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976A - Vertebral fix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Vertebral fix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3976A KR20220073976A KR1020200161969A KR20200161969A KR20220073976A KR 20220073976 A KR20220073976 A KR 20220073976A KR 1020200161969 A KR1020200161969 A KR 1020200161969A KR 20200161969 A KR20200161969 A KR 20200161969A KR 20220073976 A KR20220073976 A KR 202200739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inal fixation
- fastening
- axis
- cut
- he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7103 Spondylolisthe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39 bone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278 spin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83 osseointe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1 tissu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27 tissu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618 Intervertebral Disc Displac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307 Sp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82 bone dens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30 cut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09 osteopor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7—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pivoting is blocked when the rod is clamp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97—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e.g. balloon; devices for inserting or filling such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상호 마주하는 척추를 고정하는 척추고정장치에 있어서, 척추를 상호 고정하는 로드를 구비한 척추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척추고정장치는 척추에 삽입 체결되도록 된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척추고정나사와; 내측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중공형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헤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본체에는 척추고정나사의 Y축에 대해 X축으로 관통하는 채널공이 형성되는 수용부재; 및 제1체결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헤드부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제1체결부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부재가 너트부재가 삽입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1휨방지부; 및 제1휨방지부와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홈 형성되어 수용부재가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2휨방지부를 포함하고, 제2체결부는 제1휨방지부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는 홈 형성된 제1대응휨방지부; 및 제1대응휨방지부와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으로, 제2휨방지부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는 돌출 형성된 제2대응휨방지부를 포함한다.In the spinal fixation device for fixing the vertebrae facing each other, there is disclosed a spinal fixation device having a rod for fixing the vertebrae to each other.
The disclosed spinal fixation device includes: a spinal fixation screw having a body part formed with a first fastening part to be inserted and fastened to a spine, and a head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A hollow body having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therein, a mount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rotatably mount the head, and a channel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X-axis with respect to the Y-axis of the spine fixing screw is formed in the body. a receiving member; and a nut member that is formed with a second fastening part screw-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is positioned above the head part and fixed t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first bending preventing portion to prevent the receiving member from being bent by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nut member is inserted; and a second bending prevention part formed in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and the axis to prevent the receiving member from bending,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corresponds to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and is inserted when fastening. a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unit formed with a groove; and a second anti-bending port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when fasten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anti-bending portion to be position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anti-bending portion and the axis.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추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척추고정나사가 체결시 가압하는 힘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척추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al fix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inal fixation device that prevents a spinal fixation screw from being bent by a pressing force when it is fastened and maintains a continuous fixation force.
척추는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할 뿐 아니라 척수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척추 부위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추간판탈출증, 척추불안정증,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 척추분리증 등의 다양한 척추질환이 발생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다.The spi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body and maintaining equilibrium, as well as protecting the spinal cord. Various spinal diseases such as disc herniation, spondylolisthesis,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and spondylolisthesis, which cause pain in these spinal regions, can occur, which can bring inconvenience to daily life.
최근에 척추질환은 가능하면 수술을 하지 않거나 수술을 한다면 최소절개로 치료하는 게 원칙이지만 간혹 척추고정술이라는 나사를 박는 유합술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즉 불안정증을 동반한 협착증이나 척추뼈가 앞쪽으로 빠지는 심한 요추 전방전위증, 디스크 수술 후 재발한 경우 척추고정술이 필요할 수 있다.Recently, if possible, surgery is not performed or if surgery is required, it is treated with minimal incision. In other words, stenosis accompanied by instability, severe lumbar spondylolisthesis in which the vertebrae fall forward, or relapse after disc surgery may require spinal fixation.
척추고정술은 척추뼈와 이웃하는 뼈 사이의 병든 디스크를 모두 제거하고 그 사이에 케이지라는 디스크 모양의 지지대를 집어넣고, 척추고정장치를 척추를 고정함으로써 불안정한 척추 마디를 안정시켜 다시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다. Spinal fixation surgery removes all the diseased discs between the vertebrae and neighboring bones, inserts a disc-shaped support called a cage between them, and stabilizes the unstable vertebrae by fixing the spine with a spinal fixation device to prevent problems from occurring again. It is a fundamental way to treat.
종래의 척추고정장치는 수용부재 내의 척추고정나사의 헤드부가 몸체부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후 고정할 때 로드에 의한 하중이 직접적으로 척추고정나사에 영향을 미쳐 헤드부와 맞물리기는 면이 마모될 수 있다. 또한, 척추고정나사의 헤드부가 수용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인 고정력이 약하다. 이에 더하여, 시술단계에서 수용부재로부터 로드가이드부재를 커팅할 때 발생되는 잔여물에 의해 신체 조직 내에 염증을 유발시켜 시술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커팅된 수용부재의 파단면이 고르지 못하여 시술 후 그 부분이 돌출되어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spinal fixation device, when the head part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in the receiving member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dy part and is fixed, the load by the rod directly affects the spinal fixation screw, so that the surface that engages the head part is may be worn out. In addition, the fixing force, which is a problem in which the head of the spine fixing screw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is weak. In addition, the residue generated when the rod guide member is cut from the accommodating member in the procedure step may cause inflammation in the body tissue, thereby causing side effects of the procedure. In addition, since the fractured surface of the cut receiving member is uneven, the portion protrudes after the operation, and patients may feel discomfort in their daily life.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척추고정나사가 회전시 수용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술 후 척추고정나사의 지속적인 고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척추고정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inal fixation device that prevents the spinal fixation screw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during rotation and maintains the continuous fixation force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after surgery.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척추고정장치는 상호 마주하는 척추를 고정하고, 상기 척추에 삽입 체결되도록 된 나사산인 척추체결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척추고정나사와; 내측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중공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헤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척추고정나사의 Y축에 대해 X축으로 관통하는 채널공이 형성되는 수용부재; 및 중공형으로 측면은 상기 제1체결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pinal fix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in which a vertebral fastening portion which is a screw thread to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pine is fixed, and a head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spinal fixation screw; A hollow body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otatably mount the head, the main body penetrates through the X-axis with respect to the Y-axis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a receiving member in which a channel hole is formed; and a nut member having a hollow side surface formed with a second fastening part screw-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positioned above the head part for fixing.
상기 제1체결부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1휨방지부; 및 상기 제1휨방지부와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홈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가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2휨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휨방지부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는 홈 형성된 제1대응휨 방지부; 및 상기 제1대응휨방지부와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휨방지부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는 돌출 형성된 제2대응휨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bending preventing part formed to protrud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part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member from being bent by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nut member is inserted; and a second bending prevention part formed in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and the axis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member from bending,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art corresponds to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a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formed with a groove to be inserted during fastening; and a second anti-bending portion protruding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nti-bending portion and inserted during fastening to b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anti-bending portion and the axis.
상기 제1체결부는 나사산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경사각을 가지는 제1경사부과, 상기 나사산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경사부 보다 작은 경사각을 가지게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2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체결부는 나사산의 하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경사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1대응경사부와,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경사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2대응경사부로 이루어지며,상기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대응경사부 보다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대응경사부가 기울어진 경사각이 큼에 따라 초기 체결이 용이하고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consists of a first inclined portion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w thread and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position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thread and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to have a small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The second fastening part consists of a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part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w thread and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art, and a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part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thread and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ed part. ,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initial fastening may be facilitated and deformation may be minimized.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은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satisfy
<조건식 1><
여기서, S1은 X축을 기준으로 -x축 및 -y축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 또는 제1대응경사부의 경사 각도(Degree)이고, S2는 제2경사부 또는 제2대응경사부의 경사 각도(Degree)이며, 또한, P1은 제1휨방지부 또는 제1대응휨방지부 간의 피치(Pitch)를 의미하고, L1은 상기 수용부재의 제1휨방지부의 내부 측면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제1대응휨방지부의 외부 측면의 구간 길이(mm)를 의미한다. 그리고 D1은 수용부재 내경 홈의 외경(mm)을 의미하고, D2는 너트부재의 외경(mm)을 의미한다.Here, S 1 is the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first inclined part or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part inclined along the -x and -y axe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S 2 is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part or the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part. An angle (Degree), and P 1 means a pitch between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or the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and L 1 i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of the accommodating member or the nut member Means the length (mm) of the sec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And D 1 means the outer diameter (mm) of the receiving member inner diameter groove, D 2 means the outer diameter (mm) of the nut member.
상기 수용부재는 Y축에 대해 X축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홈이 형성된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hav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cutable along the X-axis with respect to the Y-axis.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본체의 절단되는 X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를 사이로 외측절단부 및 내측절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외측절단부의 하부 외주면이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절단부와 마주보고 접하는 상부 외주면이 테이퍼진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절단부의 상부와 상기 내측절단부가 X축으로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시술 마무리 단계시 절단이 용이하고 남아 있는 부분의 외형이 곡선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The cut part consists of an outer cut part and an inner cut part between the main body based on the X-axis to be cut of the main body,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ut part is formed in a curve,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cut part is a tapered groove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ut part and the inner cut part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X-axis, so that it is easy to cut during the finishing stage of the procedure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remaining part can be formed in a curve.
상기 절단부는 하기 조건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The cut portion is a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2).
<조건식 2><Condition 2>
C1은 X축을 기준으로 내측절단부 경사 각도(Degree)이고, C2는 외측절단부 상부 경사 각도(Degree)이며, D1은 외측절단부의 하부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한다.C 1 is the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inner cut part with respect to the X axis, C 2 is the upper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outer cut part, and D 1 means the radius of curvature (mm) of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ut part.
상기 척추고정나사는 외주면이 그루브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각도로 회전되기 용이하도록 된 네크부가 포함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그루브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척추고정나사가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 각도가 규제되는 회전규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ine fixing screw includes a neck portion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s a groove and position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from the receiving member to be easi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neck portion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groove. 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regulating unit in which the rotation angle is regulated so that the spinal fixation screw is not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상기 척추고정나사는 하기 조건식 3을 만족할 수 있다.The spinal fixation screw may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al expression (3).
<조건식 3><Condition 3>
S1은 상기 척추고정나사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각도(Degree)이고, R2는 상기 네크부의 그루브 곡률 반경(mm)이며, L2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mm), L3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를 포함한 길이(mm)를 의미한다.S 1 is an angle (Degree) of rotation based on the Y-axis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R 2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groove of the neck part (mm), L 2 is the length of the body part (mm), L 3 is the head part and the length (mm) including the neck portion.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상기 척추고정나사를 연결하여 적어도 두개의 상기 척추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된 로드; 및 상기 수용부재 내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로드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상기 로드에 의해서 가압되고, 하부가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는 가압중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rod positioned between the nut member and the head part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t least two vertebra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spine fixing screws; and a pressing relay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head and the rod in the receiving member, the upper portion being pressed by the rod, and the lower portion pressing the head portion.
상기 너트부재는 하단부의 양측 모서리가 중심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중심이 상기 로드 또는 상기 헤드부와 마주하는 단부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되거나 가압 해제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ut member is tapered so that both corners of the lower end become narrower toward the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end facing the rod or the head portion, or is elastical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It may further include a restoration unit.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제2체결부 하단의 외주면 중 체결되는 끝단에 상기 제1체결부의 나사산 홈을 따라 초기 체결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초기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u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l fastening part formed to be flat and inclined to facilitate initial fastening along the thread groov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t an end to which it is fastened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는 척추고정나사가 회전시 수용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체결시 체결강도를 높여도 수용부재가 휘어지지 않도록 방지되어 지속적인 고정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nal fixation screw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when the screw is rotated, and the receiving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even when the fastening strength is increased during fastening, thereby maintaining a continuous fixing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는 가압중계부재가 제1변형부 및 제2변형부를 포함하고, 수용부재가 수용변형부를 포함함으로써 로드의 가압력에 의하여 척추고정나사의 헤드부에 고르게 압력이 가해지므로 척추고정나사의 고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ing relay member includes the first deformable part and the second deformable part, and the receiving member includes the receiving deformable part, pressure is evenly applied to the head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r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fixing force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는 가압중계부재와 수용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됨으로써, 걸림부가 걸림홈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게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ressing relay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and the other has a locking groove further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so that the locking part is not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ca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는 절단목부에 보호막을 더 포함하여 절단시 파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단목부의 파단면에 의한 신체 내부 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on the incised neck to prevent fragments from being generated during cutting, and to prevent damage to internal tissues of the body due to the fractured surface of the incised ne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의 척추에 설치된 절단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수용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너트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용부재 및 너트부재의 'A' 및 '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의 절단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절단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나사가 수용부재로부터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나사의 몸체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너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하단부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가압중계부재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12의 (a)는 도 2의 부재들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설치 후 가압중계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cut-away cross-sectional view installed on the spine of a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side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of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side view of the nut member.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s 'A' and 'B' of the receiving member and the nut member of FIG. 2;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cut portion of a receiv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ut portion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5 .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pinal fixation screw is rotated from a receiv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nut member of FIG.
11 is a plan view (a) and a side view (b) of the pressing relay member of FIG.
Figure 12 (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Figure 2,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pressure relay member is deformed after install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llustrated by exaggerating or simplifying a part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Y축”은 척추(1)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축을 의미하고, “X축”은 Y축으로부터 직교하는 가로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제2", "일측" 및 "타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Y-axis” may mean a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척추(1)는 신체 뒷부분에서 몸을 지지하는 기다란 뼈 구조물로, 상세하게 경추, 흉추 및 요추로 구성된 척추뼈들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하는 척추(1)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의 척추에 설치된 절단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inal fix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sp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척추고정장치는 상호 마주하는 척추(1)를 고정하는 척추고정나사(100)와 로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500)는 척추(1) 중 어느 한 척추(1)와 같은 열에 위치한 또 다른 척추(1)를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로드(500)는 주로 탄성이 있는 소재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손상된 디스크의 상하부위의 척추뼈에 척추고정나사(100)를 삽입한 후 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은 척추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디스크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and 2 , the spinal fixation device may include a
척추고정나사(100)와 척추고정나사(100)의 헤드부(130)를 수용하는 수용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척추고정나사(100)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부(150)와, 이 몸체부(150)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130)를 구비한다. 이 몸체부(150)의 내부에는 삽입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삽입홀(153)을 통하여, 내시경 등의 검진시술기구가 삽입되거나 주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골 시멘트(미도시)와 같은 충진재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척추고정나사(100)의 몸체부(150) 측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경우 골 시멘트가 더 고르게 분사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홀(미도시)은 골 시멘트(미도시)가 방사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압출됨으로써 척추뼈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골다공증 상태에 있는 환자의 척추(1)에 척추고정나사(100)를 수술하는 경우, 환자의 척수(1)에 골 시멘트를 주입하여 필요한 골밀도를 얻을 수 있고 척추고정나사(100)와 척수(1) 사이의 골융합을 형성할 수 있다.Th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는 척추고정나사(100), 수용부재(200), 너트부재(300), 로드(500) 및 가압중계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척추고정나사(100)는 상호 마주하는 척추(1)를 고정하고, 척추(1)에 삽입 체결되도록 된 나사산인 척추체결부(151)가 형성되는 몸체부(150)와, 상기 몸체부(150)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몸체부(150)는 외주면의 전체가 나사산으로 형성되며 나사산이 헤드부(130) 방향으로 갈수록 골 지름이 두꺼워지고 척추(1)에 삽입되는 말단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은 이중 나사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중 나사산 구조는 나사산 사이의 간격(Pitch)은 대략 2.0~2.7mm이고, 나사산의 리드(Lead)는 2회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50)는 이중 나사산 구조로써, 같은 깊이에 삽입하였을 때 한줄 나사산 구조 보다 회전수가 적게 적용되기 때문에 척추(1)에 삽입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50)는 척추(1)에 대하여 고정력이 증가함에 따라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인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한 쉽게 분리 이탈될 수 없다. 이 몸체부(150)의 나사산 형상은 삽입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분리시 일반적인 인력으로 분리 가능하지 않고 특정 제거 시술장치로만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50)는 전체 내부 중심에 삽입홀(153)이 형성되고 삽입홀(153)과 연통되어 몸체부(150) 끝단에 분사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몸체부(150)에 삽입홀(153) 및 분사홀(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둘 다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헤드부(130)는 상기 몸체부(150)와 이어져서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부재(200)로부터 몸체부(15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30)의 상부 내부 홈은 헥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물질, 절삭유 제거 및 수분을 완전 건조한 후 샌딩처리 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수용부재(200)는 내측에 제1체결부(230)가 형성되는 중공형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헤드부(130)를 회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에는 척추고정나사(100)의 X축 즉,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채널공(2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채널공(253)은 서로 이웃하는 척추(1) 간에 고정하는 로드(500)가 안착할 수 있도록 "U"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00)는 체널공(253)을 사이로 본체(210)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본체(210)는 시술 단계에서 거치부(250)을 남기고 절단되어 체외로 분리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척추고정장치는 척추고정나사(100)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설치기구 없이 수용부재(200)를 활용하여 척추고정나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00)를 환자 피부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할 때 약 2㎝의 피부 최소 부위만 절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 후 환자 회복이 빠르고 시술 부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The
너트부재(300)는 제1체결부(230)와 나사 결합되는 제2체결부(330)가 형성되고 헤드부(130)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0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너트부재(300)는 로드(500) 상에 위치되어 척추고정나사(100) Y축의 삽입방향으로 로드(5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너트부재(300)는 수용부재(200)의 내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와 맞물려서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로드(500)를 더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로드(500)는 너트부재(300)와 헤드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척추고정나사(100)를 연결하여 적어도 두개의 척추(1)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가압중계부재(400)는 수용부재(200) 내의 헤드부(130)와 로드(5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로드(500)에 의해서 가압되고, 하부가 헤드부(130)를 가압될 수 있다.The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수용부재의 측면도이고도 3(b)는 너트부재의 측면도이며,도 4는 도 2의 수용부재 및 너트부재의 'A' 및 '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3 (a) is a side view of the accommod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side view of the nut member, Figure 4 is a portion 'A' and 'B' of the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nut member of FIG.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도 3(a) 및 (b)를 참조하면, D1은 수용부재(200) 내경 홈의 외경(mm)을 의미하고, D2는 너트부재(300)의 외경(mm)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1은 9.5~10.5 mm일 수 있고, D2는 9.48~10.7 mm일 때 서로의 간격 차이가 0.02~0.2 mm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재(200)에 대하여 너트부재(3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공차에 의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가 다소 감소될 수 있다.3 (a) and (b), D 1 may mean the outer diameter (mm) of the inner diameter groove of the receiving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체결부(230)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휨방지부(231) 및 홈 형성된 제2휨방지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휨방지부(233)는 제1휨방지부(231)과 Y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휨방지부(231)는 수용부재(200)가 너트부재(300)가 삽입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Y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230)는 나사산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경사각을 가지는 제1경사부(235)와, 나사산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제1경사부(235) 보다 작은 경사각을 가지게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2경사부(237)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4 , the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2체결부(330)는 제1휨방지부(231)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는 홈 형성된 제1대응휨방지부(331) 및 제1대응휨방지부(331)와 Y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위치하는 제2대응휨방지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대응휨방지부(333)는 제2휨방지부(233)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330)는 나사산의 하측면에 위치하여 제1경사부(235)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1대응경사부(335)와, 나사산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2경사부(237)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2대응경사부(337)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4 , the
따라서, 제2경사부(237) 및 제2대응경사부(337) 보다 제1경사부(235) 및 제1대응경사부(335)가 기울어진 경사각이 큼에 따라 초기 체결이 용이하고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refor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한편, 제1체결부(230) 및 제2체결부(330) 각각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여기서, S1은 X축을 기준으로 -x축 및 -y축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 또는 제1대응경사부의 경사 각도(Degree)이고, S2는 제2경사부 또는 제2대응경사부의 경사 각도(Degree)이며, 또한, P1은 제1휨방지부 또는 제1대응휨방지부 간의 피치(Pitch)를 의미하고, L1은 상기 수용부재의 제1휨방지부의 내부 측면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제1대응휨방지부의 외부 측면의 구간 길이(mm)를 의미한다. 그리고 D1은 수용부재 내경 홈의 외경(mm)을 의미하고, D2는 너트부재의 외경(mm)을 의미한다.Here, S 1 is the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first inclined part or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part inclined along the -x and -y axe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S 2 is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part or the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part. An angle (Degree), and P 1 means a pitch between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or the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and L 1 i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of the accommodating member or the nut member Means the length (mm) of the sec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And D 1 means the outer diameter (mm) of the receiving member inner diameter groove, D 2 means the outer diameter (mm) of the nut member.
만일 수학식 1의 (a) 조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용부재(200)로부터 너트부재(300) 초기 체결이나 체결 중 삽입방향으로 하강이 용이하지 않고, 너트부재(300)가 기울려지기 때문에 체결 시간이 지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학식 1의 (b) 조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경사부(235), 제2경사부(237), 제1대응경사부(335) 및 제2대응경사부(337)의 경사각이 없는 사각 나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시간이 지체되거나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체결되어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너트부재(300)가 외부의 작은 진동에도 미세하게 풀려 척추고정장치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아울러, 수학식 1의 (c) 조건 범위 중 하한값을 벗어나는 경우, 수용부재(200)에 대하여 너트부재(300)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어려울 수 있고, 상한값을 벗어나는 경우 체결 면적이 줄어들어 수용부재(200)의 나사산이나 너트부재(300)의 나사산 간의 마찰이 심해져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If the condition of Equation 1 (a) is out of the range, it is not easy to lower the
따라서, 수학식 1의 (a),(b) 및 (c)의 조건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제1경사부(235) 또는 제1대응경사부(335)의 경사 각도(Degree)(S1)는 대략 5°~ 15°, 제2경사부(237) 또는 제2대응경사부(337)의 경사 각도(Degree)(S2)는 20°~ 60°일 수 있다. 또한, 제1휨방지부(231) 또는 제1대응휨방지부(331) 간의 피치(Pitch)(P1)는 대략 1.95~2.25mm이고, 수용부재(200)의 제1휨방지부(231)의 내부 측면 또는 너트부재(300)의 제1대응휨방지부(331)의 외부 측면의 구간 길이(L1)은 대략 0.65~0.75mm일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D1은 9.5~10.5 mm일 수 있고, D2는 9.48~10.7 mm일 때 서로의 간격 차이가 0.02~0.2 mm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재(200)에 대하여 너트부재(3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공차에 의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가 다소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dition ranges of (a), (b) and (c) of
따라서, 수학식 1의 (a)을 만족함에 따라 초기체결이 한번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고 경사 각도에 의하여 삽입 방향에 대해 중력이 더 작용됨에 따라 체결시간이 단축되고 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의 (b)를 만족함에 따라 제1휨방지부(231) 또는 제1대응휨방지부(331)은 수용부재(200)에 너트부재(300)가 삽입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Y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휘는 변형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by satisfying Equation 1 (a), the initial fastening can be easily fastened at once, and the fastening time can be shortened as gravity is more applied to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inclination ang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Equation 1 (b), the firs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cu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수용부재(200)는 Y축에 대해 X축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본체(2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홈이 형성된 절단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receiving
절단부(270)는 본체(210)의 절단되는 X축을 기준으로 본체(210)를 사이로 외측절단부(271) 및 내측절단부(2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절단부(271)의 하부(271b) 외주면이 곡선으로 형성되고 외측절단부(271)와 마주보고 접하는 상부(271a) 외주면이 테이퍼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절단부(271)의 상부(271a)와 내측절단부(273)가 X축으로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절단부(271) 및 내측절단부(273)의 홈 형상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절단이 용이하되 제거 후 조직손상이 적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 it is not applied only to the groove shape of the
또한, 절단부(270)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Also, the
C1은 X축을 기준으로 내측절단부 경사 각도(Degree)이고, C2는 외측절단부 상부 경사 각도(Degree)이며, D1은 외측절단부의 하부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한다.C 1 is the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inner cut part with respect to the X axis, C 2 is the upper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outer cut part, and D 1 means the radius of curvature (mm) of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ut part.
만일 수학식 2의 (a)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외측절단부(271) 및 내측절단부(273) 사이의 본체(210)의 두께가 얇아져 수용부재(200) 절단 하기도 전에 부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절단한다고 해도 원하는 절단부(270)가 아닌 다른 부분이 절단되어 시술의 어려움과 일부 잔여 절단부(270)가 남아 있어 조직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수학식 2의 (b)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외측절단부 상부면(271a)과 외측절단부 하부면(271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어 절단시 외측절단부 상부면(271b)의 절단 가동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시술자가 더 큰 힘을 가지고 절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절단시간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If (a) of Equation 2 is not satisfied, the thickness of the
한편, 조건식 2의 (a) 및 (b)를 만족할 경우 X축을 기준으로 내측절단부 경사 각도(Degree)(C1)는 90°이고, 외측절단부 상부 경사 각도(Degree)(C2)는 135°이며, 외측절단부의 하부면(271b)의 곡률 반경(D1)은 대략 0.5~1mm일 수 있다. 따라서, 조건식 2의 (a)를 만족하는 경우, 수용부재(200) 절단시 본체(210)의 절단되는 부분의 두께가 더 두꺼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을 가해 정확하게 원하는 절단부(270)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건식 2의 (b)를 만족할 경우, 시술 마무리 단계시 절단이 용이할 수 있고 남아 있는 부분의 외측절단부의 하부면(271b) 외형이 곡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시술 후 절단면이 날카롭지 않아 척추 조직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부작용인 염증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절단부(270)의 파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신체 내부 조직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술 후 환자 피부 상에 액세서리 뼈와 같이 돌출되어 있지 않아 일상생활에 신체활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and (b) of Conditional Expression 2 are satisfied, the inclination angle (Degree) (C 1 ) of the inner cut part is 90°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inclination angle (C 2 ) of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ut part is 135° and the radius of curvature (D 1 ) of the
도 6는 도 5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절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ut portion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5 .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장치는 절단부(270) 표면에 보호막(290)을 가진 수용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270)의 내측절단부(273) 및 외측절단부(2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호막(29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00)가 절단부(270)에 의해 제거되면서 남아 있는 수용부재(200)에 보호막(290)의 일부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호막(290)은 절단시 파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단부(270)의 파단면에 의한 신체 내부 조직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보호막(290)은 절단부(270) 내주면 및 외주면 표면에 형성되어 윤활역할을 하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인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pinal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나사가 수용부재로부터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pinal fixation screw is rot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나사(100)는 외주면이 그루브로 형성되어 수용부재(200)로부터 몸체부(150)와 헤드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각도로 회전되기 용이하도록 된 네크부(170)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이 네크부(170)는 그루브 일단에 위치되는 회전규제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규제부(175)는 수용부재(200)로부터 척추고정나사가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 각도를 규제할 수 있다.The
또한, 척추고정나사(100)는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1은 상기 척추고정나사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각도(Degree)이고, R2는 상기 네크부의 그루브 곡률 반경(mm)이며, L2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mm), L3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를 포함한 길이(mm)를 의미한다.S 1 is an angle (Degree) of rotation based on the Y-axis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R 2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groove of the neck part (mm), L 2 is the length of the body part (mm), L 3 is the head part and the length (mm) including the neck portion.
만일, 수학식 3의 (a) 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 수용부재(200)로부터 분리 이탈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학식 3의 (b) 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 수학식 3의 (a) 조건의 회전 각도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척추(1)에 고정된 후 로드(500)를 포함하는 수용부재(200)의 회전이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수학식 3의 (c) 조건에서 벗어난 경우 척추고정나사(100)가 척추(1)에 식립된 후 장기적으로 고정되기 어려울 수 있다.If, when the condition (a) of Equation 3 is deviated, there is a risk of separation from the
따라서,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면 척추고정나사(100)가 척추(1)에 장기적으로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후 로드(500)를 포함하는 수용부재(200)의 회전 각도가 Y축을 기준으로 0~30°로 회전될 수 있다.Therefore, if the condition of Equation 3 is satisfied,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고정나사의 몸체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8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150)는 적어도 일측에 압력저감홈(157)을 더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으로 형성된 척추체결부(151)가 척추(1)에 식립시 내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면서 식립토크 및 압력이 증가하여 조직세포가 파괴될 수 있다. 이 때, 식립토크가 너무 높아지면 척추(1) 조직세포들의 괴사가 일어나 척추 시술 후 중요한 골유착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 특히, 접촉부위인 척추(1)에서의 저항 면적과 전단력이 증가하고 골질이 단단할수록 높은 식립토크를 갖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한편, 압력저감홈(157)은 하기의 수학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여기서, R3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각도를 의미한다.Here, R 3 means an angl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수학식 4의 조건 범위의 하한값 및 상한값을 벗어나는 경우 골 표면으로부터 체결시 골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압력저감의 기능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4의 조건 범위를 만족할 때 압력저감홈(157)이 몸체부(150) 하단 일측에 형성됨에 따라 척추(1)의 저항 면적, 전단력, 식립 토크 및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압력저감홈(157)이 척추(1) 내부 삽입에 따른 압력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골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압력저감홈(157)이 좌우 및 상하 대칭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압력저감홈(157)을 더 포함하고 R3가 76.3°를 만족할 때 장기간 척추(1)에 식립되어도 염증을 일으키지 않고 골유착이 잘되어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When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of the condition range of Equation 4 are out of the range, the function of reducing pressure may be reduced because there is a risk of damaging the bone tissue during fastening from the bone surface. Accordingly, when the condition range of Equation 4 is satisfied, as the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u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900)는 탄성복원부(91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탄성복원부(910)은 밑단에 끝나는 나사산에서부터 홀의 중심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테이퍼지는 구간의 높이는 대략 0.1 ~ 0.5 mm일 수 있다. 만일 0.1 mm 미만일 경우 탄성복원의 역할이 미비할 수 있고, 0.5 mm 초과할 경우 너트부재(900)를 수용부재(200)로부터 체결시 너무 큰 공차에 의하여 수용부재(200)가 벌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너트부재(900)에 대하여 탄성복원부(910)가 형성되는 높이가 대략 0.1 ~ 0.5 mm일 때 하단부의 중심이 로드(500) 또는 헤드부(130)와 마주하는 단부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되거나 가압 해제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초기 시술시 척추(1)에 고정한 척추고정나사(100)의 위치를 변경할 때 너트부재(900)를 수용부재(200)로부터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너트부재(900) 하단이 변형되지 않고 초기 체결한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도 10은 도 2의 너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하단부 단면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end of the nut member of FIG.
도 10을 참조하면, 너트부재(300)는 제2체결부(330) 하단의 외주면 중 체결되는 끝단에 초기체결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체결부(370)는 제1체결부(230)의 나사산 홈을 따라 초기 체결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고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1체결부(230)과 접촉시 미끄러지면서 나사산 홈 위치를 빠르게 찾아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도 11는 도 2의 가압중계부재 평면도(a) 및 측면도(b)이다.11 is a plan view (a) and a side view (b) of the pressing relay member of FIG. 2 .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가압중계부재(400)와 수용부재(200)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부(450)가 더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26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척추고정나사(100)는 걸림부(450)가 걸림홈(261)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1 (a), any one of the
도 11의 (b)를 참조하면, 가압중계부재(400) 내부에는 제2중계변형부(430)가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중계변형부(430)는 그 사이에 여유홈부(47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여유홈부(470)는 가압중계부재(400)가 로드(500)에 의해 가압될 때 제2중계변형부(430)가 변형되어 헤드부(130)를 더 고정시키도록 하는 여유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여유홈부(470)는 평상시 최대 3mm까지 간격을 가지다가 로드(500) 가압시 사이의 공간이 좁아질 수 있다. 반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중계변형부(430)는 여유홈부(470)가 형성되지 않고 중심이 같은 반원인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1 , inside the
도 12의 (a)는 도 2의 부재들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설치 후 가압중계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2 (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Figure 2,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pressure relay member is deformed after installation.
도 12(a) 및 도 12(b)를 거치부(250)는 수용변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변형부(260)에는 헤드부(130)가 설치되며 로드(500)가 가압시 헤드부(130) 하단 전반에 걸쳐 밀착되면서 변형될 수 있다.12 (a) and 12 (b), the mounting
가압중계부재(40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수용부재(200) 내의 헤드부(130)와 로드(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중계부재(400)는 로드(500)에 의해서 가압되는 상부면과, 헤드부(130)를 가압하는 하부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압중계부재(400)는 상부면의 중앙에 형성된 제1중계변형부(410) 및 하부면에 형성된 제2중계변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2(a)를 참조하면, 로드(500)가 초기 하강하면서 척추고정나사(100)를 가압할 때 로드(500)의 하단 부분은 가압중계부재(400)의 제1중계변형부(410)의 접하는 양 끝 점과 접하고 가압중계부재(400)의 양 끝단도 헤드부(130)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가압중계부재(400)의 제2중계변형부(430)는 헤드부(130)의 상부 끝 점과 접할 수 있고, 헤드부(130)의 하단은 수용부재(200)의 걸림홈(261)의 일 측 점과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 접촉으로 척추고정나사(100)의 일시적인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점접촉 보다는 면접촉이 더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 when the
도 12(b)를 참조하면, 제1중계변형부(410)는 로드(500)가 가압시 로드(500)의 하단 전반에 걸쳐 밀착되면서 가압중계부재(400)의 외주면이 헤드부(130)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중계변형부(410)는 곡률반경(R4)이 로드(500)의 반경(Ra) 보다 작거나 같음으로써 너트부재(300)가 하강하면서 로드(500)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로드(500)는 제1중계변형부(410)를 면접촉되면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중계변형부(410)가 로드(500)의 하단 전반에 걸쳐 더 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확장홈(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확장홈(미도시)은 크기가 큰 로드(500)를 설치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른 로드(500) 압력의 부하 증가로 인하여 제1중계변형부(410)를 더 확장시켜 압력 부하에 의한 손실 및 손상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장홈(미도시)은 구형면, 삼각형면 및 사각형면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b ), the first relay
또한, 제2중계변형부(430)는 가압중계부재(400)의 하단부로써 외주면 변형시 헤드부(130)의 상단 전반에 면접촉되면서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제2중계변형부(430)의 곡률반경(R5)은 헤드부(130)의 상부 반경(Rb)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너트부재(300)가 하강하면서 로드(500)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제2중계변형부(430)가 헤드부(130)의 상단 전반에 걸쳐 밀착하며 감싸는 것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30)는 제2중계변형부(430)에 의해 로드(500)에서 가해지는 압력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중심이 같을 수도 있고 최대 3mm까지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따라서, 제1중계변형부(410)의 곡률반경(R4)은 로드의 반경(Ra) 보다 작거나 같고, 제2중계변형부(430)의 곡률반경(R5)은 헤드부(130)의 상부 반경(Rb)보다 작거나 같으며, 수용변형부(260)의 곡률반경(R6)은 헤드부(130)의 하부 반경(Rc)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제1중계변형부(410), 제2중계변형부(430) 및 수용변형부(260)는 하기의 수학식 5의 (a) 내지 (c) 모두를 만족할 수 있다.Therefore, the radius of curvature (R 4 ) of the first
여기서, R4는 제1중계변형부의 곡률반경을 의미하고, R5는 제2중계변형부의 곡률반경을 의미하며, R6은 수용변형부의 곡률반경을 의미한다. Ra는 로드의 반경을 의미하고, Rb는 헤드부의 상부 곡률 반경을 의미하며, Rc는 헤드부의 하부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Here, R 4 mean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intermediate deformation portion, R 5 mean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intermediate deformation portion, and R 6 mean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ceiving deformation portion. R a means the radius of the rod, R b means the upp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head part, and R c means the low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head part.
즉, 수학식 5(a)의 R4가 Ra보다 값이 클 경우 제1중계변형부(410)에 여유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로드(500)을 잡아주는 기능이 저하되어 로드(500)가 척추고정나사(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수학식 5(b)의 R5가 Rb 보다 클 경우 제2중계변형부(430)가 헤드부(130) 상부를 전부 수용할 수 있으나 수용부재(200)가 측면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점점 헤드부(130) 상부의 공간이 생기게 되면서 로드(500)를 밀어내기 때문에 고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수학식 5(c)의 R6이 Rc 보다 작을 경우 수용변형부(260)가 헤드부(130) 하부를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척추고정나사(100)가 수용부재(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at is, when R 4 in Equation 5 (a) is greater than R a , a free space is created in the first
따라서, 수학식 5(a) 내지 (c)의 조건 범위를 모두 만족할 때, 제1중계변형부(410)가 로드(500) 하부를 면접촉하여 밀착력 및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중계변형부(430) 및 수용변형부(260) 각각이 헤드부(130)의 상부 및 하부를 면 접촉함으로써 수용부재(200)로부터 헤드부(1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몸체부가(15)가 회전 운동을 할 때에도 지속적인 밀착력 및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 R4는 2.5 ~ 2.75mm, R5는 2.55mm, R6은 4.1mm, Ra는 2.75 ~ 3.mm, Rb는 3 ~ 3.9mm 및 Rc는 3.9 ~ 4.1mm일 때 제1중계변형부(410)와 로드(500), 제2중계변형부(430)와 헤드부(130)의 상부 및 수용변형부(260)와 헤드부(130)의 하부 곡률이 각각 접할 때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되면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결합력 및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ll of the condition ranges of Equations 5 (a) to (c) are satisfied, the first
도 12(b)를 참조하면, 도 12(a) 보다 너트부재(300)가 더 강하게 체결됨에 따른 로드(500)의 하강하는 힘에 의해 가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로드(500)의 하단 부분은 제1중계변형부(410)가 변형되면서 전반적인 면으로 접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가압중계부재(400)의 양 끝단도 헤드부(130)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가압중계부재(400)의 제2중계변형부(430)는 헤드부(130)의 상부 전반적인 면부분과 접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30)의 측면 및 하단은 수용부재(200)의 수용변형부(260)의 전반적인 면과 모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중계부재(400)는 제1중계변형부(410) 및 제2중계변형부(430)를 가지고, 수용부재(200)는 수용변형부(260)를 가짐으로써 로드(500)와 척추고정나사(100) 사이에 가압을 중계하여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지속적인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b ), as the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o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1: 척추
5: 척수
100: 척추고정나사
130: 헤드부
150: 몸체부
151: 척추체결부
153: 삽입홀
155: 분사홀
157: 압력저감홈
170: 네크부
175: 회전규제부
200: 수용부재
210: 본체
230: 제1체결부
231: 제1휨방지부
233: 제2휨방지부
235: 제1경사부
237: 제2경사부
250: 거치부
253: 체결공
260: 수용변형부
261: 걸림홈
270: 절단부
271: 외측절단부
271a: 외측절단부 상부면
271b: 외측절단부 하부면
273: 내측절단부
290: 보호막
300, 900: 너트부재
330: 제2체결부
331: 제1대응휨방지부
333: 제2대응휨방지부
335: 제1대응경사부
337: 제2대응경사부
370: 초기체결부
400: 가압중계부재
410: 제1중계변형부
430: 제2중계변형부
450: 걸림부
470: 여유홈부
500: 로드
910: 탄성복원부1: vertebra 5: spinal cord
100: spine fixing screw 130: head portion
150: body part 151: spine fastening part
153: insertion hole 155: injection hole
157: pressure reducing groove 170: neck portion
175: rotation control unit 200: receiving member
210: body 230: first fastening part
231: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233: second bending prevention part
235: first inclined portion 237: second inclined portion
250: mounting portion 253: fastening hole
260: accommodating deformation part 261: locking groove
270: cut 271: outer cut
271a: upper surface of the
273: inner cut 290: protective film
300, 900: nut member 330: second fastening part
331: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333: second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335: a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unit 337: a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unit
370: initial fastening portion 400: pressure relay member
410: first relay deformation part 430: second relay deformation part
450: locking part 470: spare groove part
500: rod 910: elastic restoration part
Claims (11)
상기 척추에 삽입 체결되도록 된 나사산인 척추체결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척추고정나사와;
내측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중공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헤드부를 회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척추고정나사의 Y축에 대해 X축으로 관통하는 채널공이 형성되는 수용부재; 및
중공형으로 측면은 상기 제1체결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1휨방지부; 및
상기 제1휨방지부와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홈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가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제2휨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휨방지부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는 홈 형성된 제1대응휨 방지부; 및
상기 제1대응휨방지부와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휨방지부와 대응되어 체결시 삽입되는 돌출 형성된 제2대응휨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In the spin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vertebrae facing each other,
a spinal fixation screw having a body in which a vertebral fastening part which is a screw thread to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vertebra is formed, and a head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 hollow body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otatably mount the head, the main body penetrates through the X-axis with respect to the Y-axis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a receiving member in which a channel hole is formed; and
A hollow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 second fastening part screw-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a nut member positioned above the head part for fixing;
The first fastening part,
a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protru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member from being bent by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nut member is inserted; and
A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and the axis, and a second bending prevention part is formed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member from bend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a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ng part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to correspond to the first bending preventing part and being inserted during fastening; and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and the axis, and comprising a second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protruding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bending prevention part and inserted when fastening.
상기 제1체결부는,
나사산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경사각을 가지는 제1경사부과, 상기 나사산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경사부 보다 작은 경사각을 가지게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2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체결부는,
나사산의 하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경사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1대응경사부와, 상기 나사산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경사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제2대응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대응경사부 보다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대응경사부가 기울어진 경사각이 큼에 따라 초기 체결이 용이하고 변형이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astening part,
It consists of a first inclined part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w thread and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nd a second inclined part position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threa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part,
The second fastening part,
It consists of a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part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thread and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art, and a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part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thread and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ed part,
The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fastening is easy and deformation is minimized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portion.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은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
<조건식 1>
여기서, S1은 X축을 기준으로 -x축 및 -y축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 또는 제1대응경사부의 경사 각도(Degree)이고, S2는 제2경사부 또는 제2대응경사부의 경사 각도(Degree)이며, 또한, P1은 제1휨방지부 또는 제1대응휨방지부 간의 피치(Pitch)를 의미하고, L1은 상기 수용부재의 제1휨방지부의 내부 측면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제1대응휨방지부의 외부 측면의 구간 길이(mm)를 의미한다. 그리고 D1은 수용부재 내경 홈의 외경(mm)을 의미하고, D2는 너트부재의 외경(mm)을 의미한다.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al expression (1).
<Condition 1>
Here, S 1 is the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first inclined part or the first corresponding inclined part inclined along the -x and -y axes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S 2 is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part or the second corresponding inclined part. An angle (Degree), and P 1 means a pitch between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or the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and L 1 i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bending prevention part of the accommodating member or the nut member Means the length (mm) of the sec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orresponding bending prevention part. And D 1 means the outer diameter (mm) of the receiving member inner diameter groove, D 2 means the outer diameter (mm) of the nut member.
상기 수용부재는,
Y축에 대해 X축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홈이 형성된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member is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tou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cut in the X-axis with respect to the Y-axis.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본체의 절단되는 X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를 사이로 외측절단부 및 내측절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외측절단부의 하부 외주면이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절단부와 마주보고 접하는 상부 외주면이 테이퍼진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절단부의 상부와 상기 내측절단부가 X축으로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시술 마무리 단계시 절단이 용이하고 남아 있는 부분의 외형이 곡선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cut part,
It consists of an outer cut part and an inner cut part between the main body based on the X-axis to be cut of the main body,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ut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cut portion is formed as a tapered groov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ut portion and the inner cut portion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X axis to finish the procedure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cut during the step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remaining par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절단부는 하기 조건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
<조건식 2>
C1은 X축을 기준으로 내측절단부 경사 각도(Degree)이고, C2는 외측절단부 상부 경사 각도(Degree)이며, D1은 외측절단부의 하부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한다.6. The method of claim 5,
The cut portion is a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2).
<Condition 2>
C 1 is the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inner cut part with respect to the X axis, C 2 is the upper inclination angle (Degree) of the outer cut part, and D 1 means the radius of curvature (mm) of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ut part.
상기 척추고정나사는,
외주면이 그루브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각도로 회전되기 용이하도록 된 네크부가 포함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그루브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척추고정나사가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 각도가 규제되는 회전규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pinal fixation screw,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groov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from the receiving member and includes a neck portion configured to be easi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neck portion,
Spinal fixation device, which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groove,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the rotation angle so that the spinal fixation screw is not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상기 척추고정나사는 하기 조건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
<조건식 3>
S1은 상기 척추고정나사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각도(Degree)이고, R2는 상기 네크부의 그루브 곡률 반경(mm)이며, L2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mm), L3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를 포함한 길이(mm)를 의미한다.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nal fixation screw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3).
<Condition 3>
S 1 is an angle (Degree) of rotation based on the Y-axis of the spinal fixation screw, R 2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groove of the neck part (mm), L 2 is the length of the body part (mm), L 3 is the head part and the length (mm) including the neck portion.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상기 척추고정나사를 연결하여 적어도 두개의 상기 척추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된 로드; 및
상기 수용부재 내의 상기 헤드부와 상기 로드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상기 로드에 의해서 가압되고, 하부가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는 가압중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rod positioned between the nut member and the head part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at least two vertebra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spine fixing screws; and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rod and the head in the receiving member, the upper portion is pressed by the rod, the low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ressurizing relay member for pressing the head portion.
상기 너트부재는,
하단부의 양측 모서리가 중심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중심이 상기 로드 또는 상기 헤드부와 마주하는 단부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되거나 가압 해제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nut member,
Both edges of the lower end are tapered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end facing the rod or the head portion, or an elastic restoring unit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제2체결부 하단의 외주면 중 체결되는 끝단에 상기 제1체결부의 나사산 홈을 따라 초기 체결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초기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고정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nut member,
The spinal fix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itial fastening part formed flat and inclined to facilitate initial fastening along the thread groov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t an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969A KR20220073976A (en) | 2020-11-27 | 2020-11-27 | Vertebral fix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969A KR20220073976A (en) | 2020-11-27 | 2020-11-27 | Vertebral fix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976A true KR20220073976A (en) | 2022-06-03 |
Family
ID=8198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1969A KR20220073976A (en) | 2020-11-27 | 2020-11-27 | Vertebral fix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73976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7359A (en) | 1999-11-19 | 2001-06-15 | 구자교 | Spinal fixation apparatus |
KR100324698B1 (en) | 1999-01-30 | 2002-02-27 | 구자교 | Spine fixing device |
KR100589728B1 (en) | 2004-02-09 | 2006-06-15 |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 Bone fixation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1969A patent/KR2022007397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4698B1 (en) | 1999-01-30 | 2002-02-27 | 구자교 | Spine fixing device |
KR20010047359A (en) | 1999-11-19 | 2001-06-15 | 구자교 | Spinal fixation apparatus |
KR100589728B1 (en) | 2004-02-09 | 2006-06-15 |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 Bone fix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6524114A (en) | Bone fixation plat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AU2004216131B2 (en) | Adjustable rod and connector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8277485B2 (en) | Pedicle screw system | |
US8057522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tainer for a bone stabilization device | |
ES2515819T3 (en) | Screw and rod assembly for spine fixation | |
EP2323574B1 (en) | Interspinous spacer assembly | |
US8114133B2 (en) | Spinal rod system | |
US9532822B2 (en) | Pedicle screw with reverse spiral cut and methods thereof | |
JP6861148B2 (en) | Multi-axis screw for surgical implants | |
JP2009512466A (en) | Multi-axis screw | |
US8267979B2 (en) | Load-sharing bone anchor having a deflectable post and axial spring and method for dynamic stabilization of the spine | |
US20110077686A1 (en) |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having a compliant spacer | |
US20050059970A1 (en) | Bone fixation systems | |
KR20060020596A (en) | Dynamic stabilization device for bones or bone segments, especially the rib cage spine | |
JP2007532283A5 (en) | ||
EP3406212B1 (en) | Spinal distraction system | |
US20140005723A1 (en) | Intra spinous process and method of bone graft placement | |
KR20220073976A (en) | Vertebral fixation apparatus | |
KR20220084881A (en) | Expandable cage for intervertebral body | |
KR102324934B1 (en) | Vertebral fixation apparatus | |
KR100977586B1 (en) | Pedicle Fixture with Rod Support Washer | |
KR100507615B1 (en) | Pedicle screw and pedicle screw assembly having the same | |
KR101939168B1 (en) | The spinal fixing implant with ellipse head | |
CN115474996B (en) | Dynamic stabilization structure and auxiliary device for lumbar vertebra operation | |
EP2303162B1 (en) | Posterior dynamic scre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