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622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622A
KR20220071622A KR1020200158958A KR20200158958A KR20220071622A KR 20220071622 A KR20220071622 A KR 20220071622A KR 1020200158958 A KR1020200158958 A KR 1020200158958A KR 20200158958 A KR20200158958 A KR 20200158958A KR 20220071622 A KR20220071622 A KR 2022007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loud
patient
hospital room
toilet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688B1 (en
Inventor
문영민
류황열
유기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8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688B1/en
Publication of KR2022007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a hospital room and a method thereof. The system for managing a hospital room may comprise: a first radar sensor radiating a first radar signal into the inside of the hospital room and outputting first detection data in response to a refl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radar signal reflected on an object;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extracting first points by analyzing the first detection data, detecting a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atient based on a location of the first points, and tracking a movement route of the patient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to acquire restroom usage information of the patient.

Description

병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본 개시는 병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실 내 환자의 위치 및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병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osition and condition of a patient in a hospital room.

병원에서 환자 상태, 병실 내 인원 수, 환자의 외출 등은 간호사나 보호자가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그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은 환자 수 대비 부족한 의료진 수 등으로 인해 환자 관리에 공백을 발생시켜 의료 서비스의 질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환자 상태를 적시에 확인하지 못하여 환자의 안전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특히, 중환자나 치매 환자와 같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는 환자의 경우 이러한 관리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In the hospital, the status of patient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ward, and the patient's outings are managed in such a way that the nurse or guardian directly checks them. This method creates a vacuum in patient management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medical staff compared to the number of patients,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also threatens the safety of patients because the patient's condition cannot be checked in a timely mann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atients requiring rapid response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such as critically ill or dementia patients, this management method alone has limitations.

최근에는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들을 활용한 병실 및 병원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개발되고 있는 IOT 센서를 이용한 병실/병원 관리 시스템의 경우, 환자의 이동을 추적하기 위해서 환자가 직접 센서를 보유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환자의 침상에 센서를 장착하여 병실 내에 머무르는 환자를 인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전자의 경우, 환자가 센서를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추적이 불가능하며, 센서의 장착이나 보관으로 인해 환자가 불편을 겪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침상 마다 센서를 부착 및 관리해야 하므로 설치 비용 및 관리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환자의 상태까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Recently, a ward and hospital management system using IOT (Internet of Things) sensors is being developed. In the case of a ward/hospital management system using IOT sensors that are being developed, the patient directly holds the sensor to track the patient's movement, or installs a sensor on the patient's bed to recognize the patient staying in the room. use the method In the former case, tracking is impossible when the patient does not have the senso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tient suffers inconvenience due to the installation or storage of the sensor. In addition, in the latter case, since it is necessary to attach and manage a sensor for each bed, a lot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costs are consum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비교적 적은 센서를 통해 병실 내 환자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환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병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to be solved through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ar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tracking the location of a patient in a ward through relatively few sensors and monitoring the patient's condi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병실 관리 시스템, 병실 내부에 레이더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레이더 신호가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대응하여 제1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레이더 센서, 그리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포인트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응하는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며,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화장실 이용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first radar sensor that emits a radar signal inside a hospital room, and outputs first detection data in response to a reflected signal that is received by reflecting the radar signal on an object; And extracting first points by analyzing the first sensed data, detecting a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points, and determining the patient's movement line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that obtains toilet use information of the patient by tracking.

상기 병실 관리 시스템은, 화장실에 배치되는 제2 레이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2 레이더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제2 포인트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에 대응하는 제2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며, 상기 제2 포인트 클라우드의 검출 여부와,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해 추적된 상기 환자의 동선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화장실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The ward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adar sensor disposed in the bathroom. In this case, the data processing system extracts second points from the second detection data acquired through the second radar sensor, and detects a second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econd points, , based on whether the second point cloud is detected and the movement of the patient tracked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the patient enters the bathroom or not.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환자의 화장실 진입이 식별되면, 상기 환자의 화장실 방문 시각, 화장실 이용 시간, 및 화장실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상기 화장실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system may generate the toilet use information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toilet visit time of the patient, a toilet use time, and a number of toilet visits when the patient's entry to the toilet is identified.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포인트들로부터 사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포인트 분포 특성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data processing system detects at least on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from the first points,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is assigned to the patient based on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a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he corresponding first point cloud may be determined.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의 포인트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에 대응하는 사람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침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시간 이상 누워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사람을 상기 환자로 검출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system analyzes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o obtain posture information of a pers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and based on the posture informati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d A person identified as lying down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cted as the patient.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가 결정되면,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s determined among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he data processing system may track a change in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to track the patient's movement. have.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를 추적하고,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system analyzes the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to track a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point cloud, and if the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The patient can be identified as collapsed.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응급 상황으로 판정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system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y analyz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atient is identified as collapsed, and if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not detect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emergency situation can be judged.

상기 병실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화장실 이용 정보 및 상기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병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의료진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rd management system receives, from the data processing system, ward information including the toilet us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emergency has occurred, and warns the medical staff terminal or guardian terminal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t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system for transmitting the mess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실 관리 시스템의 병실 관리 방법은, 병실 내부에 레이더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레이더 신호가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대응하여 제1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레이더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응하는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화장실 이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tection data is emitted in response to a reflected signal received by emitting a radar signal inside the hospital room and the radar signal is reflected by an object. Receiving the first data from a radar sensor, detecting a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based on positions of first points extracted from the first detection data, and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It may include the step of obtaining the toilet use information of the patient by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상기 병실 관리 방법은, 화장실에 배치되는 제2 레이더 센서로부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제2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에 대응하는 제2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포인트 클라우드의 검출 여부와,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해 추적된 상기 환자의 동선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화장실 출입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second detection data from a second radar sensor disposed in a bathroom, and detecting a second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based on the positions of second points extracted from the second detection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whether the patient enters the bathroom based on whether the second point cloud is detected and the patient's movement line tracked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상기 병실 관리 방법은, 상기 환자의 화장실 진입이 식별되면, 상기 환자의 화장실 방문 시각, 화장실 이용 시간, 및 화장실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상기 화장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rd management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toilet use information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toilet visit time, toilet use time, and number of toilet visits when the patient's entry to the toilet is identified .

상기 병실 관리 방법에서,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인트들로부터 사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포인트 분포 특성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the detecting of the first point cloud may include detecting at least on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from the first points, and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based on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determining the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상기 병실 관리 방법에서,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의 포인트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에 대응하는 사람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침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시간 이상 누워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사람을 상기 환자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the determining of the first point cloud may include: analyzing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o obtain posture information of a pers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and detecting, as the patient, a person identified as lying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based on the posture information.

상기 병실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가 결정되면,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when the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s determin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racking a change in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to track the movement of the patient may further include.

상기 병실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를 추적하는 단계, 그리고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nalyzing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to track a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point cloud, and a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f it is, the step of identifying that the patient has collapsed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병실 관리 방법은,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응급 상황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managing the ward includes detecting a movement of the patient by analyz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a time when the patient is identified as collapsed, and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not detect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Otherwis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 병실 관리 방법은,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의료진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to a medical staff terminal or a guardian terminal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실시 예에 따르면, 비교적 적은 센서를 통해 병실 내 환자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환자의 상태 모니터링 또한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track the position of a patient in a hospital room using relatively few sensors, and also to monitor the patient's cond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실 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실 관리 시스템의 병실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1 shows an example of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ward management method of the war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refer to one element as another element.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it from.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is also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can be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ospit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necessary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원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1 schematically shows a hospit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실 관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더(radar) 센서(11),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20), 및 모니터링 시스템(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radar sensor 11 , a data processing system 20 , and a monitoring system 30 . can

레이더 센서(11)는 병실 내부에 레이더 신호를 방사하고, 방사된 레이더 신호가 물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인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11)는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레이더 센서일 수 있다. The radar sensor 11 may radiate a radar signal to the inside of a hospital room, and receive a reflected signal in which the emitted radar signal is a signal reflected by an object. The radar sensor 11 may be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radar sensor using a frequency signal of a millimeter wave band.

적어도 하나의 레이더 센서(11)가 병실 벽면 또는 천정에 배치되며, 레이더 센서(11)의 감지 범위 내에 병실 내 침상, 화장실 출입구 등이 포함되도록 레이더 센서(1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At least one radar sensor 11 is disposed on the wall or ceiling of the hospital room, and the position of the radar sensor 11 may be determined so that a bed in the hospital room, a bathroom entrance, etc. are included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radar sensor 11 .

레이더 센서(11)는 환자의 화장실 출입을 추적하기 위해 병실 내 화장실 내에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radar sensor 11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bathroom in the hospital room to track the patient's access to the bathroom.

레이더 센서(11)는 수신된 반사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감지 데이터로 변환한 후,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radar sensor 11 may signal-process the received reflected signal, convert it into sensing data, and then transmit it to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더 센서(11)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병실 내 환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데이터 처리부(21), 및 환자 추적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may analyze the detected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radar sensor 11 to track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patient in the hospital room. To this end,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may include a data processing unit 21 and a patient tracking unit 22 .

데이터 처리부(21)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더 센서(11)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는 레이더 센서(11)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레이더 신호가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지점에 대응하는 반사 포인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는 반사 포인트들이 추출되면, 추출된 반사 포인트들을 병실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의 3차원 공간 내 대응하는 픽셀에 매핑시킬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각 반사 포인트의 3차원 공간 내 위치를 특정하고, 서로 다른 시간에 획득된 반사 포인트 별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각 반사 포인트에 대응하는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21 may acquire point cloud data by analyzing the sensed data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radar sensor 11 . The data processing unit 21 may analyze the detected data received through the radar sensor 11 to extract reflection points corresponding to points at which the radar signal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When the reflection points are extracted, the data processing unit 21 may map the extracted reflection points to corresponding pixels in a virtual 3D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hospital room. The data processing unit 21 specifies the pos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f each reflection point through this process, and based on the position change for each reflection point acquired at different times,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reflection point (for example, speed) can be obtained.

데이터 처리부(21)는 각 반사 포인트의 3차원 공간 내 위치를 분석하여,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반사 포인트들을 하나의 포인트 그룹(이하, '포인트 클라우드'라 칭함)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21)는 각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반사 포인트들의 위치를 분석하여 각 포인트 클라우드의 4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4차원 정보는,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각 반사 포인트에 대해 또는 각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해, 레이더 센서(11)의 위치를 기준으로 획득한 방위각(azimuth angle), 고도각(elevation angle) 및 거리(distance) 정보와, 각 반사 포인트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획득한 속도(velocit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21 may analyze the position of each reflection point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group the reflection points that show similar motion and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into one point gro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int cloud'). .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21 may obtain point cloud data including four-dimensional information of each point cloud by analyzing positions of reflection points constituting each point cloud. Here, the 4D information includes an azimuth angle and an elevation angle obta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adar sensor 11 for each reflection point constituting one point cloud or for each point cloud.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velocity information obtained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 of each reflection point with time.

환자 추적부(22)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각 포인트 클라우드의 반사 포인트 분포 특징을 분석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그룹들 중 사람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할 수 있다. 환자 추적부(22)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사람에 해당하는 포인트 클라우드가 검출되면, 이를 분석하여 병실 내 사람 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환자의 위치, 환자의 외출 유무, 환자의 화장실 이용 정보, 환자의 쓰러짐 여부 등을 포함하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The patient tracker 22 may analyze a reflection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ach point cloud from the point cloud data to detect a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from among the point cloud groups. When a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is detected from the point cloud data,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analyzes it and analyzes i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ospital room, as well as the location of the patient, whether the patient goes ou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use of the toilet, and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cluding whether the collapsed.

환자 추적부(22)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사람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개수를 식별함으로써 병실 내 사람 수를 식별하고, 각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를 식별하여 사람들 각각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ospital room by identifying the number of point clouds corresponding to people from the point cloud data, and may detect the location of each person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each point cloud.

또한, 환자 추적부(22)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사람의 포인트 클라우드들 중 환자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식별할 수 있다. 환자 추적부(22)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내에서 사람에 해당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침상에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분) 이상 누워 있는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 사람이 침상에 누워 있는 경우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포인트 분포는, 사람이 앉아 있는 경우나 서 있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분포되어 있다. 즉, 사람이 침상에 누워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장축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고, 사람이 서 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장축이 수직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추적부(22)는 각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 및 포인트 분포 형상, 그리고 침상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침상에 누워 있는 사람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식별할 수 있다. Also,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identify a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atient from among the point clouds of a person identified from the point cloud data.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acquires position and posture information of each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in the point cloud data,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tect a person lying on the b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0 minutes) or more. have. The point distribution of the point cloud when a person is lying on a bed is relatively lo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when a person is sitting or standing. That is, when a person is lying on a bed, the long axis of the corresponding point cloud may b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en the person is standing or sitting, the long axis of the corresponding point cloud may b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identify the point cloud of the person lying on the bed based on the position and the point distribution shape of each point cloud,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ed.

환자 추적부(22)는 소정 시간 이상 침상에 누워 있는 것으로 검출된 포인트 클라우드를 대응하는 침상의 환자로 특정하고,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획득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해당 포인트 클라우드의 반사 포인트 분포/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환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대응하는 환자가 외부에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경우와 같이 지속적인 추적이 어려운 경우, 환자 추적부(22)는 다시 해당 침상에 소정 시간 이상 누워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함으로써,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specifies a point cloud detected as lying on the b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s a patient on the be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and thereafter, the reflected point distribution/position change of the point cloud from the continuously acquired point cloud data. The patient's location can be detected by tracking. After that, when continuous tracking is difficult, such as when the corresponding patient goes outside and returns again,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detects a point cloud identified as lying on the b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reby identifying the patient can do.

환자 추적부(22)는 데이터 처리부(21)를 통해 주기적으로 획득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에 대해 환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환자의 외출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환자 추적부(22)는 전술한 방식으로 각 침상에 해당하는 환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출함으로써 각 환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이를 토대로 각 환자의 외출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detect whether the patient is out or not by tracking the patient's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point cloud data periodically acquir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21 . That is,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can track the movement of each patient by continuously extract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corresponding to each b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each patient goes out.

또한, 환자 추적부(22)는 전술한 방식으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함으로써 환자의 화장실 방문을 검출하고, 각 환자의 화장실 이용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detect a patient's bathroom visit by tracking the patient's movement from the point cloud data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nd may detect toilet use information of each patient.

화장실에 별도의 레이더 센서(11)가 배치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21)는 화장실에 배치된 레이더 센서(11)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장실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장실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은, 전술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획득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레이더 센서(11)의 감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반사 포인트들을 화장실에 대응하는 3차원 공간에 매핑시키고, 매핑된 각 반사 포인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할 수 있다. When a separate radar sensor 11 is disposed in the toilet, the data processing unit 21 may obtain point cloud data corresponding to the toilet by analyzing the detected data received through the radar sensor 11 disposed in the toilet. . Here, the method of obtaining the point cloud data corresponding to the toilet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obtaining the point cloud data. That is, reflection points extracted from the detection data of the radar sensor 11 may be mapped to a three-dimensional space corresponding to a toilet, and a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location of each mapped reflection point.

환자 추적부(22)는 데이터 처리부(21)를 통해 화장실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가 획득되면, 이를 분석하여 화장실에 대한 사람의 진입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환자 추적부(22)는 화장실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사람에 해당하는 포인트 클라우드가 식별되면, 화장실에 사람이 진입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When the point cloud data corresponding to the toilet is obtain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21 ,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analyze it and detect whether a person enters the bathroom. That is, when a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is identified from the point cloud data corresponding to the toilet,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identify that a person has entered the toilet.

환자 추적부(22)는 화장실에 별도의 레이더 센서(11)가 배치된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 병실 내에서 추적된 환자의 동선과 화장실 내 사람의 진입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대응하는 환자의 화장실 출입 여부를 최종 식별할 수 있다. When a separate radar sensor 11 is disposed in the toilet,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compares the patient's movement tracked in the war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with whether a person enters the toilet, thereby allowing the corresponding patient to enter and exit the toilet. can finally be identified.

환자 추적부(22)는 환자의 화장실 진입이 식별되면, 환자의 화장실 방문 시각 및 화장실 이용 시간을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의 화장실 방문 시각, 이용 시간, 및 방문 횟수(1일 당) 등을 포함하는 화장실 이용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화장실 이용 시간은, 화장실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화장실 진입 시각과 진출 시각을 검출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When the patient's entry to the toilet is identified,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records the patient's toilet visit time and toilet use time, and based on this, the patient's toilet visit time, use time, and number of visits (per day) are included. You can record toilet use information. Here, the patient's toilet use time may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point cloud data corresponding to the toilet and detecting the patient's toilet entry and exit times.

환자 추적부(22)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내에서 사람에 해당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해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및 각 포인트별 이동 속도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의 쓰러짐을 검출할 수 있다. 환자가 쓰러지는 경우,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가 빠른 속도로 낮아진다. 따라서, 환자 추적부(22)는 각 환자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가 변화하는 속도로부터 환자의 쓰러짐(또는 넘어짐)을 식별할 수 있다. 즉, 환자 추적부(22)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소정 시간 동안의 높이 변화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대응하는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하고,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쓰러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환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는 병실 바닥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로써,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반사 포인트들 중 병실 바닥과 먼 순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포인트, 또는 레이더 센서(11)와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포인트의 위치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acquire the height of the point cloud and the movement speed for each point with respect to th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in the point cloud data, and detect the collapse of the patient based on this. When the patient collapses,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point cloud is lowered at a rapid rate. Accordingly, the patient tracker 22 may continuously measure the height of each patient's point cloud, and identify the patient's fall (or fall) from the speed at which the measured height changes. That is,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identifies that the corresponding patient has collapsed when the height change of the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nalyzes the position change of the corresponding point cloud over time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condition in the collapsed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atient for a period of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Here, the height of the point cloud is a height based on the floor of the hospital room, and among the reflection points constituting the point cloud, at least one reflection point selected in the order of distance from the floor of the hospital room, or the distance from the radar sensor 11 is selected in the order of closest. It may be obtained from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reflection point.

환자 추적부(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병실 내 사람 수, 각 환자의 위치, 각 환자의 외출 유무, 각 환자의 화장실 이용 정보, 환자의 쓰러짐으로 인한 응급 상황 발생 등을 검출하면, 검출된 정보들을 대응하는 병실의 식별정보와 함께 모니터링 시스템(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환자 추적부(22)는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30)으로 정보 전달 시, 각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대응하는 침상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위치 추적 과정에서 대응하는 침상을 식별함으로써 자동으로 획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detect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ospital room, the location of each patient, whether or not each patient goes out, each patient's toilet use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situation caused by the patient's collapse, the detected information They may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ystem 30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hospital room.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may als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atient (e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bed) corresponding to each piece of information together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ystem 30 , which tracks the location of the patient. It can be obtained automatically by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bed in the process.

모니터링 시스템(30)은 환자 추적부(22)로부터 병실에 대한 정보들이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의료진이 해당 병실의 정보를 요청 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이 자신의 단말(41)을 통해 각 병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 병실의 정보를 의료진 단말(41)로 전달할 수도 있다. When the information on the ward is received from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the monitoring system 30 may store it in a database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ward when the medical staff requests the information on the ward through a display (not shown). In addition, information of each ward may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41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each ward through their terminal 41 .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으로부터 각 병실에 대해 수신되는 병실 정보에 기초하여 병실 내에서 환자의 쓰러짐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이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표시하거나, 의료진 단말(41) 또는 대응하는 보호자의 단말(42)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The monitoring system 30 displays a warning message to warn this when it is identifi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due to the collapse of the patient has occurred in the ward based on the ward information received for each ward from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not shown) ), or a warning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41 or the corresponding guardian's terminal 42.

치매 환자들을 위한 병실의 병실 정보가 환자의 병실 밖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경우,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이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의료진 단말(41) 또는 대응하는 보호자의 단말(42)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When the ward information of the ward for dementia patients instructs the patient to move out of the ward, the monitoring system 30 displays a warning message warning this on the display, or the medical staff terminal 41 or the corresponding guardian's terminal ( 42) can also send a warning message.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병실 정보가 병실 내 환자 외 허가되지 않은 사람이 진입하거나, 병실 내 사람 수가 허가된 인원을 초과하는 상황을 지시하면, 이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의료진 단말(41) 또는 대응하는 보호자의 단말(42)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The monitoring system 30 displays a warning message on the display to warn this when the hospital room information indicates that an unauthorized person other than a patient enters the hospital room, or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ospital room exceeds the permitted number of people through the display, or the medical staff terminal (41) or may transmit a warning message to the terminal 42 of the corresponding guardian.

전술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에서 데이터 처리부(21), 및 환자 추적부(22)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described above, the data processing unit 21 and the patient tracking unit 22 are one or more central processing units (CPUs),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and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implemented by other chipsets, microprocessors, et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원 관리 시스템의 병실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의 방법은, 전술한 도 1의 병실 관리 시스템(1)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20) 및 모니터링 시스템(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ward management method of a hospit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FIG. 2 may be performed by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and the monitoring system 30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1 of FIG. 1 described above.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더 센서(11)로부터 주기적으로 감지 데이터 획득하고(S10), 이를 분석하여 감지 데이터로부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들을 획득한다(S11). Referring to FIG. 2 ,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periodically acquires detection data from at least one radar sensor 11 ( S10 ), and analyzes it to obtain point cloud data from the detection data ( S11 ).

상기 S11 단계에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수신된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레이더 신호가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지점에 대응하는 반사 포인트들을 추출하며, 추출된 각 반사 포인트의 위치 및 분포를 분석하여 감지 데이터로부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감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각 포인트 클라우드의 4차원 정보를 포함하며, 4차원 정보는,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각 반사 포인트에 대해 또는 각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해, 레이더 센서(11)의 위치를 기준으로 획득한 방위각, 고도각 및 거리 정보와, 각 반사 포인트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획득한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11,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analyzes the received detection data to extract reflectio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point at which the radar signal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analyzes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each extracted reflection point. Point cloud data can be generated from the sensed data. Here, the point cloud data includes four-dimensional information of each point cloud extracted from the detection data, and the four-dimensional information is, for each reflection point constituting one point cloud or for each point cloud, a radar sensor ( 11) may include azimuth, elev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cquired based on the position, and velocity information acquired based on the change in position of each reflection point over time.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가 획득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이를 분석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환자에 해당하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고, 환자에 해당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를 추적하여 대응하는 환자의 움직임을 추적한다(S12). When the point cloud data is acquired,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analyzes it, detects a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from the point cloud data, tracks the position of th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and tracks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patient ( S12).

상기 S12 단계에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사람에 해당하는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침상에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분) 이상 누워 있는 사람을 대응하는 침상의 환자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각 침상의 환자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가 검출된 이후에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새로 획득 시마다 해당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를 추적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In the step S12,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acquires the position and posture information of each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from the point cloud data, and based on this, a person lying on the b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0 minutes) or more can be detected as a patient in the corresponding bed. In addition, after th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on each bed is detected,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 cloud whenever the point cloud data is newly acquired.

상기 S12 단계에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환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환자의 화장실 방문 시각, 이용 시간, 및 방문 횟수(1일 당) 등을 포함하는 화장실 이용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S10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 데이터와 S11 단계를 통해 획득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화장실에 배치된 레이더 센서(11)로부터 수신한 감지 데이터와, 이로부터 획득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step S12,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may obtain toilet u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atient's toilet visit time, use time, and number of visits (per day) by tracking the patient's movement from the point cloud data. have. In this case, the detected data obtained through S10 and the point cloud data obtained through S11 may further include the detected data received from the radar sensor 11 disposed in the bathroom and the point cloud data obtained therefrom. may be

상기 S12 단계에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또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환자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로 식별된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해 형상(또는 포인트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환자의 자세(누움, 앉음, 서있음 등)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환자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시간에 따른 높이 변화에 기초하여 In the step S12,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also analyzes the shape (or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for the point cloud identified as th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from the point cloud data, and the corresponding patient's posture (lying, sitting, standing, etc.) information can also be detected.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based on the time-dependent height change of th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상기 S12 단계에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또한 각 환자에 대응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해 레이더 센서(11)의 위치 또는 병실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 변화를 추적하고, 소정 시간 동안의 높이 변화가 소정치 이상인 포인트 클라우드에 대해 해당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환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step S12,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also tracks the position of the radar sensor 11 or the height change bas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hospital room for th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each patient, and the heigh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detected that the corresponding patient has collapsed with respect to a point cloud in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may determin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when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atient is detected as collapsed.

데이터 처리 시스템(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이용한 환자의 움직임 추적을 통해 획득한 정보들을 이용해 병실 정보를 생성하고(S13), 이를 모니터링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ata processing system 20 generates hospital room information by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atient motion tracking using point cloud data (S13), and transmits it to the monitoring system 30 .

이를 수신한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수신되는 병실 정보를 병실 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의료진이 해당 병실의 정보를 요청 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이 자신의 단말(41)을 통해 각 병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 병실의 정보를 의료진 단말(41)로 전달할 수도 있다. Upon receiving this, the monitoring system 30 may convert the received ward information into a database for each ward and store it, and may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ward when the medical staff requests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In addition, information of each ward may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41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each ward through their terminal 41 .

한편, 병실 정보가 대응하는 병실 내에서 환자의 쓰러짐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지시하는 경우(S14), 모니터링 시스템(30)은 환자의 쓰러짐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표시하거나, 의료진 단말(41) 또는 대응하는 보호자의 단말(42)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S15).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spital room information indicat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due to the patient's collapse in the corresponding hospital room (S14), the monitoring system 30 displays a warning message warning the patient's collapse through a display (not shown) Or, a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terminal 41 or the corresponding guardian's terminal 42 (S15).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실 관리 시스템(1) 및 그 방법은, 적은 수의 센서를 배치하여 병실 내 환자들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으며, 환자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외출 유무, 화장실 이용정보 및 쓰러짐 또한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1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number of sensors can be arranged to track the movement of patients in the hospital room, and not only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ut also the presence or absence of going out , toilet use information and collapse can also be detected.

따라서, 의료진은 자신이 진료하고자 하는 환자가 병실 내 머무르는지를 실시간 체크할 수 있어, 병실 방문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화장실 이용정보 또한 실시간 체크가 가능하여, 화장실 이용패턴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쓰러짐이 발생하는 순간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의료진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함으로써, 위급 상황 시 의료진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edical staff can check in real time whether the patient they want to treat stays in the ward, and can efficiently manage the visit time of the ward. In addition, the patient's toilet use information can also be checked in real time, so that the patient's condi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toilet use pattern. In addition, the moment a patient collapses, it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notified to the medical staff in real time,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quickly respond in an emergency.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cribed invention referenced so far are merely exemplar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not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select from it and replace i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omi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herein without degrading performance or add components to improve performanc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order of the method steps described herein according to the process environment or equipment.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rather than the described embodiments.

1: 병실 관리 시스템
11: 레이더 센서
20: 데이터 처리 시스템
21: 데이터 처리부
22: 환자 추적부
30: 모니터링 시스템
41: 의료진 단말
42: 보호자 단말
1: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11: Radar sensor
20: data processing system
21: data processing unit
22: Patient tracking unit
30: monitoring system
41: medical staff terminal
42: guardian terminal

Claims (18)

병실 내부에 레이더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레이더 신호가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대응하여 제1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레이더 센서, 그리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포인트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응하는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며,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화장실 이용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A first radar sensor that emits a radar signal inside the hospital room and outputs first detection data in response to a reflected signal that is received by reflecting the radar signal on an object, and
Extracting first points by analyzing the first sensed data, detecting a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points, and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data processing system for obtaining the patient's toilet use information by doing so.
제1항에 있어서,
화장실에 배치되는 제2 레이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2 레이더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제2 포인트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에 대응하는 제2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며, 상기 제2 포인트 클라우드의 검출 여부와,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해 추적된 상기 환자의 동선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화장실 출입 여부를 식별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adar sensor disposed in the toilet,
The data processing system extracts second points from the second sensed data acquired through the second radar sensor, detects a second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econd points, and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that identifies whether the patient enters and exits the bathroom based on whether two point clouds are detected and the patient's movement track tracked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환자의 화장실 진입이 식별되면, 상기 환자의 화장실 방문 시각, 화장실 이용 시간, 및 화장실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상기 화장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ata processing system, when the patient's entry to the bathroom is identified, generates the toilet use information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toilet visit time, the toilet use time, and the number of toilet visits,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포인트들로부터 사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포인트 분포 특성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결정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ata processing system detects at least on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from the first points,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is assigned to the patient based on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a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first point cloud,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의 포인트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에 대응하는 사람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침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시간 이상 누워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사람을 상기 환자로 검출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ata processing system analyzes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o obtain posture information of a pers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and based on the posture informatio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d A ward management system that detects a person identified as lying in b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s the pati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가 결정되면,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s determined among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he data processing system tracks a change in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to track the movement of the patient, ward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를 추적하고,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processing system analyzes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to track a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point cloud, and if the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A ward management system that identifies a patient as collap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응급 상황으로 판정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ata processing system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y analyz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atient is identified as collapsed, and if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not detect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emergency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that judges by the situ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화장실 이용 정보 및 상기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병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의료진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병실 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 monitoring system that receives, from the data processing system, hospital room information including the toilet us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emergency has occurred, and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a medical staff terminal or a guardian terminal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 hospital room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병실 관리 시스템의 병실 관리 방법으로서,
병실 내부에 레이더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레이더 신호가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대응하여 제1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레이더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응하는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화장실 이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As a ward management method of a ward management system,
Receiving the first data from a first radar sensor that emits a radar signal inside a hospital room and outputs first detection data in response to a reflected signal received by reflecting the radar signal on an object;
detecting a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points extracted from the first sensed data; and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toilet use information of the patient by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제10항에 있어서,
화장실에 배치되는 제2 레이더 센서로부터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제2 포인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람에 대응하는 제2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포인트 클라우드의 검출 여부와,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에 기초해 추적된 상기 환자의 동선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화장실 출입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second detection data from a second radar sensor disposed in the toilet;
detecting a second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econd points extracted from the second sensed data; and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dentifying whether the patient enters the bathroom based on whether the second point cloud is detected and the patient's movement track tracked based on the first point clou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화장실 진입이 식별되면, 상기 환자의 화장실 방문 시각, 화장실 이용 시간, 및 화장실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상기 화장실 이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patient's entry to the bathroom is identified, generating the toilet use information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toilet visit time, toilet use time, and the number of toilet visit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포인트들로부터 사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포인트 분포 특성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detecting the first point cloud,
detecting at least one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a person from the first points, and
and determining the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from among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based on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a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의 포인트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각각에 대응하는 사람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침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시간 이상 누워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사람을 상기 환자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irst point cloud comprises:
obtaining posture information of a pers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by analyzing a poi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ach of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and
and detecting, as the patient, a person identified as lying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based on the posture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중 상기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가 결정되면,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first point cloud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s determin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point clou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y tracing a change in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management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포인트들의 위치를 분석하여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를 추적하는 단계, 그리고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높이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alyzing the positions of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point cloud to track a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point cloud, and
The ward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at the patient has collapsed if the height change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쓰러진 것으로 식별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환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응급 상황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y analyz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clou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atient is identified as collapsed, and
The ward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if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not detect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의료진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실 관리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to a medical staff terminal or a guardian terminal.
KR1020200158958A 2020-11-24 2020-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KR102476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958A KR102476688B1 (en) 2020-11-24 2020-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958A KR102476688B1 (en) 2020-11-24 2020-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22A true KR20220071622A (en) 2022-05-31
KR102476688B1 KR102476688B1 (en) 2022-12-09

Family

ID=8178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958A KR102476688B1 (en) 2020-11-24 2020-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6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1715A1 (en) * 2022-09-21 2024-03-28 Koninklijke Philips N.V. Patient occupancy detection using 3d passive stereo camera and point cloud processing using ai/ml algorithm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4682A1 (en) * 2010-09-14 2018-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tocol adherence
WO2018136402A2 (en) 2017-01-18 2018-07-26 Riot Solutions Inc. Non intrusive intelligent elderly monitoring system
KR20180129587A (en) 2017-05-25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dangerous situation
US20190231231A1 (en) 2016-10-04 2019-08-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asuring patient mobility in the icu using a novel non-invasive sensor
KR102060761B1 (en) 2019-04-09 2019-12-30 주식회사 에이치랩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F-based fall accident using Machine learning
JP6739559B2 (en) * 2018-01-25 2020-08-12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oilet monitoring in medical faciliti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4682A1 (en) * 2010-09-14 2018-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tocol adherence
US20190231231A1 (en) 2016-10-04 2019-08-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asuring patient mobility in the icu using a novel non-invasive sensor
WO2018136402A2 (en) 2017-01-18 2018-07-26 Riot Solutions Inc. Non intrusive intelligent elderly monitoring system
KR20180129587A (en) 2017-05-25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dangerous situation
JP6739559B2 (en) * 2018-01-25 2020-08-12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oilet monitoring in medical facilities
KR102060761B1 (en) 2019-04-09 2019-12-30 주식회사 에이치랩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F-based fall accident using Machine lear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1715A1 (en) * 2022-09-21 2024-03-28 Koninklijke Philips N.V. Patient occupancy detection using 3d passive stereo camera and point cloud processing using ai/ml algorith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688B1 (en)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7888B2 (en) Monitoring direct and indirect transmission of infections in a healthcare facility using a real-time locating system
US11476006B2 (en) Predicting, preventing, and controlling infection transmission within a healthcare facility using a real-time locating system and next generation sequencing
US10902160B2 (en) Cold storage environmental control and product tracking
US11197641B2 (en) Communication device,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and abnormality notification method
US7242306B2 (en) Article locating and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US11574733B2 (en) Method of historical identification and accuracy compensation for problem areas in a locating system
US8803700B1 (en) Event notification system for alerting the closest appropriate person
US1111642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WO2015077829A1 (en) System for monitoring subject movement
CN112184626A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625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digital content
US20200055553A1 (en) Distributed volumetric cargo sensor system
CN111538030A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etecting human activity
JP5654765B2 (en) Indoor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door position management method
KR20220071622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ospital room
KR100696951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aware technology
CN114140997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of reten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old people in toilet of nursing home
US20150032412A1 (en) Low power movement sensor
US20230172489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A Subject
JP2021093146A (en) Fall detection and assistance
US20230326318A1 (en) Environment sensing for care systems
Sugino et al. Developing a human motion detector using bluetooth beacons and its applications
WO201200290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bnormal spatial states of a human body
US11900021B2 (en) Provision of digital content via a wearable eye covering
KR100779093B1 (en) Object sensor node, manager sink node for object management and object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