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843A - 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843A
KR20220075843A KR1020200164377A KR20200164377A KR20220075843A KR 20220075843 A KR20220075843 A KR 20220075843A KR 1020200164377 A KR1020200164377 A KR 1020200164377A KR 20200164377 A KR20200164377 A KR 20200164377A KR 20220075843 A KR20220075843 A KR 2022007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pring
thighs
exercise equipmen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8712B1 (en
Inventor
김동형
Original Assignee
김동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형 filed Critical 김동형
Priority to KR102020016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712B1/en
Publication of KR2022007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06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piral sp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서 고정된 등받이로 이루어진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어느 측편에서 사용자들의 양 허벅지에 대한 내전근 자극에 필요한 코어자극장치가 구비되어, 허벅지 안쪽의 내전근을 단련하여 코어 강화하고, 이로 인한 정력 향상에 따른 전립선을 튼튼하게 관리할 수 있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core, and in an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supporting leg and a back fix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leg, a core stimulation device necessary for stimulating the adductor muscles of both thighs of users on either side of the supporting leg is provided to strengthen the core by strengthening the adductor muscles on the inner side of the thigh, and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core that can strongly manage the prostate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in stamina.

Description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서 고정된 등받이로 이루어진 운동기구의 어느 측편에 신체의 코어 강화에 필요한 코어자극장치가 구비되어 설치된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core, and more particularly, a core provided with a core stimulation device necessary for strengthening the core of the body on either side of an exercise device consisting of a support leg and a back fix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It relates to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일반적으로 야외의 공원이나 등산로 주변 혹은 아파트 단지 주변에 설치된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팔과 다리 혹은 복근을 단련하기 위한 목적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 대부분은 이러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팔의 근력과 다리 근력 또는 복근 위주로만 단련하고 있다.In general, most of the exercise equipment installed around outdoor parks, hiking trails, or apartment complexes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raining arms, legs, or abdominal muscles. I am only working on my leg strength or abs.

이러한 기존의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신체에서 자주 사용하는 팔과 다리 혹은 복근 위주의 운동용으로만 활용되는 관계로, 사용자들 대부분이 등한시하고 있는 전립선 비대 문제에 도움이 되지 않고, 이러한 전립선 비대 문제로 야기되는 정력의 감퇴 현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Most of these existing exercise equipment are used only for exercises centered on the arms and legs or abdominal muscle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he body, so they do not help with the enlarged prostate problem, which is neglected by most users. It also does not help with the decline in energy.

따라서, 이러한 신체의 국소 부위에 해당되는 전립선의 비대 문제나 정력의 감퇴 현상이 개선되기 위한 방안으로 허벅지의 내전근을 자극시켜 코어 강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 exercise device that can stimulate the adductor muscle of the thigh to lead to core strengthening as a way to improve the problem of enlargement of the prostate corresponding to such a local part of the body or a decrease in energy.

특허문헌 001 : 출원번호 제10-2015-0026620호(출원일자 2015.02.25)Patent Document 001: Application No. 10-2015-0026620 (application date 2015.02.25)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체의 코어 부위를 강화하여 전립선을 튼튼히 관리하고 이에 따른 정력 개선까지 가능한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core that can strengthen the body's core part to manage the prostate and improve energy accordingly.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다리(100)와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서 고정된 등받이(110)로 이루어진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어느 측편에서 사용자들의 양 허벅지에 대한 내전근 자극에 필요한 코어자극장치(200)가 구비되어 있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그 일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 the exercise device consisting of a support leg 100 and a backrest 110 fix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stimulation of the adductor muscles for both thighs of users on either side of the support leg There is one feature of the cor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provided with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necessary for

상기 코어자극장치(200)는 상기 상기 지지다리의 어느 측편에서 소정의 일정한 이격 간격을 유지하며 대칭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양 허벅지의 오므림과 벌림의 반복 운동에 대응하며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상기 양 허벅지에 제공하기 위한 한 쌍의 조임대(230)(230)가 더 구비되어 있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그 일 특징이 있다.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ither side of the support leg to correspond to the repeated movements of retracting and opening of both thighs, and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0 . A pair of tightening bands 230 and 230 for providing the both thighs is characterized in the cor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further provided.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조임대(230)(230)의 오므림과 벌림 동작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조임대(230)(230)의 삽입이 이루어진 걸림축(230)과 상기 조임대(230)(230)의 사이로 설치되어 압축과 신축의 반복이 이루어지며 상기 양 허벅지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되, 압축코일스프링이 이용되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그 일 특징이 있다.The spring 240 includes the locking shaft 230 and the tightening member 230 into which the tightening rods 230 and 230 are inserted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closing and opening operations of the tightening rods 230 and 230 . It is installed between the 230 and repeats compression and expansion,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both thighs, but there is one feature in the exercise device for core strengthening in which a compression coil spring is used.

상기 걸림축(230)의 위치에 상기 스프링(240)의 걸림이 가능한 구조이며 키트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축측정기가 더 설치되어 있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그 일 특징이 있다.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ring 240 can be caught a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shaft 230 and is provided in a kit structure to a cor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in which a compressio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240 in real time is further installed. There is one characteristic.

상기 압축측정기는 아두이노의 키트 구조이면서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력을 측정하는 전자저울을 기반으로 상기 스프링(240)과의 걸림이 이루어진 상기의 조임대(210)(220)의 하단 부위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센서, 상기 거리센서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제공된 카운팅데이터(초당 카운팅 측정값들)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데이터(밀리미터당 위치 측정값들)를 분석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내전근의 평균 근력치를 사용자들에게 제시하는 MCU를 포함하는 조합 구성으로 이루어진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그 일 특징이 있다.The compression measuring device is a kit structure of the Arduino and based on an electronic scale that measures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240,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bar 210, 220, which is engaged with the spring 240, is moved. A distance sensor that detects , a timer that counts tim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distance sensor, and counting data (counting measurements per second) provided from the timer and position data (position measured values per millimeter) provided from the distance sensor ) is analyzed to provide each user with an average strength value of the adductor muscle to the users.

상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허벅지의 내전근을 자극시키는 방식으로 단련하여 코어 강화를 도모하고 이로 인한 전립선 비대 문제의 개선과 더불어 정력 개선까지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stamina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prostate enlargement problem by strengthening the core by training in a way that stimulates the adductor muscle of the thigh.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개개인의 내전근에 대한 평균 근력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전근의 평균 근력치 인식에 따른 코어 강화를 위한 사용자들의 동기 부여 및 운동 노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grasp the average muscle strength value of each user's adductor muscle, and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exercise effort of users for core strengthening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average strength value of the adductor muscle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의 어느 일측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코어자극장치에 대한 상세 확대 도면이다.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exercise mechanism for strengthening the core shown in FIG. 1 .
3 is a detailed enlarged view of the core stimulation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includes the scope of rights that reach the technical idea through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더욱이, 본 발명에 유첨된 도면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관계로, 본 발명에 유첨된 도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대표하지도 않을뿐더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첨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적인 해석으로 이해되지도 말아야 할 것이다.Moreover,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as a way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ast, and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pres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a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limited interpret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에 대한 설명을 도면들을 참고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A description of the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단지 내의 부지 인근에 설치되거나 등산로 혹은 체육공원과 같은 야외지의 장소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다리(100)와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 설치 고정된 등받이(110)로 구성되며, 상기의 등받이 중앙 하단을 받쳐주는 구조로 지지하는 가로대(310)를 포함한 축대(30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site within an apartment complex or may be installed in a place in an outdoor area such as a hiking trail or a sports park, and the support bridge 100 and the support It is composed of a backrest 110 install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eg, and may be composed of a shaft 300 including a crossbar 310 that supports the lower center of the backrest in a structure that supports it.

상기 지지다리(100)의 일측편에는 걸이봉(120)과 디딤봉(121)이 연결봉에 의해 일체된 구조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지지다리(100)의 타측편에는 디딤봉(130)이 연결봉(131)에 의해 가로봉(132)에 연결되는 구조로 일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가로봉(132)은 상기 지지다리(100)의 타측편을 가로지르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가로봉(132)의 상단 중앙에는 수직축(133)이 일체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축(133)의 상단에 코어자극장치(200)가 축설되는 구조로 더 설치될 수 있다.A hanging rod 120 and a stepping rod 121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leg 100 in an integrated structure by a connecting rod, and a stepping rod 1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leg 100 . It may be integrat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bar 132 by the connecting bar 131 , and the transverse bar 132 may be coupled to a structure crossing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leg 100 , and the transverse bar 132 . ) may be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vertical shaft 133 in an integrated structure, and may be further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is axial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haft 133 .

상기 등받이(110)는 사용자들이 등을 대고 누울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용도이며, 상기 걸이봉(120)은 사용자들의 다리쪽 무릎 부위가 걸쳐지는 용도이고, 상기 디딤봉(121)은 사용자들의 신발 부위가 걸쳐지거나 신발의 앞 부위가 걸려지는 용도이다.The backrest 110 is for users to take a posture in which they lie on their backs, the hanging rod 120 is for the user's leg-side knee, and the stepping rod 121 is the user's shoe part. It is used for hanging clothes or for the front part of shoes to be hung.

따라서, 사용자들은 누워 상반신을 상기 등받이(110)에 의지한 채 하반신을 상기 걸이봉(120) 및 디딤봉(121)의 구조를 통해 걸리게 한 상태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들의 잇몸일으키기 운동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복근을 단련할 수 있다.Accordingly, users can perform sit-up exercises while lying down and resting their upper body on the backrest 110 while hanging their lower body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hanging rod 120 and the stepping rod 121 , Through gum-raising exercise, users can strengthen their abdominal muscles.

한편, 상기 지지다리(100)의 일측편에 구성된 디딤봉(130)에 신발을 올린 상태에서 상기의 수직축(133) 상단 중앙 부근에 축설된 구조의 상기 코어자극장치(200)에 양 허벅지를 모이게 한 다음 양 허벅지를 오므리는 방식으로 허벅지의 내전근을 자극시키며 단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where shoes are placed on the stepping bar 130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leg 100 , gather both thighs on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having a structure that is churned near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haft 133 . After doing this, you can stimulate and train the adductor muscles of the thighs by squeezing both thighs.

이러한 일 실시예의 상기 코어자극장치(200)는 상기 수직축(133)의 상단 중앙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걸림축(230) 각각에서 상호 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한 대칭 구조로 삽입 설치된 한 쌍의 조임대(210)(220)와 상기 조임대(210)(220)와 상기 걸림축(230)의 사이로 삽입되어 걸림 구조로 마련된 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420)은 예컨대 압축코일스프링의 이용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의 구조적 변경에 따라 인장스프링도 이용될 수도 있다.As long as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parallel symmetrical structur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on each of the engaging shafts 230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top center of the vertical shaft 133 It may be of a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clamps 210 and 220 and a spring 240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clamps 210 and 220 and the locking shaft 230 to have a locking structure. The spring 420 is, for example, preferably a compression coil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tension spring may also be used according to a structural change in the design.

물론, 상기의 걸림축(230)은 다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의 걸림축(230)에 삽입되는 상기의 조임대(210)(220)에 형성된 홀도 상기 걸림축과 동일한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Of course, the locking shaft 230 may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e holes formed in the fasteners 210 and 220 inserted into the locking shaft 230 may also have the same polygonal shape as the locking shaft. have.

이러한 상기의 조임대(210)(220)들은 그 하부 부위가 다각형 구조인 상기의 걸림축(230)에 삽입되는 구조이며 상 방향을 향할수록 상호간에 점진적으로 벌려져 있는 구조이다.The fasteners 210 and 22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shaft 230 having a polygonal structure, and are gradually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y go upward.

이렇게 상호간에 벌어진 상기의 조임대(210)(220)들 부위에 사용자들은 자신의 양 허벅지를 닿게 한 다음 상기의 조임대(210)(220)들이 서로 오므려질 수 있는 방향으로 양 허벅지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상기의 조임대(210)(220)들이 오므려지면 오므린 양 허벅지를 다시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s touch their thighs to the parts of the fasteners 210 and 220 that are mutually spaced apart in this way, and then tighten the thigh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ers 210 and 220 can be closed to each other. The force can be applied in the direction, and when the tightening bars 210 and 220 are closed, the force can be appli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both thighs that are closed again.

물론, 이러한 양 허벅지의 오므림과 벌림의 반복 운동시 상기의 조임대(210)(220)에는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과 신축에 따른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240)의 탄성력 제공에 따라 상기의 조임대(210)(220)를 강제적으로 오므리게 하거나 벌리게 하는 양 허벅지도 강하게 자극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during the repeated movement of retracting and opening both thighs,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pring 240 may be provided to the fasteners 210 and 220 ,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0 . According to the provision, both thighs forcibly closing or spreading the tightening bands 210 and 220 can be strongly stimulated.

이러한 양 허벅지의 오므림과 벌림의 반복 운동을 통해 사용자들은 허벅지의 내전근을 자극시킬 수 있고, 이러한 내전근의 자극에 따라 신체의 코어 부위가 강화됨으로써 정력 향상에 따른 되면서 전립선도 튼튼해질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e repeated movement of retracting and opening both thighs, users can stimulate the adductor muscle of the thigh, and the core of the body is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of the adductor muscle, thereby improving energy and strengthening the prostate.

상술된 일 실시예의 상기 코어자극장치(200)는 사용자들의 내전근 발달을 위한 허벅지의 반복 운동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core stimulation apparatus 2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usefully used for repetitive motion of the thighs for the development of adductor muscles of users.

한편, 코어자극장치(200)는 상기의 일 실시예와 달리 다른 실시예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코어자극장치(200)는 충분한 설명만으로도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관계로 별도의 도면은 미도시됨을 참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re stimulation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in another embodiment, unlike the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may be noted that the core stimulation apparatus 200 of this other embodiment is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because it can be fully understood with sufficient description.

즉, 상기 다른 실시예의 코어자극장치(200)는 상기의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의 걸림축(230)의 위치에 상기 스프링(240)의 걸림이 가능한 압축측정기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축측정기는 아두이노의 키트 구조로 마련될 수 있되 상기 스프링(240)과의 걸림이 이루어진 상기의 조임대(210)(220)의 하단 부위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거리센서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로부터 제공된 카운팅데이터(초당 카운팅 측정값들)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데이터(밀리미터당 위치 측정값들)를 분석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내전근의 평균 근력치를 사용자들에게 제시하는 MCU를 포함하는 조합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of the other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unlike the one embodiment above, a compression gauge capable of engaging the spring 240 is fixed at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shaft 230 , , This compression measur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a kit structure of the Arduino. The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rod 210, 220, which is engaged with the spring 240, and the distance sensor Average strength of adductor muscle for each user by analyzing a timer for counting tim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counting data (counting values per second) provided from the timer, and position data (position measurement values per millimeter) provided from the distance sensor It may consist of a combination configuration including an MCU that presents a value to users.

물론, MCU에서 제시하는 내전근의 평균 근력치들은 상기 축대(300)의 어느 일 부에 설치된 LCD 모니터를 통해 파악될 수 있으며, 이렇게 MCU에서 산출된 개개인의 내전근 평균 근력치들은 사용자 전체의 표준 근력치와 대비될 수 있는 관계로사용자들은 이러한 상기 다른 실시예의 코어자극장치(200)를 통해 자신의 내전근에 대한 평균 근력치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코어 강화를 위한 내전근의 향상된 근력치를 얻기 위한 동기부여 및 노력이 촉진될 수 있다.Of course, the average muscle strength values of the adductor muscles presented by the MCU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LCD monitor installed on any part of the shaft 300, and the average strength values of the individual adductors calculated by the MCU in this way are the standard muscle strength values of the entire user. In a relationship that can be contrasted with , users can figure out what the average strength value for their adductor muscles is through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of this other embodiment, and through this, they can obtain improved strength values of the adductors for better core strengthening. Motivation and effort can be promoted for

상술된 다른 실시예의 상기 코어자극장치(200)는 내전근 발달을 위한 허벅지의 반복 운동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 자신의 내전근 평균치가 어느 정도인지 객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는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of the other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useful not only for repeated exercise of the thigh for adductor development, but also for the purpose of objectively identifying the average value of the user's own adductor muscles. .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상기 코어자극장치(200)에 있어서 허벅지의 오므림 및 벌림의 반복 운동에 따라 조임대(210)(220)들이 서로 오므려지는 고정에서 상기 스프링(240)과의 걸림을 이룬 압축측정기는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축측정기는 예컨대 전자저울과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of this other embodiment, the compression bands 210 and 220 are engaged with the spring 240 in the fixing in which the tightening bands 210 and 220 are clos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peated movement of retracting and opening of the thigh. The measuring device may measure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240, and the compression measur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nic scale and type.

물론, 상기 거리센서는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력에 따라 상기 조임대(210)(220)의 하단 부위 이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상기 거리센서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Of course, the distance sensor may detect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rods 210 and 220 according to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240, and the timer counts the tim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istance sensor. can do.

이때, 상기 MCU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제공된 카운팅데이터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내전근의 평균 근력치를 사용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데, 결국 카운팅데이터(초당 카운팅측정값들)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데이터(밀리미터당 위치측정값들)를 기반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내전근에 대한 평균 근력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CU may present the average strength value of the adductor muscle to each user by analyzing the counting data provided from the timer and the location data provided from the distance sensor, and eventually counting data (counting measurements per second) and th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verage muscle strength for each user's adductor muscle based on the location data (position measurement values per millimeter) provided from the distance sensor.

상기 압축측정기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MCU와 교신하며 실시간의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측정값들을 상기 MCU에 전송할 수 있는 키트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키트는 아두이노 구조를 기반으로 보드에 블루투스모듈 및 거리센서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pression measuring device may have a structure of a ki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CU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 the compression measurement values of the spring 240 in real time to the MCU, and the kit is a board based on the Arduino structure. It may be of a structure in which a Bluetooth module and a distance sensor are connected to the .

이러한 상기 거리센서는 상기 조임대(210)(220)들의 하단 부위 이동 위치에 대한 위치측정값들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위치측정값들은 상기 MCU에서 이미 기본으로 저장된 표준위치측정값들과 비교되는 방식으로 상기 MCU에서 분석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MCU에는 표준카운팅측정값들도 이미 기본으로 저장되어 있다. The distance sensor can measure the position measurement values for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bands 210 and 220 in real time,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values measured from the distance sensor are already stored as a default in the MCU. It can be analyzed in the MCU in a way that is compared with standard position measurement values. Of course, standard counting measurement values are already basically stored in the MCU.

특히, 상기의 전자저울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거리센서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각의 오류측정값들에 대비하면서도 MCU에서 긴급히 차용이 가능한 정확한 측정값들로서 사용자 개개인의 내전근에 대한 평균 근력치 산출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게 구비된 것이다.In particular, the electronic scale calculates the average muscle strength for each user's individual adductor muscles as accurate measurement values that can be urgently borrowed from the MCU while preparing for each error measurement value generated due to a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timer and the distance sensor.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data to prevent errors.

상기 거리센서는 상기 MCU에 실시간으로 측정한 위치측정값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전송함에 있어 상기 MCU 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제어를 통해 가능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예컨대 Switch Case 조건문과 Loop 문을 이용한 코딩 방식으로 설계되어져 실행 제어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transmits data on the position measurement values measured in real time to the MCU through execution control of a program installed in the MCU. It can be designed and controlled to run.

즉, Loop문에서 사용한 Switch Case 조건문은 1초마다 각각의 값을 읽어 들이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되어 있는데, 자세히 설명하자면 1초마다 돌고 있는 주기에 맞추어 온도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빠져나온 뒤, 다시 1초가 되면 기압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빠져나온 후, 다시 1초가 되면 고도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빠져나오게 되는 방식인바, 이러한 방식의 반복 과정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가 1초 주기로 각각 상기 거리센서에서 상기 MCU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시간(예컨대: 1초)의 주기는 millis() 함수 및 micros() 함수를 이용하여 만든 주기일 수도 있다.That is, the switch case conditional statement used in the Loop statement is implemented to read each value every 1 second and transmit data. At 1 second, it measures the barometric pressure, transmits data, exits, and then at 1 second, measures the altitude, transmits data, and exits. It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sensor to the MCU. Of course, the period of time (eg: 1 second) may be a period created using the millis() function and the micros() function.

즉, 상기 거리센서에 반영된 프로그램은 'millis()' 라는 함수와 'micros()' 라는 함수를 이용한 코딩으로 설계되는 특징이 있고, 이러한 상기의 함수들은 상기 거리센서에서 시작하고 지금까지 동작한 시간을 각각 '밀리초', '마이크로초' 단위로 나타내 주는 함수인 것이다.That is, the program reflected in the distance sensor has a feature that is designed by coding using a function called 'millis()' and a function called 'micros()', and these functions are the time that the distance sensor operates from the start to the present. It is a function that expresses 'millisecond' and 'microsecond' units, respectively.

상기 프로그램은 'delay()' 라는 함수를 이용한 코딩으로 설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delay()' 함수가 이용될 경우 시간 조절은 가능하지만, 거리센서가 1초 동안 아무 동작 없이 대기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결국 거리센서가 실시간으로 여러 센서 값들을 받아 동작해야 하는 상황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The program may be designed by coding using a function called 'delay()'. When this 'delay()' function is used, time adjustment is possibl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tance sensor waits for 1 second without any action. , which may eventually cause a problem in a situation where the distance sensor needs to receive and operate multiple sensor values in real time.

하지만, 상기의 millis()' 함수와 'micros()' 함수들은 거리센서가 시작되고 난 후의 시간을 알려주는 함수로서 시간에 따라 타이머를 통해 거리센서의 측정동작을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이때 이전 시간을 저장할 변수와 현재 시간을 저장할 변수를 만들어 주는 것도 매우 중요한 관계로, 예컨대 millis를 사용하는 많은 코드에서 pre_time 이나 now_time 같은 변수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However, the above millis()' and 'micros()' functions are functions that inform the time after the distance sensor is started, and can indicate the measurement operation of the distance sensor in real time through a timer according to time. Of course,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a variable to store the previous time and a variable to store the current time.

물론, 상기의 압축측정기에 적용된 전자저울 역시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MCU와 교신하며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측정값들을 상기의 millis()' 함수와 'micros()' 함수 이용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시간에 따라 타이머를 통해 전자저울의 측정작동을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Of course, the electronic scale applied to the compression measuring device also communicates with the MCU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easures the compression measurement values of the spring 240 in real time using the millis()” and “micros()” functions.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measur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scale in real time through a timer according to time.

지지다리(100) 등받이(110)
걸이봉(120) 디딤봉(121)
디딤봉(130) 연결봉(131)
가로봉(132) 수직축(133)
코어자극장치(200) 조임대(210)(220)
걸림축(230) 스프링(240)
축대(300) 가로대(310)
Support leg (100) Backrest (110)
Hanging bar(120) Stepping bar(121)
Stepping bar (130) Connecting bar (131)
Horizontal bar(132) Vertical axis(133)
Core stimulation device 200, tightening rods 210, 220
locking shaft (230) spring (240)
Shaft (300) Crossbar (310)

Claims (5)

지지다리(100)와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서 고정된 등받이(110)로 이루어진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어느 측편에서 사용자들의 양 허벅지에 대한 내전근 자극에 필요한 코어자극장치(2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 In the exercise device consisting of a support leg 100 and a backrest 110 fix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a core stimulation device 200 necessary for stimulating the adductor muscles of both thighs of users on either side of the support leg is provided. Cor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자극장치(200)는
상기 상기 지지다리의 어느 측편에서 소정의 일정한 이격 간격을 유지하며 대칭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양 허벅지의 오므림과 벌림의 반복 운동에 대응하며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상기 양 허벅지에 제공하기 위한 한 쌍의 조임대(230)(23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re stimulation device 200 is
It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ither side of the support leg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peated movements of retracting and opening of both thighs and provid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0 to both thighs. Cor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tightening rods 230, 230 are further provided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조임대(230)(230)의 오므림과 벌림 동작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조임대(230)(230)의 삽입이 이루어진 걸림축(230)과 상기 조임대(230)(230)의 사이로 설치되어 압축과 신축의 반복이 이루어지며 상기 양 허벅지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되, 압축코일스프링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ring 240 includes the locking shaft 230 and the tightening member 230 into which the tightening rods 230 and 230 are inserted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closing and opening operations of the tightening rods 230 and 230 .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repeated, bu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both thighs, cor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is use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축(230)의 위치에 상기 스프링(240)의 걸림이 가능한 구조이며 키트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축측정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
4. The method of claim 3,
For core strength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haft 230 has a structure capable of locking the spring 240 and is provided in a kit structure and further includes a compression gauge that measures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240 in real time. exercise equipment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측정기는
아두이노의 키트 구조이면서 상기 스프링(240)의 압축력을 측정하는 전자저울을 기반으로 상기 스프링(240)과의 걸림이 이루어진 상기의 조임대(210)(220)의 하단 부위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센서;
상기 거리센서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제공된 카운팅데이터(초당 카운팅 측정값들)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데이터(밀리미터당 위치 측정값들)를 분석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내전근의 평균 근력치를 사용자들에게 제시하는 MCU;
를 포함하는 조합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강화용 운동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pression gauge
The distance to detect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asteners 210 and 220, which is engaged with the spring 240, based on an electronic scale that measures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240 while having a kit structure of the Arduino sensor;
a timer for counting tim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istance sensor; and
an MCU that analyzes the counting data (measured values per second) provided from the timer and the location data (measured values per millimeter) provided from the distance sensor to present an average strength value of the adductor muscle to each user;
Cor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mbination configuration comprising a .


KR1020200164377A 2020-11-30 2020-11-30 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KR102468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77A KR102468712B1 (en) 2020-11-30 2020-11-30 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77A KR102468712B1 (en) 2020-11-30 2020-11-30 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843A true KR20220075843A (en) 2022-06-08
KR102468712B1 KR102468712B1 (en) 2022-11-18

Family

ID=8198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377A KR102468712B1 (en) 2020-11-30 2020-11-30 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71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543A (en) * 1983-12-07 1985-07-01 株式会社クボタ Electronic dynamometer
JPH07400U (en) * 1993-06-11 1995-01-06 勝男 榎本 Exercise equipment
KR101408910B1 (en) * 2013-01-10 2014-06-18 곽인철 Chair with leg exercise
KR20150026620A (en) 2013-09-03 2015-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KR101549450B1 (en) * 2014-10-16 2015-09-03 이덕표 Sport apparatus of upper body
KR20190092068A (en) * 2018-01-30 2019-08-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Grasping apparatus for hand train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543A (en) * 1983-12-07 1985-07-01 株式会社クボタ Electronic dynamometer
JPH07400U (en) * 1993-06-11 1995-01-06 勝男 榎本 Exercise equipment
KR101408910B1 (en) * 2013-01-10 2014-06-18 곽인철 Chair with leg exercise
KR20150026620A (en) 2013-09-03 2015-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KR101549450B1 (en) * 2014-10-16 2015-09-03 이덕표 Sport apparatus of upper body
KR20190092068A (en) * 2018-01-30 2019-08-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Grasping apparatus for hand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712B1 (en)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9474A (en) Cardiac exerciser
DK2892430T3 (en) APPARATUS AND METHOD OF KNEE FLEXURE ASSESSMENT
US3285070A (en) Muscular evaluation and exercising apparatus
US20080214357A1 (en) Exercise intra-repetition assessment system
KR101986179B1 (en) outdoor Muscular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
KR101667009B1 (en) Exercise device for measuring muscle power
KR101979393B1 (en) Silent Health Exercise System Using EMG
JP2017533056A (en) Exercise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CN205569628U (en) Intelligence sit up training ware and body -building management system thereof
KR101301781B1 (en)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CN205664923U (en) Network physique measuring device
KR20090094588A (en) Visual sporting machin that use rehabilitation sporting machin
KR20220075843A (en) exercise equipment for core reinforcement
CN108992865A (en) A kind of vibrator using Oscillation Amplitude inductor and the body-building device using it
KR101470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cal fitness,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CN204293774U (en) Lower-limb muscular strength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CN108704272A (en) Sports apparatus for lying down double-purpose body building
CN114570002A (en) Sit-up training test device
US7922622B2 (en) Method for improving strength, flexibility, and coordination
KR20230061622A (en) exercise device for a lower body muscular strength in outside
KR101439537B1 (en) Multi gym for in door
CN208838981U (en) For lying down the sports apparatus of double-purpose body building
DE102005027329B4 (en) Device for the diagnosis and therapy of the trunk musculature, in particular for the coordination training therapy of the musculature of the lumbar spine
CN220070703U (en) Folding sit-up tester
CN214382560U (en) Pull-up cou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