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236A - 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236A
KR20220074236A KR1020200162494A KR20200162494A KR20220074236A KR 20220074236 A KR20220074236 A KR 20220074236A KR 1020200162494 A KR1020200162494 A KR 1020200162494A KR 20200162494 A KR20200162494 A KR 20200162494A KR 20220074236 A KR20220074236 A KR 20220074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djustment
elevating
mounting
lif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종수
Original Assignee
안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수 filed Critical 안종수
Priority to KR102020016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236A/en
Publication of KR2022007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2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 E04F21/1877Leve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를 고정시키는 장착패널과, 상기 장착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축으로 구성된 장착부; 상기 승강축의 승강 작동 및 위치 고정을 가이드 하는 조절 하우징과, 상기 조절 하우징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승강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를 건축물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comprising: a mounting panel for fixing a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and a mounting unit comprising a lifting shaft for elevating the mounting panel; An adjustment housing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and position fixation of the lifting shaft, a stopp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housing and fixing the position while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axis of the stopper a mounting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fting shaft; and a frame part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art is coupled, and the frame part fixing the mounting part to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so as to be level with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Description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본 발명은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가 장착되며, 이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와 지면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한편, 장착된 출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의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줄눈 시공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면과 수직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어 타일의 부착 시공에 대한 작업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and the ground are supported so that the ground is positioned vertically, while the mounted joint construction By being configured to enable precise height adjustment of the laser device, the reliability of the joint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and the vertical state to the ground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greatly reducing the working time for tile attachment construction, resulting in work efficiency It relates to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that can maximize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 벽면, 욕실 등에는 마감재로 타일의 부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tile is attached as a finishing material to a wall, a bathroom, and the like.

하지만, 타일을 부착하는 시공시 타일의 부착 위치에 대한 수직, 수평을 정확하게 맞춰가면서 진행을 해야만 하는데, 통상적으로는 시공자의 눈대중으로 시공을 진행하거나, 또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하나의 판을 이용하여 타일을 부착하게 된다. 한편, 계단의 수직면에 대해서는, 수직 타일이 부착될 곳에 타일의 열 방향으로 줄을 띄우고 이 줄을 따라서 타일을 수직 방향으로 부착하게 된다.However, when installing tiles, the installation must be carried out while accurately align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tiles. Usually,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in the eyes of the installer or using a single plate that can be adjusted horizontally. will be attached On the other hand, for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tairs, a row is floated in the column direction of the tile where the vertical tile is to be attached, and the tile is atta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ow.

그러나, 눈대중, 또는 줄을 이용하여 타일의 부착시 정밀한 수직 및 수평을 파악할 수 없고, 이는 결국 타일 부착 시공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잘못 시공된 타일로 인해 재시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번거롭고 소모 시간이 많아져서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precis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when attaching tiles by eye or by using a line, which in turn lowers the efficiency of tile attachment and construction, and may cause re-construction due to improperly installed tiles, which is cumbersome and time consum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was lowered due to this increase.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87699호에는, 타일줄눈을 형성하기 위해 타일용줄눈 사춤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줄눈공간에 사춤하는 경우, 내용물이 통과되는 본체부 내측에 “∧”형상의 긁음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춤작업과 타일줄눈의 표면평탄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한번의 작업으로 진행되어 작업자에게 피로를 적게 줄 수 있는 타일용 줄눈 정리기구가 게재된 바 있다. Accordingly,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687699, when using a tile joint to form a tile joint to fit the contents into the joint space, a “∧”-shaped scraping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By forming, the joint work and the surface flattening work of the tile join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a tile grout arrangement mechanism has been published that can reduce the fatigue of the worker by performing one work.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긁음부재를 통해 줄눈의 형성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을 해야함에 따라 정확한 줄눈의 형성이 이루어지 못함은 물론, 종래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어 단순 평탄화만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은 작업의 효율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어 상품성에 대한 신뢰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when forming a joint through a scraping member, an accurate joint cannot be formed as an operator has to manually proceed, and, of course, the conventional problem is still present, so the convenience of simple flattening on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remarkably lowered because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fficiency of the work.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8769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687699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상부에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가 장착되며, 이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와 지면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한편, 장착된 출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의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줄눈 시공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by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and a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and the ground are supported to be positioned vertically, while the moun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which is configured to enable precise height adjustment of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for joint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어 타일의 부착 시공에 대한 작업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that can always mainta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us can greatly reduce the working time for the tile attachment construction,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is also included therein.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를 고정시키는 장착패널과, 상기 장착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축으로 구성된 장착부; 상기 승강축의 승강 작동 및 위치 고정을 가이드 하는 조절 하우징과, 상기 조절 하우징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승강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를 건축물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ounting panel for fixing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and a mounting portion consisting of a lifting shaft for elevating the mounting panel; An adjustment housing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and position fixation of the lifting shaft, a stopp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housing and fixing the position while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axis of the stopper a mounting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fting shaft; and a frame part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art is coupled, and the frame part fixing the mounting part to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so as to be level with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축의 승강 작동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안내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housing, support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tube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is further config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축에는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전,후방 이동 및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축 통과홀과, 상기 높이 조절수단과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shaft further includes a shaft passage hole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nd rotation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a driving gear to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gear are engaged.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조절핸들; 상기 조절핸들의 회전 작동 및 전, 후방 이동을 지지하는 작동 브라켓; 상기 작동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조절핸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 작동을 하는 조절본체; 상기 조절본체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과 기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웜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includes an adjustment handle; an operation bracket for suppor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an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trol handle; an adjustment body to which the operation bracket is coupled, and rotational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a control shaft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to rotate; and a worm wheel that is gear-coupled to the control shaft, and is gear-coupled to the drive g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조절 하우징이 고정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이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패널이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패널이 연결되는 승강 가이드; 상기 승강 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is a support panel to which the adjustment housing is fixed; a guide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so as to form an orthogonal angle, the guide frame allowing the support panel to be positioned vertically from a bottom surface; an elevating guide coupled to the guide frame to be elevating and to which the support panel is connected;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elevating gu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elevat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mea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바닥면의 수평도의 파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수평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veler configured to grasp the level of the guide frame and the floor surface is mad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에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가 장착되며, 이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와 지면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한편, 장착된 출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의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줄눈 시공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and the ground are supported to be positioned vertically, while precise height adjustment of the mounted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being configured to be possi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joint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지면과 수직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어 타일의 부착 시공에 대한 작업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working time for the tile attachment construction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가 거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에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trol unit of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s mounted on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to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below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has the same meaning as understoo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는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100)와, 장착부(10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장착부(100)의 위치를 고정하며, 장착부(100)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승강시키는 조절부(200) 및 수평계 거치장치를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에 안착시키는 프레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horizontal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unit 100 on which a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s mounted, and the mounting unit 100 are coupled to be elevating, and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unit 100 is fixed, ,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unit 200 for elevating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unit 100 and a frame unit 300 for mounting the leveling device on the wall or floor of a building.

장착부(100)는 상단부에 구성되며,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가 안착됨과 동시에 이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를 고정시키는 장착패널(120)과, 장착패널(120)의 중앙부에 삽입되며, 조절부(200)의 조절 하우징(210)을 관통하면서 조절부(2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축(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unting unit 100 is configured at the upper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panel 120 for fixing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s seated, and the mounting panel 120, and the adjustment unit 200 ) while penetrating the control housing 21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shaft 110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depending on whether the adjustment unit 200 operates.

여기서, 승강축(110)은 그 상단부가 장착패널(120)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장착패널(120)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단부 중앙에 소정의 홈의 형태로 구성되는 결합홈(112)을 형성하여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Here, the lifting shaft 110 is configured such that its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panel 120 to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panel 120 , and a coupling groove 112 form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groove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 to form a joint with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또한 승강축(110)에는 조절부(200)의 높이 조절수단(23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주면으로 후술할 조절축(260)이 관통하여 웜 휠(270)과의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강 작동시 조절축(260)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축 통과홀(11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shaft 2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shaft 110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height adjustment means 230 of the adjustment unit 200 so that the gear coupling with the worm wheel 270 is made, A shaft passage hole 114 is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adjustment shaft 260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장착부(200)는 승강축(110)이 관통하며, 이 승강축(11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이 완료된 승강축(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장착부(100)와 프레임부(300)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Mounting unit 200, the lifting shaft 110 passes through,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shaft 110 is made, and at the same time fixing the position of the lifting shaft 110 is completed, the mounting portion 100 and the frame portion ( 30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m.

이러한 장착부(200)는 승강축(110)의 승강 작동 및 위치 고정을 가이드 하는 조절 하우징(210)과, 조절 하우징(210)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승강축(11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220)와, 조절 하우징(210)에 결합되되 스토퍼(220)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구성되며, 승강축(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unting unit 200 is coupled to an adjustment housing 210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and position fixing of the lifting shaft 110 and one side of the adjustment housing 210, and is positioned while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110 . A stopper 220 for fixing the , and a height adjustment means 230 coupled to the adjustment housing 210 and configur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axis of the stopper 220 ,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fting shaft 110 . is comprised of

조절 하우징(210)은 하부면이 프레임부(300)의 지지패널(302)과 결합되어, 지지패널(302)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타일 시공이 이루어질 위치 주변의 바닥면에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adjustment housing 210 has a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302 of the frame unit 300 and is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by the support panel 302, or is seated on the floor around the location where tile construction is to be performed. configured to do this.

이러한 조절 하우징(210)은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며, 승강축(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승강 작동시 승강축(110)이 축중심을 따라 수직하게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관(216)이 구성된다. The control housing 210 is formed through a central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110, and a guide tube 216 that guides the lifting shaft 110 to vertically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axis center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it is composed

여기서, 안내관(216)은 조절 하우징(210)의 상부 및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특히 하부에 연장되는 안내관(216)의 경우, 지지패널(302)을 관통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Here, the guide tube 216 is formed to exten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rol housing 210 ,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guide tube 216 extending at the lower portion,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panel 302 while being coupled. .

또한, 조절 하우징(210)에는 일측부 외면에 구성되며, 스토퍼(220)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관통공(21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21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동축선상에 형성되되, 안내관(216)의 외주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나사부가 체결되는 체결공(214)이 더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housing 210 is configur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a through hole 212 through which the screw portion of the stopper 220 passes is formed, and is formed on a coaxial line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2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astening hole 214 to which the screw part is fastened while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216 is further configured.

즉, 체결공(214)은 안내관(21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토퍼(220)의 나사부가 체결되면서 안내관(216)에 삽입된 승강축(1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위치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astening hole 21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216 , and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shaft 110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216 while the screw portion of the stopper 220 is fastened to determine the position.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아울러, 높이 조절수단(230)은 조절 하우징(210)의 일측부에 구성되되, 스토퍼(220)와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으로, 승강축(110)의 정밀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의 높이 조절에 대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23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adjustment housing 210, and is configured at a position orthogonal to the stopper 220. It is a component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aser device for construction.

이러한 높이 조절수단(230)은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조절핸들(232)과, 조절핸들(23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작동 브라켓(234)과, 작동 브라켓(234)이 결합되고, 조절핸들(232)의 작동에 의해 회전 작동을 하는 조절본체(240)와, 조절본체(24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조절축(260)과, 조절축(260)과 기어 결합되는 웜휠(270) 및 승강축(110)의 내부에 구성되며, 웜 휠(270)의 구동시 승강축(110)을 승강시키는 구동기어(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eight adjustment means 230 includes an adjustment handle 232 for controlling whether to operate, an operation bracket 234 for suppor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232, and an operation bracket 234 are coupled, and the adjustment handle ( 232), the control body 240 rotates by operation, the control shaft 2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240 to rotate, the worm wheel 270 and the lifting shaft geared to the control shaft 260 It is configured inside the 110 , and includes a driving gear 28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shaft 110 when the worm wheel 270 is driven.

조절핸들(232)은 조절 브라켓(2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조절본체(240) 및 조절축(26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결합된 조절본체(240)와 조절축(26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adjustment handle 2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bracket 234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adjustment body 240 and the adjustment shaft 260 are combined, or the combined adjustment is made. It is a component that functions to rotate the main body 240 and the adjustment shaft 260 .

이러한 조절핸들(232)은 조절 브라켓(234)에 구성되는 회전부재(236)에 의해 조절 브라켓(234)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adjustment handle 2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bracket 234 by a rotating member 236 configured in the adjustment bracket 234 .

또한, 조절핸들(232)은 조절 브라켓(234)에 구성되는 이동홀(234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조절핸들(232)의 이동시 회전부재(236)의 회전축이 함께 이동홀(234a)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handle 23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movement hole 234a configured in the adjustment bracket 234 , and in this case,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member 236 when the adjustment handle 232 is moved. It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moving hole 234a together.

또한, 조절핸들(232)의 선단부에는 조절 브라켓(234)의 내벽면을 이루는 가압벽(234b)에 밀착되면서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조절캠(232a)이 형성된다. 조절캠(232a)은 조절핸들(232)이 상향 회전하면, 회전부재(236)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면서 가압벽(234b)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adjustment cam 232a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adjustment handle 232 to provide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wall 234b constitut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djustment bracket 234 . When the control handle 232 rotates upward, the control cam 232a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wall 234b while rotating downward around the rotating member 236 .

여기서, 조절캠(232a)은 조절핸들(232)의 회전시 가압벽(234b)과 밀착되면서 조절본체(24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조절축(260)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adjustment cam 232a is a component that moves the adjustment body 240 forwar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wall 234b when the adjustment handle 232 is rotated to be connected to the adjustment shaft 260 .

이와 같은 조절핸들(232)은 조절캠(232a)이 가압벽(234b)과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진 상태인 경우, 조절본체(240) 및 조절축(260)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조절본체(240) 및 조절축(26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When the control cam 23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wall 234b, the control handle 232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rotating based on the axial center of the control body 240 and the control shaft 260.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ontrol body 240 and the control shaft 260 in the present state is made.

조절 브라켓(234)은 조절본체(240)의 후방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조절핸들(232)의 회전 작동 및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조절핸들(232)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가압력을 조절본체(240)측으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The adjustment bracket 234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adjustment body 240 , and guides the rotational operation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djustment handle 232 , and simultaneously applies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adjustment handle 232 . It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o the control body 240 side.

이러한 조절 브라켓(234)은 조절핸들(23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부재(236)와, 이 회전부재(236)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홀(234a)과, 내벽면을 이루며, 조절캠(232a)과의 밀착 여부에 따라 조절본체(240)를 이동시키는 가압벽(234b)이 구성된다. This adjustment bracket 234 forms a rotation member 236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ontrol handle 232, a movement hole 234a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otation member 236, and an inner wall surface, and is adjusted A pressing wall (234b) for moving the adjustment body (240) according to the close contact with the cam (232a) is configured.

조절본체(240)는 조절 브라켓(234)의 전방부에 구성되며, 조절핸들(2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조절축(26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며, 전방으로 조절축(260)과의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는 연결홈(242)이 형성된다. The adjustment body 240 is configured in the front part of the adjustment bracket 234,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shaft 260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232, and is moved forward. A connection groove 242 for separation and coupling with the adjustment shaft 260 is formed.

이때, 연결홈(242)은 육각형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groove 242 may be formed as a hexagonal gro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조절본체(240)는 전방측 원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고, 승강축(110)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조절핸들(232)과 조절 브라켓(234) 간의 밀착력이 해제되는 경우, 조절본체(24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25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body 240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front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se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110 to rel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djustment handle 232 and the adjustment bracket 234 .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ody 250 for restoring the main body 240 to its original position is further configured.

조절축(260)은 후방측 단부가 조절본체(240)의 연결홈(2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웜 기어(262)가 형성되어 웜 휠(270)과의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adjustment shaft 260 has a rea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groove 242 of the control body 240 , and a worm gear 262 is formed in the front so that the gear coupling with the worm wheel 270 is made. is composed

이러한 조절축(260)은 조절핸들(23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웜 기어(262)가 웜 휠(270)을 회전시키고, 이 웜 휠(270)과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28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강축(11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In this control shaft 260, the worm gear 262 rotates the worm wheel 270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rol handle 230 rotates, and the driving gear 280, which is gear-coupled to the worm wheel 270, is ,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shaft 110 is made while mov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때, 구동기어(280)는 승강축(1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웜 휠(270)과 기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driving gear 28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110 to be gear-coupled to the worm wheel 270 .

프레임부(300)는 장착부(100)에 장착되는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의 수직 및 수평에 대한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frame unit 300 is a component that can mainta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recision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00 .

이러한 프레임부(300)는 조절부(200)의 조절 하우징(210)이 안착되며, 이 조절 하우징(210)이 고정 스크류 등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장착부(100) 및 조절부(200)를 타일 시공이 이루어질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지지패널(302)과, 이 지지패널(30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프레임(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rame portion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justment housing 210 of the adjustment unit 200 is seated, the adjustment housing 210 is coupled through a fixing screw, etc., and the mounting unit 100 and the adjustment unit 200 ) to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be tiled or to be fixed to the floor surface,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anel 302 can be adjusted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vertically from the floor surf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frame (310).

이때, 가이드 프레임(310)에는 지지패널(302)이 고정 스크류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되며, 이 지지패널(302)을 가이드 프레임(310)과 연결시키고, 지지패널(302)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320)와, 승강 가이드(3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승가 가이드(30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30)과, 승강수단(330)의 승강 작동을 제어하는 승강 컨트롤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support panel 302 is fixedly coupled to the guide frame 310 through a fixing screw or the like, and the support panel 302 is connected to the guide frame 310 and guide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panel 302 . The elevating guide 3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guide 320, the elevating means 33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guide 302, and the elevating controller 350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330 is comprised of

여기서, 승강수단(330)은 가이드 프레임(310)의 내부에 구성되며, 통상의 실린더 부재, 또는 액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means 330 is configured inside the guide frame 310, and may be comprised of a conventional cylinder member, an actuator, or the like.

또한, 승강 가이드(320)는 가이드 프레임(310)과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승강수단(330)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guide 320 is coupled to form an orthogonal to the guide frame 310 and is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elevating means 330 .

아울러, 승강 가이드(320)에는 지지패널(302)이 고정 결합되는 연결패널(304)이 더 구성되며, 연결패널(304)은 승강 가이드(320)와 지지패널(302)이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guide 320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nel 304 to which the support panel 302 is fixedly coupled, and the connection panel 304 is such that the lifting guide 320 and the support panel 302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plays a role

이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310)에는 프레임부(30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안착이 이루어질 때, 이 바닥면과의 수평도를 파악하여 승강 가이드(320)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승강 가이드(320)에 결합되는 연결패널(304) 및 이 연결패널(304)과 직교를 이루는 지지패널(302)이 바닥면과의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의 수평에 대한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평계(34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s such, when the frame unit 300 is seat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in the guide frame 310, the level with the floor surface is grasped so that the elevating guide 320 is in a vertical state from the floor surface. And, by making the connection panel 304 coupled to the lifting guide 320 and the support panel 302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panel 304 to be horizontal with the floor,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veling system 340 that can maximize the precision of the horizontal is further configur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장착부 110: 승강축
120: 장착패널 200: 조절부
210: 조절 하우징 220: 스토퍼
230: 높이 조절수단 240: 조절본체
250: 탄성체 260: 조절축
270: 웜 휠 280: 구동기어
300: 프레임부 302: 지지패널
304: 연결패널 310: 가이드 프레임
320: 승강 가이드 330: 승강수단
340: 수평계 350: 승강 컨트롤러
100: mounting part 110: lifting shaft
120: mounting panel 200: control unit
210: adjustment housing 220: stopper
230: height adjustment means 240: adjustment body
250: elastic body 260: adjustment shaft
270: worm wheel 280: drive gear
300: frame portion 302: support panel
304: connection panel 310: guide frame
320: elevating guide 330: elevating means
340: level 350: elevating controller

Claims (5)

줄눈 시공용 레이저 장치를 고정시키는 장착패널과, 상기 장착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축으로 구성된 장착부;
상기 승강축의 승강 작동 및 위치 고정을 가이드 하는 조절 하우징과, 상기 조절 하우징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승강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를 건축물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
A mounting unit comprising a mounting panel for fixing the laser device for joint construction, and a lifting shaft for elevating the mounting panel;
an adjustment housing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lifting shaft; a stopp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housing and fixing the position while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axis of the stopper a mounting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fting shaft; and
a frame part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art is coupled, the frame part fixing the mounting part to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so as to be level with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축의 승강 작동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안내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ontrol housing,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tube is further configured to suppor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shaft and coupled to the fram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축에는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전,후방 이동 및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축 통과홀과, 상기 높이 조절수단과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Horizontal mounting for til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shaft further comprises a shaft passing hole for suppor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a drive gear that is geared to the height adjusting means.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조절핸들;
상기 조절핸들의 회전 작동 및 전, 후방 이동을 지지하는 작동 브라켓;
상기 작동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조절핸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 작동을 하는 조절본체;
상기 조절본체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과 기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웜 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height adjustment means
control handle;
an operation bracket for suppor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an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trol handle;
an adjustment body to which the operation bracket is coupled, and rotational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a control shaft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to rotate;
The worm wheel is gear-coupled to the control shaft, and the drive gear and the gear are coupled.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조절 하우징이 고정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이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패널이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패널이 연결되는 승강 가이드;
상기 승강 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컨트롤러;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바닥면의 수평도의 파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수평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수평계 거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part
a support panel to which the control housing is fixed;
a guide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so as to form an orthogonal angle, the guide frame allowing the support panel to be positioned vertically from a bottom surface;
an elevating guide coupled to the guide frame to be elevating and to which the support panel is connected;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elevating guide;
an elev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vation means; and
a leve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guide frame and the floor surface;
A level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comprising a.
KR1020200162494A 2020-11-27 2020-11-27 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KR202200742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94A KR20220074236A (en) 2020-11-27 2020-11-27 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94A KR20220074236A (en) 2020-11-27 2020-11-27 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236A true KR20220074236A (en) 2022-06-03

Family

ID=8198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494A KR20220074236A (en) 2020-11-27 2020-11-27 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23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99B1 (en) 2000-02-02 2007-02-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onic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99B1 (en) 2000-02-02 2007-02-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onic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00815B (en) Concrete floor leveling device
CN108263419B (en) Probe flaw detection control device for detecting bottom surface of steel rail bottom
CN111350354A (en) Multifunctional scraper blade assembly and leveling trowelling machine
KR20220074236A (en) Leveling device mounting device for tile construction
KR20200019029A (en) Position controller for laser leveler
KR101867603B1 (en) Laser level machine with ease of use
US20090257837A1 (en) Threading method and threading apparatus
CN113585768B (en) Workpiece mounting device and workpiece mounting method
KR101928084B1 (en) Tapping Machine
US20230265666A1 (en) Fluid Laying Device, Floor Tile Laying Robot and Slurry Laying Method
KR101625680B1 (en) Armrest Elevating Device for The Driver's Seat of Construction Machinery
KR20130044522A (en)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exterior panel
KR101340832B1 (en) A Level
KR101687560B1 (en) Up-down moving and rotation apparatus of tool
CN114290015B (en) Automatic coupling system of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onic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JP2018002425A (en) Installation device
EP2229488B1 (en) Device for fixing the toilet bowl of a suspended toilet
KR20190123003A (en) Device for lifting window frame or door frame
CN213115388U (en) Plastering device and plastering equipment with same
CN111976032B (en) Building wall slotting equip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JP2012218840A (en) Elevator and mechanism for adjusting height of elevator guide rail
JP2525212Y2 (en) Transmission actuator lifting device
CN208603438U (en) A kind of position centering device of web-like broad-width material
CN211412545U (en) Novel automatic variable pitch bivalve mechanism is glued to synchronous point
KR102358026B1 (en) Setting device for mounting jig for hose stamp mar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