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29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291A
KR20220069291A KR1020200156268A KR20200156268A KR20220069291A KR 20220069291 A KR20220069291 A KR 20220069291A KR 1020200156268 A KR1020200156268 A KR 1020200156268A KR 20200156268 A KR20200156268 A KR 20200156268A KR 20220069291 A KR20220069291 A KR 20220069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anger
locking
cloth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전호일
이경아
김재영
김기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291A/ko
Priority to JP2022571191A priority patent/JP2023526506A/ja
Priority to EP20936569.1A priority patent/EP4249668A1/en
Priority to PCT/KR2020/016466 priority patent/WO2021235628A1/ko
Priority to CN202080102756.0A priority patent/CN115812115A/zh
Priority to US17/926,828 priority patent/US20230287622A1/en
Publication of KR2022006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을 저장하는 제1탱크,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상기 제1탱크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2탱크, 및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 상기 행어바디부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 및 상기 연장바디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티머는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스티머는 의류에 직접적으로(예를 들어, 의류를 단단한 물체 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 대류를 통해 의류에 열을 가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에 반해 의류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는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털어내고,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습된 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구김을 제거할 수 있고, 의류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 제거성능, 구김 제거성능 및 의류의 건조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거치 후 의류를 흔들 수 있는 행어바, 소위 무빙행어(moving hanger), 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가 일정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890호에는 구동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좌우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바 형태의 행어부 또는 행어바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부의 경우, 좌우방향으로 긴 바(bar)형태에 옷걸이를 걸 수 있는 홈이 파여져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옷걸이를 행어바의 홈에 걸기 위해 행어부 넘겨서 걸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시적이나마 사용자의 시선이 행어바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옷걸이의 고리 중앙부분을 정확히 걸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 특히 수용공간의 높이는 한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행어바의 경우, 상기 행어바와 구동부사이를 연결시키는 공간, 즉 상부면과 행어바사이의 공간을 모두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 및 스팀을 활용하기 위해 옷 사이의 간격을 벌려야 하므로 행어바의 홈을 더 늘릴 수 없어, 단순히 의류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본 개시는 행어바와 구동부사이의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둘째, 본 개시는 옷걸이를 행어바에 거는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셋째, 본 개시는 옷걸이를 거치할 수 있는 홈을 더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의류를 거치하는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넷째, 본 개시는 사용자가 왼손잡이/오른손잡이인지에 무관하게 의류를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형상을 변경하여 보다 편리하게 의류를 거치시키고, 보다 많은 많은 옷을 거치할 수 있는 행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의류처리장치가 단순한 일직선 형태의 행어부와 상기 행어부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행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과 달리,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위치는 같으나, 상기 행어부에 의류를 거치하는 걸림홈이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행어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옷을 거치시키도록 한 걸림부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을 저장하는 제1탱크;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상기 제1탱크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2탱크; 및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 상기 행어바디부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 및 상기 연장바디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이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중심바디; 및 상기 중심바디에서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바디부는 상기 중심바디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기 설정된 제1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기 설정된 제2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거치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바디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제1걸림부;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 각각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제2걸림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제1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걸림바디; 상기 제1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1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2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걸림바디; 상기 제2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2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거치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바디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제3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걸림부는 상기 제1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3걸림바디; 상기 제3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3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3걸림바디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3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3걸림부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까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심바디와 상기 제1연장바디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바디 중 하나의 제2걸림바디 상면까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와 상기 하나의 제2걸림바디가 결합되어 대응되는 하나의 제2연장바디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바디의 높이는 상기 제2걸림바디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중심바디의 하부보다 상기 개구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중심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제1챔버의 좌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행어바디; 상기 제1행어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연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중심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제1챔버의 우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행어바디; 상기 제2행어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연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2연결바디의 하측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행어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행어부를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각각 상기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2연결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1연결바디의 하측과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바디의 하측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행어부를 왕복운동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부는 상기 중심바디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돌기; 상기 회전돌기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행어바를 왕복운동시키는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바디는 반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3걸림바디 상면은 곡면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거치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의 각각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제4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4걸림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4걸림바디; 상기 제4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4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4걸림바디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4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송풍유닛을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히트펌프유닛; 상기 제1챔버의 하부 및 상기 제2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탱크; 상기 제1챔버의 하부 및 상기 제1탱크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2탱크; 및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 상기 행어바디부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 및 상기 연장바디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본 개시는 행어바와 구동부사이의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개시는 옷걸이를 행어바에 거는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 본 개시는 옷걸이를 거치할 수 있는 홈을 더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의류를 거치하는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넷째, 본 개시는 사용자가 왼손잡이/오른손잡이인지에 무관하게 의류를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예 및 행어부의 확대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제2챔버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유닛, 히트펌프유닛 및 스팀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이를 분해한 것이다.
도 4(a)는 행어부와 구동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종래 행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의 의류처리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인 행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행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b)는 행어부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c)는 행어부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8은 의류거치부가 연장바디부의 양 측면에 구비된 일례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X)/후(-X)/좌(+Y)/우(-Y)/상(+Z)/하(-Z)”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의류처리장치(10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0)는 일면에 투입구(11)를 포함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400),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00), 상기 제1챔버(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탱크(310), 상기 제1챔버(100)의 하부에 상기 제1탱크(31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10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2탱크(330) 및 상기 제1챔버(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7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710),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730) 및 상기 연장바디부(73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은 도어(400)와 함께,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패널(12) 및 상기 캐비닛(10)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측면패널(13)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투입구(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챔버(100)에 의류를 수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00)의 하부에는 제2챔버(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는 도 3에 도시된 의류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기계장치 및 제어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100)의 하부, 후술한 제1탱크(310)및 제2탱크(330)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도어(400)를 개방하여도 외관상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제1챔버(10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100)의 천정을 형성하는 제1챔버의 상부면(101), 상기 제1챔버(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챔버의 바닥면(102), 상기 제1챔버의 뒷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의 후면(107),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사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의 좌측면(1091)과 제1챔버의 우측면(109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00)의 전면은 투입구(1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과 상기 제1챔버의 후면(107)은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후면(107)에는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고 탈취할 수 있는 살균탈취부(107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살균탈취부(1073)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외선에 의해 공기를 살균하고 탈취제나 자외선으로 냄새입자를 분해할 수 있다. 상기 살균탈취부(1073)는 대류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탈취부(1073)는 미세먼지를 거르는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후면(107)에는 상기 제1챔버(100)에 사용될 수 있는 선반(미도시)을 걸 수 있는 후면선반걸이(107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면선반걸이(1071)는 상기 살균탈취부(1073)의 하부에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양측면(1091, 1092)에는 각각 선반(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선반걸이(1091a) 및 제2선반걸이(1092a, 도 2참조)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걸이(1091a) 및 상기 제2선반걸이(1092a)는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X 방향)으로 형성된 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선반을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의 후방, 구체적으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과 상기 제1챔버의 후면(107)이 연결되는 경사진 부분에는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서 스팀유닛(250)에 의해 생성된 스팀과 히트펌프유닛(230)에 의해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제1챔버(100)로 공급하기 위한 제1포트(111)와 제3포트(112), 그리고, 상기 제1챔버(100)의 공기를 송풍유닛(220)을 이용하여 다시 흡입하기 위한 제2포트(115)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포트(111)에서 공기가 배출 시, 향기를 첨가할 수 있는 방향제 또는 방향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방향공급부(117)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향공급부(117)는 상기 제1포트(1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챔버(100)로 공급되는 공기에 방향할수 있으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제2포트(115)는 상기 제1챔버(100)에서 스팀이 웅축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100)의 내주면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으로 흐르거나 떨어질 것이다.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은 상기 제2포트(115)를 향해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응축수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2포트(115)를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포트(115)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결국 급기덕트(221, 도 3참조)를 타고 흘러내려, 상기 급기덕트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섬프(미도시)에 임시로 저장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후술할 도어내면(401)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도어내면에 구비되는 도어라이너(420)를 타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으로 떨어져 상기 제2포트(115)를 통해 섬프(미도시)로 배출될 것이다. 이렇게 섬프로 모인 응축수는 배수펌프(339, 도 3 참조)를 통해 제2탱크(330)로 배출되어 집수될 것이다.
상기 제2포트(115)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서 투입구(1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1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포트(111)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제2포트(115)를 통해 흡입되는 순환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스팀은 상기 제3포트(112)를 통해 배출된 후 응축수로 응축된 경우, 상기 제2포트(115)를 통해 흡입된 후, 응축수를 저장하는 섬프(미도시)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챔버(100)의 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보다 원활히 상기 제2포트(115)를 통해 상기 제2챔버로 내부내기 위해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은 상기 제1챔버(100)의 후면에서 제2포트(115)의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400)는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도어내면(401)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후크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후크부(405)는 옷걸이 또는 바지걸이를 걸 수 있는 고리형태나 후크형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후크부(405)는 후술할 가압부를 이용하기 위한 바지의 크기에 따라 다른 곳에 걸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옷걸이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옷걸이 후크는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400)는 상기 도어(400)를 닫는 경우, 상기 도어(40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400)에서 상기 제1챔버(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도어내면(4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0)는 힌지결합방식으로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투입구(11)를 개폐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400)는 회전결합을 위한 도어힌지(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도어의 좌측 또는 상기 도어의 우측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도어힌지결합부(411a, 411b, 412a, 412b)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이냐에 따라, 상기 도어힌지(411, 412)의 위치만 변경하면,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 위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열리도록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시계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힌지(411, 412)만을 상기 도어(400)에 반대측에 결합시킨 후 상기 캐비닛의 전면 좌측에 위치한 도어힌지결합부(411b, 412b)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어를 리버서블 도어(reviserble door)라고 한다.
도어(400)는 스팀유닛(250, 도 3 참조)에 의해 제1챔버(100)로 공급된 스팀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실링부(430) 및 상기 도어내면(401)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내면(401)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상기 제2포트(115)를 통해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도어라이너(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은 대기압하에서 100 ℃ 에서 끓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수증기를 스팀이라 할 수 있다. 수분은 이와 달리 상온에서 물을 1 mm 이하의 작은 물방울이 공기중에 부유한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안개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끓여서 발생한 스팀이 수분보다 높은 온도로 인해 살균력이 뛰어나고, 높은 온도에서 물분자가 더 활발히 움직이므로 의류의 침투성이 뛰어나 의류를 리프레쉬하는데 있어서 수분보다 스팀이 더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30)는 상기 도어(400)를 닫을 때, 상기 도어(400)와 상기 캐비닛(10)사이를 밀폐시켜, 스팀이나 웅축수가 외부로 누출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30)는 상기 도어내면(401)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30)는 또한 상기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도어(400)사이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30)는 도어내면(401)의 일부분 중 제1챔버(100)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된 제1개스킷(431)과 상기 제1챔버(100)의 하부의 전면, 즉 제1탱크(310) 및 제2탱크(33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제2개스킷(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스킷(431)은 상기 제1챔버를 밀폐하여 제1챔버(100) 및 도어내면(40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제1탱크(310)똔느 상기 제2탱크(330)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상기 제1개스킷(431) 중 도어(40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챔버(100)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개스킷(431a)과 상기 제2개스킷(432) 중 도어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어 탱크설치공간(351)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개스킷(432b)은 상기 제1챔버(100)와 탱크설치공간(351)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내면(401)과 대향하는 전방접촉부(17)에 접촉할 수 있다.
도어라이너(420)는 상기 도어내면(401)에 결합하여 도어내면(401)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제2포트(115)로 이동할 수있도록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라이너(420)는 상기 도어내면(401)의 아래로 갈수록 경사져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420)의 하단이 상기 도어내면(401)에서 돌출된 길이는 상기 도어라이너(420)의 하단이 상기 제2포트(115)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라이너(420)를 따라 아래로 흐르는 응축수는 도어라이너(420)의 하단에서 떨어져 바로 상기 제2포트(115)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라이너(420)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떨어진 응축수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 구비되는 별도의 안내부재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포트(115)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챔버의 상부면(101)에는 상기 제1챔버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10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조명부(1015)가 복수 개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조명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챔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행어부(700)를 확대한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710),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730) 및 상기 연장바디부(73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후크부(405)는 구김을 제거하고 의도된 주름을 잡기위해 도어내면(401)에 구비되는 의류를 거치하기 의해 사용된다면,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행어부(700)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구김을 제거하고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700)가 기 설정된 운동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600) 및 상기 구동부(6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6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길이는 제1챔버(100)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행어부(700)가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 상기 제1챔버의 양측면(1091, 1002)와 부딪히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내면(401)또는 상기 제1챔버(100)의 내부에는 하의(또는 바지 P)를 바지걸이(PH2)에 거치시킨 후, 상기 바지걸이(PH2)를 거치시키는 의류후크부(405), 상기 의류후크부(405)에 의해 고정된 바지(P)를 가압하는 가압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행어부(700)는 의류걸이(PH1)를 이용하여 의류를 상기 행어부(700)에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바지(P)를 거꾸로 즉, 밑단(bottom hem)을 위로하여 매다는 이유는 상기 바지(P)의 허리부분 즉 바지(P)의 상단(pant waist)의 무게가, 바지(P)의 하단 즉, 바지통(pant leg) 부분보다 무거우므로 상기 바지(P)의 자중에 의해 바지(P)를 어느정도 골고루 펴지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도어내면(401)에 결합하여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미도시)과 상기 베이스판(미도시)을 향해 회전하여 바지(P)를 가압하는 가압판(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판(510)이 상기 베이스판(520)을 향해 회전하면 상기 바지(P)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가압판(510)의 회전을 위해 상기 가압판(510)과 상기 베이스판사이에 힌지결합을 위한 가압부힌지(미도시) 및 상기 가압판(510)과 상기 베이스판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압판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판(510)과 상기 베이스판사이에 바지(P)를 거치시킨 후, 도어(400)을 닫아 스팀 및 열풍에 노출시키면 바지(P)의 구김을 제거하고 바지통 부분의 예리한 주름, 소위 칼주름(sharp creases),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팀이 바지(P)에 침투하는 것이 용이해야 하므로, 상기 가압판(510)을 관통하는 스팀침투홀(5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지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봉제선(seam, PL)가 눌리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가압판(510)의 양면 중 바지(P)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스팀침투홀(515)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함몰부(미도시) 및 제2함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미도시)은 가압되는 의류를 지지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구비되거나, 상기 베이스판을 상기 도어에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스팀유닛(25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탱크(310), 및 제1챔버(100)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2탱크(330)가 상기 제1챔버(100)의 하부 및 상기 제2챔버(미도시)의 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탱크(310) 및 상기 제2탱크(330)가 설치되는 탱크설치공간(351)을 형성하기 위한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탱크설치공간(351)과 제2챔버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챔버(100)의 하부에는 탱크설치공간(351)과 제2챔버(미도시)가 위치하고, 상기 탱크설치공간(351)은 상기 도어(400)에 제2챔버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설치공간(351)의 후방에 제2챔버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탱크(310)와 상기 제2탱크(330) 사이에 보관부(320)를 구비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제1탱크(310)의 일측면에서 일정거리(D1) 이상 이격되어 상기 제2탱크(3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제1탱크(310)의 일측면이 상기 제2탱크(330)의 일측면이 다른 구성요소 없이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보관부(320)는 청소도구 또는 방향시트와 같은 소모품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320)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부(320)의 전면을 누르면 열리고 다시 누르면 닫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탱크(310)와 제2탱크(330)는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서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탱크(310)와 제2탱크(330)가 하나로 결합되어 동시에 탈부착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가 도어(400)를 닫는 경우, 상기 제1탱크(310)의 전면과 상기 제2탱크(330)의 전면이 도어내면(401)을 마주보게 되고, 사용자가 도어(400)를 개방시에는 제1탱크(310)의 전면과 제2탱크(330)의 전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탱크(310)및 상기 제2탱크(330)가 각각의 전면은 투명 혹은 반투명과 같은 투광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400)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1탱크(310) 및 상기 제2탱크(330)의 물의 수위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탱크(310)및 상기 제2탱크(330)가 각각의 전면의 일부에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제1탱크윈도우(미도시) 및 제2탱크윈도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제1탱크(310) 및 제2탱크(33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도 있다.
상기 제1탱크(310)의 전면과 상기 제2탱크(330)의 전면에서는 각각 제1탱크손잡이(315)와 제2탱크손잡이(33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1탱크손잡이(315)와 상기 제2탱크손잡이(335)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제1탱크(310)와 상기 제2탱크(330)는 각각 상기 제1탱크의 전면말단과 상기 제2탱크의 전면말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 장착할 때도 마찬가지로 회전을 통해 상기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 상기 제1탱크(310)와 상기 제2탱크(330)가 안착될 것이다.
본 개시인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700), 상기 행어부(700)를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600, 도 4 및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진동하여, 상기 행어부(700)에 거치된 의류를 흔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의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하고, 스팀과 행어부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구김제거가 가능하다. 이를 의류관리라 칭할 수 있고, 이렇게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행어부(700)를 무빙행어(Moving hanger)라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김(wrinkles)이라 함은, 의류의 착용 후, 혹은 세탁이나 건조 후 생기는 의도치 않게 형성된 잔금(fine lines)을 뜻하는 것이다. 즉, 디자인단계부터 미감이나 기능을 위해 들어간 의도된 주름(pleat 또는 crease)이 아닌, 사용, 세탁또는 건조에 의해 의도치않게 옷감이 구겨진 형태를 뜻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0)는 상부패널(12) 및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챔버(100)의 미감을 위해 사용자에게 구동부(600)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600)는 상기 행어부(700)의 양단과 연결되는 제1지지부(671) ?? 제2지지부(672)를 포함할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671)와 상기 제2지지부(672)를 통해 상기 행어부(7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700)가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 상기 제1지지부(671)와 상기 제2지지부(672)도 상기 행어부(700)의 운동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671)와 상기 제2지지부(672)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관통하는 제1상부연통홀(1011) 및 제2상부연통홀(1012)를 통해 상기 구동부(600)와 상기 행어부(70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챔버(10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00)는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캐비닛(10)과 제1챔버(100) 또는 캐비닛(10)과 제2챔버(200) 사이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같은 발포플라스틱(foamed plastic)을 이용하여 충진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은 제2챔버(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러 기계장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200)는 제1챔버(100)의 하부 및 탱크설치공간(351)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기계장치들은 의류처리장치(1000)가 의류관리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의류의 구김을 펴주고, 냄새를 빼주며 살균해주는 의류관리기(clothing care device)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챔버(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10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유닛(220), 상기 제1탱크(310)의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시킨 후 상기 제1챔버(10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250), 상기 송풍유닛(2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후 상기 제1챔버(100)로 배출하는 히트펌프유닛(2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팀유닛(250), 상기 송풍유닛(220) 및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은 베이스(2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0)에는 상기 스팀유닛(250) 및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을 지지하는 서포터부(2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280)는 상기 송풍유닛(220)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제1서포터(281)고 상기 송풍유닛(220)에서 보다 멀리 위치하는 제2서포터(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280)의 상부에는 히트펌프유닛(230)이, 상기 서포터부(280)의 내측, 즉 상기 서포터부(280)와 베이스(210)사이에 형성되는 일종의 수용영역(S)에는 스팀유닛(25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영역(S)에는 상기 송풍유닛(220), 상기 스팀유닛(250), 및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7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제어부(270)가 상기 제2챔버(2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챔버(200)와 연통하고 캐비닛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패널(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어부(270)를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이외에도 후술할 가압부(500)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600, 도3참조)의 왕복운동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팀유닛(250)은 상기 제1챔버(100)에 거치되는 의류를 살균, 탈취하고 구김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송풍유닛(220) 및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은 상기 제1챔버(1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열교환을 통해 제습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유닛(220)은 송풍팬(226) 및 급기덕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11)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제1챔버의 후면이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칭하는 경우, 상기 급기덕트(221)는 송풍팬(226)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221)의 전방에는 탱크모듈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은 탱크설치공간(351)을 형성하고, 상기 탱크설치공간(351)과 제2챔버(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에 안착되는 제1탱크(310)와 제2탱크(330)는 캐비닛(10)의 양측면중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탱크(310)는 탱크설치공간(351)에서 캐비닛(10)의 우측면이 캐비닛의 좌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2탱크(330)는 이와 반대로 상기 캐비닛(10)의 좌측면이 상기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팀유닛(250)도 상기 제1탱크(310)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챔버(200)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우측면이 상기 캐비닛(10)의 좌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탱크(310)의 후방에 스팀유닛(250)을 배치하여, 제1탱크(310)에서 스팀유닛(250)으로 물이 이동하는 연결유로를 단순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스팀유닛(250)은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251), 상기 저장부(25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을 가열하는 히터(25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5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스팀온도센서(9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2501)를 통해 상기 저장부(251)에 위치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을 통해 발생된 스팀은 스팀유로(미도시)를 따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 구비되는 제3포트(112)를 통해 상기 제1챔버(1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유닛(250)에 사용되는 물은 제1탱크(310)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1탱크(310)가 탱크설치공간(351)에 안착하면, 상기 제1탱크(31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급수체크밸브(미도시)가 열려, 상기 급수체크밸브와 연결된 급수유로를 통해 저장부(251)에 물이 공급될 것이다.
만약 제1탱크(310)가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캐비닛(1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한다면, 이에 대응하여 스팀유닛(250)의 위치도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캐비닛(1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탱크(310)와 스팀유닛(250)을 연결하는 급수유로(미도시)의 길이를 줄이고 최대한 단순화시키기 위해서이다.
송풍유닛(220)은 제1챔버(10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 위치하는 제2포트(115) 및 급기덕트(22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급기덕트(221)는 상기 제2포트(1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급기덕트 입구(2213), 상기 흡입된 공기를 송풍팬(226)으로 이동시키는 급기덕트 바디(2211 및 송풍팬(226)의 입구와 연결되는 급기덕트 출구(2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26)은 원심송풍기의 일종으로 흡입된 공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26)은 송풍하우징(224)를 통해 히트펌프유닛(23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226)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송풍하우징(224)의 송풍유출구(2242)과 연결된 덕트하우징(231)의 공기유입구(2311)와 연결될 것이다.
히트펌프유닛(230)은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덕트하우징(231), 상기 덕트하우징(231)의 일단에 위치하여 송풍팬(226)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유입구(2311), 상기 덕트하우징(231)의 타단에 위치하여 공기를 상기 제1챔버(100)으로 배출하는 공기토출구(2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은 상기 덕트하우징(231)의 내부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미도시) 및 제2열교환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은 상기 덕트하우징(231)의 외부에 위치하여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켜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에 공급하는 압축기(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34)는 상기 서포터부(28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탱크(310)가 캐비닛(10)의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스팀유닛(250) 및 상기 서포터부(280)도 상기 제2챔버(200)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일측면에 가까게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압축기(235)는 캐비닛(10)의 일측면에 상기 캐비닛(10)의 타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235)는 우측에 치우쳐 위치(즉, 캐비닛의 좌측면보다 우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부(280) 및 상기 스팀유닛(250)은 좌측에 치우쳐 위치(캐비닛의 우측면보다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221)는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 구비되는 상기 제2포트(115)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100)의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덕트 입구(2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 입구(2213)는 경사진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챔버(100) 및 도어(400)에 생긴 응축수가 제1챔버의 바닥면(102)가 연통되는 급기덕트 입구(2213)를 지나 경사진 유로를 타고 상기 급기덕트(22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섬프(미도시)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송풍팬(226)의 전방에는 급기덕트(221)가 위치하고, 상기 송풍팬(226)의 후방에는 스팀유닛(250) 및 히트펌프유닛(230) 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은 서포터부(280) 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280)는 상기 제2챔버(200)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부(280)는 상기 베이스(210)와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사이에 소정의 이격된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서포터부(280)와 상기 베이스(210)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영역(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영역(S)에는 스팀유닛(250)이 위치하고, 상기 수용영역(S)에서 상기 서포터부(28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유닛(250)은 상기 베이스(2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서포터부(28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달리 송풍유닛(220)이 상기 제1챔버(10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덕트하우징(23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공기토출구(2312) 와 제2열교환기(또는 응축기)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토출구(23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토출구(2312)와 연통하는 제1포트(111)를 통해 제1챔버(100) 내부로 유입될 것이다.
상기 덕트하우징(231)에서는 상기 제1열교환기(또는 증발기)와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유닛(230)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덕트하우징(231)의 바닥면을 통해 섬프(미도시)로 이동하여 제2탱크(33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유닛(230) 및 상기 스팀유닛(250)에 의해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제1챔버(100)내에 수용된 의류에 가해져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 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유닛(230) 및 상기 스팀유닛(250)에 의해 공급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을 살균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인 의류처리장치(1000)의 구동부(600)및 행어부(700)를 도시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1000)는 행어부(700)에 거치된 의류를 흔들기 위해, 상기 행어부(700)를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부(600)는 상부패널(12)과 제1챔버의 상부면(101)사이에 위치하는 공간(M)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미감을 위해 구동부(600)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동부(600)가 상기 제1챔버(100)의 내부에서 습기 및 고온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6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620) 및 상기 모터(620)의 회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행어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동력변환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600)는 항기 행어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671) 및 제2지지부(6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는 상기 모터(6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671)와 상기 제2지지부(672)는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행어바디부(710)를 지지하고,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운동시 같은 방향으로 운동가능하다.
상기 구동부(600)는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를 지지하고, 상기 모터(6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6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제1챔버(1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챔버(100)와 캐비닛(10)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제1챔버(100)와 캐비닛(10)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61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3)은 구동부(6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구동부(600)가 제1챔버(100)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챔버(100)의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대용량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0)가 측면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1000)의 폭방향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데,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100)의 상측에 구동부(600)가 배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슬림(slim)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실내 등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제1챔버(100)의 외부 상측 공간을 이용하여 구동부(600)를 설치하기 때문에 제1챔버(100)의 내부 공간을 대용량화할 수 있어 처리할 수 있는 의류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모터(620)와 같이 습기에 약한 구성요소가 스팀이 분사되는 제1챔버(100)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모터(620)의 회전력을 동력변환부(68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640)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동력변환부(680)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640)는 모터(620)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풀리(641), 상기 주동풀리(641)와 벨트(643)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종동풀리(642), 및 상기 종동풀리(642)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644)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풀리(642)의 직경은 주동풀리(6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주동풀리(641)는 모터(620)로부터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만약, 모터)에 의해 발생한 회전운동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행어부(700)를 왕복운동시키면 과도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모터(620)에 과부하게 걸리게 되어 결국 행어부(700)에 걸린 의류를 처리하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동풀리(642)의 직경을 주동풀리(641)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행어부(700)의 왕복 주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주동풀리(641)와 종동풀리(642)는 바람직하게는 직경비가 1:5~1:15를 이룬다.
한편, 동력전달부(640)는 전술한 주동풀리(641), 종동풀리(642) 및 벨트(643) 대신에 주동기어, 종동기어 및 체인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00)는 회전축(644)에 외삽된 베어링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650)는 외형을 형성하는 베어링하우징(651)과, 회전축(644)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51)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된 제1베어링(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650)는 지지프레임(613)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644)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64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베어링은 제1챔버(100)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오염되지 않도록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일 수 있다.
동력변환부(680)는 동력전달부(64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행어부(700)을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환부(680)는 상기 동력전달부(640)의 회전축(644)과 연결되는 회전돌기(6811)와, 상기 회전돌기(6811)에서 연장 형성된 커넥팅로드(6812)과, 상기 커넥팅로드(6812)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회전축(64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행어부(700)에 구비되는 슬롯(7132)에 삽입되는 연결돌기(6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6811)는 동력변환부(680)의 일단에 형성되며, 회전축(644)이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로드(6812)은 회전돌기(6811)에서 대략 회전축(64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결돌기(6813)는 상기 커넥팅로드(6812)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44)이 회전시, 상기 연결돌기(6813)는 회전축(644)으로부터 소정 반지름을 가지며 회전운동하게 될 것이다. 만약 상기 커넥팅로드(6812)가 상기 회전축(64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소정 반지름은 상기 커넥팅로드(6812)의 길이가 될 것이다.
상기 커넥팅로드(6812)의 회전시, 결국 연결돌기(6813)가 회전을 하게 될 것이다. 상기 연결돌기(6813)는 슬롯(7132)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롯(7132)은 슬롯내부공간(7133)을 형성하는 슬롯리브(7132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돌기(6813)는 상기 슬롯내부공간(7133)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슬롯(7132)은 행어부(700)의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행어부(700)가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Y/-Y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경우, 상기 슬롯(7132)은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형성될 것이다.
만약, 상기 행어부(700)와 구동부(600)를 위에서 바라본다면, 상기 연결돌기(6813)가 회전시, 상기 연결돌기(6813)에 의해 상기 행어부(700)에 전달되는 힘은 항상 상기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Y/-Y방향)과 상기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분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슬롯(7132)의 깊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커넥팅로드(6812)의 회전시 커넥팅로드의 회전지름보다 긴 경우라면, 상기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Y/-Y방향)으로는 슬롯(7132)에 의해 상기 행어부(700)에 힘이 전달될 것이고, 상기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는 힘이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상기 슬롯(7132)의 깊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커넥팅로드(6812)의 회전시 회전지름보다 짧더라도, 상기 동력변환부(680)의 회전시 대부분은 상기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는 힘이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슬롯(7132)의 형태에 의해 행어부(700)는 상기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Y/-Y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심바디(713, 도 6참조)내부에는 제1챔버(100) 내의 습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되어 물이 고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바디(713)는 상기 고인 물이 중심바디(713)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3)에 의해 지지되어 행어부(700)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부(700)를 제1챔버(100) 내부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671) 및 제2지지부(672)는 상기 행어부(700)가 원 원활하게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는 행어부(700)가 제1챔버의 깊이방향(X/-X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판형태로 구비되어 지지프레임(613) 또는 캐비닛(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행어부(7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지지부(671)와 상기 제2지지부(672)는 행어부(700)의 양단, 구체적으로 행어바디부(71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a)에서 도시한 구동부(600)는 하나의 일례로, 이와 달리 편심된 질량을 이용하여 조화가진운동을 통해 상기 행어부(700)를 왕복시키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구동부(600)는 행어부(7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감지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60)는 종동풀리(642)에 구비되는 자성체(661)와,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651)에 구비되되 제어부(270, 도 3참조)에 연결되는 자력감지센서(6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의류처리장치(1000)의 구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행어부(700)의 위치를 초기위치, 즉 제1챔버(100)의 중간에 위치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행어부(700)의 위치가 제1챔버(100)의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유지된다면 상기 행어부(70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672)에 무리를 줄뿐만 아니라, 도어(400)를 개방한 사용자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600)는 행어부(7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감지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체(661)는 상기 종동풀리(642)에 구비되고, 상기 자력감지센서(665)는 베어링하우징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구비되어도, 상기 자력감지센서(665)가 상기 자성체(661)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3)은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길이에 대응되어, 상기 지지프레임(613)을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제1지지관통홀(6131) 및 상기 제2지지관통홀(6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관통홀(6131) 및 상기 제2지지관통홀(6132)을 통해 제1지지부(671) 및 제2지지부(672)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61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613)의 중앙에는 동력변환부(680)를 삽입하여 슬롯(7132)과 연결시키기 위해 변환부관통홀(6133)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특징인 행어부(700)의 일례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기존 행어부(8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기존 행어부(800)는 직선의 바 형태인 행어바디(8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바디(851)의 양단에서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바디(8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671) 및 제2지지부(672)와 결합되는 체결부(7161, 7171)가 상기 행어바디(851)의 양단, 즉 상기 연결바디(854)가 상기 행어바디(851)의 만나는 지점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바디(851)에는 옷걸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852)이 노치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852)의 외면은 고무와 유사한 재질의 탄성재질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일정힘을 주어야 상기 걸림홈(852)에 옷걸이를 걸고 뺄 수 있도로 할 수 있다.
기존 행어부(800)도 구동부(600)의 작동메커니즘은 동일할 수 있다. 즉, 슬롯(856)에 동력변환부(680)이 삽입되어 행어바디(851)을 좌우로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행어바디(851)에 옷걸이를 걸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옷걸이의 고리부분을 행어바디(851) 위로 넘겨 걸림홈(852)에 거치시켜야 한다. 행어바디(851)의 위치를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손을 위쪽으로 뻗어서 옷걸이의 고리를 행어바디(851) 위로 넘긴 후, 걸림홈(852)의 위치를 파악한 후 옷걸이의 고리부분을 걸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이 행어바디(851)에 의해 가려져, 옷걸이의 고리 부분중 걸림홈에 걸려야 할부분이 제대로 걸림홈(852) 위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은 옷걸이의 고리부분이 행어바디(851)의 위쪽으로 넘어가야 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이다.
또한, 기존 행어바디(851)와 제1지지부(671) 및 제2지지부(672)는 행어바디(851)의 양단에 구비되는 체결부(8541)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의 길이에 의해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으로부터 행어바디(851)의 높이가 결정됨을 뜻한다. 따라서,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가 상기 행어바디(851)와 만나는 높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사이의 공간을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행어바디(851)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852)의 개수를 더 늘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제1챔버(100)의 크기가 결정되면, 행어바디(851)의 길이도 결정되고, 스팀의 침투 및, 열풍의 공급을 위해 옷의 간격은 일정간격이상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개시는 기존 행어부(800)가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는 본 개시인 행어부(7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기존 행어부(800)와 달리,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710),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730) 및 상기 연장바디부(73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700)는 행어바디부(710)의 양단에서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연장된 제1연결바디(716) 및 제2연결바디(7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는 상기 제1연결바디(716) 및 제2연결바디(717)와 결합되어 상기 행어부(7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1000)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600)는 상부패널(12) 및 제1챔버의 상부면(101) 사이의 공간(M)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의류의 관리(care)를 위해, 스팀 및 열풍이 공급되는 제1챔버(100)에 구동부(600)가 노출되어 부식 및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600)는 일단은 지지프레임(61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행어부(700)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671) 및 제2지지부(6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671)와 상기 제2지지부(672)를 이용해, 상기 구동부(600)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672)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상부연통홀(1011)과 제2상부연통홀(10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변환부(680)가 슬롯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관통하여 형성된 동력변환부 연통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환부 연통홀(1013)은 후술할 중심바디의 위치에 대응하여, 특히 슬롯(713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변환부 연통홀(1013)은 상기 제1상부연통홀(1011)과 상기 제2상부연통홀(10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변환부(680)는 후술할 중심바디(713) 내부에 위치한 슬롯(7132)에 삽입될 것이나,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서 바라보면, 중심바디(713)에 의해 대부분 가려질 수 있다.
상기 행어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표시한 점선인 H1과 H2는 기존 행어부(80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동일한 구동부(600)에서 도 4(b)에 도시된 기존 행어부(800)가 위치하게 되면 행어바디의 위치는 H1과 H2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행어부(700)에서 중심바디에 위치한 제1걸림홈(7513)을 제외하고, 제1바디(711) 및 제2바디(712)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제2걸림홈(7523)의 위치는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기준으로 기존 행어부(800)의 걸림홈(852)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기존 행어부(800)의 경우, 행어바디(851)의 양단에 제1지지부(671)와 제2지지부(672)와 결합하는 연결바디(854)가 위치하므로, 결국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에서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의 길이만큼 내려가 상기 행어바디(851)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반면, 본 개시에서 설명하고 있는 행어부(700)의 경우, 행어바디부(710)의 위치를 기존 행어부(800)의 행어바디(85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절곡되는 제1연결바디(716) 및 제2연결바디(717)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지지부(671)와 상기 제1연결바디(716), 상기 제2지지부(672)와 상기 제2연결바디(717)가 결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의 길이는 기존과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행어바디부(71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더 위로 올라가므로, 옷을 거치하는 제2걸림부(752)가 상기 행어바디부(710)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제2길이만큼 내려간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옷을 거는 걸림홈의 위치가 기존 행어부의 걸림홈의 위치보다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동일한 크기의 제1챔버(100)에서 기존 행어부(800)를 사용할 때보다, 좀더 길이가 긴 옷도 수용가능함을 뜻한다. 또한, 상기 행어부(700)와 제1챔버의 상부면(101) 사이의 공간을 의류의 수용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기존 행어바디(851)의 걸림홈(852)은 단순히 행어바디(851)에 노치형태로 파인 형태이다. 따라서, 의류를 상기 걸림홈(852)에 거치시키는 경우, 반드시 의류걸이의 고리부분이 행어바디(851)위로 넘어가야 한다. 반면, 본 개시의 행어부(800)는 비록 행어바디부(710)가 기존 행어바디(85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고 하더라도, 의류를 거치시키는 제1걸림부(751) 및 제2걸림부(752)의 위치는 연장바디부(730)에 의해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바디부(730)에 포함되는 제1연장바디(731) 및 복구 개의 제2연장바디(732) 사이를 통해 의류거치부(750)에 의류걸이를 걸 수 있으므로, 상기 행어바디부(710)위로 의류걸이를 넘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710), 상기 행어바디부(710)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730) 및 상기 연장바디부(73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어바디부(710)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향하는 방향이 개구된 개구부(7131)를 포함하는 중심바디(713) 및 상기 중심바디(713)에서 상기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바디(711) 및 제2바디(71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바디부(730)는 상기 중심바디(713)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기 설정된 제1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바디(731), 및 상기 제1바디(711) 및 상기 제2바디(712)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기 설정된 제2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거치부(750)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바디(731)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제1걸림부(751), 상기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 각각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제2걸림부(7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행어바디(851)가 바형태에 걸림홈이 파인형태인 반면, 본 개시인 행어바디부(710)는 중심바디(713)와 상기 중심바디(713)의 양측에서 상기 중심바디(713)의 하부보다 상기 개구부(7131)에 가깝게 위치하여 좌우로 연장된 제1바디(711) 및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바디(713)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마주보는 일면에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바디(713)의 내부에는 슬롯(7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바디(713)는 속이 빈 반구형상일 수 있다. 이는 내부에 슬롯(7132)을 형성하고, 슬롯내부공간(7133)에 동력변환부(680)의 일부인 연결돌기(6813)가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중심바디(713)의 내부에 슬롯(7132)을 포함하므로, 동력변환부(680)의 대부분은 상기 중심바디(713)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동력변환부(680)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심바디(713)의 형상이 반구형상인 것은 상기 동력변환부(680)가 커넥팅로드(6812)의 회전지름만큼의 회전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7131)의 반지름은 상기 커넥팅로드(6812)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부(730)는 상기 중심바디(713)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기 설정된 제1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바디(731), 및 상기 제1바디(711) 및 상기 제2바디(712)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기 설정된 제2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길이와 상기 제2길이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의 각각 제2길이는 각각 달라도 무방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바디(711) 및 상기 제2바디(712)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는 서로 중심바디(713)를 중심으로 대칭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700)의 무게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6에는 제1연장바디(731)를 포함하여 5개가 도시된 그림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다.
상기 행어부(700)는 제1바디(711) 및 제2바디(712)에서 각각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연결바디(716) 및 제2연결바디(7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제1바디(711)와 상기 제2바디(712)가 각각 제1연결바디(716) 및 제2연결바디(717)와 만나는 위치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으므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제1보강리브(7162)와 제2보강리브(717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부(700)는 상기 제1연결바디(716) 및 상기 제2연결바디(717)의 하측에서 제1지지부(671)및 제2지지부(672)와 각각 결합하기 위한 제1체결부(7161)와 제2체결부(7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7161)와 상기 제2체결부(7171)는 상기 제1지지부(671) 및 상기 제2지지부(672)와 결합하게 되는데, 이는 후크결합 또는 나사결합일 수 있다. 제1지지부(671) 및 제2지지부(672)는 상기 제1체결부(7161) 및 상기 제2체결부(7171)와 결합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행어부(800)와 마찬가지로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 행어부(700)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걸림부(751)는 제1연장바디(731)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걸림바디(7511), 상기 제1걸림바디(7511)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마주보는 제1걸림바디 상면(7512), 및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7512)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림바디(75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걸림홈(75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752)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752)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2연장바디(732)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걸림바디(7521), 상기 제2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마주보는 제2걸림바디 상면(7522), 및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7522)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걸림바디(75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걸림홈(75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751, 752)는 노치형태의 걸림홈이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챔버(100)의 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거치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부(751, 752)는 상의걸이나 하의걸이의 고리가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751, 752)는 걸림홈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보이도록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Y/-Y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팀과 열풍이 의류 사이를 통해 각 의류에 골고루 침투되기 위해, 제1연장바디(731) 및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가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제1연장바디(731)와 제2연장바디(732) 사이 혹은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 사이가 좁으면, 스팀의 침투가 어렵고, 열풍이 잘 들어가지 않아, 살균기능, 구김제거기능 및 건조기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의류거치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바디(731)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100)의 깊이방향(X/-X방향) 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제3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걸림부(753)는 상기 제1연장바디(731)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3걸림바디(7531), 상기 제3걸림바디(7531)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마주보는 제3걸림바디 상면(7532) 및 상기 제3걸림바디 상면(7532)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3걸림바디(75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걸림홈(75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와이셔츠와 같은 얇은 의류의 경우, 의류와 의류사이의 거리가 많이 벌어지지 않아도 충분히 스팀 및 열풍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각 걸림홈(7513, 7523, 7533)을 형성하는 적어도 일면은 각 걸림바디(7511, 7521, 7531) 의 내부에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즉, 각 걸림바디에서 걸림홈이 노치형태(예컨대 V자형 노치)로 형성되고, 이 때, 노치면중 적어도 일면은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류걸이의 고리부분을 상기 제1걸림홈(7513), 상기 제2걸림홈(7523) 및 상기 제3걸림홈(7533)에 거는 경우, 각 걸림홈(7513, 7523, 7533)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각 걸림홈(7513, 7523, 7533)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7513, 7523, 7533)의 입구는 넓고, 상기 걸림홈(7513, 7523, 7533)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상기 입구보다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홈이 노치형태인 경우, 걸림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은 경사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걸림바디(7511)가 제1연장바디(731)와 만나는 제1걸림바디의 일측면은 상기 제1걸림바디의 일측면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1걸림바디의 타측면보다 길이가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걸림바디의 상면(7512)은 상기 제1걸림바디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걸림바디의 타측면으로 갈수록 경사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걸림홈(7513)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바디의 상면(7512) 중 제1연장바디(731)와 만나는 부분에 위치한 상기 제1걸림바디의 상면(7512)의 일부분은 상기 제1걸림홈(7513)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이는 경사진 상면을 통해 사용자가 의류걸이를 거치시 자연스럽게 상기 제1걸림홈(7513)으로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도 8참조).
경사진 형태의 걸림바디 상면은 다른 의류거치부, 즉 제2걸림바디(7512), 제3걸림바디(7513) 및 제4걸림바디(미도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제1연장바디(731)의 좌우측면에 각각 제1걸림부(751) 및 제3걸림부(753)이 구비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732)의 좌우측면모두에도 걸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참조).
즉, 행어부(700)는 복수 개의 제2걸림부(752)에 각각 대응되는 제2연장바디(732)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4걸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4걸림부는 각각 제4걸림바디(미도시), 상기 제4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을 마주보는 제4걸림바디 상면(미도시), 및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X/-X방향)으로 상기 제4걸림바디 상면(미도시)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4걸림바디(미도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걸림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제1챔버(100)를 사용시 더 많은 의류를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셔츠와 같이 의류의 재질이 얇은 경우에는 의류의 간격이 작아도 스팀과 열풍의 침투 및 건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연장바디의 양쪽 측면에 모두 걸림부가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왼손잡이, 오른손잡이인지에 무관하게 양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의 거치간격을 옷의 두께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은 제1연장바디가 2개의 걸림부를 가지므로 총 6벌의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제1걸림부(751)와 제3걸림부(753)에는 얇은 재질의 의류를 수용하여 보다 많은 옷을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유사하게 모든 연장바디에 2개의 걸림부, 즉 복수 개의 제2걸림부 및 복수 개의 제4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총 10벌의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제2연장바디 좌우측면 각각에 걸림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연장바디의 개수가 더 많아지면 그에 따라 더 많은 옷을 수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듀얼행어(dual hanger)라 칭한다.
한편, 상기 제1걸림부(751)와 상기 제3걸림부(753)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대칭적인 미감을 위해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부(751)와 상기 제3걸림부(753)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걸림부(751)와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752)중 가장 가까운 하나의 제2걸림부(752)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752)중 인접한 제2걸림부(752)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7512)까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서 상기 중심바디(713)와 상기 제1연장바디(731)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높이보다 작다. 이는 도 7(a)를 참조하면,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L1까지의 높이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L2까지의 높이보다 작음을 뜻한다. 이를 통해, 기존 행어부(800)와 달리,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 중심바디(713)를 넘어서 힘들게 거치할 필요 없이, 아래로 연장된 연장바디의 측면을 통해 제1걸림홈(7513)에 의류를 쉽게 거치할 수 있음을 뜻한다.
즉, 기존에는 행어바와 걸림홈이 일체로 형성되었다고 하면, 본 개시의 행어부(700)는 기존의 행어바에 대응하는 행어바디부(710)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된 연장바디부(730)를 이용하여 기존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부(751, 752, 753)을 상기 행어바디부(710)에서 이격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즉, 행어바디부(710)와 의류거치부(750)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의류걸이를 각 연장바디의 사이로 넣은 후 각 연장바디의 측면을 통해 걸림부(751, 752, 753)에 접근가능하므로, 상기 행어바디부(71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7512)까지의 최대높이라 한 이유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7512)은 곡면형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1걸림부(751)의 측면에서 손쉽게 제1걸림홈(7513)까지 시야의 방해없이 의류를 거치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바디(7521) 중 하나의 제2걸림바디 상면(7522)까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02)에서 상기 제1바디(711) 또는 상기 제2바디(712)와 상기 하나의 제2걸림바디(7521)가 결합되어 대응되는 하나의 제2연장바디(732)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의 각 측면을 통해, 각 복수 개의 제2걸림홈(7523)에 접근할 수 있음을 뜻한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7522)까지의 최대높이라 한 이유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7522)은 곡면형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7512)과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7522)이 곡면으로 구비되는 이유는 의류걸이의 고리가 곡면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류걸이를 걸림홈(7513, 7523, 7533)에 걸 때, 각진 상면보다 편리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이는 제3걸림부(753)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길이(EL1)과 제2길이(EL2 또는 EL3)는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의 각각의 길이(EL2, EL3)도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7(b)는 행어부(700)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중심바디(713)의 내부에는 슬롯(7132)이 형성될 수 있고, 동력변환부(680)가 상기 슬롯(7132)에 삽입되어, 모터의 회전운동을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에 따른 왕복운동으로 변환할 것이다. 여기서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에 따른 왕복운동은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일수도 있으나, 제1챔버(100)의 너비방향으로 큰 편심을 갖는 타원운동일 수도 있다. 이는 슬롯의 길이와 커넥팅로드의 길이의 대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슬롯(7132)의 길이(S1)의 절반이 커넥팅로드(6812)의 길이보다 길다면 행어부(700)는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반면, 슬롯(7132)의 길이(S1)의 절반이 커넥팅로드(6812)의 길이보다 길다면 행어부(700)는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운동을 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서 볼 때, 상기 행어부(700)는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도 7(c)는 제1챔버의 좌측면(1091)에서 상기 행어부(700)를 바라볼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1챔버의 상부면(101)에서 상기 제1연결바디(716)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제1챔버의 상부면(101)에서 제1연장바디(731)의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동력변환부(680)를 수용하는 중심바디(713)가 제1바디(711) 및 제2바디(712)보다 커야하고, 상기 제1연장바디의 일 측면을 통해 의류를 손쉽게 걸게 하기 위해서는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L1까지의 높이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L2까지의 높이보다 작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101)에서 상기 제1연결바디(716)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제1챔버의 상부면(101)에서 제1연장바디(731)의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도 8은 연장바디부(730)의 양측면에 의류거치부(750)가 모두 구비된 듀얼행어(dual hanger)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의류걸이(PH1)를 의류거치부(750)에 거치시, A1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 즉, 상기 연장바디부(730)의 측면을 통해 의류거치부(750)에 접근할 수 있다. 그 뒤 A2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통해 의류거치부(750)의 내부의 홈, 즉 걸림홈에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의 일측면과 결합하는 의류거치부(750)의 일부는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의류걸이를 아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의류거치부(750)의 내부의 홈에 거치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1: 투입구
12: 상부패널 13: 측면패널 17: 전방접촉부
100: 제1챔버 101: 제1챔버의 상부면
102: 제1챔버의 바닥면 310: 제1탱크 330: 제2탱크
400: 도어 401: 도어내면 405: 의류후크부
700: 행어부 710: 행어바디부 711: 제1바디
712: 제2바디 713: 중심바디 716: 제1연결바디
717: 제2연결바디 730: 연장바디부 731: 제1연장바디
732: 제2연장바디 750: 의류거치부 751: 제1걸림부
752: 제2걸림부 753: 제3걸림부

Claims (17)

  1.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을 저장하는 제1탱크;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상기 제1탱크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2탱크; 및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
    상기 행어바디부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 및
    상기 연장바디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이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중심바디; 및
    상기 중심바디에서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바디부는
    상기 중심바디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기 설정된 제1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기 설정된 제2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거치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바디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제1걸림부;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 각각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제2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제1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걸림바디;
    상기 제1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1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부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2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걸림바디;
    상기 제2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2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거치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제1연장바디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제3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걸림부는
    상기 제1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3걸림바디;
    상기 제3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3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3걸림바디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3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3걸림부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까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심바디와 상기 제1연장바디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걸림바디 중 하나의 제2걸림바디 상면까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와 상기 하나의 제2걸림바디가 결합되어 대응되는 하나의 제2연장바디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바디의 높이는 상기 제2걸림바디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중심바디의 하부보다 상기 개구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중심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제1챔버의 좌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행어바디;
    상기 제1행어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연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중심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제1챔버의 우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행어바디;
    상기 제2행어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연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2연결바디의 하측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행어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행어부를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각각 상기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2연결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1연결바디의 하측과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바디의 하측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행어부를 왕복운동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부는
    상기 중심바디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돌기;
    상기 회전돌기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행어바를 왕복운동시키는 연결돌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바디는 반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바디 상면, 상기 제2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3걸림바디 상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거치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의 각각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노치(notch)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제4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4걸림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제2연장바디의 자유단의 좌우측면중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4걸림바디;
    상기 제4걸림바디의 일면중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제4걸림바디 상면; 및
    상기 제4걸림바디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으로 상기 제4걸림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송풍유닛을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히트펌프유닛;
    상기 제1챔버의 하부 및 상기 제2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탱크;
    상기 제1챔버의 하부 및 상기 제1탱크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2탱크; 및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부;
    상기 행어바디부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부; 및
    상기 연장바디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거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56268A 2020-05-21 2020-11-20 의류처리장치 KR20220069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68A KR20220069291A (ko) 2020-11-20 2020-11-20 의류처리장치
JP2022571191A JP2023526506A (ja) 2020-05-21 2020-11-20 衣類処理装置
EP20936569.1A EP4249668A1 (en) 2020-05-21 2020-11-20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PCT/KR2020/016466 WO2021235628A1 (ko) 2020-05-21 2020-11-20 의류처리장치
CN202080102756.0A CN115812115A (zh) 2020-05-21 2020-11-20 衣物处理装置
US17/926,828 US20230287622A1 (en) 2020-05-21 2020-11-20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68A KR20220069291A (ko) 2020-11-20 2020-11-2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91A true KR20220069291A (ko) 2022-05-27

Family

ID=8179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268A KR20220069291A (ko) 2020-05-21 2020-11-2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761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431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55002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25569B1 (ko) 의류 처리 장치
JP6656254B2 (ja) 芳香器具及びこれを含む衣類処理装置
KR1021545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05957B1 (ko) 의류처리장치
EP424966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110067754A (ko) 의류 처리장치
CN116065371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US20220074123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40027649A (ko) 의류처리장치
EP407129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 air inlet assembly
KR10183278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6929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0683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3B1 (ko) 의류처리장치
CN114369935A (zh) 衣物处理设备
KR10238671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2742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7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07412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