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451A -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451A
KR20220071451A KR1020200158579A KR20200158579A KR20220071451A KR 20220071451 A KR20220071451 A KR 20220071451A KR 1020200158579 A KR1020200158579 A KR 1020200158579A KR 20200158579 A KR20200158579 A KR 20200158579A KR 20220071451 A KR20220071451 A KR 2022007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nalysis
user
various types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031B1 (ko
Inventor
정정문
박성진
윤재호
Original Assignee
스트라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트라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0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ATA MONIT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이상 징후 발견시 경고 알림을 발생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IT 환경에서 수많은 데이터가 쏟아지고 있다.
RFID 리더, 바코드 스캐너, 기계장치의 센서, 시스템의 모니터링 데이터까지 다양한 데이터가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다.
이렇듯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시스템들이 많아지고, 또한 발생되는 데이터양 또한 점점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이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비즈니스적으로 의미있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추출하고 처리할 수 있는가이다.
특히, 오늘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빅데이터(Big Data) 기반의 다양한 분석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해 다양한 이벤트에 대한 실시간 패턴 분석에 대한 요구사항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들에 대한 모니터링 솔루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Telegraf, Zabbix 등이다.
그런데 종래의 데이터 모니터링 솔루션들은 물리 서버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고,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고객에게 알람을 전달해 주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다양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EP 분석 모듈(Flink, Drools 등)은 오픈소스로 많이 제공되지만 사용자가 데이터 연결부터 UI(유저 인터페이스)까지 직접 개발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9-006124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최소한의 입력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해 자동으로 모니터링 분석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데이터 연결부와; 상기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연결부에서 연결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 파일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복수 개일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정보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분석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 연결부에 입력된 분석 조건에 기초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 연결부에서 입력된 공통 분석 조건을 상기 다양한 종류에 데이터에 일괄 적용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 파일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복수 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분석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분석 조건에 기초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공통 분석 조건을 상기 다양한 종류에 데이터에 일괄 적용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간단한 정보 입력, 예를 들어 GUI를 통한 사용자의 간단한 설정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복합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복합 분석을 위해 사용자가 기존 시스템에 대해 추가 개발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 시간적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데이터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로서, 여기서 데이터는 시스템 자원 소모량 관련 데이터일 수도 있고, 또는 외부로부터 접속한 기록을 모니터링한 데이터일 수도 있고, 기타 수집한 빅데이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들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거나, 메시지 큐 형태로 저장되고, 파일 형태로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관리 서버(200)가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데이터 관리 서버(200)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데이터 관리 서버(200) 중 첫 번째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두 번째 서버는 메시지 큐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세 번째 서버는 파일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데이터 연결부(110), 데이터 분석부(120), 경고 알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연결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연결부(110)는 데이터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 파일 데이터 등에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연결부(110)는 이처럼 세 종류의 데이터에 접속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을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접속을 위해 데이터 연결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분석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 데이터 연결부(110)는 분석 대상 정보 입력을 위한 정보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 입력 페이지상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관리 서버(200)의 아이피와 데이터베이스 로그인 계정 정보를 입력하면, 데이터 연결부(110)는 그 입력된 아이피를 이용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베이스 로그인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다른 종류의 데이터 즉, 메시지 큐 데이터, 파일 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파일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관리 서버(200)의 로그인 계정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로그인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후 사용자에 의해 기 지정된 파일 데이터에 접속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데이터 연결부(110)가 제공하는 정보 입력 페이지에는 분석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필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해당 정보 입력 페이지 상의 필드를 통해 소정의 분석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분석부(120)는 데이터 연결부(110)에 의해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분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연결부(110)에 입력된 분석 조건에 기초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포맷의 트래픽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로그기록에 쌓이는 것을 분석 조건으로 설정한 경우, 데이터 분석부(120)는 해당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각 종류의 데이터마다 서로 다른 분석 조건을 설정등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데이터 분석부(120)는 각 종류의 데이터(즉,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파일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마다 설정된 분석 조건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공통 분석 조건을 설정등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데이터 분석부(120)는 데이터 연결부(110)에서 입력된 공통 분석 조건을 다양한 종류에 데이터(즉,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파일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에 일괄 적용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들에 대해서 분석 조건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한 번만 입력하더라도, 데이터 분석부(120)는 해당 입력된 분석 조건을 연결된 모든 종류의 데이터에 적용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경고 알림부(130)는 데이터 분석부(120)의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경고 알림부(130)는 데이터 분석부(120)의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앞서 데이터 연결부(110)가 제공하는 정보 입력 페이지에 알림 방식 필드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알림 방식이 입력 및 등록된 경우, 경고 알림부(130)는 그 입력된 알림 방식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림 방식에는 예를 들어 이메일, 문자 메시지, 모바일 메신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모바일 메신저 등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예를 들어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파일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에 접속을 위한 정보와 분석 조건 및 알림 방식만 지정하게 되면, 직접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 따른 경고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들에 대한 복합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직접 분석을 하지 않아도 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된다.
특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알림 방식으로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각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증대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이 데이터 분석을 위해 최초로 동작하는 데이터 연결부(110)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예오 하였으나 별도의 정보 입력부(미 도시함)에서 이러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입력 페이지가 GUI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정보 입력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단계 S1).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해당 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접속한다(단계 S3).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파일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에 접속한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어서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된 분석 조건을 기초로 상기 접속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단계 S5).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마치 한 종류의 데이터인 것으로 간주하여 복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어느 한 종류의 데이터에서라도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단계 S7),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전송하는데(단계 S9),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 기 입력된 알림 방식에 따라 경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200 : 데이터 관리 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110 : 데이터 연결부
120 : 데이터 분석부 130 : 경고 알림부

Claims (11)

  1. (a)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b) 상기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 파일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a2) 상기 (a1) 단계에서 입력된 분석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분석 조건에 기초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공통 분석 조건을 상기 다양한 종류에 데이터에 일괄 적용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데이터 연결부와;
    상기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결부에서 연결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메시지 큐 데이터, 파일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정보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분석 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결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분석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 연결부에 입력된 분석 조건에 기초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 연결부에서 입력된 공통 분석 조건을 상기 다양한 종류에 데이터에 일괄 적용하여 이상 징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158579A 2020-11-24 2020-11-24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5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579A KR102457031B1 (ko) 2020-11-24 2020-11-24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579A KR102457031B1 (ko) 2020-11-24 2020-11-24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51A true KR20220071451A (ko) 2022-05-31
KR102457031B1 KR102457031B1 (ko) 2022-10-21

Family

ID=8178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579A KR102457031B1 (ko) 2020-11-24 2020-11-24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0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34B1 (ko) * 2010-05-11 2010-09-13 주식회사 이피아이솔루션즈 데이터베이스 성능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2616A (ko) * 2014-10-10 2016-04-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이상 감지 및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962739B1 (ko) * 2018-08-27 2019-03-28 서울교통공사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기계장비의 고장예측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1247A (ko) 2017-11-27 2019-06-05 (주) 글루시스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의 실시간 자원 사용률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02885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79290B1 (ko) * 2019-11-07 2020-1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워크로드 데이터에 대한 이상징후 판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34B1 (ko) * 2010-05-11 2010-09-13 주식회사 이피아이솔루션즈 데이터베이스 성능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2616A (ko) * 2014-10-10 2016-04-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이상 감지 및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1247A (ko) 2017-11-27 2019-06-05 (주) 글루시스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의 실시간 자원 사용률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02885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962739B1 (ko) * 2018-08-27 2019-03-28 서울교통공사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기계장비의 고장예측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9290B1 (ko) * 2019-11-07 2020-1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워크로드 데이터에 대한 이상징후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031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614B2 (en) Techniques for cloud security monitoring and threat intelligence
US11586972B2 (en) Tool-specific alerting rules based on abnormal and normal patterns obtained from history logs
CN110798472B (zh) 数据泄露检测方法与装置
US10339309B1 (en) System for identifying anomalies in an information system
CN110347716B (zh) 日志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274583A (zh) 一种大数据计算机网络安全防护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7037443A1 (en) Predictive human behavioral analysis of psychometric features on a computer network
AU2016242813A1 (en) Networking flow logs for multi-tenant environments
CN112905261B (zh) 一种应用程序接口api管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156141B (zh) 一种实时数据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8027226A1 (en) Detection mitigation and remediation of cyberattacks employing an advanced cyber-decision platform
DE102021109767A1 (de) Systeme und methoden zur vorausschauenden sicherheit
CN112799741A (zh) 一种应用程序分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792341A (zh) 应用程序的隐私合规自动化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941823A (zh) 威胁情报获取方法及装置
US11606272B1 (en) Techniques for cross platform communication process flow anomaly detection and display
CN113821254A (zh) 接口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3836237A (zh) 对数据库的数据操作进行审计的方法及装置
KR102457031B1 (ko)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6208415A (zh) 一种对api资产进行管理方法、装置及设备
CN110650126A (zh) 一种防网站流量攻击方法、装置以及智能终端、存储介质
JP7165830B2 (ja) 異常判定システム、異常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032647A (zh) 数据分析系统
CN112783920A (zh) 基于数据编排的工业物联网数据实时计算方法和系统
US11652832B2 (en) Automated identification of anomalous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