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561A - 모노레일 시스템 및 관련 비계 구조물, 시스템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모노레일 시스템 및 관련 비계 구조물, 시스템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561A
KR20220078561A KR1020227006650A KR20227006650A KR20220078561A KR 20220078561 A KR20220078561 A KR 20220078561A KR 1020227006650 A KR1020227006650 A KR 1020227006650A KR 20227006650 A KR20227006650 A KR 20227006650A KR 20220078561 A KR20220078561 A KR 2022007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scaffolding
joist
assembly
scaffol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유 그룸버그
Original Assignee
브랜드세이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랜드세이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브랜드세이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7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girders laid in two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30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or dirt, e.g. guard covers of st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04G5/165Lintel for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 E04C2003/0491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the truss elements being located in one single surface or in several paralle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021/248Tarpauli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모노레일 조립체는 하부 코드 및 하부 코드를 따르는 복수의 패널 지점을 갖는 세장형 구조물인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비계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 및 적어도 2 개의 패널 지점에 또는 그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노레일 시스템 및 관련 비계 구조물, 시스템 및 사용 방법
본 개시는 접근 시스템, 특히 대형 고정 구조물의 하부 표면 및 측면 표면에 접근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비계 구조물(scaffold structure)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모노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노레일 시스템으로부터 추가의 비계 구조물이 모노레일 트랙과 수직으로 평행하게 접근되는 구조물에 대해 현수되고(suspended) 이동될 수 있다.
작업 중인 구조물의 측면 표면 및 하부 표면에 접근할 필요가 있는 건설, 수리 및 복원 산업에서, 아래로부터 이들 표면에 접근(예를 들어, 표준 비계 설치)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있다. 몇몇 예는 다리, 특히 예를 들어, 협곡이나 강을 가로지르는 아치형 다리이다. 비계는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건설할 수 없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높이의 표면을 생성하는 아치의 존재는 접근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이들 다리의 하부 표면에 접근하는 것이 종종 어렵다. 특정 측면 표면도 마찬가지이다.
현수(suspension) 비계가 공지되어 있으며 특정 경우에 그러한 측면 표면 및 하부 표면에 접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현수 비계는 자체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필요한 표면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비계를 현수시키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표면의 길이도 제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접근하는 구조물이 긴 길이에 걸쳐 있는 경우, 현수 비계의 양은 전체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서 여러 차례의 조립/분해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아치형 구조물의 경우, 현수 비계는 여러 높이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므로 조립/분해에 더 많은 복잡성과 시간을 초래한다.
따라서, 전술한 관점에서, 위의 결함 또는 다른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시스템 또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개시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노레일 조립체(monorail assembly)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노레일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을 평가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모노레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하단 코드(chord) 및 하단 코드를 따르는 복수의 패널 지점을 갖는 세장형 구조물(elongated structure)인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비계 시스템(scaffold system);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 및 적어도 2 개의 패널 지점에 또는 그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bracket) 구조물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은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에 고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 및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이스트 브래킷(joist bracket)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조이스트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의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조이스트 브래킷과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의 연결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엔드 스톱(end stop)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제 1 비계 시스템에 활주식으로 고정되고 제 2 비계 시스템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 개의 트롤리(trolley)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2 개의 트롤리 구조물(trolley structure)은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구조물에 활주식으로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비계 시스템은 적어도 2 개의 프레임워크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모노레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서, 모노레일 시스템은 제 1 비계 시스템; 제 1 비계 시스템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을 포함하는 모노레일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현수된(suspended) 제 2 비계 시스템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비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을 따라 측방향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대해 수직으로 모두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비계 시스템은 현수된 관절식(articulating) 비계 시스템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제 1 비계 시스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비계 시스템은 모노레일 차량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비계 시스템은 현수 비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제 1 비계 시스템에 활주식으로 고정된 적어도 2 개의 트롤리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노레일 시스템을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콜아웃(callout)(1B)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 시스템의 하부 측에 고정된 모노레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조이스터 브래킷(joist bracket)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조이스트 브래킷의 분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조립된 조이스트 브래킷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모노레일 빔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모노레일 빔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빔 및 2 개의 모노레일 결합 브래킷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더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c 및 도 5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빔 상의 모노레일 결합 브래킷 조립체의 조립을 예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5e는 도 5c 및 도 5d의 조립된 모노레일 결합 브래킷 조립체를 예시하는 단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조립체용 엔드 스톱(end stop)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엔드 스톱의 분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조립된 엔드 스톱의 단부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빔의 부착 이전에 조립되고 도시된 조이스트 브래킷이 있는 비계 시스템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빔이 위치된 도 7a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 빔이 제자리에 있고 모노레일 빔을 조이스트 브래킷에 부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의 상세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7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트 브래킷에 연결된 모노레일 빔을 갖는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e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엔드 스톱의 부착을 예시하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7f는 엔드 스톱이 완전히 조립된 도 7e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의 일부분에 고정된 모노레일 조립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33a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33a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호연결 구조물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도 9의 상호연결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도 9의 상호연결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도 9의 상호연결 구조물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호연결 구조물과 조이스트 사이의 상호연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3의 상호연결의 분해 평면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4a의 도면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의 단일 유닛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을 위한 조이스트와 데크 지지대 사이의 상호 연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16a의 상호연결의 분해된 역 상부 사시도이다.
도 16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16b의 상호연결의 확대된 상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의 단일 유닛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의 단일 유닛의 제 2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9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이스트, 상호연결 구조물, 및 데크 리테이너 조립체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9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19a의 조이스트, 상호연결 구조물, 및 데크 리테이너 조립체의 분해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19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이스트 및 데크 리테이너 조립체의 일부분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의 작업 플랫폼의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이전에 도시된 현수 비계 시스템용 작업 플랫폼의 단일 유닛을 갖는, 도 20에 도시된 작업 플랫폼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진행되는 단일 유닛이 있는 도 22의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관절이 진행되는 단일 유닛이 있는 도 23의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관절이 진행되는 단일 유닛이 있는 도 24의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이 완성된 단일 유닛이 있는 도 22의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이스트 및 상호연결 구조물 하위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이스트 및 상호연결 구조물 하위 조립체의 제 2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이스트 및 상호연결 구조물 하위 조립체의 제 3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이스트 및 상호연결 구조물 하위 조립체의 제 4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8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8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에 현수된 현수 비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0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현수 커넥터와 상호연결 구조물 사이의 계면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0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30a에 도시된 계면의 확대도이다.
도 3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 비계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상호연결 구조물, 현수 커넥터 및 구조물 부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1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31a의 상호연결 구조물과 현수 커넥터 사이의 상호연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2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된 비계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보조 서스펜더(suspender) 장착 브래킷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2b는 도 32a의 보조 서스펜더 장치 장착 브래킷의 평면도이다.
도 32c는 도 32a의 보조 서스펜더 장착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32d는 도 32a의 보조 서스펜더 장착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서스펜더 장착 브래킷을 통해 구조물로부터 현수된 비계 시스템용 작업 플랫폼의 현수를 도시하는 입면 단면도이다.
도 34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다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현수 비계 시스템의 실시예의 입면도이다.
도 34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다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현수 비계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입면도이다.
도 34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현수 비계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의 입면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현수 비계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1a의 콜아웃(7)의 상세도이다.
도 37은 도 1a의 A-A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1a의 B-B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콜아웃(2)의 상세도이다.
도 40은 도 37의 콜아웃(3)의 상세도이다.
도 41은 도 37의 콜아웃(4)의 상세도이다.
도 42는 도 37의 콜아웃(5)의 상세도이다.
도 43은 도 38의 콜아웃(6)의 상세도이다.
도 44는 도 1a의 콜아웃(1)의 상세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콜아웃(1)의 상세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C-C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1a의 D-D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될 것이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주는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 그의 재료, 그의 형상, 그의 상대적인 배열 등에 결코 제한되지 않으며, 단지 실시예의 예로서 개시된다. 본 개시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상세히 예시되며,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문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관절은 피봇 지점 또는 축을 중심으로 스윙 및/또는 회전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단일 섹션", "유닛" 또는 "단일 유닛"은 비계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적어도 3 개의 코너와 세장형 부재(예를 들어, 조이스트, 바, 프레임워크 등) 및 바닥 영역을 지지하고 한정하는 다른 구조물로 구성된 평면 구조물을 지칭한다. 용어 "섹션" 및/또는 "유닛"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비계 시스템의 인접한 섹션 또는 유닛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공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계 시스템의 2 개의 인접한 섹션은 공통 코너를 갖거나 프레임워크 부재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a는 구조물(90)에 대해 채용된 복수의, 구체적으로 3 개의 모노레일 시스템(700)의 측면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노레일 조립체(600)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100)이며, 도 1b는 도 1a의 콜아웃(1B)의 상세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은 본 실시예에서 아치형 다리인 구조물(90)이지만, 추가 실시예에서는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물일 수 있다. 다리의 각각의 아치(91)는 3 개의 별개의 표면, 즉 2 개의 측면 표면(91a, 91b)(도시되지 않음) 및 하부(아래) 표면(91c)을 포함한다. 3 개의 표면(91a, 91b, 91c) 각각에 접근하기 위해서, 브리지(90)는 브리지(90)의 양쪽에 2 개씩, 4 개의 모노레일 조립체(600)를 포함한다. 모노레일 조립체(600) 각각은 비계 시스템(100)의 하부 부분에 고정되며, 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모노레일 조립체(600)는 추가 비계 시스템(800)을 현수하는데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600)로부터 현수된 것은 총 3 개의 비계 시스템 - 하나는 3 개의 표면(91a, 91b, 91c) 각각에 접근하기 위한 것 - 이다. 측면 표면(91a, 91b)에 접근하기 위해서, 비계 시스템은 다리(90)의 양쪽에 있는 단일 모노레일 조립체(600)에 현수된다. 즉, 측면 표면9u1a, 91b)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비계 시스템은 단일 모노레일 조립체(600)에 현수된다. 대조적으로, 하부 표면(91c)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비계 시스템은 2 개의 모노레일 조립체(600)에 현수되어 비계 시스템이 하부 표면(91c)의 폭에 걸쳐 있고 양 단부에 지지된다.
각각의 모노레일 조립체(또는 모노레일 조립체들)(600), 모노레일 조립체(또는 조립체)가 부착된 비계 시스템(100), 모노레일 조립체(또는 조립체들)에 현수된 비계 시스템이 모노레일 시스템(700)을 형성한다. 각각의 모노레일 시스템(700)은 모노레일 시스템(70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발전기(72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전기(720)는 모노레일 조립체(또는 조립체들)를 따라 그리고 수직으로 비계 시스템(700)의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력을 제공한다.
모노레일 조립체(600)는 도 2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모노레일 조립체
도 2는 모노레일 조립체(600)를 예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600)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100)의 구조물 아래에 고정된다. 모노레일 조립체(600)는 조이스트 브래킷(605), 모노레일 빔(630), 모노레일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 및 엔드 스톱(end stop)(680)(하나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조이스트 브래킷
도 3a 내지 도 3c는 조이스트 브래킷(605)을 더 상세히 예시한다. 각각의 조이스트 브래킷(605)은 2 개의 브래킷 플레이트(606)를 가진다. 각각의 브래킷 플레이트(606)는 제 1 중간벽(608)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하부 벽(607), 일반적으로 제 1 중간벽(608)에 수직인 제 2 중간벽(609), 및 일반적으로 제 2 중간벽(609)에 수직인 상부 벽(610)을 갖는 일반적으로 계단식 구성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벽(607, 608, 609, 610) 사이의 전이부(611)는 둥글지만; 추가 실시예에서 전이부는 날카롭거나 더 점진적일 수 있다. 하부 벽(607) 및 상부 벽(610)은 각각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612, 614)를 각각 포함한다. 도 3b에 아마도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614)는 터널링된 개구이며, 즉, 개구는 일 측에서 그 둘레에 플랜지를 가진다. 플레이트(606)는 각각 추가의 복수의 개구(613)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구는 상부 벽(610)과 제 1 및 제 2 중간벽(608, 609)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가의 복수의 개구들의 각각의 개구(613)는 사각형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비계 시스템(100)의 비계 프레임 부재(30)에 조이스트 브래킷(605)을 고정할 때, 2 개의 브래킷 플레이트(606)가 사용된다. 브래킷 플레이트(606)는 프레임 부재의 양쪽에 위치되고 복수의 볼트(615)와 너트(616)를 사용하여 함께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계 프레임 부재(30)는 다수의 대각선 지지 부재(38)와 함께, 상부 코드(upper chord; 32) 및 하부 코드(33)을 갖는 트러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2 개의 대각선 지지 부재(38)가 코드(32, 33)을 따라 만나는 지점은 패널 지점(710)이다. 조이스트 브래킷(605)은 적어도 2 개의 패널 지점(710)에 걸쳐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특별히 설계되고, 플레이트(606) 사이에 포함된 각각의 패널 지점(710)은 개구(613)와 정렬된다. 각각의 브래킷 플레이트(606)의 상부 벽(610)은 대각선 지지 부재(38)를 사이에 두고 있지만, 대각선 지지 부재(38)를 가압하거나 힘을 가하지 않는다. 터널링된 개구(614)의 플랜지는 브래킷 플레이트(606)가 대각선 지지 부재(38)에 대해 조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오히려, 제 2 중간벽(609)은 하부 코드(33) 위에 안착되어 그에 의해 지지된다.
브래킷 플레이트(606) 및 조이스트 브래킷(605)의 정확한 치수 및 외관은 전체적으로 조이스트 브래킷(605)이 사용될 비계 시스템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패널 지점의 존재, 패널 지점들 사이의 거리, 코드의 형상은 모두 조이스트 브래킷(605)의 특정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노레일 빔
도 4a 및 도 4b는 예시적인 모노레일 빔(630)을 예시한다. 모노레일 빔(630)은 중앙 부재(631)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중앙 부재(631)의 길이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632)를 구비한 중앙 부재(631)를 갖는 I-빔이다. 모노레일 빔(630)의 단부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노레일 조립체(600)의 다양한 추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개구(635)를 포함한다.
결합 브래킷 조립체
모노레일 빔(630)을 결합하기 위해서,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가 사용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개시에 사용된 예시적인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를 예시한다. 요컨대,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는 제 1 모노레일 빔(630)의 일 단부에 있는 개구(635) 중 적어도 2 개 및 인접한 제 2 모노레일 빔(630)에 있는 적어도 2 개의 개구(635)와 맞물린다.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는 또한, 모노레일 빔(630)을 조이스트 브래킷(605)에 고정한다.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는 측면 플레이트(651), 스페이서 플레이트(657) 및 안전 플레이트 클램프(658)를 포함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플레이트(651)는 모노레일 빔(630)의 플랜지(632) 중 하나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 1 부분(652) 및 모노레일 빔(630)의 중앙 부재(631)와 접촉하는 제 2 부분(653)의 두 부분이다. 제 2 부분(653)은 복수의 제 1 개구(도시되지 않음) 및 복수의 제 2 개구(642)를 포함한다. 측면 플레이트(651)가 모노레일 빔(630)과 적절하게 정렬될 때, 복수의 제 1 개구들의 개구는 모노레일 빔(630)의 적어도 2 개의 개구(635)와 동축이 되도록 정렬된다. 너트(661a)로 제자리에 고정된 볼트(661)는 동축 개구를 통과하여 측면 플레이트(651)를 모노레일 빔(630)에 고정한다. 도 7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개구(642)의 개구는 모노레일 빔(630) 상의 추가 개구(635)와 정렬되고 모노레일 빔(630)을 서로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 핀을 수용한다.
적절한 위치에 있을 때, 제 1 부분(652)은 모노레일 빔(630)의 플랜지(632)에 대해 같은 높이의 스페이서(654)를 갖는 모노레일 빔(630)의 플랜지(632) 중 하나의 이해에 어긋난다. 모노레일 빔(630)이 인접한 모노레일 빔에 연결될 때 스페이서(655)는 마찬가지로 인접한 제 2 모노레일 빔의 플랜지에 대해 동일 높이가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 3 스페이서(656)는 제 1 부분(652)과 반대인 모노레일 빔(630)의 측에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된다.
도 5e에 아마도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654, 655, 656)는 제 1 부분(652)의 폭을 연장하고 제 1 부분(652)의 높이를 상승시킨다. 그 다음 스페이서 플레이트(657) 및 안전 플레이트 클램프(658)는 모노레일 빔(630)의 상부 플랜지(632) 주위에 클램핑되어 모노레일 빔(630) 상의 제자리에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를 잠근다. 스페이서 플레이트(657)는 제 1 부분(651)에 대해 위치될 때, 스페이서(654) 및 스페이서(656)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660, 668)와 각각 동축인 단부를 통해 개구(663)를 갖는 일반적으로 평면인 직사각형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안전 플레이트 클램프(658)는 단부를 통한 개구(665) 및 플랜지 연장부(672)를 갖는 일반적으로 평면인 직사각형 구조이다. 제 1 부분(651)에 대해 위치될 때, 개구(665)는 각각의 개구(663) 및 스페이서 플레이트(657), 스페이서(654) 및 스페이서(656)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660)와 각각 동축이다. 볼트(670)는 각각의 동축 개구(667, 663, 660)를 통해 연장하고 너트(662)로 고정되어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를 완성한다.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의 구조는 플랜지(652)의 상부와 안전 플레이트 클램프(658)의 플랜지 연장부(672) 사이에 공간을 생성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c에 아마도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은 조이스트 브래킷(605)의 하부 벽(607)을 수용한다.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가 조이스트 브래킷(605)에 대해 위치될 때, 하부 벽(607)의 개구(612) 중 하나는 스페이서(655)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667)와 동축일 것이다. 개구(612, 667)를 통해 고정된 볼트는 모노레일 빔(630)을 조이스트 브래킷(605)에 그리고 그에 따라 비계 시스템(100)에 고정한다.
엔드 스톱
도 6a 내지 도 6c는 엔드 스톱(680)을 예시한다. 엔드 스톱(680)은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실제로 다수의 구성요소를 재사용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엔드 스톱(680)은 측면 플레이트(651), 스페이서 플레이트(657) 및 안전 플레이트 클램프(65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측면 플레이트(681), 스페이서 플레이트(687) 및 안전 플레이트 클램프(688)를 포함한다. 차이점은 연결 브래킷 조립체(650)가 모노레일 빔(630)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반면에 엔드 스톱(680) 자체는 모노레일 빔(630')을 따른 구조물의 추가 이동을 중지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터미널 플레이트(691)를 가지는 모노레일 빔(630')의 일부분인 스톱 부분(690)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예시적인 모노레일 조립체(600)에 대한 조립 단계를 예시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 시스템(100)은 대향 프레임워크 부품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조이스트 브래킷(605a, 605b)과 함께 제자리에 있다. 모노레일 빔(630)은 예컨대, 크레인에 의해 제자리로 하강된다. 이제 도 7c를 참조하면, 모노레일 빔(630)이 제자리에 있는 경우, 플랜지 연장부(672)와 모노레일 빔의 플랜지(632) 사이의 하부 벽(607)과 함께, 볼트(670)는 모노레일 빔(630)을 조이스트 브래킷(605)에 그리고 그에 따라 비계 프레임 부재(30)에 고정된다. 모노레일 빔(630)은 조이스트 브래킷(605a, 605b) 모두에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인접한 모노레일 빔(630)은 서로에 대해 제자리에 있고 볼트(661)를 사용하여 고정되고 핀(741)은 인접한 모노레일 빔(630)을 서로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서 제 2 부분(653)의 복수의 제 2 개구(642)를 통해 삽입된다.
도 7e 및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모노레일 빔(630)이 제자리에 있으면, 인접한 모노레일 빔(630)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엔드 스톱(680)이 최종 모노레일 빔(630)의 단부에 고정된다.
비계 시스템/모노레일 조립체
도 8a 내지 도 8c는 비계 시스템(100)과 모노레일 조립체(600) 사이의 연결을 더 자세히 도시한다. 조이스트 브래킷(605)은 각각 2 개의 패널 지점(710)에 걸쳐 있는 비계 프레임 부재(30)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된다. 플레이트(606)의 제 2 중간벽(609)은 비계 프레임 부재(30)의 하부 코드(33)에 놓인다. 개별 모노레일 빔(630)은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8a 내지 도 8c로부터, 인접한 모노레일 빔(630)은 서로 거울상으로 배열된 2 개의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주어진 모노레일 빔 조인트에 대해서, 제 1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는 중앙 부재(631)의 제 1 측면에 대한 측면 플레이트(651)와 함께 모노레일 빔(630)에 대해 위치된다. 제 2 결합 브래킷 조립체(650)는 중앙 부재(631)의 다른 측에 대한 그의 측면 플레이트(651)과 함께 모노레일 빔(630)에 대해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측면 플레이트(651)는 볼트(661)와 핀(741)의 공통 세트를 공유한다.
예시적인 비계 시스템
현수된 관절 비계 시스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600)는 상부 및 하부 코드(32, 33)을 갖는 비계 프레임 부재(3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비계 시스템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9 내지 도 34c는 현수된 관절 비계 시스템인 그러한 비계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비계 시스템을 추가로 설명한다. 그러나, 추가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600)는 임의의 유형의 비계 시스템, 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유형의 현수 비계 시스템에 고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호연결 구조물
도 9는 현수된 관절 비계 시스템을 위한 상호연결 구조물(10)을 예시한다. 상호연결 구조물(10)은 비계 프레임 부재(30)(도 13 참조)에 부착될 때 상호연결 구조물(10)과 비계 프레임 부재(30) 모두를 위한 관절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상호연결 구조물은 노드(node), 힌지, 피벗, 포스트, 기둥, 센터, 샤프트, 스핀들(spindle)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이스트 또는 다른 세장형 구조 부재를 연결하는 임의의 구조물이다.
상호연결 구조물(10)은 중간 섹션(15)의 말단부에 이격된 상부 요소(11) 및 바닥 요소(12)를 포함한다. 상부 요소(11) 및 바닥 요소(12)는 구성이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요소(11) 및 바닥 요소(12)는 평면에서 팔각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요소(11) 및 바닥 요소(12)는 정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섹션(15)은 중간 섹션(15)의 종축이 상부 요소(11) 및 바닥 요소(12)의 평면에 수직인 원통형 섹션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간 섹션(15)은 직원기둥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중간 섹션(15)은 다각형 면을 갖는 임의의 프리즘과 같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서, 중간 섹션(15)이 중공형임을 나타내기 위한 명확성을 위해서 중간 섹션(15)의 하부 부분이 제거된다.
상부 요소(11) 및 바닥 요소(12) 모두를 통해 각각 연장하는 복수의 개구(13, 14)가 있다. 복수의 개구(13)(예를 들어, 13A, 13B, 13C, 13D, 13E, 13F, 13G, 13H)는 하나 이상의 비계 프레임 부재(30)에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 요소(11)에 산재된다(예를 들어, 도 13 참조). 복수의 개구(14)(예를 들어, 14A, 14B, 14C, 14D, 14E, 14F, 14G, 14H)는 각각의 개구(예를 들어, 13A 및 14A)가 동축이 되도록 바닥 요소(12)에서 유사하게 이격된다.
상부 요소(11)의 중앙에는 중앙 개구(16)가 있다.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16)는 현수 커넥터(80)를 수용한다(예를 들어, 도 29 내지 도 33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16)는 수직 지지 부재(75)를 수용한다(예를 들어, 도 29 참조). 중앙 개구(16)는 그로부터 연장하는 4 개의 슬롯(17)(예를 들어, 17A, 17B, 17C, 17D)을 갖는 중앙 개구 영역(19)으로 인해 구성이 일반적으로 십자형일 수 있다. 4 개의 슬롯(17A, 17B, 17C, 17D) 각각을 가로지르고 이에 상호연결된 것은 일련의 교차 슬롯(18A, 18B, 18C, 18D)이며, 그 유용성은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자명해질 것이다. 추가된 강도에 대해서, 제 2 보강 플레이트(20)가 상부 요소(11)의 하부 측에 추가되며, 보강 플레이트(20)의 개구는 중앙 개구(16) 구성 및 그에 대한 모든 보조 개구(17, 18, 19)에 대응한다. 핸들(22)은 중간 섹션(15)의 측에 선택적으로 추가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10)의 동일한 실시예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특히 바닥 요소(12) 상의 바닥 개구(23)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바닥 개구(23)는 수직 지지 부재를 수용한다(예를 들어, 도 29 참조). 보강 플레이트(20)의 바닥 면은 바닥 개구(23) 내에서 볼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0)와 중간 섹션(15)의 내부 면에 부착된 것은 상호연결 구조물(10)에 대한 추가 지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거싯(gusset)(25)이다.
비계 프레임 부재
도 13은 단일 상호연결 구조물(10)과 단일 비계 프레임 부재(30) 사이의 상호연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 14a 및 도 14b는 상호연결 구조물(10)과 비계 프레임 부재(30) 사이의 전형적인 연결 세부사항의 분해 확대도 및 일반 사시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다. 현수된 관절 비계 시스템에서 사용될 때, 비계 프레임 부재(30)는 조이스트(30)로 지칭된다.
조이스트(30)는 상부 요소(32) 및 바닥 요소(33)를 포함한다. 요소(32, 33) 사이에는 복수의 대각선 지지 부재(38)가 산재되어 있다. 각각의 요소(32, 33)는 2 개의 L-형상 앵글 철편(39A, 39B)으로 만들어진다. 요소(32, 33)는 상부 요소(32)가 중간 스팬에 커넥터 구멍(54A, 54B)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형적으로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6a, 도 16b 참조). 조이스트(30)는 제 1 단부(31A) 및 제 2 단부(31B)를 포함한다. 상부 요소(32) 및 하부 요소(33) 모두의 양 단부(31A, 31B)에서 상부 연결 플랜지(35) 및 하부 연결 플랜지(36)가 연장한다. 상부 및 하부 연결 플랜지(35, 36) 모두를 통과하는 연결 구멍(37)이 있다. 따라서, 4 개의 상부 연결 플랜지(35A, 35B, 35C, 35D)가 있고; 4 개의 하부 연결 플랜지(36A, 36B, 36C, 36D)가 있다. 따라서, 상부 요소(32)로부터 연장하는 제 1 단부(31A)에는 상부 연결 플랜지(35A) 및 하부 연결 플랜지(36A)가 있으며, 이를 관통하는 연결 구멍(37A)이 있다. 유사하게, 상부 요소(32)의 제 2 단부(31B)에서 상부 연결 플랜지(35B) 및 하부 연결 플랜지(36B)가 연장하며, 이를 통과하는 연결 구멍(37B)이 있다. 계속해서, 하부 요소(33)의 제 1 단부(31A)에서 상부 연결 플랜지(35D) 및 하부 연결 플랜지(36D)가 연장한다. 이들 연결 플랜지(35D, 36D)를 통과하는 연결 구멍(37D)이 있다. 하부 요소(33)로부터 연장하는 조이스트(30)의 제 2 단부(31B)에는 상부 연결 플랜지(35C) 및 하부 연결 플랜지(36C)가 있으며, 이를 관통하는 연결 구멍(37C)이 있다.
커넥터 구멍(37A, 37B, 37C, 37D) 각각의 내부에는 연결 플랜지(35A, 35B, 35C, 35D)에도 위치된 추가 잠금 구멍(360A, 360B, 360C, 360D)이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더 명확하게 도시되지만, 핀(40)은 연결 구멍(37)을 통해 상호연결 구조물(10)의 임의의 2 개의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 개구(13, 14)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이스트(30)는 실질적으로 무한한 수의 방식 및 각도로 상호연결 구조물(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40)은 상부 연결 플랜지(35A)를 통해; 개구(13A)를 통해; 하부 연결 플랜지(36A)(상부 요소(32)의 모든 제 1 단부(31A))를 통해; 상부 연결 플랜지(35D)를 통해; 개구(14A)를 통해; 그리고 나서 하부 연결 플랜지(36D)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핀(40)은 연결 구멍(37A 및 37D)을 통해 추가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핀(40)은 그의 상단부에 2 개의 롤 핀(42)을 포함한다. 2 개의 롤 핀(42) 중 하부는 스톱으로서 역할을 하여 핀(40)이 조이스트(30)와 상호연결 구조물(10)을 통해 완전히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롤 핀(42)은 조이스트(30) 및 상호연결 구조물(10)로부터 핀(40)을 쉽게 구매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핑거 홀드로서 역할을 한다.
이들 다양한 부품의 설계는 조이스트(30)와 상호연결 구조물(10)이 함께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도 조이스트(30)와 상호연결 구조물(10) 모두의 자유로운 회전이 허용되도록 설계된다. 회전 화살표(R1)는 조이스트(30)의 회전을 나타내고 회전 화살표(R2)는 상호연결 구조물(10)의 회전을 나타낸다. 조이스트(30) 및 상호연결 구조물(10)의 이러한 회전 기능은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관절 기능을 제공한다.
조이스트(30) 및 상호연결 구조물(10)의 자유로운 회전이 허용되지만, 그러한 자유로운 회전은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의 섹션 또는 유닛이 조립되고 사용할 준비가 되면 제한된다. 실시예에서, 자유 회전은 i) 적어도 하나의 상호연결 구조물의 둘레에 근접하게 위치되어야 하는 추가(제 2) 핀; 및 ii) 플랫폼이 연장된 위치에서 상호연결 구조물 및 조이스트에 대해 위치될 때 작업 플랫폼의 적어도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한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원하는 경우 관절 기능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이스트(30)를 잠그도록 선택적인 제 2 잠금 핀(40B)이 조이스트(30)의 단부에서 잠금 구멍(360A, 360C, 360C, 360D)을 통해 추가될 수 있다. 잠금 핀(40B)은 상호연결 구조물(10)의 홈(24)과 접한다. 홈은 상부 요소(11)와 바닥 요소(12) 모두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잠금 핀(40B)은 핀(40)과 마찬가지로 추가 2 개의 롤 핀(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조이스트(30)가 특정 형상 요소로 만들어지지만, 본 발명의 양태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가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한다. 조이스트는 바 조이스트, 트러스, 성형 스틸(즉, I 빔, C 빔 등) 등과 같은 하중을 지탱하거나 지지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세장형 구조 부재이다. 예를 들어, 도면의 조이스트(30)는 일반적으로 바 조이스트 또는 개방형 웹 빔 또는 조이스트로 불릴 수 있다. 조이스트(30)는 또한 성형 스틸(예를 들어, 넓은 플랜지 요소, 좁은 플랜지 부재 등),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 및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섹션 또는 유닛(115)을 형성하기 위한 상호연결 구조물(10) 및 조이스트(30)의 조립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15는 상호연결 구조물(10) 및 조이스트(30)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단일 섹션 또는 유닛(115)을 도시한다. 4 개의 상호연결 구조물(10A, 10B, 10C, 10D)은 4 개의 조이스트(30A, 30B, 30C, 30D)로 상호연결된다. 도 15는 평면이 정사각형인 단일 프레임 유닛(115)을 도시한다. 다른 형태 및 구성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해야 한다. 예를 들어, 조이스트(30)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프레임 유닛(115)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호연결 구조물(10)의 다양한 개구(13, 14)에 조이스트(30)를 부착함으로써, 조이스트(30)가 상호연결 구조물(10)과 상호연결되는 다양한 각도가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에서 삼각형(미도시)인 프레임 유닛(115)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이스트(30) 길이를 변경하고/하거나(예를 들어, 도 27a 내지 도 27d 참조) 조이스트(30)가 상호연결 구조물(10)로부터 연장하는 각도(들)를 변경함으로써, 사실상 모든 형상 및 크기의 프레임 유닛(115), 그리고 결과적으로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 및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섹션 또는 유닛(115)의 상이한 형상, 크기 및 구성은 서로 결합 및 인접될 수 있으므로,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 설계 및 작업 플랫폼 시스템 설계는 사실상 완전히 맞춤화될 수 있다.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이러한 적응성은 건설에 필요한 거의 모든 형태의 작업 영역에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중간 지지 데크 조이스트(52)와 조이스트(30) 사이의 상호연결의 다양한 도면 및 확대도를 도시한다. 중간 지지 데크 조이스트(52)는 지지 플랫폼(50)에 추가 지지를 제공하고(예를 들어, 도 17 참조) 2 개의 조이스트(30) 사이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중간 지지 데크 조이스트(52)의 양 단부에는 조이스트(30)의 상부에 있는 대응하는 구멍(54)과 연통하는 핀(53)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6b는 핀(53)이 구멍(54A)에 들어갈 상호연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지지 데크 조이스트(52)의 움직임(측 방향 및 축 방향 모두)이 최소화된다.
도 17은 도 15의 단일 프레임 섹션 또는 유닛(115)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플랫폼(50A)은 단일 프레임 유닛(115)에 배치되어 단일 프레임 유닛(115)을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의 단일 유닛으로 변형시킨다. 플랫폼(50A)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간 지지 데크 조이스트(52A) 및 조이스트(30A, 30B, 30D)에 놓여 있다. 플랫폼(50A)의 에지는 중간 지지 데크 조이스트(52)의 상부에 놓일 수 있고 앵글 철편(39A, 39B)은 적용 가능한 조이스트(30A, 30B, 30D)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중간 지지 데크 조이스트(52)의 상부 및 앵글 철편(39A, 39B)의 구성은 플랫폼(50A)의 수직 및 수평 이동이 회피되도록 구성된다. 작업 플랫폼(50)의 크기는 전형적으로 4" x 8'의 재료 조각일 수 있다. 작업 플랫폼(50A)은 예를 들어, 목재 패널(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작업 플랫폼(50)은 금속(예를 들어, 스틸, 알루미늄 등), 목재, 플라스틱, 합성물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작업 플랫폼(50)은 중실형, 주름, 격자 형상, 매끄러운 또는 다른 적합한 구성인 물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플랫폼(50)은 목재 시트, 합판, 지붕 데크 재료, 프레임 상의 금속, 격자, 스틸 시트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유닛(115)에 제 1 작업 플랫폼(50A)을 배치한 후, 설치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다중 작업 플랫폼(50A, 50B)을 배치함으로써, 상부 프레임(110) 및/또는 하부 프레임(120) 전체가 목재 플랫폼(51A, 51B)으로 덮여서 완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이 생성된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을 형성하기 위해서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선택적 특징의 다양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다중 작업 플랫폼(50) 사이의 간격에 걸쳐서 데크 리테이너 플레이트(60)가 배치될 수 있다. 데크 리테이너 플레이트(60)는 복수의 데크 리테이너 볼트(61)가 조이스트(30)에 데크 리테이너 플레이트(60)를 부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62)을 포함할 수 있다. 데크 리테이너 플레이트(60)는 작업 플랫폼(50)을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에 고정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는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 및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의 크기 및 형상에 관하여 사실상 제한이 없다. 도 20 및 도 21은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을 만들기 위해서 제자리에 작업 플랫폼(50)을 갖는 단일 레벨의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하나의 큰 직사각형 실시예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많은 기존 작업 플랫폼의 하나의 단점은 현장에서 설치할 수 없고 작업 플랫폼의 일부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동안에 재배치, 확장 또는 제거할 수도 없다는 점이다. 본 개시는 이러한 결점을 극복한다. 즉,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 및 결과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 및/또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기존에 설치된 부분 또는 유닛에 작업자(들)이 실체적으로 존재하는 동안에 작업자 또는 작업자들이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및 궁극적으로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의 추가 섹션을 추가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작업자(들)는 수동 공구만으로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 및/또는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일부분을 확장, 재배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에 추가, 제거 또는 재배치하기 위해서 기계적 공구, 호이스트, 크레인 또는 다른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은 노동, 시간 및 장비를 절약한다.
도 22 내지 도 26은 상호연결 구조물(10) 및 조이스트(30)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때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단일 섹션 또는 유닛(115)의 단지 하나의 섹션 또는 유닛의 점진적인 관절을 도시한다. 이는 기존의 상호연결 구조물(10A)로부터 추가 조이스트(30D)를 단순히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1 명 또는 2 명의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새로운" 상호연결 구조물(10D)이 제 1 조이스트(30D)에 연결된다. 제 2 추가 조이스트(30E)는 상호연결 구조물(30D)에 연결된다. 또한, 다른 상호연결 구조물(10E)과 조이스트(30F)가 연결되어 최종 조이스트(30F)가 기존의 상호연결 구조물(10B)에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자(들)는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의 기존 섹션(예를 들어, 특히 허브(10Q, 10B, 10C) 및 조이스트(30A, 30B)으로 구성됨)를 제거하고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의 새로운 섹션 또는 유닛(예를 들어, "새로운" 상호 연결 구조(10D, 10E) 및 "새로운" 조이스트(30D, 30E, 30F)로 구성됨)를 설치할 수 있다. 작업자(들)은 작업자가 작업 플랫폼(50)의 기존 섹션에 남아 있는 동안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섹션 또는 유닛을 새로 설치하거나 재배치할 수 있다. 즉, 상호연결 구조물(10) 및 조이스트(30)를 사용하여 만들 때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의 추가 유닛 또는 섹션을 설치, 재배치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 추가 리프트 장비, 기계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설치 작업자(들)는 기존에 설치된 프레임 유닛(115)을 넘어 연장할 필요가 없거나, 설치된 프레임 유닛(115)을 겨우 넘어 연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자(들)는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다음 섹션(들)을 재배치하거나 설치할 때 기존 작업 플랫폼(50A, 50B, 50C, 50D)에 있을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새로운 조이스트(30D, 30E, 30F)와 새로운 상호연결 구조물(10D, 10E)의 조합에 의해서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새로운 섹션 또는 유닛(115)이 그의 최종 필수 위치로 이동하고 회전할 수 있다 것을 모션 화살표("M")를 통해 명확하게 도시한다. 즉,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유닛은 제자리에 연결된다. 또한, 관절은 설치자(들)가 기존 프레임 장치 및/또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남아 있는 동안 설치자(들)에 의해 개시 및 중지(심지어 역전)될 수 있다. 표시되지 않았지만, 관절을 보조하기 위한 추가 보조 장치(예를 들어, 모터, 수동 공구, 기계 공구, 유압 장치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지지 플랫폼(들)(50) 및 임의의 다른 부품의 설치 이전에 제자리에 관절 연결된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새로운 섹션 또는 유닛(115)을 도시한다.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일부분의 제거는 본질적으로 앞서 언급된 단계를 역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된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및 궁극적으로 작업 플랫폼 지지 시스템(200))의 개별 섹션 또는 유닛(115)이 사각형이지만, 즉, 각각의 개별 섹션 또는 유닛(115)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4 개의 상호연결 구조물(10) 및 4 개의 조이스트(30)로 만들어지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모듈형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의 개별 유닛(115)은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 및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a, 도 27b, 도 27c 및 도 27d는 조이스트(30) 및 상호연결 구조물(10)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27d는 2 개의 상호연결 구조물(10A, 10B)을 갖는 "표준" 길이 조이스트(30A)(예를 들어, 8 피트 공칭 길이)를 도시한다. 이러한 "표준" 길이 조이스트(30A)는 "6/6 유닛"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7c는 상호연결 구조물(10A, 10B, 10C)에 연결된 동일한 길이의 2 개의 조이스트(30A, 30B)를 도시한다. 도 27c에서 그 길이(도 20d에서 각각의 조이스트(30A)의 길이)가 1/2인 조이스트(30A, 30B)는 이들이 앞서 언급한 "6/6 유닛" 길이의 절반이라는 점에서 "3/6 유닛"으로 명명될 수 있다. 유사하게, 2 개의 동일하지 않은 길이의 조이스트(30A, 30B)가 도 27b에 도시되고, 각각 "2/6 유닛" 및 "4/6 유닛"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는 "4/6 유닛"이 "6/6 유닛" 길이의 약 2/3인 것처럼, "2/6 유닛"이 도 2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6/6 유닛" 조이스트 길이의 약 1/3이기 때문이다. 동일한 시스템이 도 27a에 도시되며, 여기서 제 1 조이스트(30A)은 "1/6 유닛"으로 명명되고 제 2 조이스트(30B)은 "5/6 유닛"으로 명명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이한 길이의 조이스트(30)을 사용하고 상이한 각도에서 상호연결 구조물(10)로부터 조이스트(30)를 연장시킴으로써,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 및 결과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의 거의 무한대의 다양한 구성 및 풋프린트(footprint)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다양성을 통해서 설치자는 다양한 장애물(예를 들어, 기둥, 교각, 교대 등) 및 구조물 주위에 모듈식 공간 프레임 지지 시스템(100) 및 작업 플랫폼 시스템(200)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성을 통해서 설치자는 직사각형을 넘어서는 다양한 형상을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도 14a, 도 17 및 도 22 내지 도 26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교시를 참조하면, 조이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핀을 사용하여 상호연결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핀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연결 구조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이스트의 자유 회전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자명하다. 더욱이, 자유 회전은 i) 적어도 하나의 상호연결 구조물의 둘레에 근접하게 위치될 추가 핀; 및 ii) 플랫폼이 최종 위치에서 상호연결 구조물 및 조이스트에 대해 위치될 때 작업 플랫폼의 적어도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이 자명하다.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의 단지 2 개의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작업 플랫폼 지지 시스템(100)은 다양한 수평 정렬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a는 복수의 허브(10)와 상호연결된 8 피트 길이의 조이스트(30)를 도시한다. 핀(40)과 허브(10)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시스템(100)이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거나 "랙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시스템(100)에 약간의 유연성이 제공된다. 이는 시스템(100)이 구조물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8b는 각진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허브(10C)에 연결된 조이스트(30C)는 허브(10B)에 연결된 조이스트(30B)보다 짧을 수 있다. 조이스트(30B)은 차례로 허브(10A)에 연결된 조이스트(30A)보다 짧다. 조이스트(30B)은 차례로, 허브(10A)에 연결된 조이스트(30A)보다 짧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길이의 조이스트(30A, 30B, 30C)를 사용하고/하거나 조이스트(30)가 허브(10)에 연결되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각진 시스템(100)이 도 28b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는 시스템(100)이 예를 들어, 다양한 장애물, 구조물 등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9는 지지 시스템(100) 및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이 현수 커넥터(80)를 통해 구조물(90)에 부착되는 일 실시예의 입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조물(90)은 다리(90)이다. 다리(90)의 하부 측에는 복수의 빔(92)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강도 체인인 일련의 현수 커넥터(80)는 구조물 부착 장치(82)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 표준 빔 클램프를 통해 여러 빔(92)에 부착된다.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의 둘레에는 복수의 난간 표준(railing standard)(85)이 있어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 주위에 난간 시스템을 생성한다. 복수의 체인(80)은 지지 시스템(100)의 다양한 허브(10)에 부착됨으로써 교량(90)에 구조적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 및 지지 시스템(100)은 적합한 구조물(90)에 완전히 현수될 수 있다. 각각의 허브(10)는 구조물(90)에 연결될 현수 커넥터(80)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허브(10X)를 빔(92X)에 연결하는 현수 커넥터(80)는 없다. 이는 허브(10A)가 빔(92X) 또는 다른 적합한 현수 지점 아래에 정렬되지 않고, 따라서 해당 위치에서 체인(80)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현수 커넥터(80)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과 모든 그의 보조 정하중에 더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에 놓이는 임의의 의도된 활하중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지지 메커니즘일 수 있다. 실제로,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은 자체 중량에 더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에 놓이는 의도된 활하중의 적어도 4 배를 지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현수 커넥터(80)는 또한, 자체 중량에 더하여 그에 놓이는 의도된 활하중의 적어도 4 배를 지지하는데 적합하다. 현수 커넥터(80)는 고강도 체인, 케이블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적합한 현수 커넥터(80)는 ⅜″, 등급 100, 열 처리된 합금 체인이다.
현수 커넥터(80)는 구조물(90)의 하부 측에 있는 복수의 요소(92)에 추가로 부착되는 빔 클램프(82)에 부착된다. 구조물(90)은 다리, 육교, 건물의 천장 구조물 등일 수 있다. 유사하게, 현수 커넥터(80)가 부착되는 요소(92)는 빔, 조이스트, 또는 구조물(9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조적 요소일 수 있다. 빔 클램프(82) 대신에, 다른 적합한 구조물 부착 장치(8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0a, 도 30b, 도 31a, 도 31b는 모두 현수 커넥터(80)(예를 들어, 체인, 케이블 등)와 허브(10) 사이의 상호연결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인(80)의 자유 단부(즉, 구조물(90)에서 원위 단부)는 허브(10)의 상부 요소(11)의 중앙 개구 영역(19)을 통해 배치된다. 그 다음, 체인(80)은 4 개의 슬롯(17)(예를 들어, 17A) 중 하나로 미끄러진다. 체인(80)이 슬롯(17A) 내에 배치되면, 체인 리테이너 핀(200)은 인접한 횡 방향 슬롯(18A)에 배치되어 체인(80)이 슬롯(17A)의 원위 단부에 유지된다. 체인(80) 및 슬롯(17A)은 횡 방향 슬롯(18A)에 유지 핀(200)을 적절하게 배치할 때, 체인(80)이 허브(10)에 효과적으로 잠기고 도 17a의 그의 위치로부터 수직 또는 수평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크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 시스템은 허브(10)를 체인(80)에 효과적으로 고정한다. 추가의 안전 점검으로서, 체인 리테이너 핀(200)의 구멍(202)과 체인(80)의 인접한 링크 사이에 집 타이(zip tie)(20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체인 리테이너 핀(200)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설치자에게 시각적인 도움을 추가로 제공한다.
현수 커넥터(80)를 작업 플랫폼 지지 시스템(100)에 연결하기 위한 대체 장치는 보조 서스펜더 장착 브래킷(300)이다. 보조 장착 브래킷(300)은 전형적으로, 현수 커넥터(80)와의 연결을 위해 특정 허브(10)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다양한 도 32a, 도 32b, 도 32c 및 도 3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서스펜더 장착 브래킷(300)의 일 실시예는 2 개의 대향하고 평행한 플랜지(303)를 포함한다. 플랜지(303)에 걸쳐 있는 것은 상호연결 튜브(304) 및 베이스 플레이트(302)이다. 베이스 플레이트(302)를 통과하는 복수의 장착 구멍(305)이 있다. 보조 서스펜더 장착 브래킷(300)은 현수 지점용 허브(10) 대신에 또는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현수 커넥터(80)가 허브(10) 이외의 위치에서 시스템(100)에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 33은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을 설치할 때 전형적으로 접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33은 축척대로 그려지지 않았다. 하나 이상의 장애물(95A)이 구조물(90)의 하부 측이나 구조물(90)과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장애물(95A)은 인공적이거나 자연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95A)은 콘크리트 빔, 상자 빔, 부적절한 크기의 프레임워크, 덕트, 조명, 마감 표면 등일 수 있다. 장애물(95A)은 특정 허브(10B)가 현수 커넥터(80)에 대한 시스템(120)의 연결 지점으로서 실용적이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보조 서스펜더 장착 브래킷(300)이 조이스트(30)에 부착될 수 있다. 고강도 볼트(도시되지 않음)는 장착 구멍(305)을 통과한 다음 상부 요소(32)의 구멍을 통과하고 상부 요소(32) 아래의 볼트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한 연결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19b의 플레이트(60) 연결 참조). 현수 커넥터(80)(예를 들어, 체인)는 빔 클램프(82)를 통해 구조물(90)의 하부 측에 있는 빔(9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95B)은 허브(10B) 바로 위에 수직으로 있어서, 허브(10B)를 현수 지점에 부적절하게 만든다. 따라서, 브래킷(300)은 허브(10B)에 인접한 조이스트(30)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현수 커넥터(80)가 근처의 빔(92)에 적절한 부착을 얻을 수 있게 한다. V로 표시된 현수 커넥터(80)와 수직 사이의 각도(Φ)는 현수 커넥터(80)가 수직이 아니거나 수직에서 약간 벗어나게 한다.
도 34a, 도 34b 및 도 34c는 본 발명의 수직 유연성이 자명한 다양한 실시예의 입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34a는 구조물(90)(예를 들어, 아치형 다리)의 평평하지 않은 하부 측에 현수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20)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현수 커넥터(80) 및 다른 연결 세부사항은 예시의 편의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설계로 인해 허브(10)와 조이스트(30) 사이의 상호연결에 유연성이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수직 방향으로 약간의 굽힘성을 허용한다(예를 들어, 도 34a 참조). 이는 예를 들어, 시스템(120)이 곡선 아치형 다리의 하부 측을 평행하게 하거나 "거울상"이게 한다.
대안적으로, 지지 구조물(90)의 곡률이 훨씬 더 큰 경우,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시스템(120)의 다중 부분은 동일 평면이 아니라 계단형 또는 계층형이다. 필요한 경우, 동일한 현수 커넥터(80)에 다중 허브(10A, 10B)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현수 커넥터(80)가 그러한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현수 커넥터(80)는 상부 허브(10A)의 슬롯(17)에 연결될 수 있고, 그 다음 상부 허브(10A)의 바닥 개구(23)를 통과한 다음 하부 허브(10B)의 슬롯(17)에도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0a, 도 30b 참조).
도 34c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이 다중 레벨 구성으로 시스템(120)을 설치하기 위한 능력이 있음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수직 구조물(99)(예를 들어, 교각)에 대한 작업이 필요할 수 있는 경우에 적어도 2 개의 시스템(120A, 120B)이 설치될 수 있다. (위의)도 34b에서 사용된 연결 시나리오와 유사하게, 현수 커넥터(80)는 상부 시스템(120)의 허브(10A)로부터 하부 시스템(120)의 허브(10B) 상으로 통과하고 또한 그에 연결하는데 적합한 길이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중 레벨의 시스템(120)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현수 비계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조립체(600)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모노레일 차량으로서 사용되는 추가의 비계 시스템(800)이 도시되며, 추가의 비계 시스템은 현수 비계 시스템이다. 도 35는 예시적인 현수 비계 시스템을 예시한다. 그러나, 추가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차량(800)은 임의의 형태의 비계 시스템, 바람직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현수 관절 비계 시스템을 포함한 임의의 형태의 현수 비계 시스템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추가 비계 시스템", "제 2 비계 시스템" 및 "모노레일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현수 비계 시스템(800)은 바닥(820)을 지지하는 프레임(815)으로 형성된 플랫폼(810)을 가진다. 일련의 근접 난간 부재(braced railing member)가 플랫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추가 구성요소
본 개시의 모노레일 조립체와 함께 사용되는 비계 시스템(100, 800)은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토우(toe) 판, 타프, 시트, 게이트, 사다리, 문/출입구, 바퀴, 범퍼 및 기타 액세서리가 본 명세서에 공개된 임의의 비계 시스템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모노레일 시스템
도 1a 및 도 1b뿐만 아니라 도 36 내지 도 46을 다시 참조하면, 모노레일 시스템(700)의 다중 실시예가 도시된다. 각각의 모노레일 시스템(700)은 제 1 비계 시스템(100), 제 1 비계 시스템(100)에 연결된 모노레일 조립체(600), 및 제 2 비계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모노레일 차량(8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a, 도 1b 및 도 36 내지 도 4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3 개의 모노레일 시스템(700)이 있다. 제 1 모노레일 시스템(700a)은 구조물(90)의 외부에 위치된 단일 모노레일 차량(800a)과 함께 비계 시스템(100a)에 연결된 단일 모노레일 조립체(600a)를 포함한다. 제 2 모노레일 시스템(700b)은 구조물(90)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구조물(90) 외부에 위치한 단일 모노레일 차량(800b)과 함께 비계 시스템(100b)에 연결된 단일 모노레일 조립체(600b)를 포함한다. 제 3 모노레일 시스템(700c)은 비계 시스템(100a, 100b)에 각각 연결된 2 개의 모노레일 조립체(600c, 600d)를 포함하며, 단일 모노레일 차량(800c)은 제 1 모노레일 조립체(600c)와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모노레일 차량(800c)의 제 1 단부 및 제 2 모노레일 조립체(600d)와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모노레일 차량(800c)의 제 2 단부를 갖춘 구조물(90) 아래로 연장한다.
구조물(90)에 위치되거나 아니면 모노레일 시스템(700)으로부터 이격된 발전기(720)는 모노레일 차량(800)에 전력을 제공하여 각각의 모노레일(들)을 따라 그리고 수직으로 그들의 움직임을 실현한다.
이제 모노레일 시스템(700a, 700b, 700c)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6은 도 1a의 콜아웃(7)의 상세도이고 서로 그리고 비계 시스템(100)에 대한 모노레일 빔(630)의 연결을 또한 도시한다.
도 37은 도 1a의 A-A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며 제 3 모노레일 시스템(700c)을 예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 개의 비계 시스템(100a, 100b)이 제공된다. 각각의 비계 시스템(100a, 100b)은 전술된 바와 같이 현수 관절 비계 시스템으로 도시되며 복수의 상호연결 구조물(10)과 조이스트(30)로 만들어진다. 비계 시스템(100a, 100b)은 구조물(90)과 구조물(90)에 가장 가까운 측에 현수되도록 위로부터 구조물에 연결된다.
도 39는 도 37의 콜아웃(2)의 상세도이며 위의 구조물(90)에 대한 비계 시스템(100)의 연결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나사산 로드와 같은 콘크리트 앵커(830)가 구조물(90)의 하부 측에 삽입된다. [출원 전에 출원될]동시 계류 중인 출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회전 현수 지점은 도 29 내지 도 32d에 대해 위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상호연결 구조물(10) 또는 비계 시스템(100)의 다른 부분에 연결되는 체인(835)을 수용한다. 도 40은 도 37의 콜아웃(3)의 상세도이며 그러한 예시적인 연결을 예시한다.
도 41 및 도 42는 구조물(90)의 측면에 대한 비계 시스템(100a, 100b) 사이의 예시적인 연결을 예시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있다면 예상된 풍력의 방향에 따라서, 그의 단부에 족부(873)가 있는 조절 가능한 튜브(872)는 구조물(90)에 대해 밀고 구조물(90)을 향한 비계 시스템(100)의 이동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튜브(872)는 비계 시스템(100)의 상호연결 구조물(10)에 고정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90)로부터 멀어지는 비계 시스템(1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인(876)이 상호연결 구조물(10)에 연결될 수 있고 컬럼 또는 포스트와 같은 구조물(90)의 부분 주위를 감쌀 수 있다.
모노레일 차량(800)은 하부 표면(91c)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 구조물(90)의 하부 측의 폭에 걸쳐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노레일 차량(8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수 비계로 만들어진다. 모노레일 차량(800)의 양 단부에는 모노레일 차량(800)의 수직 방향, 즉 구조물과 관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호이스트 모터(hoist motor)(801)가 있다.
도 46은 도 44의 C-C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며 모노레일 빔(630)을 따라서 그리고 수직으로 모노레일 차량(800c)의 이동을 허용하는 메커니즘을 더 상세히 예시한다.
레일을 따라서 비계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을 제어하고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 및 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조물 및/또는 장치는 모노레일 빔(630)의 하부 플랜지(632)와 맞물리는 복수의 휠을 포함한다. 모노레일 빔(630)을 따른 구조물 및/또는 장치의 이동은 하나 이상의 발전기(720)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어 및 작동된다. 특히,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트롤리 구조물(727, 728)이 각각의 모노레일 조립체에 제공된다. 트롤리 구조물(728) 중 하나는 수동적이며 모노레일 빔(630)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트롤리 구조물(727) 중 다른 하나는 모노레일 빔(630)을 따른 모노레일 차량(800c)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활성화, 즉 전원을 가지며 제어수단에 연결된다.
수직 이동 및 모노레일 빔을 따른 이동 모두를 허용할 때, 모노레일 차량(800)의 작업자는 실질적으로 구조물(90)의 전체 하부 표면(91c)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8은 도 1a의 B-B으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며 제 1 및 제 2 모노레일 시스템(700a, 700b)을 예시한다. 제 1 및 제 2 모노레일 시스템(700a, 700b)은 또한, 2 개의 비계 시스템(100a, 100b)을 활용한다. 도 37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38에 도시된 실시예는 구조물(90)에 대한 비계 시스템(100a, 100b)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추가 수단을 예시한다.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콜아웃은 횡력의 관점에서 구조물(90)에 비계 시스템(100)을 고정하는 추가 수단을 예시한다. 도 43은 도 38의 콜아웃(6)의 상세도이며 수직력, 예를 들어 상승기류를 고려한 안정화 수단을 예시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비계 시스템(예컨대, 표준 비계 시스템)은 비계 시스템(100)에 세워지고 비계 시스템(100)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계 시스템(100)과 구조물(90)의 바닥 사이에서 연장한다.
각각의 모노레일 시스템(700a, 700b)은 모노레일 차량(800a, 800b)을 포함한다. 도 37에 도시된 실시예가 2 개의 모노레일 조립체에 연결된 단일 모노레일 차량(800c)을 포함하지만, 도 38에 도시된 모노레일 차량(800a, 800b)은 각각 2 지점에서 단일 모노레일 조립체에만 연결된다. 모노레일 차량(800c)과 마찬가지로, 모노레일 차량(800a, 80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수 비계로 만들어진다. 모노레일 차량(800a, 800b)의 양 단부에는 수직 방향, 즉 구조물과 관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각각의 모노레일 차량(800a, 800b)의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호이스트 모터(801)가 있다.
도 44 및 도 45는 800a, 800b와 같은 예시적인 모노레일 차량을 예시한다.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모노레일 차량(800a)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며, 동일한 설명의 이해가 모노레일 차량(800b)에 적용될 것이다.
레일을 따라 비계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을 제어하고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 및 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조물 및/또는 장치는 모노레일 빔(630)의 하부 플랜지(632)와 맞물리는 복수의 휠을 포함한다. 모노레일 빔(630)을 따른 구조물 및/또는 장치의 이동은 하나 이상의 발전기(720)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어 및 작동된다. 특히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트롤리 구조물(727, 728)이 제공된다. 트롤리 구조물(728) 중 하나는 수동적이며 모노레일 빔(630)을 따른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트롤리 구조물(727) 중 다른 하나는 능동형이며, 즉 모노레일 빔(630)을 따른 모노레일 차량(800a)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원을 가지고 제어수단에 연결된다.
수직 이동 및 모노레일 빔을 따른 이동 모두를 허용할 때, 모노레일 차량(800a, 800b)의 작업자는 구조물(90)의 측면 표면(91a, 91b)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7은 도 1a의 D-D으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며 발전기(들)로부터 호이스트 모터 및 동력 트롤리로 동력을 얻기 위한 예시적인 케이블 구성을 예시한다.
표면에 접근하는 방법
본 명세서 설명된 모노레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면에 접근할 때, 이전에 접근할 수 없는(또는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표면에 접근할 수 있으며 수많은 레벨과 길이의 비계를 조립하지 않고도 접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비계 시스템은 접근할 구조물에 조립되고 그에 현수된다. 모노레일 조립체는 구조물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제 1 비계 시스템에 부착된다. 그런 다음 모노레일 차량은 제 2 비계 시스템으로 제작되고 모노레일 빔과 평행한 모노레일 차량의 측 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동력 트롤리를 사용하여 모노레일 조립체에 현수된다. 모노레일 차량은 또한, 모노레일 차량의 수직 이동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이스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 1 비계 시스템은 현수 관절 비계 시스템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수된 관절 비계 시스템을 사용할 때,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기존 구조물의 공중에서 제 1 비계 시스템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비계 시스템은 또한, 추가로 도 29 내지 도 33 및 도 39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조물에 고정되고 현수된다.
제 1 비계 시스템이 조립되고 고정되면, 모노레일 조립체 또는 조립체들이 제 1 비계 시스템에 부착된다. 먼저, 적절한 위치에 조이스트 브래킷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모노레일 빔의 위치가 결정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조이스트 브래킷은 제 1 비계 시스템에 고정되며, 특히 제 1 비계 시스템이 현수된 관절 비계 시스템인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비계 시스템의 조이스트에 고정된다. (결합 브래킷 조립체가 끼워진)모노레일 빔은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 브래킷 조립체 및 조이스트 브래킷을 사용하여 서로에 그리고 제 1 비계 시스템에 고정된다. 도 6a 내지 도 7f와 관련하여 제공된 설명에 따라서 모노레일 조립체의 양 단부에는 엔드 스톱이 놓인다.
모노레일 차량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현수 비계와 같은 제 2 비계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립된다. 모노레일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동력 트롤리,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동력 트롤리와 하나의 수동 트롤리를 사용하여 모노레일 빔에 현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37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모노레일 차량에 2 개의 모노레일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경우에, 2 개의 제 1 비계 시스템은 서로 평행한 각각의 시스템에서 복수의 비계 프레임 부재 또는 조이스트에 의해 서로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조립된다. 제 1 비계 시스템 중 하나의 비계 프레임 부재 또는 조이스트가 제 2 비계 시스템의 다른 하나의 비계 프레임 부재 또는 조이스트와 평행하지 않은 경우, 2 개의 평행한 모노레일 조립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어려울 것이다.
모노레일 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고 각각의 제 1 비계 시스템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동력 트롤리 및 적어도 하나의 수동 트롤리를 사용하여 제 1 비계 시스템 모두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 및 예시로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의 일부분 및 다음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상이한 실시예의 요소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들 실시예의 수정된 형태를 포함하도록 특별히 의도된다.

Claims (15)

  1. 모노레일 조립체(monorail assembly)로서,
    하단 코드(chord) 및 하단 코드를 따르는 복수의 패널 지점을 갖는 세장형 구조물(elongated structure)인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비계 시스템(scaffold system);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 및
    적어도 2 개의 패널 지점에서 또는 그 주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bracket) 구조물을 포함하는,
    모노레일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은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에 고정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모노레일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 및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이스트 브래킷(joist bracket)을 더 포함하는,
    모노레일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이스트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부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의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조이스트 브래킷과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의 연결에 의해 달성되는,
    모노레일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엔드 스톱(end stop)을 더 포함하는,
    모노레일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비계 시스템에 활주식으로 고정되고 제 2 비계 시스템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 개의 트롤리 구조물(trolley structure)을 더 포함하는,
    모노레일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트롤리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구조물에 활주식으로 고정되는,
    모노레일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비계 시스템은 적어도 2 개의 프레임워크 부재를 포함하는,
    모노레일 조립체.
  9. 모노레일 시스템으로서,
    제 1 비계 시스템;
    제 1 비계 시스템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을 포함하는 모노레일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으로부터 현수된(suspended) 제 2 비계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노레일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비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을 따라 측방향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레일 빔에 대해 수직으로 모두 이동하는,
    모노레일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비계 시스템은 현수된 관절식(articulating) 비계 시스템인,
    모노레일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레일 조립체는 제 1 비계 시스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모노레일 시스템.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비계 시스템은 모노레일 차량인,
    모노레일 시스템.
  14.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비계 시스템은 현수(suspension) 비계인,
    모노레일 시스템.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비계 시스템에 활주식으로 고정된 적어도 2 개의 트롤리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모노레일 시스템.
KR1020227006650A 2019-08-02 2020-07-31 모노레일 시스템 및 관련 비계 구조물,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220078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2384P 2019-08-02 2019-08-02
US62/882,384 2019-08-02
PCT/US2020/044566 WO2021026015A1 (en) 2019-08-02 2020-07-31 Monorail system and related scaffold structur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561A true KR20220078561A (ko) 2022-06-10

Family

ID=7450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650A KR20220078561A (ko) 2019-08-02 2020-07-31 모노레일 시스템 및 관련 비계 구조물, 시스템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412022A1 (ko)
EP (1) EP4007835A4 (ko)
JP (1) JP2022543262A (ko)
KR (1) KR20220078561A (ko)
CN (1) CN114829717A (ko)
BR (1) BR112022002015A2 (ko)
CA (1) CA3146732A1 (ko)
MX (1) MX2022001474A (ko)
WO (1) WO2021026015A1 (ko)
ZA (1) ZA202202324B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445A (en) * 1913-08-12 1915-02-09 American Safety Device Company Scaffolding device.
US3016105A (en) * 1959-11-16 1962-01-09 Hugh L House Scaffold
GB2267472B (en) * 1992-06-02 1995-08-02 Richardson P C & Co Ltd Support system
CN1217411A (zh) * 1998-11-10 1999-05-26 万剑啸 二维悬吊脚手架
DE20015616U1 (de) * 2000-09-08 2000-12-14 Bau Und Spezialgeruestbau Fran Verfahrbare Hängegerüstkonstruktion
ES2192475B1 (es) * 2002-01-24 2004-08-16 Sistemas Tecnicos De Encofrados, S.A. Perfeccionamientos en encofrados de madera.
CA2524128A1 (en) * 2004-10-25 2006-04-25 Wilf Vaillancourt Scaffolding structure
US8037658B2 (en) * 2009-01-08 2011-10-18 Kundel Industries, Inc. Structural members for forming various composite structures
US9611597B2 (en) * 2013-08-08 2017-04-04 Safway Services, Llc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4846739B (zh) * 2015-04-28 2017-01-25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桥梁检查维修装置
CN106592962A (zh) * 2016-12-24 2017-04-26 中铁十八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大高差、大跨度劲性骨架外包混凝土模板施工方法及施工设备
CN208749087U (zh) * 2018-06-11 2019-04-16 安徽四建控股集团有限公司 整体爬升钢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6015A1 (en) 2021-02-11
JP2022543262A (ja) 2022-10-11
ZA202202324B (en) 2023-10-25
CA3146732A1 (en) 2021-02-11
CN114829717A (zh) 2022-07-29
EP4007835A4 (en) 2023-07-19
US20220412022A1 (en) 2022-12-29
EP4007835A1 (en) 2022-06-08
MX2022001474A (es) 2022-08-04
BR112022002015A2 (pt)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365B2 (en)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40044133A1 (en) Modular space frame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erecting the same
US10435895B2 (en) Adjustable platform extension bracket for work platform systems and related methods
EP3030728A1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220078561A (ko) 모노레일 시스템 및 관련 비계 구조물, 시스템 및 사용 방법
US20230265645A1 (en) Modular space frame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erecting the same
KR20170127223A (ko) 건축 작업용 지지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