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363A -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363A
KR20220073363A KR1020200161372A KR20200161372A KR20220073363A KR 20220073363 A KR20220073363 A KR 20220073363A KR 1020200161372 A KR1020200161372 A KR 1020200161372A KR 20200161372 A KR20200161372 A KR 20200161372A KR 20220073363 A KR20220073363 A KR 2022007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logical
nuclear power
power plant
characteristic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씨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씨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씨젠
Priority to KR102020016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3363A/ko
Publication of KR2022007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여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완성하고, 완성된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영구정지 원전 중 각 계통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하는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와; 영구정지 원전 중 각 설계공간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하는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와; 상기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를 통해 획득된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와; 상기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를 통해 획득된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와;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 및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를 통해 분석된 분석결과를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는 오염 분포 분석단계; 상기 오염 분포 분석단계로 부터 얻어진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 특성을 영구정지 원전의 설계도에 적시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작성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와; 상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에 의해 완성된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과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설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A Methods for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over-motor radiological properties of a permanent shutdow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여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완성하고, 완성된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원자로 및 이를 이용한 발전시설이 신규 개발되어 건설이 진행됨에 따라서, 기존의 노후된 시설을 안전하게 해체하여 부지를 복원하는 작업이 필요로 되고 있다.
이러한, 원자력 시설 해체의 최종 목적은 시설의 해체공사를 완료한 후 해체 부지 및 잔류 건물을 원자력 법령에 따른 제한으로부터 해제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만드는데 있다.
따라서, 설계 수명이 종료된 원자력 시설 및 부지는 제한적으로 사용하거나 일반인이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제염 및 해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염 및 해체가 완료된 원자력 시설의 부지는 방사선학적으로 재이용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개방 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원자력 시설의 해체 부지에 대한 기준으로서, 국내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8-63호(중, 저준위 방사성페기물 처분시설에 관한 방사선 위해 방지기준 고시)에서 중, 저분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로 인한 국민의 건강 및 환경상의 방사선 위해 방지를 위하여 처분시설의 성능 목표치로 폐쇄 후 정상적인 자연현상으로 인한 결정집단의 개인선량 제한값을 연간 01 mSv(MILLI-SIEVERT)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8-31호(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기준고시)에서는 운영중인 원자력시설로 인한 위해 방지를 위하여 동일 부지 내에 다수의 원자력관계시설을 운영하는 경우에 제한구역 경계에서의 연간 유효선량을 025 mSv로 규정하고 있다.
국외의 경우에는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는 해체 부지의 무제한적 재 이용을 위한 결정집단 개인의 연간 유효선량을 방호의 최적화를 통하여 03 mSv 이하로 유지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제한적 재 이용 시에는 적절한 제한을 통하여 연간 유효선량이 03mSv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미래에 해체 부지에 가해진 제한이 달성되지 못하더라도 연간 유효선량이 1mSv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미국 NRC(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US)는 해체 부지의 무제한적 재이용을 위한 방사선학적 기준치로 잔류방사능에 의한 결정그룹의 선량(TEDE)이 식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에 의한 것을 포함하여 연간 025mSv를 초과하지 않고, 잔류방사능을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개념을 도입하여 최소화했을 때 무제한적 재이용에 적합하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일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면 조건부로 허가를 종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는 부지의 해체 완료 이후 일반인이 1,000년간 자연방사선량 보다 015 mSv/yr 를 초과하는 유효선량을 받지않도록 기준치를 정하고 있다.
원자력 시설의 해체 복원 사례의 일예로서, 미국의 경우, 1989년에 가동이 [0012] 중단되어 해체된 Fort st Vrain(FSV) 원전을 들 수 있다.
Fort st Vrain(FSV) 원전은 해체 부지의 무제한적 개방을 위해 부지 내의 잠재적 오염도, 요구되는 측정 및 시료채취 위치의 선정, 상세조사요건 및 적용 가능한 규제 값과 측정결과의 비교 등을 고려하여 해당 부지를 UNAFFECTED SURVEY UNIT, NON-SUSPECT AFFECTED UNIT 및 SUSPECT AFFECTED SURVEY UNIT로 오염지역을 분류하였다.
또한, 각각의 조사 단위에 대한 분류는 FSV의 초기 방사선 부지 특성 보고서, 방사성물질 관련 이력 또는 잠재적 오염도, 해체를 수행하기 위해 실시된 조사자료, 정기 점검, 사고 보고서 및 특성조사 등과 같은 자료를 기초로 하여 구분하였다.
이러한 제염 및 해체시 부지 내의 방사선 측정 및 부지 특성조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미국에서는 기존의 여러 방사선 측정 및 부지내 선량조사기준을 통합하여 MARSSIM(MULTI-AGENCY RADIATION SURVEY AND SITEINVESTIGATION MANUAL) 이라는 표준절차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원자로 해체 시 운영과정에서 발생된 중성자와 콘크리트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불순물에 의해서 방사화되어 다양한 핵종이 검출된 바 있다.
원전 해체 방사화 폐기물은 폐로설계 및 폐로비용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서나, 기타 용도로 정량화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정량화를 위해서는 모델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노심을 구성하고 있는 각 핵연료가 각기 다른 조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노심을 구성하는 모든 핵연료를 대상으로 각각 연소 계산을 수행하여 연소 상태에 상응하는 조성을 적용하여 노심 장전모델에 따라 노심을 구성하여야 하며, 이러한 일련의 계산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기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야 한다.
또한, 중성자에 의해 방사화되는 노심 외곽 구조물도 각 영역별로 방사화되는 정도가 모두 다르므로, 방대한 노심외곽 구조물에 대해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작게 세분화하여 방사화 계산에 필요한 위치별 중성자속 및 핵반응 단면적을 도출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방대한 작업이므로, 이를 자동으로 정량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연소 노심을 사용자가 정의하는 바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노심을 구성하고자 할 때에는 각 노심영역에 배치된 핵연료별로 연소 계산을 수행하고, 각 집합체의 노심 내 연소 상태를 고려하여 핵연료 조성을 도출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노심을 구성해야 한다. 이는 모델링하는데 있어서, 매우 큰 시간을 소요하게 만든다.
뿐만 아니라, 설령 노심이 완성되어 노심 외곽에서의 중성자 선원 분포가 도출되고, 노심 외곽의 방사화 계산이 수행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할지라도, 현재의 기술로는 단일 영역에 대한 평가만이 가능하므로, 노심 외곽 구조물 전체를 정량화하는데 매우 많은 작업 시간과 전문인력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영역별로 방사능 준위 및 폐기물량이 도출되었다 할지라도, 폐기물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분류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0916491호 "원자로 해체 폐기물의 평가 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에서는 원자로 해체 폐기물에 존재하는 핵종들의 붕괴 체인을 반영하여 시간에 따른 핵종 재고량을 산출하고, 해체 폐기물의 평가를 위한 자료들을 구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단일 영역이 아닌 노심 외곽구조물 전체를 정량화하여 해체 폐기물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기재된 바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024039호 "연구용 원자로 차폐체 콘크리트 해체 방법" 에서는 콘크리트 차폐체의 복수의 지점을 코어 보링(CORE BORING)하여 채취된 시료를 일정 체적 선원에 대해 밀도를 보정한 후 코어 중심으로부터 표면까지의 거리에 따른 방사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기재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0916491호는 해체 폐기물의 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을 뿐, 폐기물의 양을 통해 해체 부지의 개방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024039호는 해체 부지를 대상으로 코어 보링을 통해 [0026] 시료를 시추 분석한 후 오염 깊이를 평가하여 오염된 토양을 단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로 되어, 이러한 과정에서 연속오염 분포에 따른 조사 기간의 장기화가 발생되어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소모되었다.
따라서, 영구정지 원전을 해체 시 해체 관련 안전성 확보를 위한 요소기술들 가운데 부지 잔류 방사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방사선학적 특성 조사체계와 해체관련 표준안전성 평가와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로 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여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완성하고, 완성된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방사선학적 특성 조사체계와 해체관련 표준안전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정지 원전 중 각 계통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하는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와; 영구정지 원전 중 각 설계공간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하는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와; 상기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를 통해 획득된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와; 상기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를 통해 획득된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와;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 및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를 통해 분석된 분석결과를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는 오염 분포 분석단계; 상기 오염 분포 분석단계로 부터 얻어진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 특성을 영구정지 원전의 설계도에 적시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작성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와; 상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에 의해 완성된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과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설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에 의하면,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공간분석에 의해 오염 분포를 시각화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과업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과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평가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처리 방안, 대중의 수용성, 복원의 소요 예산과, 일정 및 규제 요건 등을 고려하여 복원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의 최종 목표인 잔류오염도가 개방 적합 기준보다 낮아지도록 오염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잔류오염도를 방사선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저감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마심(MARSSIM; MULTI-AGENCY RADIATION SURVEY AND SITE INVESTIGATION MANUAL)에서 고려하고 있는 국부오염(HOT SPOT) 검출 방법과 지질통계법을 활용하여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에 따른 오염 분포를 평가하고, 폐기물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이 적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의 수행을 위해 분석된 각 계통별 및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분석결과를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는 오염 분포 분석단계와, 상기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를 평가하여, 개방 적합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을 제거하는 부지복원 단계와, 상기 부지복원 단계 이후에 잔류하는 국부오염(HOT SPOT)에 대한 특성을 검출하기 위해 마심(MARSSIM; MULT-AGENCY RADIATION SURVEY AND SITE INVESTIGATION MANUAL) 방법론을 적용하여 상기 해체 부지의 국부오염 특성을 검출하는 국부오염 검출단계 및 상기 국부오염의 특성에 대해서 귀무가설(NULL HYPOTHSIS = 잔류오염도가 개방 적합 기준을 초과)을 기각됨을 증명하기 위해 순위검증방법인 WRS(WILCOXON RANK SUM) test를 수행하여 개방 적합 기준에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개방 적합성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잔류오염도가 개방 적합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개방 적합성 확인단계에서 상기 개방 적합 기준은 DCGLs 또는 연간 방사선 유효선량(mSv/year)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 분포 분석단계 이 전에 상기 해체 부지의 운영 이력에 대한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이 행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은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10)와,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20)와,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30)와,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40)와,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와,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S160)와,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S170)로 구성된다.
상기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10)는 영구정지 원전 중 각 계통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한다. 이때 영구정지 이전의 계측값과 차이가 있을 때에는 2회 이상 반복 계측한 후 반복 계측된 계측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각 계통에 대한 실질적인 계측값을 도출한다.
상기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20)는 영구정지 원전 중 각 설계공간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한다. 이때 영구정지 이전의 계측값과 차이가 있을 때에는 2회 이상 반복 계측한 후 반복 계측된 계측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각 설계공간에 대한 실질적인 계측값을 도출한다.
상기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30)는 상기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10)를 통해 획득된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상기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40)는 상기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20)를 통해 획득된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상기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는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30) 및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40)를 통해 분석된 분석결과를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한다.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 분석 결과, 운영과정에서 액체폐기물이 sump를 통해 누출되었고, 각 계통 또는 각 설계공간 전체 면적까지 오염이 확산되어 전체적인 오염도는 최대 740 Bq/g까지 오염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 별 오염도의 분포는 지면으로부터 면적이 증가할수록 오염도가 증가하다가 면적의 과반 이상에서 최대값을 보이고 각 계통 별 및 각 설계공간의 면적이 증가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냈다.
기존의 일반적인 원자력 시설 해체 방법에 따라서 오염된 토양은 해체과정에서 전량 제거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1,600㎥ 의 폐기물이 발생하였다
상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S160)는 상기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로 부터 얻어진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 특성을 영구정지 원전의 설계도에 적시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작성한다.
상기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S170)는 상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S160)에 의해 완성된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과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설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S170)는 지질통계법을 적용하여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평가한 결과 제거되는 폐기물량을 1,208㎥ 로 25% 줄일 수 있었으며, 오염 연속분포에 따른 복원작업의 어려움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MARSSIM의 국부오염(HOT SPOT) 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 제거되는 폐기물량을 1,103㎥ 로31% 줄일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은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10)와,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20)와,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30)와,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40)와,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와,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S160)와,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S170)로 구성되어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에 의거하여 해체과업의 실행계획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10: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
S120: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
S130: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
S140: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
S150: 오염 분포 분석단계
S160: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
S170: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

Claims (8)

  1. 영구정지 원전 중 각 계통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하는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10)와;
    영구정지 원전 중 각 설계공간에 대한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을 계측하는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20)와;
    상기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10)를 통해 획득된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30)와;
    상기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20)를 통해 획득된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의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된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40)와;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 및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를 통해 분석된 분석결과를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는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와;
    상기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로 부터 얻어진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 특성을 영구정지 원전의 설계도에 적시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작성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S160)와;
    상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S160)에 의해 완성된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과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설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S1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10)는,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에 의해 분석된 오염 분포를 활용하여 오염상태가 DCGLs(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s; 부지개방 유도농도지침한계)를 초과하는 오염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계측단계(S120)는,
    개방 적합 기준은 DCGLs 또는 방사선 유효선량(mSv)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30)는,
    영구정지 원전의 운영 이력에 대한 자료를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S140)는,
    영구정지 원전의 각 설게공간에 대해 오염 분포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오염 분포에 의해 평가된 오염층이 제거된 후의 잔류하는 국부오염에 대한 방사선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상기 마심의 통계적 방법을 기초로 귀무가설(NULL HYPOTHESIS)을 기각하기 위해 상기 국부오염에 대한 개방 적합 기준을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분포 분석단계(S150)는,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각 계통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 및 각 설계공간 별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단계를 통해 분석된 분석결과를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영구정지 원전의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 작성단계(S160)는,
    각 계통 및 설계공간 별 오염 분포 특성을 영구정지 원전의 설계도에 적시하는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를 작성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정 평가단계(S170)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설계도에 의거하여 추후 수행될 영구정지 원전의 해체과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설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영구정지 원전에 대한 해체과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KR1020200161372A 2020-11-26 2020-11-26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KR20220073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372A KR20220073363A (ko) 2020-11-26 2020-11-26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372A KR20220073363A (ko) 2020-11-26 2020-11-26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63A true KR20220073363A (ko) 2022-06-03

Family

ID=8198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372A KR20220073363A (ko) 2020-11-26 2020-11-26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33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21B1 (ko) * 2022-08-31 2024-02-22 최영구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 및 평가를 위한 시료채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21B1 (ko) * 2022-08-31 2024-02-22 최영구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 및 평가를 위한 시료채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rader-Frechette Burying uncertainty: Risk and the case against geological disposal of nuclear waste
KR101507526B1 (ko) 원자력 시설 해체 부지의 복원을 위한 최적화 방법
KR20220073363A (ko)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방법
Lee et 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ubsurface soil remediation a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s in the United States
KR102640021B1 (ko) 영구정지 원전 과도기 방사선학적 특성 분석 및 평가를 위한 시료채취방법
Hong et al.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ARSSIM process to the site release of a Uranium Conversion Plant following decommissioning
Boden et al. Pre-decommissioning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concrete
Leva Non-proliferation characteristics of nuclear energy and radiological assessment of a near-surface deposit.
Gillogly Legacy management: An old challenge with a new focus
Berglund et al. Clearance during dismantling and demolition of nuclear facilities
Andrieu et al. Radiological Characterisation for Decommissioning of Nuclear Installations-Final Report of the Task Group on Radiological Characterisation and Decommissioning (RCD) of the Working Party on Decommissioning and Dismantling (WPDD)-Final Report, September 2013
Yim et al. Decommissioning a Nuclear Power Plant
Miller Verification of Reactor Activation Modelling with Physical Characterization Data and the Impact on Long Term Assessments-20303
Otsuka et al. Safety research activities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JNES
An et al. Establishment of the Basic Concept of Decommissioning Project Management System
Kim et al. Groundwater Monitoring Guidance for Decommissioning Planning–16228
Neill et al. Shallow-Buried Transuranic Waste: A Comparison of Remediation Alternatives at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Hunt et al. Used fuel repository post-closure safety assessment in crystalline rock
Kirk et al. Risks, costs and benefits analysis for exhumation of buried radioactive materials at a nuclear fuel fabrication facility
Deregel et al. Issues in decommissioning and remediation of nuclear legacy sites
Subbaraman et al. Release criteria and pathway analysis for radiological remediation
CEA Criteria for characterization, RN & materials-cartography
Marc et al. Low-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Environmental and Safety Assessment Activities in Slovenia
Sagar Review of safety assessment in Posiva’s construction license application for a repository at Olkiluoto
Wright et al. Reducing characterization costs at radioactive waste sites using scaling factor methodology (SF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