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758A - prefabricated bowl stand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owl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758A
KR20220076758A KR1020200165568A KR20200165568A KR20220076758A KR 20220076758 A KR20220076758 A KR 20220076758A KR 1020200165568 A KR1020200165568 A KR 1020200165568A KR 20200165568 A KR20200165568 A KR 20200165568A KR 20220076758 A KR20220076758 A KR 20220076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hook
prefabricated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이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철 filed Critical 이민철
Priority to KR102020016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758A/en
Publication of KR2022007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7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그릇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떡밥 그릇을 낚시대 받침대(뒷꽃이)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하거나 전시용 그릇을 진열대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성이 편리하도록 한 조립식 그릇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 양측면에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낚시대 받침대나 진열대에 걸어지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부재; 및 상기 제1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에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걸이편과 제2걸이편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조립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릇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w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a rice cake bowl used for fishing by easily mounting it on a fishing rod pedestal (back flower) or allowing a display bowl to be easily and conveniently mounted on a display stand.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wl holder that is provided as a convenient portability and storag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first body portion in which a first hook groove and a second hook groove are respectively formed on upper and lower both sides,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 a first body memb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including a first locking part to be hung on a fishing rod pedestal or a display pole; and an assembly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and having a first hook piece and a second hook piece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hung on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ok grooves to protrude; It provides a prefabricated bowl holder comprising a; and a hold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portion to grip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and a bowl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ssembly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Description

조립식 그릇 거치대{prefabricated bowl stand}Prefabricated bowl stand

본 발명은 조립식 그릇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떡밥 그릇을 낚시대 받침대(뒷꽃이)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하거나 전시용 그릇을 진열대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 그릇을 모두 거치시킬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성이 편리하도록 한 조립식 그릇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w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it allows a rice cake bowl used for fishing to be easily mounted on a fishing rod pedestal (back flower) or a display bowl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mounted on a display stand.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wl holder that can hold bowls of any shape and size, and is provided in a prefab type for convenient portability and storage.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때 미끼를 설치한 낚시바늘을 물속에 투척하게 되는바 낚시바늘에 설치하고자 하는 지렁이 혹은 새우 떡밥을 사용하는데 여러가지의 미끼를 선택해서 사용하는바 다수개의 떡밥 그릇을 사용할수 밖에 없으며 바닥등에 놓고 사용할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In general, when fishing, a fishing hook with a bait is thrown into the water. Earthworms or shrimp rice cakes to be installed on the hook are used. Various baits are selected and used,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 large number of rice cake bowls. There was no choice but to put it on the floor and use it.

또한 바닥에 놓고 사용하던 떡밥그릇을 발에걸려 엎지른다던지 불편한 요소가 많고 현재 시중에 판매돼고 있는 떡밥 그릇 거치대는 가격이 너무 비싸 구입해 쓰기가 여간 부담이 가는게 아니었다. In addition,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such as spilling the rice cake bowl that wa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rice cake bowl holder currently on the market is too expensive to purchase, so it was not burdensome to use.

특히, 떡밥 그릇 거치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부피가 큼에 따라 휴대하거나 보관이 매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ce cake bowl holder is provided integrally and is not very easy to carry or store as it has a large volume.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4340호가 등록된 바 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4340 has been regist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떡밥 그릇을 낚시대 받침대(뒷꽃이)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하거나 전시용 그릇을 진열대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 그릇을 모두 거치시킬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성이 편리하도록 한 조립식 그릇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mount a rice cake bowl used for fishing on a fishing rod pedestal (back flower) for use or displa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owl holder that not only allows easy and convenient installation of bowls on the display stand, but also can hold bowl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is provided in a prefabricated manner for convenient portability and storag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 양측면에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낚시대 받침대나 진열대에 걸어지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부재; 및 상기 제1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에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걸이편과 제2걸이편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조립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릇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first body portion in which a first hook groove and a second hook groove are respectively formed on upper and lower both sides,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 a first body memb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including a first locking part to be hung on a fishing rod pedestal or a display pole; and an assembly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and having a first hook piece and a second hook piece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hung on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ok grooves to protrude; It provides a prefabricated bowl holder comprising a; and a hold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portion to grip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and a bowl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ssembly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또한, 상기 제1몸체부의 후면에는 낚시대 받침대의 지지봉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끼움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rst fitting piece into which the support rod of the fishing rod support is detachably fit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또한, 상기 조립부의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의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몸체부의 전면에 면 밀착되어 몸체부에 조립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해주는 제1밀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hook groove and the second hook groove of the assembly part is bent in both direction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re is no shaking left and right while the assembly part is coupled to the body part is formed. characterized.

또한, 상기 파지부는 조립부의 상부에 일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릇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파지부의 타단부와 조립부의 사이에는 그릇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holding part extends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part, and the other end is bent dow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an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grip part and the assembly part, an insertion space in which the rim of the bowl is inse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또한, 상기 파지부의 타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면에는 그릇의 내측면에 파고들어 걸리도록 제1톱니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awtooth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be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또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릇의 하단면 테두리가 걸리도록 제2톱니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errated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bowl is cau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는 땅속에 꽃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꽃이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er par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ground.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단부 상,하면에 제3걸이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하부 양측면에 제4걸이홈과 제5걸이홈이 각각 형성된 그릇지지연장판이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낚시대 받침대나 진열대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본체부재; 상기 제2본체부재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 가장자리 상,하부에는 상기 제3걸이홈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3걸이편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하부 양측면에는 제6걸이홈과 제7걸이홈이 각각 형성되는 그릇지지결합판; 및 상기 그릇지지연장판과 상기 그릇지지결합판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제4걸이홈, 제5걸이홈, 제6걸이홈, 제7걸이홈에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걸이편과 제2걸이편이 형성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조립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릇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hang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and the fourth and fifth hook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both sides of the other end to extend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a second body member including a second body por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o be hung on a fishing rod pedestal or a display pole; A third hook pie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dy member and is inserted into and hung in the third hook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one end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nd a sixth hook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 bowl support coupling plate in which a groove and a seventh hook groove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and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ourth hook groove, the fifth hook groove, the sixth hook groove, and the seventh hook groove and hang. An assembling par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anging pieces are formed, a hold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part to grip the upper part of the bowl, and a support pa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assembly part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owl. It provides a prefabricated bowl holder comprising; a bowl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제1몸체부의 후면에는 낚시대 받침대의 지지봉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끼움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fitting pie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rod of the fishing rod support is detachably fitted.

또한, 상기 조립부의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의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몸체부의 전면에 면 밀착되어 몸체부에 조립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해주는 제1밀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hook groove and the second hook groove of the assembly part is bent in both direction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re is no shaking left and right while the assembly part is coupled to the body part is formed.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떡밥 그릇을 낚시대 받침대(뒷꽃이)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하거나 전시용 그릇을 쉽고 간편하게 진열대에 걸어서 진열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 그릇을 모두 거치시킬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성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ice cake bowl used for fishing can be easily mounted on a fishing rod stand (back flower), or a display bowl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hung on the display stand, as well as all bowl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re mounted.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portability and storage as it is provided in a prefabricated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본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지지부재의 파지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가 낚시대 받침대에 적용된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가 진열대에 적용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가 바닥에 꽃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그릇지지결합판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ow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holding part of the bowl support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to 7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prefabricated bow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fishing rod pedestal.
8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the prefabricated dish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display stan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bow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lowered on the floor.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wl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1 ;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ow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조립식 그릇 거치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fabricated dish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떡밥 그릇을 낚시대 받침대(뒷꽃이)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하거나 전시용 그릇을 진열대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성이 편리하도록 한 조립식 그릇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조립식 그릇 거치대(10)는 크게 제1본체부재(100)와 그릇지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ice cake bowl used for fishing can be easily mounted on a fishing rod pedestal (back flower) or a display bowl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mounted on a display stand, and it is provided in a prefabricated type for convenient portability and storage. As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wl holder, such a prefabricated bowl holder 10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ody member 100 and a bowl support member 200 .

제1본체부재(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양측면에 제1걸이홈(111)과 제2걸이홈(112)이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20) 및 상기 제1연장부(120)의 상단부에는 낚시대 받침대(20)나 진열대(30)에 걸어지는 제1걸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body member 100 may be made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 a first hook groove 111 and a second hook groove ar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body member 100 . A first body portion 110 in which 112 is formed, respectively, a first extension portion 120 extending upwardly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ocking part 130 that is hung on the fishing rod support 20 or the display rod 30 .

이때, 제1걸림부(130)의 일단부는 제1연장부(120)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locking part 130 extends horizontall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the other end is bent downward.

또한, 제1본체부재(100)의 후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 받침대(20)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장착되는 제1끼움편(1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fitting piece 140 that is detachably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shing rod support 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member 100 as shown in FIG. 3 .

이때, 제1끼움편(140)은 낚시대 받침대(20)의 지지봉(22)이 끼움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1안착홈(14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fitting piece 140 is formed with a first seating groove 141 with one side open so that the support rod 22 of the fishing rod pedestal 20 is fitted.

그릇지지부재(200)는 상술한 제1본체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그릇지지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면 상,하부에는 제1걸이홈(111)과 제2걸이홈(112)에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부(210)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릇(40)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220) 및 상기 조립부(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릇(40)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owl support member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body member ( ), and as shown in FIGS. It may be made of a single material, an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hook groove 111 and the second hook groove 112 to be hung. The assembly part 210 protrudingly formed, the holding part 2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part ( ) to hold the upper part of the bowl 40 , and the bowl 40 being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assembly part 21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ortion 230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의 각 하단면에는 제1걸이홈(111)과 제2걸이홈(112)에 관통된 상태에서 하강함에 따라 제1걸이홈(111)과 제2걸이홈(112)의 바닥면이 끼워지도록 제1끼움홈(211a)과 제2끼움홈(212a)이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are made in the same shape, and a first hook groove 111 is formed on each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 )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12, the first fitting groove 211a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so that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hook groove 111 and the second hook groove 112 are fitted as descending in a state penetrating through the hook groove 112. 212a are respectively formed.

또한, 상기 조립부(210)의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의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몸체부(110)의 전면에 면 밀착되어 제1몸체부(110)에 조립부(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해주는 제1밀착편(2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of the assembly portion 210 is bent in both direction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e first body portion 110 ) in the state in which the assembly part 210 is coupled, the first adhesive piece 213 is formed so that it does not shake left or right.

또한, 상기 파지부(220)는 조립부(210)의 상부에 일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릇(4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파지부(220)의 타단부와 조립부(210)의 사이에는 그릇(40)의 상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40)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holding part 220 has one end extending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part 210 , and the other end is bent dow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40 , and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part 220 . An insertion space 240 into which the upper rim of the bowl 40 is inserted is provided between the assembly part 210 and the assembly part 210 .

또한, 상기 파지부(220)의 타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면에는 그릇(40)의 내측면에 파고들어 걸리도록 제1톱니부(221)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toothed portion 22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220 so as to dig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40 .

따라서, 삽입공간(240)으로 그릇(40)의 상부 테두리가 삽입되어 거치되면 그릇(40)의 무게 하중에 의해 제1톱니부(221)가 그릇(400)의 상부 내측면에 일정깊이 파고들어가 견고하게 고정된다.Therefore, when the upper rim of the bowl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40 and mounted, the first toothed part 221 digs in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wl 400 by the weight of the bowl 40 to a certain depth. firmly fixed

한편, 파지부(220)의 타단부는 도 6a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도 6b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도 6c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part 22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in the out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6A, inclined at a certain angle in the inner direction as shown in FIG. 6B, or may be form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6C. It is preferable. .

또한, 상기 받침부(23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릇(40)의 하단면 테두리가 걸리도록 제2톱니부(231)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awtooth portion 2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30 so th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40 is cau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그릇(40)의 하단면에 형성된 테두리가 제2톱니부(231)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된다.Accordingly, the rim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40 is firmly fixed to the second serrated portion 231 .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의 조립방법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assembling and using a prefab dish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부재()와 복수의 그릇지지부재(200)가 분해된 상태에서 제1몸체부(110)의 상,하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걸이홈(111)과 제2걸이홈(112)에 그릇지지부재(200)의 조립부(210)에 돌출 형성된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을 관통시킨 후 하강시킨다. 그러면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의 각 하단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211a)과 제2끼움홈(212a)에 제1걸이홈(111)과 제2걸이홈(112)의 바닥면이 끼워짐에 따라 그릇지지부재(200)가 제1본체부재(100)에 결합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member ( ) and the plurality of bowl support members 200 are disassembled, first hanging grooves 111 respectively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body part 110 . ) and the second hooking groove 112 through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protruding from the assembly part 210 of the bowl support member 200, and then lowered. Then, the first hooking groove 111 and the second hooking groove in the first fitting groove (211a)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212a) formed on each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As the bottom surface of 112 is fitted, the bowl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member 100 .

그런 다음, 도 7a 및 도 7b와 같이 낚시대 받침대(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낚시대 거치부(21)에 제1본체부재(100)의 제1걸림부(130)를 걸어준다. 이때, 제1본체부재(100)의 제1끼움편(140)에 형성된 제1안착홈(141)에 낚시대 받침대(20)의 지지봉(22)이 끼움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릇(40)을 하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여서 그릇(40)의 상부 테두리를 그릇지지부재(200)의 삽입공간(240)에 삽입시킨 후 그릇(40)을 내려놓아 거치시킨다.Then, as shown in FIGS. 7A and 7B , the first locking part 130 of the first body member 100 is hooked to the fishing rod holder 2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shing rod support 20 . At this time, the support rod 22 of the fishing rod support 20 is fit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41 formed in the first fitting piece 140 of the first body member 100 in a fitted state, and in this state The bowl 40 is tilted downward at a certain angle to insert the upper rim of the bowl 40 into the insertion space 240 of the bowl support member 200 , and then the bowl 40 is put down and mounted.

그러면 도 7c와 같이 파지부(220)의 타단부가 그릇(4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받침부(230)가 그릇(40)의 하단부를 받쳐주므로 그릇(40)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파지부(220)의 타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제1톱니부(221)가 돌출 형성되어 그릇(40)의 상부 내측면에 일정깊이 파고들어 걸림과 동시에 받침부(2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2톱니부(231)가 그릇(40)의 하단면에 형성된 테두리가 걸리므로 견고하게 그릇(40)을 거치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7c ,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part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40 , and the support part 230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bowl 40 so as to support the bowl 40 , at this time , The first toothed portion 221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220, and dig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wl 40 to a certain depth, and at the same time as being caught, project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30 Since the second serrated portion 231 is caught on the edg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wl 40 , the bowl 40 can be firmly mounted.

따라서 기존에 낚시를 하는 경우 지렁이 혹은 새우 떡밥을 사용하기 위해 그릇에 담아서 바닥 등에 놓고 사용함에 따라 허리를 숙여야하는 불편함은 물론 특정 위치에 일정하게 구비되지 않아 찾아 다녀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nventional fish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nd down as well 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for earthworms or shrimp rice cakes because they are not constantly provided in a specific location by putting them in a bowl and placing them on the floor to use them. have.

한편,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130)를 벽에 고정된 진열대(30)에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걸림부(130)를 벽에 고정된 지열대(30)에 걸어서 사용할 경우 제1끼움편(140)의 끝단이 벽면에 밀착되어 흔들림이 없도록 해준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ocking part 130 may be hung on the display stand 30 fixed to the wall and us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ocking part 130 is hung on the geothermal base 30 fixed to the wall and used, the end of the first fitting piece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to prevent shaking.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본체부재(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인 것으로,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부재(100)는 제1몸체부(110)의 하단부에 꽃이부(150)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도 9와 같이 제1본체부재(100)를 땅속에 꽃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그 구성만이 다를 뿐 나머지 구조 및 작용효과 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부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ody member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member 100 according to such another embodiment is a flower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10 The ear part 15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main body member 100 can be used by cutting it in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Since it is the same as the first body member ( ) according to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부재(100)는 땅속에 꽃아서 사용함으로써 제1걸림부(130)와 제1끼움편(140)의 구성이 없어도 무관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body memb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used in the ground, it is irrelevant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locking part 130 and the first fitting piece 140 .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그릇지지결합판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wl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11, Figure 13 is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of Figure 10 It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n.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as follow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떡밥 그릇 또는 전시용 그릇을 적어도 하나 이상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성이 편리하도록 한 조립식 그릇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써,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10)는 일단부 상,하면에 제3걸이홈(311)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하부 양측면에 제4걸이홈(341)과 제5걸이홈(342)이 각각 형성된 그릇지지연장판(340)이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310)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320)와, 상기 제2연장부(3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낚시대 받침대(20)나 진열대(30)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330)를 포함하는 제2본체부재(300)와, 상기 제2본체부재(30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 가장자리 상,하부에는 상기 제3걸이홈(311)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3걸이편(410)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하부 양측면에는 제6걸이홈(420)과 제7걸이홈(430)이 각각 형성되는 그릇지지결합판(400) 및 상기 그릇지지연장판(340)과 상기 그릇지지결합판(40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제4걸이홈(341), 제5걸이홈(342), 제6걸이홈(420), 제7걸이홈(430)에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이 형성되는 조립부(210)와, 상기 조립부(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220)와, 상기 조립부(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230)를 포함하는 그릇지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wl holder that can hold at least one rice cake bowl or display bowl used for fishing, as well as being provided in a prefab type for convenient portability and storage, and other The prefabricated bowl hold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third hanging groove 311 formed on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fourth hanging groove 341 and a fifth hanging groove 342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at the other end. ), a second body portion 310 in which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340 is formed to extend,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extending upwardly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310, and the first A second body member 30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wo extension parts 320 and including a second locking part 330 to be hung on the fishing rod pedestal 20 or the display rod 30, and the second body member 300 )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an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one end, a third hook piece 410 that is inserted into and hung on the third hook groove 311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n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Removably coupled to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and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340 and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in which the 6th hook groove 420 and the 7th hook groove 430 are respectively formed, respectively.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ear surface, the first hook piece ( 211) and the assembly part 210 in which the second hook piece 212 is formed, the grip part 220 provided on the assembly part 210 to grip the upper part of the bowl, and the assembly part 210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member 200 including a support 230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wl.

이때, 제2걸림부(330)의 일단부는 제2연장부(320)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cond locking part 330 extends horizontally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and the other end is bent downward.

또한, 제2본체부재(300)의 후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 받침대(20)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장착되는 제2끼움편(35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fitting piece 350 that is detachably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shing rod support 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member 300 , as shown in FIG. 12 .

이때, 제2끼움편(350)은 낚시대 받침대(20)의 지지봉(22)이 끼움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2안착홈(35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fitting piece 350 is formed with a second seating groove 351 of which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support rod 22 of the fishing rod pedestal 20 is fitted.

또한, 그릇지지결합판(400)의 제3걸이편(410)과 제3걸이편(410)의 사이에는 제2몸체부(310)의 일단부 전면에 면 밀착되어 그릇지지결합판(4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제2밀착편(440)이 형성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third hook piece 410 and the third hook piece 410 of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one end of the second body part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 A second adhesion piece 440 is formed to prevent this shaking.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릇 거치대의 조립방법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and using a prefab dish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2본체부재(300)의 제3걸이홈(311)에 그릇지지결합판(400)의 일단부 가장자리 상,하부에 돌출 형성된 제3걸이편(410)을 관통시킨 후 하강시킨다. 그러면 제3걸이편(410)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3끼움홈(411)에 제3걸이홈(311)의 바닥면이 끼워짐에 따라 그릇지지결합판(400)이 제2본체부재(300)에 결합된다.First, in a state as shown in FIG. 10 , a third hanging piece 410 protruding from the top and bottom edges of one end of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in the third hanging groove 311 of the second body member 300 . ), and then descend. Then,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hook groove 311 is fitted into the third fitting groove 41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hook piece 410,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is formed with the second body member 300. ) is bound to

그런 다음, 제2본체부재(300)의 그릇지지연장판(340)에 형성된 제4걸이홈(341)과 제5걸이홈(342) 및 그릇지지결합판(400)에 형성된 제6걸이홈(420)과 제7걸이홈(430)에 각각 그릇지지부재(200)에 돌출 형성된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을 관통시킨 후 하강시킨다. 그러면 제1걸이편(211)과 제2걸이편(212)의 각 하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211a)과 제2끼움홈(212a)에 제4걸이홈(341)과 제5걸이홈(342) 및 제6걸이홈(420)과 제7걸이홈(430)의 바닥면이 끼워짐에 따라 그릇지지부재(200)가 그릇지지연장판(340)과 그릇지지결합판(400)에 결합된다.Then, the fourth and fifth hanging grooves 341 and 342 formed in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340 of the second body member 300 and the sixth hanging groove formed in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 420) and the seventh hook groove 430, respectively,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wl support member 200 are penetrated and then lowered. Then, in the first fitting groove (211a)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212a) formed on each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ok piece 211 and the second hook piece 212, a fourth hook groove 341 and a fifth hook groove ( 34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ixth hanging groove 420 and the seventh hanging groove 430 are fitted, the bowl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340 and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do.

그런 다음, 낚시대 받침대(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낚시대 거치부(21)에 제2본체부재(300)의 제2걸림부(330)를 걸어주거나 벽에 고정된 진열대(30)에 제2걸림부(330)를 걸어준 다음 그릇지지연장판(340)과 그릇지지결합판(400)에 각각 결합된 그릇지지부재(200)에 그릇(40)을 거치시킨다.Then, the second locking part 330 of the second body member 300 is hung on the fishing rod holder 2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shing rod support 20 or the second locking part is attached to the display rod 30 fixed to the wall. After hanging the 330, the bowl 40 is mounted on the bowl support member 200 coupled to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340 and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00, respectively.

따라서 기존에 낚시를 하는 경우 지렁이 혹은 새우 떡밥을 사용하기 위해 그릇(떡밥통)에 담아서 바닥 등에 놓고 사용함에 따라 허리를 숙여야하는 불편함은 물론 특정 위치에 일정하게 구비되지 않아 찾아 다녀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할 수 있으며, 하나의 거치대로 복수 개의 그릇을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nventional fishing, to use earthworm or shrimp rice cakes, put them in a bowl (rice cake bowl) and place them on the floor, etc. can be eliminated, and a plurality of bowls can be installed with one cradle.

10 : 조립식 그릇 거치대 20 : 낚시대 받침대 30 : 진열대 40 : 그릇
100 : 제1본체부재
110 : 제1몸체부 111 : 제1걸이홈 112 : 제2걸이홈
120 : 제1연장부 130 : 제1걸림부 140 : 제1끼움편
141 : 제1안착홈 150 : 꽃이부
200 : 그릇지지부재
210 : 조립부 211 : 제1걸이편 211a : 제1끼움홈
212 : 제2걸이편 212a : 제2끼움홈 213 : 제1밀착편
220 : 파지부 221 : 제1톱니부 230 : 받침부 231 : 제2톱니부
240 : 삽입공간
300 : 제2본체부재
310 : 제2몸체부 311 : 제3걸이홈 320 : 제2연장부
330 : 제2걸림부 340 : 그릇지지연장판 341 : 제4걸이홈
342 : 제5걸이홈 350 : 제2끼움편 351 : 제2안착홈
400 : 그릇지지결합판
410 : 제3걸이편 411 : 제3끼움홈 420 : 제6걸이홈
430 : 제7걸이홈 440 : 제2밀착편
10: prefabricated bowl holder 20: fishing rod support 30: display stand 40: bowl
100: first body member
110: first body portion 111: first hook groove 112: second hook groove
120: first extension 130: first engaging portion 140: first fitting piece
141: first seating groove 150: flower part
200: bowl support member
210: assembly part 211: first hook piece 211a: first fitting groove
212: second hook piece 212a: second fitting groove 213: first adhesive piece
220: grip portion 221: first toothed portion 230: support portion 231: second toothed portion
240: insertion space
300: second body member
310: second body part 311: third hook groove 320: second extension part
330: second stopper 340: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341: fourth hook groove
342: fifth hook groove 350: second fitting piece 351: second seating groove
400: bowl support coupling plate
410: third hook piece 411: third fitting groove 420: sixth hook groove
430: seventh hook groove 440: second adhesive piece

Claims (12)

상,하부 양측면에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낚시대 받침대나 진열대에 걸어지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부재; 및
상기 제1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에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걸이편과 제2걸이편이 돌출 형성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조립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릇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A first body portion in which first and second hook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re provided a first body member including a first locking part to be hung on a fishing rod pedestal or a display pole; and
An assembly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and protrudingly formed with a first hook piece and a second hook piece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hung on the first and second hook grooves on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and the Prefabricated bowl holder comprising a; a hold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part to hold the upper part of the bowl, and a bowl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assembly part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ow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의 후면에는 낚시대 받침대의 지지봉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끼움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prefabricated bow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rst fitting pie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rod of the fishing rod support is detachably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의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몸체부의 전면에 면 밀착되어 제1몸체부에 조립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해주는 제1밀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first hook groove and the second hook groove of the assembly part is bent in both direction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so that there is no shaking left and right while the assembly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Prefabricated bow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조립부의 상부에 일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릇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파지부의 타단부와 조립부의 사이에는 그릇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holding part extends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part, and the other end is bent downwar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Features a prefabricated bowl hol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타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면에는 그릇의 내측면에 파고들어 걸리도록 제1톱니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Prefabricated bow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othed portion protrudes so as to be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gri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릇의 하단면 테두리가 걸리도록 제2톱니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Prefabricated bow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errated por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bowl is cau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는 땅속에 꽃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꽃이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is prefabricated bow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er part protrudes downward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ground.
일단부 상,하면에 제3걸이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하부 양측면에 제4걸이홈과 제5걸이홈이 각각 형성된 그릇지지연장판이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낚시대 받침대나 진열대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본체부재;
상기 제2본체부재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 가장자리 상,하부에는 상기 제3걸이홈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3걸이편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하부 양측면에는 제6걸이홈과 제7걸이홈이 각각 형성되는 그릇지지결합판; 및
상기 그릇지지연장판과 상기 그릇지지결합판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제4걸이홈, 제5걸이홈, 제6걸이홈, 제7걸이홈에 각각 삽입되어 걸어지는 제1걸이편과 제2걸이편이 형성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조립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릇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그릇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third hanging groov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end, and fourth and fifth hang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both sides of the other end, the second body portion being extended and formed; a second body member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o be hung on a fishing rod pedestal or a display st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dy member, an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one end, a third hook piece inserted into the third hook groove and hung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nd a sixth hook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 bowl support coupling plate in which a groove and a seventh hook groove are formed, respectively; 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wl support extension plate and the bowl support coupling plate, respectively, and is inserted into the fourth hook groove, the fifth hook groove, the sixth hook groove, and the seventh hook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to be hung. A bowl comprising: an assembly part in which the first hook piece and the second hook piece are formed; Prefabricated bowl hold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의 후면에는 낚시대 받침대의 지지봉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끼움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9. The method of claim 8,
Prefabricated bow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fitting pie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to which the support rod of the fishing rod support is detachably fit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제1걸이홈과 제2걸이홈의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몸체부의 전면에 면 밀착되어 몸체부에 조립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해주는 제1밀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9. The method of claim 8,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ok grooves of the assembly part, a first adhesive piece is formed that is bent in both directions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re is no shaking left and right while the assembly part is coupled to the body. prefabricated bowl hold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조립부의 상부에 일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릇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파지부의 타단부와 조립부의 사이에는 그릇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9. The method of claim 8,
One end of the holding part extends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part, and the other end is bent downwar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Features a prefabricated bowl hold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타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면에는 그릇의 내측면에 파고들어 걸리도록 제1톱니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릇 거치대.
12. The method of claim 11,
Prefabricated bow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othed portion protrudes so as to be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gripper.
KR1020200165568A 2020-12-01 2020-12-01 prefabricated bowl stand KR202200767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568A KR20220076758A (en) 2020-12-01 2020-12-01 prefabricated bowl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568A KR20220076758A (en) 2020-12-01 2020-12-01 prefabricated bowl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58A true KR20220076758A (en) 2022-06-08

Family

ID=8198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568A KR20220076758A (en) 2020-12-01 2020-12-01 prefabricated bowl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75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40Y1 (en) 2004-03-24 2004-06-29 고용열 Rice bowl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40Y1 (en) 2004-03-24 2004-06-29 고용열 Rice bowl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402B1 (en) Cleaning tool holder
US7546990B1 (en) Tool hanger system kit
USD900599S1 (en) Hook for a rod for use with hanging file holders
US5443173A (en) Collapsible basket
US20160021861A1 (en) Fishing caddy system and method
KR20170002910U (en) Combined fishing bag Fishing toolholder
JP4415286B1 (en) Pole holder for hanging
US1970370A (en) Floral device or garland
US20170303477A1 (en) Hanging planter with obscured attachment point
US5971172A (en) Folding artificial Christmas tree frame
KR20220076758A (en) prefabricated bowl stand
KR100792228B1 (en) Supporter for a fishing rod
US9474263B2 (en) Attachable implement holder
CN214855918U (en) Rotatable earphone stores pylon of centre gripping in desktop
KR102521428B1 (en) A supporter for fishing rod
JP2006296222A (en) Banana hanger
CN214677247U (en) Nesting child type fishing gear storage box
KR100871337B1 (en) A pot-lid hanger for combination
JP4407286B2 (en) Bathroom rack
KR101544982B1 (en) Hanger type fishing pole holder
KR200301457Y1 (en) Rest for fishing-rod
KR200439777Y1 (en) A fishing rod on pedestal
JP3081460U (en) Hanging basket
CN205411079U (en) Organism and dust catcher of dust catcher
JP3033907U (en) Sprink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