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649A -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649A
KR20220075649A KR1020200163955A KR20200163955A KR20220075649A KR 20220075649 A KR20220075649 A KR 20220075649A KR 1020200163955 A KR1020200163955 A KR 1020200163955A KR 20200163955 A KR20200163955 A KR 20200163955A KR 20220075649 A KR20220075649 A KR 20220075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수
정기솔
곽현희
오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649A/en
Publication of KR2022007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6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객체영상과,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저장하는 저장서버부; 상기 저장서버부와 연동되어 객체영상과,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저장서버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more particularly, a camera unit for acquiring an image; a sensor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mera unit to obtain a user's access record; a storage server unit for storing the object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user's access record; a communication unit interworking with the storage server unit for wired/wireless communication of object images and user's access records to the manag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e sensor unit, the storage server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Description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통해 노약자의 안전여부와 외출여부를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즉각적인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onitoring the access of the elderly and infirm through a camera unit and a sensor unit for a guardian to check in real time whether the elderly are safe and whether to go out to perform an immediate action.

최근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과 거주 형태의 선진화 현상이 맞물리면서 혼자 거주하는 노인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맞벌이의 증가로 인해 유아와 베이비시터만이 집에서 기거하는 형태의 라이프스타일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장애인들과 같이 사회적 약자들은 독거에 취약하기 때문에 그 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is increasing significantly as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advancement of living patterns are intertwined. Also, due to the increase in dual-income earners, the lifestyle in which only infants and babysitters live at home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In additi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disabled, are vulnerable to living alone, so the need for management is urgent.

이러한 노인, 유아, 장애인들의 사회적 방치를 해소하여 이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수단들도 최근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는 사회복지사나 보육사 등과 같이 인선을 통해 해결하고 있으나, 많은 대상자를 매일 방문하여 일신상의 문제를 확인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을 두고 방문확인을 하거나 전화를 이용하여 안부를 확인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관리 효율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Means to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elderly, infants, and disabled people by resolving social neglect are being studied in a variety of ways. Therefor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check personal problems, so it is only at the level of checking in by visiting or using the phon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management efficiency is very poor.

이러한 독거 중인 노인, 유아, 장애인 등(이하 세대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6206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있는데, 종래기술에는 독거노인들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응급 상황을 알리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that enables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elderly, infants, and the disabl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usehold members) living alone,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62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The technology discloses a method of notifying an emergency by measuring the vital sig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구체적으로, 웨어러블(wearable) 타입의 생체 측정기기를 사용자에게 부착하고 심박, 혈압, 체온 등을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 본인의 스마트폰이나 응급 센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타입의 생체 측정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연결되며 주변 사람들의 스마트폰과 생체 측정기기 역시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 wearable type biometric device is attached to the user, and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body temperature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s own smartphone or emergency center. Here, the user's smart phone and the wearable type biometric device are connected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smart phones and biometric devices of surrounding people are also configured to perform Bluetooth pairing.

그러나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응급 센터로 응급 상황을 알리는 데에는 문제가 없어도 응급 센터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제대로 된 응급 처치나 구조를 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even if there is no problem in notifying the emergency center using the user's smartphon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the emergency center to identify the user's location and move to the user,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proper first aid or rescue. It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620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6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통해 노약자의 안전여부와 외출여부를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즉각적인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safety of the elderly and the infirm through a camera unit and a sensor unit in real time, and a guardi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performing immediate actions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노약자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입자를 신속히 인식한 후 보호자에게 알림함으로서 즉각적인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infirm to perform an immediate action by notifying the guardian after quickly recognizing the entrant and at the same time being a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elderly and infirm through the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According to a feat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mera unit for acquiring an image;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획득하는 센서부;a sensor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mera unit to obtain a user's access record;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객체영상과,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저장하는 저장서버부;a storage server unit for storing the object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user's access record;

상기 저장서버부와 연동되어 객체영상과,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interworking with the storage server unit for wired/wireless communication of object images and user's access records to the manager;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저장서버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e sensor unit, the storage server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를 포함하되,including,

상기 제어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controlled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는,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객체영상으로 부터 복수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객체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Recognizing a plurality of objects from the object image,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obtaining the recognized object imag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인식부는,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SSD 알고리즘, YOLO 알고리즘 및 AdaBoost 알고리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객체의 인식을 수행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weak for performing object recognition using at least one of an SSD algorithm, a YOLO algorithm, and an AdaBoost algorithm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인식부는,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인식된 객체 영상을 분석하기 전에, 인식된 객체 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Before analyzing the recognized object image, there may be provided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that further includes a pre-processing unit for pre-processing the recognized object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일측과 타측방향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각각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획득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infirm to obtain an access record of the user by monito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관리자가 구비하는 디스플레부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인식된 객체 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제공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infirm that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unit provided by the manager in real time to provide a recognized object image and an access record of the us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통해 노약자의 안전여부와 외출여부를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즉각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uardian checks in real time whether the elderly are safe and goes out through the camera unit and the sensor unit to perform an immediate action.

또한,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노약자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입자를 신속히 인식한 후 보호자에게 알림함으로서 즉각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elderly and infirm through the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n immediate action by promptly recognizing the entrant and notifying the guardian.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의 객체인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의 저장서버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and 2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monitoring access for the elderly and infi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object recognition unit of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torage server unit of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infi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explai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enough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in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의 객체인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의 저장서버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and 2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and infi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object recognition unit of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server unit of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diagram showin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카메라부(100)와, 센서부(200)와, 저장서버부(300)와, 통신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1 to 5, the present invention,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is largely a camera unit 100, a sensor unit 200, a storage server unit 300, a communication unit 400, and a control unit (500) configuration that includes

상기 카메라부(100)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구성이다.The camera unit 100 is configured to acquire an image of a user.

이러한, 상기 카메라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카메라부(100)는 건물의 외부 출입구나, 건물의 내부 출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camera unit 100 may be installed, and the camera unit 100 may be installed at at least one of an external entrance of a building and an internal entrance of the building.

이때, 상기 카메라부(100)는 사용자의 이동반경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변경실시하여 설치가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amera unit 100 can be install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user's moving radius.

여기서, 사용자는 노약자 또는 환자 또는 영유아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may include the elderly, a patient, an infant, or the like.

아울러, 상기 카메라부(100)는 이하 설명될 객체인식 알고리즘 회로가 내장된 다양한 형태의 IP 카메라, 네트워크 카메라, 웹캠, CCTV 등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 형태는 고정형 카메라, 회전형 카메라, 돔형 카메라, 박스형 카메라, PTZ 카메라 등을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젼장치(Vision apparatus)를 사용하여 정밀한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unit 100 may be various types of IP cameras, network cameras, webcams, CCTVs, etc. with built-i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circuits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camera types include a fixed camera, a rotary camera, a dome camera, A box-type camera, a PTZ camera, etc. may be changed and used as needed, and more preferably, a vision apparatus may be used to perform precise photographing.

아울러, 상기 카메라부(100)에서는 사용자의 영상, 특히 노약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노약자의 움직임, 동선 등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unit 100 captures an image of a user, particularly an image of the elderly, to photograph the movement, movement, and the like of the elderly.

또한, 상기 카메라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 부터 복수의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recognition unit 110 for recognizing a plurality of objects from the user's imag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체인식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획득된 상기 객체영상으로부터 복수의 객체(예 : 사람, 동물, 식별 가능한 사물 등)를 동시에 인식하고, 각 객체에 대한 객체 이미지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140)에 기저장된 객체별 등록 이미지와 비교하고 판단하여, 이하 설명될 저장서버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4,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simultaneously recognizes a plurality of objects (eg, people, animals, identifiable objects, etc.) from the object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00, and each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object image for an object, compare it with a registered image for each object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40 , and determine it, and provide it to the storage server unit 300 to be described below.

한편, 상기 객체인식부(110)는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인식하기 위해 YOLO(You Only Look Once),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와 같은 객체 인식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may use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such as You Only Look Once (YOLO) or 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SSD) to simultaneously recognize a plurality of objects.

YOLO는 객체 인식을 회귀로 접근하여 전체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훈련 및 검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상기 카메라부(100)로부터 입력된 영상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거쳐 텐서(Tensor)형태로 출력된다. 이 텐서는 영상을 격자 형태로 나눠 각 구역을 표현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해당 구역 객체를 인식한다.YOLO is an algorithm that can improve training and detection speed by approaching object recognition by regression and simplifying the overall structure. output in the form This tensor divides the image into a grid shape to express each region, and through this, the region object is recognized.

또한, SSD는 후보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특징맵(feature map)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으로, CNN 모델로부터 얻은 특징맵은 합성곱 층이 진행됨에 따라 크기가 줄어들게 되며, SSD는 이 과정에서 추출된 모든 특징맵들을 추론 과정에 사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며, YOLO보다 정확하게 객체를 인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SD is an algorithm that recognizes objects using feature maps of various sizes to generate candidate regions. The size of the feature map obtained from the CNN model decreases as the convolutional layer progresses, and the SSD All the feature maps extracted in this process are used in the inference process to recognize objects, and objects can be recognized more accurately than YOLO.

또한, 상기 카메라부(100)로 객체 인식시 객체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에이다부스트(AdaBoos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선형판별식 해석(Linear Disciminant Analysis: LDA),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usis: PCA) 등의 알고리즘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object recognition rate when the camera unit 100 recognizes an object, AdaBoost, Support Vector Machine (SVM),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incipal) Algorithms such as Component Analytic: PCA) may be further included.

특히 에이다부스트 알고리즘을 활용할 경우, 객체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유사한 객체에 대하여 동일 객체로 인식시킬 수 있는데, 특징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유사 객체로부터 더욱 잘 구분하여 객체를 인식시킬 수 있으며, 유사 객체로는 동일 인물의 안경 쓴 상태, 모자 쓴 상태, 표정 변화가 있는 인물 등이 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Adaboost algorithm is used, similar objects can be recognized as the same object by analyzing the feature points of the object. It may be the same person wearing glasses, wearing a hat, or a person with a change in expression.

이러한 알고리즘 기법들은 모두 외형에 기반하여 인식대상 영역을 식별하는 것으로, 트레이닝에 사용될 촬상 이미지들의 집합에 의해 트레이닝된 모델을 이용해서 얼굴 또는 객체의 특징점 주위의 영역을 검출하며, 여러 주변의 제약 조건들이 트레이닝을 통해 극복되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얼굴 또는 객체 특징점 인식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All of these algorithmic techniques identify the area to be recognized based on the appearance, and the area around the feature point of a face or object is detected using a model trained by a set of captured images to be used for training, and various surrounding constraints are applied. Since it is overcome through training, as a resul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ace or object feature point recognition can be increased.

아울러, 상기 객체인식부(110)는 심박분석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heartbeat analyzer 120 .

상기 심박분석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상기 객체인식부(110)로 전송된 상기 객체영상에서 피부영역을 추출하고, 피부 영상의 HSV모델에서 H채널인 Hue의 값을 기준으로 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The heartbeat analyzer 120 extracts a skin region from the object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unit 100 to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and based on the value of Hue, which is the H channel, in the HSV model of the skin image. The skin area can be determined.

여기서, HSV 모델은 영상을 Hue(색조), Saturation(채도), Value(명도)의 3가지 성분으로 색을 표현한 것이다.Here, the HSV model expresses color using three components: Hue (hue), Saturation (saturation), and Value (brightness).

이때, 상기 심박분석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00)로 촬영한 피부 영상이 RGB모델인 경우, RGB모델의 피부 영상을 HSV모델로 변환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ki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00 is an RGB model, the heartbeat analyzer 120 may convert the skin image of the RGB model into an HSV model.

또한, 심박분석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상기 객체영상의 RGB모델에서 G(Green)채널의 변화를 통하여 심박신호를 검출하거나, HSV 모델의 피부 영역으로부터 피부색의 변화를 통하여 심박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rtbeat analyzer 120 detects a heartbeat signal through a change in the G (Green) channel in the RGB model of the objec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00, or detects a change in skin color from the skin region of the HSV model. heartbeat signal can be detected.

여기서, RGB 모델은 가장 기본적인 색상모델로서 색(color)을 Red, Green, Blue의 3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것이다.Here, the RGB model is the most basic color model and expresses a color as a combination of three components: Red, Green, and Blue.

또한, 상기 심박분석부(120)는 심박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도록 RLC 회로로 구성된 대역통과 필터(band-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역통과 필터 대신 저역통과 필터 및 고역통과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rtbeat analyzer 120 may include a band-pass filter configured as an RLC circuit to pass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remove noise included in the heartbeat signal, and instead of the band-pass filter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low-pass filter and a high-pass filter.

아울러, 상기 심박분석부(120)는 조명 변화로 인한 피부의 톤이나 색 변화에 덜 민감하도록 칼만필터와 같은 적응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rtbeat analyzer 120 may apply an adaptive filter such as a Kalman filter to be less sensitive to changes in skin tone or color due to changes in lighting.

또한, 상기 객체인식부(110)는, 상기 객체영상을 분석하기 전 보정을 통해 상기 객체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preprocessor 130 for pre-processing the object image through correction before analyzing the object image.

한편, 상기 전처리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00)로 부터 획득한 상기 객체영상을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처리부(130)는 상기 객체영상 데이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추출한 후, 픽셀, 색감, 크기 등의 이미지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processing unit 130 may pre-process the object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00 . After extracting at least one frame from the object image data, the preprocessor 130 may adjust image scales such as pixels, colors, and sizes.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노약자의 움직임, 동선 등의 영상을 상기 전처리부(13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노약자의 움직임, 동선 등의 영상을 보정하는 동작 등을 Python 또는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 등의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 등을 통해 수행함으로서 상기 객체인식부(110)로 전송된 상기 객체영상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다.Here, an image such as movement and movement of the elderly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pre-processing unit 130 in real time, or an operation of correcting an image such as movement or movement of the elderly person is performed using Python or OpenCV (OpenCV). The object image transmitted to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can be precisely recognized by performing it through a programming library such as source computer vision).

이때, 상기 전처리부(130)는 확장자변환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확장자변환부(131)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상기 객체영상을 상기 객체인식부(110) 또는 이하 설명될 저장서버부(300) 등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확장자를 변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processor 13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conversion unit 131 , wherein the extension conversion unit 131 converts the objec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00 to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 ) or a process of converting the extension to be displayed in the storage server unit 3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예를 들어, 상기 확장자변환부(131)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상기 객체영상 h264에서 mp4 등의 확장자로 변환한 뒤, 상기 객체인식부(110) 또는 이하 설명될 저장서버부(3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extension conversion unit 131 converts the object image h264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00 into an extension such as mp4, and the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or a storage server unit to be described below ( 300) will be transmitted.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상기 객체인식부(110)에서 객체 이미지에 대하여 인증된 동일 객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복수의 객체별 등록 이미지를 저장한다.The database 140 stores a plurality of registered images for each objec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mage is the same object authenticated by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특정 객체 즉, 관찰대상인 노약자에 대한 등록 이미지를 복수로 저장하여 상기 객체인식부(110)에서 딥 러닝, 머신 러닝 기반의 학습을 통하여 동일 객체의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140 stores a plurality of registered images of a specific object, that is, the elderly and infirm, and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10 can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same object through deep learning and machine learning-based learning. .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카메라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획득하는 구성이다.The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mera unit 100 to obtain a user's access record.

이러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카메라부(100)의 일측 즉, 건물의 외부 출입구나, 건물의 내부 출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mera unit 100 , that is, at least one of an external entrance of a building and an internal entrance of the building.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의 이동반경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변경실시하여 설치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200 can be install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user's moving radius.

한편, 상기 센서부(200)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노약자를 감지하기 위해 아두이노 적외선 PIR센서, 근접센서, 마그네틱 센서 등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근접센서는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고주파발진형센서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자기형센서 또는 물체와 센서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형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상기 근접센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변경실시 가능함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200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and may b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user, such as an Arduino infrared PIR sensor, a proximity sensor, a magnetic sensor, etc. to detect the elderly, and the proximity sensor is electromagnetic induction Any one of a high-frequency oscillation sensor that detects using , a magnetic sensor that detects using a magnet, or a capacitiv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an object and the sensor can be selected, but it is limited to the proximity sensor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needed.

아울러,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면, 이하 설명될 제어부(500)를 통해 상술된 상기 카메라부(100)를 작동시켜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200 detects a user, the above-described camera unit 100 may be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below to obtain an image.

이러한, 상기 센서부(200)는, 일측과 타측방향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각각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 may acquire the user's access record by monito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200)는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데, 상기 사용자가 건물 밖으로 나가게 되면 상기 센서부(200)의 일측에서 감지한 후, 상기 사용자가 건물 밖으로 나갔다는 출입기록(사용자의 신상정보, 출입시간 등)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또는 외부출입자가 건물 안으로 나가게 되면 상기 센서부(200)의 타측에서 감지한 후, 상기 사용자 또는 외부출입자가 건물 안으로 들어왔다는 출입기록(사용자의 신상정보, 출입시간 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and when the user goes out of the building, one side of the sensor unit 200 detects it, and then records the user's exit from the buil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access time, etc.) can be acquired, and when the user or an outsider goes out into the building, the other side of the sensor unit 200 detects it, and then the access record indicating that the user or outsider entered the building ( User's personal information, access time, etc.) can be obtained.

즉, 상기 센서부(200)는 일측과 타측방향을 각각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함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입출입 및 외부출입자의 출입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nsor unit 200 is used as a means for quickly checking whether the user enters or exits and whether the user enters or exits by sensing the user's movement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저장서버부(300)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획득된 상기 객체영상과,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저장하는 구성이다.The storage server unit 300 is configured to store the object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00 and the user's access record.

이러한, 상기 저장서버부(300)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복수의 상기 저장서버부(300)가 통신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부(100)와 연계되어 복수의 서버에서 분산하여 객체 인식 및 출입기록을 저장하는 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storage server unit 300 is a cloud-based fun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torage server units 300 ar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servers in connection with the camera unit 100 through communication to store object recognition and access records. can be performed quickl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서버부(300)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인식부(310), 심박분석부(320), 전처리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storage server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recognition unit 310 , a heartbeat analyzer 320 , a preprocessor 330 , and a database 3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n

상기 객체인식부(310), 상기 심박분석부(320), 상기 전처리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는 앞서 상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부(100)에 내장된 각 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310 , the heart rate analyzer 320 , the preprocessor 330 , and the database 340 have the same functions as each unit built into the camera unit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so a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상기 통신부(400)는, 상기 저장서버부(300)에서 저장된 객체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상기 관리자가 구비하는 디스플레부와 실시간으로 유무선 통신하는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unit 40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objec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server unit 300 and the user's access record with a display unit provided by the manager in real time, wired or wireless.

이러한, 상기 통신부(400)는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400)는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capab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or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may be installed internally or externally in any one location of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a building.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 Fidelity),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tc. may be used.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at any one location.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HD, WiGig, etc. may be used.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카메라부(100)와, 상기 센서부(200)와, 상기 저장서버부(300)와, 상기 통신부(4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5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amera unit 100 , the sensor unit 200 , the storage server unit 30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0 .

이러한, 상기 제어부(500)는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등의 제어서버를 통해 컨트롤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부(100)와, 상기 센서부(200)와, 상기 저장서버부(300)와, 상기 통신부(400)를 각각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be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server such as a Raspberry PI, and the control unit 5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camera unit 100 and the sensor unit 200 and , the storage server unit 3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controll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by appl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200)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오류데이터(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오류상황 인식률을 높여 사용자의 출입여부에 대한 판단률을 높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00 may apply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determine error data (whether the user enters or not) and increase the error situation recognition rate to increase the determination rate of whether the user enters or no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특정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주변의 외란 등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잘못 측정된 오류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순간적인 외부의 노이즈 등에 강건한 형태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by applying a specific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the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200 to lear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it is possible to isolate error data that is momentarily erroneously measured due to surrounding disturbance. In this way, data processing in a form robust to instantaneous external noise and the like is possible.

일 실시예로는 상기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학습하여 판단시키는 Binary Classification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Binary Classification의 경우, 초기 학습에 많은 시간이 필요로하여, 초기에는 학습된 모델의 정확도 등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초기 학습에 관련된 Adaboost 알고리즘을 추가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센서부(200)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순간적인 오류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may apply a binary classification method for learn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200 is normal or abnormal.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Binary Classification, since a lot of time is required for initial learning, there may be a disadvantage that the accuracy of the initially trained model is not high. An instantaneous error in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200 may be appropriately handled.

또 다른 일 실시예로는 이러한 데이터의 분류를 위해 심층 신경망 방식 중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 데이터를 복수개의 레이어로 학습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SVM(Supported Vector Machine)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learn the user's entry/exit data into a plurality of layers by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ethod among deep neural network methods for classifying such data, and in particular, SVM (Supported Vector) Machine), it is desirable to classify whether the user enters or not.

특히, SVM의 경우, 상술된 상기 센서부(200)의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벡터화하여, 상기 벡터에 대해서 학습을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시 생성되는 센서값의 패턴 벡터들과 사용자 퇴장시 생성되는 센서값의 패턴 벡터들을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노이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VM, by vectorizing data acquired through various sensors of the sensor unit 200 described above and learning about the vector, pattern vectors of sensor values generated when the user enters and when the user exits are genera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noises by effectively classifying the pattern vectors of the sensor values.

따라서, 본 발명의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통해 노약자의 안전여부와 외출여부를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즉각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uardian checks in real time whether the elderly are safe and goes out through the camera unit and the sensor unit to perform an immediate action.

또한,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노약자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입자를 신속히 인식한 후 보호자에게 알림함으로서 즉각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elderly and infirm through the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n immediate action by quickly recognizing the entrant and notifying the guardia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examples.

100 : 카메라부 110 : 객체인식부
120 : 심박분석부 130 : 전처리부
131 : 확장자변환부 140 : 데이터베이스
200 : 센서부 300 : 저장서버부
310 : 객체인식부 320 : 심박분석부
330 : 전처리부 340 : 데이터베이스
400 : 통신부 500 : 제어부
100: camera unit 110: object recognition unit
120: heart rate analysis unit 130: pre-processing unit
131: extension conversion unit 140: database
200: sensor unit 300: storage server unit
310: object recognition unit 320: heart rate analysis unit
330: preprocessor 340: database
400: communication unit 500: control unit

Claims (6)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객체영상과,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저장하는 저장서버부;
상기 저장서버부와 연동되어 객체영상과,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저장서버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
a camera unit for acquiring an image;
a sensor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mera unit to obtain a user's access record;
a storage server unit for storing the object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user's access record;
a communication unit interworking with the storage server unit for wired/wireless communication of object images and user's access records to the manag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he sensor unit, the storage server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객체영상으로 부터 복수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객체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unit,
Recognizing a plurality of objects from the object image,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obtaining the recognized object ima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부는,
SSD 알고리즘, YOLO 알고리즘 및 AdaBoost 알고리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객체의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bject recognition unit,
A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s recognized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SSD algorithm, the YOLO algorithm, and the AdaBoost algorith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부는,
인식된 객체 영상을 분석하기 전에, 인식된 객체 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bject recognition unit,
Before analyzing the recognized object image,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processing unit for pre-processing the recognized object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일측과 타측방향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각각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access record is obtained by monito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관리자가 구비하는 디스플레부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인식된 객체 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출입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The elderly access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municating with the display unit provided by the manager in real time to provide the recognized object image and the user's access record.
KR1020200163955A 2020-11-30 2020-11-30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KR202200756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55A KR20220075649A (en) 2020-11-30 2020-11-30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55A KR20220075649A (en) 2020-11-30 2020-11-30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649A true KR20220075649A (en) 2022-06-08

Family

ID=8198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955A KR20220075649A (en) 2020-11-30 2020-11-30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64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206A (en) 2014-04-07 2015-10-15 유동민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using wearable bluetooth biometrie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206A (en) 2014-04-07 2015-10-15 유동민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using wearable bluetooth biometrie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9719A (en) A kind of electric network operation personnel safety cap wears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KR101806400B1 (en) A surveillance system for body heat by the dual camera using the black body
KR101729327B1 (en) A monitoring system for body heat using the dual camera
CN104933344B (en) Mobile terminal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multi-biological characteristic mode
US10346601B2 (en)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for same
KR1009833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tion faces using a infra red light
JP2018032391A (en) Liveness test method and apparatus
CN111898580B (en) System, method and equipment for acquiring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ion data of people wearing masks
KR100822476B1 (en)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0647797B (en) Visitor detection method and device
TWI533239B (en) Distant facial monitoring system,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Bhatia et al. IOT based facial recognition system for home security using LBPH algorithm
CN108197585A (en) Recognition algorithms and device
KR20190093799A (en) Real-time missing person recognition system using cctv and method thereof
US20230351831A1 (en) Multiple-factor recognition and validation for security systems
KR20230069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object representing abnormal temperatures
KR20180057839A (en) Intelligent robot capable of human recogni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4057237A1 (en) Reference image enrollment and evolution for security systems
Sanath et al. RFID and face recognition based smart attendance system
KR102338279B1 (en) UV robot to sterilize indoor space
KR20220075649A (en) Senior citizen access monitoring system
US20210004575A1 (en) Quantized transition change detection for activity recognition
CN108022411B (en) Monitoring system based on image procossing
Gaddipati et al. Real-time human intrusion detection for home surveillance based on IOT
CN111444863B (en) Driver emotio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camera and adopting 5G vehicle-mounted network cloud as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