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836A -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836A
KR20220074836A KR1020220062802A KR20220062802A KR20220074836A KR 20220074836 A KR20220074836 A KR 20220074836A KR 1020220062802 A KR1020220062802 A KR 1020220062802A KR 20220062802 A KR20220062802 A KR 20220062802A KR 20220074836 A KR20220074836 A KR 2022007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transmission
resource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556B1 (ko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씨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씨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006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836A/ko
Priority to KR1020220137709A priority patent/KR20220150851A/ko
Priority to KR1020230082607A priority patent/KR2023010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2D 통신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은 단말이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D2D 데이터 할당 주기 내의 시간 자원 중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 이후의 시간 자원 상에서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를 D2D 데이터 전송 자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2D DATA RESOURCE FOR D2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한정되어 있고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어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신규 주파수 발굴 및 주파수 이용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자원 부족 현상을 완화하고 신규 이동통신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기술 중의 하나가 D2D (Device-to-Device) 통신 기술이다.
D2D 통신이란 지리적으로 서로 근접한 단말들이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을 의미한다. D2D 통신 기술은 초기에는 이미 상용화가 이루어진 Wi-Fi Direct, Bluetooth와 같이 주로 비면허 대역에서 기술 개발 및 표준화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 release 12에 포함되는 새로운 기술의 하나로 ProSe(Proximity-based Services)라 불리는 D2D 통신 기술 표준화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LTE 무선 통신 시스템은 D2D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자원을 사용하는 방안이 결정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지원을 위한 자원 사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D2D(device to device) 통신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은 단말이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이 D2D 데이터 할당 주기 내의 시간 자원 중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 이후의 시간 자원 상에서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를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셀 특정 정보는 상기 D2D 데이터 할당 주기에 대한 정보,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에 대한 정보, 상기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특정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D2D(device to device) 통신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구현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프로세서는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D2D 데이터 할당 주기 내의 시간 자원 중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 이후의 시간 자원 상에서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를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으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되, 상기 셀 특정 정보는 상기 D2D 데이터 할당 주기에 대한 정보,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에 대한 정보, 상기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특정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단위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D2D 데이터 자원의 할당을 기반으로 D2D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으로 인한 단말 간의 충돌 또는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D2D 데이터 전송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D2D 통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에서 정의된 자원 할당 단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또는 단말 그룹 각각에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DD에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DD에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트래픽 데이터의 수신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기반의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가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FDD를 위한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시간을 전송 시간 인터벌(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이라 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1 subframe)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1 slot)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벌(symbol)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심벌 각각은 액세스 방식에 따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또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의 개수는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반(normal) CP인 경우에 하나의 슬롯은 7개의 심벌들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인 경우에 하나의 슬롯은 6개의 심벌들을 포함할 수 있다.
FDD의 경우, 두 개의 반송파 주파수가 존재하면, 두 개의 반송파 주파수 각각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D2D 통신에서 상향링크 전송은 특정 D2D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의 D2D 단말(이하, 단말)을 기준으로 단말로부터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의미하고, 상향링크 데이터는 단말로부터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전송은 단말을 기준으로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을 의미하고, 하향링크 데이터는 단말을 기준으로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듀플렉싱(duplexing) 방식인 FDD인 경우, 셀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FDD에서 하나의 셀 안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가능하더라도 단말의 풀-듀플렉스(full duplex) 또는 하프-듀플렉스(half duplex) 지원 여부에 따라 셀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풀-듀플렉스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은 동시에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하고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이 하프-듀플렉스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동작과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D2D 통신에서, 단말이 풀-듀플렉스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은 동시에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하고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이 하프-듀플렉스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은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과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기반의 D2D 통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TDD를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는 FDD를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와 마찬가지로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한다. 기본적인 무선 프레임 구조는 유사하나, TDD를 위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중 특정 서브프레임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수신 사이의 전환을 위한 시간 자원일 수 있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부분(DwPTS), 보호 주기(GP) 및 상향링크 부분(UpPTS)을 포함할 수 있다.
TDD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만이 존재하며 따라서 하나의 셀을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간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시간 자원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시간 자원에서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D2D 통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시되는 단말은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D2D 통신에서는 단말들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가 전송 또는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셀룰러 시스템에서 근접한 거리의 단말들이 D2D 통신을 하는 경우, 기지국의 부하는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이 D2D 통신을 하는 경우, 단말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단말의 전송 전력의 소모 및 전송 지연(latency)이 감소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는 기존의 셀룰러 기반의 통신과 D2D 통신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의 통신 방법과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의 통신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셀에 위치한 제1 단말(310)과 제2 셀에 위치한 제2 단말(320)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과 또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 간의 D2D 통신일 수 있다. 제1 클러스터에 위치한 제4 단말(340)과 제1 클러스터에 위치한 제5 단말(350) 사이의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들 간의 D2D 통신일 수 있다. 상기 제5단말(350)은 상기 클러스터헤더로, 상기 클러스터 헤더는 Out-of-coverage 단말의 동기화를 위한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로 동작할 수 있다.
D2D 통신에서는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탐색(discovery)을 수행하는 탐색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탐색 절차가 수행된 이후, 단말 간의 제어 데이터 및/또는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D2D 통신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D2D 통신은 공공 안전(public safety) 및 공공 안전 이의의 목적(상업적인 목적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서의 D2D 통신은 공공 안전(public safety)만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D2D 통신은 기지국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00)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제1 단말(310)로 D2D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D2D 자원 할당 정보는 제1 단말(310)과 다른 단말(예를 들어, 제2 단말(320))의 D2D 통신을 위한 D2D 통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D2D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310)은 기지국 커버리지 밖의 제2 단말(320)로 D2D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320)은 제1 셀의 기지국(300) 입장에서 본다면 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일 수 있다. 제1 단말(310)과 제2 단말(320)은 D2D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320)은 제1 단말(310)의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단말(320)은 제1 단말(310)의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제1 단말(310)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2D 통신에서 단말은 제어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D2D 통신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채널(예를 들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D2D 통신에서 제어 채널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에서 제어 데이터는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 정보라는 용어로도 표현될 수 있다.
제1 모드 통신에서는 D2D 자원 풀(resource pool)을 기반으로 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가 단말의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 통신에서는 기지국이 제어 데이터(또는 SA 데이터)에 대한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와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모드 통신에서는 단말은 D2D 자원 풀을 기반으로 D2D 통신 자원을 직접 스케쥴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 통신에서는 제어 데이터에 대한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와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D2D 통신 자원에 대한 정보가 단말에 의해 D2D 자원 풀에서 선택될 수 있다. D2D 자원 풀은 미리 설정(pre-configured)되거나 반정적(semi-statically)으로 할당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는 D2D 통신으로 제1 모드 통신 또는 제2 모드 통신이 사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서는 D2D 통신으로 제2 모드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제어 데이터 또는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한 D2D 통신 자원은 크게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D2D SA 자원 및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포함할 수가 있다.
D2D 데이터 자원은 D2D 통신에서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자원은 시간 축 상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주파수 축 상에서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단위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D2D 데이터 자원은 D2D 단말에 의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후보 자원일 수 있다. 즉, D2D 데이터 자원은 다른 용어로 D2D 데이터 후보(candidate) 자원 또는 D2D 데이터 전송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단말은 D2D 데이터 자원 중 전체 또는 일부의 D2D 데이터 자원을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에 의해 실제적으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D2D 데이터 자원은 선택된(selected) D2D 데이터 자원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D2D SA 자원은 D2D 통신에서 제어 데이터의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D2D SA 자원은 시간 축 상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주파수 축 상에서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단위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D2D SA 자원은 D2D 단말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후보 자원일 수 있다. 즉, D2D SA 자원은 다른 용어로 D2D SA 후보 자원 또는 D2D SA 전송 기회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단말은 D2D SA 자원 중 일부의 D2D SA 자원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이 실제적으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D2D SA 자원을 선택된 D2D SA 자원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선택된 D2D 데이터 자원 및 선택된 D2D SA 자원 각각은 D2D 데이터 자원 및 D2D SA 자원 각각 상에서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택된 D2D 데이터 자원 및/또는 선택된 D2D SA 자원에 대한 패턴은 RPT(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특히 시간 축 상에서는 T-RPT(time 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자원의 집합은 D2D 데이터 자원 풀, D2D SA 자원의 집합은 D2D SA 자원 풀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D2D 자원 풀이라는 용어는 D2D 데이터 자원 풀 및 D2D SA 자원 풀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2D 데이터 할당 주기 상에서 D2D 데이터 자원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이하, D2D 데이터 자원은 D2D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인 D2D 데이터 전송 자원, D2D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자원인 D2D 데이터 수신 자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에서 정의된 자원 할당 단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D2D 데이터 할당 주기 내에서 정의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해 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들의 할당을 위한 일정 시간 단위일 수 있다.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는 미리 정의된 하나의 값이거나, 미리 설정된 복수의 D2D 데이터 할당 주기 값 중 선택된 하나의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2D 데이터 할당 주기는 40ms, 80ms, 160ms, 320ms일 수 있다.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가 서브프레임 단위로 표현되는 경우, D2D 데이터 할당 주기는 40, 80, 160 또는 320 서브프레임 단위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또는 전송 기회)은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정의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즉, D2D 할당 주기 내에 정의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의 집합일 수 있다.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은 도 4와 같이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의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하,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이 하나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 상에서 하나의 D2D 데이터 전송 단위가 전송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단위는 MAC 계층 상에서의 MAC PDU(protocol data unit), 물리 계층 상에서의 데이터 TB(transport block)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은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 상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 및 D2D 데이터 자원 지시 비트맵의 반복 횟수(number of repetition)(480)를 고려하여 할당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은 D2D 데이터 할당 주기상에서 첫 번째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할당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은 시간 축 상에서 N개의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시간 간격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은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기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의 시작 지점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으로 지시된 지점 이후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 기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만큼 반복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은 시간축 상에서 B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단위 상에서 정의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이 정의되는 서브프레임 단위는 비트맵 서브프레임 단위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 상의 비트 각각은 비트맵 서브 프레임 단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응되고 비트맵 서브프레임 단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맵 서브 프레임 단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B개인 경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길이는 B일 수 있다. B는 8의 배수 또는 10의 배수 중 D2D 데이터 자원 할당 주기를 고려한 특정한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라디오프레임의 길이가 10ms임에 따라,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은 길이 10으로 정의되고,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내에서 반복되는 형태로 지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은 길이 5으로 정의되고,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내에서 반복되는 형태로 지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은 길이 20으로 정의되고,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내에서 반복되는 형태로 지시될 수도 있다.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이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인 경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 상의 비트 각각은 비트맵 서브 프레임 단위에 포함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비트 각각이 비트맵 서브 프레임 단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응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에 포함되는 복수의 비트값 각각은 0 또는 1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인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은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0인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은 비(non)-D2D 데이터 전송 자원일 수 있다. 반대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 상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0인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은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고, 비트맵 상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인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은 비-D2D 데이터 전송 자원일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길이 B는 10이고,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은 '1010010100'일 수 있다. 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MSB(most significant bit)로부터 LSB(least significant bit)까지 순차적으로 10개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길이는 10이고,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은 10개의 서브프레임 중 비트값 1에 대응되는 4개의 서브프레임이 D2D 데이터 전송 자원임을 지시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는 비트맵 서브프레임 단위의 반복 횟수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길이가 B인 경우, 비트맵 서브프레임 단위의 시간 축 상에서 반복 횟수 R은 0<R≤
Figure pat00001
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P는 D2D 데이터 할당 주기, C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이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길이 B가 10(ms), D2D 데이터 자원 오프셋(440)이 2(ms), D2D 데이터 자원 할당 주기(400)가 160(ms)(또는 160 서브프레임)인 경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 R(480)은 0<R≤15 범위의 값일 수 있다. 즉, 반복 횟수는 최대 15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가 15보다 작은 값인 경우, D2D 데이터 자원 할당 주기(400) 내에서 일부 서브프레임 구간에 대해서만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 기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D2D 데이터 할당 주기(P)(400)가 크고,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C)(440)와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의 길이(B)가 작을수록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가 커질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의 최대값을 고려하여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 상에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320, C=0 및 B=8인 경우, 0<R≤40이다. 이러한 경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는 1 내지 40 중 하나가 선택될 있다. 선택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를 기반으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 상에서 할당될 수 있다.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에 대한 정보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에 대한 정보는 단말 집합에 포함되는 단말들에 대한 공통 정보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개별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는 단말 특정 정보 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일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을 개별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D2D 데이터 전송 자원(420)이 단말 특정 정보 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개별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말 집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통신(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D2D 통신)에서 단말 집합은 기지국을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에 대한 정보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집합일 수 있다. 제1 모드 통신의 단말 집합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의 단말, 기지국 커버리지 내의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커버리지 외부의 단말일 수 있다.
제2 모드 통신(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D2D 통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의 D2D 통신에서도 제2 모드 통신이 적용될 수도 있다))에서 단말 집합은 ISS을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에 대한 정보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 통신의 단말 집합은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 커버리지 내의 단말, ISS 커버리지 내의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ISS 커버리지 외부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ISS는 다른 D2D 동기화 소스(synchronization source)들로부터의 동기(synchronization)를 전송하지 않고 자기 자신의 동기를 전송하는 D2D 동기화 소스 중 eNodeB가 아닌 D2D 동기화 소스로써, 다른 소스(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에 의해 스케줄링 되지 않고, 자신이 D2D 통신의 동작 동기의 기준이 되고 다른 단말을 스케줄링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D2D 데이터 할당 주기(40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440)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460)에 대한 정보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480)에 대한 정보와 같이 단말 집합에 포함되는 단말들에 대한 공통 정보를 셀 특정 정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이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개별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 그룹 특정 정보 또는 단말 특정 정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주로 단말 그룹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단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는 그룹핑(grouping) 단위로써 하나의 단말로 해석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가 R번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은 B0 내지 BR-1로 순차적으로 인덱싱(indexing)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에 대응되는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은 단말 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
도 5과 같이 단말 그룹이 2개인 경우,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중 선행하는 x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B0 내지 Bx-1으로 인덱싱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은 단말 그룹 0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500)을 지시할 수 있다. 나머지 R-x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Bx 내지 BR-1으로 인덱싱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은 단말 그룹 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550)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가 R번이고,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의 개수가 N개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단말 그룹 0 내지 단말 그룹 N-1 각각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는 r0, r1, …, rN-1로 정의되고, r0+r1+ …+rN-1=R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 그룹 0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r0번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그룹 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r1번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고, 단말 그룹 N-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rN-1번 반복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 그룹 0 내지 단말 그룹 N-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D2D 데이터 할당 주기 상에서 순차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 그룹 0 내지 단말 그룹 N-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D2D 데이터 할당 주기 상에서 다양한 조합에 의해 할당될 수도 있다.
단말 그룹에 할당되는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은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단말 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단말 그룹이 그룹핑될 수 있다. 단말 그룹 별로 할당되는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이 지시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가 R인 경우,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값을 모듈러 연산하여 단말을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단말 그룹에 할당되는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이 결정될 수 있다. 단말 식별자는 D2D SA 전송 자원을 통해 단말로 할당되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 또는 단말 특정 정보일 수 있다.
단말 그룹 0 내지 단말 그룹 N-1 각각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는 r0, r1, …, rN-1이고, r0+r1+ …+rN-1=R일 수 있다. 단말 식별자의 값에 모듈러 N(modular N) 연산을 하여 나머지가 0인 단말은 단말 그룹 0, 단말 식별자의 값에 모듈러 N 연산을 하여 나머지가 1인 단말은 단말 그룹 1로 분류될 수 있다. 즉, 모듈러 N 연산을 하여 나머지가 n인 단말은 단말 그룹 n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 그룹 0에 포함되는 단말은 r0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기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단말 그룹 1에 포함되는 단말은 r1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기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단말 그룹 n에 포함되는 단말은 rn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기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r0, r1, …, rN-1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0, r1, …, rN-2 각각은
Figure pat00002
또는
Figure pat00003
일 수 있으며 rN-1은 R-(r0+r1+ …+rN-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15, N=2인 경우, 단말 식별자의 값을 모듈러 2 연산할 수 있다. 단말 식별자의 값을 모듈러 2 연산한 값이 0인 경우,
Figure pat00004
=8번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자원이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단말 식별자의 값을 모듈러 2 연산한 값이 1인 경우, R-
Figure pat00005
=7번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자원이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은 RRC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단말 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
RRC 시그널링를 통해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단말 그룹으로 할당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RRC 시그널링을 통해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을 기반으로 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 중 어떠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단말 그룹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이 R번 반복되는 경우,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은 B0 내지 BR-1으로 인덱싱될 수 있다. B0 내지 BR-1에 대응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을 기반으로 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이 어떠한 단말 그룹을 위해 사용될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0 내지 BR-1에 대응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을 지시하기 위한 상위 비트맵이 RRC 시그널링될 수 있다. 즉, R비트의 비트맵은 B0 내지 BR-1에 대응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을 지시하기 위한 비트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이 5인 경우, ‘11000’은 B0 및 B1에 대응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을 지시할 수 있다. 즉, 특정 단말 그룹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을 지시하기 위한 비트맵이 ‘11000’인 경우, 특정 단말 그룹은 B0 및 B1에 대응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기반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에 할당되는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은 D2D SA 자원을 기반으로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
D2D SA 자원을 통해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을 기반으로 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 중 어떠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이 R번 반복되는 경우,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은 B0 내지 BR-1으로 인덱싱될 수 있다. B0 내지 BR-1에 대응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을 기반으로 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이 어떠한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을 위해 사용될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D2D SA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중 단말 또는 단말 그룹 각각을 위해 할당될 수 있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조합이 설정되고 설정된 조합이 단말 또는 단말 그룹 각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이 2개인 경우,
Figure pat00006
(또는
Figure pat00007
)번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자원이 제1 단말(또는 제1 단말 그룹)에게 할당될 수 있다. 나머지
Figure pat00008
(또는
Figure pat00009
)번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자원이 제2 단말(또는 제2 단말 그룹)에게 할당될 수 있다.
D2D SA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R번 반복되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각각을 기반으로 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 중 어떠한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D2D SA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T-RPT 지시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T-RPT 지시 정보와 함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 그룹에 할당되는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또는 단말 그룹 각각에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D2D 데이터 할당 주기 상에 할당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구성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각각에 대해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다.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인덱스를 기반으로 단말 그룹에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 그룹은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 식별자는 D2D SA 전송 자원을 통해 단말로 할당될 수 있고,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단말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N개의 단말 그룹을 설정하기 위해 단말 식별자의 값에 대해 모듈러 N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듈러 N 연산의 결과가 0인 경우 단말 그룹 0, 모듈러 N 연산의 결과가 1인 경우 단말 그룹 1, 모듈러 N 연산의 결과가 N-1인 경우 단말 그룹 N-1일 수 있다.
단위 D2D 데이터 자원을 시간 순서대로 인덱싱 할 경우 0부터 M-1까지 총 M개의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정의될 수 있다.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짝수 번째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자원은 단말 그룹 0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600)일 수 있다. 또한,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홀수 번째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자원은 단말 그룹 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650)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3개의 단말 그룹 각각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모듈러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모듈러 연산 결과가 0인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단말 그룹 0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일 수 있다.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모듈러 연산 결과가 1인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단말 그룹 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고,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모듈러 연산 결과가 2인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단말 그룹 2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D2D 데이터 전송 서브프레임은 RRC 시그널링 또는 D2D SA 전송 자원을 기반으로 단말 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그룹이 N개인 경우,
Figure pat00010
비트를 단말 그룹을 지시하기 위한 단말 그룹 지시 정보로서 RRC 시그널링 또는 D2D SA 전송 자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그룹이 2개인 경우, 단말 그룹 지시 정보는 1비트일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수신한 단말 그룹 지시 정보가 0인 경우,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그룹이 단말 그룹 0일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이 수신한 단말 그룹 지시 정보가 1인 경우,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그룹이 단말 그룹 1일 수 있다.
위와 같이 RRC 시그널링 또는 D2D SA 전송 자원을 기반으로 단말 각각에 대한 단말 그룹이 설정된 이후 단말 그룹 각각에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짝수 번째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단말 그룹 0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600)일 수 있다. 또한,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홀수 번째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단말 그룹 1을 위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650)일 수 있다.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그룹에 대한 정보는 D2D SA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T-RPT 지시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T-RPT 지시 정보와 함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에서는 셀 특정 정보와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셀 특정 정보는 D2D 데이터 할당 주기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에 대한 정보 등일 수 있다.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개별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하기 위한 정보인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가 전송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제1 모드 통신의 경우,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70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커버리지 내의 단말(In coverage UE)로 전송되는 SIB(700)는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RRC 연결된 단말에게 RRC 시그널링(720)을 통해 셀 특정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SIB(700)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720)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다른 단말로 D2D 통신을 위한 특정 채널(예를 들어, PD2DSCH(physical device to device shared channel))(74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인접한 커버리지 내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IB(700)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720)를 통해 수신한 셀 특정 정보를 셀의 경계의 단말(edge of cell coverage UE)로 PD2DSCH(74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SIB(700)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720)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다른 단말로 D2D SA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인접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IB(700)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720)를 통해 수신한 셀 특정 정보를 셀의 경계의 단말로 D2D SA 자원(760)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D2D SA 자원(760)은 단말에 대해 특정된 자원이나, D2D SA 자원(760)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단말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들에게 공통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SIB(700)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720)은, 브로드캐스팅되는 SIB 정보 또는 특정 단말에 설정된 RRC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드 통신의 경우,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D2D 특정 채널(예를 들어, PD2DSCH)(780)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S에 해당하는 단말이 커버리지 밖의 단말(out of coverage UE)로 D2D 특정 채널을 통해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D2D SA 자원(790)을 통해 단말 간에 전송될 수 있다. D2D SA 자원(790)은 단말에 대해 특정된 자원이나, D2D SA 자원(790)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단말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들에게 공통된 정보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 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는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식별자는 D2D SA 자원(820) 등을 통해 단말로 할당될 수 있다. 단말에 할당된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규칙 또는 수식(예를 들어 모듈러 연산)을 통해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RRC 시그널링(800) 또는 D2D SA 통신 자원(820)을 통해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가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 및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는 도 7 및 도 8에서 개시한 다양한 시그널링 방법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의 경우,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시그널링 방법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SIB를 통한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리지 내의 단말(In coverage UE)은 SIB를 통한 셀 특정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을 기지국(eNodeB)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SIB 및 PD2DSCH를 통한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리지 내의 단말은 SIB를 통해 셀 특정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셀의 경계(edge of cell coverage)의 단말은 PD2DSCH를 통한 셀 특정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을 커버리지 내의 D2D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PD2DSCH를 통한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의 단말은 PD2DSCH를 통한 셀 특정 정보 에 대한 시그널링을 ISS 또는 커버리지 밖의 다른 D2D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SIB 및 SA를 통한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리지 내의 D2D 단말은 SIB를 통한 상기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셀의 경계(edge of cell coverage)의 D2D 단말은 SA를 통한 상기 시그널링을 상기 커버리지 내의 D2D 단말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SA를 통한 시그널링은 각 단말에게 특정된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나 실제로는 단말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SA를 통한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의 D2D 단말은 SA를 통한 셀 특정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을 ISS 또는 커버리지 밖의 다른 D2D 단말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SA를 통한 시그널링은 각 단말에게 특정된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나 실제로는 단말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RRC 등의 상위단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RRC 연결된(connected) D2D 단말은 RRC를 통해 셀 특정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을 기지국(eNodeB)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RC 등의 상위단 시그널링은 각 단말에게 특정된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나 실제로는 단말 집단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의 경우도,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시그널링 방법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는 단말 식별자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식별자는 SA에 포함된 단말 식별자일 수가 있으며, 이 경우 SA 수신 D2D 단말은 단말 식별자가 포함된 SA를 SA 송신 D2D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는 RRC 등의 상위단 시그널링으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RRC 연결된(connected) D2D 단말은 RRC를 통한 단말 특정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을 기지국(eNodeB)으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RC 등의 상위단 시그널링은 각 단말에게 특정된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는 SA 통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SA 수신 D2D 단말은 SA를 통한 단말 특정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을 SA 송신 D2D 단말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SA를 통한 시그널링은 각 단말에게 특정된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 및/또는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를 RRC 등의 상위단 시그널링으로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에서, RRC 유휴(Idle) D2D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시그널링의 값으로 디폴트(default) 값이 지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된(connected) D2D 단말에 대해서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 값으로 2 또는 3 중 하나가 RRC로 지시 될 수 있다면, RRC 유휴(Idle) D2D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 값으로 디폴트(default) 값인 2가 사용될 수 있다.
실제 D2D 단말에 대한 설정은 제 1 모드 통신이지만, 제 1 모드 통신으로 설정된 D2D 단말이 제 2 모드 통신을 위한 D2D 자원 풀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기지국이 제 1 모드 통신을 위한 D2D 자원 풀(D2D 수신 자원 풀)을 설정 시, 예외적인 경우에 대비해서 제 2 모드 통신을 위한 D2D 자원 풀(D2D 송신 자원 풀 및 D2D 수신 자원 풀)을 지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등), 만약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 2 모드 통신을 위한 D2D 자원 풀에 대한 정보를 SIB로 지시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먼저, 제 2 모드 통신의 D2D 송신 자원 풀과 D2D 수신 자원 풀 모두에 대해 RRC 등의 상위단 시그널링으로 미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제 2 모드 통신의 D2D 수신 자원 풀은 제 1 모드 통신의 D2D 수신 자원 풀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 2 모드 통신의 D2D 송신 자원 풀에 대해서는 RRC 등의 상위단 시그널링으로 미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모드 통신의 D2D 수신 자원 풀은 제 1 모드 통신의 D2D 수신 자원 풀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 2 모드 통신의 D2D 송신 자원 풀은 제 2 모드 통신의 D2D 수신 자원 풀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도 7 및 도 8에서 개시한 다양한 시그널링 방법의 조합의 예가 개시된다.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상기에서 언급한 시그널링 방법들에 따라 이 외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1) 제1 시그널링 방법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SIB를 통해 단말로 전송되거나 SIB 및 PD2DSCH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는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2) 제2 시그널링 방법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도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DD 또는 TDD에서 D2D 통신을 수신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과 트래픽 데이터를 수송하는 단말의 동작에 대해 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DD에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도 4 내지 도 8에서 개시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풀 듀플렉스를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시간축 상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과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은 동일하고,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하프 듀플렉스를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시간축 상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과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이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하프 듀플렉스를 지원하는 단말은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전체 또는 일부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고, 별도의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하프 듀플렉스를 지원하고, D2D 데이터 전송 자원과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이 별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시간축 상에서 제1 단말의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900)은 제2 단말의 제2 D2D 데이터 수신 자원(940)일 수 있다. 즉, 제2 단말은 시간축 상에서 제1 단말의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900)에 대응되는 자원을 제2 D2D 데이터 수신 자원(940)으로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작을 위해서는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야 한다.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D2D SA 자원, SIB 등)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는 다른 단말의 단말 특정 정보인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일 수 있다.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단말이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단말의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900)은 셀 특정 정보 및 제1 단말에 대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단말의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920)은 셀 특정 정보 및 제2 단말에 대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제1 단말에 대한 단말 특정 정보 및 제1 단말에 대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단말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자원 중 짝수 번째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제1 단말을 포함하는 제1 단말 그룹을 위한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900)일 수 있다. 또한, 0부터 M-1까지의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자원 중 홀수 번째 인덱스에 대응되는 단위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제2 단말을 포함하는 제2 단말 그룹을 위한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920)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간축 상에서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920)에 대응되는 자원은 제1 단말의 제1 D2D 데이터 수신 자원(960)일 수 있다. 또한, 시간축 상에서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900)에 대응되는 자원은 제2 단말의 제2 D2D 데이터 수신 자원(940)일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할당된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900)을 통해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제1 D2D 데이터 수신 자원(960)(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할당된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통해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은 제2 D2D 데이터 수신 자원(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3 단말이 추가되는 경우, 제1 단말의 제1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은 제3 단말의 제3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과 제3 단말의 제3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제1 단말의 D2D 데이터 수신 자원으로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DD에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서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TDD 기반의 D2D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TDD에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도 4 내지 도 8에서 개시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가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D2D SA 자원, SIB 등)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FD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축 상에서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1060)에 대응되는 자원은 제1 단말의 제1 D2D 데이터 수신 자원(1020)일 수 있다. 또한, 시간축 상에서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1000)에 대응되는 자원은 제2 단말의 제2 D2D 데이터 수신 자원(1040)일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1000) 중 전체 또는 일부의 선택된 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통해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은 제1 D2D 데이터 수신 자원(1020)(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1040) 중 전체 또는 일부의 선택된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통해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은 제2 D2D 데이터 수신 자원(1060)(제1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제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3 단말이 추가되는 경우, 제1 단말의 제1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은 제3 단말의 제3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제2 D2D 데이터 전송 자원과 제3 단말의 제3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제1 단말의 D2D 데이터 수신 자원으로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FDD 또는 TDD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가 단말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제외한 자원을 D2D 데이터 수신 자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와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단계 S1100).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다양한 방법(SIB, PD2DSC, RRC, D2D SA 자원 등)을 통해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예를 들어, D2D 데이터 할당 주기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에 대한 정보)와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특정 정보(예를 들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은 전술한 도 4 내지 도 8에서 개시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결정 방법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은 결정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기반으로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S1120).
단말은 결정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전체 또는 일부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동기를 획득하지 못한 단말은 D2D 데이터 할당 주기의 시작점에 대한 정보 및/또는 D2D 데이터 할당 주기 상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할당 위치를 고려하여 동기화를 수행한 후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위한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말은 서브프레임 번호(SFN)을 기반으로 D2D 데이터 할당 주기의 시작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D2D 데이터 할당 주기의 시작점 이후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또는 D2D 통신을 위한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말은 서브프레임 번호(SFN)을 기반으로 D2D 데이터 할당 주기의 시작점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서브프레임의 할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D2D 데이터 할당 주기 내의 특정 지점 이후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트래픽 데이터의 수신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을 결정한다(단계 S1200).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다양한 방법(SIB, PD2DSC, RRC, D2D SA 자원 등)을 통해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과 다른 단말의 셀 특정 정보는 동일하므로, 단말은 다른 단말의 단말 특정 정보를 다른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결정된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을 기반으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1220).
단말은 결정된 D2D 데이터 수신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시와 마찬가지로 D2D 통신을 위한 동기를 획득하지 못한 단말은 D2D 데이터 할당 주기의 시작점에 대한 정보 및/또는 D2D 데이터 할당 주기 상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할당 위치를 고려하여 동기화를 수행한 후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00),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10), 통신부(1320) 및 프로세서(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60), 통신부(1370) 및 프로세서(13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개시된 단말 및 기지국의 각 구성부는 기능상 예시적인 구성으로써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및 기지국의 각 구성부는 도 4 내지 도 12에서 전술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의 구성부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의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00)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 D2D 데이터 수신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통신의 경우, 기지국의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00)는 셀 내의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집단의 D2D 데이터 할당 주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복수의 단말 집단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00)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전체 또는 일부를 단말 집단에 포함되는 개별 단말 또는 복수의 단말 그룹 각각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의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10)는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00)를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또는 D2D 데이터 수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10)는 셀 특정 정보로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에 대한 정보,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에 대한 정보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10)는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로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전체 또는 일부를 단말 집단에 포함되는 개별 단말 또는 복수의 단말 그룹 각각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인 D2D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의 통신부(1320)는 D2D 데이터 자원 할당 정보 생성부(1310)에 의해 생성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커버리지 내의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의 프로세서(1330)는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00),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10), 통신부(13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의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는 ISS를 기반으로 결정된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집단의 D2D 데이터 할당 주기,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비트맵의 반복 횟수를 동일하게 설정 및 확인하여 복수의 단말 집단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중 전체 또는 일부를 단말 집단에 포함되는 개별 단말 또는 복수의 단말 그룹 각각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는 단말 집단에 포함되는 개별 단말 또는 복수의 단말 그룹 각각에 대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오프셋을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의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60)는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를 기반으로 결정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 또는 D2D 데이터 수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 통신에서 단말이 ISS인 경우, 단말은 다른 단말로 전송될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이 ISS인 경우, 단말의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 및 단말의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60)는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는 다른 단말이 모니터링할 D2D 데이터 수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의 통신부(1370)는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60)에 의해 생성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ISS가 아닌 경우, 통신부는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생성된 D2D 통신을 위한 셀 특정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그룹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통신부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로 모니터링할 D2D 데이터 수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의 프로세서(1380)는 단말의 D2D 통신 자원 결정부(1350), 단말의 D2D 통신 자원 정보 생성부(1360) 및 단말의 통신부(13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 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방법.
KR1020220062802A 2014-08-08 2022-05-23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51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802A KR102551556B1 (ko) 2014-08-08 2022-05-23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137709A KR20220150851A (ko) 2014-08-08 2022-10-24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2607A KR20230101783A (ko) 2014-08-08 2023-06-27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72A KR20160018244A (ko) 2014-08-08 2014-08-08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58428A KR102402543B1 (ko) 2014-08-08 2021-05-06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62802A KR102551556B1 (ko) 2014-08-08 2022-05-23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28A Division KR102402543B1 (ko) 2014-08-08 2021-05-06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709A Division KR20220150851A (ko) 2014-08-08 2022-10-24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2607A Division KR20230101783A (ko) 2014-08-08 2023-06-27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836A true KR20220074836A (ko) 2022-06-03
KR102551556B1 KR102551556B1 (ko) 2023-07-06

Family

ID=5526413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72A KR20160018244A (ko) 2014-08-08 2014-08-08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58428A KR102402543B1 (ko) 2014-08-08 2021-05-06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62802A KR102551556B1 (ko) 2014-08-08 2022-05-23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137709A KR20220150851A (ko) 2014-08-08 2022-10-24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2607A KR20230101783A (ko) 2014-08-08 2023-06-27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72A KR20160018244A (ko) 2014-08-08 2014-08-08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58428A KR102402543B1 (ko) 2014-08-08 2021-05-06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709A KR20220150851A (ko) 2014-08-08 2022-10-24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2607A KR20230101783A (ko) 2014-08-08 2023-06-27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9750016B2 (ko)
EP (1) EP3179793B1 (ko)
KR (5) KR20160018244A (ko)
CN (4) CN112073946B (ko)
WO (1) WO2016021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343B1 (ko) 2013-10-28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6072770A1 (en) * 2014-11-05 2016-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25213A1 (ja) * 2015-02-06 2016-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近接サービス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60302246A1 (en) * 2015-04-09 2016-10-13 Intel Corporation Device-to-device receive window selection for inter-cell operation
CN111224767B (zh) * 2015-06-12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设备、终端设备及资源分配方法
CN107710705B (zh) * 2015-06-29 2020-10-27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者接收d2d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11570754B2 (en) * 2015-08-12 2023-01-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realizing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s using long term evolutio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CN106454955B (zh) * 2015-08-12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信息发送、广播方法及装置
CN108353420B (zh) * 2015-11-05 2022-04-1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7119740A1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정보 및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US10624113B2 (en) * 2016-03-29 2020-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hrough sidelink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531313B2 (en) * 2016-07-15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user-equipment-to-user-equipment probe signal
EP3499994B1 (en) 2016-08-11 2024-04-24 LG Electronics Inc. Method whereby terminal transmits data to another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479272B (zh) * 2016-08-12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用户设备
CN107734681B (zh) * 2016-08-12 2019-08-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资源的指示方法及装置
WO2018030938A1 (en) 2016-08-12 2018-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dexing of subframe resources in d2d
KR102474754B1 (ko) * 2017-09-08 2022-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V2V 인터랙션/V2IoT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749713B2 (en) * 2017-11-13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ttern for uplink transmissions
CN109981233B (zh) * 2017-12-27 2022-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的传输方法、通信设备和网络设备
CA3100406C (en) 2018-06-29 2023-08-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1132324B (zh) * 2018-11-01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旁链路资源的配置方法及装置
WO2022006783A1 (en) * 2020-07-08 2022-01-13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robustness enhancement for multi-trp ue
CN114401491B (zh) * 2021-12-24 2024-05-1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通信中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518A1 (ko) * 2012-06-22 201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대-기기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7606A1 (en) 2004-07-16 2006-0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heduling mode switching for uplink transmissions
JP4824612B2 (ja) * 2007-03-20 2011-1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送信方法
KR20080092222A (ko) * 2007-04-11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1321368B (zh) * 2007-06-08 2012-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广播组播业务中时分复用机制的实现方法
US8194600B2 (en) 2008-11-24 2012-06-05 Qualcomm Incorporated Air interface selection between nodes in peer-to-peer/ad-hoc networks
WO2010101439A2 (en) * 2009-03-05 2010-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ystem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10204B1 (ko) * 2009-07-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을 위한 기준신호의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N102158963B (zh) * 2010-02-11 2013-12-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分配方法及基站
WO2011137408A2 (en) * 2010-04-30 2011-11-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termination of carriers and multiplexing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S20130077594A1 (en) * 2010-06-10 2013-03-28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mt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608475A2 (en) * 2010-08-18 2013-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a wireless access system
WO2012046970A2 (ko) * 2010-10-04 2012-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052911A1 (en) * 2010-10-22 2012-04-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reception for network controlled device to device
CN102056174B (zh) * 2010-12-16 2014-03-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基站
CN102595599B (zh) * 2011-01-17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长期演进系统中演进基站进行调度的方法、基站及系统
WO2012148444A1 (en) * 2011-04-29 2012-11-01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hannel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10851A4 (en) * 2011-05-16 2014-11-05 Blackberry Ltd DIRECT ACCESS DATA CHANNEL FOR UPLINK MOBILE DEVICE
DE112011105271T5 (de) 2011-05-25 2014-03-06 Renesas Mobile Corporation Ressourcenzuordnung für eine D2D-Kommunikation
WO2013009107A2 (ko) * 2011-07-14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2m 통신을 위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3012241A2 (ko) 2011-07-18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기기간 직접 통신 유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2244873A (zh) * 2011-08-26 2011-11-16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d2d用户对的位置为其和蜂窝用户选择资源复用模式的方法
US8838031B2 (en) 2011-10-03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lternative path configuration for peer-to-peer networking
GB2496153B (en) 2011-11-02 2014-07-02 Broadcom Corp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GB2498575A (en) * 2012-01-20 2013-07-24 Renesas Mobile Corp Device-to-device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cells in a device-to-device discovery area
WO2013139041A1 (en) * 2012-03-23 2013-09-26 Renesas Mobile Corporation Device-to-device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853052A1 (en) 2012-05-23 2015-04-01 Kyocera Corporation Acknowledgment messaging over reference signals
US9154267B2 (en) * 2012-07-02 2015-10-06 Intel Corporation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mechanism for intracel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DK3185615T3 (en) * 2012-10-05 2019-03-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verage of machine-type communication devices (MTC)
CN103795505A (zh) * 2012-11-02 2014-05-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数据的方法、系统和设备
CN103024911A (zh) * 2012-11-30 2013-04-03 北京邮电大学 蜂窝与d2d混合网络中终端直通通信的数据传输方法
US9844085B2 (en) 2013-03-25 2017-1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N104349421B (zh) 2013-08-08 2020-03-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发现方法和用户设备、网络侧设备
CN105580420A (zh) * 2013-09-26 2016-05-11 夏普株式会社 Tdd-fdd载波聚合中的子帧偏移
US20150085818A1 (en) 2013-09-26 2015-03-26 Asustek Computer Inc.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d2d communications, base station using the same,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CN104349479A (zh) * 2013-10-31 2015-02-1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D2d通信资源分配方法及基站设备和用户设备
CN104754763B (zh) 2013-12-30 2019-10-22 索尼公司 用于调整终端到终端资源分配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5156604A1 (ko) 2014-04-08 2015-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47546B2 (en) 2014-05-13 2016-01-26 Lg Electronics Inc. Allocation of resources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on the basis of the resource allocation
US9918290B2 (en) * 2014-06-27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cel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iscovery
EP3195685B1 (en) 2014-08-06 2020-07-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vice-to-device transmission patter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518A1 (ko) * 2012-06-22 201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대-기기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P-141015 *
Intel Corporation, R1-142017, eNB Controlled Resource Allocation for D2D Communication, 3GPP TSG RAN WG1 #77, 3GPP 서버공개일(2014.05.10.) 1부.* *
Qualcomm Incorporated, R2-142540, Signaling Details for ProSe Direct Discovery, 3GPP TSG RAN WG2 #86, 3GPP 서버공개일(2014.05.09.)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10306A1 (en) 2018-10-25
CN106664684A (zh) 2017-05-10
CN112073947A (zh) 2020-12-11
US9750016B2 (en) 2017-08-29
CN112073948B (zh) 2024-05-28
US20160044668A1 (en) 2016-02-11
CN112073948A (zh) 2020-12-11
WO2016021933A1 (ko) 2016-02-11
CN106664684B (zh) 2020-09-11
KR20220150851A (ko) 2022-11-11
KR20230101783A (ko) 2023-07-06
KR20210060378A (ko) 2021-05-26
KR20160018244A (ko) 2016-02-17
EP3179793A1 (en) 2017-06-14
KR102402543B1 (ko) 2022-05-30
US20170325226A1 (en) 2017-11-09
CN112073946B (zh) 2024-05-28
CN112073946A (zh) 2020-12-11
CN112073947B (zh) 2024-05-28
US10531455B2 (en) 2020-01-07
US11503590B2 (en) 2022-11-15
EP3179793B1 (en) 2021-07-21
US20230037651A1 (en) 2023-02-09
US10039101B2 (en) 2018-07-31
KR102551556B1 (ko) 2023-07-06
US20200146006A1 (en) 2020-05-07
EP3179793A4 (en)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543B1 (ko)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160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2D data based on resource pattern
JP2022511296A (ja) 構成情報の伝送方法および端末機器
KR102453598B1 (ko)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CN112134667A (zh) 无线通信的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和系统
CN111344979A (zh) 发信号通知时隙和微时隙中的参考信号位置
EP31972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2d data on basis of resource pattern
US20220006677A1 (en) Method performed by user equipment, and user equipment
CN110958095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102335764B1 (ko) 자원 패턴을 기반으로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78783A1 (en) Base st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60018247A (ko)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8299A (ko) D2d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