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200A -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200A
KR20220073200A KR1020200161061A KR20200161061A KR20220073200A KR 20220073200 A KR20220073200 A KR 20220073200A KR 1020200161061 A KR1020200161061 A KR 1020200161061A KR 20200161061 A KR20200161061 A KR 20200161061A KR 20220073200 A KR20220073200 A KR 20220073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e
iot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ec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762B1 (ko
Inventor
조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운
Priority to KR102020016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7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굴 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액세스포인트(AP)와,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조명장치와,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온풍장치와,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제습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 상기 온풍장치 및 상기 제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유무선 통신망과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각 장치들에는 장치의 종류와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굴 내 설치된 시설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관람객에게도 동굴 내의 필요한 위치마다 다양한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Cave management system using IOT}
본 발명은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동굴 관람을 위한 동굴 내 시설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동굴 내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며, 관람객에게는 동굴 내 다양한 생태 정보를 필요한 장소마다 제공할 수 있도록 한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지역마다 다양한 관광 산업이 개발되고 활성화되면서, 천연 동굴이 위치한 여러 지역에서도 각 지역의 천연 동굴을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종래의 동굴 관광은 동굴 내 통로를 따라 조명등을 설치하고, 동굴 내 인기가 있을만한 장소에는 관람객들이 보다 쉽게 그 장소의 신기한 형상이나 환경을 관람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복수개의 조명등을 보다 섬세하게 배치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일부의 동굴에서는 동굴 내부에 형형색색의 조명을 배치하여 그 컬러 조명의 화려함으로 관람객의 관심을 끄는 경우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람을 위해 설치된 동굴 내 시설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 및 제어하는 것이나, 동굴 내 생태 환경 정보를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생생하게 제공하는 것에 관한 관심은 미흡하였고, 따라서 그런 측면에서의 동굴 관리 시스템은 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굴 관리 등에 IOT 기술을 활용하여 동굴 내 시설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 및 제어하고, 아울러 동굴 내 생태 환경 정보를 직접 관람객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IOT 동굴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15707호 (2014.10.01)
본 발명은 동굴 내 설치된 시설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동굴 내 설치된 시설들을 영역별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동굴 내 특정 장소마다의 생태 환경 정보를 현장에서 관람객의 단말에 직접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동굴 내 특정 장소의 생태 환경 정보를 관람객 단말의 동굴 동선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동굴 내 설치된 조명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원격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유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액세스포인트(AP)와,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조명장치와,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온풍장치와,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제습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 상기 온풍장치 및 상기 제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유무선 통신망과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각 장치들에는 장치의 종류와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동굴 내 특정 위치들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생태 정보 제공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동굴 내 소정 위치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관람객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 상기 온풍장치 및 상기 제습장치들은 상기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제1그룹과 그 외의 위치에 설치된 제2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그룹의 장치들에는 생태정보용 식별부호가 추가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관람객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은 관람객 단말의 표시부에 상기 생태정보용 식별부호가 부여된 장치들을 동굴 내 동선 지도 상에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조도 값에 의해 상기 조명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동굴 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복수개로 구획된 상기 각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들은 상기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조건으로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상기 IOT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통신부 및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해결 수단의 구성과 기능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후술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동굴 내 설치된 시설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또한, 동굴 내 설치된 시설들을 영역별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또한, 동굴 내 특정 장소마다의 생태 환경 정보를 현장에서 관람객의 단말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또한, 동굴 내 특정 장소의 생태 환경 정보를 관람객 단말의 동굴 동선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또한, 동굴 내 설치된 조명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원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 동굴 내 장치들에 포함되는 IOT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IOT 제어부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생태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태양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된 실시 예들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또는 실시 예 상호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상관없이 이 구성요소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의미이지 다른 구성 요소들의 포함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단계들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단계들이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유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동굴 내에 배치된 액세스포인트(100, access point, 이하 AP라 함)와, 동굴 내 조명을 위한 복수개의 조명장치(200)들과, 동굴 내 냉난방을 위한 냉난방장치(300)들과, 동굴 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습장치(400)들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장치들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100)는 유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동굴 내의 장치들과는 무선 Wi-Fi 통신을 한다. 상기 AP(100)는 동굴의 지형이나 길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200)는 동굴 내 통로를 따라, 혹은 동굴 내 자세한 관찰이 필요한 곳이나 관람객들이 사진을 찍기에 좋은 포토 스팟 등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조명등과 이 조명등의 온/오프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IOT 제어부를 포함한다. 조명장치의 제어수단 및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냉난방장치(300)와 제습장치(400)는 동굴 내 생태 환경 또는 관람객의 관람을 위한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동굴 내 적절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장치들의 제어수단 및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동굴 내 각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데스크 탑 컴퓨터나 다양한 휴대형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500)에는 동굴 내 상기 장치들에 연결하여 제어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관리자는 이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500)이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은, 동굴 내 특정 위치들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생태 정보 제공 서버(6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동굴 내 소정 위치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관람객 단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상기 관람객 단말(600)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동굴 내 특정 위치들에서의 다양한 생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에서, 동굴 내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IOT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IOT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220)와, 동굴 내 AP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230)와, 조명등(250)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조도 센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동굴 내 위치마다의 생태 환경이나 관람을 위해 필요한 상태에 따라 적합한 휘도를 갖는 조명등이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조명제어부(240)는 상기 프로세서(21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조명등을 ON/OFF 시키거나 조명등의 디밍(dimming)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조도 센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260)는 조명등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프로세서(210)에 전달하고, 프로세서는 이 측정 조도 값에 따라 조명등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명등의 정상/고장 여부를 상기 AP를 통해 관리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제어부는, 예를 들어, 도3과 같이 마이크로칩 테크놀러지 사의 PIC16F1947과 같은 원칩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조명장치(200)의 예를 들어 IOT 제어부를 설명하였지만, 이 IOT 제어부는 상기 냉난방장치(300) 또는 제습장치(400)의 ON/OFF 및 냉난방과 제습의 강도 제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냉난방장치에는 온도센서가, 제습장치에는 습도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조명장치에서의 조명제어부와 같은 장치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굴 내 각 장치들에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으나, 단순히 각 장치의 ON/OFF 만을 제어하는 경우라면, 동굴 내 배전반에 포함시켜 동시에 여러 개의 장치들을 제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 관리자 단말(500)이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동굴 내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동굴 관리 시스템에서, 동굴 내 각 장치들은 장치의 종류와 설치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각 장치의 IOT 제어부와 관리자 단말 또는 생태 정보 제공 서버는 제어 및 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이 고유 식별부호에 의해 동굴 내의 각 장치들을 식별한다. 그리고 이 고유 식별부호를 이용하여 개별 장치들을 하나하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동굴 관리 시스템에서는, 동굴 내 여러 장치들을 동굴의 지형이나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 별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동굴 내 영역을 구분하는 이유는, 동굴의 지형이나 길이에 따라 필요한 장치들의 수와 그 설치 위치 및 제어 조건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동굴 내 깊이에 따라 복수개의 구분되는 공간들이 존재하고, 이 각 공간들의 크기와 필요한 조명 및 온습도 조건이 다르다면, 이 복수개의 각 공간들에 대해 각기 다른 숫자의 장치들을 배치하고 각기 다른 제어 조건으로 제어하여야 하지만, 특정 위치의 한 공간에 배치된 장치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조건의 조명과 온습도 제어가 적합할 것이므로 동시에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동굴 관리 시스템에서는, 동굴 내 구분된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추가의 영역 식별정보를 더 부여하고, 상기 각 장치들은 각 영역별 영역 식별정보와 각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가 함께 포함된 식별정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동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0)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동굴 관람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동시에 전체 조명장치가 또는 영역 별로 자동으로 ON 또는 OFF 되도록 하거나, 전체 또는 영역 별 냉난방장치와 제습장치의 ON/OFF 시간이나 시간대 별 목표 온도 또는 습도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장치들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종 센서들의 측정 값에 의해 동굴 내 장치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장 시에는 신속히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동굴 관리 시스템은, 동굴 내 특정 위치들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생태 정보 제공 서버(6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동굴 내 소정 위치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관람객 단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태 정보 제공서버(600)는 동굴 내 특정 위치마다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며, 관람객 단말(700)의 요청에 응하여 동굴 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동굴 관리 시스템에서는, 동굴 내에서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인가의 여부에 따라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제1그룹의 상기 장치들과 그 외의 위치에 설치된 제2그룹의 장치들을 구분하고, 상기 제1그룹의 장치들에는 생태정보용 식별부호를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생태 정보 서버는 동굴 내 특정 위치의 생태 환경 정보를 상기 생태정보용 식별부호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제1그룹의 장치들에만 생태정보용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이유는,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는 위치의 장치들을 배제하여, 후술할 관람객 단말(700)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이 단말의 표시부에 이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것과, 생태 정보 제공 서버가 관람객 단말의 응용프로그램과의 통신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하나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장치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생태정보용 식별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굴 내 특정 위치에 하나의 연못이 있고, 그 연못 주변에 조명장치와 냉난방장치와 제습장치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고 할 때, 이 3개의 장치들에는 모두 동일한 생태정보용 식별부호가 부여된다.
상기 관람객 단말(700)은 동굴 내에서 상기 AP(100)를 통하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관람객 단말(700)에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생태 정보 제공 서버와 접속하고, 상기 관람객 단말(700)의 표시부에 동굴 내부 동선 지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고, 관람객의 이동에 따라 관람객의 현재 위치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람객 단말(700)과 상기 각 장치들의 IOT 제어부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야 하고, 서로 간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상기 관람객 단말(700)은 각 장치들의 고유 식별부호나 생태정보용 식별부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이 고유 식별부호에 의해 동굴 내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관람객 단말(700)에 표시된 동굴 내 동선 지도 상에 표시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또한, 생태 환경 정보 제공 위치에 설치되어 생태정보용 식별부호를 갖는 장치들에 대해서는 상기 동선 지도 상에 별도로 구분되는 방식(예를 들어 다른 색깔)으로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임을 나타낼 수 있고, 관람객이 표시부 상에 표시된 장치(또는 영역)을 터치하면, 그 위치의 생태정보용 식별부호를 생태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한다. 그러면 생태 정보 제공서버는 이 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생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다시 관람객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응용프로그램은 이를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관람객이 서버로부터 제공된 생태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유 식별부호와 상기 생태정보용 식별부호는 별도로 부여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식별부호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 정보 제공서버(60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스토리지(데이터베이스, 630) 및 통신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하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이거나 또는 복수개의 컴퓨팅 장치가 통신망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과 관람객 단말은 데스크 탑 컴퓨터 단말기, 통신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 등,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의 형태는 물론,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 또는 관람객 단말과 같은 전자 장치는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규격 중 서버(또는 다른 통신장치)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는,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의 유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HDMI, MHL,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HDMI, DP, 썬더볼트,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부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이상에서 설명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외에도 외부 장치 또는 서버와 유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와 스토리지는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로서, 시스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와, 처리 과정 및 처리 후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되어질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액세스 포인트(AP)
200: 조명장치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통신부
240: 조명제어부
250: 조명등
260: 조도 센서
300: 냉난방장치
400: 제습장치
500: 관리자 단말
600: 생태 정보 제공 서버
700: 관람객 단말

Claims (8)

  1. 동굴 내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액세스포인트(AP);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조명장치;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온풍장치;
    동굴 내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IOT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통신하는 제습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 상기 온풍장치 및 상기 제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유무선 통신망과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각 장치들에는 장치의 종류와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부호가 부여된,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동굴 내 특정 위치들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생태 정보 제공 서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동굴 내 소정 위치에서의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관람객 단말;
    을 더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 상기 온풍장치 및 상기 제습장치들은 상기 생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제1그룹과 그 외의 위치에 설치된 제2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그룹의 장치들에는 생태정보용 식별부호가 추가로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객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은 관람객 단말의 표시부에 상기 생태정보용 식별부호가 부여된 장치들을 동굴 내 동선 지도 상에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조도 값에 의해 상기 조명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동굴 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복수개로 구획된 상기 각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은 상기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조건으로 동시에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통신부 및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KR1020200161061A 2020-11-26 2020-11-26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KR10242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061A KR102429762B1 (ko) 2020-11-26 2020-11-26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061A KR102429762B1 (ko) 2020-11-26 2020-11-26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00A true KR20220073200A (ko) 2022-06-03
KR102429762B1 KR102429762B1 (ko) 2022-08-05

Family

ID=8198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061A KR102429762B1 (ko) 2020-11-26 2020-11-26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7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707A (ko) 2013-03-22 2014-10-01 정무룡 동굴의 관광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92557B1 (ko) * 2016-07-26 2017-11-20 박순구 농축산 또는 그린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US10561924B1 (en) * 2014-01-13 2020-02-18 David Alexander Jackson Use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for artificial cave obstacle cour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707A (ko) 2013-03-22 2014-10-01 정무룡 동굴의 관광정보 제공 시스템
US10561924B1 (en) * 2014-01-13 2020-02-18 David Alexander Jackson Use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for artificial cave obstacle course
KR101792557B1 (ko) * 2016-07-26 2017-11-20 박순구 농축산 또는 그린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762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8490B2 (en)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device or lamp with configurable light qualities
ES2823226T3 (es) Método, aparato y sistema de control
US10767884B2 (en) Methods systems and tools for determining a wiring configuration for an HVAC controller
WO2018006794A1 (zh) 亮度调节方法、装置、移动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US10275012B2 (en) Operating method for display corresponding to luminance,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502294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issioning wireless building system devices
US20160353556A1 (en) Indoor lighting device, indoor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227474A1 (en) Multi-device network setup
CN105681071A (zh) 用于无线外围设备的动态配置
JP201107687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70098008A (ko)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발광 방법
EP3622785B1 (en) Forming groups of devices by analyzing device control information
KR20080072400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 갱신방법
US20150296427A1 (en) Method of delivering policy information for offload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11874004B2 (en) Ventilation control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KR102429762B1 (ko) Iot를 이용한 동굴 관리 시스템
US202102349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2387293A2 (en) Illumination system
US20230033157A1 (en) Displaying a light control ui on a device upon detecting interaction with a light control device
CN111023502A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US2021039739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Display Screen
JP6909400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US20090315482A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lighting color and method thereof
US1157598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158621B (zh) 屏幕控制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