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464A - 무선 통신의 방법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의 방법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464A
KR20220076464A KR1020227010701A KR20227010701A KR20220076464A KR 20220076464 A KR20220076464 A KR 20220076464A KR 1020227010701 A KR1020227010701 A KR 1020227010701A KR 20227010701 A KR20227010701 A KR 20227010701A KR 20220076464 A KR20220076464 A KR 2022007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terminal
pdcp
indication information
r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씨 루
쩐샨 자오
훼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04L41/0886Fully automatic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Abstract

무선 통신의 방법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제1 단말이,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CL)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의 방법 및 단말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의 방법과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 차량 간 통신망(Long Term Evaluation Vehicle to Vehicle, LTE V2V)을 기반으로 한 사이드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이고, 전통적인 LTE 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송신하는 방식과 다르고,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의 직접 통신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더욱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딜레이를 갖는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가,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상황,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상황과 같은 다른 상황에 있을 수 있고, 또한 단말 장치가 아이들 상태, 비활성 상태 또는 연결 상태 등과 같은 다른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 구성이,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 또는 전용 시그널링 등 다른 구성으로부 올 수 있고, 다른 구성이 송신단의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고 수신단의 수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 전송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을 확보할까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무선 통신의 방법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전송 파라미터의 적시적 업데이트를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제1 방면으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1 단말이,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CL)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CL)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에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6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2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7 방면으로, 칩을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2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칩에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해당 칩이 설치된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2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제8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2 방면 중의 임의의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2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0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바, 이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2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술된 기술 방안을 기반으로,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송신단 장치가 수신단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단 장치가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며, 대응하게 수신단 단말이, 상기 송신단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나아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할 수 있어, 송신단 장치와 수신단 장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일관을 확보하여, 데이터의 정상적인 전송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응용 상황의 도면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일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상호작용 도면이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일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상호작용 도면이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일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칩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수행하게 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D2D)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을 기반으로 D2D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 또는 NR-V2X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전통적인 LTE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통신 데이터가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송신한 방식과 달라,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단말 대 단말 직접 통신의 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더욱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차량 인터넷 시스템이 기반한 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시스템,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통신 시스템, 5G 엔알(New Radio,NR)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한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 교환국,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집선기, 교환기, 브리지, 라우터, NR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gNB) 또는 미래 향상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는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단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LET 시스템 중의 단말 장치(LTE UE), NR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NR UE), 또는 미래 향상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 상황의 도면이다. 도1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 두 개의 단말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나,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다수 개의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기타 수량의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에 또한 이동 관리 실체(Mobile Management Entity, MME), 서비스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어, 또는,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또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SMF), 통일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UDM),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AUSF)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여 제한하지 않는다.
해당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가 모드(3)와 모드(4)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21)와 단말 장치(122)는 D2D 통신 모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D2D 통신을 수행할 때, 단말 장치(121)와 단말 장치(122)가 D2D 링크, 즉 사이드링크(Sidelink, SL)를 통하여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모드(3)에서, 단말 장치의 전송 자원은 기지국이 할당한 것이고, 단말 장치가, 기지국이 할당한 자원에 의하여 SL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 장치를 위하여 단번에 전송하는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또한 단말 장치를 위하여 반정적으로 전송하는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모드(4)에서, 단말 장치가 SL 자원에서 자율적으로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자원 풀에서 센싱의 방식을 통하여 이용가능한 전송 자원을 취득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가 자원 폴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상술된 모드(3)와 모드(4)가 단지 예시적으로 두 가지 전송 모드를 설명한 것일 뿐이고, 기타의 전송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R-V2X에서 모드(1)와 모드(2)를 도입하는 바, 모드 (1)은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기지국에 의하여 할당된 것이고, 기지국이 해당 모드(3)와 모드(1)를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어, 예를 들면, 하나의 동적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반정적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방식, 또는 반정적에 동적을 더하는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방식 등일 수 있는 것을 표시하고, 모드(2)는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것을 표시한다.
D2D 통신 기술은 차량 간(Vehicle to Vehicle,V2V로 약칭)통신에 적용 또는 차량 사물(Vehicle to Everything,V2X)통신에 적용되어 통신할 수 있다. V2X 통신에서, X는 임의의 무선 수신과 송신 능력을 갖는 장치를 총괄하여 가리키지만, 예를 들면,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무선 장치,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용 장치, 또는 무선 송수신 능력을 갖는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주로 V2X 통신의 상황에 적용되지만, 임의의 기타 D2D 통신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을 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전문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통상적으로 서로 바꾸어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 중의 전문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이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에 대하여 송신단 단말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송신단 단말이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지역에 처할 때, 송신단 단말이 사전 구성된 파라미터에 의하여 접속 계층 구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 예를 들면, 송신단 단말이 셀룰로오스 커버리지가 있는 지역에 처하고 또한 상기 송신단 단말이 아이들(Idle) 상태 또는 비 활성화(Inactive) 상태에 처할 때, 송신단 단말이 시스템 메시지 중의 구성에 의하여 접속 계층 구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 예를 들면, 송신단 단말이 셀룰로오스 커버리지가 있는 지역에 처하고 또한 상기 송신단 단말이 연결(connected) 상태에 처할 때, 송신단 단말이 전용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시그널링 중의 구성에 의하여 접속 계층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단 단말이 다른 커버리지 상황 또는 다른 상태 간에 전환할 때, 이의 접속 계층 구성이 다른 구성으로부터 올 수 있고, 다른 구성의 파라미터의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송신단 파라미터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고, 일부 송신단 파라미터의 변화가 수신단의 수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시퀀스 번호(Serial Number,SN) 갈이, 최대한 콘텍스트 아이디(Max Context Indentify,MaxCID) 등이 송신 파라미터이고 또한 수신 파라미터이다.
상술된 파라미터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실시간 보정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전송 오류를 초래하기 때문에 어떻게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을 확보할가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200)은 도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할 수 있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에는 다음과 같은 적어도 일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S210, 제1 단말은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송신단 단말일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이 수신단 단말일 수 있다.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것을 확정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어, 상기 제1 단말이 수신 파라미터의 재구성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full configuration)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도록 지시하여 수신 파라미터의 재구성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에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송신 파라미터 및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는 데이터 송신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가리킬 수 있으며, 일부 상황 하에서, 상기 송신 파라미터도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송신 파라미터도 수신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유사하게 수신 파라미터가 데이터 수신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가리킬 수 있으며, 일부 상황 하에서, 상기 수신 파라미터도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수신 파라미터도 송신 파라미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현재 전용(dedicated)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공중(common)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에 적어도 하나의 수신 파라미터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이 사전 정의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로부터 온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전 정의된 구성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할 때, 사전 정의된 구성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현재 구성을 해당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사전 정의된 구성으로 업데이트시키며; 또는, 사전 구성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할 때, 사전 구성된 정보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하미터의 현재 구성을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 중 해당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으로 업데이트시키며; 또는, 시스템 메시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하미터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할 때, 시스템 메시지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하미터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현재 구성을 시스템 메시지 중 해당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으로 업데이트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전 정의된 구성이 프로토콜에 의하여 약정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 신분 식별 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SIM)에 사전 설정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SIM 카드에서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전용 (dedicated)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release) 또는 제거(clear)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ccess Statum,AS)안전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상기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고 단지 상기 특정된 구성을 보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음과 같은 과정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아래에서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할 때,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베어링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시그널링 중의 특정된 비트일 수 있며, 해당 특정된 비트의 값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예를 들면, 해당 특정된 비트는 1 비트일 수 있고, 값이 0인 것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한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지 않는 것을 표시하고, 값이 1인 것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암시적으로 지시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며,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변화를 지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변화, 또는 업데이트된 후의 상기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 또는 변화하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있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변화하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있는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접속 계층 파라미터에 SDAP파라미터, PDCP 파라미터, RL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SDAP 파라미터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세션(session)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고 하나가 포함된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PDCP 파라미터에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관련된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관련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PDCP 헤드 압축 구성에 압축을 수행하는지 여부, maxCID, 헤드 압축 알고리즘(예를 들면, profile), 헤드 압축 방식(예를 들면, 로버스트 헤드 압축(Robust Header Compression, ROHC)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RLC 파라미터에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위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는 단지 예시 일 뿐,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계층 파라미터에는 또한 기타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송신단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수신단은 송신단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할 수 있어, 송신단과 수신단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일관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데이터의 안전적인 전송을 확보한다.
위에 도2를 참조하여 제1 단말의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제2 단말의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에에 의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 단말 측의 기술과 제1 단말 측의 기술은 상호 대응되고, 유사한 기술은 위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의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로서, 해당 방법(300)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할 수 있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S310,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한다.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다음과 같은 상황 중의 적어도 하나에 처할 때,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이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구역으로부터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구역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구역으로부터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구역으로 이동하며;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였으며, 예를 들면, 제1 셀로부터 제2 셀로 전환하며;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연결 상태에 처하고, 상기 제2 단말이 다른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기 다른 RRC 시그널링에 다른 접속 계층 구성이 포함되며;
셀룰로오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전환하고, 또는 연결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단말이 다른 상황에서 전환 또는 다른 상태에서 전환할 때,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며;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아래에서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할 때,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300)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사전 구성된 정보 및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과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 간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구역에서, 단말 장치가 사전 구성된 정보에 의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 구성을 취득할 수 있고,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구역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예를 들면 시스템 메시지 또는 전용 시그널링에 의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 구성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의 전용 시그널링에는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 사전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의 SIM 카드에 사전 설정된다.
예를 들면,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A)으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B)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사전 구성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변화 상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변환된 후의 파라미터 구성, 또는 변화한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지시된 파라미터 변화에 의하여,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다른 일 예시로서,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A)으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B)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한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B)으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A)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변화 상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변환된 후의 파라미터 구성, 또는 변화한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지시된 파라미터 변화에 의하여,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다른 일 예시로서,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B)으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A)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한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였으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단말이 셀(A)로부터 셀(B)로 재선택하면, 해당 제2 단말이 상기 셀(B)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만일 상기 셀(A)의 시스템 정보와 상기 셀(B)의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 구성이 변화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셀(B)의 시스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변화 상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셀(B)로부터 온 시스템 메시지 중의 파라미터 구성, 또는 셀(B)의 시스템 메시지 중의 파라미터 구성이 셀(A)의 시스템 메시지 중의 파라미터 구성에 상대하는 변화량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시로서, 상기 제2 단말이 셀(A)으로부터 셀(B)로 재선택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한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연결 상태에 처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전용 시그널링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예를 들면,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그 후, 상기 제2 단말이 또한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만일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과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 구성이 변화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과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구성에 의하여, 또는 제2 전용 시그널링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단말의 파라미터 구성의 변화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변화된 후의 파라미터 구성, 또는 변환된 파라미터 구성의 변화량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예시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제2 단말이 다음과 같은 과정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구성하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이 상술된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파라미터의 업데이트, 또는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전부 현재 공중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적용 프로토콜(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S) 안전 구성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이 사전 정의된 것이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가 구성한 것이다.
상술된 완전 구성 과정의 구체적인 구현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음과 같은 과정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DAP파라미터, PDCP 파라미터, RL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DAP 파라미터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세션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고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PDCP 파라미터에는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RLC 파라미터에는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아래에서 도4 내지 도5을 참조하여 장치의 상호작용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된다.
S21,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구성(1)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구역에 처할 수 있다.
나아가, S22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접속 계층 구성을 송신하며, 상기 접속 계층 구성에는 상기 구성(1)이 포함될 수 있으며;
S23에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구성(1)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구역에 들어가면, S24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사전 구성된 정보로부터 구성(2)을 취득하며;
상기 구성(1)과 상기 구성(2)은 다른 구성이면, S25에서, 상기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할 수 있어, 접속 계층 구성을 구성(1)으로부터 구성(2)로 업데이트시키며;
S26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또한 상기 구성(2), 또는 구성(2)이 구성(1)에 상대하는 변화가 포함될 수 있다.
S27에서,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 계층 구성을 구성(1)으로부터 구성(2)로 업데이트시키며;
나아가, S28에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구성(2)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된다.
S31,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구성(1)을 취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에는 상기 구성(1)이 포함된다.
이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있는 구역에 처할 수 있다.
나아가, S32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접속 계층 구성을 송신하며, 상기 접속 계층 구성에는 상기 구성(1)이 포함될 수 있으며;
S33에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구성(1)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S34,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구성(2)을 취득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에는 상기 구성(2)이 포함된다.
상기 구성(1)과 상기 구성(2)은 다른 구성이면, 상기 제2 단말이 접속 계층 구성을 구성(1)으로부터 구성(2)로 업데이트시키며;
S35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접속 계층 구성을 송신하며, 상기 접속 계층 구성에는 상기 구성(2)이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구성(2)을 기반으로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여 구성(1)을 구성(2)로 업데이트시키며;
또는,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S36에서, 상기 제2 단말이 또한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S37에서,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고, 접속 계층 구성을 구성(1)으로부터 구성(2)로 업데이트시키며;
나아가, S38에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구성(2)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2 내지 도5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 도6 내지 도9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는 바,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상호 대응되고, 유사한 기술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4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400)에는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410)이 포함되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전부 현재 공중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적용 프로토콜(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S) 안전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이 사전 정의된 것이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가 구성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음과 같은 과정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DAP파라미터, PDCP파라미터, RLC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DAP 파라미터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세션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고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P 파라미터에는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RLC 파라미터에는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된 확정 모듈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4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단말 장치(400) 중의 각 유닛의 상술과 기타 조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술된 실시예 중의 제1 단말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인 것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5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500)에는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510)이 포함되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또한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이 포함되며;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사전 구성된 정보 및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과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 간에 이동하면,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510)은 또한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 정보, 네트워크 장치의 전용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온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만일 상기 단말 장치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고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였으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510)은 또한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만일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에 처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전용 시그널링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이 다음과 같은 과정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전부 현재 공중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적용 프로토콜(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S) 안전 구성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이 사전 정의된 것이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가 구성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다음과 같은 과정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DAP파라미터, PDCP파라미터, RLC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SDAP 파라미터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세션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P 파라미터에는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RLC 파라미터에는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된 통신 모듈은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고, 또는 통신 칩일 수 있거나 또는 단일 칩 시스템의 입력 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술된 확정 모듈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5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단말 장치(500) 중의 각 유닛의 상술과 기타 조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술된 실시예 중의 제2 단말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인 것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장치(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8에 도시된 통신 장치(600)에는 프로세서(6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600)에는 또한 기억장치(6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억장치(620)는 프로세서(610)에 대하여 독립된 한 단독의 소자일 수도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600)에는 또한 송수신기(630)가 포함될 수 있고, 프로세서(610)는 해당 송수신기(630)가 기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타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수신기(630)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기(630)에는 또한 나아가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고, 안테나의 수량은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9에 도시된 칩(700)에는 프로세서(7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700)에는 또한 기억장치(7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억장치(720)는 프로세서(710)에 대하여 독립된 한 단독의 소자일 수도 있고, 또한 프로세서(7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이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럭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실행하여 완성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이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해, 많은 형식의 RAM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주의해야 할 바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만 한 것이며,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또한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응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응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응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통해 확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해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이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한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가 포함된다.
상술된 것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일 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보호 범위안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어, 이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참조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59)

  1.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전부 현재 공중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적용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ccess Statum, AS) 안전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은 사전 정의된 것이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가 구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DAP 파라미터, PDCP 파라미터, RL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DAP 파라미터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세션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DCP 파라미터에는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LC 파라미터에는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0.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단말이,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사전 구성된 정보 및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 및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과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 간에 이동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 정보, 네트워크 장치의 전용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였으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제2 단말이 연결 상태에 처하면,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전용 시그널링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제2 단말이,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전부 현재 공중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적용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S) 안전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은 사전 정의된 것이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가 구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3. 제1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4. 제1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DAP 파라미터, PDCP 파라미터, RL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SDAP 파라미터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세션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고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6. 제 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PDCP 파라미터에는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LC 파라미터에는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8.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전부 현재 공중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적용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S) 안전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은 사전 정의된 것이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가 구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단말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DAP 파라미터, PDCP 파라미터, RL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SDAP 파라미터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세션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고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PDCP 파라미터에는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LC 파라미터에는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7.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또한
    접속 계층 파라미터가 변화하는 상황 하에서,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하여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구성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사전 구성된 정보 및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된 구역과 네트워크에 의하여 커버리지되지 않는 구역 간에 이동하면, 상기 사전 구성된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 정보, 네트워크 장치의 전용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만일 상기 단말 장치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하고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였으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단말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완전 구성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만일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에 처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전용 시그널링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 장치가,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RLC 재구성 과정,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7.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완전 구성 과정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전부 현재 공중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을 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적용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실체를 해제하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해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는,
    현재 전용 무선 구성 중 특정된 구성을 제외한 기타 전용 무선 구성을 해제하며, 상기 특정된 구성에 주 셀 그룹(MCG)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RNTI) 및 주 비밀 키와 관련되는 접속 계층(AS) 안전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계층 파라미터의 기본 구성은 사전 정의된 것이고,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이고, 또는 시스템 메시지가 구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0. 제3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재구성 과정 또는 PDCP 데이터 회복 과정,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재구성 과정,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재구성 과정,
    완전 구성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1. 제3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DAP 파라미터, PDCP 파라미터, RLC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SDAP 파라미터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세션 아이디, SDAP 헤드 구성, 기본 데이터 베어러,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베어러로의 맵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3.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PDCP 파라미터에는
    PDCP 시퀀스 번호 길이, PDCP 헤드 압축 구성, 완전성 보호 구성, 암호화 및 복호화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4.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LC 파라미터에는
    RLC 모드, RLC 시퀀스 번호 길이, 논리 채널 아이디(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5.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또는 제1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6. 칩에 있어서,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장치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또는 제1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57.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또는 제1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8.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또는 제1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9.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또는 제1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10701A 2019-09-27 2019-09-27 무선 통신의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220076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08415 WO2021056386A1 (zh) 2019-09-27 2019-09-27 无线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464A true KR20220076464A (ko) 2022-06-08

Family

ID=7516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701A KR20220076464A (ko) 2019-09-27 2019-09-27 무선 통신의 방법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91098A1 (ko)
EP (1) EP4013184A4 (ko)
JP (1) JP7367197B2 (ko)
KR (1) KR20220076464A (ko)
CN (2) CN114501590A (ko)
WO (1) WO20210563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94A1 (en) * 2012-07-02 2014-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28311B2 (en) * 2014-04-22 201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PDCP PDUs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5025593B (zh) * 2014-04-23 2020-07-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释放实体的方法及设备
CN105704641B (zh) * 2014-11-06 2019-1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到设备d2d数据传输方法、装置及d2d ue
US11277229B2 (en) * 2017-09-29 2022-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lushing HARQ buff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59625A1 (en) * 2019-04-26 2022-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delink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543515B (zh) * 2019-09-20 2024-04-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接通信接口承载配置变更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7197B2 (ja) 2023-10-23
WO2021056386A1 (zh) 2021-04-01
EP4013184A4 (en) 2022-09-21
JP2022553618A (ja) 2022-12-26
EP4013184A1 (en) 2022-06-15
CN114271024A (zh) 2022-04-01
CN114501590A (zh) 2022-05-13
US20220191098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0361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and obtaining relay service cod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1155354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adio access network aggregation and uniform control of multi-RAT networks
KR20180127967A (ko)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37091B1 (ko) 다중 접속 통신 방법, 장치 및 단말
CN113382404B (zh) 用于获取ue安全能力的方法和设备
RU2740161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80125450A (ko) 중계 전송 방법과 장치, 및 중계 단말 장비
KR20200019789A (ko) 무선 단말, 무선국, 코어 네트워크 노드, 및 그것들에서의 방법
AU2018437006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903571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ruption delay, and user device
US20220345939A1 (en) Conges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8773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AU2019303769A1 (en) Path selec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478900B1 (ko) 자원 스케줄링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JP7213950B2 (ja) 情報構成方法および装置、端末、ネットワーク機器
CN113412665A (zh) 一种会话设置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
WO2019237315A1 (zh) 一种控制安全功能的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设备
US11153925B2 (en) Handling of QoS flow description without valid EPS bearer context
JP7328354B2 (ja) 情報処理方法、機器及び記憶媒体
WO2020042026A1 (zh)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US1154025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JP6803409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デバイス
KR20220076464A (ko) 무선 통신의 방법 및 단말 장치
AU2019422019B2 (en) Data replication transmission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chip, and computer program
WO2020077645A1 (zh)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