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965A -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965A
KR20220076965A KR1020200165985A KR20200165985A KR20220076965A KR 20220076965 A KR20220076965 A KR 20220076965A KR 1020200165985 A KR1020200165985 A KR 1020200165985A KR 20200165985 A KR20200165985 A KR 20200165985A KR 20220076965 A KR20220076965 A KR 2022007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portal service
buried
buried 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1599B1 (en
Inventor
전우주
Original Assignee
전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우주 filed Critical 전우주
Priority to KR102020016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599B1/en
Publication of KR2022007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유적명, 주소, 시대, 유적의 성격, 출토유구, 출토유물 및 조사년도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인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QGIS 프로그램으로 지번이 표시된 지적도 상에 유구 및 유물을 포함하는 매장문화재의 발굴 위치 및 해발 고도를 캐드 도면으로 작성하여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한 매장문화재 데이터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를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로부터 수집된 캐드 도면을 매장문화재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캐드관리부,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분류자가 태깅된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추출하여 결과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n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is provided, and a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name, address, era,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excavated remains, excavated relics and the year of investigation is provided, and the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is provided. A user terminal for outputting buried cultural heritage data, which is the result data, at least one CAD terminal for creating and uploading a CAD drawing of the excavation location and elev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including remains and relics on a cadastral map marked with a lot number with a QGIS program, and at least A storage unit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data collected from one public institution server and tags at least one classifier to form a database, and maps the CAD drawing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CAD terminal with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data and stores it When a search word is input from the CAD management unit and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for extracting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tagged by the classifi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as the result data.

Description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본 발명은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하나의 브라우저에서 발굴에서부터 보존까지의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can check the history from excavation to preservation in a single browser by integrating distributed data into a database.

고고학자들은 오랜 기간 유적조사 연구에 있어서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여 조사연구의 결과물로 발굴위치 및 주제도 등의 공간정보를 최종보고서에 반드시 수록하고 있다. 이렇게 구축된 공간정보는 GIS를 이용해 디지털 환경으로 구축될 수 있다면 공간분석 및 통계 등에 이용될 수 있어 고고학적 분석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고고학의 발굴보고서는 유적위치도, 발굴구역도, 유구배치도, 개별유구도 등의 도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제도와 도면들에서는 유구, 유물 등을 점, 선, 면의 형태로 지도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므로 GIS의 벡터 데이터 구조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이 용이하다. 공간데이터로 변환된 도면 자료를 고고학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도면의 사상들과 연결된 유구, 유물 등의 속성데이터가 모두 공간데이터와 연결된 공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되어야 한다.Archaeologists have been deep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in research on ruins for a long time, and as a result of research, spatial information such as excavation locations and thematic maps must be included in the final report. If the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built into a digital environment using GIS, it can be used for spatial analysis and statistics, and thu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for archaeological analysis.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includes drawings of the location of the ruins, the excavation area map, the arrangement of the remains, and the individual remains. In these thematic maps and drawings, relics and relics are mapped and expressed in the form of points, lines, and planes, so it is easy to convert them into spatial data using the vector data structure of GIS. In order to utilize the drawing data converted into spatial data for archaeological analysis, all attribute data such as remains and relics connected to the events of the drawing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patial database connected to the spatial data.

이때, 유적지 및 문화재의 정보를 기록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116561호(2020년05월28일 공고)에는, 360도 촬영장치로 현장 실사 유적지 배경을 촬영하고, 유적지 모형의 3차원 좌표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유적지 모형의 크기에 대한 3차원 모델정보를 기준으로 유적지 모형을 배율로 표현한 크기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전체 형상을 재현하는 구성이 개시되고, 한국등록특허 제10-1509143호(2015년04월07일 공고)에는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등고 색상 레벨, 이미지 표면 레벨을 제공함으로써 단순 이미지만으로도 깊이 및 형태 크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종의 프로그램 상에서도 호환 가능한 파일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776059호(2017년09월07일 공고)에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지역의 문화재 관련 위치, 지적, 고건물 정보, 고증 및 학술자료, 고지도 정보 및 연대 분석 정보를 다수의 레이어들로 형성하고, 다수의 레이어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레이어들을 중첩하여 표시해줌으로써, 문화재 조사 또는 발굴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various methods of recording information on historical sites and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he overall shape by photographing the historical site background and creating a three-dimensional model with the size expressed by the scale of the historic site model based on the 3D model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historic site model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3D coordinates of the historic site model is disclosed, an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09143 (announced on April 07, 2015), by providing contour color level and image surface level by using three-dimensional data, depth and shape size can be determined with only a simple image. It is easy to understand, and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that is produced and provided as a file compatible even on different programs. By forming cultural properties-related location, cadastral, ancient building information, historical evidence and academic data, old map information, and age analysis information into multiple layers, and displaying layer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among multiple layers,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or Each configuration capable of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a user during excavation is disclosed.

다만, 상술한 방법으로 각 고고학 자료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했다고 할지라도 문화재를 조사하는 기관 및 업체가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데이터베이스가 통합되지 못하여 각각 분산되어 자료가 산재되어 있고, 이를 조회하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지 못하거나 접근할 권한이 없거나 자료 분실로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또, 현재 도면을 일러스트로 제작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치수 구현이 되지 않고 포맷이 정형화되지 않아 다른 유적과 비교도 어렵다. 매장문화재를 조사하는 연구원의 야장 또한 기록물로 보존되지 않기 때문에 각 조사원의 노하우가 전달될 리 없고, 어떠한 과정으로 유적이 조사되었는지에 대한 기록도 전무하다. 또, 출토된 유물의 해발고도를 알 수 없고, 유물 보존처리현황에 대한 정보도 없기 때문에 후대에 어떠한 방법으로 보존처리를 해야하는지에 대한 기본 데이터가 전혀 없다. 또, 토지거래에 있어 문화유적분포지도가 전혀 참고되지 않고, 또 참고할 것이 없기 때문에 사인 간 거래로 선의의 또 불측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에, 각 기관의 데이터를 통합시키고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자료를 표준화된 포맷으로 통일시킴으로써 고고학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검색·활용을 위한 설계가 요구된다.However, even if each archaeological data is collected and databased by the above method, the database cannot be integrated due to different institutions and companies investigating cultural properties, so the data are dispersed and scattered, and those who want to inquire or use it In most cases, research cannot be conducted because of inability to access the database, lack of access rights, or loss of data.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drawings are made with illustrations, accurate dimensions are not realized and the format is not standardized, making it difficult to compare with other remains. Since the researcher's field trips investigating buried cultural properties are not preserved as records, the know-how of each investigator cannot be transmitted, and there is no record of how the remains were investigated. Also, since the elevation of the excavated artifacts cannot be known and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preservation and treatment of the artifacts, there is no basic data on how to preserve them in the future. In addition, in land transaction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distribution map of cultural relics is not referenced at all, and there are cases where there is a case of harm in good faith or unexpectedly due to a transaction between private parties. Therefore, design for efficient management, search and utilization of archaeological data is required by integrating the data of each institution and unifying the data entered into the database in a standardized form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되고 산재된 매장문화재를 포함한 고고학 자료를 연계 및 통합하여 검색하는 포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조회하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지적도 및 QGIS 상 유물 또는 유구의 출토 위치를 캐드 도면으로 정형화되도록 작성하여 정확한 수치, 크기 및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시계열 데이터로 유적 조사 과정 및 프로세스를 기록하도록 하고, 출토된 유물의 해발고도 뿐만 아니라 유물이 발굴되고 난 후의 보존처리현황에 대한 정보를 히스토리 데이터로 작성하며, 문화유적분포지도를 작성 및 공시하여 부동산 매매 또는 제한물권 설정에 선의의 피해자가 없도록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l service for linking and integrating archaeological data including dispersed and scattered buried cultural assets so that those who want to inquire or use can obtain accurate information, and relics on cadastral maps and QGIS Alternatively, the excavation location of the remains is written in a standardized CAD drawing so that you can know the exact number, size and location, and the process and process of the remains investigation are recorded with time series data, and not only the elevation of the excavated relics but also the relics are discovered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in which information on the post-conservation and treatment status is written as historical data, and a distribution map of cultural relics is prepared and published so that there are no victims in good faith in real estate sales or establishment of restricted property rights can provide 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적명, 주소, 시대, 유적의 성격, 출토유구, 출토유물 및 조사년도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인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QGIS 프로그램으로 지번이 표시된 지적도 상에 유구 및 유물을 포함하는 매장문화재의 발굴 위치 및 해발 고도를 캐드 도면으로 작성하여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한 매장문화재 데이터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를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로부터 수집된 캐드 도면을 매장문화재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캐드관리부,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분류자가 태깅된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추출하여 결과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name of the relic, the address, the era, the nature of the relic, the excavated remains, the excavated relic and the research year,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at outputs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which is the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nd at least one CAD drawing of the excavation location and elev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including remains and relics on the cadastral map marked with the lot number with the QGIS program and uploading it A storage unit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data collected from the CAD terminal and at least one public institution server and makes a database by tagging at least one classifier; It includes a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AD management unit for mapping and storing, and a transmission unit for extracting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tagged with a classifi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when a search term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as the result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분산되고 산재된 매장문화재를 포함한 고고학 자료를 연계 및 통합하여 검색하는 포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조회하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지적도 및 QGIS 상 유물 또는 유구의 출토 위치를 캐드 도면으로 정형화되도록 작성하여 정확한 수치, 크기 및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시계열 데이터로 유적 조사 과정 및 프로세스를 기록하도록 하고, 출토된 유물의 해발고도 뿐만 아니라 유물이 발굴되고 난 후의 보존처리현황에 대한 정보를 히스토리 데이터로 작성하며, 문화유적분포지도를 작성 및 공시하여 부동산 매매 또는 제한물권 설정에 선의의 피해자가 없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각 기관의 데이터를 통합시키고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자료를 표준화된 포맷으로 통일시킴으로써 고고학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검색·활용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ortal service for linking and integrating archaeological data including dispersed and scattered buried cultural assets, a search portal service is provided so that a person who wants to inquire or use can obtain accurate information, , cadastral maps and QGIS to standardize the excavation location of relics or relics in CAD drawings so that the exact figures, sizes, and locations can be known.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preservation and treatment after the excavation of relics is written as historical data, and a distribution map of cultural relics is prepared and disclosed to ensure that there are no victims in good faith in real estate sales or establishment of restricted property rights, and ultimately, data of each institution Efficient management, retrieval and utilization of archaeological data can be achieved by unifying the data entered into the database in a standardized forma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tegrated buried cultural heritage portal service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conscionable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of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Meanwhil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instead of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1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 at least It may include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 However, since th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1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storage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the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elem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매장문화재를 검색하고자 하는 개인, 기관 또는 기업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유적명, 주소, 시대, 유적의 성격, 출토유구, 출토유물 및 조사년도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인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문화유적분포지도를 이용하여 부동산 거래 또는 계약 전 재산권 또는 제한물권의 행사를 방해받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유물이 출토된 해발고도나, 출토 후 보존 프로세스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종류, 양, 시기 등을 확인하고자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출토된 유물의 관리 또는 귀속 기관을 확인하고 현재 보관 또는 관리되는 박물관 등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n individual, an institution, or a company who wants to search for buried cultural heritage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heritage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inputs a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name of the relic, the address, the era, the nature of the relic, the excavated relic, the excavated relic, and the research year, and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that is the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It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intends to check whether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or limited property rights before a real estate transaction or contract is hindered using the cultural relics distribution map.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wants to check the altitude at which the relic was excavated, or the type, amount, time, etc. of the chemical included in the preservation process after excava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for checking the management of the excavated relics or an institution to which they belong, and for checking the location of a museum that is currently stored or managed.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관에 분산되어 보관 및 저장된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매장문화재를 검색할 수 있도록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분류자를 태깅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로 각 유물 또는 유구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각 발굴지의 크기 등을 실측 크기로 알 수 있도록 캐드 작업을 요청하고, 그 결과물을 해당 매장문화재 데이터의 고유식별코드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문화유적분포지도를 작성하여 각 정부기관의 공시 자료로 배포하거나 또는 지번이나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면 권리행사에 제한이 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미도시)에서 유적 발굴을 하는 경우 복수의 협업자(조사자)의 위치와 발굴 유적이나 유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중복된 서류작업을 하지 않도록 고유식별부호별로 각 작업이 배분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로부터 유물이나 유적을 보존 또는 복원하기 위해 사용된 화학물질 등의 종류, 도포된 양, 도포된 위치 등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하여 매장문화재에 부여된 고유식별부호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장문화재를 보관하는 박물관 등의 적어도 하나의 기관 서버나 단말(미도시)로부터 현재 매장문화재가 보존되고 있는 실시간 환경 데이터, 예를 들어, 온도, 습도, 오염도, 분진량, 공기조성비율 등을 수집함으로써 어떠한 환경에서 보관 및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고유식별부호를 기준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buried cultural property integrated portal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stored and stored buried cultural assets data distributed in at least one institution to build an integrated database.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search for buried cultural assets in the user terminal 100 as an integrated database and tags and stores a classifier corresponding to a search word. And,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to accurately know the location of each relic or relic, request a CAD operation so that the size of each excavation site can be known as the actual size, and the result It may be a server that maps and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repares a distribution map of cultural relics and distributes them as public data of each government agency, or provides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exercise of rights is restricted when a lot number or street name address is entered. It can be a server that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a collaboration platform by allowing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collaborators (investigators) and the excavation remains or remains to be confirmed when excavating relics from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not shown). , it may be a server that distributes each job by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avoid duplicate paperwork.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historical data such as the type of chemical used to preserve or restore relics or relics from the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 the amount applied, and the location of the application. Thus, it may be a server that maps and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given to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real-time environmental data, for example, temperature, humidity, It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pollution level, dust amount, air composition ratio, etc. and stores it based on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 what environment it is stored and maintained.

여기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은,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물 또는 유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그 실측 크기대로 캐드를 작성함으로써 지적도 및 QGIS 상에 겹쳐지도록 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캐드 작업을 배분 및 할당받고, 이에 대한 캐드 작업을 실시하는 단말일 수 있는데, 캐드 작업시 축적 및 실측 크기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함으로써, 후대에 또는 현재 연구하는 연구자나 학생 또는 개인이나 기업 등에서 실제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다만, 프로그램은 캐드에 한정되지는 않고 실측 크기를 확인할 수 있고 확대를 할지라도 그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는 이미지 작업이 아닌 한 모든 프로그램은 가능하다 할 것이므로 캐드 프로그램에 한정하지는 않는다.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is a cadastral map by displaying the location of relics or relics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nd creating a CAD according to the actual size. and a terminal capable of being superimposed on QGIS.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distributes and receives CAD work from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performs a CAD work on it. Information on accumulation and actual size during CAD work It may be a terminal that allows to check the actual size of a researcher or student, an individual or a company, etc. that are researched in the future or currently by inputting together. However, the program is not limited to the CAD program, and the actual size can be checked, and all program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resolution does not decrease even if the image is enlarged, so it is not limited to the CAD program.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매장문화재를 보존 또는 복원하기 위하여 도포한 화학물질 등의 종류, 성분, 식별넘버 등과, 해당 화학물질을 도포한 위치, 즉 매장문화재 상에 도포된 위치를 XYZ 좌표를 이용하거나 카메라로 자동수집되도록 함으로써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카메라로 수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연동될 수 있으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The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uses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heritage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Types and components of chemicals applied to preserve or restore buried cultural assets , identification number, etc., the location where the chemical is applied, that is, the location coated on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may be a terminal that transmits it to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by using XYZ coordinates or automatically collecting it with a camera. In this case, in order to be collected by a camera, the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may be linked with the at least one camera, and may be a terminal that transmits to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storage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storage terminal 500 is,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Figures 3 and 4 are a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캐드관리부(320), 전송부(330), 업데이트부(340), 환경관리부(350), 분포지도부(360), 단계관리부(370) 및 클라우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 a CAD management unit 320 , a transmission unit 330 , an update unit 340 , an environment management unit 350 , and a distribution map unit 360 . , a step management unit 370 and a cloud unit 380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로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preservation When transmitting a buried cultural property integrated portal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to the terminal 5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may install or open a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In addition,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includes an app (App)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한 매장문화재 데이터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를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초기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할 때, 컴퓨팅 자원이나 네트워킹 자원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각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유물의 발굴조사는 B 기관에서 수행했으며, C업체에서 문화재보존처리나 시료분석을 하였으며, D 박물관에서 현재 매장문화재를 보관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각 기관이나 업체 또 박물관의 정보를 모두 가져오는 방법이 이상적이지만, 산재된 정보가 너무 많거나 각 기관별로 보관하거나 관리하는 주체가 법정되어 있거나 관할이 다른 경우 등은 각 기관별 데이터를 사람이 일일이 모두 모으기란 쉽지 않다.Referring to FIG. 2 , the storage unit 310 may assign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public institution server and tag at least one classifier to form a database. The storage unit 310, when collecting the initial database, when computing resources or networking resources are not sufficient, the database may be built by linking each databas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excavation of artifact A was conducted by institution B,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processing or sampl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ny C, and museum D currently stores buried cultural assets, information of each institution, company, or museum Although the method of importing all is ideal, it is not easy for a person to collect all data for each institution, for example, when there is too much information scattered around, there is a legal entity that stores or manages each institution, or when the jurisdiction is different.

우선, 각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부터 알아야 하므로 웹 크롤러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한다. 웹 크롤러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크롤링(WebCrawling) 혹은 스파이더링(Spidering)이라 부르며 봇이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형태이다. 웹 크롤러는 크게 일반 웹 크롤러와 분산 웹 크롤러가 있다.First, we need to know where each data is, so we use a web crawler to figure out the location of the data. A web crawler is a computer program that browses the World Wide Web in an organized and automated way. The work of a web crawler is called web crawling or spidering, and it is a type of bot or software agent. There are two main types of web crawlers: general web crawlers and distributed web crawlers.

웹 크롤러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URL 프론티어(Frontier) 모듈에서 URL을 가져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해당 URL의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패치(Fetch) 모듈에서 임시 저장소에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파서(Parser) 모듈에서 텍스트와 링크를 추출을 하고 텍스트는 인덱서(Indexer)에 보내진다. 링크의 경우는 URL 프론티어에 추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Content Seen, URL Filter, Duplication URL Element 모듈들을 거치면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웹 문서를 전부를 일반 웹 크롤러로 크롤링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산 웹 크롤러를 더 사용할 수 있다. When explaining the basic operation of a web crawler, it starts by fetching a URL from the URL Frontier module and fetching a web page of the URL using the HTTP protocol. Then, the Fetch module stores the web page in temporary storage, the Parser module extracts the text and links, and the text is sent to the Indexer. In the case of a link, whether it should be added to the URL frontier is determined by going through the Content Seen, URL Filter, and Duplication URL Element modules. At this time, sinc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rawl all web documents with a general web crawler, a distributed web crawler can be further used.

분산 웹 크롤러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중앙 집중식(Centralized)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P2P(or Fully-Distributed) 방식이다. 중앙 집중식 분산 웹 크롤러는 URL 매니저가 서버와 같은 역을 수행하고, 크롤러가 클라이언트 역을 하는 구조이다. 크롤러에서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아웃링크(OutLink) URL을 추출하여 URL 매니저에게 넘겨주면 URL 매니저는 다운로드 받은 문서의 URL인지 검사하여 URL 중복을 제거를 한다. 즉 일반 웹 크롤러에서 URL 중복과 URL 관리를 하는 부분을 URL 매니저가 대신 해 주는 것이다. 한편, P2P 방식은 각 Crawler가 완전 독립적인 구조를 가진다. P2P 방식은 각각의 크롤러가 일반 웹 크롤러처럼 동작을 한다. 각각의 크롤러는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OutLink URL을 추출하고 URL 중복제거까지 모두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크롤러에서 관리하는 다운로드 받은 URL 목록은 서로 배타적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크롤러에서 같은 문서를 다운로드 받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크롤러는 다운로드 받을 URL 도메인(Domain)을 서로 배타적으로 나눠서 관리할 수 있다. 즉, 자신이 다운로드 도메인에 속하는 것만 관리하고 나머지 URL은 다른 크롤러에게 넘기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Distributed web crawler is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ne of which is centralized and the other is P2P (or Fully-Distributed). A centralized distributed web crawl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RL manager acts like a server and the crawler acts as a client. After downloading the document from the crawler, extracting the OutLink URL and passing it to the URL manager, the URL manager checks whether the URL of the downloaded document is the URL and removes the URL duplication. In other words, the URL manager takes over the URL duplication and URL management in the general web crawler. On the other hand, in the P2P method, each crawler has a completely independent structure. In the P2P method, each crawler operates like a general web crawler. Each crawler downloads documents, extracts OutLink URLs, and deduplicates URLs. Each crawler operates independently. To do this, the list of downloaded URLs managed by each crawler must be mutually exclusive. Otherwise, the phenomenon of downloading the same document from different crawlers will occur. As a way to solve this, each crawler can manage the download URL domains by dividing them exclusively.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managing only what belongs to the download domain and passing the rest of the URLs to other crawlers. If this method is used, each crawler can operate independently.

그 다음은 웹 콘텐츠를 추출해야 하는데, 웹 콘텐츠 추출 기술은 웹 문서로부터 정보 분석에 활용될 콘텐츠 등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웹 콘텐츠 추출 시스템은 콘텐츠를 추출하는 규칙을 자동 생산해 콘텐츠만을 추출하는 장치로 콘텐츠 추출 규칙을 자동 생성하는 규칙 생성기(Rule Generator), 주어진 웹 문서에서 내비게이션 콘텐츠를 제거하는 네비게이션 콘텐츠 제거기(Navigation Content Eliminator), 콘텐츠 추출 규칙 키워드 유사도 비교를 통해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기(Core Context Extractor)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크롤링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간 자료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Next, web content needs to be extracted. Web content extraction technology provide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extract content to be used for information analysis from a web document. A web content extraction system is a device that extracts only content by automatically producing rules for extracting content, a rule generator that automatically creates content extraction rules, and a navigation content eliminator that removes navigation content from a given web document. , it may be composed of a content extractor (Core Context Extractor) that extracts content through comparison of keyword similarity with content extraction rule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ollect real-time data by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rawling method, and is not limited to the listed ones, and is not excluded for reasons not listed.

이렇게 어느 기관에서 무슨 작업을 했는지를 파악을 한 후에는 각 매장문화재에 고유식별부호를 부여하고, 이 고유식별부호를 기준으로 각종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각 항목을 필드화시켜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할 검색자에 의해 해당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매장문화재에 1234라는 고유식별부호가 부여되었으면, [1234-명칭-발굴장소(유적명)-출토해발고도-캐드도면-주소-조사년도-보존화학물질-현재보관기관(위치)]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각 분류자(필드)별로 저장을 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표 1과 같을 수 있다. 만약, 데이터베이스에 확보되지 못했다면, 데이터베이스의 포인터 기능을 이용하여 연동 또는 연계되는 사이트를 연동시키거나 해당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방법으로 각 필드에 항목을 채워넣을 수도 있다.After figuring out what work was done by which institution in this way,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buried cultural property, and various data are mapped and stored based on this unique identification code. By storing each item as a field, the corresponding data can be output by a searcher to be searched in the user terminal 100 later. For example, if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1234 is assigned to buried cultural property A, [1234-Name-Excavation Site (Remains Name)-Excavation Altitude-CAD Drawing-Address-Investigation Year-Conserved Chemicals-Current Storage Organization (Location)) )], etc., is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each classifier (field),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If it is not secured in the database, items can be filled in each field by using the pointer function of the database to link the linked or linked sites, or by extracting and collecting data from the site.

유적명Ruins name □□시 □□구 □□동 □□□번지 유적
□□□□유적
□□ City □□ Gu □□-dong □□□ Street Ruins
□□□□ Ruins
주소address □□시 □□구 □□동 □□□번지□□City □□Gu □□Dong □□□ Street 시대era 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삼한시대, 가야시대, 삼국시대, 신라시대, 백제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대한제국, 일제시대, 대한민국, 기타Stone Age, Neolithic Age, Bronze Age, Early Iron Age, Samhan Era, Gaya Era, Three Kingdoms Era, Silla Era, Baekje Era, Unified Silla Era, Goryeo Era, Joseon Era, Korean Empire, Japanese Empire Era, Korea, etc. 출토
유물
excavated
relics
와전류, 자기류, 토제품류, 철기류, 동기류, 금류, 금동류, 은류, 옥류, 석기류, 유리류, 목제품류, 죽제품류, 초제품류, 칠기류, 골제품류, 각제품류, 공방부산물, 자연유산물, 화석, 암석, 광물, 생성물, 기타Eddy current, porcelain, earthenware, ironware, copperware, gold, gilt and bronze, silver, jade, stoneware, glass, wood products, bamboo products, grass products, lacquerware, bone products, each product, workshop by-products, natural heritage water, fossil, rock, mineral, product, etc
유적ruins 생활life 주거지, 기타residence, etc. 행정administration 궁궐, 도성, 관아(읍성), 기타Palace, capital city, Gwana (eupseong), etc. 관방official 성곽, 봉수, 기타castle, beacon, etc. 교통traffic 역참, 도로, 기타post, road, etc 생산Produce 가마, 광업, 농경, 기타Kiln, Mining, Agriculture, etc. 종교religion 불교, 유교, 도교, 동학, 민속, 민간, 기타Buddhism, Confucianism, Taoism, Donghak, Folklore, Folklore, Others 무덤tomb 지석묘, 석실묘, 석곽묘, 토곽묘, 왕릉, 기타Stone tombs, stone chambers, stone tombs, earthen tombs, royal tombs, etc.

이때,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라면 분산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을 이용할 수도 있다. HDFS는 하둡을 구성하는 코어 프로젝트 중 하나로, 범용 하드웨어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파일시스템이다. HDFS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터 역할을 하는 네임노드와 슬레이브 역할을 하는 데이터노드 두 종류로 구성되는 클러스터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네임노드는 파일시스템의 네임스페이스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접근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주어진 파일에 대한 데이터 블록을 가지는 데이터노드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all databases are not secured, the distributed database function may be used. For example, a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HDFS) may be used. HDFS is one of the core projects that make up Hadoop, and is a file system designed to distribute, store, and manage data in a cluster composed of general-purpose hardware. HDFS can be configured in a master-slave structure and can be operated in a cluster environment composed of two types of name nodes serving as masters and data nodes serving as slaves. The NameNode manages the namespace of the file system and can play a role in controlling data access from clients, and can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DataNode having data blocks for a given file.

데이터노드는 실제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노드로, 클라이언트나 네임노드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블록을 저장 및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에 대한 정보를 네임노드에 주기적으로 보고하여 네임노드가 데이터 블록의 위치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노드에서의 데이터 읽기/쓰기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며, 블록은 기본 128MB로 디스크 블록에 비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에서 디스크 탐색 시간의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범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가정하여 설계된 하둡은 데이터의 내고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여러 데이터 노드에 복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블록 복제본의 수는 Replication Factor로 설정된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는 세 개의 복제본을 가질 수 있다. 이때, HDFS는 세 개의 복제본을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첫 번째 복제본은 로컬 랙의 노드에 저장하며, 두 번째 복제본은 첫 번째 복제본과 같은 랙의 다른 데이터노드에, 그리고 마지막 복제본은 다른 랙의 데이터노드에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 노드의 하드웨어 실패의 확률에 비해 랙의 하드웨어 실패의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HDFS에서는 위의 방식으로 블록 복제본을 위치시킴으로써 분산 파일시스템의 내고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A data node is a node that stores an actual data block, and can serve to store and search for a data block at the request of a client or a name node.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stored data block is periodically reported to the name node so that the name node can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block. Data read/write in the data node is done in block units, and the default block size is 128 MB, which can be set larger than the disk block. This is to reduce the cost of disk seek time in the total data transfer time. Hadoop, designed assuming the use of general-purpose hardware, can replicate and store one data block in multiple data nodes to ensure data fault tolerance. The number of block replica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 set by the Replication Factor and can have three replicas by default. At this time, HDFS places three replicas, the first replica is stored on a node in the local rack, the second replica is on another data node in the same rack as the first replica, and the last replica is on the data node of another rack. can be saved Since the probability of hardware failure of a rack is very low compared to the probability of hardware failure of one data node, HDFS can provide the fault tolerance of a distributed file system by locating block replicas in the above manner.

HDFS는,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 사용의 증가, 자주 접근되지 않는 데이터를 위한 아카이브 저장소의 필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이종 저장장치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카이브(ARCHIVE), DISK, SSD, RAM_DISK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저장장치는 서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아카이브 저장소로 이용되는 저장장치는 데이터 접근속도가 느리지만 단위 가격 당 저장 용량이 크다는 것, SSD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빠른 읽기/쓰기 성능을 보이며 특히 임의 데이터 접근 속도가 하드디스크에 비해 매우 빠른 특징을 보일 수 있다. HDFS에서는 각 저장장치의 특징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이종 저장장치 환경에서 데이터 복제본이 저장될 저장장치를 결정하는 여섯 가지의 정책을 이용할 수 있으며, HDFS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 단위로 사용할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HDFS can provide a heterogeneous storage environment for reasons such as the increase in flash memory storage use and the need for archive storage for infrequently accessed data, for example, ARCHIVE, DISK, SSD, RAM_DISK may include Each storage device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Storage devices used as archive storage have slow data access speed but large storage capacity per unit price. SSDs show faster read/write performance compared to hard disks, especially random Data access speed can be very fast compared to hard disk. In HDF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age device, six policie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torage device in which data copies are stored in a heterogeneous storage environment, and the policy to be used in units of files or directories of HDFS can be determined.

여섯 가지 정책 중 기본값(디폴트)으로 설정되어 있는 Hot 정책은 모든 데이터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Cold 정책은 모든 데이터 복제본을 ARCHIVE에 저장하는 정책으로 더 이상 이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정책이다. Warm 정책은 하나의 복제본은 DISK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은 ARCHIVE에 저장하는 정책으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와 접근되지 않는 데이터가 함께 있을 경우를 위한 정책이다. Lazy_Persist는 하나의 복제본을 RAM_DISK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Lazy_Persist는 Replication Factor가 1일 때 효과적으로 동작하지만 2 이상일 때에는 DISK에 데이터 블록이 쓰이는 것을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많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All_SSD는 모든 복제본을 SSD에 저장하는 정책이며, One_SSD는 하나의 복제본을 SSD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상술한 정책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실시예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정책은 상술한 정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mong the six policies, the Hot policy, which is set as the default (default), stores all data copies in the DISK. Cold policy is a policy to store all data replicas in ARCHIVE, and it is a policy to store data that is no longer used. The warm policy is to store one replica in DISK and the rest in ARCHIVE. This is a policy for frequently used data and inaccessible data. Lazy_Persist is a policy of storing one replica in RAM_DISK and the rest of the replicas in DISK. Lazy_Persist works effectively when Replication Factor is 1, but when it is 2 or more, it is difficult to expect much performance improvement because it has to wait for data blocks to be written to DISK. All_SSD is a policy to store all replicas on the SSD, and One_SSD is a policy to store one replica on the SSD and the rest of the replicas on the DISK. Any one or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policies may be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available policie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olicies.

덧붙여서, 저장부(310)는, 매장문화재 사전을 구축할 수 있다. 매장문화재는 주거지, 수혈유구, 불다짐소성유구, 굴립주유구, 야외노지유구, 주혈유구 그 외 여러 가지 유구와 지역과 시기에 따라 이름이 나뉘는 토기, 그 외 엄청난 종류의 유물이 존재한다. 이렇게 다양한 이름으로 유구와 유물이 나뉘지만 이 것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매장문화재 사전을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고유식별코드에 매핑된 별도 필드를 마련하고 구분 및 설명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10 may build a dictionary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Buried cultural properties include dwelling places, blood transfusion relics, fire compacting fire relics, gullip relics, outdoor outdoor relics, blood relics and other relics, earthenware with names divided according to region and time, and other enormous types of relics. Remains and relics are divided by these various names, but there is no exact explanation for them. Therefore, a separate field mapped to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epared and can be classified and explained by building a dictionary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and making it a database.

캐드관리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로부터 수집된 캐드 도면을 매장문화재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장문화재 유구배치도면, 유구도면, 유물도면 등은, 현재 매장문화재 조사 후 문화재조사기관에서 도면을 일러스트로 제작한다. 일러스트로 제작을 하다 보니 정확한 치수 구현이 어려우며 매장문화재조사 기관마다 각기 다른 양식과 스케일로 도면을 제작하다보니 일반인, 학생, 연구자 들이 다른 유적과 비교하기가 힘들다. 조사기관이 많고 유적, 유물마다 크기가 대형인 것도 있고, 소형인 것도 있기 때문에 스케일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드관리부(320)에서는 캐드나 일러스트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에 맞게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한가지 프로그램으로 관리하도록 한다.The CAD management unit 320 may store the CAD drawings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by mapping them with buried cultural assets data. In general, for buried cultural relics layout drawings, relic drawings, relic drawings, etc., the drawings are produced as illustrations by the Cultural Heritage Investigation Agency after the current buried cultur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Because it is made with illustrations,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exact dimensions, and since each buried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ion produces drawings in different styles and scales,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students, and researchers to compare them with other relics. Scale management is difficult because there are many research institutes and there are large ones and small ones for each relic and relic. Therefore, the CAD management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CAD or illustration to form a databas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ze and manage it as one program.

CAD 표준은 우선적으로 보다 나은 정보의 교환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포맷의 표준과 도면작성의 표준이 필요하다. 포맷 표준의 경우 ISO의 STEP을 기반으로 KOSDIC(Korea Standard of Drawing Information in Construct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표준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변환이 가능한 루틴을 만들 수 있다. CAD 표준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으로는 기존 도면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ㅇ르 추측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열어 볼 수 있어야 하며 또한 플로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볼 라이브러리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아야 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어떠한 레이어에 그려져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CAD standards are primarily aimed at better exchange of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standards of format and standards of drawing are required. For the format standard, KOSDIC (Korea Standard of Drawing Information in Construction) can be used based on ISO's STEP. If there is a standard, it is possible to create a routine that automatically converts it. The most basic of CAD standards is to be able to guess what the existing drawings contain, to be able to open them, and to be able to plot them. To do this, you need to know where the symbol library is and be able to use it. Also, you need to know what layer it is drawn on.

CAD 표준의 구성요소로는, 파일의 구성, 제도 기준, 데이터 작성 기준 및 기술문서와의 연계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파일의 구성은, CAD 파일의 구성, 파일명 체계 및 분류 체계가 있다. CAD 파일의 경우 모델 파일과 도면 파일로 구분한다. 모델 파일은 건물이나 기계 등과 같이 객체를 구성하는 물리적 구성에 따라 구조화된 CAD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 예를 들어, .dwg 파일이다. 모델은 2차원 또는 3차원일 수 있다. 도면 파일은, 스크린이나 종이 위에 표현된 부분적 CAD 모델을 나타내는 파일, 예를 들어, .jpg, .tiff 등이다. 도면은 시점이나 레이어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면은 추가적 그래픽, 윤곽선 및 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AD 도면은 CAD 모델로부터 독립적으로 그려질 수 있다. 이들 모델 파일과 도면 파일의 내용을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로 파일명을 부여하는 원칙과 함께 분류체계에 대한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CAD standard can be divided into file structure, drafting standards, data creation standards, and linkages with technical documents. First, the file structure includes a CAD file structure, a file name system, and a classification system. CAD files are divided into model files and drawing files. A model file is a file, for example, a .dwg file, that stores CAD data structur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an object such as a building or a machine. The model may b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A drawing file is a file representing a partial CAD model represented on a screen or on paper, for example, .jpg, .tiff, or the like. Drawings are controlled by viewpoints or layers. Drawings may include additional graphics, outlines and headings, and the like. Also, the CAD drawing can be drawn independently from the CAD model. 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se model files and drawing files, it may be necessary to configure the classification system together with the principle of assigning file names.

두 번째로 제도 기준을 설명한다. 제도기준은 CAD 작성에 따른 표현 기준을 이야기 한다. 기본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 제도 기준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할 수 있다. 도면의 크기 및 양식, 도면의 배치, 표제, 척도, 문자, 투상법, 용어 및 약어 등에 관하여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면의 크기 및 양식, 배치, 표제에 대한 제도 기준은 KS A 0106 또는 그 후의 버전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규격은 ISO 표준을 따를 수도 있다. 투상법은 KS A 0111, KS A 0111-4를 기본으로 적용할 수 있고, KS F 1501의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 ISO에서는 01.100.01 Technical drawings in general 분야와 01.100.30 Construction drawing 분야에서 도면 및 CAD 작성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따를 수 있다.Second, the system standards are explained. Drafting standards refer to expression standards according to CAD creation. Basically, it can be done in principle to follow the architectural or civil engineering drafting standards. It may be predefined with respect to the size and style of the drawing, the arrangement of the drawing, title, scale, text, projection, terms and abbreviations, and the like. KS A 0106 or later versions can be used for the drafting standards for the size, style, layout, and title of drawings. In addition, this standard may follow the ISO standard. For the projection method, KS A 0111, KS A 0111-4 can be applied as a basis, and the regulations of KS F 1501 can be applied. ISO provides standards for drawing and CAD creation in the field of 01.100.01 Technical drawings in general and 01.100.30 Construction drawing, so it can be followed.

세 번째로 데이터 작성 기준을 설명한다. 데이터 작성 기준의 중요 사항으로 레이어 체계와 심벌 체계가 있다. 레이어는 CAD 데이터 파일에서 개체의 속성을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기 위한 방식이다. 다층 구조의 도면층을 이용하여 개체 속성 데이터를 컴퓨터 스크린 등에서 출력할 수 있다. 가시성을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관리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레이어 구성의 기본 원칙으로는 첫째, CAD 적용 분야를 기준으로 정보의 논리적 구성의 명확한 구분에 기초하여야 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의 기본 원리이다. 즉, 적용분야의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정보 구성의 명확성이 중요하다. 두 번째 원칙으로는, 정보를 독립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레이어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구분자를 이용할 수 있다. Third, data creation standards will be described. There are layer system and symbol system as important matters of data creation standard. Layers are a way to classify and manage the properties of objects in a CAD data file. Object property data can be output on a computer screen or the like by using a multi-layered layer. Used to control visibility or to manage and communicate data. As a basic principle of layer composition, first, it should be based on clear division of logical organization of information based on CAD application field. This is the basic principle of database design. That is, clarity of information structure that can satisfy user needs in the field of application is important. As a second principle, it should be possible to separate information independently. For this purpose, delimiters for different parts of the layer can be used.

레이어명은 가능한 인간과 기계 모두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레이어의 이름은 필드로 나누어진다. 각 필드는 하나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필드는 필수 필드, 선택적 필드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필수 필드는 레이어 이름에 항시 포함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유식별부호가 될 수 있다. 선택적 필드는 프로젝트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레이어명의 필드의 순서와 각 필드의 문자의 개수는 ISO 13567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심벌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 및 도형은 통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SO의 경우 01.080.01 Graphical symbols in general에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호 및 도형의 기본은 KS A 0112에서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심벌의 경우 단순한 기호의 개념으로부터 객체 지향형 심벌로의 표현 개념이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Layer names should be understandable to both humans and machines whenever possible. Layer names are divided into fields. Each field has one concept. Field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mandatory fields and optional fields. Required fields must always be included in the layer name, and can be, for example, a unique identifier. Optional field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project. The order of the layer name fields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in each field are defined in ISO 13567, so they can be used. The purpose of the symbol is to uniformly use the symbols and figur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In the case of ISO, 01.080.01 Graphical symbols in general provides standards. In Korea, the basics of symbols and figures are presented in KS A 0112, so they can be used. In the case of symbols, since the concept of expression from a simple symbol to an object-oriented symbol is changing, it can also be used.

네 번째는 기술문서와의 연계이다. CAD 파일은 기타 다른 기술문서와의 연계를 필요로 한다. 조사 프로세스 단계, 법규, 장소, 기관 및 기타 기술문서들과 연계를 위한 표준이 요구될 수 있다. 특히 파일의 내용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거나 태그와 같은 분류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fourth is the linkage with technical documents. CAD files need to be linked with other technical documents. Standards for liaison with investigation process steps, regulations, locations, agencies and other technical documents may be required. In particular, as a method of utilizing the contents of a file, metadata or a classifier such as a tag may be used.

이렇게 표준화된 CAD 체계를 가지고 각 도면을 조사보고서에서 텍스트로만 정리된 시기별 변형 사항을 시각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복궁과 같이 현존하는 문화유산이라면, 추정된 원형부터 현재 상태에 이르기까지 평·입·단면 전체에 걸쳐 원형을 유지하는 우측을 기준으로 삼고 주열을 일치시키고 Auto CAD 프로그램 상에서 도면 축척을 통일시키고, 시기별 건물변경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시켜 평면도에 입력한 후 범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그리게 되면 결과적으로 이 도면은 수 백년간 변형과정을 거친 건물을 ‘원형유지’, ‘증축’, ‘철거’ 등 세 부분으로 구분된 시계열적인 시각정보가 담길 수 있고, 변경 역시 시기별로 구분하여 담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원형보존이나 유지를 위해 어떠한 화학물질이나 구조물 등을 사용하였는지도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이후 연구자가 이를 손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건물 요소들을 지어진 시기별로 다른 층(레이어, Layer)로 구별하고 층 온/오프(Layer on/off) 기능을 통해 한 도면상에서 시기별 변화과정을 각각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건물 초기부터 현재까지 시기별 변경내용을 표준화된 주열, 층(Layer), 축척을 적용한 도면 안에 담고 있으므로, 향후 이 도면을 이용하는 어떤 보존·관리·활용자도 일관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With such a standardized CAD system, it is also possible to visualize the transformations by time in which each drawing is organized only as text in the research repor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xisting cultural heritage such as Gyeongbokgung Palace, from the estimated original to the current state, the right side that maintains the original shape throughout the plane, mouth, and cross-section is used as the standard, and the columns are aligned, and the drawing scale is adjusted in the Auto CAD program. It is possible to unify and visually classify building change information by period, input it in the floor plan, and display it with a legend. As a result, this drawing can contain time-series visual information divided into three parts: 'maintaining the original shape', 'extension', and 'demolition' of a building that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process for hundreds of years. You can check it because it contains it. Any chemical substances or structures used to preserve or maintain the original form are also recorded, so researchers can easily utilize them in the future. For example, if each building element is divided into different layers (layers) by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the change process for each period can be understood on one drawing through the Layer on/off function, the building Since the changes by period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are contained in the drawing with standardized columns, layers, and scales applied, any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ser using this drawing in the future can obtain consistent information as well as add information. can

이때,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은, QGIS 프로그램으로 지번이 표시된 지적도 상에 유구 및 유물을 포함하는 매장문화재의 발굴 위치 및 해발 고도를 캐드 도면으로 작성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캐드관리부(320)는, 초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서 CAD 도면을 의뢰하고 이를 받을 때 각 캐드 전공자나 관련업계 종사자에게 해당 캐드 도면을 의뢰해야 하는데, 특정 업체나 개인에게 일이 몰리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헝가리안 알고리즘(Hungarian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할당문제를 Polynomial 시간에 해결할 수 있는 최적해 알고리즘인데, 다수의 캐드 전문가와 다수의 캐드 도면 의뢰가 존재하는 상황과, 각 캐드 전문가가 수행하는 처리시간이나 비용이 다른 상황을 가정한다.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may create and upload the excavation location and elevation of buried cultural assets including relics and relics in a CAD drawing on the cadastral map on which the lot number is displayed with the QGIS program. Here, the CAD management unit 320 should request CAD drawings while constructing the initial database and request the CAD drawings to each CAD major or related industry worker when receiving them. For this purpose, an optimization algorithm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Hungarian Algorithm may be used. This is an optimal solution algorithm that can solve the allocation problem in polynomial tim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multiple CAD experts and multiple CAD drawing requests, and the processing time or cost performed by each CAD expert is different.

이를 할당 문제(Assignment Problem)라 하는데, 균형 할당 문제(Balanced Assignment Problem), 불균형 할당 문제(Unbalanced Assignment Problem)를 포함하므로, 할당문제는 균형과 불균형의 2 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할당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헝가리안(Hungarian) 알고리즘이나,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지만, 불균형 할당 문제에 대해서는 최적 해를 찾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비용이 모두 0인 가상의 행이나 열을 추가하여 균형 할당문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is is called the assignment problem, and it includes the balanced assignment problem and the unbalanced assignment problem, so there are two cases of the assignment problem: balanced and unbalanced. As a method of solving the allocation problem, a Hungarian algorithm or a genetic algorithm can be used, but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optimal solution cannot be found for an unbalanced allocation problem, hypothetical rows or columns with all zero costs are added This can be transformed into a balanced allocation problem.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various supply chain management algorithms may be used, and it will be obvious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ones listed.

전송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분류자가 태깅된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추출하여 결과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유적명, 주소, 시대, 유적의 성격, 출토유구, 출토유물 및 조사년도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인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어는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고유식별코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각 필드 분류자나, 각 필드에 기재된 데이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 텍스트가 아니더라도 이미지 기반으로 검색도 가능하다. When a search word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 the transmitter 330 may extract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tagged with a classifi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as result data.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inputs a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name of the relic, address, era, the nature of the relic, excavated relics, excavated relics, and the research year, and outputs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which is the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can do. Here, the search term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any field classifier mapped to and stored in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r data described in each field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based on images rather than text.

예를 들어, 대용량 고차원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인 유사도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분산 인-메모리 고차원 색인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분산 인-메모리 처리 플랫폼인 스파크(Spark)가 이용될 수 있다. 대용량 데이터가 사전에 입력되어있는 상황을 가정하며, 유사 검색 질의의 유형은 질의 값과 지정한 범위 내의 모든 값을 찾는 범위 질의와 질의 값과 가장 유사한 k개를 찾는 k-최근접 질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색인과 질의 처리의 부하를 분배하기 위해서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마스터에서는 전체 데이터를 거리 공간에 표현하고 거리공간에서 데이터 분포 기반의 영역 분할을 수행하여 영역 정보에 대한 색인을 수행한다. 슬레이브에서는 마스터에서 분할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원본 데이터를 색인하는데, 고차원 데이터의 인-메모리 색인을 위해서 차원 감소를 통한 색인을 수행할 수 있다. 질의가 입력되면 마스터의 영역 색인 기반의 질의 할당 정책을 통해서 범위, k-최근접 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산 k-최근접 질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구축된 색인에서 k-최근접 처리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 distributed in-memory high-dimensional indexing technique for performing an efficient similarity search based on large-scale high-dimensional data may be used. In this case, Spark, which is a distributed in-memory processing platform, may be used to process large amounts of data. Assuming a situation in which large amounts of data are input in advance, similar search query types can use a range query that finds the query value and all values within a specified range and a k-nearest query that finds the k items most similar to the query value. . In addition, a master-slave model can be used to distribute the load of indexing and query processing. In the master, the entire data is expressed in the distance space, and the data distribution-based region division is performed in the distance space to index the region information. The slave indexes the original data based on the region information divided by the master. For in-memory indexing of high-dimensional data, indexing through dimension reduction can be performed. When a query is entered, the performance of range and k-nearest processing can be improved through the master's domain index-based query allocation policy. Additionally, in order to perform distributed k-nearests query processing, an optimization technique of k-nearest nearest processing may be used in the index constructed.

이때, 스파크(Spark)는, 오픈소스 분산 쿼리 및 처리 엔진이다. 스파크는 유연성과 맵리듀스에 대한 확장성을 훨씬 빠른 속도로 제공하고,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돼 있을 때는 아파치 하둡보다 100배 빠르며, 디스크에 저장돼 있을 때는 10배 빠르다. 스파크는 데이터를 읽고, 변형하고, 합계를 낼 수 있으며, 복잡한 통계 모델들을 쉽게 학습하고 배포할 수 있다. 스파크 API는 자바, 스칼라, 파이썬, R, SQL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데 쓰일 수 있고,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라이브러리로 묶어서 클러스터에 배포할 수도 있으며 파이썬 노트북을 통해, 예를 들어 주피터, Spark-Notebook, Apache Zepplin을 통해 대화식으로 빠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Spark is an open source distributed query and processing engine. Spark offers the flexibility and scalability of MapReduce at much faster speeds, and is 100x faster than Apache Hadoop when data is stored in memory and 10x faster when stored on disk. Spark can read, transform and sum data, and easily train and deploy complex statistical models. The Spark API can be accessed using Java, Scala, Python, R, or SQL. It can be used to build applications, bundles multiple applications as libraries and deploys them to a cluster, and can be used for interactive quick analysis via Python notebooks, e.g. Jupyter, Spark-Notebook, Apache Zepplin.

이러한 인-메모리 분산 처리 플랫폼인 스파크를 이용하면 M 트리를 분산으로 구축할 수 있다. 스파크는 분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RDD(Resilient Distributed Dataset)라고 하는 분산 데이터 셋을 사용한다. RDD는 각 서버에 파티셔닝 되어 데이터가 할당되는데, 분산된 원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서버에서 M트리를 구축한다. M-트리는 특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의 데이터를 색인하고 이를 트리 형태의 계층 구조로 색인하는 방법이다. 스파크의 각 노드(혹은 익스큐터)들은 색인되는 영역이 정해지지 않고, 데이터의 파티셔닝 정책에 의해 분할 및 색인을 수행하기 때문에 범위 질의 또는 k-최근접 질의가 입력되면 모든 노드가 질의에 참여하게 된다. 질의가 대량으로 발생하면 모든 노드의 부하가 급증하고, 하나의 노드에서 탐색이 집중된다면 그 노드에 의해 질의 처리 시간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에, k-근접 질의를 이용함으로써 모든 노드가 참여함으로써 부하가 급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DBMS나 질의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Using Spark, such an in-memory distributed processing platform, M-trees can be built distributed. Spark uses a distributed data set called RDD (Resilient Distributed Dataset) to perform distributed processing. RDD is partitioned to each server and data is allocated, and based on the distributed original data, an M-tree is built in each server. M-tree is a method of indexing data within a certain radius based on a specific reference point and indexing it in a tree-type hierarchical structure. Each node (or executor) of Spark does not have an indexed area and performs partitioning and indexing according to the data partitioning policy. Therefore, when a range query or k-nearest query is input, all nodes participate in the query. When a large number of queries occur, the load of all nodes increases rapidly, and if the search is concentrated on one node, the query processing time may be delayed by that node. It can prevent the situation from escalating.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BMS or query method, and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methods can be used.

업데이트부(340)는, 매장문화재의 현재 위치 및 관리 기관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매장문화재의 현재 위치 및 관리 기관은, 박물관 등과 같이 현재 매장문화재를 보관 및 관리하는 기관과, 현재 매장문화재가 위치한 주소지 등이다. 매장문화재는 A 지역에서 출토되어 B 업체에서 복원작업을 진행하고 C 기관에서 관리하는 등 관리 목적이나 주체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따라서, A 지역에서 출토된 토기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 D 박물관에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할지라도 현재 전시중인지 또는 수장고에 보관중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업데이트부(340)는 출토된 지역 뿐만 아니라, 현재 보관하고 있는지 또는 전시중인지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구자나 학생이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update unit 340 may update the current location and management organization of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he current loca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is an institution that stores and manages the current buried cultural heritage, such as a museum, and the address where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is currently located. Buried cultural assets are often excavated from area A and have different management purposes or subjects, such as company B carrying out restoration work and agency C managing them. Therefore, even if we find out where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Area A is now and that it is in Museum D, there is no way to know whether it is currently on display or being kept in a storage room. Accordingly, the update unit 340 may identify not only the excavated area but also whether it is currently stored or exhibited in real time, so that a researcher or student can find it.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은,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된 매장문화재에 보존처리된 물질의 종류, 양 및 위치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입력하여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유물의 보존처리는 시대가 변화하고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기계나 화학약품, 그리고 접착제를 이용해 보존처리를 하게 되지만, 유물에는 어떤 과정으로 보존처리가 되었는지 전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매장문화재별로 고유식별부호를 부여한 후 어떤 보존처리과정과 약품을 사용하였는지 등을 보존 단말(500)로부터 입력을 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후대에 유물에 문제가 생기거나 새로운 보존처리 작업을 해야 할 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may generate history data by synchronizing the type, amount, and location of the material preserved in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to whic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in synchronization with time. As the times change and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the preservation of relics is done using new machines, chemicals, and adhesives, but it is impossible to know at all what process the relics were preserved. 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giv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each buried cultural property, a database can be built by receiving an input from the preservation terminal 500 about which preservation processing process and medicines were used. Through this database, it can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future generations when problems arise with relics or when new conservation treatment work is needed.

예를 들어,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후 조사가 완료되면 발굴조사 된 기관에서 문화재 보존처리를 진행한다. 파편으로 수습된 유물을 접합하기도 하고, 철기유물을 세척하고 녹을 방지하는 작업도 한다. 이런 모든 과정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약품이 후대에 유물에 어떤 피해를 줄 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유물의 보존처리 과정을 정리하고 보존처리를 할 때마다 사용한 처리방법 등을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면 후대에 해당 유물을 어떻게 보존처리해야 될 지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유물의 보존처리과정 기록을 통해 문화재보존처리에 대한 학문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buried cultural assets, when the investigation is completed, the institution where the excavated and researched cultural assets are preserved and processed. It also joins relics recovered from fragments, cleans iron relics, and prevents rust. All these processes are made into a database so that they can be recorded. Since no one knows what kind of damage the drugs being used will cause to the relics in the future, if you organize the preservation process of relics and record and update the treatment methods used each time they are preserved, how will the relics be preserved for future generations? It can be an important data to check whether or not it will be. In addition, it can be helpful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ocessing through records of the preservation and processing process of relics.

환경관리부(350)는, 매장문화재가 귀속 및 위치한 시설 내 온도, 습도, 광도, 오염도 및 공기조성률을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고유식별코드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environment management unit 350 may collect environmental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light intensity, pollution level, and air composition rate in the facility to which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belongs and is locat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map it to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store it.

분포지도부(360)는, 문화재 조사를 거쳐야 하는 구역인지를 확인하도록 문화유적분포지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지번 또는 도로명 주소를 검색어로 입력하는 경우 문화재 조사를 거쳐야 하는 구역인지의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문화유적분포지도는 문화재조사가 어느 지번에서 이루어졌는지, 매장문화재의 분포범위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 파악할 수 있는 기준으로 만들어 놓은 지도이다. 하지만 학생이나 일반인, 연구자들이 매장문화재 분포지도를 보기 힘들 뿐더러 토지매매시 문화재조사구역인지 모르고 거래하여 매장문화재조사비용을 부담해야되는 억울한 일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문화유적분포지도를 통해 조사가 이루어지거나 새로운 문화유적지가 발견될 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억울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어디까지가 입회조사 구역인지, 표본, 시굴조사 구역인지 확인 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map unit 360 makes a database of the cultural relics distribution map to confirm whether it is an area that needs to undergo a cultural property investigation, and when a lot number or road name address is input as a search word, it can output whether it is an area that needs to undergo a cultural property investigation. . The cultural relics distribution map is a map made as a standard to determine the location in which the cultural heritag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ange of the distribu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he general public, and researchers to see the distribution map of buried cultural heritage, and there are many unfortunate cases in which they have to bear the cost of investigating buried cultural assets by transacting without knowing whether it is a cultural heritage research area. Therefore, when an investigation is conducted through the cultural relics distribution map or when a new cultural relic site is discovered, it can be updated to prevent an unfair incident from occurring, and through continuous update, it is confirmed that the area is the witnessed investigation area, the sample, and the trial-excavation area.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단계관리부(370)는, 발굴조사, 시굴조사, 표본조사, 지표조사 및 입회조사를 포함하는 각 단계별 조사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로부터 수집된 유구도면, 유물도면, 원본사진, 문화재조사관련서류 및 야장을 포함하는 조사기록정보를 수집하여 단계별로 고유식별코드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현재 매장문화재조사는 국립문화재연구소, 시?도 문화재단, 국립박물관, 대학교박물관, 재단법인 문화재연구원 및 연구소 등 100 개가 넘는 기관에서 매장문화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기관에서 조사를 하다 보니 기관의 폐업, 직원들의 이직, 자료관리 미흡 등 여러가지 상황들로 인해 매장문화재 조사에서 획득한 원본도면, 원본사진 등과 같은 중요한 기록물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이런 분실을 방지하고자 각 단계별로 기록물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The stage management unit 370, the relic drawings, relic drawings, original photos,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related documents and Investigation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the field can be collected and stored by mapping it to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step by step. Currently, buried cultural heritage investigations are being conducted at more than 100 institutions, including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ity/Provincial Cultural Foundation, National Museum, University Museum,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and Research Institute. As many institutions conduct investigations, there are many cases of loss of important records such as original drawings and original photos obtained from investigations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the closure of the institution, the turnover of employees, and insufficient data management. To prevent such loss, records can be made into a database at each stage.

우선, 첫 번째로는 조사 과정의 사진관리이다. 현재 매장문화재조사 보고서에는 극히 일부의 사진만 보고서에 들어간다. 하지만 보고서에 수록된 사진의 원본 사진을 구할 방법이 없어 보고서 PDF에서 사진을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안 좋은 사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매장문화재조사는 조사 후 해당 토지에 건물이나 비닐하우스 등을 짓는 건축행위를 하기 위해 조사를 한다. 조사가 완료된 후에는 해당 유적의 유구와 유물은 파괴된다. 다시는 볼 수 없는 소중한 우리 문화유적이 없어지므로 사진자료는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철저한 원본사진의 관리가 필요하며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은 사진 또한 관리되어야 한다.First of all, photo management of the survey process. Currently, only a few photos are included in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Investigation Report. However, there is no way to obtain the original photos of the photos included in the report, so photos can be copied from the report PDF and used, so photos of poor quality are often used. Buried cultural heritage surveys are conducted in order to construct a building or plastic house on the land after the survey. After the investigation is completed, the remains and relics of the ruins are destroyed. As precious cultural relics that cannot be seen again will disappear, photographic materials are very important. Therefore, thorough management of original photos is required, and photos not included in the report must also be managed.

두 번째로 야장이다. 야장이란 매장문화재를 조사하는 연구원이 조사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는 문화재조사의 가장 기초가 되는 기록물이다. 기록물은 지금 전혀 관리가 되지 않고 있으나 매장문화재조사에서 관리되야 할 중요한 기록이다. 그 이유로는 매장문화재 조사는 확실한 조사 방법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매장문화재조사는 이전 선배들의 노하우가 전달되어 후배 조사원들의 경험으로 조사 노하우가 향상 되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야장은 후배 조사원들의 조사능력 향상과 유적마다 조사 해야되는 조사기술을 정리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매장문화재 조사 후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해당 지번에 건축행위를 할 것인지의 여부가 결정되는데, 대부분 조사 후 건축물이 허가가 나기 때문에 다시는 해당 유적의 유구를 볼 수 없다. 그러므로 가장 기초자료가 되는 조사원들이 기록한 야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고, 이를 통해 후대에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야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Second is the field. A yajang is the most basic documentary document for a cultural heritage investigation, in which a researcher who investigates buried cultural assets record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The records are not managed at all now, but they are important records to be managed in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investiga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re is no definitive method for investigating buried cultural properties. In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survey, the know-how of the previous seniors is transferred and the research know-how is improv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junior investigators. . After the investig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t is decided whether or not to build on the site number through an expert advisory mee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field records recorded by investigators, which are the most basic data, and through this, it can be a great help to future generations of researcher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field.

세 번째로, 조사일지, 안전관리일지, 발굴조사허가서류 및 그 외 각종 서류 등도 데이터베이스화하여야 한다. 매장문화재발굴조사는 기술이 발전하며 새로운 발굴기술이 도입되게 된다. 예를 들어, 드론이 생김으로서 드론을 이용해 여러 각도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회가 발전할수록 매장문화재 조사 또한 발전하게 되는데 문화재조사를 하기 위한 서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해야 후대에 어떤과정을 통해 해당 유적이 조사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조사일지에는 하루에 해당 조사에 투입된 인원, 작업내용, 방문자 등을 작성하는데 문화재 조사를 어떤 과정과 순서를 통해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Third, the survey log, safety management log,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permission documents, and various other documents should also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As technology develops in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new excavation techniques are introduced. For example, with the advent of drones, drones are being used to take pictures from various angles. As society develops, the investig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also develops. Documents for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heritage must be managed in a database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what process the relevant ruins were investigated in future generations. In particular, in the survey log, the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the survey, work details, visitors, etc. are recorded on a daily basis. Since it is an important data to know what process and order the cultural property survey was conducted, it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by making it a database.

단계관리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에서 입력되거나 촬영된 텍스트 및 사진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GPS, 시간 및 날짜에 동기화하여 조사기록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현재 발굴조사보고서를 보면 해당 유물이 어느 유구에서 출토되었다는 것까진 알 수 있으나 이 유물이 출토된 해발고도를 알 수 없다. 매장문화재에서의 유물은 출토위치도 중요하지만 출토된 높이가 어디인지에 따라 유물의 본래위치가 어디인지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문화재보고서에는 이런 내용이 전혀 들어가 있지 않다. 그래서 원본 실측 도면을 이용해 유물의 출토 높이와 위치를 대입하여 해당 유물이 원래 이곳에 있었는지 아니면 이동하여 이곳에서 출토되었는지 확인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ep management unit 370 synchronizes at least one sensor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and content including text and photos input or photographed from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to GPS, time and date, and records the survey can be mapped and saved. If you look at the current excavation report, it is possible to know where the relic was excavated from, but the altitude at which the relic was excavated is unknown. The location of excavation of relics from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important, but the original location of relics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height at which they were excavated. However,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report does not include such content at all. Therefore, by substituting the height and location of the excavation of the relic using the original actual draw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to confirm whether the relic was originally there or has been moved and excavated here.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미도시)은, 기 저장된 지적도 상에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의 GPS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의 현위치를 플로팅(Floating)시키고, 현위치에서 입력 또는 촬영한 텍스트 또는 사진은 현위치에 매핑되도록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복수의 참여자가 협업하면서 진행하는 조사과정에서 각 참여자(조사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각 참여자가 작성한 문서를 중복하여 작성하지 않도록 하며, 이후에 하나의 보고서로 합치는 경우, 즉 병합하는 경우에도 각 위치, 시간 등이 동기화되어 저장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수기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은, 기 저장된 지적도 상에 하나의 조사 단말의 현위치를 중심으로 다른 조사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다른 조사 단말에서 입력한 콘텐츠와 하나의 조사 단말에서 입력한 콘텐츠가 중복되는 경우 상호알림으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not shown) floats the current location of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based on the GPS of the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on a pre-stored cadastral map, and text input or photographed at the current location or Photos can be uploaded to a cloud platform to be mapped to your current location. In the case of merging into a single repor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location of each participant (researcher) in real time in the course of an investigation conducted by multiple participants in collaboration, and to avoid duplicating documents written by each participant. Since each location, time, etc. are stored in synchronization with Edo, there is no need to manually input information about it. In addition,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displays the location of another survey terminal center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one survey terminal on a pre-stored cadastral map in real time, and content input from another survey terminal and input from one survey terminal When content is duplicated, an alarm can be provided as a mutual notification.

클라우드부(380)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 DaaS(Data as a Service), FaaS(Function as a Service) 및 DBaaS(Database as a Servic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두 번째는,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세 번째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 하는 서비스이다.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공장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회원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Cloud unit 380,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SaaS (Software as a Servic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Data as a Service (DaaS), Function as a Service (FaaS), and Database as a Service (DBaaS) may be provided. The first is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which can provide various infrastructure resources such as server resources, IP, network, storage, and power required for server operation flexibly and quickly. Iaas makes it easy to add or remove resources and provides an operating system so a friendly environment can be given. Second, a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Paas (Platform as a Service), a service that provides a stable environment and an API for developing applications using the environment. Paas can easily build and distribute source code, and it is easy to scale out according to usage. Third, SaaS (Software as a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users with application programs running in the cloud environment. Saas can be easily used anywhere on the Internet, and can be accessed from anywhere with a web browser.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the factory, Baas (Backend as a Service) may be further added. Baas is a service specialized for mobile applications and can provide server-side applications such as member management, push, and file processing that are difficult to process in mobile applications. The platform of Paas can be used and the provided backend module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used directly through REST API or library CALL.

이하, 상술한 도 2의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관, 학교, 박물관, 업체, 연구소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 및 정제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각 조사단계별로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로부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지나 사진, GPS, 날씨 등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고 통합하며, (c)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400)로부터 캐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고유식별코드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d) 또,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500)로부터 보존처리된 약품의 종류, 양, 보존처리한 위치 등을 각각 수집하고 히스토리 데이터로 기록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 (a)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categorizes and refines data from at least one institution, school, museum, company, research institute, etc. to build an integrated database. And, for each survey step,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from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collects and integrates data such as diaries, photos, GPS, weather, etc., (c) CAD data from at least one CAD terminal 400 are collected, mapped to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stored. (d)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the types, amounts, and locations of the preserved medicines from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500, respectively, and records them as history data.

또, 일반인에게는 부동산가격공시와 같이 감정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자료 등과 같이 사람이 직접 찾아봐야 알 수 있는 것 이외에도, 부동산 등기 등의 표제부에 해당 사항을 표시함으로써 계약을 할 때나 제한물권을 설정할 때 소유권자나 제한물권자에게 불측의 손해를 안기지 않도록 도 4의 (a)와 같이 공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b)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현재 매장문화재를 보관 및 관리 중인 기관이나 현재 전시 여부 등을 알 수 있도록 관리현황에 대해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보관되는 환경 자체도 수집함으로써 이후에 변형이 되었을 때 어떠한 방향으로 복원이나 복구를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자료를 마련해둔다. 궁극적으로, (c) 사용자에게는 포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자나 학생 등이 손 쉽게 문화재를 찾고 참고하며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d) 발굴 등 조사단계에서 각 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자동으로 센서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 및 이와 연계된 정보, 예를 들어 날씨 등을 자동수집 및 보고서에 자동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간단히 사진을 찍는 것만으로도, 사진을 찍은 조사원 이름, 사진을 찍은 위치, 해발고도, 날씨, 온습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ppraisal Board, such as real estate price disclosure, that can be known only by a person in person, it is indicated in the title book of real estate registration, etc. In order not to cause unexpected damage to the real estate holder, it may be disclosed as shown in FIG. 4 (a). In addition, (b)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erforms an update on the management status so that you can know whether the institution currently storing and managing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or whether it is currently on display, and collects the stored environment itself, so that thereafter Prepare data on the best way to restore or restore in case of deformation. Ultimately, (c) providing a portal service to users so that researchers and students can easily find, reference, and conduct research on cultural assets. (d) In the investigation stage such as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each collaborator and automatically collect information that can be automatically obtained from the sensor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such as weather, to be automatically collected and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report. Just by taking a picture, you can find out the name of the surveyor who took the picture, the location where the picture was taken, the altitude, weather, temperature and humidity,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과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폼을 정리하면 이하 2와 같을 수 있다. 다만, 표 2에 언급되지 않았다고 하여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However, just because it is not mentioned in Table 2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and it is not excluded for reasons not listed.

본원발명the present invention 종래기술prior art 조사지도survey map 지적도에 CAD 유구배치도CAD relief map on cadastral map QGIS 프로그램QGIS program 보고서 작성report writing 각 조사단말로부터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동수집Automatic collection from each survey terminal using a cloud platform 수기handwriting 보고서 관리report management 지역별, 시기별 등 성격에 따른 분류Classific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such as region, period, etc. 산재 및 비체계화Industrial Accidents and Disorganization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that have not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searching archaeological data in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searching archaeological data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example shown in FIG. 5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한 매장문화재 데이터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를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public institution server and tags at least one classifier to form a database ( S5100 ).

그리고,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로부터 수집된 캐드 도면을 매장문화재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분류자가 태깅된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추출하여 결과 데이터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300).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maps and stores the CAD drawing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CAD terminal with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S5200), and when a search word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 classifi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is tagged. The data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s the result data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300 )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300 )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s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that have not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searching archaeological data of FIG.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also be implemented.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the like. I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매장문화재조사가 활성화되며 수 많은 정보들이 수집되어 왔으나 일정한 규칙에 의해 정보관리가 되지 않고 있고 심지어 분실되는 경우가 많으며, 학생이나 연구자들이 고고학, 즉 매장문화재를 연구하는데 있어 조사자료를 찾는데 매우 어려움이 있고, 심지어 구하고자 하는 정보를 구하지 못하여 새로운 연구를 포기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고고학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학생이나 연구자, 일반인들이 정보를 찾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ried cultural heritage research is activated and a lot of information has been collected, but information is not managed according to certain rules and is even lost in many cases.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research data, and there are cases where new research is abandoned because the information to be obtained cannot be obtained. can

Claims (10)

유적명, 주소, 시대, 유적의 성격, 출토유구, 출토유물 및 조사년도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인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QGIS 프로그램으로 지번이 표시된 지적도 상에 유구 및 유물을 포함하는 매장문화재의 발굴 위치 및 해발 고도를 캐드 도면으로 작성하여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한 매장문화재 데이터에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를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드 단말로부터 수집된 캐드 도면을 상기 매장문화재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캐드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분류자가 태깅된 매장문화재 데이터를 추출하여 결과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a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 relic name, address, era, characteristics of relics, excavated relics, excavated relics, and survey year, and outputting buried cultural property data, which is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t least one CAD terminal for creating and uploading the excavation location and elevation of buried cultural assets including relics and relics on the cadastral map marked with the lot number with the QGIS program as a CAD drawing; and
A storage unit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public institution server and makes a database by tagging at least one classifier, and mapping the CAD drawings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CAD terminal with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data A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comprising: a CAD management unit to store and, when a search term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for extracting buried cultural assets data tagged with a classifi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and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ortal service for buried cultural assets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된 매장문화재에 보존처리된 물질의 종류, 양 및 위치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입력하여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존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the archaeological data search,
at least one preservation terminal for generating history data by synchronizing with time the type, amount, and location of the material preserved in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to whic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given;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매장문화재의 현재 위치 및 관리 기관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an update unit that updates the current location and management organiz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매장문화재가 귀속 및 위치한 시설 내 온도, 습도, 광도, 오염도 및 공기조성률을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고유식별코드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환경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an environment management unit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light intensity, pollution level and air composition rate in the facility belonging to and located at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mapping it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storing it;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문화재 조사를 거쳐야 하는 구역인지를 확인하도록 문화유적분포지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지번 또는 도로명 주소를 검색어로 입력하는 경우 문화재 조사를 거쳐야 하는 구역인지의 여부를 출력하는 분포지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a distribution map unit that converts the cultural relics distribution map into a database to confirm whether the area is subject to cultural heritage investigation, and outputs whether or not the area is subject to cultural heritage investigation when a lot number or road name address is input as a search term;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굴조사, 시굴조사, 표본조사, 지표조사 및 입회조사를 포함하는 각 단계별 조사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로부터 수집된 유구도면, 유물도면, 사진원본, 발굴조사관련서류 및 야장을 포함하는 조사기록을 수집하여 단계별로 상기 고유식별코드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vestigation records including remains drawings, relic drawings, original photographs, excavation related documents, and field record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in each stage survey including excavation survey, prospecting survey, sample survey, surface survey, and witness survey a step management unit for collecting, mapping and sto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tep by step;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에서 입력되거나 촬영된 텍스트 및 사진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GPS, 시간 및 날짜에 동기화하여 상기 조사기록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management unit,
At least one sensor data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and content including text and photos input or photographed from the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are synchronized with GPS, time and date, and mapped with the survey record and stored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은,
기 저장된 지적도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의 GPS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의 현위치를 플로팅(Floating)시키고, 현위치에서 입력 또는 촬영한 텍스트 또는 사진은 상기 현위치에 매핑되도록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t least one investigation terminal,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is floated on the pre-stored cadastral map based on the GPS of the at least one survey terminal, and text or photos input or taken at the current location are mapp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the cloud.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ploaded to the platfor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사 단말은,
기 저장된 지적도 상에 하나의 조사 단말의 현위치를 중심으로 다른 조사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상기 다른 조사 단말에서 입력한 콘텐츠와 하나의 조사 단말에서 입력한 콘텐츠가 중복되는 경우 상호알림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t least one investigation terminal,
On the pre-stored cadastral map, the location of another survey terminal is displayed center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one survey terminal in real time, and when the content input from the other survey terminal and the content input from one survey terminal overlap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ala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 DaaS(Data as a Service), FaaS(Function as a Service) 및 DBaaS(Database as a Servic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제공하는 클라우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학 자료 검색을 위한 매장문화재 통합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l service providing server,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Platform as a Service (PaaS), Software as a Service (SaaS). a cloud unit that provide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DaaS (Data as a Service), FaaS (Function as a Service), and DBaaS (Database as a Service);
Buried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portal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rchaeological data sear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165985A 2020-12-01 2020-12-01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KR102491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85A KR102491599B1 (en) 2020-12-01 2020-12-01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85A KR102491599B1 (en) 2020-12-01 2020-12-01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65A true KR20220076965A (en) 2022-06-08
KR102491599B1 KR102491599B1 (en) 2023-01-26

Family

ID=8198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985A KR102491599B1 (en) 2020-12-01 2020-12-01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5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859B1 (en) * 2023-02-13 2023-11-02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Data integ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related dat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22B1 (en) * 2007-06-04 2008-08-11 (주)비엔티솔루션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of cultural assets and its method
KR101776059B1 (en) * 2016-11-30 2017-09-07 주식회사 다인스 A system for investigating cultural properties and a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22B1 (en) * 2007-06-04 2008-08-11 (주)비엔티솔루션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of cultural assets and its method
KR101776059B1 (en) * 2016-11-30 2017-09-07 주식회사 다인스 A system for investigating cultural properties and a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859B1 (en) * 2023-02-13 2023-11-02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Data integ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related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599B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6995B2 (en) Generating business intelligence geospatial elements
DE112018004214T5 (en) Scalable merging of space-time density data
Chen et al. Metadata-based information resource integration for research management
Gebhardt et al. Improving data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in web based information systems by semantic enrichment of descriptive data aspects
Gao et al. A multi-source spatio-temporal data cube for large-scale geospatial analysis
Karabegovic et al.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spatial data in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environment
KR102491599B1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portal service for the search of cultural heritage
CN111475595A (en) Geographic information sharing system
Gupta et al. NSDI based innovative approach for development of open source sdi for health sector: a way forward
Coetzee Reference model for a data grid approach to address data in a dynamic SDI
CN114490568A (en) Cross-domain database integration and migration method and system
Talipova et al. Perspectives of interactions CAD and GIS systems
Sladić et al. Cadastral records in Serbian land administration
Paramartha et al. Integration of Region-based Open Data Using Semantic Web
Graettinger et al. A Web‐Based Geotechnical GIS
Eo et al. Establishing the process of spatial informatization using data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Al-Saiyd A strategic framework of GIS web applications: Structure and contents
Alizadehashrafi Introducing a Customized Framework for 3D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Iran Based on OGC Standards
Marcer et al. Ali-Bey-an open collaborative georeferencing web application
Subramanian Empowering geo spatial analysis with big data platform: Natural resource management
Ghorbani et al.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for natural resources and watershed management at the provincial level in Iran: A case study in Ardabil province
Li et al. SDM Data Source
Choi et al.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Prehistoric Remains Database
Bank Importance of ope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for data sharing
ANTAI GEO-ICT IN LAND ADMINISTRATION AND GOOD GOVERNANCE IN KADUNA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