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019A - Book light bookmark - Google Patents

Book light bookma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019A
KR20220078019A KR1020200167084A KR20200167084A KR20220078019A KR 20220078019 A KR20220078019 A KR 20220078019A KR 1020200167084 A KR1020200167084 A KR 1020200167084A KR 20200167084 A KR20200167084 A KR 20200167084A KR 20220078019 A KR20220078019 A KR 2022007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book
bookmark
attach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102020016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019A/en
Publication of KR2022007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0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1/00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 B42F11/04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2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등을 겸비한 서표에 관한 것으로 자석부를 이용하여 책장이나 표지에 부착함을써 반영구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독서등으로 사용이 가능한 서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서표는 탄성을 가지는 본체 시트의 재질을 이용하여, 본체시트에서 절개되어 구성된 서표시트를 통해 읽고 있는 책장을 항상 표시해주는 자동 서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mark having a reading light, and to a bookmark that can be semi-permanently detachable by attaching it to a bookcase or cover using a magnet part and can be used as a reading light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book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ookmark that always displays the bookshelf being read through the bookmark configured by cutting the body sheet using the material of the body sheet having elasticity.

Description

독서등 서표장치{Book light bookmark}Book light bookmark

서표, 독서등Bookmarks, reading lights

독서는 실내외를 가리지 않으며 밝은 곳 뿐만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도 언제 어느 곳에서나 쉽게 할 수 있는 취미생활로써, 이에 따르는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제작되어 제공되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어두운 곳에서 책을 읽기 위한 수단으로 독서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일반 가정, 사무실 등에서 교류전기를 사용하는 고정식 독서등 외에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등도 제공되어 지고 있다.Reading is a hobby that can be easily done anytime, anywhere, both indoors and outdoors, not only in bright places but also in dark places, and various convenient devices are being manufactured and provided. Among them, a reading lamp is widely used as a means to read a book in a dark place, and a portable reading lamp that can be moved easily is provided in addition to a fixed reading lamp using AC electricity in general homes and offices.

KRKR 10201801547061020180154706 AA KRKR 10200800974371020080097437 AA

일반적으로 휴대용 독서등은 그 사용 목적에 해당하는 도서 대비 부피가 크며 휴대용 독서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도 집게 형태 또는 클립 행태로 구성되어 있어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고, 발광부도 책과 잘 밀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책을 접어 둘 경우에는 휴대용 독서등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다.In general, portable reading lights are bulkier than books for their intended use, and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portable reading light is also configured in the form of tongs or clips, so it occupies a considerable volume, and the light emitting part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adhere well to the book. If you have a book folded, it is not easy to carry because a portable reading light must be stored separately.

또한 어두운 곳에서 책을 펼칠 경우에는 휴대용 독서등을 찾아서 책에 부착하거나 가까운 곳에 거치하여야 하고 그 과정에서 독서등의 전원 스위치를 찾아 켜야하는 문제점도 상존해 있다. In addition, when a book is opened in a dark place, a portable reading light must be found and attached to the book or mounted nearby, and in the process, the power switch of the reading light must be found and turned on.

상기 언급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을 접거나 펼친 상태에 상관없이 휴대용 독서등이 책에 부착되어 질 수 있도록 자성물질을 이용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use a magnetic material so that a portable reading light can be attached to a book regardless of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of the book.

또한 책과 함께 휴대가 가능하도록, 독서할 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서표에 독서등을 구성하도록 한다.Also, in order to be able to carry it along with the book, a reading light should be included in the bookmark, which is an essential item when read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서표의 일측에 자성물질부 및 독서등 전원장치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밝은 곳에서는 서표로 사용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독서등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서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a magnetic material part and a power supply device for a reading light on one side of the book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ookmark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bookmark in a bright place and as a reading light in a dark place according to the user's will.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을 구비한 서표장치는 종래의 독서등과 비교하여 매우 작기때문에 일반 서표처럼 책속에 거치되어질 수 있어서 이동과 보관에 매우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독서등, 서표로의 사용 전환이 매우 직관적이며 자동으로 읽는 페이지를 표시해주는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서표와 비교하여 거의 비슷한 크기와 중량을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매우 단순한 행위로 서표에서 독서등으로 즉각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독서등이라는 기능이 제공됨으로써 낮뿐만 아니라 밤, 혹은 어두운 곳에서도 어렵지 않게 독서를 할 수 있게 해준다.Since the bookmark device with a reading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mall compared to a conventional reading light, it can be mounted in a book like a general bookmark, and thus has a structure that is very easy to move and store. In addition, it is very intuitive to use a reading light and a bookmark, and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page to be read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can be immediately converted from a bookmark to a reading light by a very simple action of a user while having a size and weight that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bookmark. In other words, by providing a function called a reading light, it is possible to read without difficulty not only during the day, but also at night or in the dark.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의 내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의 외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읽고 있는 페이지보다 뒤쪽에 거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읽고 있는 페이지보다 뒤쪽에 거치한 후 서표부를 읽고 있는 페이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서적에 활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의 서표부를 서적의 외측으로 젖혔을 때 서표부 내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서적의 외측으로 당겨, 서표장치내의 전원 접지부를 상호 접지되게 함으로써 서표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광원부가 빛을 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의 외측면에 자성물질이 부착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등 서표장치의 내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1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등 서표장치의 내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2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1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2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사용한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 1이다.
도14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를 사용한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 2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inner configuration of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ehind the page being read.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page being read and then placed on the page being read and used.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for a book.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inner configuration of the bookmark when the bookmark part of the book ma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book.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provided inside the bookmark unit emits light by pulling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utside of the book, so that the power grounding parts in the bookmarking device are mutually grounded.
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agne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1 showing the inner configuration of a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2 showing the inner configuration of a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1 showing the force acting when turning over the bookshelf of a book that does not use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force acting when turning over the bookshelf of a book that does not use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1 showing the force acting when turning the bookshelf of a book using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2 showing the force acting when turning over the bookshelf of a book using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effectively improves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의 내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100)는 그 내측면에 절곡부(112)에 의해 서로 대향되며 한쌍의 제1 및 제2 자성물질(202, 204)이 부착되는 제1 및 제2 면(102, 104)을 가지는 부착시트; 상기 제1 및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석에 고정되는 재료가 부착되며, 상기 부착시트의 일부가 절개되어 생성되어지는 서표시트(106); 상기 부착시트의 제1 면에 구성되며 전지의 제1 극이 부착되어지는 제1 극 접지부(302); 상기 부착시트의 제2 면에 구성되며 상기 전지의 상기 제1 극의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극이 안착되어질 제2 극 접지부(304); 상기 서표시트에는 상기 제1 극 접지부 및 상기 제2 극 접지부와 연결되는 광원이 부착된 광원부(306); 상시 부착시트에는 상기 제1 극 접지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광원부 제1 극에 연결되어지는 제1 극 연결부(312); 상기 제2 극 접지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광원부 제2 극에 연결되어지는 제2 극 연결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inner configuration of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posed to each other by a bent part 112 on its inner surface,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202 and 204 are attached thereto. an attachment sheet hav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102, 104); A magnet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a material fixed to the magne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s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a part of the attachment sheet is cut The generated bookmark 106; a first pole grounding part 302 configur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and to which the first pole of the battery is attached; a second pole grounding part 304 configur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and on which a second pol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pole of the battery is to be seated; a light source unit 306 to which a light source connected to the first pole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pole grounding part is attached to the sub-plate; The permanent attachment sheet includes a first pole connection part 312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pole of the light source unit starting from the first pole grounding p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pole connection part 314 connected to the second pole of the light source unit starting from the second pole grounding part.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의 외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차원 도면 상 도1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은 서표시트(106)와 굽힘부(114)가 잘 도시되어 있다. 당연하게도 서표장치는 외측면인 제3 및 제4 면(제1, 제2 면의 반대면)을 갖는다. 당연히 갖는 외측면을 특별히 언급하는 것은 추후에 기술할 외측면에 부착된 자성물질쌍을 이용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원활한 설명을 위함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the bookmark 106 and the bent part 114, which are not well shown in FIG. 1, are well shown. Naturally, the bookmarking device has third and fourth surfaces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that are outer surfaces. Of course, the special mention of the outer surface is for the purpose of smooth descrip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agnetic material pai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3과 도4, 도5 그리고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100)에 구성된 한쌍의 자성물질(202, 204)은 기본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표장치(100)를 서적에 거치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서표장치(100)는 현재 읽는 페이지보다 뒤쪽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3, 4, 5 and 6 and 7 . A pair of magnetic materials 202 and 204 configured in the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used for the purpose of mounting the bookmarking device 100 on a book as shown in FIG. 3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okmarking device 100 is mounted behind the currently read page.

또한 거치 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표시트(106)를 현재 읽고 있는 페이지 위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100)가 안착된 서적(400)은 일반적으로 도5와 같다. 이는 한국과 미국 등의 나라에서 출간되는 '좌개방식'서적의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bookmark 106 by seating it on the page currently being read,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book 400 on which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s generally shown in FIG. 5 . This can be said to 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eft-handed' books published i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일본과 같은 '우개방식' 서적에는 도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100)는 서적(400) 우측이 아닌 좌측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3, 4, 5를 통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서표로서의 기능에 대한 부분만을 다루었다. 이제 도 6, 도7을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를 독서등으로써 사용하고자 할 때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본다.For a 'rain-open type' book such as Japan, as shown in FIG. 5 , the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book 400 rather than the right side. Through Figures 3, 4, and 5, only a part of the function as a bookmark was dealt with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w, a second embodiment when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reading ligh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100)의 사용자는 서적을 읽기에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 도6에서와 같이 서적(400)에 거치되어 있는 서표장치(100)를 도7에서와 같이 서적의 책갈피부(40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서표장치(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극 접지부에 부착되어 있는 전지(308)의 제2 극과 제2 극 접지부를 접지시켜 광원부(306)의 광원이 빛을 발하게 하여 서적의 읽고 싶은 부분의 내용을 어렵지 않게 읽어 볼 수 있게 된다.The user of the reading lamp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ookmarking device 100 mounted on the book 400 as in FIG. 6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insufficient light to read a book, as shown in FIG. 7 . By moving the bookmarking device 10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art 408, the second pole and the second pole grounding of the battery 308 attached to the first pole grounding part are grounded, so that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part 306 is light. This will allow you to read the contents of the part you want to read without difficulty.

제1 및 제2 극 접지부(302, 304)에는 각각 전지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전지들의 외측 재질은 자성물질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들 사이에 자성물질이 존재함으로써 자력으로 상기 전지들을 상호 접지시키는 매개체로써 이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제1 및 제2 극 접지부(302, 304)에는 각각 자성물질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자성물질 사이에 자성물질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외측 재질을 가진 전지를 위치시킴으로써, 자력으로 상기 전지를 접지시키는 방법이 활용될 수도 있다. A battery may be attach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ground portions 302 and 304 , and an outer material of the battery may have a property of being easily attached to a magnetic material. In addition, since a magnetic material exists between the batteries, it may be used as a medium for mutually grounding the batteries by magnetic force. Similarly, a magnetic material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pole ground portions 302 and 304, respectively, and by placing a battery having an outer material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magnetic material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s, the magnetic force A method of grounding the battery may be utilized.

또한 서표시트(106)의 탄성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116)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는 서표장치(100)의 재질보다 더 탄성이 높은 물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 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힘 등 외력에 의해 한번 형성된 모양을 잘 유지하는 물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져 상기 서표장치(100)에 부착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part 116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order to reinforce the elasticity and strength of the bookmark 106 . The reinforcing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elastic properties than the material of the bookmarking device 100 or made of a material having properties that maintain the shape well formed once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user's force. can be attached to

도8, 도9, 도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에는 제3 및 제4 자성물질(206, 208)이 서표시트의 외측면, 즉 제3 및 제4 면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등 서표장치는 서적에 거치하기 위하여 자성을 이용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서표장치를 제작비를 낮추기 위해서는 자성물질을 달리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만약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자성물질(예를들어 고무자석)을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독서등 서표장치를 서적에 거치하기 위한 자력의 크기를 얻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표시트의 크기 대비 상당한 크기의 제1 및 제2 자성물질을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더 강력한 자성물질(예를들어 네오디움자석)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자성물질을 제1 및 제2 면에 접착물질을 통해 부착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서적에 거치, 탈거하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접착물질의 접착력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자성물질의 강한 자력은 큰 변화가 없어 어느 순간 자성물질 쌍 중 어느 하나가 기 부착되어 있던 제1 또는 제2 면에서 뜯어져 마주보고 있는 자성물질과 자력으로 붙어지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는 더 이상 서적에 거치할 수가 없게 되므로, 본 발명의 사용목적에 반드시 필요한 주요 기능을 상실했다고 할 수 있다. 8,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third and fourth magnetic materials 206 and 208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okmark,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Reading lamp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magnetism to be mounted on a book. At this time, in order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fferent magnetic material may be one method. If a relatively inexpensive magnetic material (for example, a rubber magnet) is used, the size of the bookmark as shown in FIG. It is necessary to use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having a significant size compared to each other. However, when a stronger magnetic material (eg, neodymium magnet) is used, even if the magne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the user continuously mounts and removes the book and repeats the process. As a resul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aterial is continuously lowered, and the strong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aterial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self-adhesive. In this case, since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 longer be mounted on a book,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function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st.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또 다른 실시예가 바로 도8, 도9이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서표장치를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자성이 강한 네오디움같은 자석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아래의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제품의 내구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도8에는 제3 및 제4 자성물질(206, 208)이 서표시트의 외측면, 즉 제3 및 제4 면(108, 110)에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100)를 사용할 때 상기 서표장치는(100) 절곡부(112)를 기준으로 절곡되어져 있음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3 및 제4 자성물질(206, 208)은 상호 자력에 끌려 제1 및 제2 면(102, 104)이 맞닿도록 하면서(즉, 부착시트를 사이에 두고) 부착이 된다. 이 때, 제1 면(102)과 제2 면(104) 사이에 서적의 표지 혹은 내지를 두고 서적에 거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과정 중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내용, 즉 중복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Another embodime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is is shown in Figures 8 and 9. If you want to use a magnet such as neodymium with strong magnetism in the process of commercializing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durability of the product to take the method presented in the examples below. 8 ,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and fourth magnetic materials 206 and 208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108 and 110 . When a user uses the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okmarking device 100 is bent with respect to the bent part 112, and in this case, the third and fourth magnetic materials 206 and 208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02 and 104 are attached to each other while being attracted to each other (ie, with the attachment sheet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cover or lining of the book may be placed between the first side 102 and the second side 104 to be mounted on the book.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overlapping parts, will be omitted during the course of use.

도9는 도8에서와 같이 제3 및 제4 면(108, 110)에 자성물질을 둘 경우, 상기 자성물질의 자력이 작용하는 내측면(102, 104)의 위치에 접지부(302, 304)를 둘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지부(302, 304)가 자력과 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더욱 강하게 부착시트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접지부가 자력이 작용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상시적으로 제3 및 제4 자성물질(206, 208)의 자력이 작용됨으로써 부착시트에 부착된 상태가 더 오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부(302, 304) 사이에 부착되거나 안착될 전지(308)는 자성물질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외측 재질을 갖는 전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8과 도9에 도시된 강한 자성물질(206, 208) 및 전지는, 상기 제 1면(120)의 상기 제1 극 접지부(302)에 상기 전지(308)의 제1 극이 부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서표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서표장치를 서표로 사용하다가 독서등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제1 극이 부착된 상기 전지의 반대면 극인 제2 극, 그리고 제2 극이 안착될 제2 극 접지부(304)사이의 일부를 맞닿게 함으로써 독서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극이 부착된 상기 전지의 반대면 극인 제2 극, 그리고 제2 극이 안착될 제2 극 접지부(304)사이가 서적의 종이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전지의 제2 극, 그리고 제2 극 접지부를 맞닿게 하는 것이다. 이는 외관상, 결과적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접지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보강부(316)를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표장치를 서적에 거치할 때 사용자는, 서표장치의 제1 및 제2 면 사이에 들어갈 서적 내지의 양을 접지보강부(316)의 두께와 비슷하게 형성하도록하여 상기 서표장치를 서적에 거치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9 shows, when a magnetic material is placed on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108 and 110, as in FIG. ) can be placed. Through this, when the grounding parts 302 and 304 are made of a material that acts with magnetic for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attached to the attachment sheet more strongly. Even so, the magnetic force of the third and fourth magnetic materials 206 and 208 is constantly applied, so that the state attached to the attachment sheet can be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addition, as the battery 308 to be attached or seated between the ground portions 302 and 304, it is preferable to use a battery having an outer material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 magnetic material. In addition, in the strong magnetic materials 206 and 208 and the battery shown in FIGS. 8 and 9 , the first pole of the battery 308 is attached to the first pole ground portion 302 of the first surface 120 .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state of being When the user of the bookmarking device provid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nts to use the reading light while using the bookmarking device as a bookmark, the second pole that is the opposite pole of the battery to which the first pole is attached, and the second pole A reading light can be used by making a part between the second pole grounding parts 304 to be seated in contact. That is, the second pole of the battery is completely separated by the paper between the second pole that is the opposite pole of the battery to which the first pole is attached, and the second pole grounding part 304 on which the second pole is to be seated. The pole and the second pole ground are to be in contact. As a result, a state as shown in Fig. 7 can be produced as a resul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 a ground reinforcement part 316 may be provided in order to make the grounded state more stable. When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ook, the user forms the amount of books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bookmarking device to be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grounding reinforcing part 316 to form the bookmark It would be desirable to mount the device on a book.

이하에서는 도11, 12, 13, 14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100)를 서적(400)에 부착해 놓고 서적을 읽는 중에, 그리고 읽고 난 후 서적을 덮을 때 작용하는 서표의 기능에 대해 소개한다. Hereinafter, through FIGS. 11, 12, 13, and 14,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ook 400, and the function of the bookmark that acts when the book is closed while reading and after reading the book introduce about.

도11과 도12는 일반적인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들어가는 힘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힘은 독자가 책장을 옆으로 밀어 넘기는 힘을 의미할 수도 있고, 검지와 엄지를 사용하여 책장을 구부려 종이의 탄성에 의해 넘어가는 힘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에 설명한 “책장을 옆으로 넘기는 방법”은 일반적인 서적에서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를 사용하는 서적에서도 동일하므로 이들을 따로 구분 지어 설명하지 않고 "책장을 넘기는 힘"으로 동일하게 칭하도록 한다. 또한 종이의 배면(읽고 있는 페이지인 406의 하방면과 바로 그 다음장의 상방면)끼리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은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100)가 있을 때와 없을 때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마찰력은 고려하지 아니한다.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the force applied when turning over the bookshelf of a general book. This force may mean the force that the reader pushes the bookshelf sideways, or it may mean the force that is passed by the elasticity of the paper by bending the bookshelf using the index finger and thumb. However, the “method of turning the bookshelf” described above is the same not only in general books but also in books using the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contacting the back side of the paper (the bottom side of the page 406 being read and the top side of the next page) is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the bookmar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or not. Frictional force is not taken into account.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자가 현재 펼쳐진 책장(302a)의 내용을 다 읽어 책장을 넘기려 할 때 처음 들어가는 힘(F1)은 책장을 완전히 넘기기 위해, 책장이 책갈피 부근에서 점점 접혀짐에 따라 발생하는 탄성력 및 종이의 무게가 내리누르는 힘에 의한 반력(F4)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책장을 넘기는 힘은 반력(F4)을 이겨내기 위해 힘(F1)에 힘 (F2)를 더 주어 이들의 합력(F3)이 반력(F4)를 이기게 될 때 책장은 넘어가게 된다. 여기에 도13과 도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사용하는 서적의 경우, 책장을 넘기는 힘은 서표시트(200) 재질에 따른 무게와 절곡 된 부분의 탄성력이 내리누르는 힘(F5)에 의한 마찰력(μF5, 여기서 μ는 책장과 자동 서표 사이의 마찰계수)을 추가로 이겨내야 한다. 또한 도13과 도14에 도시된 것처럼 책장의 우측면에 위치함으로써, 책장을 넘기는 초기 힘(F1')에만 추가적인 극소의 힘을 필요로 하며 책장이 서표시트(200)의 영역을 벗어나면 도11과 도12에서 요구되는 책장을 넘기는 힘은 같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reader reads all the contents of the currently opened bookshelf 302a and tries to turn the bookshelf, the first force F1 is generated as the bookshelf is gradually folded near the bookmark in order to completely turn the bookshelf. The elastic force and the weight of the paper must be greater than the reaction force (F4) caused by the depressing force. Therefore, the force (F2) to the force (F1) is added to the force (F2) to overcome the reaction force (F4) to overcome the reaction force (F4). Here, as shown in FIGS. 13 and 14 , in the case of a book using the automatic book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to turn over the bookcase is the weight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bookmark 20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bent portion is the depressing force (F5). ) (μF5, where μ is the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ookshelf and the automatic bookmark) must be overcome additionally. In addition, since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okshelf as shown in FIGS. 13 and 14, an additional minimal force is required only for the initial force F1' to turn over the bookshelf. The force required to turn the bookshelf in Fig. 12 is the same.

또한 상기한 서표 부(200)의 종이무게와 절곡 된 부분의 탄성력이 내리누르는 힘(F5)에 의한 마찰력(μF5)은 매우 극소해서 "일반적인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들어가는 힘"과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를 적용한 후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들어가는 힘"은 거의 같다(F1≒F1')고 할 수 있으므로 책장을 넘기는 데 본 발명에 의한 서표장치(100)는 책장을 넘기는데 무리한 부담이 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friction force (μF5) by the force (F5) of the paper weight of the bookmark part 20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bent part is very minimal, so "the force that goes in when turning over the bookshelf of a general book" an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pplying the bookmark by .

그리고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책장을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 넘기고 나면, 상기의 서표시트(200)는 자연스레 다음 책장의 상단면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되어 서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행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14, after the bookshelf is turned over without much force, the bookmark 200 is naturally automatically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next bookshelf, thereby faithfully serving as a bookmark.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는, 독서를 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평상시에는 읽는 페이지를 표시해주는 책갈피로 사용하다 어두운 환경에서는 어렵지 않게 바로 독서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로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eading lamp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as a device that allows people who read to use it as a bookmark to display a page to be read in normal times, but to use it as a reading lamp without difficulty in a dark environment.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을 구비한 서표장치는 책속에 일반 서표처럼 거치되어질 수 있을 정도로 기존의 독서등과 비교하여 그 크기와 무게, 부피가 매우 작게 제작되어 질 수 있기에 이동과 보관에 매우 용이한 독서등 서표장치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독서등, 서표로써의 사용 전환이 매우 직관적이기 때문에 낮 뿐만 아니라 밤, 혹은 어두운 곳에서도 어렵지 않게 독서를 할 수 있는 독서등 서표장치로써 산업상 이용 가치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The bookmark device with a reading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o be very small in size, weight, and volume compared to the existing reading lamp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mounted in a book like a general bookmark, so it is very easy to move and store. A reading lamp may be provided as a bookmarking devic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industrial use value as a reading lamp bookmarking device that can be read easily not only during the day but also at night or in the dark is considerable because the conversion of use as a reading lamp and bookmark is very intuitive.


100 :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
102 : 제1 자성물질이 부착되는 부착시트 제1 면
104 : 제2 자성물질이 부착되는 부착시트 제2 면
106 : 서표시트
108 : 서표시트의 외측면 중 제3 면
110 : 서표시트의 외측면 중 제4 면
112 : 절곡부
114 : 굽힘부
116 : 서표보강부
202 : 제1 자성물질
204 : 제2 자성물질
206 : 제3 자성물질
208 : 제4 자성물질
302 : 전지의 제1 극이 부착되어지는 제1 극 접지부
304 : 전지의 제2 극이 부착되어지는 제2 극 접지부
306 : 광원부
308 : 전지
312 : 제1 접지부와 광원부 제1 극에 연결되어지는 제1 극 연결부
314 : 제2 접지부와 광원부 제2 극에 연결되어지는 제2 극 연결부\
316 : 접지보강부
400 : 서적
402 : 서적 표지
404 :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가 부착되는 페이지
406 : 본 발명에 의한 독서등 서표장치의 서표시트가 위치하는 페이지

100: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2: the first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to which the first magnetic material is attached
104: second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to which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is attached
106: bookmark mark
108: the thir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okmark
110: the fourth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okmark
112: bend
114: bent part
116: bookmark reinforcement part
202: first magnetic material
204: second magnetic material
206: third magnetic material
208: fourth magnetic material
302: the first pole grounding part to which the first pole of the battery is attached
304: the second pole grounding part to which the second pole of the battery is attached
306: light source unit
308: battery
312: a first pol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ole of the first ground and the light source part
314: the second pol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pole of the second ground part and the light source part \
316: ground reinforcement
400: book
402: book cover
404: page to which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406: the page on which the bookmark of the reading light bookm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Claims (5)

서적의 표지나 제1 내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서표장치에 있어서,
절곡에 의해 서로 대향되며 한쌍의 제1 및 제2 자성물질이 부착되는 제1 및 제2 면을 가지는 부착시트;
상기 제1 및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 자성물질이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자성물질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물질에 붙을 수 있는 물질이 부착되며,
상기 부착시트의 일부가 절개되어 생성되어지는 서표시트;
상기 부착시트의 제1 면에 구성되며 전지의 제1 극이 부착되어지는 제1 극 접지부;
상기 부착시트의 제2 면에 구성되며 상기 전지의 상기 제1 극의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극이 안착되어질 제2 극 접지부;
상기 서표시트에는 상기 제1 극 접지부 및 상기 제2 극 접지부와 연결되는 광원이 부착된 광원부;
상시 부착시트에는 상기 제1 극 접지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광원부 제1 극에 연결되어지는 제1 극 연결부;
상기 제2 극 접지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광원부 제2 극에 연결되어지는 제2 극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서표장치를 서표로 사용할 때는 상기 제1 및 제2 자성물질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부착되어진 상기 전지의 상기 제2극과 상기 제2 면에 구성된 상기 제2 극 접지부 사이에 상기 서적의 표지나 상기 제1 내지가 위치하여 상기 서표장치를 책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광원부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고,
상기 서표장치를 독서등으로 사용할 때는 상기 서적의 표지나 상기 제1 내지가 상기 제1 및 제2 자성물질 사이에만 위치하여 상기 서표장치를 책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1 면에 부착되어진 상기 전지의 상기 제2 극과 상기 제2 면에 구성된 상기 제2 극 접지부를 서로 접지시킴으로써 상기 광원부에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광원이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표장치.
In the bookmarking device used by fixing to the cover or first thru of a book,
an attachment sheet facing each other by bending and hav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to which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are attached;
A magnetic material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a material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magne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aterial,
a Seo display sheet in which a portion of the attachment sheet is cut off;
a first pole grounding part configur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and to which the first pole of the battery is attached;
a second pole grounding part configur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and on which a second pol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pole of the battery is to be seated;
a light source to which a light source connected to the first pole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pole grounding part is attached to the sub-plate;
The permanent attachment sheet includes a first pole connection part that starts from the first pole ground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ole of the light source part;
a second pole connection part that starts from the second pole ground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le of the light source part; includes,
When using the bookmarking device as a bookmark,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 and between the second pole of the battery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pole grounding portion configured on the second surface, the book The cover or the first through are positioned to fix the bookmarking device to the book and at the same time cut off the electricity supply from the battery to the light source unit,
When the bookmarking device is used as a reading light, the cover of the book or the first to are located onl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to fix the bookmarking device to the book and to the battery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By grounding the second pole and the second pole grounding part on the second surfac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light source emits ligh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자성물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또는 제2 극 접지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표장치.
According to claim 1,
Bookm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r second pole ground portion is configured in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magnetic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시트가 절곡되는 축을 기준으로 그 내측을 이루는 두 면을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상기 부착시트의 외측을 이루는 두 면 중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을 제3 면, 상기 제2 면의 반대면을 제4 면이라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성물질은, 상기 제3 면과 제4 면에 한 쌍 이상 부착되어지고 상기 자성물질 한 쌍의 반대면인 상기 제1 및 제 2면에 상기 제1 및 제2극 접지부를 가지며 그 사이에 전지가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표장치.
According to claim 1,
With respect to the axis on which the attachment sheet is bent, the two surfaces forming the inner side are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mong the two surfaces forming the outer side of the attachment sheet is the third surface, the second surface Whe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wo surfaces is referred to as a fourth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are attached to one or more pairs of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and are opposite surfaces of the pair of magnetic materials.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grounding parts on a second surface, and a battery is attached therebetween.
서적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서표장치에 있어서,
서표장치의 구성요소가 부착되거나 구성되어질 시트부;
상기 시트부가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시트부의 절곡에 의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내측 시트부;
상기 제1 및 제2 내측 시트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외측 시트부;
상기 제1 및 제2 외측 시트부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자성물질을 부착시키는 부착물질면;
상기 부착물질면을 통해 제1 및 제2 외측 시트부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자성물질; 을 포함하며, 상기 서표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한쌍의 내측 시트부로 서적의 내지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내지 및 상기 시트부 두 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성물질의 자력에 의해 서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서표장치.
In the bookmarking device mounted on a book and used,
a sheet portion to which the components of the bookmarking device are attached or configured;
a bending part in which the sheet part is bent;
a pair of first and second inner sheet portions opposed to each other by bending of the sheet portion;
a pair of first and second outer sheet portions form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inner sheet portions;
an attachment material surface for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et portions;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er sheet portions through the attachment material surface; Including, when the bookmark device is used, the inner sheet of the book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inner sheet portions, and the book is inser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aterials with both sides of the inserted inner sheet and the sheet portion therebetween. Bookm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부의 절곡부 상부 일측에서 절개가 시작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중 하나의 시트부 내의 일부를 절개하고 다시 절곡부 하부 일측에서 절개가 완료되어 상기 시트부로부터 떨어지지 않으며 상기 절곡부 중앙부 일측를 통해 상기 시트부에서 연장되어져 형성되는 서표부;
상기 서표부에는 내측면이 맞닿는 방향으로 굽혀져 굽힘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굽힘부;가 형성되며, 상기 서표장치를 사용할 목적으로 상기 서적에 고정할 때는 읽고자하는 위치의 제1 내지 뒷쪽에 위치한 상기 서적의 표지 또는 제2 내지에 고정시키고, 상기 서표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서표부의 일단부는 상기 절곡부를 따라 절곡되어진 상태로 상기 제1 내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서표부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서적의 제1 내지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를 넘긴 후 상기 제1 내지 다음 장 내지에 상기 서표시트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서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at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incision is start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ent part of the seat part, and a part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 parts is cut out, and the cut is completed again on the lower one side of the bent part, so that it does not fall from the seat part and the central part of the bent part a bookmark portion extending from the sheet portion through one side;
One or more bend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bookmark portion to maintain a bent state by bending the inner surface in abutting direction, and when fixed to the book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bookmarking device, located in the first to the rear of the position to be read It is fixed to the cover or second to of the book, and one end of the bookmark part is located on the first to in a state in which it is bent along the bent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bookmarking device is fixed, Bookmark,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urning over the first through in a state where the one end of the bookmark part is located on the first through on the book, the bookmark has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first through the next chapter through Device.
KR1020200167084A 2020-12-03 2020-12-03 Book light bookmark KR20220078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84A KR20220078019A (en) 2020-12-03 2020-12-03 Book light bookma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84A KR20220078019A (en) 2020-12-03 2020-12-03 Book light bookma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19A true KR20220078019A (en) 2022-06-10

Family

ID=8198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084A KR20220078019A (en) 2020-12-03 2020-12-03 Book light bookma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01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437A (en) 2006-01-25 2008-11-05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Composition for normalizing blood press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437A (en) 2006-01-25 2008-11-05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Composition for normalizing blood 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563B2 (en) Illumination device
US20170328517A1 (en) Folding handheld device holding system
US20100133208A1 (en) Shelf for depositing a keyboard
EP1502767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hering and releasing items
US20020133992A1 (en) Magnetic display device
EP2548746A1 (en) Backlighting folder device
US20080043457A1 (en) Illuminating reading material holder and system
KR20220078019A (en) Book light bookmark
US7328878B2 (en) Book holder having a central gap in a transparent front panel for turning pages which are magnetically secured to the front panel
US10255831B1 (en) Light tile assembly and kit
JP3195724U (en) clip
US20110215740A1 (en) Systems and devices incorporating magnetic switches
KR20080104654A (en) Album
US20110134625A1 (en) Illuminated reading material holder and recharging system
KR101073755B1 (en) Bookmark using magnet
KR101867557B1 (en) Bookmark
AU2011100877A4 (en) Backlighting folder device
JP3180760U (en) Magnet structure with magnetic sandwich
US20160154232A1 (en) Menu vision aid and methods thereof
CN213640490U (en) Refrigerator sticker
JP3102921U (en) Transparent curved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paper etc. on the wall
CN214341033U (en) Assembled creative three-dimensional book stand
US8899773B2 (en) Menu vision aid and methods thereof
KR200188498Y1 (en) Photo flame for display
KR101615849B1 (en) bookmark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