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596A - 마스크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596A
KR20220070596A KR1020200157300A KR20200157300A KR20220070596A KR 20220070596 A KR20220070596 A KR 20220070596A KR 1020200157300 A KR1020200157300 A KR 1020200157300A KR 20200157300 A KR20200157300 A KR 20200157300A KR 20220070596 A KR20220070596 A KR 20220070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rame
mask
width direction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20015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0596A/ko
Publication of KR2022007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프레임본체(111)를 포함하는 프레임본체부(110)와, 상기 프레임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프레임본체부(110)와의 사이에 마스크본체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결합틈새(130)를 형성하는 제1 결합본체부(120)와, 상기 프레임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프레임본체부(110)와의 사이에 마스크본체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2 결합틈새(140)를 형성하는 제2 결합본체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틈새(130)는 양측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양측의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마스크용 프레임(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용 프레임{A Frame For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본체가 이격되도록 하여 호흡이 용이하게 되며, 조립이 쉬우며, 조립 후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는 마스크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먼지, 병균, 냄새, 자외선, 추위 등으로부터 우리의 호흡기 및 안면부를 보호할 수 있는 기구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10)는 얼굴 부분을 덮는 마스크본체(11)와, 마스크본체(11) 양측에 구비되어 귀에 거는 마스크걸이부(13)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1은 의료용마스크의 마스크본체(11)에 형성된 본체주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주름(11-1)이 상하로 펼쳐져 착용된다.
마스크본체(11)의 내면이 입과 입 주위의 피부에 접촉하여 밀착되므로 마스크본체(11)로부터 바로 반사되어 오는 열기와 습기로 인하여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쉽게 습기가 차거나 입술에 바른 립스틱 등이 마스크본체(11)에 묻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10)에 결합시키는 프레임이 개발되고 있으나, 마스크에 쉽게 결합되지 않으며, 결합 후 쉽게 분리되며, 본체주름(11-1)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면 조립이 어렵고, 마스크용 프레임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마스크용 프레임의 결합으로 마스크본체(11)와 얼굴 사이에 틈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014250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34866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마스크본체에 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입 주위로부터 마스크본체를 이격시켜 호흡이 편해짐은 물론 습기가 차거나 입술이나 입 주위에 마스크본체가 접촉하여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고, 조립이 쉽고, 조립 후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얼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는 마스크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프레임본체를 포함하는 프레임본체부와,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프레임본체부와의 사이에 마스크본체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결합틈새를 형성하는 제1 결합본체부와,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프레임본체부와의 사이에 마스크본체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2 결합틈새를 형성하는 제2 결합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틈새는 양측 프레임본체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결합틈새는 양측의 프레임본체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마스크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 결합본체부는 상단이 각 프레임본체에 결합되며 프레임본체의 폭 방향 내측에서 연장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결합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결합틈새는 양측의 프레임본체와 제1 결합본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본체부는 하단이 각 프레임본체에 결합되며 프레임본체의 폭 방향 내측에서 연장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2 결합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 결합틈새는 프레임본체와 제2 결합본체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프레임본체는 상부에 일부가 상향 절곡된 상부절곡부를 구비하고, 하부에 일부가 하향 절곡된 하부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본체는 상단에 일부가 상향 절곡되어 상부절곡구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결합본체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본체는 하단에 일부가 하향 절곡되어 하부절곡부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결합본체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틈새는 상부절곡구와 제1 결합본체절곡부 사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결합틈새는 하부절곡부와 제2 결합본체절곡부 사이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폭 방향 양측의 제1 결합본체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폭 방향 양측의 제2 결합본체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본체부의 하부 일부는 프레임본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본체부의 상부 일부는 프레임본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100)은 마스크에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 후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마스크에 결합되어 입과 입 주위로부터 마스크본체가 이격되어 호흡이 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입술 등에 마스크본체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며, 마스크용 프레임(100)이 얼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과 마스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7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과 마스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이 결합된 마스크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마스크용 프레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과 마스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7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과 마스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이 결합된 마스크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프레임본체부(110)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는 쪽을 폭 방향 외향으로, 반대 방향을 폭 방향 외향으로 기재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100)은 프레임본체부(110)와, 제1 결합본체부(120)와, 제2 결합본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100)은 합성수지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부(110)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본체부(110)는 전방으로 돌출 만곡된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본체부(110)는 절곡된 복수의 직선으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본체부(11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프레임본체(111)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본체(111)는 막대 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본체(111)는 전방으로 돌출 만곡된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본체(111)는 절곡된 복수의 직선으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본체(111)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본체부(110)는 폭 방향 양측이 프레임본체(111)에 결합된 가로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부재(113)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로부재(113)는 막대 형태를 가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부(110)는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외측에 프레임제1본체(1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외측에 1개의 프레임제1본체(111-1)가 도시되어 있으나 프레임제1본체(111-1)는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외측에 복수의 프레임제1본체(11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면부호 113-1은 프레임제1본체(111-1)를 프레임본체(111)에 연결하는 가로제1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111)는 상부에 일부가 상향 절곡된 상부절곡부(1111)를 구비하고, 하부에 일부가 하향 절곡된 하부절곡부(11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결합본체부(120)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본체부(120)는 프레임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본체부(120)는 상단이 각 프레임본체(111)에 결합되며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결합본체(121)를 포함한다. 상기 폭 방향 양측의 제1 결합본체(121)는 서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측이 제1 결합본체(121)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123)를 구비하여, 양측의 제1 결합본체(12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틈새(130)는 제1 결합본체(121)와 프레임본체(11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틈새(130)는 양측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1 결합틈새(13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본체(121)는 상단에 일부가 상향 절곡되어 상부절곡구(11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결합본체절곡부(121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결합본체(121)는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서 프레임본체(11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틈새(130)는 상부절곡부(1111)와 제1결합본체절곡부(1211) 사이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 결합틈새(130)로 마스크본체(11)의 상부가 삽입된다. 마스크본체(11)의 상부는 제1 결합틈새(130)를 따라 상향 삽입되어 마스크용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본체(111)에 상부절곡구(1111)가 구비되고, 제1 결합본체(121)에 제1 결합본체절곡부(1211)가 구비되어 마스크본체(11)가 제1 결합틈새(130)로 삽입될 때 상부절곡부(1111)와 제1결합본체절곡부(1211)로 사이로 절곡되면서 삽입되므로 결합이 견고해지고 결합된 후 분리가 어렵게 된다.
상기 제1 결합본체부(120)의 하부 일부는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213은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제1 결합본체부(120)의 돌출부분인 제1 돌출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본체부(120)의 하부 일부가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상향하여 마스크본체(11)가 제1 결합본체부(120)와 프레임본체(111)로 사이로 삽입될 때(도 5의 "A"방향), 상기 제1 돌출부분(1213)에 의하여 제1 결합본체부(120)와 프레임본체(111)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는 프레임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는 하단이 각 프레임본체(111)에 결합되며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2 결합본체(151)를 포함한다. 상기 폭 방향 양측의 제2 결합본체(151)는 서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측이 제2 결합본체(151)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153)를 구비하여, 양측의 제2 결합본체(15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제2 결합본체(151)와 프레임본체(11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양측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본체(151)는 하단에 일부가 상향 절곡되어 하부절곡구(1113)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결합본체절곡부(1511)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결합본체(151)는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서 프레임본체(11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하부절곡부(1113)와 제2 결합본체절곡부(1511) 사이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2 결합틈새(140)로 마스크본체(11)의 하부가 삽입된다. 마스크본체(11)의 하부는 제2 결합틈새(140)를 따라 하향 삽입되어 마스크용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본체(111)에 하부절곡구(1113)가 구비되고, 제2 결합본체(151)에 제2 결합본체절곡부(1511)가 구비되어 마스크본체(11)가 제2 결합틈새(140)로 삽입될 때 하부절곡부(1113)와 제2 결합본체절곡부(1511)로 사이로 절곡되면서 삽입되므로 결합이 견고해지고 결합 후 분리가 어렵게 된다.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의 상부 일부는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513은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제2 결합본체부(150)의 돌출 부분인 제2 돌출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의 상부 일부가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부에서 마스크본체(11)가 제2 결합본체부(150)와 프레임본체(111)로 사이로 하향 삽입될 때(도 5의 "B"방향), 상기 제2 돌출부분(1513)에 의하여 제2 결합본체부(150)와 프레임본체(111)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100)에 마스크본체 결합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마스크용 프레임(100)에 마스크본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본체부(120)와 프레임본체(111) 사이에 형성된 제1 결합틈새(130)로 마스크본체(11)의 상부가 상향 삽입되어 결합된다(도 6의 화살표 "A" 방향).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와 프레임본체(111) 사이에 형성된 제2 결합틈새(140)로 마스크본체(11)의 하부가 하향 삽입되어 결합된다(도 6의 화살표 "B" 방향). 마스크본체(11)가 마스크용 프레임(100)에 결합되면, 프레임본체(111)가 마스크본체(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 결합본체부(120)와 제2 결합본체부(150)는 마스크본체(1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1)가 상기 제1 결합틈새(130)로 삽입되면, 마스크본체(11)의 상부는 제1 결합본체부(1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틈새(140)에 삽입된 마스크본체(11)의 하부는 제2 결합본체부(15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크용 프레임(100)에 마스크본체(11)를 결합시켜 착용할 때 제1 결합본체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마스크본체(11) 부분과 제2 결합본체부(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마스크본체(11) 부분이 얼굴에 접촉하게 되고 마스크용 프레임(100)의 얼굴 접촉은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7에 제1 결합본체(121) 사이의 마스크본체(11)가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결합본체(121) 사이의 마스크본체(11) 부분은 중심 부분이 전방(도 7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착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1)의 내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본체(111)에 의하여 마스크본체(11)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1)와 얼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마스크본체(11)가 입 및 입주위에서 얼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호흡이 편해지고 마스크본체(11)가 입술이나 입 주위의 피부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100: 마스크용 프레임
110: 프레임본체부 120: 제1 결합본체부
130: 제1 결합틈새 140: 제2 결합틈새
150: 제2 결합본체부

Claims (4)

  1.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프레임본체(111)를 포함하는 프레임본체부(110)와, 상기 프레임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프레임본체부(110)와의 사이에 마스크본체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결합틈새(130)를 형성하는 제1 결합본체부(120)와, 상기 프레임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프레임본체부(110)와의 사이에 마스크본체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2 결합틈새(140)를 형성하는 제2 결합본체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틈새(130)는 양측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양측의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본체부(120)는 상단이 각 프레임본체(111)에 결합되며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서 연장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결합본체(121)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결합틈새(130)는 양측의 프레임본체(111)와 제1 결합본체(12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는 하단이 각 프레임본체(111)에 결합되며 프레임본체(111)의 폭 방향 내측에서 연장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2 결합본체(151)를 포함하여,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프레임본체(111)와 제2 결합본체(151)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본체(111)는 상부에 일부가 상향 절곡된 상부절곡부(1111)를 구비하고, 하부에 일부가 하향 절곡된 하부절곡부(111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본체(121)는 상단에 일부가 상향 절곡되어 상부절곡구(11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결합본체절곡부(121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본체(151)는 하단에 일부가 하향 절곡되어 하부절곡부(1113)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결합본체절곡부(151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틈새(130)는 상부절곡구(1111)와 제1 결합본체절곡부(1211) 사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결합틈새(140)는 하부절곡부(1113)와 제2 결합본체절곡부(1511) 사이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양측의 제1 결합본체(121)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폭 방향 양측의 제2결합본체(151)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본체부(120)의 하부 일부는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본체부(150)의 상부 일부는 프레임본체(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100).


KR1020200157300A 2020-11-23 2020-11-23 마스크용 프레임 KR20220070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00A KR20220070596A (ko) 2020-11-23 2020-11-23 마스크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00A KR20220070596A (ko) 2020-11-23 2020-11-23 마스크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596A true KR20220070596A (ko) 2022-05-31

Family

ID=8178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00A KR20220070596A (ko) 2020-11-23 2020-11-23 마스크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05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66B1 (ko) 2014-08-05 2016-06-29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014250B1 (ko) 2019-02-27 2019-08-27 비클시스템주식회사 건강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66B1 (ko) 2014-08-05 2016-06-29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014250B1 (ko) 2019-02-27 2019-08-27 비클시스템주식회사 건강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379A (en) Face mask
US8910634B2 (en) Stress deformable and sealed breathing mask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KR102386181B1 (ko) 코 지지 연장부를 갖는 호흡 마스크
KR20200121258A (ko) 안면 마스크용 걸이장치
KR101894679B1 (ko) 기도확장장치
KR20220070596A (ko) 마스크용 프레임
JP1732122S (ja) マスク型空気清浄機用カバーバンド
KR20220144045A (ko) 마스크 가드
KR20220048070A (ko) 마스크용 프레임
KR20220032248A (ko) 마스크용 프레임
EP1543737A3 (en) Facemask-inbuilt medical hood structure
CN109363272A (zh) 防护口罩
KR20220032870A (ko) 마스크용 프레임
KR20170123759A (ko) 습기 방지용 마스크
KR102255838B1 (ko) 마스크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용 프레임
KR20220033160A (ko) 마스크용 프레임
KR20220033159A (ko) 마스크용 프레임
KR20220042511A (ko) 마스크용 프레임
KR20220041598A (ko) 마스크용 프레임
KR102209970B1 (ko) 마스크
KR20210153888A (ko) 이격용 마스크 프레임
KR20210152657A (ko) 이격용 마스크 프레임
KR20220006693A (ko) 이격용 마스크 프레임
KR20210156548A (ko) 이격용 마스크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