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432A -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 - Google Patents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432A
KR20220072432A KR1020200160021A KR20200160021A KR20220072432A KR 20220072432 A KR20220072432 A KR 20220072432A KR 1020200160021 A KR1020200160021 A KR 1020200160021A KR 20200160021 A KR20200160021 A KR 20200160021A KR 20220072432 A KR20220072432 A KR 20220072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solution
crop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778B1 (ko
Inventor
이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구르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구르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구르메
Priority to KR102020016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01C23/005Nozzles, valves, splash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7Metering or regu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시설하우스의 실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영양액을 살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설정된 높이로 경작지의 각 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레일(270)과, 상기 각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부(250)와, 상기 각 이송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60)에 고정되어 함께 경작공간(100)의 골을 따라 이송되면서 영양액을 분무하는 다수의 분무용 노즐이 형성된 노즐설치대(210)와, 상기 노즐설치대에 장착되어 경작공간에서 재배하는 작물에게 영양액을 살포하는 다수의 노즐(220)과, 상기 노즐에 영양액을 제공하는 영양액 공급모듈(400);과, 상기 경작공간(100)에 배치되어 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대차(3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영영액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영양액을 상기 노들을 통해 상기 작물에게 살포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Crop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해충을 방제하거나 토양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는 마늘박을 적용한 채소배양액을 자동으로 유기 농작물에 살포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되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업분야에서는 작물을 재배할 때 발생되는 토양의 오염이나 균 등에 의한 작물의 고사,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다양한 재배법이 사용되고 있다. 재배할 작물을 생육시키기 위해서는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소를 포함하는 배양토과, 화학비료(무기질비료) 및 작물보호제(화학살충제)를 인위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과도한 화학비료 및 작물보호제에 포함된 질소 및 인산의 과다 투입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 등의 환경문제가 대두되어 화학비료의 대량 사용이 사람 및 가축에 미치는 폐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친환경농업의 전격적 지원과 함께 자연 친화적인 농자재의 개발과 사용이 권장되어, 화학비료 및 작물보호제의 대안으로 천연 소재를 활용한 부산물 비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화학살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농자재로는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물 살충제의 사용 및 천적을 활용한 생물적 방제 인자의 사용이 있다.
이러한 친환경농자재로서, 유기농작물 재배과정에 발생하는 여러 병해충을 방제할 목적으로 마늘, 고추, 파 등 양념채소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 마늘은 여러 가지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어 유기농 선도 농가를 중심으로 병 방제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
특히, 마늘부산물에는 항균활성이 있는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유기농 선도농가에서 물로 추출하여 농작물에 살포하거나 퇴비로 제조하여 병 방제 또는 토양에 양분을 제공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마늘부산물 추출물을 농업부산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항균활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마늘 부산물의 추출물은 병원균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을 억제하므로 예방적 방제효과는 물론 치료적 방제효과가 있어 유기농작물 재배 시 활용가치가 높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방제의 경우 대부분 효과가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농민 개개인의 민간요법 차원의 경우가 많다. 즉, 병 방제효과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미흡하여 농가에서 널리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방제 및 비료를 살포하는 과정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동화된 농작물 재배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종을 키울 때 모종을 자동으로 키우기 위해 시설을 구축하는데 이 경우 모종을 키우는 시기는 4월에서 7월까지로서 위 시기 이외에는 시설을 활용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308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25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875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376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늘박에 포함되어 있는 항균활성물질을 물로 추출하여 농작물에 자동으로 살포함으로써 유기농작물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병해충을 방제하거나 토양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는 마늘박 채소배양액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나의 시설에 시기별로 다수의 농작물을 재배하여 시설의 사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시설하우스의 실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영양액을 살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설정된 높이로 경작지의 각 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레일(270)과, 상기 각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부(250)와, 상기 각 이송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60)에 고정되어 함께 경작공간(100)의 골을 따라 이송되면서 영양액을 분무하는 다수의 분무용 노즐이 형성된 노즐설치대(210)와, 상기 노즐설치대에 장착되어 경작공간에서 재배하는 작물에게 영양액을 살포하는 다수의 노즐(220)과, 상기 노즐에 영양액을 제공하는 영양액 공급모듈(400);과, 상기 경작공간(100)에 배치되어 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대차(3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영영액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영양액을 상기 노들을 통해 상기 작물에게 살포한다.
또한, 노즐설치대(210)에는 영약액을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모듈(400)에서 공급하는 영약액을 상기 노즐설치대에 공급하는 공급배관(200)이 설치되며 상기 영양액 공급모듈에는 재배액을 공급하는 재배액제공부와 영양액을 공급하는 영양액제공부를 별도로 구비한다.
또한, 재배액제공부는 재배액수조(410)와 상기 재배액수조의 재배액을 상기 공급배관(200)으로 공급하는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상기 재배액수로에서 공급되는 재배액의양을 측정하는 재배액유량계(4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양액공급부는 영양액수조(450)와 상기 영양액수조의 영양액을 상기 공급배관(200)으로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모터(460)와 상기 영액액수로에서 공급되는 영양액의양을 측정하는 영양액유량계(47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양액 공급모듈에는 영양액과 재배액의 공급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액유량계(430)와 상기 영양액 유량계(43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량을 확인하고 이들 공급량으로부터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정하여 상기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비율에 따라 상기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결정하여 상기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대차(300)는 다수의 형강으로 형성되되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35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프레임(320)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기둥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30)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소정위치에 다수가 설치되는 랙프레임(340, 3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렉프레임은 "L" 형강으로 형성되되 좌측랙프레임(341)과 우측랙프레임(340)이 서로 마주보도록 페어를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기둥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적재대차(300)에 다수의 판재(600)을 적재하여 작물을 재배하되 상기 적재대차는 상기 경작공간(100)에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경작공간(100)의 골 사이를 상기 노즐설치대(210)가 왕복운동하면서 노즐(220)에 의해 재배액과 영양액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판재에는 상추를 재배할 수 있는 상추재배판재(650)와 묘을 재바할 수 있는 볍씨재배판재(700)가 구비된다. 상추재배판재(650)는 판재에 다수개의 수납부(660)가 구비되되 상기 수납부에는 하층에 퇴비(670)를 넣고 상층에는 영양토(680)를 구비하여 상추를 재배한다.
또한, 상기 농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볍씨 재배판재를 활용하여 모내기용 벼를 재배하는 기간인 제1기간과 상기 상추재배판재(650)를 이용하여 상추를 재배하는 제2기간으로 나누어 하나의 농작물 재배시스템을 활용하여 모내기용 벼와 상추를 재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간은 일년 중 4월 내지 7월이며 상기 제2기간은 일년 중 상기 제1기간을 제외한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간에서는 영양액에 대해 재배액을 섞는 비율을 2 내지 4배하여 영양액을 희석하도록 하고, 상기 제2기간에는 영양액에 대해 재배액을 섞는 비율을 10 내지 12배하여 영양액을 희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영약액은 마늘박을 활용하여 제조하되, 물을 담은 용기에 마늘박을 일정량 투입한다음, 상기 용기의 온도를 소정온도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상기 일반생수와 마늘박을 소정온도로 일정시간 유지시키고, 이후에 상기 용기를 대기에 노출시켜 상기 물과 마늘박을 상온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담긴 영양액용 물과 마늘박을 믹서기에 넣어 소정시간 분쇄하며, 상기 믹서기에 담긴 조림물과 분쇄된 마늘박에서 상기 조림물과 상기 마늘박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마늘박을 프레스 기능이 갖추어진 형틀에 넣은후에, 일정압력으로 눌러 마늘박즙을 얻은다음, 상기 마늘박즙과 상기 조림물을 혼합하여 영양액을 얻는다.
또한, 상기 용기에 담긴 물과 마늘박을 믹서기에 넣어 분쇄하는 시간은 1 내지 2분간 진행하며, 상기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카놀라유를 소정액 넣고 1 내지 2분간 믹서기를 작동하여 마늘박의 믹싱 균질화를 진행하여 카놀라유에 의한 마늘박의 뭉침 현상을 완화한다.
또한, 상기의 카놀라유를 소정액 넣고 1 내지 2분간 믹서기를 작동한 다음 유화제를 소정액 넣고 2 내지 3분간 믹서기를 작동하여 상기 마늘박의 세포벽을 분해시킴으로써 마늘박에 포함된 영양소를 상기 물속에 용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주정 90 내지 120중량부와 카놀라유 180 내지 200중량부를 믹싱하되 이때 먼저 주정 90 내지 120중량부를 믹싱하여 주정을 믹싱한 다음 상기 카놀라유 180 내지 200중량부를 믹싱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섭씨 15 내지 20도로 12 내지 14일간 음지에서 숙성시킨다음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200 내지 250중량부의 물을 섞어 제1차 믹싱을 하고,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600 내지 700중량부의 물을 섞어 제2차 믹싱하여 상기 유화제를 제조한다.
여기서 주정이란 에탄의 수소 원자 하나를 하이드록시기로 치환한 화합물로서 무색투명한 휘발성 액체로, 특유한 냄새와 맛을 가지며, 인체에 흡수되면 흥분이나 마취 작용을 일으킨다. 주로 화학 약품의 합성 원료, 용제, 연료, 알코올성 음료 따위로 쓰인다
또한,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마늘박의 총 투입량은 10 내지 20중량부이고, 상기 용기에 물과 마늘박이 투입된 용기는 섭씨 70 내지 80도(℃)로 20 내지 30분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마늘박을 프레스 기능이 갖추어진 형틀에 넣은후에, 프레스로 압입하는 압력은 10~20kgf/㎠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양액 100중량부에 대해 칼슘 0.1~0.5 중량부, 유황 0.01~0.1 중량부를 더 추가하여 개선된 체소배양원액을 제조하여 채소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더 추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선된 채소배양원액에 피트모스 추출액 5~10 중량부, 목초액 1~5 중량부와 실크펩타이드 분말 1~5 중량부를 더 추가하여 채소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더 추가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슘 유황 등의 각종 유효성분을 다량 포함하는 채소배양액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작물 및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마늘박의 추출물은 병원균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을 억제하므로 예방적 방제효과는 물론 치료적 방제효과가 있어 작물의 항균성이 향상되고 작물의 생산량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늘박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 환경적 장점이 있으며, 중금속 함량이 허용기준 이하이고, 유해생물이 검출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친환경의 채소배양액을 효율적으로 자동 살포함으로써 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농작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시설을 시기별로 다수의 농작물을 재배하여 시설의 사용률을 높이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영양액 공급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3은 본 발명의 영양액 공급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적재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박을 적용한 채소배양액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화제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의 (a)을 참조하면, 농작물 재배용 시설하우스의 실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영양액을 살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설정된 높이로 경작지의 각 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레일(270)과, 상기 각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부(250)와, 상기 각 이송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60)에 고정되어 함께 경작공간(100)의 골을 따라 이송되면서 영양액을 분무하는 다수의 분무용 노즐이 형성된 노즐설치대(210)와, 상기 노즐설치대에 장착되어 경작공간에서 재배하는 작물에게 영양액을 살포하는 다수의 노즐(220)과, 상기 노즐에 영양액을 제공하는 영양액 공급모듈(400);과, 상기 경작공간(100)에 배치되어 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대차(300);으로 이루어진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영영액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영양액을 상기 노들을 통해 상기 작물에게 살포한다.
상기 노즐설치대(210)에는 영약액을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모듈(400)에서 공급하는 영약액을 상기 노즐설치대에 공급하는 공급배관(200)이 설치되며 상기 영양액 공급모듈(400)에는 재배액을 공급하는 재배액제공부와 영양액을 공급하는 영양액제공부를 별도로 구비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영양액 공급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재배액제공부는 재배액수조(410)와 상기 재배액수조의 재배액을 상기 공급배관(200)으로 공급하는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상기 재배액수로에서 공급되는 재배액의양을 측정하는 재배액유량계(4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영양액공급부는 영양액수조(450)와 상기 영양액수조의 영양액을 상기 공급배관(200)으로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모터(460)와 상기 영액액수로에서 공급되는 영양액의양을 측정하는 영양액유량계(470)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3은 본 발명의 영양액 공급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양액 공급모듈(400)에는 영양액과 재배액의 공급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를 제어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액유량계(430)와 상기 영양액 유량계(43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량을 확인하고 이들 공급량으로부터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정하여 상기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비율에 따라 상기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결정하여 상기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를 제어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적재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대차(300)는 다수의 형강으로 형성되되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35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프레임(320)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기둥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30)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소정위치에 다수가 설치되는 랙프레임(340, 3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렉프레임은 "L" 형강으로 형성되되 좌측랙프레임(341)과 우측랙프레임(340)이 서로 마주보도록 페어를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기둥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적재대차(300)에 다수의 판재(600)을 적재하여 작물을 재배하되 상기 적재대차는 상기 경작공간(100)에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경작공간(100)의 골 사이를 상기 노즐설치대(210)가 왕복운동하면서 노즐(220)에 의해 재배액과 영양액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판재에는 상추를 재배할 수 있는 상추재배판재(650)와 묘을 재바할 수 있는 볍씨재배판재(7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추재배판재(650)는 판재에 다수개의 수납부(660)가 구비되되 상기 수납부에는 하층에 퇴비(670)를 넣고 상층에는 영양토(680)를 구비하여 상추를 재배한다. 상기 농작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볍씨 재배판재를 활용하여 모내기용 벼를 재배하는 기간인 제1기간과 상기 상추재배판재(650)를 이용하여 상추를 재배하는 제2기간으로 나누어 하나의 농작물 재배시스템을 활용하여 모내기용 벼와 상추를 재배한다. 상기 제1기간은 일년 중 4월 내지 7월이며 상기 제2기간은 일년 중 상기 제1기간을 제외한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간에서는 영양액에 대해 재배액을 섞는 비율을 2 내지 4배하여 영양액을 희석하도록 하고, 상기 제2기간에는 영양액에 대해 재배액을 섞는 비율을 10 내지 12배하여 영양액을 희석하도록 제어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박을 적용한 채소배양액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영약액은 마늘박을 활용하여 제조하되, 물을 담은 용기에 마늘박을 일정량 투입한다음, 상기 용기의 온도를 소정온도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상기 일반생수와 마늘박을 소정온도로 일정시간 유지시키고, 이후에 상기 용기를 대기에 노출시켜 상기 물과 마늘박을 상온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담긴 영양액용 물과 마늘박을 믹서기에 넣어 소정시간 분쇄하며, 상기 믹서기에 담긴 조림물과 분쇄된 마늘박에서 상기 조림물과 상기 마늘박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마늘박을 프레스 기능이 갖추어진 형틀에 넣은후에, 일정압력으로 눌러 마늘박즙을 얻은다음, 상기 마늘박즙과 상기 조림물을 혼합하여 영양액을 얻는다.
또한, 상기 용기에 담긴 물과 마늘박을 믹서기에 넣어 분쇄하는 시간은 1 내지 2분간 진행하며, 상기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카놀라유를 소정액 넣고 1 내지 2분간 믹서기를 작동하여 마늘박의 믹싱 균질화를 진행하여 카놀라유에 의한 마늘박의 뭉침 현상을 완화한다.
또한, 상기의 카놀라유를 소정액 넣고 1 내지 2분간 믹서기를 작동한 다음 유화제를 소정액 넣고 2 내지 3분간 믹서기를 작동하여 상기 마늘박의 세포벽을 분해시킴으로써 마늘박에 포함된 영양소를 상기 물속에 용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마늘박의 총 투입량은 10 내지 20중량부이고, 상기 용기에 물과 마늘박이 투입된 용기는 섭씨 70 내지 80도(℃)로 20 내지 30분을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분리된 마늘박을 프레스 기능이 갖추어진 형틀에 넣은후에, 프레스로 압입하는 압력은 10~20kgf/㎠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양액 100중량부에 대해 칼슘 0.1~0.5 중량부, 유황 0.01~0.1 중량부를 더 추가하여 개선된 체소배양원액을 제조하여 채소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더 추가한다. 또한, 상기 개선된 채소배양원액에 피트모스 추출액 5~10 중량부, 목초액 1~5 중량부와 실크펩타이드 분말 1~5 중량부를 더 추가하여 채소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화제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화제는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주정 90 내지 120중량부와 카놀라유 180 내지 200중량부를 믹싱하되 이때 먼저 주정 90 내지 120중량부를 믹싱하여 주정을 녹인다음 상기 카놀라유 180 내지 200중량부를 믹싱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섭씨 15 내지 20도로 12 내지 14일간 음지에서 숙성시킨다음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200 내지 250중량부의 물을 섞어 제1차 믹싱을 하고,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총 100중량부라 할 때 600 내지 700중량부의 물을 섞어 제2차 믹싱하여 상기 유화제를 제조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경작공간 200 공급배관
210 노즐설치대 220 노즐
250 이송부 260 연결프레임
270 가이드레일 300 적재대차
320 기둥프레임 330 지지프레임
340 우측랙프레임 341 좌측랙프레임
350 베이스프레임 400 공급모듈
410 재배액수조 420 재배액공급모터
430 재배액유량계 450 영양액수조
460 공급모터 470 영양액유량계
500 제어부 600 판재
650 상추재배판재 660 수납부
670 퇴비 680 영양토
700 볍씨재배판재

Claims (8)

  1. 농작물 재배용 시설하우스의 실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영양액을 살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설정된 높이로 경작지의 각 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레일(270)과,
    상기 각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부(250)와,
    상기 각 이송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60)에 고정되어 함께 경작공간(100)의 골을 따라 이송되면서 영양액을 분무하는 다수의 분무용 노즐이 형성된 노즐설치대(210)와,
    상기 노즐설치대에 장착되어 경작공간에서 재배하는 작물에게 영양액을 살포하는 다수의 노즐(220)과,
    상기 노즐에 영양액을 제공하는 영양액 공급모듈(400);과,
    상기 경작공간(100)에 배치되어 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대차(3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영영액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영양액을 상기 노들을 통해 상기 작물에게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설치대(210)에는 영약액을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모듈(400)에서 공급하는 영약액을 상기 노즐설치대에 공급하는 공급배관(200)이 설치되며
    상기 영양액 공급모듈에는 재배액을 공급하는 재배액제공부와 영양액을 공급하는 영양액제공부를 별도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액제공부는 재배액수조(410)와 상기 재배액수조의 재배액을 상기 공급배관(200)으로 공급하는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상기 재배액수로에서 공급되는 재배액의양을 측정하는 재배액유량계(4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양액공급부는 영양액수조(450)와 상기 영양액수조의 영양액을 상기 공급배관(200)으로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모터(460)와 상기 영액액수로에서 공급되는 영양액의양을 측정하는 영양액유량계(4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액 공급모듈에는 영양액과 재배액의 공급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액유량계(430)와 상기 영양액 유량계(43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량을 확인하고 이들 공급량으로부터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정하여 상기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비율에 따라 상기 재배액과 영양액의 공급비율을 결정하여 상기 재배액공급모터(420)와 영양액 공급모터(46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대차(300)는 다수의 형강으로 형성되되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35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프레임(320)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기둥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30)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소정위치에 다수가 설치되는 랙프레임(340, 3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렉프레임은 "L" 형강으로 형성되되 좌측랙프레임(341)과 우측랙프레임(340)이 서로 마주보도록 페어를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기둥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적재대차(300)에 다수의 판재(600)을 적재하여 작물을 재배하되 상기 적재대차는 상기 경작공간(100)에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경작공간(100)의 골 사이를 상기 노즐설치대(210)가 왕복운동하면서 노즐(220)에 의해 재배액과 영양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는 상추를 재배할 수 있는 상추재배판재(650)와 묘을 재바할 수 있는 볍씨재배판재(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시스템.







KR1020200160021A 2020-11-25 2020-11-25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 KR10262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021A KR102627778B1 (ko) 2020-11-25 2020-11-25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021A KR102627778B1 (ko) 2020-11-25 2020-11-25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32A true KR20220072432A (ko) 2022-06-02
KR102627778B1 KR102627778B1 (ko) 2024-01-23

Family

ID=8198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021A KR102627778B1 (ko) 2020-11-25 2020-11-25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77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287A (ja) * 2001-03-16 2002-09-24 Seiwa:Kk 培養液供給装置
KR100621894B1 (ko) * 2005-09-14 2006-09-11 서형덕 적층상자 재배방식의 식물재배시스템
KR101502503B1 (ko) 2014-07-08 2015-03-17 성기근 천연 미네랄 성분을 이용한 과일, 채소 또는 곡식 재배방법
KR20150137689A (ko) 2014-05-30 2015-12-09 ㈜엠알이노베이션 천연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시설원예 병해충 복합 방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2806A (ko) * 2014-07-25 2016-02-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새싹나라 공장형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630824B1 (ko) 2015-10-01 2016-06-15 안봉희 농축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합 퇴비의 제조방법
KR20160087512A (ko) 2015-01-14 2016-07-22 김수문 목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20200105055A (ko) * 2019-02-28 2020-09-07 고정권 모듈형 다품종 식물 재배를 위한 농장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287A (ja) * 2001-03-16 2002-09-24 Seiwa:Kk 培養液供給装置
KR100621894B1 (ko) * 2005-09-14 2006-09-11 서형덕 적층상자 재배방식의 식물재배시스템
KR20150137689A (ko) 2014-05-30 2015-12-09 ㈜엠알이노베이션 천연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시설원예 병해충 복합 방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2503B1 (ko) 2014-07-08 2015-03-17 성기근 천연 미네랄 성분을 이용한 과일, 채소 또는 곡식 재배방법
KR20160012806A (ko) * 2014-07-25 2016-02-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새싹나라 공장형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60087512A (ko) 2015-01-14 2016-07-22 김수문 목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101630824B1 (ko) 2015-10-01 2016-06-15 안봉희 농축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합 퇴비의 제조방법
KR20200105055A (ko) * 2019-02-28 2020-09-07 고정권 모듈형 다품종 식물 재배를 위한 농장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778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mi et al. Investigating the use of different levels of Mycorrhiza and Vermicompost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yield of saffron (Crocus sativus L.)
RU237421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компоста на основе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отход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одстилочного птичьего помета и навоза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при аэробно-анаэробной ферментации (варианты)
RU2426292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лодородия почвы
CN104630102B (zh) 一种固氮、解磷、解钾、生根复合菌制剂及其制备方法
US20190216025A1 (en) Enhanced produc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a plant root culture
Tikasz et al. Aerated chicken, cow, and turkey manure extracts differentially affect lettuce and kale yield in hydroponics
CN109174953A (zh) 一种半土壤半基质栽培土壤的修复方法
KR20220072432A (ko) 하나의 경작공간을 시기별로 특정하여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스템
Haile et al. Tomato production under synergistic application of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nd phosphate amendments
CN104115635A (zh) 绿色蔬菜的塑料大棚种植方法
CN110178477A (zh) 一种半基质覆盖物对栽培土壤的修复方法
Rasha et al. Effects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on some bioactive compounds and yield of cherry tomato cultivars
Yeşil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to produce forage crops: barley fodder in vertical farming system.
Hartono et al. Utilization of Narrow Land with Verticulture Techniques in Urban Area
Moemenpour et al. Effects of methanol foliar spray and bio-fertilizers application on fruit yield of greenhouse cucumbers.
Rahimi et al. Effect of mineral vs. biofertilizer on the growth, yield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Khan Phenology, crop stand and biomass of wheat in response to farmyard manure and soil amendments.
Abobaker et al. Effect of humic based soil conditioner, effective microbes and fertiliser on growth and flowering of sunflower (Helianthus annus L.'Dwarf Sunsation')
US85902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erilization of the soil for growing Korean ginseng by using an electron beam and system of growing Korean ginseng using an electron beam sterilization
El-Shiekh Effect of some biological fertilizers on productivity and postharvest fruit quality of'Adalia'lemons grown in the united Arab emirates
Drăghici et al. Research concerning effects of perlite substrate on tomato in soilless culture.
Mohandas et al. Populariz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AM) inoculum production and application on-farm
CN110452024B (zh) 一种利用微生物发酵废料制备的水稻育苗床土及其制备方法
Muslikah et al. Effect of inoculation and time of application of microb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KR101164939B1 (ko) Scb액비를 배지로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함유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 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