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758A - Robot cleaner station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758A
KR20220077758A KR1020200167016A KR20200167016A KR20220077758A KR 20220077758 A KR20220077758 A KR 20220077758A KR 1020200167016 A KR1020200167016 A KR 1020200167016A KR 20200167016 A KR20200167016 A KR 20200167016A KR 20220077758 A KR20220077758 A KR 20220077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bot cleaner
station
suction port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6280B1 (en
Inventor
최인규
이현주
김시현
김보상
나우진
차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280B1/en
Priority to PCT/KR2021/013592 priority patent/WO2022119094A1/en
Publication of KR2022007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80B1/en
Priority to US18/199,421 priority patent/US2023028485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 중,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 영역;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station includes: a cleaner seating part on which the robot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collection chamber in which the dirt of the dust collecto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s collected; and a station suction device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to suck the dirt of the dust collector into the collection chamber; and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chamber,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and seats the cleaner a guide par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part; a vortex region located between one side of the guide part from which the guide part starts to extend and the suction port in the guide part, and in which a vortex for stagnating the dirt is formed; and a vent for generating a flow of external air from the one side from which the guide part begins to extend toward the vortex region.

Description

로봇청소기 스테이션{ROBOT CLEANER STATION}Robot cleaner station {ROBOT CLEANER STATION}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로부터 흡입된 오물을 수거챔버로 흡입하는 흡입유로를 최적화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station capable of optimizing a suction flow path for sucking dirt sucked from a dust collector of a robot cleaner into a collection chamber.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청소 공간을 이동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함으로써 청소 공간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장치이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 공간을 주행하며 청소 공간을 청소한다.In general, a robot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a cleaning space by sucking dirt,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while moving the cleaning space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The robot vacuum cleaner drives through the cleaning space and cleans the cleaning space.

로봇 청소기는 거리 센서를 통해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로봇청소기의 좌륜 모터와 우륜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스스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청소 구역을 청소한다.The robot vacuum cleaner determines the distance to obstacles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and walls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distance sensor, and selectively drives the left and right wheel motors of the robot vacuum cleaner to change directions and clean the cleaning area.

로봇청소기는 습식포 또는 건식포가 장착된 청소 패드를 통해 바닥을 청소할 수도 있으며, 집진장치를 통해 바닥을 청소할 수도 있다.The robot vacuum cleaner can clean the floor using a cleaning pad equipped with a wet cloth or dry cloth, and can also clean the floor through a dust collector.

집진장치를 통해 바닥을 청소하는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에 수집된 오물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비워지거나, 스테이션에 마련되는 수거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비워질 수 있다.The dir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of the robot cleaner that cleans the floor through the dust collector may be manually emptied by a user or may be emptied automatically by a collection device provided in the station.

흡입유로에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오물이 잔류하거나 유로의 안정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robot cleaner station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a vortex in a suction passage so that dirt remains or the flow passage can be stabilized.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 중,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 영역;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seating part on which the robot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collection chamber in which the dirt of the dust collecto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s collected; and a station suction device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to suck the dirt of the dust collector into the collection chamber; and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chamber,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and seats the cleaner a guide par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part; a vortex region located between one side of the guide part from which the guide part starts to extend and the suction port in the guide part, and in which a vortex for stagnating the dirt is formed; and a vent for generating a flow of external air from the one side from which the guide part begins to extend toward the vortex region.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includes an upper guide housing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a lower guide housing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guide housing, wherein the upper guide housing and the lower guide housin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guide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펜스부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guide housing includes a guide plate and a fence part that is formed along an edge of the guide plate and protrudes upward, and the upper guide housing is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y of the fence part and a guide sidewall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guide part. may include

상기 펜스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The fence part may include a hollow part therein, and the hollow part may be opened toward a lower region of the guide plate.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펜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fen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communicate the hollow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guide portion.

상기 펜스부는, 상기 가이드 측벽과 접하는 제1 펜스부 및 상기 제1 펜스부와 사이에 상기 중공부를 두고 경사를 이루는 제2 펜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제2 펜스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enc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en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sidewall and a second fence portion inclined with the hollow portion therebetween, and the ven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ence portion.

상기 통기구는 상기 펜스부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of the fenc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펜스부는 상기 와류 영역이 안착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The fence part further includes a depression in which the vortex region is seated,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pression.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되며,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guide sidewall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art,

상기 외기의 흐름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를 통과하여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도록 형성되며,The flow of the outside air is formed from the hollow portion through the vent formed in the guide sidewall toward the vortex region,

상기 통기구는 상기 펜스부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fence unit.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guide housing,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guide housing and the guide lower guide housing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seal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the guide part.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청소기 안착부를 형성하며 지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The upper guide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plate facing the ground and forming the cleaner sea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d to the base plat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base plate, a second fastening part formed around the lower guid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further provided. may include

상기 통기구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기구로서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흐르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seating part on which the robot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collection chamber in which the dirt of the dust collecto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s collected; and a station suction device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to suck the dirt of the dust collector into the collection chamber; and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chamber,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and seats the cleaner a guide part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part; and a ventilatio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from which the guide portion starts to extend, and a ventilation hole for generating a flow of external air flow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from the one side.

상기 가이드 부는, 서로 밀착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펜스부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includes an upper guide housing and a lower guide housing forming a guide par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ower guide housing includes a guide plate and a fence part formed along an edge of the guide plate and protruding upward, The upper guide housing may include a guide sidewall that is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y of the fence unit and forms a side surface of the guide unit.

상기 통기구는, The vent is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펜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연통시킬수 있다. It is formed in the fen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the interior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상기 펜스부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The fence portion further includes a depression,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pression.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guide sidewall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art.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흡입구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와 연통된 가이드부로 이송시키는 기류와 별개로, 가이드부의 일측에 통기구를 형성하여,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일측으로부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와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잔류 먼지를 제거하고, 오물을 이송시키는 기류를 안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 from the air flow that transports the dirt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guid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unit to prevent the flow of outside air from one side from which the guide unit begins to extend toward the vortex region. can be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ddy currents, remove residual dust, and stabilize the airflow for transporting di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벗어나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연결파트에 의해 수거챔버로 오물이 흡입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후면 하우징을 제거하고 바라본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로부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상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 of a robot cleaner sta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of FIG. 1 is seated in a robot cleaner sta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ath through which dirt is sucked into a collection chamber by a connection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with the rear housing removed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guide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seating part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a lower guide housing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FIG. 8 viewed from another sid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among a lower guide housing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of FIG. 11 viewed from another sid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among the upper guide housing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상면” 및 “하면”등은 도 1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upper", "lower", "upper" and "lower",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FIG. 1, and by this term, The shape and position are not limited.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팬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또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같이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냉장고나 청소기와 같이 다른 가전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an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s an example, it may als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air conditioners such a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other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vacuum cleaners can also be applied 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벗어나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of FIG. 1 is seated in the robot cleaner sta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가 청소하는 바닥면은 피청소면이라고 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는 충전이 필요하거나 집진장치(15)의 집진챔버(16) 내부에 오물이 가득차서 비워야 할 때,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 이동할 수 있다.1 to 2 , the robot cleaner 10 may clean the floor while moving along the floor. The floor surface cleaned by the robot cleaner 10 may be referred to as a surface to be cleaned. The robot cleaner 10 may move to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when charging is required or whe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of the dust collector 15 is full and needs to be emptied.

로봇청소기(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청소기 하우징(11)과, 청소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청소기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하우징(11)은 내부에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커버(13)는 청소기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 may include a cleaner housing 11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 cleaner cover 13 covering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housing 11 . The cleaner housing 11 may have electrical components disposed therein. The cleaner cover 1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housing 11 .

청소기 하우징(11)에는 청소기 유입구(14a,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4a)는 피청소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4a)는 청소기 하우징(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4a)를 통해 피청소면의 오물은 공기와 함께 집진장치(15)의 집진챔버(16)로 유입될 수 있다.A cleaner inlet 14a (refer to FIG. 4 ) may be formed in the cleaner housing 11 . The cleaner inlet 14a may be formed toward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cleaner inlet 14a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housing 11 . Dir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may b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5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cleaner inlet 14a.

청소기 유입구(13)에는 드럼 블레이드(14b)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4b)는 청소기 하우징(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4b)는 피청소면을 타격하여 오물을 비산시킬 수 있다. 비산된 오물은 주변 공기와 함께 청소기 유입구(14a)로 유입될 수 있다.A drum blade 14b may be disposed at the cleaner inlet 13 . The drum blade 14b may be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cleaner housing 11 . The drum blade 14b may strike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scatter the dirt. The scattered dir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leaner inlet 14a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air.

청소기 유입구(14a)를 통해 유입된 오물 및/또는 공기는 집진장치(15)로 이동할 수 있다. 오물 및/또는 공기는 오물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집진챔버(16)로 이동할 수 있다.The dirt and/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cleaner inlet 14a may move to the dust collector 15 . Dirt and/or air may move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through a waste inlet (not shown).

청소기 하우징(11)에는 청소기 배출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배출부(18)는 로봇청소기(10)의 후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배출부(18)는 청소기 흡입장치(미도시)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청소기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로봇청소기(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 cleaner discharge unit 18 may be provided in the cleaner housing 11 . The cleaner discharge unit 18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robot cleaner 10 . The vacuum cleaner discharge unit 18 may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acuum cleaner inlet 13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1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vacuum cleaner suction device (not shown).

로봇청소기(10)는 배터리(19)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는 충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19)는 로봇청소기(1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 may include a battery 19 . The battery 19 may be provided to be rechargeable. The battery 19 may provide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10 .

로봇청소기(10)는 디스플레이(1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는 로봇청소기(10)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후진하며 도킹됨에 따라, 로봇청소기(10)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17)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도킹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 may include a display 17 . The display 17 may display the driv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10 . The display 17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to receive a user's command. The display 17 may be located at an end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 is docked to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Specifically, as the robot cleaner 10 is docked with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backward, the display 17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robot cleaner 10 shows that the robot cleaner 10 is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It can be exposed to the user even in a docked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연결파트에 의해 수거챔버로 오물이 흡입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후면 하우징을 제거하고 바라본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로부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ath through which dirt is sucked into a collection chamber by a connection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with the rear housing removed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guide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seating part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봇청소기(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로 한다.The robot cleaner 10 refers to the drawings shown in FIGS. 1 to 2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스테이션 하우징(110)과, 로봇청소기(10)가 거치되는 청소기 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3 to 5 ,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may include a station housing 11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 cleaner seating unit 120 on which the robot cleaner 10 is mounted. have.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된 때,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거나,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에 수집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charges the battery (not shown) of the robot cleaner 10 or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cleaner seating unit 120 . Collected waste can be collected.

스테이션 하우징(110)은 전면 하우징(111)과, 전면 하우징(111)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하우징(11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하우징(113)은 후면 하우징(113)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1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housing 110 may include a front housing 111 and a rear housing 113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111 . The rear housing 113 may include a rear cover 117 that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housing 113 .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에 수집된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장치(13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llecting device 130 for collecting the dir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110 . Electrical components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robot cleaner 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ation housing 110 .

후면 하우징(113)에는 제1공기배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배출구(115)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가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공기배출구(115)는 후면 하우징(11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A first air outlet 115 may be formed in the rear housing 113 . The first air outlet 115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 suck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from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The first air outlet 115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housing 113 .

후면 하우징(113)에는 제1공기배출구(115)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배출필터(101)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필터(101)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필터(101)는 제1공기배출구(11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필터(101)는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exhaust filter 101 disposed to filte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15 may be provided in the rear housing 113 . The exhaust filter 101 may be arranged to fil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exhaust filter 10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ir outlet 115 . The exhaust filter 101 may include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후면 커버(117)에는 제1공기배출구(115)로 배출되어 배출필터(101)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공기배출구(119)가 마련될 수 있다.The rear cover 117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air outlet 119 for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15 and filtered by the exhaust filter 101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

스테이션 하우징(110)에는 스테이션 전원보드(10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전원보드(103)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적합하게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 전원보드(103)는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후방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A station power board 103 may be provided in the station housing 110 . The station power board 103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 it to suit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The station power board 103 may be located at a rear lower side of the station housing 110 .

스테이션 하우징(110)에는 스테이션 컨트롤러(10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스테이션 전원보드(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레버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안착된 때, 레버장치(14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스테이션 충전단자(123)를 제어할 수 있다.A station controller 105 may be provided in the station housing 110 . The station controller 10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tion power board 103 . The station controller 105 may control the lever device 140 . The station controller 105 may control the lever device 140 to be driven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The station controller 105 may control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station controller 105 may control the station charging terminal 123 .

수거장치(130)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에 수집된 오물을 수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거장치(130)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와, 수거챔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on device 130 may be provided to collect the dir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 The collection device 130 may include a station suction device 131 and a collection chamber 133 .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안착된 때, 집진챔버(16)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로부터 오물 및/또는 공기를 흡입하여, 오물은 수거챔버(133)에 수집하고, 공기는 제1공기배출구(115) 및 제2공기배출구(119)를 통해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dirt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in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sucks dirt and/or air from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and collects the dirt in the collection chamber 133,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15 and the second air outlet 115. 2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through the air outlet 119.

수거챔버(133)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로 유입된 오물 및/또는 공기 중에서 오물을 필터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수거챔버(133)에는 연결파트(200)에 의해 안내된 오물 및/또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수거챔버(133)는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용되는 오물봉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는 수거챔버(13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가 수거챔버(133)에 체결되어 있을 때는, 연결파트(200)를 통해 이송된 오물이 오물봉투부(136)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 내부가 오물로 가득차면 오물봉투부(136)를 수거챔버(133)로부터 분리하여 오물봉투부(136)를 폐기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가 수거챔버(133)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파트(200)를 통해 오물이 이송되면 오물은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The collection chamber 133 may filter and collect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and/or the dirt from the air. The collection chamber 133 may be provided with a device (not shown) for filtering dirt from the air and/or dirt guided by the connection part 200 . The collection chamber 133 may include a waste bag 136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chamber 133 . The waste bag part 136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llection chamber 133 . When the waste bag unit 136 is fastened to the collection chamber 133 , the waste transferr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collected inside the waste bag unit 136 . When the inside of the waste bag unit 136 is full of dirt, the waste bag unit 136 may be separated from the collection chamber 133 to discard the waste bag unit 136 . When the garbage is transferr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00 in a state in which the garbage bag part 136 is separated from the collection chamber 133 , the garbage may be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on chamber 133 .

청소기 안착부(120)는 로봇청소기(10)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는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sea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obot cleaner 10 is mounted thereon. The cleaner mounting part 120 ma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station housing 110 .

청소기 안착부(120)는 상부 커버(120a)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 도 3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may include an upper cover 120a and a base plate 120b. The cleaner seat 12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guide housing 212 (refer to FIG. 3 ) coupled to the base plate 120b.

상부 커버(120a)는 전면 하우징(111)과 이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상부를 덮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20b)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a)에는 로봇청소기(10)가 안착될 수 있다. The upper cover 120a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housing 111 , and may be provid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20b and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20b. The robot cleaner 10 may be seated on the upper cover 120a.

베이스 플레이트(120b)는 상부 커버(12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b)는 상부 커버(120a)와 결합하여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base plate 120b may be disposed under the upper cover 120a. The base plate 120b may be coupled to the upper cover 120a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tation housing 110 .

청소기 안착부(120)에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와 연통되는 흡입구(201)가 마련될 수 있다. A suction port 201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may be provided in the cleaner seat 120 .

도 4를 참조하면, 청소기 안착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b)와 상부 커버(120a)가 결합하여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므로, 흡입구(201) 역시 상부 커버(120a)에 형성된 커버개구(121)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형성된 연통개구(212)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개구(121)와 연통개구(21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since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is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tation housing 110 by coupling the base plate 120b and the upper cover 120a, the suction port 201 also includes the upper cover 120a. The cover opening 121 formed in the ,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212 formed in the base plate 12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ver opening 12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212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즉, 흡입구(201)는 커버개구(121)와 연통개구(212)가 서로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커버개부(121) 또는 연통개구(212)는 흡입구(201)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That is, the suction port 201 may be formed by contacting the cover opening 12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212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ver opening 121 or the communication opening 212 may be us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suction port 201 .

흡입구(201)는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된 후, 후술하는 레버장치(140)의 개방링크(141)에 의하여 개방될 때, 집진챔버(16)의 개구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uction port 201 corresponds to the opening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vacuum cleaner seating part 120 and then opened by the opening link 141 of the lever device 14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arranged so that

흡입구(201)의 형상은 집진챔버(16)의 개구와 대응되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흡입구(20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흡입구(201)의 형상은 집진챔버(16)의 개구가 개방되어 집진챔버(16)와 연결파트(200)의 가이드부(210)를 연통시켜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의 흡입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201 may correspond to the opening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and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201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201 , the opening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is opened to communicate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and the guide part 210 of the connecting part 200 to increase the suction power of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청소기 안착부(120)에는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스테이션 충전단자(12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충전단자(123)는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된 때,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스테이션 충전단자(123)는 무선 충전방식으로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A station charging terminal 123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robot cleaner 10 may be provided in the cleaner seating unit 120 . The station charging terminal 12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robot cleaner 10 to supply power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cleaner mounting unit 120 . The station charging terminal 123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robot cleaner 10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청소기 안착부(120)에는 레버장치(140)가 배치될 수 있다. 레버장치(140)는 수거장치(130)와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버장치(140)는 개방링크(141)를 통하여 수거장치(130)와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A lever device 140 may be disposed on the cleaner seating unit 120 . The lever device 140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collection device 130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 The lever device 140 may selectively communicate the collection device 130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of the robot cleaner 10 through the open link 141 .

예를 들어,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되어 스테이션 충전단자(123)을 가압하면,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레버장치(140)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and presses the station charging terminal 123 , the station controller 105 may control the lever device 140 to be driven.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안착된 때, 레버장치(140)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레버장치(140)가 구동되면 개방링크(141)는 흡입구(201)쪽으로 회전하여 집진챔버(16)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를 개방한다. The station controller 105 may control the lever device 140 to be driven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When the lever device 140 is driven, the opening link 141 rotates toward the suction port 201 to open the lower door 15a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which closes the opening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

개방링크(141)는 다절 링크 구조로 마련되며, 개방링크(141)의 일단은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하부 도어(15a) 역시 개방링크(141)의 일단과 서로 인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장치(140)가 개방링크(141)를 흡입구(201)쪽으로 회전시켜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와 결합한 후, 상기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링크(141)를 회전시켜 집진챔버(16)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The open link 141 is provided in a multi-section link structure, and one end of the open link 141 is provided to contain a magnetic material, and the lower door 15a is also magnetic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open link 141 by attractive force.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refore, after the lever device 140 rotates the opening link 141 toward the suction port 201 to engage the lower door 15a of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the opening link 14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to collect dust. The opening of the chamber 16 may be opened.

집진챔버(16)의 개구가 개방되면, 집진챔버(16)와 연결파트(200)의 가이드부(210)가 서로 연통되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의 흡입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opening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is opene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and the guide part 210 of the connecting part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흡입구(201)와 수거챔버(133)를 연결하는 연결파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200 connecting the suction port 201 and the collection chamber 133 .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5)에 수집된 오물은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집진챔버(16)와 연통되는 흡입구(201)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은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연결파트(200)로 이송될 수 있다. 연결파트(200)로 이송된 오물은 연결파트(200)와 연결되는 수거챔버(133)로 흡입되어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 연결파트(200)는 청소기 안착부(120)의 흡입구(201)와 수거챔버(133)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파트(200)의 일단은 흡입구(201)과 연결되고, 타단은 수거챔버(133)과 연결될 수 있다. The dir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5 of the robot cleaner 10 may be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01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dirt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01 may be transferred to the connection part 20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filth transferred to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sucked into the collection chamber 13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00 and collected in the collection chamber 133 . The connection part 200 may connect the suction port 201 of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and the collection chamber 133 .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201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on chamber 133 .

연결파트(200)는 흡입구(201)와 연통되는 가이드부(210)와, 일단이 가이드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호스(220)와, 연결호스(220)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수거챔버(133)에 마련되는 흡입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200 includes a guide part 210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201 , a connection hose 220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part 21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hose 220 being separable. and may include a suction pipe 260 provided in the collection chamber 133 .

즉, 가이드부(210)는 연결파트(200)의 일부로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의 내부 중에서도, 흡입구(201)과 연결된 연결 파트(200)의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guide part 210 may be provided as a part of the connection part 200 . The guide part 2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 The guide part 210 may be provid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00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201 among the inside of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집진챔버(16)의 오물은 흡입구(201)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은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로 이송된 오물은 연결호스(220) 및 흡입관(260)을 통해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Due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dirt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may be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01 . The dir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01 may be transferred to the guide unit 210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201 . The filth transferred to the guide unit 210 may be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on chamber 133 through the connection hose 220 and the suction pipe 260 .

가이드부(2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되, 가이드부(210)의 전방에서 가이드부(210)의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대략 오리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부(210)의 후방으로 갈수록 가이드부(210)의 단면적을 좁게 만들어 가이드부(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The guide part 210 may be provided to for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pecifically, the guide part 2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ront of the guide part 210 to the rear of the guide part 210 .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flipper shape. This is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gas flowing inside the guide part 210 by mak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uide part 210 narrow toward the rear of the guide part 210 .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수평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의 일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가이드부(210)의 타단은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10)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전후방향이라 함은,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를 기준으로 상정할 수 있는 수많은 수평방향(D1)중 하나의 방향일 수 있다. The guide part 210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1 inside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 One end of the guide unit 210 may be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unit 210 may be located at the rear. That is, the guide part 210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 However,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one of numerous horizontal directions D1 that can be assumed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cleaner seating unit 120 .

가이드부(120)는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부(210)의 일단에 형성된 연통개구(211)와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부(210)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호스 체결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unit 1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opening 211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unit 210 located at the front and a connection hose coupling unit 20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unit 210 located at the rear.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통개구(211)와 체결부(202)는 가이드부(120)의 상면 전방 및 상면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4 to 6 , the communication opening 211 and the fastening part 202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art 120 .

흡입구(201)와 연통되는 연통개구(211)와, 연결호스(22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호스 체결부(202)와, 연통개구(211)와 연결호스 체결부(202) 사이에 마련되어 오물이 가이드되는 가이드유로(219)를 포함할 수 있다.Between the communication opening 211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201, the connection hose coupling part 202 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hose 220 is detachably fastened,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211 and the connection hose coupling part 202 It may include a guide flow path 219 provided in the filth guide.

연통개구(211)는 흡입구(201)와 연통되어 흡입구(201)로 흡입되는 오물을 가이드유로(219)로 이송시킬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opening 211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201 to transfer the dirt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01 to the guide passage 219 .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수평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가이드유로(219) 역시,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수평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guide part 210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1 inside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the guide flow path 219 may also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1 inside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guide part 210 will be described later.

가이드유로(219)는 연통개구(211)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호스 체결부(202)는 가이드유로(219)로부터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연결호스 체결부(202)가 가이드유로(219)로부터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연결호스(220)가 연결호스 체결부(202)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The guide passage 219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communication opening 211 . The connecting hose fastening part 202 may extend to have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180 degrees or less from the guide flow path 219 . The drawing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hose fastening part 202 is extended to have an angle of 90 degrees from the guide flow path 219 . The connecting hose 220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nnecting hose fastening part 202 .

연결호스(220)는 가이드부(210)와 흡입관(26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호스(220)의 양단은 각각 가이드부(210)와 흡입관(26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스테이션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스테이션 하우징(110) 내부에서 가이드유로(219)와 흡입관(260)을 연결하는 흡입유로(250)가 최적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치 호스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ose 220 may connect the guide part 210 and the suction pipe 260 . Both ends of the connecting hose 220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guide part 210 and the suction pipe 260 , respectively. The connecting hose 2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he connection hose 2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ation housing 110 . The connecting hose 22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suction flow path 250 connecting the guide flow path 219 and the suction pipe 260 inside the station housing 110 can be optimized. The connection hose 220 may be provided as a length-adjustable stretch hose.

연결호스(220)는 가이드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230)와, 흡입관(26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240)와, 제1체결부(230)와 제2체결부(240) 사이에 마련되어 집진챔버(16)의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hose 22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230 detachably fastened to the guide part 210 , a second fastening part 240 detachably fastened to the suction pipe 260 , and a first fastening part ( It may include a suction flow path 250 provided between the 23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40 through which the dirt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6 is sucked.

흡입구(201)로 흡입되어 가이드유로(219)로 이송된 오물은 흡입유로(250)를 통해 흡입관(260)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dir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01 and transferred to the guide passage 219 may be transferred to the suction pipe 260 through the suction passage 250 .

흡입관(260)은 가이드부(210)의 가이드유로(219)로 가이드되는 집진챔버(16)의 오물이 수거챔버(133)로 흡입되도록 수거챔버(133)에 마련될 수 있다.The suction pipe 260 may be provided in the collection chamber 133 so that the dirt of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guided by the guide passage 219 of the guide part 210 is sucked into the collection chamber 133 .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10)는 가이드부(2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가이드부(21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7 , the guide unit 210 forms an upper guide housing 211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unit 2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unit 210 and corresponds to the upper guide housing 211 . It may include a lower guide housing 212 that is.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서로 밀착되어 가이드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로부터 상부를 항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는 대략 중절모 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upper guide housing 211 and the lower guide housing 2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guide part 210 . The upper guide housing 2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plate 120b. The upper guide housing 211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convexly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plate 120b. That is, the upper guide housing 211 and the base plate 120b may form an approximately fedora cap shape.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부재(400)가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재(40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b)를 지면(G)으로부터 소정 간격(L2) 이격 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중공부(214c)로 외기의 유입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재(400)가 탄성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지면(G)과의 마찰력이 증가혀여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400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b.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400 spaced apart the base plate 120b from the ground 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2, so that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hollow part 214c to be described later can occur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400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G is increased to more stably support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

청소기 안착부(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218b)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21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18a)는 제1 체결부(218b)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18b)와 제2 체결부(218a)는 체결부재(218c)를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cleaner seating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218b formed on the base plate 120b and a second coupling part 218a formed around the lower guide housing 212 . The second fastening part 218a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218b. The first fastening part 218b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18a may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218c.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서로 밀착되어 가이드부(210)를 형성하면, 가이드부(210)는 가이드부(120)의 상면 전방 및 상면 후방에 각각 형성된 연통개구(211)와 체결부(202)를 제외하면 가이드부(210)의 외부와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upper guide housing 211 and the lower guide housing 21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guide part 210 , the guide part 210 is a front and upper surface of the guide part 120 . Except for the communication opening 211 and the fastening part 202 formed at the rea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form a closed space with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210 .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는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0b)를 향하는 방향(D2)으로 접근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인 가이드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단 가이드부(210)에 형성된 연통개구(211)와 체결부(202)를 제외)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되는 것은,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서로 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lower guide housing 212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20b by approach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20b in a direction D2 toward the base plate 120b. The lower guide housing 212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20b to form a guide portion 210 that is an enclosed space. (Excluding the communication opening 211 and the fastening part 202 formed in the guide part 210 ) The lower guide housing 212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20b, the upper guide housing 211 and the lower guide housing 212 may mean that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집진챔버(16)의 오물이 흡입구(201)로 흡입되고,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류의 방향을 흡입력 작용 방향(D1', 도 8 참조)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흡입력 작용 방향(D1')은 가이드부(210)가 연장되는 방향인 수평방향(D1) 중 흡입구(201)에서 연결호스 체결부(202)를 향하는 일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means that the dirt of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01 , and the dir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0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201 . An air flow transferred to the guide unit 210 may be formed. The direction of such an airflow may be defined as a suction force action direction (D1', see FIG. 8). The suction force action direction D1 ′ may be defined as one direction from the suction port 201 toward the connection hose fastening portion 202 among the horizontal directions D1 , which are directions in which the guide portion 210 extends.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구(201)를 향하여 개방된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와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 사이에는,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와 별개로 와류 (Vortex)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와류가 발생 하는 역을 이하 와류 영역(V)로 정의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the lower door 15a of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opened toward the suction port 201 and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from which the guide part 210 starts to extend. In between, a vortex (Vortex) may be generated separately from the airflow in which the dir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01 is transferred to the guide unit 210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201 . A region where such a vortex occurs may be defined as a vortex region (V) below.

와류가 형성되므로,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와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사이의 영역에 오물이 잔류하게 된다. 또한 와류의 형성으로 인하여,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가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Since the vortex is formed, dirt remains in the area between the lower door 15a of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6 and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from which the guide part 210 starts to extend. In additio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vortex, the airflow in which the dir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01 is transferred to the guide unit 210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201 is unstable.

따라서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와 별개로,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일측(210a)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상술한 와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잔류 먼지를 제거하고, 오물을 이송시키는 기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vortex region V from the one side 210a from which the guide part 210 starts to extend, separately from the airflow that transports the dirt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01 to the guide unit 210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201 . )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vortex by forming a flow of external air toward the ), thereby removing residual dust and stabilizing the airflow for transporting dirt.

이하에서는 가이드부(210)에 마련되는 통기구(300)의 형성 위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가이드부(210)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가 서로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따라서 통기구(300)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ventilation hole 300 provided in the guide part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unit 210 may be formed by contacting the upper guide housing 211 and the lower guide housing 212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ventilation hole 30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guide housing 211 and the lower guide housing 212 .

통기구(3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통기구(300)는 2개 내지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통기구(3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와류를 억제할 수 있는 외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s 3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Referring to FIGS. 8, 11 and 14 , two to three ventilation holes 300 may be provided. However, the number of the ventilation holes 3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capable of effectively forming a flow of external air capable of suppressing a vortex.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a lower guide housing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FIG. 8 viewed from another sid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와 별개로,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일측(210a)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통기구(300)은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기구(300)은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가이드부(210)에 형성되는 통기구(300)의 구체적인 형성위치는 다음과 같다. The vortex region (V) from one side 210a from which the guide part 210 begins to extend, separately from the airflow that transports the dirt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201 to the guide unit 210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201 . The flow of outside air towards Accordingly, the vent 300 may be formed on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 Specifically, the vent 300 may be formed in the lower guide housing 212 formed adjacent to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 The specific formation positions of the ventilation holes 300 formed in the guide part 210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가이드부(210)의 저면을 이루는 가이드 플레이트(213) 및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guide housing 212 may include a guide plate 213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art 210 and a fence part 214 formed along an edge of the guide plate 213 and protruding upward.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은 펜스부(214)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가이드부(210)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21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guide housing 211 may include a guide sidewall 215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fence part 214 and forms a side surface of the guide part 210 .

따라서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과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이 서로 밀착되면,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의 상면, 가이드 측벽(215), 펜스부(214) 및 가이드 플레이트(213)에 의하여 가이드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pper guide housing 211 and the lower guide housing 21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uide part ( 210) can be formed.

펜스부(214)는 내부에 중공부(214c)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부(214)가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중공부(214c) 역시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214c)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하부를 통하여 외기가 용이하게 가이드부(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fence part 214 may include a hollow part 214c therein. Since the fence portion 214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plate 213 , the hollow portion 214c may also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plate 213 . By forming the hollow portion 214c, outside air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guide portion 210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20b.

통기구(300)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대응되는 펜스부(214)에 형성되어 중공부(214c)와 가이드부(210)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 300 may be formed in the fence portion 214 corresponding to one side 210a of the guide portion 210 to communicate the hollow portion 214c and the inside of the guide portion 210 .

구체적으로, 펜스부(214)는 제1 펜스부(214a) 및 제1 펜스부(214a)와 사이에 중공부(214c)를 두고 경사를 이루는 제2 펜스부(2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펜스부(214a)는 가이드 측벽(215)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ence unit 214 may include a first fence unit 214a and a second fence unit 214b inclined with a hollow part 214c therebetween. The first fence part 214a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sidewall 215 .

통기구(300)는 제1 펜스부(214a)보다 가이드부(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펜스부(214)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300)는 제2 펜스부(214b)의 경사면 중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 30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ence part 214 located inside the guide part 210 rather than the first fence part 214a. The ventilation hole 300 may be form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1 am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second fence part 214b.

도 8 내지 도 10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중공부(214c)에 체류하던 외기가 통기구(300)를 통하여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으로부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방향(D3)으로 외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오물이 가이드 부(210)의 내측으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기구(3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오물이 통기구(300)를 통하여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to 10 , when the suction force starts to be generat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outside air staying in the hollow part 214c begins to extend through the vent 300 , the guide part 210 . A flow of outside air may occur in a direction D3 from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toward the vortex region V. In addition,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 dirt can easily flow down to the inside of the guide part 210 . In addition, since the vent 300 is form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1 , dirt may not easily flow out through the vent 300 .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among a lower guide housing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of FIG. 11 viewed from another sid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과 관련하여 상술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relation to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1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도 8에 도시된 펜스부(214)에서 함몰부(214d)가 추가될 수 있다. In the lower guide housing 212 ′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 a depression 214d may be added in the fence part 214 shown in FIG. 8 .

함몰부(214d)는 펜스부(214)의 제2 펜스부(214b)의 경사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통기구(300)는 함몰부(214d)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통기구(300)가 서로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ssed part 214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oncavely recessed from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fence part 214b of the fence part 214 . In this case, the ventilation holes 30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214d. Specifically, a pair of vents 300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도 11 내지 도 13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중공부(214c)에 체류하던 외기가 통기구(300)를 통하여 함몰부(214d)의 양 측면으로부터 함몰부(214d)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5)으로 흘러 들어올 수 있다. 11 to 13 , when the suction force starts to be generat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outside air staying in the hollow part 214c is depressed from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214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300 . It may flow in the direction D5 toward the center of the part 214d.

함몰부(214d)의 양 측면으로부터 함몰부(214d)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5)으로 흘러 들어오던 외기의 흐름은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작용하고, 함몰부(214d)의 중간지점에서 합류하게 되는 구조에 의하여 다시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으로부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방향(D3)으로 유동하게 된다. The flow of outside air flowing in the direction D5 from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214d toward the center of the recessed part 214d is suction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and the middle of the recessed part 214d. Due to the structure that joins at the point, the guide part 210 again flows in the direction D3 from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starting to extend toward the vortex region V.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상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1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among the upper guide housing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seating part of a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과 관련하여 상술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in relation to the robot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통기구(300)가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robot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the vent 300 may be formed in the upper guide housing 211 ′, unlike other embodiments.

구체적으로, 통기구(300)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대응되는 가이드 측벽(215)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300)는 펜스부(214)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ent 300 may be formed in the guide sidewall 215 corresponding to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 The ventilation hole 300 may be form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fence unit 214 .

도 14 내지 도 15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상부 커버(120a)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사이의 공간에 체류하던 외기가 통기구(300)를 통하여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으로부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방향(D3)으로 외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오물이 가이드 부(210)의 내측으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기구(3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오물이 통기구(300)를 통하여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14 to 15 , when the suction force starts to be generated by the station suction device 131 , the outside air remaining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over 120a and the base plate 120b passes through the vent 300 . The flow of outside air may occur in a direction D3 from one side 210a of the guide part 210 from which the guide part 210 begins to extend toward the vortex region V. In addition,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 dirt can easily flow down to the inside of the guide part 210 . In addition, since the vent 300 is form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1 , dirt may not easily flow out through the vent 300 .

10; 로봇청소기
100;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20; 청소기 안착부
200; 연결장치
201; 흡입구
210; 가이드부
210a; 가이드부의 일측
211, 211'; 상부 가이드 하우징
212, 212'; 하부 가이드 하우징
214; 펜스부
214c; 중공부
215; 가이드 측벽
216; 함몰부
219; 가이드 유로
V; 와류 영역
10; robotic vacuum
100; robot vacuum station
120; vacuum cleaner
200; connector
201; intake
210; guide
210a; one side of the guide
211, 211'; upper guide housing
212, 212'; lower guide housing
214; fence part
214c; hollow body
215; guide side wall
216; depression
219; guide euro
V; vortex zone

Claims (20)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 중,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 영역;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a vacuum cleaner seating part on which the robot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collection chamber in which the dir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s collected; and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chamber;
The connecting part is
a guide part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cleaner seating part;
a vortex region located between one side of the guide part from which the guide part starts to extend and the suction port in the guide part, and in which a vortex for stagnating the dirt is formed; and
A robot cleaner station including a; vent for generating a flow of outside air from the one side from which the guide part starts to extend toward the vortex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unit,
an upper guide housing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a lower guide housing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guide housing,
The upper guide housing and the lower guide housin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guid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펜스부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guide housing includes a guide plate and a fence portion formed along an edge of the guide plate and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The upper guide housing includes a guide sidewall that is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y of the fence and forms a side surface of the gu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을 향하여 개방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ence part includes a hollow part therein,
The hollow part is opened toward a lower area of the guide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펜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nt is
A robot cleaner station formed in the fen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communicate the hollow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guid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가이드 측벽과 접하는 제1 펜스부 및 상기 제1 펜스부와 사이에 상기 중공부를 두고 경사를 이루는 제2 펜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제2 펜스부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ence unit,
A first fen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sidewall and a second fence portion forming an inclination with the hollow portion between the first fence portion and,
The vent is a robot cleaner station formed in the second fenc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펜스부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en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of the fenc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와류 영역이 안착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ence portion further includes a depression in which the vortex region is seated,
The vent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외기의 흐름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를 통과하여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guide sidewall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art,
The flow of the outside air is formed from the hollow portion through the vent formed in the guide sidewall toward the vortex reg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펜스부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vent hole is a robot cleaner station provided to be positioned above an upper end of the fenc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guide housing,
The upper guide housing and the lower guide housin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seal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the guid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청소기 안착부를 형성하며 지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guide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plate facing the ground and forming the cleaner seat,
A robot cleaner sta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ixed to the base pl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base plate, a second fastening part formed around the lower guid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further provided. Including robot vacuum cleaner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복수로 마련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ven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stations.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기구로서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흐르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a vacuum cleaner seating part on which the robot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collection chamber in which the dir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s collected; and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chamber;
The connecting part is
a guide part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cleaner seating part; and
A robot cleaner station including a; a vent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part from which the guide part starts to extend, and a vent for generating a flow of external air flow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part from the one sid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밀착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펜스부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guide unit includes an upper guide housing and a lower guide housing forming a guide uni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wer guide housing includes a guide plate and a fence portion formed along an edge of the guide plate,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including a hollow portion therein,
The upper guide housing includes a guide sidewall that is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y of the fence and forms a side surface of the gui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펜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vent is
A robot cleaner station formed in the fen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communicate the hollow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guide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ence portion further includes a depression,
The vent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st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vent is a robot cleaner station formed in the guide side wall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guide p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복수로 마련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ven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stations.

KR1020200167016A 2020-12-02 2020-12-02 Robot cleaner station KR102466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16A KR102466280B1 (en) 2020-12-02 2020-12-02 Robot cleaner station
PCT/KR2021/013592 WO2022119094A1 (en) 2020-12-02 2021-10-05 Robot cleaner station
US18/199,421 US20230284854A1 (en) 2020-12-02 2023-05-19 Robot cleaner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016A KR102466280B1 (en) 2020-12-02 2020-12-02 Robot cleaner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758A true KR20220077758A (en) 2022-06-09
KR102466280B1 KR102466280B1 (en) 2022-11-14

Family

ID=8185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016A KR102466280B1 (en) 2020-12-02 2020-12-02 Robot cleaner stat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4854A1 (en)
KR (1) KR102466280B1 (en)
WO (1) WO2022119094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5189A (en) * 2015-03-27 2016-10-2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20200073677A (en)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584B1 (en) * 2011-09-01 2019-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system and maintenance station thereof
PL3076843T3 (en) * 2013-12-06 2018-03-3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elfpropelled and self-steering floor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system
ES2829919T3 (en) * 2014-12-24 2021-06-02 Irobot Corp Evacuation station
CN109480714B (en) * 2018-12-25 2023-10-03 北京享捷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ion and charging device and dust collection and charging method for sweeping rob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5189A (en) * 2015-03-27 2016-10-2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20200073677A (en)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4854A1 (en) 2023-09-14
WO2022119094A1 (en) 2022-06-09
KR102466280B1 (en)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7164B2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KR102470035B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620360B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11432704B (en) Robot cleaner
CN107007206B (en) Electric dust suction device
EP1980188B1 (en)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JP652290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210003543A (en) Robot cleaner station
JP2007181656A (en) Cleaner system
KR102466280B1 (en) Robot cleaner station
KR101108049B1 (en) Robot Cleaner
WO2022227427A1 (en) Fan assembly, dust collection pile, and cleaning system
CN219538160U (en) Sweeping robot host and sweeping robot
JP3723104B2 (en) Vacuum cleaner
JP4347538B2 (en) Vacuum cleaner inlet
KR20240009277A (en)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KR101851586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JP3781661B2 (en) Vacuum cleaner
CN117982064A (en) Dust collection assembly, cleaning robot and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