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381A -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381A
KR20220070381A KR1020210162448A KR20210162448A KR20220070381A KR 20220070381 A KR20220070381 A KR 20220070381A KR 1020210162448 A KR1020210162448 A KR 1020210162448A KR 20210162448 A KR20210162448 A KR 20210162448A KR 20220070381 A KR20220070381 A KR 2022007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lter
disposed
lamp modul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503B1 (ko
Inventor
최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인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인레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인레즈
Priority to KR102021016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5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되고, 이산화규소(SiO2) 항균 코팅 처리가 되어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배치되기 때문에,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통해 외부공기 및 차량 내부의 공기를 모두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 또는 수증기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이산화규소(SiO2) 항균코팅을 적용하여 자외선 살균과의 현저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 with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function}
본 발명은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되고, 이산화규소(SiO2) 항균 코팅 처리가 되어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여름철과 같이 실내 온도가 높을 때 차량의 실내를 적정온도와 습도로 제어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에어컨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은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로서, 응축기(condenser), 압축기(compressor), 팽창 밸브(expantion valve), 증발기(evaporator), 건조기(dryer)의 주요부품으로 구성된다. 냉동사이클은 냉매가스를 충진하거나 사용도중 보충하기 위한 냉매 가스 주입 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에어컨이 구동되는 하절기의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을 끄거나 에어컨 작동을 중지하게 되면, 잔류 응축수는 증발기 케이스의 응축수 드레인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잔류 응축수가 증발기 케이스의 응축수 드레인을 통해 배출 후에도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증발기의 표면에 응결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증발기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응축수에는 각종 곰팡이균이나 세균 등이 번식되기 때문에, 이 후에 에어컨을 다시 가동하게 되면 공기와 함께 곰팡이균 및 세균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차량의 실내에 불쾌한 악취나 곰팡이 냄새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필터 부재가 사용되는 동안 부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 또는 박테리아 등에 의해서 오염되나, 필터 부재를 살균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있어, 필터 부재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거나, 필터 부재에 의해서 여과되는 공기의 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546050 공개특허 10-2005-0111691 공개특허 10-2019-0054953 공개실용신안 20-2016-0000998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송풍장치의 내부에 이산화규소(SiO2) 항균 코팅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 차량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구; 상기 블로워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기유입구 및 내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외기유입구 및 내기유입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워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될 경우,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상기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지지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측개구면 및 하측개구면이 형성된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필터; 상기 필터케이스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외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로어지지부;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측을 지지하는 어퍼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지지부 및 어퍼지지부 사이에 필터삽입간격(D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 송풍장치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부분 전체 또는 일부에 이산화규소(SiO2) 항균 코팅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응축수 또는 수증기가 발생하는 모든 구성요소에 이산화규소(SiO2) 항균 코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송풍장치는 자외선램프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닿지 않는 음영 부위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자외선반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배치되기 때문에,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통해 외부공기 및 차량 내부의 공기를 모두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가 메인필터의 측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공기 뿐만 아니라 메인필터의 곰팡이 및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필터케이스에 배치된 자외선반사부재를 통해 자외선이 닿지 않는 음영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의 슬라이드 장착을 통해 커넥터 및 전극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의 인출 시 전극 및 커넥터의 연결이 자동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필터어셈블리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램프소자 및 메인필터의 배치가 도시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삽입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램프소자 및 메인필터의 배치가 도시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삽입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00)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필터어셈블리(500)와, 상기 케이스(200)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에 조립되고, 상기 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블로워(1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차량에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20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110)와, 차량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120)와,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삽입되는 삽입구(150)와, 상기 블로워(140)에 의해 상기 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덕트(160)와,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기유입구(110) 및 내기유입구(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구(150)의 상측에 상기 내기유입구(120)가 배치된다.
상기 삽입구(150)는 차량의 실내 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삽입구(15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150)에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탈착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도어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기유입구(120) 또는 외기유입구(110)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축(131)은 상기 도어(130) 및 케이스(200)를 연결한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상측에 상기 외기유입구(110) 및 내기유입구(12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하측에 상기 블로워(140)가 배치된다.
*상기 블로워(140)의 작동 시, 상기 외기유입구(110) 또는 내기유입구(120)의 공기가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를 통과하여 상기 블로워(140)로 유동되고,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토출덕트(160)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블로워(140)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 및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는 상기 삽입구(150)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부(2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250)는 삽입된 필터어셈블리(500)를 지지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필터지지부(25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필터지지부(250)에 배치된 전극(560)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는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정위치까지 삽입될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커넥터(540)와 케이스(200)의 전극(560)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필터어셈블리의 구성>
필터어셈블리(500)는 블로워(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어셈블리(500)는 외기유입구(110) 또는 내기유입구(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살균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필터지지부(250) 전체를 커버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200)에 밀착된다.
필터어셈블리(500)는 필터지지부(25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상측에 외기유입구(110) 및 내기유입구(120)가 배치되고, 하측에 상기 블로워(14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덕트(16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하측과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블로워(140)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필터지지부(250)에 지지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측개구면(502) 및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 필터케이스(51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개구면(501)으로 노출된 프리필터(52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개구면(502)으로 노출되는 메인필터(53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55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54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상기 필터지지부(250)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 로어케이스(512)와, 상측개구면(502)이 형성된 어퍼케이스(51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지지부(250)는 상기 로어케이스(512)를 지지하는 로어지지부(252)와, 상기 어퍼케이스(514)를 지지하는 어퍼지지부(254)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지지부(252)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면에서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로어지지부(252)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고,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로 안내하며, 이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어퍼지지부(254)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면에서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어퍼지지부(254)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고,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로 안내하며, 이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로어지지부(252) 및 어퍼지지부(254)의 사이 간격을 필터삽입간격(D1)이라 정의한다.
상기 로어지지부(252) 및 어퍼지지부(254)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로어지지부(252) 및 어퍼지지부(254)의 바깥쪽에 상기 삽입부(150)가 배치되며, 상기 로어지지부(252) 및 어퍼지지부(254) 사이로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50)를 형성하는 로어지지부(252) 또는 어퍼지지부(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사진 가이드면(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251)은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를 상기 필터삽입간격(D1)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면(251)은 상기 어퍼지지부(254)에 배치되고,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면(251)의 외측단(251a)이 내측단(251b)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면(251)은 케이스(200)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면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면(251)은 후술하는 커넥터(560)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필터어셈블리(500)의 삽입 시 커넥터(56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50)가 상기 가이드면(251)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삽입구(150)의 상하 간격(D2)은 상기 필터삽입간격(D1) 보다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어케이스(512) 및 어퍼케이스(514) 사이에 프리필터(520) 및 메인필터(5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케이스(512) 및 어퍼케이스(514)는 분리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상기 프리필터(520) 또는 메인필터(530)의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필터어셈블리(500)를 흡입그릴(3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상측면 중 대부분에 상기 상측개구면(502)이 형성되고, 하측면 중 대부분에 상기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개구면(501) 가장자리에 하측테두리(513)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개구면(502) 가장자리에 상측테두리(511)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테두리(511)에 상기 커넥터(540)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540)는 상기 상측테두리(511)에서 상측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40)는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지지부(254)에 배치된 전극(560)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560)은 제 1 전극(561) 및 제 2 전극(562)을 포함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540)도 제 1 커넥터전극(541) 및 제 2 커넥터전극(542)을 포함하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전극(541) 및 제 2 커넥터전극(542)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 커넥터(540)는, 상기 상측테두리(5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전극바디(543)와, 상기 전극바디(543)를 하측에서 탄성지지하는 전극탄성부재(544)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탄성부재(544)의 하단이 상기 필터케이스(510)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전극바디(543)을 지지한다.
상기 전극바디(543)가 전극탄성부재(544)에 의해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200)에 배치된 전극(560)과 효과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어퍼케이스(514)가 상기 어퍼지지부(254)와 약간 이격되더라도 상기 전극탄성부재(544)에 의해 상기 전극바디(543)가 전극(56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탄성부재(544)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44)의 중심에 삽입되는 탄성고정부(545)가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내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바디(543)는 상기 테두리(511)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전극(560)과 접촉되는 전극바디부(543a)와, 상기 전극바디부(543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케이스(51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전극걸림부(543b)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걸림부(543b)가 상기 테두리(511)의 하측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전극탄성부재(544)의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필터케이스(510)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511)에는 상기 전극바디부(543a)가 관통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바디부(543a)는 상기 테두리(511)의 상측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홀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전극(541) 및 제 2 커넥터전극(542)가 상기 제 1 전극(561) 및 제 2 전극(562)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자외선램프(55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20)는 공기 중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필터(520)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필터(5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520)는 하측테두리(513)에 거치되는 프리필터프레임(522)과, 상기 프리필터프레임(522)의 내측에 배치되는 메쉬망(5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필터프레임(522)은 하측테두리(513) 상측면에 거치되는 거치부(525)와, 상기 거치부(525)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측개구면(501)에 삽입되는 삽입부(526)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525) 및 삽입부(526)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거치부(525) 및 삽입부(526)는 측단면으로 볼 때, "ㄱ"자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거치부(525)의 상측에 메인필터(530)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필터(530)에 의해 상기 거치부(525)가 하측테두리(513)로 가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리필터(5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512) 및 어퍼케이스(514)의 조립 시, 상기 메인필터(530)가 상기 프리필터프레임(522)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프리필터(5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26)는 상기 하측테두리(513)의 내측단(513a)에 지지되고, 이를 통해 상기 프리필터(52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메인필터(530)는 상기 프리필터(520) 보다 공극이 더 작은 재질로 혀엉된다. 상기 메인필터(530)는 상기 프리필터(520)에서 여과된 공기를 다시 여과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필터(530)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메인필터(530)가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필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메인필터(530)는 수평방향으로 골(531) 및 산(532)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필터(530)의 골(531) 및 산(53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550)는 상기 메인필터(53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자외선램프(550)는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외선을 통해 상기 메인필터(530)의 곰팡이, 균, 박테리아 등을 살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램프(550)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램프모듈(551)과, 우측에 배치된 제 2 램프모듈(5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은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은 필터케이스(510)의 내부 좌측면(510a)에 설치되고, 우측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은 필터케이스(510)의 내부 우측면에 설치되고, 좌측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은 후방 좌측에 배치된 제 1 커넥터(540a)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은 전방 우측에 배치된 제 2 커넥터(540b)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작동되어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램프모듈(551)(552)은, 띠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553)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 램프소자(554)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은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좌측면(510a) 또는 우측면(미도시)에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은 제 1 커넥터(540a) 또는 제 2 커넥터(54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램프모듈(551)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제 1 인쇄회로기판이라 하고, 제 2 램프모듈(552)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제 2 인쇄회로기판이라 한다.
또한,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램프모듈(551)에 배치된 램프소자(554)를 제 1 램프소자(556)라 하고, 제 2 램프모듈(552)에 배치된 램프소자를 제 2 램프소자(557)라 한다.
상기 제 1 램프소자(556)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램프소자(556)들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램프소자(557)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 램프소자(557)들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램프소자(556)들 및 제 2 램프소자(557)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램프소자(556)들 및 제 2 램프소자(557)들은 서로 마주하지 않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1 램프소자(556)들 및 제 2 램프소자(557)들의 배치를 통해 상기 메인필터(530)에 자외선이 닿지 않는 음영구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500)는 램프소자(554)에서 발생된 자외선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자외선반사부재(570)가 더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는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산화규소(SiO2)의 분광반사율은 자외선의 경우 81~92%에 달하는 바, 본 발명의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에 의해 상기 자외선반사부재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은 상압 플라즈마를 이용해 직접적으로 목적하는 표면에 증착하는 방식, 이산화규소 졸-겔(sol-gel) 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팅제를 이용하는 것 등 목적하는 대상 표면에 이산화규소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는 파장역 250 ㎚ ∼ 400 ㎚ 의 자외선에 대해 85 % 이상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알루미늄 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이산화규소 코팅층을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코팅제는,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 희석제 80 내지 130 중량부, 실리카(이산화규소) 10 내지 20 중량부 및 자외선 차단제 6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멜라민 수지는 멜라민에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이루지는 메틸올화 멜라민 수지; 메틸올화 멜라민 수지에 탄소수 1 내지 10의 모노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부분 또는 전체의 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100 내지 3,000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희석제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염화 방향족 탄화수소류, 염화 지방족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케톤류, 글리콜에테르(셀로솔브)류, 지환식 탄화수소류 및 지방족 탄화수소류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혼합물인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n-부탄올, 메탄올,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제에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되는 이유는 자외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코팅층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알파-3-(3-(2H-벤조트리아졸-2-일)-5-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및 알파-3-[3-(2H-벤조트리아졸-2-일)-5-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오메가-3-[3-(2H-벤조트리아졸-2-일)-5-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폴리(옥시에틸렌) 혼합물이 40 내지 65중량%,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40 내지 50 중량%, 메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2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제는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4,4'-(1-Methylethylidene)bisphenol polymer with 2,2'-[(1-methylethylidene)bis(4,1-phenyleneoxymethylene)]bis[oxirane]) 40 내지 6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터 3 내지 9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자외선반사부재(57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케이스(512)에 배치된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와, 어퍼케이스(514)에 배치된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는 램프소자(554)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는 램프소자(554)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는 로어케이스(512)의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는 어퍼케이스(514)의 상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는 상측개구면(502)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는 하측개구면(501)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로어케이스(512)의 내측면 또는 어퍼케이스(514)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가 상기 램프소자(544) 주변에 배치될 경우, 램프소자(544)의 출력을 낮추더라도 더 멀리까지 자외선이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는 램프소자(544)가 직접적으로 비출수 없는 영역에도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램프소자(544)의 개수를 축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500)는 램프소자(554)에서 발생된 자외선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자외선반사부재(580)가 프리필터(520)에 더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는 프리필터프레임(522)의 거치부(525)에 배치된다.
상기 거치부(525)의 상측면에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가 배치되고, 상측으로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는 상기 거치부(525)의 상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측에 배치된 상기 램프소자(554)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를 통해 다시 상측으로 반사될 수 있고, 상기 메인필터(530)의 하측면에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524)에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송풍장치 110 : 외기유입구
120 : 내기유입구 130 : 도어
140 : 블로워 150 : 삽입구
500 : 필터어셈블리 510 : 필터케이스
520 : 프리필터 540 : 커넥터
550 : 자외선램프 551 : 제 1 램프모듈
552 : 제 2 램프모듈 553 : 인쇄회로기판
554 : 램프소자

Claims (1)

  1. 차량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
    차량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구;
    상기 블로워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기유입구 및 내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외기유입구 및 내기유입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워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측개구면(502) 및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 필터케이스(510);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필터(530);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 좌측면(510a)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램프모듈(551);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 우측면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램프모듈(552); 상기 필터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램프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커넥터(540a); 및 상기 필터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램프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커넥터(540b);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케이스(530)는,
    상기 하측개구면(501) 가장자리에 형성된 하측테두리(513); 및 상기 상측개구면(502)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측테두리(51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은 상기 상측테두리 및 하측테두리 사이에 배치되고,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이 상기 상측테두리(511)에 가려져 은닉되고,
    상기 제 1 커넥터(540a)는 상기 상측테두리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커넥터(540b)는 상기 상측테두리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에 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은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은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차랑용 송풍장치에는 이산화규소(SiO2) 코팅을 적용하되, 상기 이산화규소 코팅은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 희석제 80 내지 130 중량부, 이산화규소 10 내지 20 중량부 및 자외선 차단제 6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한 것인,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210162448A 2021-03-12 2021-11-23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 KR102477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448A KR102477503B1 (ko) 2021-03-12 2021-11-23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2400 2021-03-12
KR20210032402 2021-03-12
KR20210032399 2021-03-12
KR20210032403 2021-03-12
KR1020210059413A KR102331853B1 (ko) 2021-03-12 2021-05-07 자외선램프 및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210162448A KR102477503B1 (ko) 2021-03-12 2021-11-23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413A Division KR102331853B1 (ko) 2021-03-12 2021-05-07 자외선램프 및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381A true KR20220070381A (ko) 2022-05-31
KR102477503B1 KR102477503B1 (ko) 2022-12-15

Family

ID=789000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413A KR102331853B1 (ko) 2021-03-12 2021-05-07 자외선램프 및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210162451A KR20220070382A (ko) 2021-03-12 2021-11-23 환기 시스템
KR1020210162448A KR102477503B1 (ko) 2021-03-12 2021-11-23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환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413A KR102331853B1 (ko) 2021-03-12 2021-05-07 자외선램프 및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210162451A KR20220070382A (ko) 2021-03-12 2021-11-23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3185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691A (ko) 2004-05-22 2005-11-2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KR100546050B1 (ko) 2004-05-12 2006-01-25 아누스(주) 자동차용 에어필터
JP2015193271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KR20160000998U (ko) 2016-02-15 2016-03-28 곽종수 자동차용 에어컨 습기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877373B1 (ko) * 2017-02-27 2018-07-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에어필터
KR20190054953A (ko)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신광테크 이동형 자외선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기정화장치
KR20190099610A (ko) * 2018-02-19 2019-08-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용 공기 정화장치
KR20190138231A (ko) * 2018-06-04 2019-12-12 박원일 자외선 발광장치 일체형 차량용 에어컨 필터
KR20200076988A (ko) * 2018-12-20 2020-06-30 (주)이지인스트루먼트 자동차 공조시스템의 필터 오염도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050B1 (ko) 2004-05-12 2006-01-25 아누스(주) 자동차용 에어필터
KR20050111691A (ko) 2004-05-22 2005-11-2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JP2015193271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KR20160000998U (ko) 2016-02-15 2016-03-28 곽종수 자동차용 에어컨 습기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877373B1 (ko) * 2017-02-27 2018-07-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에어필터
KR20190054953A (ko)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신광테크 이동형 자외선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기정화장치
KR20190099610A (ko) * 2018-02-19 2019-08-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용 공기 정화장치
KR20190138231A (ko) * 2018-06-04 2019-12-12 박원일 자외선 발광장치 일체형 차량용 에어컨 필터
KR20200076988A (ko) * 2018-12-20 2020-06-30 (주)이지인스트루먼트 자동차 공조시스템의 필터 오염도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382A (ko) 2022-05-31
KR102331853B1 (ko) 2021-12-01
KR102477503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852B1 (ko)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GB2302004A (en) Air purifier
KR102304032B1 (ko) 바이러스 포집,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6301B1 (ko) 자연대류를 이용한 공기청정살균기
KR102331853B1 (ko) 자외선램프 및 이산화규소 항균 코팅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
KR101992285B1 (ko) 설치공간의 제약을 해소한 공기 청정 순환 장치
KR101915659B1 (ko) 소형 에어워셔 가습기
KR100543330B1 (ko)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KR100522336B1 (ko) 가습기
JP2023071590A (ja) 気象情報に連動したエネルギー節減型空気清浄クリーン換気システム
CN111735128B (zh) 一种加湿净化器
CN211822801U (zh) 空调器
KR20100062668A (ko)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KR100491767B1 (ko) 공기조화기
KR102481601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0823632B1 (ko) 공기청정기
KR102480369B1 (ko)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
KR102458899B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자연식 공기 청정기
KR102434312B1 (ko) Uv 살균 필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에어콘
JP3717852B2 (ja) 空気調和機用紫外線ランプ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7307356B2 (ja) 空気調和機
JP7445148B2 (ja) 空気処理装置
CN213911609U (zh) 一种车载消毒箱结构
KR101817096B1 (ko)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