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799A -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 - Google Patents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799A
KR20220072799A KR1020210164641A KR20210164641A KR20220072799A KR 20220072799 A KR20220072799 A KR 20220072799A KR 1020210164641 A KR1020210164641 A KR 1020210164641A KR 20210164641 A KR20210164641 A KR 20210164641A KR 20220072799 A KR20220072799 A KR 2022007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light emitting
receiving unit
unit
infrared spectro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채
박진우
신재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07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799A/ko
Priority to PCT/KR2022/0130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60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specially adapted for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Abstract

본 발명은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는 피조사부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발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3개의 발광부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수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광부; 상기 발광부, 제1 수광부, 및 제 2 수광부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 1 수광부 및 제 2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조사부의 혈류상태를 계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A WIRELESS PORTABL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METER THAT ENABLES SIMULTANEOUS MULTIPLE CONNECTIONS AND ENHANCED IOT CONNECTIVITY}
본 발명은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에 관한 것이다.
근적외선 분광기법이란, 빛을 이용하여 조직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의료, 연구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정확한 근적외선 분광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근적외선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근적외선을 탐지하는 수광부에 해당하는 두 광전극이 모두 조사면(피부)에 밀착되어야 하며, 밀착 강도가 일관성이 유지되어야만 측정의 정확성이 높아진다.
종래의 의료, 연구용 근적외선 분광기용 광전극 홀더는 고가임에도 부피가 크고 머리의 넓은 영역을 뒤덮으며, 피실험자의 피부에 적절히 밀착되지 않거나, 밀착된다고 하여도 밀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연구 및 의료적 응용에 불편을 유발하였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 통상적인 광전극 배치 이외에 좁은 간격의 광전극을 추가함에 따라 얻어지는 정보를 활용한 신호 품질 개선 방법이 제안됨에 따라 이러한 광전극 배치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광전극용 홀더는 광전극을 장착할 수 있는 간격이 3 cm 내외로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연구에 활용하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6032호(발명의 명칭: 혈류계측장치 및 혈류계측장치를 이용한 뇌활동 계측장치)에서는, 피계측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피계측영역에 전파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는 센서유닛과,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계측영역의 혈류상태를 계측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혈류계측장치로서,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발광부로부터 다른 거리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하고, 제어부는, 적어도 2개의 수광부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포함되는 산소포화도에 의한 성분을 상쇄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피계측영역의 혈류상태를 계측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계측장치는 일반적으로 고가이며 부피가 크고 무겁기에 착용자에게 불편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동일한 근적외선 분광법 장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 명 이상의 대상에 대한 동기화된 혈역학 반응 측정 기법을 하이퍼스캐닝(Hyperscanning)이라고 하며, 최근의 연구에서 사회신경과학적 접근의 탁월함을 인정받아 점차 널리 활용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비는 두 개 이상의 장비를 동기화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몹시 번거롭고, 실험 환경을 준비하는 데에도 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적외선 분광법을 통해 얻은 혈역학 반응 신호는 치매 혹은 우울증 진단 및 예측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 높은 생체정보임에도, 근적외선 분광법을 통해 얻어지는 혈역학 반응 신호가 간편하게 측정되고 기록되어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기능성 근적외선 분광법 장비로, 전선 혹은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경량이어서 측정 시 착용자의 행동에 불편을 주지 않으며 센서 부분이 착용자의 이마에 편안하게 밀착되는 근적외선 분광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는, 근적외선 분광기는 피조사부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발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3개의 발광부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수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광부; 상기 발광부, 제1 수광부, 및 제 2 수광부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 1 수광부 및 제 2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호에 기초하여 피조사부의 혈류상태를 계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의 근적외선 분광기; 및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분광기로부터 측정된 피부 또는 뇌 혈류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선 혹은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경량이어서 측정 시 착용자의 행동에 불편을 주지 않으며 센서 부분이 착용자의 이마에 편안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의 패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장착한 근적외선 분광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근적외선 분광기는 사용자의 이마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및 뇌의 혈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의 패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장착한 근적외선 분광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근적외선 분광기(100)는 빛을 이용하여 신체의 생리학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장비로써, 피부에 밀착시켜 피부를 향해 근적외선을 발광을 위한 발광부(110, LED: Light-Emitting Diode 또는 LD: Laser Diode 모듈)와 근적외선을 탐지하는 수광부(120, 130, 광다이오드:PD, PhotoDiode)를 포함하며, 발광부(110) 및 수광부(120, 130)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근적외선 분광기(10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발광부(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롱채널 수광부(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숏채널 수광부(130), 연성 회로 기판(140), 제어부(150), 무선 통신 모듈(160) 및 전력 공급 장치(170)를 포함한다. 상술한 롱채널 수광부(120)는 롱채널 수광부(120)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나의 발광부(110)로부터 조사된 근적외선을 탐지하여, 뇌의 혈류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이며, 숏채널 수광부(130)는 숏채널 수광부(12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발광부(110)로부터 조사된 근적외선을 탐지하여, 피부의 혈류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표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깊이에 위치하는 대상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적어도 3개 이상의 발광부(110)는 롱채널 수광부(120)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피조사부에 근적외선을 조사한다. 예시적으로, 발광부(110)는 제1 내지 제7 발광부(111, 112, 113, 114, 115, 116, 117)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발광부(111, 112, 113)는 제1 롱채널 수광부(121)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2 내지 제4 발광부(112, 113, 114))는 제2 롱채널 수광부(122)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3 내지 제5 발광부(113, 114, 115)는 제3 롱채널 수광부(123)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4 내지 제 6 발광부(114, 115, 116)는 제4 롱채널 수광부(124)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5 내지 제 7발광부(115, 116, 117)는 제5 롱채널 수광부(125)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와 롱채널 수광부(120)는 2.5cm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발광부(110)는 고해상도의 출력이 가능한 DAC(Digital Analog Converter)를 통해 16bit의 해상도로 원하는 파형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롱채널 수광부(120)는 복수의 발광부(110) 중 선택되는 3개의 발광부(110)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발광부(110)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탐지한다. . 상세하게는, 롱채널 수광부(120)는 제1 내지 제5 롱채널 수광부(121, 122, 123, 124, 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롱채널 수광부(121)는 제1 내지 제3 발광부(111, 112, 113) 중 하나의 발광부(110)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감지하여 뇌의 혈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롱채널 수광부(121)는 제1 발광부(111)에서 근적외선이 조사될 경우, 제1 롱채널 수광부(121)와 제1 발광부(111) 사이에 위치하는 뇌의 혈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숏채널 수광부(130)는 복수의 발광부(110) 중 선택되는 발광부(110)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숏채널 수광부(130)와 인접하게 위치한 발광부(110)로부터 조사된 근전외선을 탐지한다. 예시적으로, 숏채널 수광부(130)는 제3 발광부(113)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숏채널 수광부(131), 제4 발광부(114)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숏채널 수광부(132), 제5 발광부(115)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 숏채널 수광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숏채널 수광부(131, 132, 133)는 인접한 발광부(110)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감지하여 피부의 혈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숏채널 수광부(131)는 제3 발광부(113)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감지하여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0)와 숏채널 수광부(130)는 1cm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롱채널 수광부(120) 및 숏채널 수광부(130)는 24bit의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광다이오드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빛 신호를 고속으로 샘플링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근적외선 분광기(100)는 롱채널 수광부(120)와 발광부(110)를 통해 형성되는 15개의 채널 및 숏채널 수광부(130)와 발광부(110)를 통해 형성되는 3개의 채널을 포함하여, 총 18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근적외선 분광기(100)는 롱채널 수광부(120)와 발광부(110)를 통해 형성되는 롱채널을 통해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부위의 활성화 측정하며, 숏채널 수광부(130)와 발광부(110)를 통해 형성되는 숏채널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잡음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연성 회로 기판(140)(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은 발광부(110), 롱채널 수광부(120) 및 숏채널 수광부(130)가 실장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140)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되어, 발광부(110) 및 수광부(120, 130)가 착용자의 이마 모양에 따라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나 광섬유 없이 착용자의 이마에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140)은 발광부(110), 롱채널 수광부(120) 및 숏채널 수광부(130)이 위치한 부분에 위치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은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연성 회로 기판(140)이 구부러질 때 납땜 부분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여, 납땜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롱채널 수광부(120) 및 숏채널 수광부(13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조사부의 혈류상태를 계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발광부(113)에서 근적외선이 조사될 경우, 제1 롱채널 수광부(121) 및 제1 숏채널 수광부(131)에서 조사된 근적외선을 감지하여, 제1 롱채널 수광부(121)와 제3 발광부(113) 사이에 위치한 뇌 혈류 상태 및 제1 숏채널 수광부(131)와 제3 발광부(113) 사이에 위치한 피부 혈류 상태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전력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어 고속의 정밀한 시간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제어부(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와 통신한다.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160)은 후술되는 메인 제어부(200)와 통신하여, 측정된 피부 또는 뇌 혈류량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70)는 내부에 실장된 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공급장치는 연성 회로 기판(140)에 실장된 발광부(110), 롱채널 수광부(120), 숏채널 수광부(130)와 제어부(150), 및 무선 통신 모듈(16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170)는 단일 셀의 리튬-폴리머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며, 높은 효율의 스위치-모드 전력공급장치를 통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한 셀의 배터리는 두 개의 전원 공급 장치로 나뉘어져, 매우 낮은 수준의 대기전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170)는 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근적외선 분광기(100)는 외부에 전원 버튼이 위치하여, 전원 버튼을 통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18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패드부(180)는 연성 회로 기판(140)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부(110), 롱채널 수광부(120) 및 숏채널 수광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 복수의 홀(1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80)는 착용자의 이마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80)는 홀(182)의 둘레부를 따라 돌출형성된 돌출부(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분광기(100)를 착용자의 이마에 착용할 경우, 돌출부(184)의 상부면이 착용자의 이마에 밀착되어, 발광부(110)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가이드하는 통로 역할을 하여 피조사부에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으며, 롱채널 수광부(120) 또는 숏채널 수광부(130)를 수신되는 근적외선을 가이드하는 통로 역할을 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패드부(180)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고정끈(미도시됨)이 연결되는 끈 고정부(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분광기(100)를 착용하기 전, 충분한 길이로 고정끈의 길이를 조절한 후, 근적외선 분광기(100)를 착용하고, 고정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패드부(180)의 상부면이 피조사부에 밀착되도록 조정할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분광기(100)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복수의 근적외선 분광기(100) 및 복수의 근적외선 분광기(100)로부터 측정된 피부 및 뇌 혈류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메인 제어부(200)는 전달된 혈류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뇌 기능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추가로 포함된 구성요소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00)는 근적외선 분광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근적외선 분광기(100)에 전달하고, 근적외선 분광기(100)로부터 상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니터링 시스템
100 : 근적외선 분광기
110 : 발광부 120 : 롱채널 수광부
130 : 숏채널 수광부 140 : 연성 회로 기판
150 : 제어부 160 : 무선 통신 모듈
170 : 전력 공급 장치
180 : 패드부 182 : 홀
184 : 돌출부 186 : 끈 고정부
200 : 메인 제어부

Claims (8)

  1.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에 있어서,
    피조사부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발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3개의 발광부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롱채널 수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숏채널 수광부;
    상기 발광부, 롱채널 수광부, 및 숏채널 수광부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롱채널 수광부 및 숏채널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조사부의 혈류상태를 계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분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부, 롱채널 수광부, 및 숏채널 수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인, 근적외선 분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홀의 둘레부를 따라 돌출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근적외선 분광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정끈이 연결되는 끈 고정부가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분광기
  5. 근적외선 분광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근적외선 분광기; 및
    상기 복수의 근적외선 분광기로부터 측정된 피부 또는 뇌 혈류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적외선 분광기는
    피조사부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발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3개의 발광부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롱채널 수광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숏채널 수광부;
    상기 발광부, 롱채널 수광부, 및 숏채널 수광부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롱채널 수광부 및 숏채널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조사부의 혈류상태를 계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근적외선 분광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부, 롱채널 수광부, 및 숏채널 수광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인,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홀의 둘레부를 따라 돌출형성될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니터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끈이 연결되는 끈 고정홀이 형성된 것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64641A 2020-11-25 2021-11-25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 KR20220072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083 WO2023096095A1 (ko) 2020-11-25 2022-09-01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9690 2020-11-25
KR1020200159690 2020-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799A true KR20220072799A (ko) 2022-06-02

Family

ID=8198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641A KR20220072799A (ko) 2020-11-25 2021-11-25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2799A (ko)
WO (1) WO20230960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77B1 (ko) * 2008-01-10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76607B1 (ko) * 2014-10-30 2018-07-16 한국과학기술원 펌웨어 기반의 휴대 및 확장이 가능한 광분광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361B1 (ko) * 2017-06-13 2020-01-09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멀티 센싱이 가능한 패치형 센서모듈
KR102544251B1 (ko) * 2018-07-24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충격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는 엑스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7047B1 (ko) * 2018-11-20 2020-04-03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Led를 이용한 광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095A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3154B (zh) 用于测量发色团浓度的改变的测量装置和设备
US5673692A (en) Single site, multi-variable patient monitor
CN109069051B (zh) 生物信号获取设备和系统、获取生物信号的方法
US105957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brain activity detection
US20210259638A1 (en) Systems, Circuits, and Methods for Reducing Common-mode Noise in Biopotential Recordings
US9480423B2 (en) Diagnostic measur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pectrometer
US20090240125A1 (en) Integrated pulse oximetry sensor
US20090259114A1 (en) Non-invasive optical sensor
KR20150068279A (ko) 자기 정렬 센서 어레이 및 그것의 자기 정렬하기 위한 방법
US11246500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method
CA2875901A1 (en) Sensor for measuring vital parameters in the ear canal
JP5710403B2 (ja) 光計測装置
US10413202B2 (en) Biosensor device and physiological monitor
WO2021261725A1 (ko)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외부 광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20072799A (ko) 동시 다중 연결이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 연결성이 강화된 무선 휴대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
US20210077026A1 (en)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system
US20210298622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CN101496717B (zh) 一种处理在运动时获取的生命体征信号的方法及装置
KR102400808B1 (ko) 융통성 있는 광전극 배열이 가능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용 홀더
Turcotte et al. A wireless multichannel optogenetic headstage with on-the-fly spike detection
JP2023504766A (ja) 埋込型システムの光通信
CN217219890U (zh) 经颅直流电刺激闭环系统的头环装置
WO2021080350A1 (ko) 융통성 있는 광전극 배열이 가능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용 홀더
JPWO2019181268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216455040U (zh) 用于测量脑电和脑血氧的复合探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