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704A -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704A
KR20220069704A KR1020200157106A KR20200157106A KR20220069704A KR 20220069704 A KR20220069704 A KR 20220069704A KR 1020200157106 A KR1020200157106 A KR 1020200157106A KR 20200157106 A KR20200157106 A KR 20200157106A KR 20220069704 A KR20220069704 A KR 2022006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lectronic device
image
process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주
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704A/ko
Publication of KR2022006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2Monitoring progression or stage of a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5Surgical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복실에 의료진이 없는 경우에도 환자를 보다 빠르게 처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PATIENT CONDITION}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회복실(또는 중환자실)은 수술을 마친 환자들이 회복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러한 회복실은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 장비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진은 이러한 다양한 의료 장비를 통해 수술을 마친 환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환자를 빠르게 처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복실 내의 환자들에게 빠른 응급 처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회복실에는 항상 의료진이 대기해야만 한다.
그러나, 환자의 위급 상황이 갑자기 발생되고, 회복실에 대기중인 의료진이 없는 경우, 환자는 응급 처치를 받지 못하게 되고, 결국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이 회복실에 없는 경우에도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되면, 환자의 응급 상황을 의료진에게 신속히 전달하여 환자에게 빠른 처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종래에는 회복실에 대기중인 의료진이 없는 상태에서 환자의 위급 상황이 갑자기 발생되는 경우, 환자에게 빠른 처치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 정보 및 환자의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에 기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에 해당되는 의료진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 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 정보 및 환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현재 환자의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위급 상태인 경우, 환자의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 정보 및 환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 정보에서 환자의 수술 부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이미지와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식별하여 통증 인덱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하여 환자 위급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통증 인덱스와 상기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해당 의료진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수술 정보 및 환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현재 환자의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를 식별함으로써, 회복실에 의료진이 없는 경우에도 환자를 보다 빠르게 처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위급 상태인 경우, 환자의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보다 신속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 정보 및 환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서 환자의 처치를 지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 정보에서 환자의 수술 부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환자의 통증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이미지와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수술 부위에 의한 통증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식별하여 통증 인덱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하여 환자 위급 상태를 식별함으로써, 수술 부위에 의한 통증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통증 인덱스와 생체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환자가 위급 상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위급 상황을 자동으로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해당 의료진에게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위급 상황에 맞는 의료진에게 적절히 처치를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한 환자의 회복을 위한 회복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한 환자의 회복을 위한 회복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한 환자의 회복을 위한 회복실(100)은 적어도 한 명의 환자(110,120)가 수술 후 회복을 위한 공간이다. 이러한 회복실(100)는 환자의 건강 회복을 위한 다양한 의료 장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의료 장비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 환자(110, 120)의 주위에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환자의 통증의 정도 또는 위급 상황을 식별하고, 환자의 통증이 심하거나, 또는 위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의료진에게 이러한 사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 장치는 환자 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환자에 배치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에 기반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메라(111)는 제1 환자(110)의 신체 일부(예: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1 센서(112)는 환자의 신체 일부(예: 팔)에 부착되어 환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카메라(121)는 제2 환자(120)의 신체 일부(예: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2 센서(122)는 환자의 신체 일부(예: 팔)에 부착되어 환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각 카메라(111, 121)는 회복실(또는 중환자실) 내부의 해당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예: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여 해당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각 센서(112, 122)는 회복실(또는 중환자실) 내부의 해당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전자 장치는 기 저장된 환자에 대한 수술 정보, 상태 정보 및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 및 통증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전자 장치는 환자가 위급 상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간호사의 단말)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간호사(130)는 해당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회복실로 들어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시스템(20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211, 221, 231, 241)과, 상기 전자 장치들(212, 222, 232, 242) 각각에 연결된 센서들(212, 222, 232, 242) 및 카메라들(213, 223, 233, 24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2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시스템(2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시스템(200)의 구성 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211, 221, 231, 241), 센서들(212, 222, 232, 242) 및 카메라들(213, 223, 233, 243)은 회복실(10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250)는 회복실(100)에 배치되거나 또는 회복실(1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250)는 복수의 환자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집도의, 어시스트 또는 간호사의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복실(100)에 복수의 환자들이 회복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1), 제1 센서(212), 및 제1 카메라(213)은 환자 침대에 관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카메라(213)는 환자의 신체 일부 또는 신체 전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용이한 위치(예: 침대의 위치한 곳의 천장, 또는 침대의 거치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212)는 환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자 장치(211)는 상기 제1 카메라(213) 및 상기 제1 센서(212)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환자의 침대에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211)는 상기 제1 카메라(213) 및 상기 제1 센서(212)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회복실(1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들(212, 222, 232, 242) 각각은 해당 환자에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심박수, 심전도, 근전도, 호흡 수, 혈압, 체온 등)에 대한 정보를 해당 전자 장치(211, 221, 231, 241)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212, 222, 232, 242) 각각은 회복실 또는 중환자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 장비에서 획득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전자 장치(211, 221, 231, 241)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들(213, 223, 233, 243) 각각은 해당 환자에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해당 전자 장치(211, 221, 231, 241)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들(213, 223, 233, 243) 각각은 회복실 또는 중환자실에서 회복중인 환자의 신체 일부(예: 얼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해당 전자 장치(211, 221, 231, 241)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211, 221, 231, 241) 각각은 해당 센서 및 해당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통해 환자의 통증 정도 또는 위급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들(211, 221, 231, 241) 각각은 해당 환자의 수술 정보 및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의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들(211, 221, 231, 241) 각각은 위급 상태 또는 통증 정도에 기반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2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211)는 통신부(310), 인터페이스부(320), 입력부(330), 저장부(340), 카메라부(350), 스피커(360), 표시부(370), 센서부(380), 및 프로세서(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211)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상기 전자 장치(211)의 구성 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21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인터페이스부(320), 입력부(330), 저장부(340), 카메라부(350), 스피커(360), 표시부(370), 센서부(380), 및 프로세서(39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250)의 통신부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10)는 병원 내의 서버(미도시)로부터 환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환자의 나이, 성별, 수술 부위, 수술 시각, 수술 시간, 마취제 정보, 마취가 깰 예상 시간, 혈액형 및 몸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통신부(310)는 다양한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10)는 인체의 각 수술 부위 별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인체의 각 신체 부위의 수술에 따른 회복 중에 환자에게 통증이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통증의 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통증 인덱스가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각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화된 이미지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10)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환자에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또는 침상에 누운 환자의 수면 자세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10)는 센서부(380)에서 획득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심박수, 심전도, 근전도, 호흡 수, 혈압, 체온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생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320)는 회복실 내의 다양한 외부 전자 장치(예: 맥박 산소 계측기, 석션 기구, 주입 펌프, 응급 키트, 심전도, 제세동기, 인공호흡기, ICP(Intracranial Pressure) 등)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32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자 장치(211)와 외부 전자 장치(예: 맥박 산소 계측기, 석션 기구, 주입 펌프, 응급 키트, 심전도, 제세동기, 인공호흡기, ICP(Intracranial Pressure) 등)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330)는 외부 장치(예: USB(Universal Serial Bus), 외장 하드(미도시) 등)로/로부터 수술한 환자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30)는 입력된 환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39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330)는 스위치, 버튼 등의 물리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하거나 터치 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전기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330)는 사용자(예: 집도의, 간호사, 마취의 등등)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340)는 전자 장치(21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390)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USB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상기 전자 장치(21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통신부(310), 인터페이스부(320), 입력부(330), 저장부(340), 카메라부(350), 스피커(360), 표시부(370), 센서부(380), 및 프로세서(390))에 의해 획득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예: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획득된 정보, 측정된 정보, 제어 신호 등), 및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340)는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병원 내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환자의 나이, 성별, 수술 부위, 수술 시각, 수술 시간, 마취제 정보, 혈액형 및 몸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저장부(340)는 다양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인체의 각 수술 부위 별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인체의 각 신체 부위의 수술에 따른 회복 중에 환자에게 통증이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통증의 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통증 인덱스가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각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화된 이미지이다. 상기 통증 인덱스는 동일한 수술 부위에서 통증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 복수의 환자들의 평균화된 값이며, 통증 정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환자에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또는 침상에 누운 환자의 수면 자세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센서부(380)에서 획득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심박수, 혈압, 체온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환자의 위급 상태에 기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환자의 위급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340)는 사람의 특성 예를 들면, 성별, 수술 부위별, 및 혈액형 별로 마취가 깰 때의 통증에 대한 표준화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준화된 이미지는 수술 이후 마취가 깨는 과정에 따른 통증 정도에 대한 평균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예를 들면, 상기 이미지는 복수의 사람들의 통증에 따른 평균을 계산하여 획득한 이미지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50)는 회복실(또는 중환자실) 내부의 적어도 한 명의 환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부(350)는 회복실 내부의 사람(예: 환자, 집도의, 간호사, 마취의 등)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50)는 회복실의 침대상의 환자에 대한 수술 부위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350)는 인공지능 칩(예: ThinQ)이 내장된 영상 지능 카메라(또는 스마트 영상 지능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지능 카메라를 통해 수술 환자의 얼굴 및 수술 부위을 인식할 수 있고, 회복실 내의 사람(예: 집도의, 간호사, 마취의 등)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지능 카메라는 인공지능 칩(예: ThinQ)에서 동작 가능한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이 적용된 카메라로서, 환자의 안면 또는 수술 부위 인식, 및 수술실 내의 사람(예: 집도의, 간호사, 마취의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지능 카메라는 전자 장치(211)의 카메라부(35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390)는 영상 지능 카메라를 통해 회복실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람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예: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예: 간호사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복실 외부에서도 회복실 내부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350)는 조명에 의한 조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환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예: RGB(Red Green Blu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50)는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조명을 발광하는 소자(예: LED, IR 패턴 조명)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환자의 체온 정보를 프로세서(39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50)는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천장에 배치되거나, 침대의 거치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360)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피커(360)는 음향 출력 장치(예: 이어폰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60)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1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60)는 회복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사람(예: 집도의, 간호사, 마취의)에게 제공될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370)는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70)는 상기 프로세서(314)에 의해 처리된, 처리중, 또는 처리될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70)는 전자 장치(211)를 통해 환자의 마취 상태, 의식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312)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380)는 환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프로세서(39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80)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 장치(21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어 환자로부터 생체 정보(예: 체온, 심박수, 맥박수, 혈압, 심전도, 근전도, 뇌파 등)를 획득하여 프로세서(39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80)는 상기 전자 장치(211)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상기 프로세서(39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통신부(310), 인터페이스부(320), 입력부(330), 저장부(340), 카메라부(350), 스피커(360), 표시부(370), 및 센서부(380))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유선 통신 또는 상기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통신부(310), 인터페이스부(320), 입력부(330), 저장부(340), 카메라부(350), 스피커(360), 표시부(370), 및 센서부(380) 등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340)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부(3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부(370)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3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인공지능 칩(예: ThinQ)(391)이 내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공지능 칩에 대한 알고리즘은 상기 프로세서(39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칩은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프로세서로서 다양한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 인지, 추론, 판단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90)는 카메라부(350)를 통해 환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센서부(380)를 통해 환자에 대한 다양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환자에 투여할 마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390)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환자의 수술 정보 및 환자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위급 상태에 기반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인공지능 칩을 통해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수술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수술 부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화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에 매칭되는 제3 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3 이미지에 연계된 통증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 위급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90)는 회복실의 천장 또는 침대의 거치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환자의 통증에 의한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획득한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390)는 회복실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기로부터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통증 인덱스와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 또는 통증이 심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에 대한 수술 정보 및 환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의 위급 상태 및 통증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가 위급 상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저장부(340)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가 전송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위급 상태가 심각한 경우(예: 상)인 경우, 상기 환자를 수술한 집도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보통인 경우(예: 중)인 경우, 상기 환자의 수술 부위에 대한 어시스트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약한 경우(예: 하)인 경우, 상기 수술 부위에 관련된 간호사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또는 위급 정도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를 집도의 단말, 어시스트 단말, 또는 간호사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통증에 따른 환자의 위급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위급 상태가 심각한 경우(예: 통증이 심한 경우), 상기 환자를 수술한 집도의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위급 상태가 보통인 경우(예: 통증이 보통인 경우), 상기 환자의 수술을 진행한 어시스트의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위급 상태가 약한 경우(예: 통증이 약한 경우), 간호사의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390)는 식별자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병원 내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술한 환자에 대한 수술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술 정보는 환자의 나이, 성별, 수술 부위, 수술 시각, 수술 시간, 마취제 정보, 마취가 깰 예상 시간, 혈액형 및 몸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술 정보는 수술 중에 발생된 정보(예: 회복실에서의 추가 처치(진동제 추가 주입 등)할 내용)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생체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S412).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복수의 환자들의 수술 부위별 통증 정도에 따라 표준화된 이미지를 저장부(3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환자의 특성(예: 연령대, 성별, 혈액형 별, 몸무게 등)에 따라 각 수술 부위 별로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카메라부(350)(예: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환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예: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환자의 얼굴을 촬영한 이미지, 환자의 전신을 촬영한 이미지,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환자의 체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자의 얼굴을 촬영한 이미지는 환자의 통증에 따른 표정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에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심박수, 심전도, 근전도, 호흡 수, 혈압, 체온 등)를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부(38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회복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 장비에서 획득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수술 정보,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생체 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414).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수술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가 현재 위급 상태인지 또는 위급 상태가 아닌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수술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의 통증 정도가 상(예: 통증이 심한 경우)인지, 중(예: 통증이 보통인지), 또는 하(예: 통증이 약한지)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획득된 수술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수술 부위(예: 무릎, 어깨, 허리 등)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술 부위(예: 무릎, 어깨, 허리 등)에 따른 통증이 심한(예: 상)인 경우 통증 인덱스는 3이고, 통증이 보통(예: 중)인 경우 통증 인덱스는 2이다. 그리고, 통증이 약한(예: 하)인 경우 통증 인덱스는 1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인덱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예: 기준 이미지)를 저장부(3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각 수술 부위 별로 통증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되는 이미지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통증 인덱스를 포함하며, 복수의 사람들에 의해 평균화된 이미지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주기적으로 환자의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의 특징점(예: 눈, 눈썹, 코, 입, 눈간 거리, 눈썹간 거리, 입 모양 등)을 분석하여 환자의 웃는 얼굴, 우는 얼굴, 통증을 느끼는 얼굴, 통증 정도에 따른 얼굴 표정 변화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무표정(예: 웃음, 울음, 또는 통증이 없는 상태의 얼굴)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저장부(340)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는 현재 통증을 느끼고 있는 환자의 신체 일부(예: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저장부(340)에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와 현재 통증을 느끼고 있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제2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신체 부위는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신체 부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동일한 신체 부위에서 통증 인덱스가 상이한 이미지이며, 통증 정도에 따라 통증 인덱스가 기록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간의 매칭을 통해 현재 환자의 통증의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에 매칭되는 제3 이미지(예: 상기 제2 이미지의 통증 인덱스가 동일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각각에서의 특징점(예: 눈, 눈썹, 코, 입 등)과, 제2 이미지에서의 특징점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서의 특징점과 매칭율이 높은(예: 매칭율 80%이상)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서의 특징점과 매칭율이 높은(예: 매칭율 80%이상) 이미지의 통증 인덱스(예: 3)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칭율이 60% 이하이면 통증 인덱스는 1이고, 매칭율이 60%-80%이면, 통증 인덱스는 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증 인덱스(예: 3)가 획득되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예: 3)에 기반하여 현재 환자의 위급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통증이 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무표정(예: 웃음, 울음, 또는 통증이 없는 상태의 얼굴)에 해당되는 기준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통증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기준 이미지의 특징점과 상기 제2 이미지의 특징점 간의 매칭율에 기반하여 통증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매칭율이 낮을수록 통증이 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기준 이미지의 각 특징점과 상기 제2 이미지의 각 특징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에 기반하여 통증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계산된 거리가 클 수록 통증이 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센서부(380)를 통해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는 환자의 맥박, 심박수, 심전도, 근전도, 호흡 수, 혈압,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회복실(또는 중환자실)에 배치된 의료 장비로부터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통증 인덱스와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환자가 현재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416).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제2 이미지에 매칭된 제3 이미지에 설정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하여 환자가 현재 통증의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통증 인덱스가 3이면, 환자가 현재 통증이 심각한 것으로 판단하고, 통증 인덱스가 2이면, 환자가 현재 통증이 보통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통증 인덱스가 1이면, 환자가 현재 통증이 약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가 해당 생체 신호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또는 정상 범위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통해 환자의 상태가 위급한지 또는 위급하지 않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신호(예: 혈압)가 정상 범위(예: 수축기 120mmHg 미만, 이완기 80mmHg 미만)에 속하는 경우, 상기 환자는 현재 위급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통증 인덱스 및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의 통증 정도 및 환자의 위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통증 인덱스에 기반하여 환자의 통증 정도를 식별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환자의 통증 정도를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환자의 위급 상태를 식별한 후, 상기 통증 인덱스를 반영하여 환자의 위급 상태를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획득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418).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통증 정도 및 위급 상태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통증 정도 또는 위급 상태의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통증이 심하거나, 위급한 상태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수술을 진행한 집도의의 처치를 직접 요구하는 내용(예: 김00 환자의 혈압은 수축기 80mmHg이고, 이완기 50mmHg입니다. 급히 처치 바랍니다)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통증이 보통이거나, 위급 정도가 보통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수술을 진행한 어시스트의 처치를 직접 요구하는 내용(예: 김00 환자의 혈압은 수축기 100mmHg이고, 이완기 70mmHg입니다. 환자 상태를 확인 바랍니다)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통증이 약하거나, 위급 정도가 약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간호사의 확인을 요구하는 내용(예: 김00 환자의 혈압은 수축기 110mmHg이고, 이완기 80mmHg입니다. 환자의 혈압이 정상 범위보다 약간 낮습니다. 관찰이 요구됩니다)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또는 위급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420).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또는 위급 정도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를 집도의 단말, 어시스트 단말, 또는 간호사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통증에 따른 환자의 위급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위급 상태가 심각한 경우(예: 통증이 심한 경우), 상기 환자를 수술한 집도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위급 상태가 보통인 경우(예: 통증이 보통인 경우), 상기 환자의 수술을 진행한 어시스트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위급 상태가 약한 경우(예: 통증이 약한 경우), 간호사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획득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정보, 상태 정보 및 생체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S5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술이 완료된 환자에 대한 수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술 정보는 환자의 나이, 성별, 수술 부위, 수술 시각, 수술 시간, 마취제 정보, 마취가 깰 예상 시간, 혈액형 및 몸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술 정보는 수술 중에 발생된 정보(예: 회복실에서의 추가 처치(진동제 추가 주입 등)할 내용)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 및 생체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복수의 환자들의 수술 부위별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표준화된 이미지(예: 통증이 발생될 때의 얼굴 이미지)를 저장부(3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환자의 특성(예: 연령대, 성별, 혈액형 별, 수술 부위, 몸무게 등)에 따라 각 수술 부위 별로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환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예: 환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환자의 얼굴을 촬영한 이미지, 환자의 전신을 촬영한 이미지,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환자의 체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자의 얼굴을 촬영한 이미지는 환자의 통증에 따른 표정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부(38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환자에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심박수, 심전도, 근전도, 호흡 수, 혈압, 체온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회복실 또는 중환자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 장비에서 획득한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512).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정보, 환자의 상태 정보 및 환자의 생체 신호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가 현재 위급 상태인지 또는 위급 상태가 아닌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수술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환자의 통증 정도가 상(예: 통증이 심한 경우)인지, 중(예: 통증이 보통인지), 또는 하(예: 통증이 약한지)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회복실(또는 중환자실)에 배치된 의료 장비로부터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환자가 현재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514).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통증 정도 및 위급 상태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통증 정도 또는 위급 상태의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통증이 심하거나, 위급한 상태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수술을 진행한 집도의의 처치를 직접 요구하는 내용(예: 김00 환자의 체온은 40도입니다. 급히 처치 바랍니다)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통증이 보통이거나, 위급 정도가 보통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수술을 진행한 어시스트의 처치를 직접 요구하는 내용(예: 김00 환자의 체온은 38도입니다. 환자 상태를 확인 바랍니다)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통증이 약하거나, 위급 정도가 약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간호사의 확인을 요구하는 내용(예: 김00 환자의 체온은 37도입니다. 환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보다 약간 높습니다. 관찰이 요구됩니다)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또는 위급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의 전송에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516).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또는 위급 정도에 기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집도의 단말, 어시스트 단말, 또는 간호사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집도의 단말, 어시스트 단말, 또는 간호사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메시지에 포함된 위급 정도 또는 통증 정도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환자의 통증에 따른 환자의 위급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위급 상태가 심각한 경우(예: 통증이 심한 경우), 상기 환자를 수술한 집도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위급 상태가 보통인 경우(예: 통증이 보통인 경우), 상기 환자의 수술을 진행한 어시스트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위급 상태가 약한 경우(예: 통증이 약한 경우), 간호사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11)(예: 프로세서(390))는 상기 식별자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310: 통신부 320: 인터페이스부
330: 입력부 340: 저장부
350: 카메라부 360: 스피커
370: 표시부 380: 센서부
390: 프로세서

Claims (20)

  1.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부;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수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수술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수술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수술 부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획득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상기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화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에 매칭되는 제3 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3 이미지에 연계된 통증 인덱스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 위급 상태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와 상기 획득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획득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상인 경우, 상기 환자를 수술한 집도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중인 경우, 상기 환자의 수술 부위에 대한 어시스트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하인 경우, 상기 수술 부위에 관련된 간호사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환자 상태 식별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수술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수술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획득된 수술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수술 부위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식별된 수술 부위의 통증 인덱스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상기 수술 부위에 따른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화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에 매칭되는 제3 이미지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제3 이미지에 연계된 통증 인덱스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 위급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위급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된 통증 인덱스와 상기 획득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가 위급 상태인지를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획득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상인 경우, 상기 환자를 수술한 집도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중인 경우, 상기 환자의 수술 부위에 대한 어시스트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가 하인 경우, 상기 수술 부위에 관련된 간호사의 단말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 식별 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환자의 위급 상태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환자 상태 식별 방법.
KR1020200157106A 2020-11-20 2020-11-20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069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06A KR20220069704A (ko) 2020-11-20 2020-11-20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06A KR20220069704A (ko) 2020-11-20 2020-11-20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04A true KR20220069704A (ko) 2022-05-27

Family

ID=8179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06A KR20220069704A (ko) 2020-11-20 2020-11-20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7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9581B (zh) * 2022-08-02 2024-06-07 合肥工业大学 重症卧床患者面部状态记录仪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9581B (zh) * 2022-08-02 2024-06-07 合肥工业大学 重症卧床患者面部状态记录仪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4254B (zh) 医院视频监控系统
US10448874B2 (en) Visit du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19509094A (ja) 被験者の嚥下障害の検出および監視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5372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trokes
CN110582228A (zh) 用于确定婴儿的健康状态的方法和装置
JP2017174266A (ja) 遠隔患者支援システム
JP2019512331A (ja) 視覚的コンテキストを用いる、生理学的パラメータの測定の適時トリガ
JP6912548B2 (ja) センサアセンブリを識別するシステム、方法、患者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センサアセンブリ
KR20060084916A (ko)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원격건강관리시스템 및 서비스
KR20220069704A (ko) 환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302531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r activity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US8172743B2 (en) Interactive hypnotic bio-stabilization system
KR102193558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611871B1 (ja) 監視装置
US20190142340A1 (en) Physiologica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device for collecting physiological condition readings and device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ondition readings
KR20220061614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스마트 안경 및 방법
CN112022116A (zh) 基于智能穿戴手表的病人病情护理监控系统
KR20220051878A (ko) 전자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KR20210086778A (ko) 사지압박순환장치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92644A1 (en) Controlling method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ondition of first user and related products
US20220108796A1 (en) Systems Enabling Doctors to Access Medical Device Data
JP2022122257A (ja) 状態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透析システム
JP2022031220A (ja) 遠隔医療システム
US20210393144A1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