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826A - Frame for fruit harvester - Google Patents

Frame for fruit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826A
KR20220078826A KR1020200167988A KR20200167988A KR20220078826A KR 20220078826 A KR20220078826 A KR 20220078826A KR 1020200167988 A KR1020200167988 A KR 1020200167988A KR 20200167988 A KR20200167988 A KR 20200167988A KR 20220078826 A KR20220078826 A KR 20220078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rod
fitting
fruit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5520B1 (en
Inventor
최미정
Original Assignee
최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정 filed Critical 최미정
Priority to KR102020016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520B1/en
Publication of KR2022007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5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프레임; 및 상기 작업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봉결합프레임;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omprising: a connection fram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so as to harvest fruits or cucurbits; a work fram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formed in a zigzag shape to harvest fruits or vegetables; and a rod coupling fram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connection fram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ing frame and coupled or sepa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working rod.

Description

과일수확기용 프레임{Frame for fruit harvester}Frame for fruit harvester

본 발명은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또는 제조된 작업봉에 설치가 용이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that is easy to install on a bamboo or manufactured work rod and has improved strength.

일반적으로 과일은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에 따른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고, 이러한 손상은 과일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In general, fruits are easily damaged by external impacts due to falling fruits in the process of harvesting, and such damage deteriorates the commercial properties of fruits.

또한, 과일이 높은 위치에 열리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나무에 올라가거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과일을 수확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ruit is opened at a high position, the worker directly climbs a tree or climbs a ladder to harvest the fruit.

이와 같은 과일의 수확 과정은 작업자가 올라갈 나무의 위치에 사다리를 위치시켜 과일을 수확한 후 사다리를 타고 내려와서 다른 과일 나무로 다시 사다리를 옮겨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In such a fruit harvesting process, a method is used in which the worker places a ladder at the position of the tree to climb, harvests the fruit, then descends the ladder and moves the ladder back to another fruit tree.

즉, 연속적으로 높은 위치의 과일을 수확하게 되므로, 높은 위치의 과일을 수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작업자가 사다리의 위치를 이송시키고, 그 사다리를 타고 올라갔다 내려가는 행위를 반복해야 하는 등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나무나 사다리에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since fruits in a high position are continuously harvested, it takes a lot of time to harvest fruits in a high pos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labor was consumed, and there was a risk that the worker could easily get tired and fall from a tree or ladder.

한편, 기존의 감나무에서의 감 수확은 장대 끝에 타원형의 프레임을 부착하고, 주머니를 달아 당기거나 꺾어서 주머니에 떨어 뜨려 담는 방식으로 감 수확이 이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persimmon harvesting in the existing persimmon tree is accomplished by attaching an oval frame to the end of a pole, pulling or folding a pouch and dropping it into the pouch.

특히, 감나무는 나무가 약한데도 불구하고 나무에 올라가 감을 수확하다 가지가 부러져 다치게 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the persimmon tree had a problem in that, despite the weakness of the tree, the branches were broken and injured while climbing the tree to harvest the persimmon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13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2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3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7336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17830호 등의 다양한 형태의 과일 수확기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8131,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6320,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8386,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73361, and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 Various types of fruit harvesters such as -1317830 are disclosed in the prior art literature.

이러한 선행기술 문헌들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317830호는 연결봉이 프레임과 용접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20호의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에 수확망(주머니)이 달리고, 대나무나 알루미늄 장대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봉이 결합 되는데, 프레임과 연결봉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보통 용접을 하거나 용접이 아닌 경우에는 연결봉의 홈을 채우면서 프레임 철사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플라스틱의 부자재, 그리고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가 필요하고, 장대와의 결합을 위해서는 결속용 구멍이 형성되게 된다. Among these prior art documents, Patent Publication No. 10-1317830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necting rod is welded to a frame, and the frame structure of the fruit harvester of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6320 has a harvesting net (pocket) on the frame. ) runs, and a connecting rod for bonding with a bamboo or aluminum pole is combined. In order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connecting rod, normal welding is performed or, in the case of non-welding, a separate plastic subsidiary material that fixes the frame wire while filling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rod, And a screw for fastening and fixing is required, and a hole for binding is formed for coupling with a pole.

그러나 선행기술 문헌의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는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 단가가 올라가고 공정이 많아져서 상품화되기가 어려우며, 수확 주머니 망의 경우에는 한 번 결합되면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오염되거나 헤어져 닳아서 보통 기워서 쓰는 실정이었다. However, the frame structure of the fruit harvester of the prior art literatur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and increases the number of processes, making it difficult to commercialize. It was usually a situation in which I was writing.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373361호의 경우, 망을 교체하는 방안으로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철사나 끈으로 묶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또한 결속하는데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고 용이 하지 않을뿐더러 철사의 결속 부위가 과일에 직접 닿아서 수확하는 과일을 상하게 할 우려가 큰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373361, a method of tying a wire or string at regular intervals to the frame as a method of replacing the mesh is proposed, but this also requires a separate effort and is not easy to bind, and it is not easy to bind the wire. There was a big problem in that the binding part wa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ruit and there was a risk of damaging the harvested frui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131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813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2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63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386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838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36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7336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 및 봉결합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작하고, 힘이 전달되는 부분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that can easily manufacture a connection frame, a work frame, and a bar coupling frame, and improve strength in a portion to which a force is transmitted. There is this.

또한, 대나무 또는 제조된 봉으로 구성되는 작업봉에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that is easy to assemble or separate on a working rod made of bamboo or manufactured rod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은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프레임; 및 상기 작업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봉결합프레임;을 포함한다.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fram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so as to harvest fruits or gourds; a work fram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formed in a zigzag shape to harvest fruits or vegetables; and a rod coupling fram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connection fram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ing frame and coupled or sepa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working rod.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은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봉결합프레임은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의 지름보다 큰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working frame may be formed of wire or a metal material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the bar coupling frame may be formed of a wire or a metal material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working frame.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나선 폭은 동일 또는 외부에서 내부방향을 향할수록 나선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iral width of the rod coupling frame may be the same or formed so that the spiral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 상기 전방 수평부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에 고정되는 마감부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onnection frame is arranged at a distance on both sides, and the end of the work frame is connected to one end, respectively, and a pair of front horizontal portions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air of inclined portion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inclined inwardly; and a finishing horizontal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inclined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rod coupling frame and a clos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bar coupling frame;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마감부의 끝단에 연장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부는 봉결합프레임의 내부 또는 끝단 또는 지렛대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Here, an extended coupling par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losing part, and the extended coupling part may be fixed through any one selected from the inside or the end of the rod coupling frame or a lever.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에 장착공이 형성된 끼움 결합구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감부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끼움 결합구의 장착공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돌기가 절곡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tting sphere having the mounting hole is movably mounted to the rod coupling frame, and the end portion of the closing part may have a bent fitting protrusion so that it can be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fitting sphere.

이와 함께, 상기 마감부의 끼움 결합돌기는 상기 끼움 결합구를 관통하고, At the same time,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closing part passes through the fitting hole,

상기 끼움 결합구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끼움 결합돌기와 봉결합프레이임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고정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 fixture having a cutout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fitting coupling protrusion and the rod coupling frame located on both sides around the fitting member.

그리고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전방 끝단에는 작업봉의 삽입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봉위치 제한부가 형성될 수 있다. And a bar position limiting part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ar coupling frame to limi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working bar.

본 발명에 의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은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 및 봉결합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작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힘이 전달되는 부분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과일과 박과채소를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easily manufacturing a connecting frame, a work frame, and a bar coupling frame, and can improve the strength to the part where the force is transmitted, so that fruits, gourds and vegetables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harvest easi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은 대나무 또는 제조된 봉으로 구성되는 작업봉에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에 따라 작업봉을 용이하게 대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to assemble or separate the working rod composed of bamboo or manufactured rods, and it can be used by easily coping with the working ro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프레임과 봉결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rod coupling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for the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acts and/or elements.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프레임과 봉결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other embodiment of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rod coupling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for the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100)은 연결프레임(200), 작업프레임(300), 봉결합프레임(400)을 포함한다. The frame 100 for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frame 200 , a work frame 300 , and a rod coupling frame 400 .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200), 작업프레임(300), 봉결합프레임(400)은 작업성과 성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frame 200 , the work frame 300 , and the rod coupling frame 400 may be formed of a wire or a metal material having the same diameter to improve workability and formability.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연결프레임(200)과 작업프레임(300)의 지름보다 큰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작업봉(500)의 작동에 따른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od coupling frame 400 may be formed of a wire or a metal material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the work frame 300 , which reinforces the strengt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ork rod 500 and provides support. is to improve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The connection frame 20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an accommodation space 210 is formed therein.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200)에는 수확공간이 형성된 공지된 주머니(600)가 장착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a known bag 600 having a harvesting space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frame 200 , and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즉,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작업프레임(300)의 작동을 통해 수확되는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용공간(210)을 통해 주머니(600)의 수확공간에 삽입시키게 된다. That is, the connection frame 200 inserts fruits or cucurbits harve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ork frame 300 into the harvest space of the pocket 600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10 .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300)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220), 상기 전방 수평부(220)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230), 상기 경사부(230)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242)와 상기 경사부(230)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400)에 고정되는 마감부(244)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240)로 구성된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frame 200 is arranged at intervals on both sides, and the ends of the work frame 300 are connected to one end, respectively, and a pair of front horizontal portions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210 is formed ( 220), a pair of inclined portions 230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220 and inclined inwardly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30, the rod coupling frame A finishing horizontal part ( 240) is composed.

즉,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한 쌍의 전방 수평부(220)와 상기 전방 수평부(22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경사부(230) 및 상기 경사부(230)의 끝단에 형성되는 봉연결 마감부(242)와 마감부(244)를 탁구채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onnection frame 200 includes a pair of front horizontal portions 220 and an inclined portion 230 formed at one end of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220 and a rod connection formed at an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30 . The closing part 242 and the closing part 244 will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able tennis club.

여기서, 상기 전방 수평부(220)와 봉결합프레임(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부(230)와 마감 수평부(240)는 강도가 취약한 연결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작업봉(500)의 작동시 균등하게 전달하게 된다. Here, the pair of inclined portions 230 and the finished horizontal portion 240 disposed between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220 and the rod coupling frame 400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weak connection portion and the work rod When the operation of (500) is evenly transmitted.

이때, 상기 마감부(244)와 봉결합프레임(400)의 고정은 용접이나 공지된 브라켓 등을 통해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part 244 and the rod coupling frame 400 are fixed through welding or a known bracket.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도시된 도 3 내지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connection frame 20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3 to 5 .

먼저, 도시된 도 3의 연결프레임(200)은 마감부(244)의 끝단에 연장결합부(250)를 연장형성하여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rst, the illustrated connection frame 200 of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extension coupling part 250 is extended at the end of the closing part 244 and fixed to the rod coupling frame 400 .

즉, 상기 마감부(244)의 끝단에 연장결합부(250)를 연장형성하여,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의 내부 또는 끝단 또는 지렛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extended coupling part 25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losing part 244 so that it can be fixed inside or at the end of the bar coupling frame 400 by any one of a lever.

이때,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연장결합부(250)의 결합을 고려하여 작업봉(5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rod coupling frame 4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orking rod 500 in consideration of the coupling of the extended coupling part 250 .

다음으로, 도시된 도 4(a) 및 4(b)의 연결프레임(200)은 봉결합프레임(400)에 끼움 결합구(440)을 장착하여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연결프레임(200)의 마감부(24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Next, the connection frame 200 of FIGS. 4 (a) and 4 (b) is attached to the bar coupling frame 400 by mounting the fitting connector 440 to finish the connection frame 20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purpose, etc.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fix the part 244 .

이를 위해,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장착공(442)이 형성된 끼움 결합구(440)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감부(244)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끼움 결합구(440)의 장착공(442)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돌기(246)가 절곡형성된다.To this end, a fitting hole 440 having a mounting hole 442 formed therein is movably mounted on the rod coupling frame 400 , and the fitting hole 44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closing part 244 . The fitting protrusion 246 is bent to be fitted to the ball 442 .

즉, 상기 마감부(244)의 끼움 결합돌기(246)와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구(440)를 위치시킨 후 상기 끼움 결합돌기(246)를 장착공(442)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That is, after positioning the fitting sphere 44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trusion 246 of the closing part 244 , the fitting protrusion 246 is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442 to be fixed. .

이때, 상기 끼움 결합구(440)의 내면에는 끼움 결합돌기(246)와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4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adhesion member 450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coupling hole 440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fitting coupling protrusion 246 .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연결프레임(200)은 끼움 결합구(440)의 양측으로 고정구(460)를 장착하여, 상기 끼움 결합돌기(246)가 끼움결합된 끼움 결합구(440)의 위치변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Next, the connecting frame 200 of FIG. 5 is shown by mounting the fasteners 460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sphere 440, and the position of the fitting coupler 440 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246 is fitted. This is to prevent change.

이를 위해, 상기 마감부(244)의 끼움 결합돌기(246)는 상기 끼움 결합구(440)의 장착공(442)을 관통하고, 상기 끼움 결합구(440)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끼움 결합돌기(246)와 봉결합프레임(400)의 나선(410)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고정구(46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To this end, the fitting protrusions 246 of the closing part 244 penetrate the mounting holes 442 of the fitting couplers 440, and the fitting protrus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coupler 440 as the center. A fixture 460 having a cutou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piral 410 of the 246 and the rod coupling frame 400 .

상기 작업프레임(300)은 연결프레임(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The work frame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200 .

그리고 상기 작업프레임(300)은 지그재그 형상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And the work frame 300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or inclined zigzag shape.

즉, 상기 작업프레임(3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work frame 300 is formed in a zigzag shape, so that fruits or gourds can be easily harvested.

여기서, 상기 작업프레임(300)의 간격과 폭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val and width of the work frame 300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purpose.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에 형성된다. The rod coupling frame 4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200 .

그리고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며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봉(500)과 결합 또는 분리된다. And the rod coupling frame 400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formed in a spiral shape to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working rod 500 .

여기서, 상기 작업봉(500)은 대나무 또는 끼움돌기가 구비된 봉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회전작동하여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된다. Here, the working rod 500 is composed of bamboo or a rod having a fitting protrusion, and is rotated to the rod coupling frame 400 to be coupled or separated.

즉, 상기 작업봉(500)은 대나무의 마디 또는 봉의 끼움돌기가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을 구성하는 나선(410)과 나선(41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420)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된다. That is, the working rod 500 moves along the space 420 formed between the spiral 410 and the spiral 410 constituting the rod coupling frame 400 in which a bamboo node or a rod fitting protrusion moves to combine or will be separated

이때,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의 나선(410)과 나선(410)의 폭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동일 또는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width of the spiral 410 and the spiral 410 of the rod coupling frame 40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or to be narrow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purpose.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전방 끝단에 작업봉(500)의 삽입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봉위치 제한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d coupling frame 400 may have a rod position limiting portion 430 formed at the front end to limi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working rod 500 .

여기서, 상기 봉위치 제한부(430)는 작업봉(5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봉위치 제한부(430)은 작업봉(500)의 지름보다 작은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Here, the rod position limiting part 43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orking rod 500 ,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 position limiting part 430 has a shap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orking rod 500 . At least one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n embodiment of the frame for the fruit harves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300)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220), 상기 전방 수평부(220)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230), 상기 경사부(230)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242)와 상기 경사부(230)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400)에 고정되는 마감부(244)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240)로 이루어지는 연결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전방 수평부(220)에 지그재그 형상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작업프레임(300) 및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마감 수평부(240)에 소정의 지름을 가지며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봉결합프레임(400)을 일체로 형성한다. First, a pair of front horizontal portions 220, the front horizontal portions 220, each of which is disposed at a distance on both sides, the ends of the work frame 300 ar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receiving space 210 is formed therein. ), a pair of inclined portions 230 disposed at the other end and inclined inwardly formed at on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rod coupling frame 400. The rod connection finish Connection frame 200 comprising part 242 and a closing horizontal part 240 composed of a closing part 244 fixed to the rod coupling frame 400 while being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art 230 . and a work frame 300 in which a zigzag shape is formed vertically or obliquely on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220 of the connection frame 200 and a spir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finishing horizontal portion 240 of the connection frame 200 The rod coupling frame 400 is integrally formed.

그리고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대나무의 마디 또는 봉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작업봉(500)을 끼움 결합한 후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주머니(600)를 결합하면, 과일수확기용 프레임(100)의 조립작업은 완료된다. And when the bag 60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frame 200 after fitting the working rod 500 on which the bamboo node or the rod fitting projection is formed to the rod coupling frame 400, the frame 100 for a fruit harvester assembly work is completed.

여기서, 상기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Here, it is revealed that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frame for the fruit harvester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업봉(500)을 통해 과일수확기용 프레임(100)을 과일 또는 박과채소에 위치한 후, 상기 작업봉(500)의 작동을 통해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하며, 상기 과일 또는 박과채소는 주머니(600)에 보관되는 과정을 통해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하게 된다. In such a state, after the frame 100 for a fruit harvester is placed on fruits or vegetables through the working rod 500 through the working rod 500, fruits or vegetables are harve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rod 500, and the Fruits or cucurbits are harvested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stored in the pocket 600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to or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200 : 연결프레임 210 : 수용공간
220 : 전방 수평부 230 : 경사부
240 : 마감 수평부 242 : 봉연결 마감부
244 : 마감부 246 : 끼움 결합돌기
250 : 연장결합부
300 : 작업프레임
400 : 봉결합프레임 410 : 나선
420 : 공간 430 : 봉위치 제한부
440 : 끼움 결합구 442 : 장착공
450 : 밀착부재
500 : 작업봉 600 : 주머니
100: frame for fruit harvester
200: connection frame 210: accommodation space
220: front horizontal part 230: inclined part
240: finished horizontal portion 242: rod connection end portion
244: closing part 246: fitting coupling protrusion
250: extension coupling part
300: work frame
400: rod coupling frame 410: spiral
420: space 430: bar position limiting part
440: fitting joint 442: mounting hole
450: adhesion member
500: work rod 600: pocket

Claims (8)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프레임; 및
상기 작업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봉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a connection fram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so as to harvest fruits or vegetables;
a work fram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formed in a zigzag shape to harvest fruits or vegetables; and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omprising a; a rod coupling fram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connection fram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ing frame and coupled or sepa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working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은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봉결합프레임은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의 지름보다 큰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work frame are formed of a wire or a metal material having the same diameter,
The rod coupling frame is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wire or a metal material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working fram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나선 폭은 동일 또는 외부에서 내부방향을 향할수록 나선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ral width of the rod coupling frame is the same or is formed such that the spiral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
상기 전방 수평부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에 고정되는 마감부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a pair of front horizontal portions each having an end of the work frame connected to one end while spaced apart on both sides and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pair of inclined portion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inclined inwardly; and
Containing; a finishing horizontal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mprising a rod connection finishing part connected to the rod coupling frame and a clos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rod coupling frame; Frame for the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의 끝단에 연장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부는 봉결합프레임의 내부 또는 끝단 또는 지렛대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5. The method of claim 4,
An extend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losing portion,
The extended coupling part is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hrough any one selected from the inside or the end of the bar coupling frame or a le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에 장착공이 형성된 끼움 결합구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감부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끼움 결합구의 장착공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돌기가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5. The method of claim 4,
A fitting member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in the bar coupling frame is movably mounted,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end of the closing part, a fitting protrusion is bent so as to be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fitting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의 끼움 결합돌기는 상기 끼움 결합구를 관통하고,
상기 끼움 결합구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끼움 결합돌기와 봉결합프레이임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고정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tting coupling protrusion of the closing part passes through the fitting coupling hole,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a fixture provided with an incision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fitting coupling protrusion and the rod coupling frame located on both sides around the fitting fit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전방 끝단에는 작업봉의 삽입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봉위치 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기용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1,
A frame for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a bar position limiting par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ar coupling frame to limi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working bar.
KR1020200167988A 2020-12-04 2020-12-04 Frame for fruit harvester KR102615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88A KR102615520B1 (en) 2020-12-04 2020-12-04 Frame for fruit harv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88A KR102615520B1 (en) 2020-12-04 2020-12-04 Frame for fruit harv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26A true KR20220078826A (en) 2022-06-13
KR102615520B1 KR102615520B1 (en) 2023-12-19

Family

ID=8198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988A KR102615520B1 (en) 2020-12-04 2020-12-04 Frame for fruit harv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520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161A1 (en) * 2000-01-25 2002-02-21 Gilbert Simmons Manual fruit harvesting tool
JP2005253444A (en) * 2004-03-08 2005-09-22 Akira Hina Hose for harvesting fruit
JP4095549B2 (en) * 2003-12-20 2008-06-04 章 日名 Fruit harvesting equipment
KR200446320Y1 (en) 2009-06-02 2009-10-16 김규석 A multipurpose fruit harvester
JP2010068794A (en) * 2008-09-19 2010-04-02 Seizo Ando Device for thinning and harvesting fruit
KR20130035632A (en) * 2011-09-30 2013-04-09 김용철 Fruit harvester
KR200468131Y1 (en) 2013-03-04 2013-07-24 한우석 Apparatus of Harvest for fruit
KR101373361B1 (en) 2013-03-05 2014-03-13 이상화 Fruit harvester
KR200478386Y1 (en) 2013-01-22 2015-09-25 김규석 the fruit harvester
KR20200066022A (en) * 2018-11-30 2020-06-09 최미정 A frame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ro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161A1 (en) * 2000-01-25 2002-02-21 Gilbert Simmons Manual fruit harvesting tool
JP4095549B2 (en) * 2003-12-20 2008-06-04 章 日名 Fruit harvesting equipment
JP2005253444A (en) * 2004-03-08 2005-09-22 Akira Hina Hose for harvesting fruit
JP2010068794A (en) * 2008-09-19 2010-04-02 Seizo Ando Device for thinning and harvesting fruit
KR200446320Y1 (en) 2009-06-02 2009-10-16 김규석 A multipurpose fruit harvester
KR20130035632A (en) * 2011-09-30 2013-04-09 김용철 Fruit harvester
KR200478386Y1 (en) 2013-01-22 2015-09-25 김규석 the fruit harvester
KR200468131Y1 (en) 2013-03-04 2013-07-24 한우석 Apparatus of Harvest for fruit
KR101373361B1 (en) 2013-03-05 2014-03-13 이상화 Fruit harvester
KR20200066022A (en) * 2018-11-30 2020-06-09 최미정 A frame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520B1 (en)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420B2 (en) Trellising cross arm
US7624534B1 (en) Spiral plant support
CN201781825U (en) Connecting part for tree supporting platform
KR200474453Y1 (en) the fruit harvester
US20110162985A1 (en) Golf bag with crossbeam assemblies
KR20220078826A (en) Frame for fruit harvester
US20110308151A1 (en) Framework for Plants
US11516968B2 (en) Agricultural tools for assisting in the harvesting of crops
KR20110011329A (en) Fruit harvester
KR102218285B1 (en) A frame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rod
KR101475616B1 (en) Fruit harvester
KR200478386Y1 (en) the fruit harvester
KR20110010017U (en) Volleyball Net Antenna
KR200380427Y1 (en) the fruit harvester with two cutting-part
KR20120005338U (en) Fruit Harvester
KR200419061Y1 (en) The crops of screen a pad
KR102611180B1 (en) Supporter for a pepper plant
KR102577095B1 (en) Fishing float with one-touch combination structure for aquatic weed scythe
WO2001022802A1 (en) Foldable plant support structure and system
CN2571421Y (en) Safety fene connection structure for trampoline
US20230117424A1 (en) Agricultural tools for assisting in the harvesting of crops
CN207476458U (en) A kind of dragon fruit frame
CN112425468B (en) Cultivation and planting method for sweet sorghum
CN220705129U (en) Rust-resistant device of scaffold
KR102555187B1 (en) Crops stem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