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켜 액화된 제2 오일을 포집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using pyrolysis and a cryogenic condenser, and an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The oil recovery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of pyrolyzing waste including biomass, plastic, or textile in a reactor to generate an oil-containing gas; a second step of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to a first temperature in a first cooling unit to collect the liquefied first oil in the oil; a third step of collecting liquefied second oil by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a second cooling unit after the first oil is removed; includes

Description

열분해 및 극저온 응축기를 이용한 오일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 회수 방법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분해 및 극저온 응축기를 이용한 오일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고 이후 1차 냉각 및 극저온의 2차 냉각을 적용하여 오일의 회수 및 포집이 보다 효율적인 열분해 및 극저온 응축기를 이용한 오일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recovery device using a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an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yrolyze waste and then apply primary cooling and cryogenic secondary cooling to recover and collect oil It relates to an oil recovery apparatus using a more efficient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an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 증가 및 에너지 고갈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폐기물의 재활용 및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및 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폐기물을 원료로 하여 탄소 중립 및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가 주목 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ergy depletion due to waste increases worldwide, the need for recycling of waste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technologies has been highlighted. Accordingly, research on the recycling of various new and renewable energies and wastes is being conducted, and among them, renewable energy that uses waste as a raw material to produce carbon-neut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is attracting attention.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직물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열·화학적 공정을 수행하면 가치 있는 에너지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열·화학적 공정은 크게 직접연소, 열분해, 가스화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열분해 공정은, 산소가 없는 무산소 조건에서 원료에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원료의 분해를 일으켜 고체, 액체, 기체의 형태로 변경하여 회수하는 방법으로 원료의 형태, 반응온도, 체류시간, 승온 속도 등의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By performing thermal and chemical processes using various types of waste (biomass, plastics, textiles, etc.) as raw materials, it can be made into a valuable energy form. can Among them,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is a method in which the raw material is decomposed by applying heat to the raw material under anoxic conditions in the absence of oxygen, and the raw material is changed to solid, liquid, or gaseous form and recovered.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특히,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종래 기술들은 급속 열분해를 통해 오일의 수율을 높이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급속 열분해나 일반적인 열분해 같은 경우 기존 포집할 수 있는 오일의 양보다 많고, 생성되는 오일의 유속에 따라 장치를 지나가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포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목적했던 양 보다 적은 양의 수율을 얻을 수밖에 없다. 또한, 열분해로 발생되는 오일은 고온의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오일들이 기체 상태로 증발되어 소실되게 된다. In particular, conventional techniques using biomass are focused on increasing the yield of oil through rapid pyrolysis. However, in the case of rapid pyrolysis or general pyrolysis, the amount of oil that can be captured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oil that can be captured, and the speed of passing through the dev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low rate of the generated oil. have no choice but to In addition, since the oil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is discharged in a high temperature state, a large amount of oil is evaporated and lost in a gaseous state.

상기와 같은 오일의 손실을 줄여,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개량된 시스템 및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mproved system and apparatus capable of more efficiently recovering oil from waste by reducing the loss of oil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극저온의 2차 냉각을 추가로 포함하여 기존의 열분해 방법에 비해 효율적인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that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pyrolysis method, including additional cryogenic secondary cool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일 외수 및 포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for carrying out the oil off-water and collec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은, 반응기(Furnace) 내에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또는 직물(textile)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 함유 가스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냉각부에서 제1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오일 중 액화된 제1 오일을 포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오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2 냉각부에서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켜 액화된 제2 오일을 포집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includes a first step of pyrolyzing waste including biomass, plastic, or textile in a reactor to generate an oil-containing gas; a second step of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to a first temperature in a first cooling unit to collect the liquefied first oil in the oil; a third step of collecting liquefied second oil by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a second cooling unit after the first oil is removed;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냉각기가 연결된 냉각조 및 상기 냉각조에 침지된 제1 임핀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오일 함유 가스는 상기 제1 임핀저 도관에 투입되어 -3℃ 내지 0℃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ooling unit includes a cooling tank to which a cooler is connected and a first impinger conduit immersed in the cooling tank, and in the first step, the oil-containing gas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mpinger condu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oled to -3 °C to 0 °C.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인접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임핀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임핀저 도관은 냉각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부가 밀폐된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둘러싸고 상기 제1 튜브와 함께 드라이아이스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냉매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오일 함유 가스는 상기 제2 임핀저 도관에 투입되어 -55℃ 내지 -60℃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oling unit includes one or more second impinger condui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impinger conduit forms a cooling space, and the first tube and the first tube are sealed at one end. and a second tube surrounding and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refrigerant containing dry ice and acetone together with the first tube,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oil-containing gas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mpinger conduit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oled to 55 ℃ to -6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매 내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은 1:0.5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acetone and dry ice in the refrigerant may be in a range of 1:0.5 to 1:1.2.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부에 의해 포집되는 물질은, 5-메틸-2-(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사놀, 피리딘-4-올, (Z)-테트라데크-9-에날, (Z)-14-메틸헥사데크-8-에날 또는 (Z)-옥타데크-13-에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collected by the second cooling unit is 5-methyl-2-(prop-1-en-2-yl)cyclohexanol, pyridin-4-ol, (Z)- It may be characterized as comprising tetradec-9-enal, (Z)-14-methylhexadec-8-enal or (Z)-octadec-13-e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은 분쇄된 후 불활성 기체의 유동물질에 의해 상기 반응기 내에 투입되고, 상기 열분해 온도는 300℃ 내지 800℃이고, 상기 열분해 승온 속도는 10℃/분 내지 230℃/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te is pulverize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reactor by an inert gas flowing material, the pyrolysis temperature is 300° C. to 800° C., and the pyrolysis temperature increase rate is 10° C./min to 230° C./min. ca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냉각부 및 제2 냉각부 내로 용매를 주입하여 상기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집하고 각 냉각부의 내부에 남은 잔여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fter the third step, injecting a solvent into the first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ooling unit to collect the first oil and the second oil, and recovering the residual oil remaining in the inside of each coo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여 오일을 50 내지 70℃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residual oil may be dried at 50 to 70° C. for 20 to 28 hou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2 냉각부의 하단에 추가로 설치된 개폐 장치 및 오일 탱크에 포집된 오일이 저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fter the third step, the oil collec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oil tank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oling unit may be sto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는,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 함유 가스를 발생시키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오일 중 액화된 제1 오일을 포집하는 제1 냉각부; 및 상기 제1 오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되어 투입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켜 액화된 제2 오일을 포집하는 제2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1:0.5 내지 1:1.5의 무게비율로 포함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55℃ 내지 -60℃로 냉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includes: a reactor for generating oil-containing gas by thermally decomposing the waste; a first cooling unit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input from the reactor to a first temperature to collect the liquefied first oil in the oil; and a second cooling unit for collecting liquefied second oil by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fter the first oil is removed; The second cooling unit may cool the oil-containing gas to -55°C to -60°C using a refrigerant containing acetone and dry ice in a weight ratio of 1:0.5 to 1:1.5.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폐기물의 오일 함유 가스가 이동하는 도관; 및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상기 도관의 피드스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반응기, 상기 1차 냉각부 및 상기 2차 냉각부를 순서대로 지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conduit through which the oil-bearing gas of the waste flows; and a feedstock of the conduit into which the waste is introduced, wherein the conduit may pass through the reactor, the primary cooling unit, and the secondary cooling unit in ord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스톡은 내부에 믹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edstock may further include a mixer therein.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과정을 한 번만 이용하는 종래의 열분해 오일 회수 방법과 달리, 극저온의 2차 냉각을 추가로 포함하여 종래의 열분해 오일 회수 방법에 비해 오일의 회수율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열분해 과정 중 발생하는 가스를 보조 열원으로 활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열분해 오일 회수 방법에 비해 폐기물의 가열 효율 및 열분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yrolysis oil recovery method that uses the cooling process only once, the recovery rate of oil is excell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yrolysis oil recovery method by additionally including cryogenic secondary cooling.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pyrolysis process as an auxiliary heat source, the heating efficiency and thermal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he wast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yrolysis oil recovery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오일 회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일 회수 장치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드스톡의 내부에 추가로 포함되는 믹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아세톤에 대한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에 대한 2차 냉각부의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아세톤에 대한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에 대한 냉매가 녹는 속도의 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oil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il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mixer further included in the inside of the feed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cooling unit with respect to the weight ratio of dry ice to acetone.
5 is a graph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ting rate of the refrigerant to the weight ratio of dry ice to aceton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함유”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defined. 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clear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Unless defined, it is not to be construed in an idealistic or overly formal sens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일 회수 장치는,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 함유 가스를 발생시키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오일 중 액화된 제1 오일을 포집하는 제1 냉각부; 및 상기 제1 오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되어 투입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켜 액화된 제2 오일을 포집하는 제2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 the oil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or for pyrolyzing the waste to generate an oil-containing gas; a first cooling unit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input from the reactor to a first temperature to collect the liquefied first oil in the oil; and a second cooling unit for collecting liquefied second oil by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fter the first oil is removed;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약 1:0.5 내지 1:1.5의 무게비율로 포함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약 -55℃ 내지 -60℃로 냉각시킬 수 있다.Here, the second cooling unit may cool the oil-containing gas to about -55°C to -60°C using a refrigerant containing acetone and dry ice in a weight ratio of about 1:0.5 to 1:1.5.

상기 오일 회수 장치를 이용하여, 반응기(Furnace) 내에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또는 직물(textile)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 함유 가스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냉각부에서 제1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오일 중 액화된 제1 오일을 포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오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2 냉각부에서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켜 액화된 제2 오일을 포집하는 제3 단계;를 거쳐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할 수 있다.a first step of generating an oil-containing gas by thermally decomposing waste including biomass, plastic, or textile in a reactor (Furnace) using the oil recovery device; a second step of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to a first temperature in a first cooling unit to collect the liquefied first oil in the oil; a third step of collecting liquefied second oil by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a second cooling unit after the first oil is removed; oil can be recovered from the waste.

본 발명에서, 상기 폐기물은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또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타이어, 고무, 슬러지 등의 고형 폐기물 및 음식물 쓰레기, 톱밥, 동물의 분뇨 등의 바이오매스일 수 있다. 상기 폐기물로부터 유래된 오일은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에 의한 탈수소화 반응을 통해 제조된 뒤, 석유화학제품 또는 연료(산업용 냉난방 시설, 발전기 연료 또는 디젤 기관 등)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may be biomass, plastic, or fabric, for example, solid waste such as plastic, tire, rubber, sludge, and biomass such as food waste, sawdust, and animal manure. The oil derived from the waste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by a pyrolysis process of the waste, and then used as a petrochemical product or fuel (industrial heating/cooling facility, generator fuel or diesel engine, etc.).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은 상기 반응기 내에서 약 3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열분해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를 위한 승온 속도는 약 10℃/분 내지 230℃/분일 수 있고, 상기 열분해는 약 1분 내지 1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ste may be pyrolyzed at a temperature of about 300° C. to 800° C. in the reactor, and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may be about 10° C./min to 230° C./min. And, the thermal decomposition may proceed for about 1 minute to 1 hour.

상기 폐기물의 입자가 작아질수록 열 에너지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 상기 열분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보다 뛰어난 열분해 효율을 위해, 상기 폐기물을 분쇄한 후 불활성 기체의 유동가스에 통해 상기 반응기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폐기물은 약 600㎛ 이하의 크기,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600㎛의 크기로 분쇄될 수 있고, 상기 분쇄 과정을 위해 볼 밀 공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particles of the waste become smaller, the area in contact with thermal energy increases and the efficiency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an be increased. can In one embodiment, the waste may be pulverized to a size of about 600 μm or less, for example, about 100 to 600 μm, and a ball mill process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pulverization process.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유속이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임핀저 도관의 부피를 기준으로, 바이오매스를 이용할 경우는 약 35%/분 내지 39%/분의 유속을 적용하고 플라스틱을 이용할 경우는 약 17%/분 내지 21%/분의 유속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오일 포집 효율을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different flow rate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type of was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volume of the second impinger conduit, when biomass is used, a flow rate of about 35%/min to 39%/min is applied. In the case of applying and using plastic, applying a flow rate of about 17%/min to 21%/min shows the highest oil capture efficiency.

상기 불활성 기체는 폐기물을 운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환경을 산소가 없거나 희박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투입될 수 있다. 열분해는 직접연소와는 다르게 산소가 없거나 희박한 상태에서 반응기 내의 열분해 대상을 가열하여 가스, 오일, 및 잔류물 등으로 분해하는 과정이다. 폐기물을 직접 가열하는 직접연소와는 다르게 간접적으로 열 에너지만 공급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산소가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분해 과정 중 불활성 가스를 폐기물의 운반가스로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열분해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로는 아르곤,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이용될 수 있다.The inert gas may be introduced not only to transport the waste, but also to render the pyrolysis environment of the waste oxygen-free or lean. Unlike direct combustion, pyrolysis is a process of decomposing into gas, oil, and residues by heating a pyrolysis target in a reactor in the absence or lean state of oxygen. Unlike direct combustion, which directly heats waste, oxygen is not required because only indirect heat energy is suppli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more efficient thermal decomposition by using an inert gas as a carrier gas of waste during the pyrolysis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rgon, nitrogen, or carbon dioxide may be used as the inert gas.

상기 반응기는 열분해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해 열을 가열할 수 있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고로, 용광로 또는 노로를 포함할 수 있고, 발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류에 따라 코크스선고로, 목탄선고로, 또는 전기선고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actor is a device capable of heating heat to generate a pyrolysis reaction, and may generally include a blast furnace, a blast furnace or a furnace, and depending on the type that can be used as a pyrogen, a coke furnace, a charcoal furnace, or an electric furnace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냉각부의 냉각기는 냉각조의 온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오일 함유 가스의 액화 및 제1 오일의 포집이 가능한 온도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기의 온도는 약 -7 내지 -4℃일 수 있고, 상기 냉각조의 온도를 약 -3℃ 내지 0℃, 바람직하게는 약 -1℃로 냉각시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각기는 칠러(Chiller)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er of the first cooling unit serves to create a temperature environment capable of liquefying the oil-containing gas and collecting the first oil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nk. To this e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er may be about -7 to -4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bath may be maintained by cooling to about -3 °C to 0 °C, preferably about -1 °C. For example, the cooler may include a chill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상기 냉각기가 연결된 냉각조 및 상기 냉각조에 침지된 제1 임핀저 도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오일 함유 가스는 상기 제1 임핀저 도관에 투입되어 약 -3℃ 내지 0℃로 냉각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oling unit may include a cooling bath to which the cooler is connected and a first impinger conduit immersed in the cooling bath, and in the first step, the oil-containing gas is transferred to the first impinger conduit. It can be added to the cooling to about -3 ℃ to 0 ℃.

또한, 상기 냉각조는, 제1 오일이 포집되는 빈 공간인 제1 오일 포집부와 제1 오일 포집부에 연결된 제1 임핀저 도관, 및 상기 제1 오일 포집부를 침지하는 저온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온 공간이 상기 냉각기에 연결되어 약 -3℃ 내지 0℃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저온 공간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제1 오일 포집부 내부의 기온 역시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1 오일 포집부로 투입된 오일 함유 가스가 일부 액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tank may have a first oil collecting part that is an empty space in which the first oil is collected, a first impinger conduit connected to the first oil collecting part, and a low temperature space in which the first oil collecting part is immersed. The low temperature space is connected to the cooler to maintain a temperature of about -3°C to 0°C. As the temperature of the low-temperature space is lower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first oil collecting unit is also lowered, so that the oil-containing gas injected into the first oil collecting unit may be partially liquefi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임핀저 도관은 기체 중 혼재하는 각종 물질의 포집 시 사용하는 흡수관의 일종으로써, 기체가 들어오는 유입관 및 포집되고 남은 잔여 기체가 빠져나가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임핀저 도관은 외부와의 공기 접촉을 줄이기 위해 개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mpinger conduit is a kind of absorption pipe used when collecting various substances mixed in gas, and includes an inlet pipe through which gas enters and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remaining gas collected and remaining gas is discharged. In addition, the first impinger conduit may include opening/closing means to reduce air contact with the outside.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상기 제1 냉각부에서 액화되어 오일로 포집되지 못한 잔여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냉각부의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액화시켜, 추가적으로 오일을 포집하고 이에 의해 총 오일 포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부의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냉각부는 드라이아이스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냉매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oling unit liquefies the residual oil-containing gas liquefied in the first cooling unit and not captured as oil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of the first cooling unit, thereby additionally collecting oil and thus This can increase the total oil capture amount. In order to cool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he second cooling unit may use a refrigerant including dry ice and aceto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상기 아세톤과 상기 드라이아이스를 약 1:0.5 내지 1:1.2의 무게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세톤과 상기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이 1:0.5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아세톤과 상기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이 1: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아이스가 상기 아세톤에 녹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매는 상기 아세톤과 상기 드라이아이스를 약 1:0.5 내지 1:0.8의 무게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frigerant may include the acetone and the dry ice in a weight ratio of about 1:0.5 to 1:1.2.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acetone to the dry ice is less than 1:0.5,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acetone to the dry ice exceeds 1:1.2, the dry ic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ice to dissolve in the acetone is greatly increased. For example, the refrigerant may include the acetone and the dry ice in a weight ratio of about 1:0.5 to 1:0.8.

또한, 상기 제2 냉각부는 인접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임핀저 도관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임핀저 도관 각각은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된 오일 함유 가스를 수용하는 냉각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부가 밀폐된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둘러싸고 상기 제1 튜브와 함께 드라이아이스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냉매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오일 함유 가스는 상기 제2 임핀저 도관에 투입될 수 있고, 상기 냉매에 의해 약 -55℃ 내지 -60℃로 냉각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cooling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impinger conduits disposed adjacently, in which case each of the second impinger conduits is a cooling unit for receiv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It may include a first tube that forms a space and whose one end is sealed, and a second tube that surrounds the first tube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refrigerant including dry ice and acetone together with the first tube. In the third step, the oil-containing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impinger conduit, and may be cooled to about -55°C to -60°C by the refrigerant.

일반적으로, 드라이아이스는 고체에서 바로 기체로 승화하는 특성을 갖고 있고, 승화점은 -78.5℃이며 이때의 기화열은 571kJ/kg으로 산업현장에서 효과적인 냉매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라이아이스를 아세톤과 혼합한 액체를 냉매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약 -55℃ 내지 -60℃로 냉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 오일 포집 방법에서는 수득되지 않은 새로운 화합물을 액체 상태로 포집할 수 있다.In general, dry ice has a property of sublimating directly from a solid to a gas, and the sublimation point is -78.5°C, and the heat of vaporization at this time is 571 kJ/kg, which can be used as an effective refrigerant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containing gas can be cooled to about -55° C. to -60° C. by using the liquid obtained by mixing the dry ice with acetone as a refrigerant. can be captured in the st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부에서 상기 오일 함유 가스는 약 1.5 내지 4 시간 동안 냉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il-containing gas in the second cooling unit may be maintained in a cooled state for about 1.5 to 4 hours.

상기 오일 회수 장치는, 폐기물의 오일 함유 가스가 이동하는 도관; 및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상기 도관의 피드스톡;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관은, 상기 반응기, 상기 1차 냉각부 및 상기 2차 냉각부를 순서대로 경유할 수 있다.The oil recovery device includes: a conduit through which the oil-containing gas of the waste moves; and a feedstock of the conduit into which the waste is introduced, and the conduit may pass through the reactor, the primary cooling unit, and the secondary cooling unit in order.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오일 회수 장치는, MFC 및 최종 잔여 가스를 배출하는 후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2차 냉각부의 하단에 설치된 개폐 장치 및 오일 탱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피드스톡의 내부에, 예를 들어, 내부 하단부에 믹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oil recove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od for discharging the MFC and the final residual ga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device and an oil tank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cooling unit, and as shown in FIG. 3 , inside the feedstock, for example, an internal lower e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mixer.

포집된 오일을 회수한 뒤에도 상기 제1 임핀저 도관 및 제2 임핀저 도관의 벽면에 잔여 오일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관들 내로 용매를 주입하여 용매를 세척함으로써 잔여 오일을 추가 포집하여 오일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추가 포집된 잔여 오일은 용매와 혼합된 상태이고, 이를 분리하는 과정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Even after the collected oil is recovered, residual oil may exist on the walls of the first impinger conduit and the second impinger conduit. By injecting a solvent into the conduits to wash the solvent, residual oil may be additionally collected to increase the oil yield. At this time, the additionally collected residual oil is in a mixed state with the solvent, and a process of separating it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이러한 과정은,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냉각부 및 제2 냉각부 내로 용매를 주입하여 상기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집하고 각 냉각부의 내부에 남은 잔여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용매와의 혼합물 상태에서 잔여 오일만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잔여 오일을 약 50℃ 내지 70℃에서 약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In this process, after the third step, the step of injecting a solvent into the first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ooling unit to collect the first oil and the second oil and recovering the residual oil remaining in the inside of each cooling unit is further added. At this time, in order to extract only the residual oil in a mixture with a solvent, to remove the solvent by drying the mixture, the residual oil is dried at about 50° C. to 70° C. for about 20 to 28 hours. can do it

한편,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2 냉각부의 하단에 추가로 설치된 개폐 장치 및 오일 탱크에 포집된 오일이 저장되는 방법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매를 이용하여 잔여 오일을 포집하는 방법 대신, 상기 제2 냉각부의 하단에 개폐 장치 및 오일 탱크를 장착하고 하단부 도관을 연결하여 추가로 오일을 포집할 수 있다. 열분해 반응이 종료된 뒤, 상기 개폐 장치를 열면 포집되어있는 오일이 하단부 도관을 따라 아래로 이동해서 하단의 오일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third step, an opening/closing devic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oling unit and a method in which the collected oil is stored in the oil tank may also be used. Instead of using a solvent to collect residual oil as described above, an opening/closing device and an oil tank are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oling unit, and the lower end conduit is connected to further collect oil. After the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is complet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ned, the captured oil may move downward along the lower conduit and be stored in the lower oil tank.

추가로, 상기 피드스톡은 내부에 믹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eedstock may further include a mixer therein.

상기 피드스톡은 폐기물이 투입되어 가열 및 저장되는 장소로, 상기 반응기에 의해 전달된 열 에너지에 의해 그의 내부에서 열분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열분해 공정의 시행 동안, 상기 피드스톡 내부에서 상기 폐기물이 오랜 시간 고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가 잘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하며, 최종적으로 오일의 수율을 감소시키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드스톡의 내부 하단에 추가로 믹서를 설치할 수 있고, 이는 상기 폐기물이 고착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섞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상기 폐기물이 고르게 열분해되어 회수되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믹서로는, 프로펠러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The feedstock is a place where waste is input, heated, and stored, and a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ay occur therein by thermal energy transferred by the reactor.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yrolysis process, the waste may be stuck inside the feedstock for a long time. This prevents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from occurring well, and may ultimately have a negative effect of reducing the yield of oil.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ix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inner bottom of the feedstock, which may induce the waste to be continuously mixed without being stuck. As a result, the waste can be pyrolyzed evenly to increase the amount of recovered oil. As such a mixer, a propeller structure may be used.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오일 회수 장치 및 오일 회수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였고, 이를 하기에 자세히 기술한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carried out using the oil recovery apparatus and oil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오일의 회수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overing oil using food was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폐기물로 사용될 음식물 쓰레기를 볼 밀을 이용하여 600㎛로 곱게 분쇄했다.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1g을 24×600mm의 석영관에 투입한 뒤, 반응기에 올려놓고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주입했다. 상기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주입 속도는 300ml/min으로 설정했다. 상기 반응기 내에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3번 퍼지한 뒤, 열분해 반응을 시작했다. 상기 열분해 반응을, 반응 온도 300℃ 내지 700℃에서, 승온 온도 10℃/min 내지 230℃/min로 1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했다. Food waste to be used as waste was finely pulverized to 600 μm using a ball mill. 1 g of pulverized food waste was put into a quartz tube of 24 × 600 mm, placed on a reactor, and nitrogen or carbon dioxide was injected. The injection rate of the nitrogen or carbon dioxide was set to 300 ml/min. After purging nitrogen or carbon dioxide three times in the reactor, a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was started. The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300°C to 700°C, and at an elevated temperature of 10°C/min to 230°C/min for 1 minute to 1 hour.

상기 열분해 반응 중 발생하는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냉각부의 제1 임핀저 도관을 통해 냉각조(h:58×W:21×L:8cm)로 주입했다. 이 때, 상기 제1 냉각부의 온도를 -1℃로 유지했다. 상기 제1 냉각부의 온도에 의해 오일 함유 가스를 액화시켜, 냉각조 내부에 포함되어있는 40mL의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여 상기 오일 함유 가스의 일부를 포집했다. The oil-containing gas generated dur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was injected into a cooling tank (h:58×W:21×L:8cm) through the first impinger conduit of the first cooling unit.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oling unit was maintained at -1 °C. The oil-containing gas was liquefied by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oling unit, and a part of the oil-containing gas was collected using 40 mL of dichloromethane contained in the cooling tank.

이후, 포집되지 않은 잔여 오일 함유 가스는 상기 냉각조의 상기 제1 임핀저 도관으로부터 배출되어 제2 냉각부의 제2 임핀저 도관을 통해 제1 튜브의 냉각 공간 (id:47×h:310mm) 으로 주입되었다. 상기 제1 튜브의 냉각 공간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제2 튜브 내에,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이 1:0.5인 아세톤 및 드라이아이스 냉매를 주입했다.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냉각부의 온도를 -55℃ 이하로 유지했다. 상기 제2 냉각부의 온도에 의해 상기 잔여 오일 함유 가스를 액화시켜, 오일을 추가로 포집했다.Thereafter, the residual oil-containing gas that is not captured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impinger conduit of the cooling tank and injected into the cooling space (id:47×h:310mm) of the first tube through the second impinger conduit of the second cooling unit. became Acetone and dry ice refrigerant having a weight ratio of acetone to dry ice of 1:0.5 were injected into the second tube surrounding the cooling space of the first tube. Using the refrigeran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oling unit was maintained at -55°C or less. The residual oil-containing gas was liquefied by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oling unit to further collect oil.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본 발명의 제2 냉각부의 성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아세톤 및 드라이아이스 냉매의 조성비를 결정하기 위해,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질량 비율을 변화시켜가며 냉매의 온도를 측정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ratio of acetone and dry ice refrigerant, which plays a key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cool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wa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weight-to-mass ratio of acetone and dry ice.

도 4의 그래프는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에 대한 2차 냉각부의 온도를 나타낸다.The graph of FIG. 4 show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cooling unit with respect to the weight ratio of acetone and dry ice.

도 4를 참조하면, 아세톤에 대한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이 커질수록 냉매의 온도는 급격하게 하락하다가 아세톤에 대한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이 0.5 이상일 때부터 냉매의 온도가 약 -55℃ 이하가 되며 안정화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냉매는 아세톤에 대한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이 0.5 이상이 되도록 상기 아세톤과 상기 드라이아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s the weight ratio of dry ice to acetone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ecreases rapidly. When the weight ratio of dry ice to acetone is 0.5 or mor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becomes about -55° C. or less and is stabilized. started to become Accordingly, the refrigerant may include the acetone and the dry ice so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dry ice to the acetone is 0.5 or more.

도 5의 그래프는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에 대한 냉매가 녹는 속도를 나타낸다.The graph of FIG. 5 shows the melting rate of the refrigerant with respect to the weight ratio of acetone and dry ice.

도 5를 참조하면,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 약 1:0.8까지는 고체 드라이아이스 녹는 속도 그래프의 기울기가 급격히 상승한 뒤, 다소 기울기가 감소된 증가세를 보이다가,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 약 1:1.2부터 그래프의 기울기가 급격히 완만해지며 고체 드라이아이스의 녹는 속도의 증가폭 역시 둔화되기 시작하였다. Referring to FIG. 5 , the slope of the solid dry ice melting rate graph rapidly increased until the weight ratio of acetone to dry ice was about 1:0.8, and then the slope decreased slightly, and then the weight ratio of acetone to dry ice was about 1 : From 1.2, the slope of the graph gradually softened, and the increase in the melting speed of solid dry ice also started to slow down.

따라서, 드라이아이스를 아세톤에 녹이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매는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약 1: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8 이하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ime for dissolving dry ice in acetone, the refrigerant preferably contains acetone and dry ice in a ratio of about 1: 1,2 or less, preferably about 1:0.8 or less.

이처럼, 상기 도 4 및 도 5 그래프를 통해 결정된,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바람직한 무게 비율은, 약 1:0.5 내지 1:1.2, 바람직하게는 약 1:0.5 내지 1:0.8 범위일 수 있다.As such, the preferred weight ratio of acetone and dry ice, as determined through the graphs of FIGS. 4 and 5 ,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0.5 to 1:1.2, preferably about 1:0.5 to 1:0.8.

본 발명의 오일 회수 방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물질을 얻을 수 있다:Using the oil recove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materials can be obtained:

(a) 페놀 화합물: 페놀, 페놀,2-메틸-, 페놀,4-메틸-, 페놀,2,4-디메틸-, 페놀,3-아미노-, 페놀,4-에틸-, 4-비닐-페놀, 페놀,4-에틸-3-메틸- 및 페놀,5-메톡시-2,3-디메틸-, (a) Phenolic compounds: phenol, phenol, 2-methyl-, phenol, 4-methyl-, phenol, 2,4-dimethyl-, phenol, 3-amino-, phenol, 4-ethyl-, 4-vinyl-phenol , phenol,4-ethyl-3-methyl- and phenol,5-methoxy-2,3-dimethyl-,

(b) PAHs: 1,2-디하이드로나프토[2,1-b]푸란-2-올 및 1,4-디하이드로나프탈렌, (b) PAHs: 1,2-dihydronaphtho[2,1-b]furan-2-ol and 1,4-dihydronaphthalene;

(c) 선형 탄화수소: 헥사데크-1-엔, (E)-헵타데크-8-엔, (Z)-헵타데크-3-엔, 노나데크-1-엔, 3-메틸펜탄 및 도데칸, (c) linear hydrocarbons: hexadec-1-ene, (E)-heptadec-8-ene, (Z)-heptadec-3-ene, nonadec-1-ene, 3-methylpentane and dodecane;

(d) 비선형 탄화수소: 시클로테트라데칸, 시클로펜타데칸, 4-에틸-4'-펜틸바이(시클로헥산), 3,7,7-트리메틸바이시클로[4.1.0]헵트-2-엔, 콜레스타-3,5-디엔 및 스티그마스탄-3,5-디엔, (d) nonlinear hydrocarbons: cyclotetradecane, cyclopentadecane, 4-ethyl-4'-pentylbi(cyclohexane), 3,7,7-trimethylbicyclo[4.1.0]hept-2-ene, cholesta -3,5-diene and stigmastan-3,5-diene;

(e) 알코올: 5-메틸-2-(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사놀 및 피리딘-4-올, (e) alcohols: 5-methyl-2-(prop-1-en-2-yl)cyclohexanol and pyridin-4-ol;

(f) 알데히드: (Z)-테트라데크-9-에날, (Z)-14-메틸헥사데크-8-에날 및 (Z)-옥타데크-13-에날, (f) aldehydes: (Z)-tetradec-9-enal, (Z)-14-methylhexadec-8-enal and (Z)-octadec-13-enal;

(g) 케톤: 펜타데칸-2-온, 2-하이드록시클로펜타데카논, 옥세판-2-티온, 테트라하이드로펜탈렌-1,6(2H,6aH)-디온, 1-(피롤리딘-1-일)운데칸-1-온, 4,5,6-트리메틸피리미딘-2(1H)-온, 옥타하이드로디피롤로[1,2-a:1',2'-d]피라진-5,10-디온, 헥사하이드로피롤로[1,2-a]피라진-1,4-디온, 3-메틸헥사하이드로피롤로[1,2-a]피라진-1,4-디온 및 (S)-5-이소부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g) ketones: pentadecan-2-one, 2-hydroxycyclopentadecanone, oxepan-2-thione, tetrahydropentalene-1,6(2H,6aH)-dione, 1-(pyrrolidine -1-yl) undecan-1-one, 4,5,6-trimethylpyrimidin-2 (1H)-one, octahydrodipyrrolo [1,2-a: 1 ', 2'-d] pyrazine- 5,10-dione, hexahydropyrrolo[1,2-a]pyrazine-1,4-dione, 3-methylhexahydropyrrolo[1,2-a]pyrazine-1,4-dione and (S) -5-isobutylimidazolidine-2,4-dione;

(h) 산: 옥타노 산, (E)-옥타데크-6-에노 산, (Z)-옥타데크-11-에노 산, 데카노 산, 테트라데카노 산 및 팔미트 산, (h) acids: octanoic acid, (E)-octadec-6-enoic acid, (Z)-octadec-11-enoic acid, decanoic acid, tetradecanoic acid and palmitic acid;

(i) 에스테르: (9E,12E)-에틸 헥사데카-9,12-디에노에이트, (9Z,12Z)-메틸 옥타데카-9,12-디에노에이트, (E)-메틸 옥타데크-10-에노에이트, 에틸 14-메틸-헥사데카노에이트 및 메틸 팔미테이트, (i) esters: (9E,12E)-ethyl hexadeca-9,12-dienoate, (9Z,12Z)-methyl octadeca-9,12-dienoate, (E)-methyl octadec-10 -enoate, ethyl 14-methyl-hexadecanoate and methyl palmitate,

(j) 아미드: (E)-N-(4-브로모벤질리덴)-1,1,1-트리메틸실란아민, (j) amides: (E)-N-(4-bromobenzylidene)-1,1,1-trimethylsilaneamine;

(k) 아민: (E)-N-(4-브로모벤질리덴)-1,1,1-트리메틸실란아민, (l) 니트릴: 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니트릴, (k) amine: (E)-N-(4-bromobenzylidene)-1,1,1-trimethylsilaneamine, (l) nitrile: 3-[4-hydroxyphenyl]propionitrile;

(m) 푸란: 5-(하이드록시메틸)디하이드로푸란-2(3H)-온 및 옥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숙시네이트, (m) furan: 5-(hydroxymethyl)dihydrofuran-2(3H)-one and octyl(tetrahydrofuran-2-yl)methyl succinate;

(n) 인돌: 1H-인돌 및 4-메틸-1H-인돌, (n) indole: 1H-indole and 4-methyl-1H-indole;

(p) 탄수화물-유래 화합물: 2,3-무수-d-만노산 및 이소소르바이드, (p) carbohydrate-derived compounds: 2,3-anhydrous-d-mannoic acid and isosorbide;

(q) 기타: (Z)-7-(브로모메틸)펜타데크-7-엔, 2-에틸-3-메톡시피라진 및 3-벤질헥사하이드로피롤로[1,2-b][1,4,2,5]디옥사디아진.(q) other: (Z)-7-(bromomethyl)pentadec-7-ene, 2-ethyl-3-methoxypyrazine and 3-benzylhexahydropyrrolo[1,2-b][1, 4,2,5]dioxadiazine.

상기 물질들 중 5-메틸-2-(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사놀은 네오이소이소풀레골이라고도 하며, 민트향의 식품첨가제로 사용된다. 피리딘-4-올은 4-피리돈의 거울상 호변 이성질체로,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Z)-테트라데크-9-에날은 지방족 알데히드이며, 살충제 또는 농약으로 사용된다. (Z)-14-메틸헥사데크-8-에날 역시 지방족 알데히드이며, 살충제로 사용된다. (Z)-옥타데크-13-에날 또한 지방족 알데히드이며,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로 사용된다.Among the above substances, 5-methyl-2-(prop-1-en-2-yl)cyclohexanol, also called neoisoisofulgol, is used as a mint flavored food additive. Pyridin-4-ol is an enantiomer of 4-pyridone, and is a compound widely used in industrial fields. (Z)-Tetradec-9-enal is a fatty aldehyde and is used as a pesticide or pesticide. (Z)-14-Methylhexadec-8-enal is also a fatty aldehyde and is used as a pesticide. (Z)-octadec-13-enal is also a fatty aldehyde and is used as an attractant to attract pest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2)

반응기(Furnace) 내에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또는 직물(textile)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 함유 가스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냉각부에서 제1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오일 중 액화된 제1 오일을 포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오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2 냉각부에서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켜 액화된 제2 오일을 포집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a first step of pyrolyzing waste including biomass, plastic or textile in a reactor to produce an oil-containing gas;
a second step of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to a first temperature in a first cooling unit to collect the liquefied first oil in the oil;
a third step of collecting liquefied second oil by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a second cooling unit after the first oil is removed; containing,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는 냉각기가 연결된 냉각조 및 상기 냉각조에 침지된 제1 임핀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오일 함유 가스는 상기 제1 임핀저 도관에 투입되어 -3℃ 내지 0℃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oling unit includes a cooling bath to which a cooler is connected and a first impinger conduit immersed in the cooling bath,
In the first step, the oil-containing gas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mpinger conduit and cooled to -3°C to 0°C,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부는 인접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임핀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임핀저 도관은 냉각 공간을 형성하고 일단부가 밀폐된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둘러싸고 상기 제1 튜브와 함께 드라이아이스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냉매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오일 함유 가스는 상기 제2 임핀저 도관에 투입되어 -55℃ 내지 -60℃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oling section comprises one or more second impinger conduits disposed adjacently;
The second impinger conduit forms a cooling space, a first tube with one end sealed, and a second tube that surrounds the first tube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refrigerant including dry ice and acetone together with the first tube includes,
In the third step, the oil-containing gas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mpinger cond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oled to -55°C to -60°C,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내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의 무게 비율은 1:0.5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weight ratio of acetone and dry ice in the refrigerant is 1:0.5 to 1:1.2,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부에 의해 포집되는 물질은, 5-메틸-2-(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사놀, 피리딘-4-올, (Z)-테트라데크-9-에날, (Z)-14-메틸헥사데크-8-에날 또는 (Z)-옥타데크-13-에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collected by the second cooling unit is 5-methyl-2-(prop-1-en-2-yl)cyclohexanol, pyridin-4-ol, (Z)-tetradec-9-enal , (Z)-14-methylhexadec-8-enal or (Z)-octadec-13-enal,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은 분쇄된 후 불활성 기체의 유동물질에 의해 상기 반응기 내에 투입되고,
상기 열분해 온도는 300℃ 내지 800℃이고, 상기 열분해 승온 속도는 10℃/분 내지 230℃/분인,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waste is pulverized, it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by a flowing material of an inert gas,
The pyrolysis temperature is 300 ℃ to 800 ℃, the pyrolysis temperature increase rate is 10 ℃ / min to 230 ℃ / min,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냉각부 및 제2 냉각부 내로 용매를 주입하여 상기 제1 오일 및 제2 오일을 포집하고 각 냉각부의 내부에 남은 잔여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third step, injecting a solvent into the first cooling unit and the second cooling unit to collect the first oil and the second oil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overing the residual oil remaining in the inside of each cooling unit,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오일을 50 내지 70℃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rying the residual oil at 50 to 70° C. for 20 to 28 hours,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2 냉각부의 하단에 추가로 설치된 개폐 장치 및 오일 탱크에 포집된 오일이 저장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third step, the oil collected in the opening/closing device and the oil tank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oling unit is stored,
How to recover oil from waste.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오일 함유 가스를 발생시키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제1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오일 중 액화된 제1 오일을 포집하는 제1 냉각부; 및
상기 제1 오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냉각부로부터 배출되어 투입되는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냉각시켜 액화된 제2 오일을 포집하는 제2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부는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1:0.5 내지 1:1의 무게비율로 포함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오일 함유 가스를 -55℃ 내지 -60℃로 냉각시키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
a reactor for pyrolyzing the waste to generate an oil-containing gas;
a first cooling unit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input from the reactor to a first temperature to collect the liquefied first oil in the oil; and
After the first oil is removed, a second cooling unit for collecting the liquefied second oil by cooling the oil-containing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oling unit to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cluding,
The second cooling unit cools the oil-containing gas to -55°C to -60°C using a refrigerant containing acetone and dry ice in a weight ratio of 1:0.5 to 1:1.
A device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제10항에 있어서,
폐기물의 오일 함유 가스가 이동하는 도관; 및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상기 도관의 피드스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반응기, 상기 1차 냉각부 및 상기 2차 냉각부를 순서대로 지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onduit through which the oil-bearing gas of the waste travels; and
It further comprises; the feedstock of the conduit into which the waste is input;
The conduit passes through the reactor, the primary cooling unit and the secondary cooling unit in order,
A device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스톡은 내부에 믹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폐기물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eedstock further comprises a mixer therein,
A device for recovering oil from waste.
KR1020200168453A 2020-12-04 2020-12-04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790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53A KR20220079051A (en) 2020-12-04 2020-12-04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21/018285 WO2022119404A1 (en) 2020-12-04 2021-12-03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method for recovering oi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53A KR20220079051A (en) 2020-12-04 2020-12-04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051A true KR20220079051A (en) 2022-06-13

Family

ID=8185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453A KR20220079051A (en) 2020-12-04 2020-12-04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9051A (en)
WO (1) WO202211940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1260A1 (en) * 2022-07-08 2024-01-11 Chevron U.S.A. Inc. Use of blend of waste plastic with bio feed for circular economy polypropylene production
WO2024011259A1 (en) * 2022-07-08 2024-01-11 Chevron U.S.A. Inc. Use of blend of waste plastic with bio feed for circular economy polyethylene production
US20240010940A1 (en) * 2022-07-08 2024-01-11 Chevron U.S.A. Inc. Use of blend of waste plastic with bio feed for chemicals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7284B2 (en) * 2017-03-27 2021-12-0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How to recover crude gas oil components in gas
KR102174912B1 (en) * 2019-12-30 2020-11-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The waste tire fast pyrolysis device with mixing and Heating Screw and pyrolysis method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404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9051A (en) Oil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nd cryogenic condenser, and oil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Fang et al. Study on pyrolysis products characteristics of medical waste and fractional condensation of the pyrolysis oil
Domínguez et al. Production of bio-fuels by high temperature pyrolysis of sewage sludge using conventional and microwave heating
Zhang et al. Mechanism of wet sewage sludge pyrolysis in a tubular furnace
RU2572998C2 (en) Synthetic gas produced by plasma arc gasification
KR101744558B1 (en) Pyrorlysis apparatus for disposal of scrap tire and disposal method and system of scrap tire using the same
RU2014131268A (en) PARTICULAR METHOD FOR GASIFICATION OF BIOMASS AT HIGH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KR101239519B1 (en) Apparatus for making regenerated oil from waste plastics using waste oil
US4458095A (en) Use of zinc and copper (I) salts to reduce sulfur and nitrogen impurities during the pyrolysis of plastic and rubber waste to hydrocarbons
JP2007112879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decomposition treatment of waste product
Zhang et al. Volatility and partitioning of Cd and Pb during sewage sludge thermal conversion
US20220251392A1 (en) Thermolysis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recovered carbon black and fuel from disused tires
JP4516091B2 (en) Nanocarbon generator
KR1013073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synthetic polymer waste using recycled heavy oil and recycled carbon compounds
JP2015151409A (en) oil recovery system
KR100610528B1 (en) Tire oil producing facilities from waste tire
DE19937188C1 (en) Processing of industrial or domestic refuse to produce synthesis gas includes aspirating gases from a coolant water settling tank
RU2696231C1 (en) Method of recycling carbon-containing materials
RU2012110084A (en) METHOD FOR PROCESSING RUBBER WASTE
JP20061026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content from oil-containing sludge
KR20180138188A (en) Recovery method of d-limonene by fast pyrolysis of waste tire and pyrolysis oil distillation and oil thereof
JP6180762B2 (en) Fatty acid recovery apparatus and fatty acid recovery method
EP35176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valuable substance
KR95003190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ated carbon using waste tires and apparatus therefor
KR1026606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waste synthetic res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