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015A -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015A
KR20220077015A KR1020200166095A KR20200166095A KR20220077015A KR 20220077015 A KR20220077015 A KR 20220077015A KR 1020200166095 A KR1020200166095 A KR 1020200166095A KR 20200166095 A KR20200166095 A KR 20200166095A KR 20220077015 A KR20220077015 A KR 20220077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wear
rubber string
mounting groove
articl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2539B1 (en
Inventor
정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일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일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일핸드
Priority to KR102020016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539B1/en
Publication of KR2022007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0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43/00Machines for making stitch lips,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soles or insoles before fixing same
    • A43D43/06Machines for making stitch lips,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soles or insoles before fixing same for applying reinforcing materials to insoles; Attachment of ornamental tapes or ribs, e.g. sewing ribs, on sole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은 장착 홈이 형성된 미드 솔을 제공하는 단계 및 장착 홈을 따라 러버 스트링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러버 스트링을 장착 홈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하여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신발물품의 치수와 무관하게 호환 사용이 가능하며, 신발물품의 바닥을 다양한 재질, 패턴, 컬러로 보강할 수가 있다.The method of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midsole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thereon and attaching a rubber string along the mounting groove, and since the rubber string can be cut and attach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groove, the shoe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article, and the bottom of the shoe article can be reinforced with various materials, patterns, and colors.

Description

러버 스트링을 이용한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및 신발물품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Method of reinforcing footwear and footwear using rubber strings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본 발명은 신발물품의 바닥 보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신발물품의 치수와 무관하게 호환 가능한 러버 스트링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reinforcement of a footwear art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using a rubber string compatible regardless of the dimensions of the footwear article, and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hereto.

종래의 신발은 갑피, 미드 솔 및 아웃 솔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하지만, 근래에는 미드 솔의 재질 개선으로 아웃 솔을 생략한 신발이 생산되기도 한다.Conventional shoes include an upper, a midsole, and an outsole as a basic configuration, but in recent years, shoes omitting the outsole are produc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material of the midsole.

아웃 솔이 없어도 충분히 제 기능을 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아웃 솔을 부착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의 접지 능력을 더 개선하기 위해서 아웃 솔을 부착할 수도 있고,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아웃 솔을 더 선호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t can function well without an outsole, but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attach an outsole. For example, an outsole may be attached to further improve the grounding ability of the floor, and there may be cases in which an outsole is preferred according to a consumer's request.

한국등록특허 제10-0763138호(2007.09.22. 등록)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3098호(2014.07.25. 공개)에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아웃 솔을 부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아웃 솔에 해당하는 러버 패드를 미드 솔의 형상에 맞게 재단하고, 재단된 아웃 솔을 미드 솔의 저면에 접착하는 방식에 따른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3138 (registered on September 22, 2007)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3098 (published on July 25, 2014) disclose a method of attaching an outso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 rubber pad corresponding to the outsole is cut to fit the shape of the midsole, and the cut outsole is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종래의 방법에서는 신발의 모든 치수에 맞게 아웃 솔이 재단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재고 관리나 유통 측면에 불리할 수 있다. 특히, 미드 솔만으로도 신발의 생산이 가능한 요즘, 모든 신발에 맞게 아웃 솔에 치수에 따라 구비한다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outsole must be cut to fit all dimensions of the shoe, it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nventory management or distribution. In particular, it may not be necessary to provide the outsole according to the dimensions to fit all shoes these days, in which shoes can be produced only with the mid sole.

본 발명은 신발물품의 치수와 무관하게 아웃 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inforcing an article of footwear capable of adding an outsole function regardless of the dimensions of the article of footwear, and a footwear article manufactured accordingly.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 다양한 재질, 다양한 컬러 등을 미드 솔의 저면에 부가할 수 있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신발물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capable of adding various shapes, various materials, various colors, etc. to the bottom surface of a mid sole, and footwear articles manufactured therewith.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은 장착 홈이 형성된 미드 솔을 제공하는 단계 및 장착 홈을 따라 러버 스트링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러버 스트링을 장착 홈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하여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신발물품의 치수와 무관하게 호환 사용이 가능하며, 신발물품의 바닥을 다양한 재질, 패턴, 컬러로 보강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inforc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midsole having a mounting groove and attaching a rubber string along the mounting groove. And, since the rubber string can be cut and attached to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groove,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ootwear product, and the bottom of the footwear product can be reinforced with various materials, patterns, and colors.

장착 홈은 균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러버 스트링도 장착 홈에 맞게 균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장착 홈을 넓게 형성하고, 러버 스트링이 하나의 장착 홈 내에서 수평하게 밀착되면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width, and the rubber string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uniform width to fit the mounting groove. Of cours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wide mounting groove, and to attach the rubber string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horizontally within one mounting groove.

장착 홈의 깊이는 러버 스트링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러버 스트링이 장착 홈에 부착, 접착, 고정되면서, 러버 스트링의 저면이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홈을 깊게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러버 스트링을 부가하지 않더라도 미드 솔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depth of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string,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string is drawn out while the rubber string is attached, adhered, and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In addition, by not forming a deep mounting groove, it is possible to use only the midsole without adding a rubber string.

장착 홈은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 홈 및 러버 스트링은 중첩되거나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 curved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mounting groove and the rubber string may be formed to overlap or connect.

러버 스트링이 수평하게 용이하게 절곡되어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그 양측에 노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노치는 러버 스트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주하여 동일한 주기로 형성되거나 양측을 번갈아 가며 교호적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Notch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string so that the rubber string is easily bent horizontally to facilitate direction change, and the notches fa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ubber string to be formed at the same period or alternately formed on both sides. can

양측의 노치를 교호적으로 형성하는 경우, 노치의 깊이는 러버 스트링의 폭의 1/2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장착 홈의 형상에 잘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notches on both sides are alternately formed, the depth of the notches is made equal to or more than 1/2 of the width of the rubber string,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hapes of various mounting grooves.

본 발명의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에 따르면, 균일한 단면의 러버 스트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신발물품의 바닥에 아웃 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치수에 따라 아웃 솔 패드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업자, 소비자 또는 유통업자 등이 용이하게 러버 스트링을 미드 솔의 저면에 부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sole function can be added to the bottom of various footwear articles by using a rubber string of a uniform cross section.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n outsole pa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and a manufacturer, consumer, or distributor can easily add a rubber string to the bottom of the midsole.

장착 홈에 러버 스트링을 부가할 수도 있고, 부가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장착 홈 중 일부에만 러버 스트링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ubber string may or may not be added to the mounting groove, and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rubber string to only a part of the mounting groove.

러버 스트링은 다양한 형상, 다양한 재질, 다양한 컬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신발물품의 특성에 맞게 조절하거나 디자인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rubber string can use various shapes, various materials, various colors, etc., and by using this, it can be adjusted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footwear products or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in desig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 및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물품에서 러버 스트링 및 장착 홈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의 러버 스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 및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신발물품의 러버 스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reinforcing 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inforcing the footwear article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oss-section of a rubber string and a mounting groove in the footwear article of FIG. 1 .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ubber string of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reinforcing 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ubber string of the footwear article of FIG. 7 .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inforcing the footwear articl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 rules may be cited and described, and contents determin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 및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신발물품에서 러버 스트링 및 장착 홈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reinforcing 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inforcing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1 , and FIG.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ross section of a rubber string and a mounting groove in a footwear articl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100)은 갑피(110) 및 미드 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물품의 종류에 따라 갑피(110) 및 미드 솔(120)은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미드 솔(120)의 저면에는 일반적인 요철이나 패턴(122)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드 솔(120)이 상당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1 to 3 , the article of footwe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110 and a mid sole 120 . Depending on the type of footwear, the upper 110 and the mid sole 120 may be formed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General irregularities or patterns 12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 sole 120 , and the mid sole 120 may have considerable durability.

미드 솔(120)의 저면에는 장착 홈(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 홈(130)에는 압출 성형 등을 통해서 제작된 러버 스트링(140)이 부착될 수 있다. 러버 스트링(140) 및 장착 홈(130)은 균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 홈(130)에 따라 러버 스트링(140)을 삽입 및 부착함으로써 아웃 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A mounting groove 13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 sole 120 , and a rubber string 140 manufactured through extrusion molding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130 . The rubber string 140 and the mounting groove 130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width, and an outsole function may be added by inserting and attaching the rubber string 140 according to the mounting groove 130 .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두 개의 장착 홈(130, 135)이 형성되고, 각각에 다른 길이의 러버 스트링(140, 145)이 재단하고(a), 러버 스트링(140, 145)을 장착 홈(130, 135)을 따라 절곡하면서 부착할 수 있다(b)(c).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wo mounting grooves 130 and 135 are formed, rubber strings 140 and 145 of different lengths are cut in each (a), and the rubber strings 140 and 145 are cut. It can be attached while bending along the mounting grooves 130 and 135 (b) (c).

다른 실시예에서는 장착 홈과 러버 스트링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고, 신발물품의 치수가 증가하면 세 쌍의 장착 홈과 러버 스트링을 형성 및 부착할 수도 있다. 즉, 치수에 따라 장착 홈과 러버 스트링의 크기를 증감하는 것이 아니라, 장착 홈과 러버 스트링의 개수나 길이 등 증감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nly one mounting groove and a rubber string may be formed, and when the size of a footwear article increases, three pairs of mounting grooves and a rubber string may be formed and attached. That is, instead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ize of the mounting groove and the rubber string according to the dimensions, the number or length of the mounting groove and the rubber string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의 장착 홈(130, 135)에 모두 러버 스트링을 삽입 및 부착하지 않고, 어느 하나만 부착하거나 부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not attach the rubber string to both of the two mounting grooves 130 and 135, and to attach or not attach one of them.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장착 홈(130)을 따라 한 줄의 러버 스트링(140)이 부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장착 홈을 넓게 형성하고, 그 안에서 한 줄의 러버 스트링이 겹겹이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one row of rubber strings 140 is attached along one mounting groove 130, but in some cases,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widely,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row of rubber strings are bent layer by layer therein. .

도 3을 보면, 장착 홈(130)의 깊이는 러버 스트링(14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러버 스트링(140)이 장착 홈(130)에 부착, 접착, 고정되면서, 러버 스트링(140)의 저면이 도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depth of the mounting groove 13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string 140 , and while the rubber string 140 is attached, adhered, and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130 , the rubber string 140 is attached to the rubber string 140 . ) can be derived.

장착 홈은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러버 스트링의 단면도 사각형 외에도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unting groove may be variously formed in a shap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oval, and a trapezoid in addition to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ubber strin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미드 솔(220)의 저면에 장착 홈을 전족부에서 후족부까지 이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길게 이어진 장착 홈에 러버 스트링(240)을 삽입 및 부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원하는 형상에 따라 나선형, 지그재그, 평행선, 물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 , a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220 to extend from the forefoot to the hindfoot, and the rubber string 240 may b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extended mounting groove. In addition, various shapes such as spiral, zigzag, parallel lines, and wavy shapes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desired shape.

도 5를 참조하면, 미드 솔(320)의 저면에 장착 홈을 원형이나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장착 홈을 따라 러버 스트링(340)을 삽입 및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5 ,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mounting groove in a circular or closed curve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 sole 320 , and insert and attach the rubber string 340 along the mounting groov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의 러버 스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ubber string of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와 같이 러버 스트링(140)을 단일한 단면을 갖도록 일자로 형성할 수 있다(a).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러버 스트링의 용이한 절곡을 위해 러버 스트링(440, 540)의 양측에 노치(442, 542)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rubber string 14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have a single cross-section (a). However, in some cases, notches 442 and 54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strings 440 and 540 for easy bending of the rubber strings.

노치를 형성할 때, (b)와 같이, 노치(442)를 러버 스트링(4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주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c)와 같이 노치(542)를 러버 스트링(5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도 있다.When forming the notch, as shown in (b), the notch 442 may be formed to 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bber string 440, and as shown in (c), the notch 542 is formed in the rubber string 540. It may be formed alternately in a zigza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 및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신발물품의 러버 스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for reinforcing 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ubber string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7, and FIG.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은 갑피(610) 및 미드 솔(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드 솔(620)의 저면에는 일반적인 요철이나 패턴(622) 등이 형성될 수 있다. 7 to 9 , 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610 and a mid sole 620 , and general irregularities or patterns 622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 sole 620 . can be formed.

미드 솔(620)의 저면에는 뒤꿈치에 대해 원호 형상의 장착 홈(6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 홈(630)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러버 스트링(640)이 부착될 수 있다. A mounting groove 630 having an arc shape with respect to the heel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 sole 620 , and a rubber string 640 formed in a zigzag shape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630 .

본 실시예의 러버 스트링(640)은 양측으로 교호적으로 형성된 노치(642)를 포함하며, 노치(642)의 깊이가 러버 스트링(640)의 폭의 1/2보다 길게 형성되며, 노치(642)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ubber string 64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notches 642 alternately formed on both sides, the depth of the notches 642 is formed longer than 1/2 of the width of the rubber string 640, and the notches 642 It may also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따라서, 러버 스트링(640)이 장착 홈(630)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면서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ubber string 640 may be freely bent and attach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630 .

도 9를 보면, 장착 홈(630)의 길이에 따라 러버 스트링(640)이 재단될 수 있으며(a), 러버 스트링(640)을 장착 홈(630)따라 절곡하면서 부착할 수 있다(b)(c). 또한, 다른 경우에 따르면, 장착 홈(630)의 한쪽 끝에서부터 러버 스트링(640)을 접착하면서, 장착 홈(630)의 다른 끝에서 러버 스트링(640)을 잘라 끝에 맞추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rubber string 640 may be cu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ounting groove 630 (a), and the rubber string 640 may be attached while bending along the mounting groove 630 (b) ( c). Also, according to another case, while bonding the rubber string 640 from one end of the mounting groove 630 , the rubber string 640 may be cut from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groove 630 to fit the end.

본 실시예에서도 신발물품의 치수가 증가하면 장착 홈의 길이나 형상, 개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장착 홈이나 러버 스트링의 치수를 별도로 크게 형성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Even in this embodiment, if the size of the footwear article increases, the length, shape, and number of the mounting groove may be changed, and it may not be necessary to separately form the large size of the mounting groove or the rubber str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 신발물품 110 : 갑피
120 : 미드 솔 130 : 장착 홈
140 : 러버 스트링
100: footwear 110: upper
120: mid sole 130: mounting groove
140: rubber string

Claims (12)

신발물품의 보강방법에 있어서,
장착 홈이 형성된 미드 솔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장착 홈을 따라 러버 스트링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In the method of reinforcing footwear,
providing a midsole with mounting grooves; and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comprising; attaching a rubber string along the moun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균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with a uniform wid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깊이는 상기 러버 스트링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pth of the mounting groove is a method of reinforcing an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st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groove is a method of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스트링의 양측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reinforcing a footwear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notch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str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마주하거나 교호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hod for reinforcing an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es are opposite or alternately formed.
제6항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형성된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러버 스트링의 폭의 1/2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lternately formed depth of the notch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the width of the rubber string.
장착 홈이 형성된 미드 솔 및 상기 장착 홈을 따라 부착된 러버 스트링을 포함하는 신발물품.A footwear article comprising: a midsole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thereon; and a rubber string attached along the mounting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균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with a uniform wid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스트링의 양측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9. The method of claim 8,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notch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str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마주하거나 교호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es are opposite or formed alternately.
제11항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형성된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러버 스트링의 폭의 1/2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lternately formed notches have a depth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a width of the rubber string.
KR1020200166095A 2020-12-01 2020-12-01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KR102462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95A KR102462539B1 (en) 2020-12-01 2020-12-01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95A KR102462539B1 (en) 2020-12-01 2020-12-01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15A true KR20220077015A (en) 2022-06-08
KR102462539B1 KR102462539B1 (en) 2022-11-02

Family

ID=8198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095A KR102462539B1 (en) 2020-12-01 2020-12-01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53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780Y1 (en) * 1985-04-15 1987-11-11 백승인 A stiffener of shoe insole
KR100665334B1 (en) * 2005-03-02 2007-01-09 주식회사 우성우레탄 Midsole having elastic band
KR20160000908U (en) * 2014-09-05 2016-03-16 박애정 Reinforcing Force For Women's Sho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780Y1 (en) * 1985-04-15 1987-11-11 백승인 A stiffener of shoe insole
KR100665334B1 (en) * 2005-03-02 2007-01-09 주식회사 우성우레탄 Midsole having elastic band
KR20160000908U (en) * 2014-09-05 2016-03-16 박애정 Reinforcing Force For Women's 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539B1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3944S1 (en) Shoe with translucent outsole
US1002193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cavity viewing system
US11147341B2 (en) Sole structures with regionally applied auxetic openings and siping
US818607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ipes
US20230078361A1 (en) Independently movable sole structure
US10667577B2 (en)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US20220079290A1 (en) Article with sole structure having multiple components
EP3086678B1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brasion resistant out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70245580A1 (en) Sole Structure With Visual Effects
CN104886869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flexible reinforcing plate
EP3231309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vertical grooves
US10660400B2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grooves and a flex control insert with ribs
US20200100568A1 (en) Safety Women's High Heel Shoe
US2229406A (en) Shoe sole
KR102462539B1 (en) Method of adding rubber string on bottom of footwear and footwear thereof
WO2018123005A1 (en) Outsole and shoe
JP5655073B2 (en) Footwear having a nose with a groove
US11969054B2 (en) Slip-resistant footwear tread including wide dispersion channels
USD1011713S1 (en) Shoe midsole periphery
JP6081900B2 (en) Shoe sole and shoes with the sole
CN206433854U (en) A kind of pliable one-shot forming footwear
EP3020301A1 (en) Sole stabilizer
JP2005058648A (en) Reinforcement core for preventing front sagging of shoe, insole and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