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318A -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318A
KR20220072318A KR1020200159787A KR20200159787A KR20220072318A KR 20220072318 A KR20220072318 A KR 20220072318A KR 1020200159787 A KR1020200159787 A KR 1020200159787A KR 20200159787 A KR20200159787 A KR 20200159787A KR 20220072318 A KR20220072318 A KR 2022007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peaker
output units
voice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우
김환빈
김두현
홍기삼
Original Assignee
(주)벨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벨레 filed Critical (주)벨레
Priority to KR102020015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2318A/ko
Publication of KR2022007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04R29/002Loudspeaker arra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튜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일 이상의 마이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음성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b) 판단된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튜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특성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METHOD FOR TUNING SPEAKER BASED ON SPACE CHARACTERISTIC ANALYSIS}
본 발명은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 청취 또는 영화 감상 등의 상황에서 좋은 음질을 감상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텔레비전 등 시청각 시설 외 별로도 스피커를 실내에 구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된 스피커에 대한 개발 및 이에 대한 구매율도 높아지고 있다.
실내 인테레어를 위한 스피커 중 일부의 스피커는 복수의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출력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통해 음성을 출력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출력부가 향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인테리어적 요소만을 고려하여 스피커를 배치하는데, 복수의 출력부 중 일부 출력부로부터의 음성이 공간적 특성에 따라 벽에 막히거나 하는 등의 현상으로 하울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음성에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스피커가 배치되는 공간의 특성 또는 복수의 출력부 각각이 향하는 공간적 특성에 따른 음질 저하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음질 청취를 위한 음향 튜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튜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일 이상의 마이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음성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b) 판단된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튜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특성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출력부 각각에 인접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집음되는 음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각 출력부가 출력하여야 할 음성의 특성과, 각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에 의해 집음되는 음성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공간 특성 분석용 음성 신호를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어 상기 마이크로 집음되는 각각의 음성 신호 특성을 파악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 각각이 배치된 공간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폐쇄된 공간을 향해 배치된 것으로 판단된 출력부를 비활성화 시키거나, 해당 출력부의 출력 음성 크기를 다른 출력부보다 낮추는 단계, 각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에서 원음의 파형을 차감하고, 나머지 파형을 상쇄시키기 위한 역파형을 생성해낸 후, 해당 출력부가 상기 생성된 역파형을 원음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집음된 음성 특성 분석 결과, 딜레이를 나타내는 출력부에 역으로 딜레이를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일 이상의 마이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음성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튜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로서,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일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음성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공간 특성 판단부; 및 판단된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튜닝 정보를 생성하는 음향 튜닝부를 포함하는, 스피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음질 청취를 위한 음향 튜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스피커(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망, 예를 들면, 와이파이 통신망, 블루투스 통신망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00)는 몸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출력부(S1~S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출력부(S1~S4)는 몸체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어부(11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도 2에서는 4개의 출력부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개의 출력부가 구비되면 족하다.
복수개의 출력부(S1~S4)는 동일 수평면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의 출력부(S1~S4)는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00)는 실내의 소정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복수개의 출력부(S1~S4)에 의해 수평면 상에서 360도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되므로, 배치된 공간의 특성에 따라 청취차가 듣는 음질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부(S1)가 벽의 구성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제1 출력부(S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벽의 구성을 향하고, 반사될 수 있으므로 하울링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출력부(S2~S4)로부터 출력되는 음향과 조합되어 음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스피커(100)가 배치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음질 튜닝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연산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랩탑 노트북,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하되, 이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기(200)뿐만 아니라, 스피커(100) 내의 제어부(110)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행되고, 나머지 동작은 스피커(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동작들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음원 제공부(210), 공간 특성 판단부(220), 음향 튜닝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원 제공부(210), 공간 특성 판단부(220) 및 음향 튜닝부(23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앱스토어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음원 제공부(2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 음원을 스피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스피커(100)의 제어부(110)는 이를 수신하고, 처리한 후, 각 출력부(S1~S4)에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출력 신호를 전송한다. 즉, 음원 제공부(210)는 각 출력부(S1~S4)가 출력하여야 하는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공부(210)는 모노 또는 스테레오 음성만을 제공하고, 스피커(100)의 제어부(110)에 의해 각 출력부(S1~S4)가 출력하여야 하는 음향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공간 특성 판단부(220)는 다양한 방식으로 현재 스피커(100)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특성 판단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공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특성 판단부(22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사용자가 스피커(100)의 전면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주변에는 벽이 있는지, 스피커(100)의 각 부분과 벽 간의 거리는 얼마인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간 특성 판단부(220)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부(221)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특성 판단부(220)는 스피커(1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마이크(M1~M4)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출력부(S1)가 벽의 구석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출력부(S1)에 인접 배치된 제1 마이크(M1) 및 제2 마이크(M2)에서 가장 많은 하울링 신호가 집음될 것이고, 이러한 정보가 제어부(110)를 통해 수집된 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집음된 음향에 있어서, 하울링 신호의 존재 여부, 하울링의 정도 등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전송한 음원 파형과의 관계를 통해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하게는, 하울링 음향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집음된 마이크의 위치에 음향 반사를 일으키는 물체, 예를 들면, 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간 특성 판단부(220)는 원격 마이크 집음 특성 수신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특성 판단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마이크(미도시됨)를 통해 집음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특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음원을 제공함에 있어서, 각 출력부(S1~S4)를 통해 어떠한 종류, 어떠한 주파수, 어떠한 파형의 음향이 출력될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각 출력부(S1~S4)를 통해 출력된 음향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로 집음된 후, 원 음원과 다른 음향 파형을 추출한다면, 해당 파형이 어떠한 출력부(S1~S4)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음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원음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많은 왜곡을 보이는 파형을 출력하는 출력부(S1~S4)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해당 출력부(S1~S4)의 위치가 개방되지 않은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해당 출력부(S1~S4)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튜닝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간 특성 판단부(220)는 자체 마이크 집음 특성 파악부(223)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특성 판단부(220)는 공간 특성 파악을 위한 원음 신호를 스피커(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원음 신호의 개수는 출력부(S1~S4)의 개수만큼 생성될 것이고, 각 출력부(S1~S4)가 출력하여야 할 원음의 특성(예를 들면, 주파수, 딜레이 정도)은 서로 다를 것이다.
이러한 신호는 음원 제공부(210)에 의해 제공되는 음원과 다른 것으로, 특정 공간에 스피커(100)를 배치한 후 스피커(100)가 배치된 공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출력되는 신호이다.
신호 출력 후 복수의 마이크(M1~M4)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서는 각 출력부(S1~S4)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가 집음될 것이다.
집음된 음원의 특성과 함께, 각 출력부(S1~S4)를 통해 출력되어야 할 신호로서 제공되었던 신호를 비교하면, 각 출력부(S1~S4)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주변 공간 특성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여 마이크로 집음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스피커(100)와 사용자 단말기(200)가 페어링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공간 특성 판단을 위한 N개의 음성을 생성하고(N은 스피커(100)에 구비된 출력부(S1~S4)의 숫자와 동일할 수 있음), N개의 음성을 스피커(100)로 전송한다. N개의 음성은 출력부(S1~S4)가 각각 출력하게 되는 음성으로서, 출력 타이밍 또는 주파수 등 그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스피커(1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마이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마이크는 상기 출력부(S1~S4)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특성을 집음하게 될 것인데, 집음된 각 음성의 특성, 예를 들면, 공간 특성 판단을 위한 음성 생성 시각과 집음된 시각 간의 딜레이 차, 또는 집음된 신호 파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출력부(S1~S4)가 개방된 공간을 향해 있는지, 또는 폐쇄된 공간을 향해 있는지 등과 같은 공간 특성 파악을 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을 위해 음원 기반 공간 특성 판단부(224)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튜닝부(230)는 공간 특성 판단부(220)에 의해 판단된 공간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음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출력부(S1~S4) 중 폐쇄된 공간을 향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출력부의 동작을 비활성화 시키거나, 해당 출력부의 출력 음향 크기를 다른 출력부의 크기보다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출력부(S1~S4) 각각으로부터 출력되어야 하는 파형은 다를 수 있는데, 각 출력부(S1~S4)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에서 원음의 파형을 차감하고, 나머지 파형을 상쇄시키기 위한 역파형을 생성해낸 후, 해당 출력부(S1~S4)가 상기 생성된 역파형을 원음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출력부(S1~S4)로부터 출력되어 스피커(100)의 마이크(M1~M4)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마이크로 집음되는 파형과 원음 파형을 비교하면, 복수의 출력부(S1~S4)로부터 출력된 후, 사용자에게 들리는 음향에 대한 딜레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딜레이의 존재 여부 및 딜레이의 정도를 파악한 후, 딜레이를 나타내는 출력부(S1~S4)에는 파악된 딜레이만큼 역으로 딜레이를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음된 음성 분석 결과 0.5ms 만큼 딜레이를 보이는 출력부(S1~S4)에는 -0.5ms 만큼 딜레리를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음향 튜닝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피커
200: 사용자 단말기
210: 음원 제공부
220: 공간 특성 판단부
221: 인터페이스 제공부
222: 원격 마이크 집음 특성 수신부
223: 자체 마이크 집음 특성 수신부
224: 음원 기반 공간 특성 판단부
230: 음향 튜닝부

Claims (7)

  1. 스피커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튜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일 이상의 마이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음성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b) 판단된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튜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특성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출력부 각각에 인접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집음되는 음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특성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각 출력부가 출력하여야 할 음성의 특성과, 각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에 의해 집음되는 음성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특성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공간 특성 분석용 음성 신호를 각각 상기 복수의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어 상기 마이크로 집음되는 각각의 음성 신호 특성을 파악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 각각이 배치된 공간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특성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폐쇄된 공간을 향해 배치된 것으로 판단된 출력부를 비활성화 시키거나, 해당 출력부의 출력 음성 크기를 다른 출력부보다 낮추는 단계,
    각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에서 원음의 파형을 차감하고, 나머지 파형을 상쇄시키기 위한 역파형을 생성해낸 후, 해당 출력부가 상기 생성된 역파형을 원음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집음된 음성 특성 분석 결과, 딜레이를 나타내는 출력부에 역으로 딜레이를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특성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6.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일 이상의 마이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음성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튜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7.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피커로서,
    상기 스피커에 내장된 일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집음된 음성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출력부가 배치된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는 공간 특성 판단부; 및
    판단된 공간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튜닝 정보를 생성하는 음향 튜닝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KR1020200159787A 2020-11-25 2020-11-25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KR20220072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787A KR20220072318A (ko) 2020-11-25 2020-11-25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787A KR20220072318A (ko) 2020-11-25 2020-11-25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318A true KR20220072318A (ko) 2022-06-02

Family

ID=8198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787A KR20220072318A (ko) 2020-11-25 2020-11-25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23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140B2 (en) Dynamic calibration of an audio system
KR102171226B1 (ko) 룸에 대한 오디오 적응
JP4792156B2 (ja) マイクロホンアレイを有するボイス制御システム
CN102474697B (zh) 助听器和信号处理方法
JP2019159306A (ja) ファーフィールド音声制御デバイス及びファーフィールド音声制御システム
US2017008428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udio processing thereof
US9386391B2 (en) Switching between binaural and monaural modes
US20190050194A1 (en) Mobile cluster-based audio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30026347A1 (en) Methods for reducing error in environmental noise compensation systems
US982631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ound image in an audio zone
CN112005492B (zh) 用于动态声音均衡的方法
WO2021103760A1 (zh) 一种智能音箱音效自适应调整方法、系统及存储介质
GB2566756A (en) Temporal and spatial detection of acoustic sources
US10602276B1 (en)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KR20220072318A (ko) 공간특성 분석 기반 스피커 튜닝 방법
US11032659B2 (en) Augmented reality for directional sound
US9516413B1 (en) Location based storage and upload of acoustic environment related information
WO2021043414A1 (en) Microphone blocking detection control
CN112235675B (zh) 一种耳机的主动降噪方法和芯片
FI20225433A1 (en) Optimizing speaker installation in listening mode
KR20140086265A (ko) 청음 기능 향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오디오 출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