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441A -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441A
KR20220069441A KR1020200156548A KR20200156548A KR20220069441A KR 20220069441 A KR20220069441 A KR 20220069441A KR 1020200156548 A KR1020200156548 A KR 1020200156548A KR 20200156548 A KR20200156548 A KR 20200156548A KR 20220069441 A KR20220069441 A KR 2022006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s
state
signal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018B1 (ko
Inventor
문용준
강혁
임경수
Original Assignee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0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09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by impedance pneu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3Detecting or evaluating cough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모션을 센싱하고,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피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제1 ADC,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제2 ADC,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에 제공하고, 상기 제1 ADC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ADC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에 제공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ADC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BIO-METRIC SIGNAL MEASURING APPARATUS USING SENSORS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 OF}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 결과 그에 따라 각각 내부의 모듈의 활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휴대하면서 자신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즉시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건강 관리를 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생체 정보 측정 장치가 각광 받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생체 정보 측정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휴대 단말과 같은 전자 장치에 모듈 형태로 구비되거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정보 측정 가능한 전자 장치는 생체 정보의 종류에 따라 신체의 해당 부위에 다수의 전극을 부착 또는 접촉시켜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제공된 피검자의 다양한 생체 지수 및 체성분 등을 통해 건강 상태를 바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피검자는 제공된 생체 지수 및 체성분을 통해 현재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그에 맞는 운동, 다이어트, 재활 치료, 또는 정밀한 검사가 요구되는 건강 검진 항목 등을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감지한 후 그 결과에 따라 각각 내부의 모듈의 활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모션을 센싱하고,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피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제1 ADC,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제2 ADC,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에 제공하고, 상기 제1 ADC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ADC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에 제공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ADC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은 제1 제어부가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ADC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제어부가 제1 ADC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ADC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ADC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제어부가 상기 제2 ADC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신체 접촉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는 복수의 전극,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접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1 센서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센서에 제공한 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생체 신호 및 상기 제2 생체 신호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서 실행되는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에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신체 접촉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1 센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센서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생체 신호 및 상기 제2 생체 신호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 결과 그에 따라 각각 내부의 모듈의 활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은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통해 생체 신호가 측정되는 대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일부분, 특히, 혈관 부분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고, 미세 전류가 흐르는 혈관 부분에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부착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된 후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에 착용되면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거나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에 작용되는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센서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접촉하거나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착용하면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한다.
복수의 센서에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전류가 흐르게된다. 이때, 복수의 센서에 측정 전류가 흐름으로써 측정 전류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혈관에 포함된 임피던스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센서는 측정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위차를 검출하여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전원 상태가 온 상태가 되면, 제1 센서(210_1)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한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210_1)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220)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한다.
한편,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210_1)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센서(210_1)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제1 ADC(22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그 후,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제1 제어부(240)를 통해 제1 ADC(220)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1 ADC(220)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비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하고, 제2 ADC(230)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230)에 제공한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제2 ADC(23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그 후,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제2 제어부(250)는를 통해 제2 ADC(230)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한 후, 생체 전위차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로부터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를 통해 생체 전위차(즉, 제1 생체 데이터 및 제2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300)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로부터 제1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1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가 기침을 하지 않을 경우 생성된 일반 데이터 및 사용자가 기침을 하는 경우 생성된 특징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1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생체 데이터를 전처리(즉, 노이즈 필터링 등)한 후, 전처리된 제1 생체 데이터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그래프 상에 표시된 제1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그래프 상에 표시된 제1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상이면,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이전 및 특정 시간 이후에 생성된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상인 생체 데이터(즉, 기침)가 생성되기 전에 수치가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인 생체 데이터(즉, 잔기침, 마른 기침 등)가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생체 데이터를 전처리(즉, 노이즈 필터링 등)한 후, 전처리된 제1 생체 데이터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그래프 상에 표시된 제1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이더라도 특정 수치까지의 차이 수치에 따라 해당 시점의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이더라도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까지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 이하이면 해당 시점의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이더라도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까지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 이상이면 해당 시점의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인 생체 데이터(즉, 잔기침, 마른 기침 등)의 경우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 까지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 이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2 센서(210_2)에 의해 측정된 제2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가 기침을 하지 않을 경우 생성된 일반 데이터 및 사용자가 기침을 하는 경우 생성된 특징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1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 특징 데이터를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생체 데이터를 전처리(즉, 노이즈 필터링 등)한 후, 전처리된 제1 생체 데이터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그래프 상에 표시된 제2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그래프 상에 표시된 제2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상이면,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이전 및 특정 시간 이후에 생성된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상인 생체 데이터(즉, 기침)가 생성되기 전에 수치가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인 생체 데이터(즉, 잔기침, 마른 기침 등)가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생체 데이터를 전처리(즉, 노이즈 필터링 등)한 후, 전처리된 제2 생체 데이터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그래프 상에 표시된 제2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이더라도 특정 수치까지의 차이 수치에 따라 해당 시점의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이더라도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까지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 이하이면 해당 시점의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생체 데이터의 수치가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이더라도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까지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 이상이면 해당 시점의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로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이하인 생체 데이터(즉, 잔기침, 마른 기침 등)의 경우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 까지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 이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300)은 제1 특징 데이터 및 제2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침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참조된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는 제2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참조된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는 서로 상이하며, 제1 임계 기침 발생 수치가 제2 임계 기침 발생 수치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제1 제1 특징 데이터 및 제2 특징 데이터의 수치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특징 데이터의 최대 수치 및 제2 특징 데이터의 최대 수치 사이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 이하이고, 제1 특징 데이터의 최소 수치 및 제2 특징 데이터의 최소 수치 사이의 차이 수치가 특정 수치이하이면 기침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제1 특징 데이터 및 제2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침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사용자 단말(300)은 제1 특징 데이터 및 제2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침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1 특징 데이터 및 제2 특징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1 특징 데이터 및 제2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침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1 특징 데이터 및 제2 특징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 제1 ADC(220), 제2 ADC(230), 제1 제어부(240), 제2 제어부(250) 및 제3 ADC(260)를 포함한다.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1 센서(210_1)는 사용자에게 기침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의 모션이 움직일 경우 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관성 센서 중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에 접촉되는 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며전도성 전극은 일회용 전극(disposable electrode), 건성 전극(dry electrode), 능동 건성 전극(active dry electrode), 전도성 천 전극(conductive patch electrode), 전도성 고무 전극(conductive rubber electrode) 등과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전도성 전극은 피부와 직접 맞닿는 부분이므로 피부에 트러블이 생기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바, 피부 트러블을 줄이고 동시에 안정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은 또는 다른 금속으로 코딩된 전도성 섬유를 통해 직조되어야 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접촉하거나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착용하면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한다.
이때, 생체 임피던스 신호는 혈관 내의 맥파에 따라 혈관의 임피던스가 미세하게 변화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일부분, 특히, 혈관 부분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고, 미세 전류가 흐르는 혈관 부분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생성된 신호이다.
즉, 생체 임피던스 신호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에서 측정한 혈관의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광혈류 측정 신호와 마찬가지로, 생체 임피던스 신호에는 심전도 신호의 피크 값, 즉 R 피크(R peak) 값에 동기화된 규칙적인 극(pole) 값이 나타난다.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에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전류가 흐르게된다. 이때,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에 측정 전류가 흐름으로써 측정 전류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을 통해 혈관에 포함된 임피던스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및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는 측정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위차를 검출하여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ADC(220)는 제1 제어부(240)의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ADC(220)는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 각각과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1 ADC(220)는 제1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거나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된다. 즉, 제1 ADC(220)는 제1 제어부(240)에 의해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착용하려는 모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에만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ADC(230)는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ADC(230)는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 각각과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2 ADC(230)는 제2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거나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된다. 즉, 제2 ADC(230)는 제1 제어부(240)에 의해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접촉한 상태라고 판단될 때에만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3 ADC(260)는 제1 센서(210_1)의 측정 신호를 처리한다. 즉, 제3 ADC(260)는 제1 센서(210_1)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여 제2 제어부(250)에 제공한다.
즉 상기의 제1 ADC(220), 제2 ADC(230) 및 제3 ADC(260)는 아날로그 신호(생체신호, 오디오 신호, 모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이며, 제1/2/3 ADC는 ADC의 이런 기능과 아날로그 필터, 증폭, 멀티플렉서(MUX) 등의 기능 수행을 포함한다.
제1 제어부(24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1 센서(210_1)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220)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한다.
또한, 제1 제어부(240)는 제1 ADC(220)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ADC(230)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23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4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 및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 ADC(230)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230)에 제공한다.
한편, 제1 제어부(240)는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ADC 상태(220)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비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한다.
만일, 제1 제어부(240)는 저전력 상태일 때 제2 제어부(250)가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되면 비저전력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제1 제어부(240)의 상태가 저전력 상태일 때 제1제어부(240)를 대신하여 제1 제어부(240)의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서(210_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 ADC(230)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한다.
만일, 제2 제어부(250)는 제1 센서(210_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 ADC(230)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1 ADC(220)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하고, 제2 ADC(230)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비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230)에 제공한다.
또한, 제2 제어부(250)는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를 통해 측정된 생체 전위차에서 특정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부(25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상기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 각각과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이 미리 결정된 사용자 접촉 생체 임피던스 신호 범위에 해당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부(25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센서(210_1~210_N) 및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이 미리 결정된 사용자 착용 생체 임피던스 신호 범위에 해당하면, 생체 신호 측정 대상(100)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를 착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210_1~210_N)에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신체 접촉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한다(단계 S31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센서(210_1~210_N)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1 센서(210_1)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1 센서에 제공한다(단계 S33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센서(210_1~210_N)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4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센서에 제공한다(단계 S35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상기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생체 신호 및 상기 제2 생체 신호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360).
도 4는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생체 신호 측정 주기에 도래하였으면(단계 S410),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1 센서(210_1)(즉,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관성 센서)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다(단계 S415).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제1 센세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면 제어부(240)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다(단계 S425).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3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즉,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며,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가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435).
도 5는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전원 상태가 온 상태가 되면(단계 S505), 제1 센서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51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1 제어부(25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1 센서(210_1)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15),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220)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한다(단계 S520).
한편,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1 제어부(250)는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1 센서(210_1)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센서(210_1)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525).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1 ADC(220)는 상기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1 제어부(240)는 제1 ADC(220)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면(단계 S530), 상기 제1 ADC(220)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비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하고, 제2 ADC(230)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230)에 제공한다(단계 S535).
한편,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1 제어부(240)는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단계 S530), 제1 ADC(220)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비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한다(단계 S540).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2 ADC(230)는 상기 복수의 센서(210_1~210_N) 중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한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2 제어부(250)는 상기 제2 ADC(230)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면(단계 S545) 상기 제2 센서의 제1 전극(210_2) 또는 제2 센서의 제2 전극(210_3)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한 후(단계 S550), 생체 전위차를 외부 장치에 제공한다(단계 S560).
한편,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의 제2 제어부(250)는 상기 제2 ADC(230)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단계 S545), 상기 제1 ADC(220)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220)에 제공하고, 제2 ADC(230)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비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230)에 제공한다(단계 S555).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생체 신호 측정 대상,
200: 생체 신호 측정 장치,
210_1~210_N: 복수의 센서,
220: 제1 ADC,
230: 제2 ADC,
240: 제1 제어부,
250: 제2 제어부,
260: 제3 ADC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모션을 센싱하고,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피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제1 ADC;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제2 ADC;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에 제공하고, 상기 제1 ADC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ADC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에 제공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2 ADC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전위차에서 특정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 각각과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이 미리 결정된 사용자 접촉 생체 임피던스 신호 범위에 해당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계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의 상태가 저전력 상태일 때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상태를 비저전력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6. 제1 제어부가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ADC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제1 ADC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ADC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제어부가 제1 ADC로부터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ADC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ADC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ADC가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의 센싱 값을 피부 접촉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접촉 상태를 감지한 후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제어부가 상기 제2 ADC로부터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제2 접촉 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를 통해 생체 전위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생체 전위차에서 특정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 각각과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이 미리 결정된 사용자 접촉 생체 임피던스 신호 범위에 해당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계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부의 상태가 저전력 상태일 때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상태를 비저전력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
  11.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신체 접촉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는 복수의 전극;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접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1 센서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센서에 제공한 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생체 신호 및 상기 제2 생체 신호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서 실행되는 생체 신호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에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신체 접촉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대상에 대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센서 중 제1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1 센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한 생체 임피던스 신호 값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명령을 상기 제2 센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생체 신호 및 상기 제2 생체 신호에 따라 생체 신호 측정 대상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
KR1020200156548A 2020-11-20 2020-11-20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65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48A KR102658018B1 (ko) 2020-11-20 2020-11-20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48A KR102658018B1 (ko) 2020-11-20 2020-11-20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41A true KR20220069441A (ko) 2022-05-27
KR102658018B1 KR102658018B1 (ko) 2024-04-17

Family

ID=8179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548A KR102658018B1 (ko) 2020-11-20 2020-11-20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0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5632A (ja) * 2011-03-29 2012-10-25 Panasonic Corp 接触状態検出回路、生体信号取得装置、健康機器
KR20170040322A (ko) * 2014-08-06 2017-04-12 베릴리 라이프 사이언시즈 엘엘시 피부 저항 및 커패시턴스 측정들 사이의 단일 전극의 공유
KR20180055743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07374A (ko) * 2017-03-17 2018-10-02 주식회사 와이즈웰스 부착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6812A (ko) * 2018-07-11 2020-01-21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다중생체신호 측정용 패치형 바이오센서 디바이스
KR20200095603A (ko) *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임피던스 방식을 이용한 시계형 심박출량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5632A (ja) * 2011-03-29 2012-10-25 Panasonic Corp 接触状態検出回路、生体信号取得装置、健康機器
KR20170040322A (ko) * 2014-08-06 2017-04-12 베릴리 라이프 사이언시즈 엘엘시 피부 저항 및 커패시턴스 측정들 사이의 단일 전극의 공유
KR20180055743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07374A (ko) * 2017-03-17 2018-10-02 주식회사 와이즈웰스 부착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6812A (ko) * 2018-07-11 2020-01-21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다중생체신호 측정용 패치형 바이오센서 디바이스
KR20200095603A (ko) *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임피던스 방식을 이용한 시계형 심박출량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018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11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odily function measurements using a mobile device
US9681840B2 (en) Wear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logical signal with the same
US111441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520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odily function measurements using a mobile device
EP351812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26530A2 (en) Obtaining physiological measurements using a portable device
KR10188531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맥파 속도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240134449A1 (en) Eye detection methods and devices
CN110198665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658018B1 (ko)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