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095A -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095A
KR20220069095A KR1020227014155A KR20227014155A KR20220069095A KR 20220069095 A KR20220069095 A KR 20220069095A KR 1020227014155 A KR1020227014155 A KR 1020227014155A KR 20227014155 A KR20227014155 A KR 20227014155A KR 20220069095 A KR20220069095 A KR 2022006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positioning reference
resource
mapping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 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통신기술 분야에 속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한다.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은 단말에 적용되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패턴 구성 솔루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9월 29일에 중국에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935784.X인 특허 및 2019년 10월 10일에 중국에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959843.7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에 관한 것이다.
포지셔닝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는 하향링크 포지셔닝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이다. 단말(User Equipment, UE)은 다수의 셀(cell) 또는 다수의 전송 포인트로부터의 PRS를 측정하여 다수의 cell 또는 전송 포인트 간의 기준 신호 시간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를 획득한다. 그 다음 UE는 측정을 통해 획득한 RSTD 정보를 향상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로 송신하고, E-SMLC는 UE의 위치를 산출한다.
하향링크 포지셔닝 이외에, LTE는 상향링크 포지셔닝도 지원한다. LTE 상향링크 포지셔닝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기준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이다. eNB 측에 위치한 위치 측정 유닛(Location Measurement Unit, LMU)을 사용하면 UE가 포지셔닝 측정 및 계산에 참여할 필요가 없이, UE의 상향링크 기준 신호 수신 시간차를 평가하여 UE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시작 심볼을 제외한 각 후속 심볼은 하나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relative RE offset)을 갖는다. 동일한 콤 구조 크기(comb size)와 동일한 수의 심볼에서 다중 구성이 지원될 수 있지만, 다중 구성을 지원하기 위해 relative RE offset를 구성하는 방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한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한다.
제5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전술한 솔루션에서, 단말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고 -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므로, 단말은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고,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며,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며,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표준 순환 전치의 LTE PRS 신호 매핑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확장 순환 전치의 LTE PRS 신호 매핑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comb-4 구조에서 등가 comb-1 및 comb-2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도를 나타낸다.
도 4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모듈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약도를 나타낸다.
아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이런 실시예는 본 개시를 보다 철저하게 이해하고 본 개시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온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기술하는 데 사용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 및 ‘갖는다’ 및 그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성 포함을 설명하려는 목적이다.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비는 명확히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하지 않고, 명확히 열거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비의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LTE의 진화(LTE-Advanced, LTE-A) 시스템에만 한정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운반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항상 상호 대체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및 범용 지상 무선 접속(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 기타 CDMA 변형이 포함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ltraMobile Broadband, UMB), 진화형 UTRA(Evolution-UTRA, E-UTRA),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의 일부분이다. LTE 및 고급 LTE (예를 들어, LTE-A)는 E-UTRA를 사용하는 새로운 UMTS 버전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 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라는 조직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라는 조직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상기 시스템 및 무선 기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NR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고, 아래 대다수의 설명에서 NR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설명 내용은 예시만 제공했을 뿐이고 청구 범위에 제시된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구성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논의된 요소의 기능 및 배열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예시에서는 여러 가지 절차나 구성 요소를 적당하게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설명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약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1)과 네트워크 측 장비(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1)은 단말 장비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라고도 지칭할 수 있고,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차량탑재 단말기 등 단말 측 장치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11)의 특정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측 장비(12)는 기지국 또는 핵심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5G 및 이후 버전의 기지국(예: gNB, 5G NR NB 등)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예: eNB, WLAN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등), 또는 위치 서버(예: E-SMLC 또는 LMF(Location Manager Function))일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노드 B, 진화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전신 기지국, 무선전신 트랜스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진화형 B 노드(eNB), 홈 B 노드, 홈 진화된 B 노드,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 노드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적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NR 시스템의 기지국만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기지국의 특정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 하에 단말(11)과 통신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예시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핵심망이나 특정 기지국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일부 기지국은 백홀을 통해 핵심망과 제어 정보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이러한 기지국들 중 일부는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백홀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반송파(다양한 주파수의 파형 신호)에서의 동작을 지원한다. 다중 반송파 송신기는 이러한 다수의 반송파에서 동시에 변조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통신 링크는 다양한 무선전신 기술에 따라 변조된 다중 반송파 신호일 수 있다. 각 변조된 신호는 서로 다른 반송파에서 송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예컨대 참조 신호, 제어 채널 등),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나를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안테나를 통해 단말(11)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각 기지국은 각각 해당되는 커버리지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은 해당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 만을 구성하는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유형의 기지국(예: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피코셀)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룰러 또는 WLAN 무선전신 액세스 기술과 같은 다양한 무선전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일하거나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통신사의 배치와 연관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유형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무선전신 기술을 적용한 커버리지 영역, 또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에 속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함)은 중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링크는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예컨대, 단말(11)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12)로)을 나르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Downlink, DL) 전송(예컨대, 네트워크 측 장비(12)에서 단말(11)로)을 나르는 하향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UL 전송은 역방향 링크 전송이라고도 할 수 있고, DL 전송은 순방향 링크 전송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은 면허 주파수 대역, 비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이 양자를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향링크 전송은 면허 주파수 대역, 비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이 양자를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포지셔닝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는 하향링크 포지셔닝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이다. 단말(User Equipment, UE)은 다수의 셀(cell) 또는 다수의 전송 포인트로부터의 PRS를 측정하여 다수의 cell 또는 전송 포인트 간의 기준 신호 시간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를 획득한다. 그 다음 UE는 측정을 통해 획득한 RSTD 정보를 향상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로 송신하고, E-SMLC는 UE의 위치를 산출한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에서, PRS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전송을 위해 구성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자원 블록에서 전송될 수 있다. PRS는 안테나 포트 6에서 송신되며, PRS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에 할당된 자원 요소(RE)에 매핑될 수 없으며, PRS는 모든 안테나 포트의 셀 특정 기준 신호와 중첩되지 않는다. 인접 셀은 물리적 셀 ID(PCI) 모듈로 6을 통해 다수의 부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획득하여 PRS 중첩을 피한다.
PRS 신호의 생성 및 매핑 방식은 다음과 같다.
기준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001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ns는 무선 프레임의 시간슬롯 번호이고,
Figure pct00003
는 시간슬롯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symbol)의 번호이고, c(i)는 의사 랜덤 시퀀스이다.
의사 랜덤 시퀀스는
Figure pct00004
로 초기화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셀 ID)는 동일하며, 상위 계층 시그널링 지시가 있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표준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인 경우
Figure pct00007
이고, 확장 순환 전치인 경우
Figure pct00008
이다.
기준 신호의 시간-주파수 자원 매핑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9
여기서, 표준 순환 전치인 경우:
Figure pct00010
확장 순환 전치인 경우:
Figure pct00011
여기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대역폭(자원 블록(RB) 수)
Figure pct00012
은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고, 셀 전용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pct00013
에 의해 산출된다.
RB에서 PRS 신호의 매핑 관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에서 PRS 신호는 PRS ID 모듈로 6을 기반으로 설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신호는 강한 자기상관성과 직교 특성을 가지며, 신호에 대한 상관 검출을 수행할 때 최고 상관 피크를 판단하기 쉽고, 또 인접 셀의 신호 간섭이 제거되어 관측 도달 시간차(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측정 정확도가 보장된다.
하향링크 포지셔닝 이외에, LTE는 상향링크 포지셔닝도 지원한다. LTE 상향링크 포지셔닝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기준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이다. eNB 측에 위치한 위치 측정 유닛(Location Measurement Unit, LMU)을 사용하면 UE가 포지셔닝 측정 및 계산에 참여할 필요가 없이, UE의 상향링크 기준 신호 수신 시간차를 평가하여 UE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향링크 측정량을 획득하기 위해, LMU는 상향링크 측정량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시간 내에 UE에 의해 송신된 SRS 신호의 특징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특징은 상향링크 측정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송신된 SRS 신호에 대해 정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E-SMLC는 eNB에게 UE가 상향링크 포지셔닝을 위한 SRS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라고 지시한다. eNB는 자원 할당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고, E-SMLC가 LMU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이 구성 정보를 E-SMLC에 반환한다. eNB는 UE에 제로 자원을 구성하기로 결정(예컨대, 가용 자원이 없는 경우)하고, 이 제로 자원 구성을 E-SMLC에 보고할 수 있다.
엔알(New Radio, NR)에서는 NR 시스템 기반의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NR DL PRS)가 재설계되었다. PRS는 FR1에서 최대 100M, FR2에서 최대 400M의 전송을 지원한다. NR PRS 대역폭 구성은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구성과 무관하며, PRS 대역폭이 BWP 대역폭보다 큰 경우, UE가 측정 간격(Measurement Gap)을 사용하여 PRS에 대한 측정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PRS가 빔 포밍을 지원하므로, PRS 자원(resource)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PRS resource ID는 1개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에서 1개 빔에 해당할 수 있다. 동시에, UE의 가청성을 높이기 위해, PRS 빔 스위핑 및 PRS 빔 반복을 지원한다. 또한, PRS가 인접 셀 RS를 준-공동위치(Quasi Co-Loacted, QCL) 기준 신호로 참조하도록 지원한다.
PRS는 교차된 pattern을 지원하고 유연한 pattern 구성을 지원한다. PRS resource의 콤(comb) 구조는 적어도 {2,4,6}을 지원할 수 있고, symbol 수는 적어도 {2,4,6}을 지원할 수 있다. 현재, comb 구조는 아직 {1,8,12}를 배제하지 않았고, symbol 수는 {1,3,8,12}를 배제하지 않았다.
상향링크 포지셔닝인 경우, NR의 SRS를 기반으로 확장된다.
SRS에 대한 gNB의 검출 확률을 높이기 위해, SRS comb 구조를 {2,4,8}로 확장한다. 동시에, SRS 자원의 심볼 수를 {1,2,4,8,12}로 증가하고, 다른 comb 구조 및 심볼 수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다.
SRS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SRS가 차지하는 심볼 위치를 slot 내 임의의 위치로 확장한다.
포지셔닝 성능을 높이기 위해, SRS pattern을 DL PRS와 유사한 교차된 pattern으로 확장한다.
빔 포밍을 지원하고 상향링크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SRS 빔 스위핑 및 SRS 빔 반복을 지원한다. 또한, SRS가 인접 셀 RS를 QCL 기준 신호로 참조하도록 지원한다.
SRS 전력 제어인 경우, 인접 셀의 가청성을 높이기 위해 SRS가 인접 셀 pathloss RS를 참조하여 경로손실을 계산하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DL PRS의 RE pattern 구성은 DL PRS resource의 첫 번째 심볼의 RE 오프셋(offset)을 포함한다. 동시에, 다음 심볼에 대해 상대(relative) RE offset이 정의되는데, 이 값은 주파수 영역에서 첫 번째 심볼의 RE offset에 대한 상대적인 offset이다. 다음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은 DL PRS 자원에 구성된 심볼 수, DL PRS 자원의 comb size 및 DL PRS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
또한, UL PRS pattern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론에 도달했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시작 심볼을 제외한 각 후속 심볼은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을 갖는다. 동일한 comb size에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에 따라 길이가 같은 relative RE offset 배열 또는 시퀀스를 구성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심볼 수에 대해 서로 다른 배열 또는 시퀀스가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comb size에서, 심볼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pattern은 심볼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pattern의 반복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으로 배열 또는 시퀀스를 구성할 경우 오버헤드가 매우 높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은 경우, relative RE offset를 구성하는 방법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도 4에서,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고, 여기서 도 4의 왼쪽 절반은 등가 comb-1이고, 도 4의 오른쪽 절반은 등가 comb-2이다.
추가로, 동일한 comb size와 동일한 수의 심볼에서 다중 pattern이 지원될 수 있지만, 다중 pattern을 지원하기 위해 relative RE offset를 구성하는 방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한다.
단계 102: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고 -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므로, 단말은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고,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매핑 정보는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들 중 하나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로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상기 구성 정보 그룹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처음
Figure pct00014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각각 지시하는
Figure pct00015
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016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17
보다 크지 않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018
의 값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19
보다 작은 경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20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021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동일하고,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22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023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위치도 동일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보다 크거나 같고, 0번째 심볼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026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와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
미리 구성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일부 구성 정보는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모든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거나,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생성 공식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의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매핑 정보는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 공식의 계산 파라미터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27
는 X보다 작지 않고, X는 상기 생성 공식의 주기 또는 상기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이고, X는 KTC와 같거나 KTC의 인수 중 하나이고,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생성 공식을 수신하는 것;
미리 구성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것;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생성 공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일부 생성 공식은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모든 생성 공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거나,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롱 텀 에볼루션 포지셔닝 프로토콜(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6, 8 및 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및 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는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고 -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단말은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므로, 단말은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고,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들 중 하나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로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상기 구성 정보 그룹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처음
Figure pct00028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각각 지시하는
Figure pct00029
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030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31
보다 크지 않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032
의 값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33
보다 작은 경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34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035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동일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보다 크거나 같고, 0번째 심볼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038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와 같다.
선택적으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의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 공식의 계산 파라미터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39
는 X보다 작지 않고, X는 상기 생성 공식의 주기 또는 상기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이고, X는 KTC와 같거나 KTC의 인수 중 하나이고,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롱 텀 에볼루션 포지셔닝 프로토콜(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6, 8 및 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및 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결부하여 본 개시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테이블을 통해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지시한다.
여기서,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구성 정보는 배열, 시퀀스, 벡터 또는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프로토콜의 정의 및/또는 네트워크 측 장비의 지시에 따라, UE는 테이블 내의 특정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relative RE offset을 도출한다. 이 구성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처음
Figure pct00040
개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Figure pct00041
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보다 작지 않다.
추가로, 심볼 수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보다 큰 경우, UE는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046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047
번째 심볼의 RE 위치(또는 relative RE offset)가 동일하다고 가정해야 한다. 여기서,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보다 작지 않다.
Figure pct00050
이고,
Figure pct00051
는 이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낸다. 0번째 심볼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낸다.
추가로,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relative RE offset는 기본적으로 0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은 다음의 comb 구조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Comb-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은 아래와 같으며, 테이블은 한 가지 구성, 즉 구성 1만 포함하고, 구성 1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처음 2개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나타내는 두 개의 값을 포함한다.
구성 인덱스 Relative RE offset 구성
구성 1 {0, 1}
Comb-4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은 다중 구성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 중 하나를 UE에 지시한다. 테이블의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테이블에는 구성 1, 구성 2, 구성 3...과 같이 적어도 두 가지 구성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이 정의되며, 테이블은 한 가지 구성만 포함하고, 이 구성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중 하나일 수 있다.
Relative RE offset 구성 인덱스 Relative RE offset 구성
구성 1 {0, 2, 1, 3}
구성 2 {0, 1, 2, 3}
구성 3 {0, 2}
... ...
여기서, 구성된 값이 상기 구성 3인 경우,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은 등가 Comb-2 구조이다.
Comb-6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은 다중 구성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 중 하나를 UE에 지시한다. 테이블의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테이블에는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와 같이 적어도 두 가지 구성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이 정의되며, 테이블은 한 가지 구성만 포함하고, 이 구성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인덱스 Relative RE offset 구성
구성 1 {0, 3, 1, 4, 2, 5}
구성 2 {0, 2, 4, 1, 3, 5}
구성 3 {0, 1, 2, 3, 4, 5}
구성 4 {0, 2, 4}/{0, 4, 2}
구성 5 {0, 3}
... ...
여기서, 구성 4에는 두 개의 값이 해당하며,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Comb-8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은 다중 구성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 중 하나를 UE에 지시한다. 테이블의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테이블에는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과 같이 적어도 두 가지 구성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이 정의되며, 테이블은 한 가지 구성만 포함하고, 이 구성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인덱스 Relative RE offset 구성
구성 1 {0, 4, 1, 5, 2, 6, 3, 7}
구성 2 {0, 2, 4, 6, 1, 3, 5, 7}
구성 3 {0, 4, 2, 6, 1, 5, 3, 7}
구성 4 {0, 1, 2, 3, 4, 5, 6, 7}
구성 5 {0, 4, 2, 6}
구성 6 {0, 2, 4, 6}
구성 7 {0, 4}
... ...
Comb-1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은 다중 구성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 중 하나를 UE에 지시한다. 테이블의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테이블에는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구성 8, 구성 9, 구성 10, 구성 11, 구성 12, 구성 13, 구성 14, 구성 15...와 같이 적어도 두 가지 구성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테이블이 정의되며, 테이블은 한 가지 구성만 포함하고, 이 구성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구성 8, 구성 9, 구성 10, 구성 11, 구성 12, 구성 13, 구성 14, 구성 15...)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인덱스 Relative RE offset 구성
구성 1 {0, 6, 1, 7, 2, 8, 3, 9, 4, 10, 5, 11}
구성 2 {0, 4, 8, 1, 5, 9, 2, 6, 10, 3, 7, 11}
구성 3 {0, 6, 3, 9, 1, 7, 4, 10, 2, 8, 5, 11}
구성 4 {0, 3, 6, 9, 1, 4, 7, 10, 2, 5, 8, 11}
구성 5 {0, 2, 4, 6, 8, 10, 1, 3, 5, 7, 9, 11}
구성 6 {0, 6, 2, 8, 4, 10, 1, 7, 3, 9, 5, 11}
구성 7 {0, 4, 8, 2, 6, 10, 1, 5, 9, 3, 7, 11}
구성 8 {0, 1, 2, 3, 4, 5, 6, 7, 8, 9, 10, 11}
구성 9 {0, 2, 4, 6, 8, 10}
구성 10 {0, 4, 8, 2, 6, 10}
구성 11 {0, 6, 2, 8, 4, 10}
구성 12 {0, 3, 6, 9}
구성 13 {0, 6, 3, 9}
구성 14 {0, 4, 8}/{0, 8, 4}
구성 15 {0, 6}
... ...
실시예 2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생성 공식을 통해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프로토콜의 정의 및/또는 네트워크 측의 지시에 따라, UE는 특정 생성 공식을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도출한다. 생성 공식에 따라, UE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comb 구조,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및/또는 심볼 수와 관련된다. 이 생성 공식에서,
Figure pct00052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53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054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55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comb 구조 크기를 나타낸다.
추가로,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relative RE offset는 기본적으로 0이다.
추가로,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056
는 X보다 작지 않다. X는 생성 공식의 주기(또는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를 나타내고, KTC와 같거나 KTC의 인수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은 다음의 comb 구조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Comb-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1)과 같다(하나만 있음).
Figure pct00057
(1)
Comb-4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2) 내지 공식(4) 중 하나이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pattern 구성 1, 구성 2 및 구성 3에 각각 해당하는 3개의 생성 공식이 있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2) 내지 공식(4)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58
(2)
Figure pct00059
(3)
Figure pct00060
(4)
Comb-6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5) 내지 공식(9) 중 하나이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pattern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및 구성 5에 각각 해당하는 5개의 생성 공식이 있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5) 내지 공식(9)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61
(5)
Figure pct00062
(6)
Figure pct00063
(7)
Figure pct00064
(8)
Figure pct00065
(9)
Comb-8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10) 내지 공식(16) 중 하나이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pattern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및 구성 7에 각각 해당하는 7개의 생성 공식이 있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공식들 중 하나를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10) 내지 공식(16)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66
(10)
Figure pct00067
(11)
Figure pct00068
(12)
여기서 공식(12)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13)
Figure pct00071
(14)
여기서 공식(14)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15)
Figure pct00074
(16)
Comb-1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17) 내지 공식(31) 중 하나이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pattern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구성 8, 구성 9, 구성 10, 구성 11, 구성 12, 구성 13, 구성 14 및 구성 15에 각각 해당하는 15개의 생성 공식이 있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17) 내지 공식(31)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75
(17)
Figure pct00076
(18)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19)
여기서 공식(19)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20)
Figure pct00082
(21)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22)
여기서 공식(22)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23)
여기서 공식(23)은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Figure pct00091
(24)
Figure pct00092
(25)
Figure pct00093
(26)
여기서 공식(26)은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27)
여기서 공식(27)은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28)
Figure pct00098
(29)
여기서 공식(29)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99
Figure pct00100
(30)
Figure pct00101
(31)
실시예 3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배열을 통해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지시한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처음
Figure pct00102
개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나타내기 위해, 길이가
Figure pct00103
인 배열(시퀀스 또는 벡터일 수도 있음)이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된다. 이 배열에 따라, UE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 이후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도출할 수 있다.
추가로,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104
는 해당 배열의 길이
Figure pct00105
보다 작지 않다.
추가로, 심볼 수
Figure pct00106
가 해당 배열의 길이
Figure pct00107
보다 큰 경우, UE는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108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109
번째 심볼의 RE 위치(또는 relative RE offset)가 동일하다고 가정해야 한다. 여기서,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보다 작지 않다.
Figure pct00112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13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낸다.
추가로,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relative RE offset는 기본적으로 0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은 다음의 comb 구조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Comb-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배열은 {0,1}이다.
Comb-4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다수의 배열 구성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배열 구성 중 하나를 지시하며, 다수의 배열 구성은 아래와 같이 구성 1, 구성 2 및 구성 3...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배열이 정의되며, 배열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중 하나일 수 있다.
PRS pattern 구성 Relative RE offset 배열
구성 1 {0, 2, 1, 3}
구성 2 {0, 1, 2, 3}
구성 3 {0, 2}
... ...
Comb-6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다수의 배열 구성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배열 구성 중 하나를 지시하며, 다수의 배열 구성은 아래와 같이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배열이 정의되며, 배열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중 하나일 수 있다.
PRS pattern 구성 Relative RE offset 배열
구성 1 {0, 3, 1, 4, 2, 5}
구성 2 {0, 2, 4, 1, 3, 5}
구성 3 {0, 1, 2, 3, 4, 5}
구성 4 {0, 2, 4}/{0, 4, 2}
구성 5 {0, 3}
... ...
Comb-8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다수의 배열 구성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배열 구성 중 하나를 지시하며, 다수의 배열 구성은 아래와 같이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및 구성 7...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배열이 정의되며, 배열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중 하나일 수 있다.
PRS pattern 구성 Relative RE offset 배열
구성 1 {0, 4, 1, 5, 2, 6, 3, 7}
구성 2 {0, 2, 4, 6, 1, 3, 5, 7}
구성 3 {0, 4, 2, 6, 1, 5, 3, 7}
구성 4 {0, 1, 2, 3, 4, 5, 6, 7}
구성 5 {0, 4, 2, 6}
구성 6 {0, 2, 4, 6}
구성 7 {0, 4}
... ...
Comb-1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다수의 배열 구성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배열 구성 중 하나를 지시하며, 다수의 배열 구성은 아래와 같이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구성 8, 구성 9, 구성 10, 구성 11, 구성 12, 구성 13, 구성 14, 구성 15...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직접 UE에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배열이 정의되며, 배열의 값은 아래 구성(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구성 8, 구성 9, 구성 10, 구성 11, 구성 12, 구성 13, 구성 14, 구성 15...) 중 하나일 수 있다.
PRS pattern 구성 Relative RE offset 배열
구성 1 {0, 6, 1, 7, 2, 8, 3, 9, 4, 10, 5, 11}
구성 2 {0, 4, 8, 1, 5, 9, 2, 6, 10, 3, 7, 11}
구성 3 {0, 6, 3, 9, 1, 7, 4, 10, 2, 8, 5, 11}
구성 4 {0, 3, 6, 9, 1, 4, 7, 10, 2, 5, 8, 11}
구성 5 {0, 2, 4, 6, 8, 10, 1, 3, 5, 7, 9, 11}
구성 6 {0, 6, 2, 8, 4, 10, 1, 7, 3, 9, 5, 11}
구성 7 {0, 4, 8, 2, 6, 10, 1, 5, 9, 3, 7, 11}
구성 8 {0, 1, 2, 3, 4, 5, 6, 7, 8, 9, 10, 11}
구성 9 {0, 2, 4, 6, 8, 10}
구성 10 {0, 4, 8, 2, 6, 10}
구성 11 {0, 6, 2, 8, 4, 10}
구성 12 {0, 3, 6, 9}
구성 13 {0, 6, 3, 9}
구성 14 {0, 4, 8}/{0, 8, 4}
구성 15 {0, 6}
... ...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 방법에 결부하여 본 개시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방법 1
본 실시 방법에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index는
Figure pct00114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부터 카운팅될 수 있다.
Figure pct00115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낸다.
Figure pct00116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17
는 이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설명한 솔루션에 따라, UE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처음
Figure pct00118
개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획득할 수 있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Figure pct00119
번째 심볼에 해당하는 relative RE offset과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index가
Figure pct00120
인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값은 동일하다.
실시 방법 2
프로토콜의 정의 및/또는 네트워크 측의 지시에 따라, UE는 특정 생성 공식을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도출한다. 생성 공식에 따라, UE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comb 구조,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및/또는 심볼 수와 관련된다. 생성 공식에서,
Figure pct00121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122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23
는 이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24
는 이 자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KTC는 이 자원의 comb 구조 크기를 나타낸다.
추가로,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125
는 KTC보다 작지 않다.
추가로, 심볼 수
Figure pct00126
가 KTC보다 큰 경우, UE는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127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128
- KTC번째 심볼의 RE 위치(또는 relative RE offset)가 동일하다고 가정해야 한다. 여기서,
Figure pct00129
는 KTC보다 작지 않다.
Figure pct00130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31
는 이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32
=0 는 이 자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은 다음의 comb 구조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Comb-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1)과 같다(하나만 있음).
Figure pct00133
(1)
Comb-4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2) 및 공식(3) 중 하나이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2) 및 공식(3)을 포함한다.
Figure pct00134
(2)
Figure pct00135
(3)
Comb-6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5) 내지 공식(7) 중 하나이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5) 내지 공식(7)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136
(5)
Figure pct00137
(6)
Figure pct00138
(7)
Comb-8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10) 내지 공식(13) 중 하나이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공식들 중 하나를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10) 내지 공식(13)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139
(10)
Figure pct00140
(11)
Figure pct00141
(12)
여기서 공식(12)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13)
Comb-1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17) 내지 공식(24) 중 하나이다.
또는, 프로토콜에서 다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되고, 네트워크 측에서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지시한다. 다수의 생성 공식은 공식(17) 내지 공식(24)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144
(17)
Figure pct00145
(18)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19)
여기서 공식(19)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48
Figure pct00149
(20)
Figure pct00150
(21)
Figure pct00151
Figure pct00152
(22)
여기서 공식(22)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53
Figure pct00154
(23)
여기서 공식(23)은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55
Figure pct00156
(24)
실시 방법 3
본 실시 방법에서는 등가 comb size가 1이 아닌 경우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relative RE offset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프로토콜의 정의 및/또는 네트워크 측의 지시에 따라, UE는 특정 생성 공식을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도출한다. 생성 공식에 따라, UE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comb 구조,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심볼 수와 관련된다.
Figure pct00157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158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59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60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comb 구조 크기를 나타낸다.
추가로,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161
는 X보다 작지 않다. X는 생성 공식의 주기(또는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를 나타내고, KTC의 인수 중 하나일 수 있다.
추가로, 심볼 수
Figure pct00162
가 X보다 큰 경우, UE는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163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164
번째 심볼의 RE 위치(또는 relative RE offset)가 동일하다고 가정해야 한다. 여기서,
Figure pct00165
는 KTC보다 작지 않다.
Figure pct00166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67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68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즉,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Figure pct00169
번째 심볼에 해당하는 relative RE offset과 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index가
Figure pct00170
인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값은 동일하다.
Comb-4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지시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32)이고, pattern 구성 3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X는 2이다.
Figure pct00171
(32)
Comb-6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지시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33) 및 공식(34) 중 하나이고, pattern 구성 4 및 구성 5에 각각 해당한다. 이 경우에, X는 각각 3, 2이다.
Figure pct00172
(33)
Figure pct00173
(34)
Comb-8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지시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35) 내지 공식(37) 중 하나이고, pattern 구성 5, 구성 6 및 구성 7에 각각 해당한다. 이 경우에, X는 각각 4, 4, 2이다.
Figure pct00174
(35)
여기서 공식(35)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75
Figure pct00176
(36)
Figure pct00177
(37)
Comb-12 구조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지시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 생성 공식은 공식(38) 내지 공식(44) 중 하나이고, pattern 구성 9, 10, 11, 12, 13, 14, 15에 각각 해당한다. 이 경우에, X는 각각 6, 6, 6, 4, 4, 3, 2이다.
Figure pct00178
(38)
Figure pct00179
(39)
여기서 공식(39)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80
Figure pct00181
(40)
여기서 공식(40)은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82
Figure pct00183
(41)
Figure pct00184
(42)
여기서 공식(42)는 다음 공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185
Figure pct00186
(43)
Figure pct00187
(44)
실시 방법 4
실시 방법 4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 적용된다. 생성 공식(45) 또는 (46) 또는 (47)에 따라, UE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188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89
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90
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191
(45)
Figure pct00192
(46)
또는,
Figure pct00193
(47)
여기서,
Figure pct00194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95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96
는 이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97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이다.
Figure pct00198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나타낸다.
실시 방법 5
실시 방법 5는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 적용된다. 실시 방법 5에서의 생성 공식에 따라, UE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199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200
는 이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01
는 이 자원의 시작 심볼 인덱스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성 공식은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pct00202
또는,
Figure pct00203
또는,
Figure pct00204
여기서,
Figure pct00205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06
이고,
Figure pct00207
는 이 자원이 차지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08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이다.
Figure pct00209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나타낸다.
또는,
서로 다른 comb size에 따라, 생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comb-2, comb-4인 경우:
Figure pct00210
comb-8인 경우:
Figure pct00211
여기서, comb-8의 생성 공식은 또 다음과 같이 최적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212
실시 방법 6
서로 다른 comb size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생성 공식 또는 테이블 내의 구성 또는 배열이 정의된다.
UE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comb size에 따라 해당 생성 공식, 테이블 내의 구성, 배열을 선택한다.
공식, 테이블 또는 배열에 대한 솔루션은 아래와 같다.
(1) 각 comb size에 대해,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생성 공식이 정의된다. UE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comb size에 따라 해당 생성 공식을 선택한다. 네트워크 측은 다음의 comb 구조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omb-2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생성 공식은 다음 공식이다.
Figure pct00213
comb-4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생성 공식은 다음 공식 중 하나이다.
Figure pct00214
Figure pct00215
comb-6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생성 공식은 다음 공식 중 하나이다.
Figure pct00216
Figure pct00217
Figure pct00218
comb-8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생성 공식은 다음 공식 중 하나이다.
Figure pct00219
Figure pct00220
Figure pct00221
Figure pct00222
comb-12인 경우,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생성 공식은 다음 공식 중 하나이다.
Figure pct00223
Figure pct00224
Figure pct00225
Figure pct00226
Figure pct00227
Figure pct00228
Figure pct00229
Figure pct00230
(2)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테이블이 정의되고, 테이블에는 다수의 구성이 포함되어 각각 서로 다른 comb size에서의 relative RE offset 구성에 해당한다. UE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comb size에 따라 해당 relative RE offset 구성을 선택한 다음,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도출한다. 네트워크 측은 다음의 comb 구조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Comb size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Comb-2 {0, 1}
Comb-4 {0, 2, 1, 3} 또는 {0, 1, 2, 3}
Comb-6 {0, 3, 1, 4, 2, 5}, {0, 2, 4, 1, 3, 5}, {0, 1, 2, 3, 4, 5} 중 하나
Comb-8 {0, 4, 1, 5, 2, 6, 3, 7}, {0, 2, 4, 6, 1, 3, 5, 7}, {0, 4, 2, 6, 1, 5, 3, 7}, {0, 1, 2, 3, 4, 5, 6, 7} 중 하나
Comb-12 {0, 6, 1, 7, 2, 8, 3, 9, 4, 10, 5, 11}, {0, 4, 8, 1, 5, 9, 2, 6, 10, 3, 7, 11}, {0, 6, 3, 9, 1, 7, 4, 10, 2, 8, 5, 11}, {0, 3, 6, 9, 1, 4, 7, 10, 2, 5, 8, 11}, {0, 2, 4, 6, 8, 10, 1, 3, 5, 7, 9, 11}, {0, 6, 2, 8, 4, 10, 1, 7, 3, 9, 5, 11}, {0, 4, 8, 2, 6, 10, 1, 5, 9, 3, 7, 11}, {0, 1, 2, 3, 4, 5, 6, 7, 8, 9, 10, 11} 중 하나
(3) 각 comb size에 대해,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배열이 정의된다. UE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comb size에 따라 해당 배열을 선택한 다음, 각 심볼의 relative RE offset을 도출한다. 네트워크 측은 다음의 comb 구조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Comb size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배열
Comb-2 {0, 1}
Comb-4 {0, 2, 1, 3} 또는 {0, 1, 2, 3}
Comb-6 {0, 3, 1, 4, 2, 5}, {0, 2, 4, 1, 3, 5}, {0, 1, 2, 3, 4, 5} 중 하나
Comb-8 {0, 4, 1, 5, 2, 6, 3, 7}, {0, 2, 4, 6, 1, 3, 5, 7}, {0, 4, 2, 6, 1, 5, 3, 7}, {0, 1, 2, 3, 4, 5, 6, 7} 중 하나
Comb-12 {0, 6, 1, 7, 2, 8, 3, 9, 4, 10, 5, 11}, {0, 4, 8, 1, 5, 9, 2, 6, 10, 3, 7, 11}, {0, 6, 3, 9, 1, 7, 4, 10, 2, 8, 5, 11}, {0, 3, 6, 9, 1, 4, 7, 10, 2, 5, 8, 11}, {0, 2, 4, 6, 8, 10, 1, 3, 5, 7, 9, 11}, {0, 6, 2, 8, 4, 10, 1, 7, 3, 9, 5, 11}, {0, 4, 8, 2, 6, 10, 1, 5, 9, 3, 7, 11}, {0, 1, 2, 3, 4, 5, 6, 7, 8, 9, 10, 11} 중 하나
여기서,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6, 8 및 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및 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방법 7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DL PRS resource)인 경우, PRS 매핑 공식은 아래와 같다.
구성된 PRS resource인 경우, UE는 시퀀스 r(m)가 자원 요소
Figure pct00231
에 매핑된다고 가정한다.
Figure pct00232
여기서, βPRS는 전력 스케일링 계수(power scaling factor)이고, KTC는 콤 구조 크기(comb size)로서 PRS 주파수 밀도에 의해 결정되고,
Figure pct00233
는 PRS 주파수 밀도(frequency density)로서
Figure pct00234
이고,
Figure pct00235
는 시간슬롯 내의 PRS OFDM 심볼 인덱스이고,
Figure pct00236
는 시간슬롯 내의 PRS 자원의 시작 심볼이고,
Figure pct00237
는 PRS OFDM 심볼의 순서에 따라 시작 심볼부터 카운팅되는 심볼 순서로서
Figure pct00238
,
Figure pct00239
이고,
Figure pct00240
는 PRS 자원 내의 심볼 수이고,
Figure pct00241
는 하향링크 PRS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심볼
Figure pct00242
의 상대 오프셋이고, A는 테이블에서 선택된 구성이거나 A는 하나의 배열이고, A는
Figure pct00243
개 값을 포함하고, A는 하향링크 PRS 자원에서 처음
Figure pct00244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고, k0는 PRS 자원이 첫 번째 심볼의 콤 오프셋, 또는 PRS 자원에서 시작 심볼의 최저 자원 요소 위치로서 PRS 시퀀스 ID
Figure pct00245
와 상관되고, k=0의 기준점은 공통 자원 블록 0 내의 부반송파 0이다.
또는, PRS 매핑 공식은 다음과 같다.
구성된 PRS resource인 경우, UE는 시퀀스 r(m)가 자원 요소
Figure pct00246
에 매핑된다고 가정한다.
Figure pct00247
여기서, βPRS는 전력 스케일링 계수(power scaling factor)이고, KTC는 콤 구조 크기(comb size)로서 PRS 주파수 밀도에 의해 결정되고,
Figure pct00248
는 PRS 주파수 밀도(frequency density)로서
Figure pct00249
이고,
Figure pct00250
는 시간슬롯 내의 PRS OFDM 심볼 인덱스이고,
Figure pct00251
는 시간슬롯 내의 PRS 자원의 시작 심볼이고,
Figure pct00252
는 PRS OFDM 심볼의 순서에 따라 시작 심볼부터 카운팅되는 심볼 순서로서
Figure pct00253
,
Figure pct00254
이고,
Figure pct00255
는 PRS 자원 내의 심볼 수이고,
Figure pct00256
는 하향링크 PRS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심볼
Figure pct00257
의 상대 오프셋으로서 공식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k0는 PRS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콤 오프셋, 또는 PRS 자원에서 시작 심볼의 최저 자원 요소 위치로서 PRS 시퀀스 ID
Figure pct00258
와 상관되고, k=0의 기준점은 공통 자원 블록 0 내의 부반송파 0이다.
실시 방법 8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즉 포지셔닝에 사용되는 SRS 자원인 경우, SRS 매핑 공식은 다음과 같다.
SRS의 주파수영역 시작 위치는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ct00259
Figure pct00260
Figure pct00261
여기서,
Figure pct00262
는 콤 오프셋으로서 하나의 자원 블록에서 첫 번째 심볼의 최저 자원 요소 위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63
는 SRS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심볼
Figure pct00264
의 상대 오프셋이고, A는 테이블에서 선택된 구성이거나 A는 하나의 배열이고, A는
Figure pct00265
개 값을 포함하고, A는 SRS 자원에서 처음
Figure pct00266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고,
Figure pct00267
로서 SRS 자원의 시작 심볼부터 카운팅되는 심볼 순서를 나타내고, SRS 자원의 시작 심볼인 경우
Figure pct00268
이다.
또는, 생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269
Figure pct00270
여기서,
Figure pct00271
는 콤 오프셋으로서 하나의 자원 블록에서 첫 번째 심볼의 최저 자원 요소 위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72
는 SRS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심볼
Figure pct00273
의 상대 오프셋으로서 공식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Figure pct00274
로서 SRS 자원의 시작 심볼부터 카운팅되는 심볼 순서를 나타내고, SRS 자원의 시작 심볼인 경우
Figure pct00275
이다.
실시 방법 9
서로 다른 comb size에서, relative RE offset의 구성 및 pattern은 도 7 내지 도 37에서 도시된 바와 같고, 도 7 내지 도 37은 RB에서 PRS 신호의 매핑 관계를 나타낸다.
Comb-2인 경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은 {0, 1}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자원 요소(RE)이다.
Comb-4인 경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은 {0, 2, 1, 3}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2는 {0, 1, 2, 3}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3은 {0, 2}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다.
Comb-6인 경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은 {0, 2, 4, 1, 3, 5}이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2는 {0, 3, 1, 4, 2, 5}이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3은 {0, 1, 2, 3, 4, 5}이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4는 {0, 2, 4}이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5는 {0, 3}이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다.
Comb-8인 경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은 {0, 4, 1, 5, 2, 6, 3, 7}이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2는 {0, 2, 4, 6, 1, 3, 5, 7}이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3은 {0, 4, 2, 6, 1, 5, 3, 7}이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4는 {0, 1, 2, 3, 4, 5, 6, 7}이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5는 {0, 4, 2, 6}이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6은 {0, 2, 4, 6}이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7은 {0, 4}이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다.
Comb-12인 경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은 {0, 6, 1, 7, 2, 8, 3, 9, 4, 10, 5, 11}이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2는 {0, 4, 8, 1, 5, 9, 2, 6, 10, 3, 7, 11}이고,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3은 {0, 6, 3, 9, 1, 7, 4, 10, 2, 8, 5, 11}이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4는 {0, 3, 6, 9, 1, 4, 7, 10, 2, 5, 8, 11}이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5는 {0, 2, 4, 6, 8, 10, 1, 3, 5, 7, 9, 11}이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6은 {0, 6, 2, 8, 4, 10, 1, 7, 3, 9, 5, 11}이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7은 {0, 4, 8, 2, 6, 10, 1, 5, 9, 3, 7, 11}이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8은 {0, 1, 2, 3, 4, 5, 6, 7, 8, 9, 10, 11}이고,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9는 {0, 2, 4, 6, 8, 10}이고,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0은 {0, 4, 8, 2, 6, 10}이고,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1은 {0, 6, 2, 8, 4, 10}이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2는 {0, 3, 6, 9}이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3은 {0, 6, 3, 9}이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4는 {0, 4, 8}이고,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며, relative RE offset에 해당하는 구성 15는 {0, 6}이고,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채워진 부분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RE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300)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를 포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을 구현하고, 또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단말(300)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기능 모듈: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310) -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320);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고 -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므로, 단말은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고,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매핑 정보는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획득 모듈(310)은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310)은 또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들 중 하나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로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상기 구성 정보 그룹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처음
Figure pct00276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각각 지시하는
Figure pct00277
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278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279
보다 크지 않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280
의 값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281
보다 작은 경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282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283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동일하고,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284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285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위치도 동일하며, 여기서
Figure pct00286
Figure pct00287
보다 크거나 같고, 0번째 심볼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288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와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
미리 구성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일부 구성 정보는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모든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거나,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생성 공식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획득 모듈(310)은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의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310)은 또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 공식의 계산 파라미터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289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290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91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92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293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294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95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296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297
는 X보다 작지 않고, X는 상기 생성 공식의 주기 또는 상기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이고, X는 KTC와 같거나 KTC의 인수 중 하나이고,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생성 공식을 수신하는 것;
미리 구성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것;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생성 공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일부 생성 공식은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모든 생성 공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되거나, 미리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롱 텀 에볼루션 포지셔닝 프로토콜(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6, 8 및 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및 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더 잘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도 39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해당 단말(4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41), 네트워크 모듈(42), 오디오 출력 장치(43), 입력 장치(44), 센서(45), 디스플레이 장치(46), 사용자 입력 장치(47), 인터페이스 장치(48), 메모리(49), 프로세서(410), 전원(411) 등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도 39에 도시된 단말 구조가 단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 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410)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41)는 정보의 송수신 과정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410)에 전달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4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4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42)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탐색,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43)는 무선 주파수 장치(41) 또는 네트워크 모듈(42)에서 수신하거나 메모리(4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43)는 단말(4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43)는 스피커, 부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4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장치(4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441)과 마이크로폰(442)이 포함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4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4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4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49) (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41) 또는 네트워크 모듈(4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4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4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40)은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4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단말(40)이 귀쪽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4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 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식별(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보수계, 태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4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4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4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461)이 포함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4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47)에는 터치 패널(471)과 기타 입력 장치(472)가 포함된다. 터치 패널(4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4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4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4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4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 (4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47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4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4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4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4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471)은 디스플레이 패널(4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4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4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410)는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4에서 터치 패널(471)과 디스플레이 패널(461)이 두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471)과 디스플레이 패널(461)이 통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48)는 외부 장치와 단말(4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 입력/출력(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4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력 등)을 수신하여 단말(4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요소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단말(4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4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410)는 단말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단말 전체의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며, 메모리(4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리(4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410)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410)에 통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4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4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4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4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4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410), 메모리(49), 메모리(4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4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단말은 무선 단말일 수 있고 유선 단말일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기타 서비스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고, 무선 연결 기능이 있는 휴대형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어 있은 기타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핵심망과 통신할 수 있고, 무선 단말은 휴대폰(또는 ‘셀룰러’ 전화라고 함)과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형, 포켓형, 핸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탑재형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다. 예컨대,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수화기,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이 있다. 무선 단말은 시스템, 서브스크라이버 유닛(Subscriber Unit), 서브스크라이버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장치(User Device or User Equipment)라고 할 수 있고 여기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600)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를 포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을 구현하고, 또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네트워크 측 장비(600)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기능 모듈: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610)을 포함하되,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는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고 -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단말은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므로, 단말은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고,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610)은 단말에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610)은 또한 상기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들 중 하나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로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상기 구성 정보 그룹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처음
Figure pct00298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각각 지시하는
Figure pct00299
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300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01
보다 크지 않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302
의 값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03
보다 작은 경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304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305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동일하며, 여기서
Figure pct00306
Figure pct00307
보다 크거나 같고, 0번째 심볼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Figure pct00308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와 같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610)은 단말에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의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610)은 또한 상기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 공식의 계산 파라미터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309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310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11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12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313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314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15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16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17
는 X보다 작지 않고, X는 상기 생성 공식의 주기 또는 상기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이고, X는 KTC와 같거나 KTC의 인수 중 하나이고,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롱 텀 에볼루션 포지셔닝 프로토콜(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6, 8 및 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LPP 시그널링에 실린다.
선택적으로,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및 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와 단말의 각 모듈의 분할은 논리적 기능의 분할일 뿐이며, 실제로 구현할 때는 한 물리적 실체에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런 모듈은 모두 소프트웨어로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두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부 모듈은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하고, 일부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정 모듈은 별도로 설정된 프로세싱 소자일 수 있고, 상기 장치의 특정 칩에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상기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장치의 어느 한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호출되어 상기 결정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타 모듈의 구현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이러한 모듈은 전부 또는 일부를 하나로 통합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한 프로세싱 소자는 신호 처리 기능이 있는 집적회로일 수 있다.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 또는 상기 각 모듈은 프로세싱 소자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집적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특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혹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혹은 하나 이상의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이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모듈 중 하나가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때, 해당 프로세싱 소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러한 모듈은 하나로 통합시켜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더 잘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장비(700)는 안테나(71), 무선 주파수 장치(72), 기저 대역 장치(73)를 포함한다. 안테나(71)는 무선 주파수 장치(72)에 연결된다. 상향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안테나(7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처리를 위해 기저 대역 장치(73)로 전송한다. 하향링크 방향에서, 기저 대역 장치(73)는 송신할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무선 주파수 장치(72)로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7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 후 안테나(71)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기저 대역 장치(73)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기저 대역 장치(73)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저 대역 장치(73)는 프로세서(74)와 메모리(75)를 포함한다.
기저 대역 장치(73)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 대역 보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기저 대역 보드에는 다수의 칩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한 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74)로서 메모리(75)에 있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측 장비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75)와 연결된다.
기저 대역 장치(73)는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7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6)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해당 인터페이스는 공통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다수의 프로세싱 소자의 총칭일 수도 있다. 예컨대, 해당 프로세서는 CPU일 수 있고 ASIC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DSP), 또는 하나 이상의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일 수 있다. 저장 소자는 메모리일 수 있고, 다수의 저장 소자의 총칭일 수 있다.
메모리(7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ROM, PROM),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PROM, EPROM), 전자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Memory, RAM)일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RAM, DRA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DataRateSDRAM, DDRSDRAM), 증강된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SDRAM, ESDRAM), 동기화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DRAM, SLDRAM),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RambusRAM, DRRAM)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메모리(75)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는 또한 메모리(75)에 저장되고 프로세서(7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프로세서(74)는 메모리(75)에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40에 도시된 각 모듈이 실행하는 방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74)에 의해 호출됨으로써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지는 기술적 수단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의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소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장치와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이상 설명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일 뿐 실제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이나 컴포넌트는 서로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할 부품으로 소개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에서의 여러 기능 유닛은 한 개의 처리 장치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한 개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은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이 기술적 솔루션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한 개의 컴퓨터 장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측 장비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개의 명령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ROM, RAM, 디스켓 또는 시디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와 방법에서 각 부품 또는 각 단계가 분해 및/또는 재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개시의 등가 솔루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된 순서에 따라 시간순으로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순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 단계는 병렬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인 경우, 본 개시의 방법과 장치의 모든 또는 임의의 단계나 부품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함) 또는 컴퓨팅 장치의 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당업자가 본 개시의 설명에 기반하여 그들의 기본 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그룹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잘 알려진 범용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상기 방법 또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도 본 개시를 구성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 저장 매체도 본 개시를 구성한다. 물론, 상기 저장 매체는 모든 공지된 저장 매체이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 및 방법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각 단계는 분해 및/또는 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개시의 등가 솔루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의 순서대로 시간 순서대로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단계는 병렬로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내용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구현 방식으로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몇몇 개선 및 보완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보완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Claims (43)

  1. 단말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에 따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자원 요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 요소 위치를 통해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들 중 하나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로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구성 정보 그룹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처음
    Figure pct00318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각각 지시하는
    Figure pct00319
    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20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21
    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22
    의 값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23
    보다 작은 경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324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325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동일하며, 여기서
    Figure pct00326
    Figure pct00327
    보다 크거나 같고, 0번째 심볼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28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
    미리 구성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상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의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공식의 계산 파라미터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329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330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31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32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4.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333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334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35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36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37
    는 X보다 작지 않고, X는 상기 생성 공식의 주기 또는 상기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이고, X는 KTC와 같거나 KTC의 인수 중 하나이고,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생성 공식을 수신하는 것;
    미리 구성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것;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상기 생성 공식을 획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8. 제3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롱 텀 에볼루션 포지셔닝 프로토콜(LPP) 시그널링에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6, 8 및 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0. 제3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LPP 시그널링에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및 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2.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테이블 내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 구성 정보 그룹들 중 하나를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로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구성 정보 그룹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처음
    Figure pct00338
    개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각각 지시하는
    Figure pct00339
    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첫 번째 심볼의 자원 요소 오프셋에 대한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40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41
    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42
    의 값이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43
    보다 작은 경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Figure pct00344
    번째 심볼과
    Figure pct00345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동일하며, 여기서
    Figure pct00346
    Figure pct00347
    보다 크거나 같고, 0번째 심볼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시작 심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48
    의 값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콤 구조에 해당하는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의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 공식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성 공식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공식의 계산 파라미터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2. 제29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349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350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51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52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3. 제29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공식은,
    Figure pct00353
    을 포함하되,
    여기서,
    Figure pct00354
    는 자원 내의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55
    이고, KTC는 이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356
    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심볼 수
    Figure pct00357
    는 X보다 작지 않고, X는 상기 생성 공식의 주기 또는 상기 생성 공식에 의해 생성된 시퀀스의 주기이고, X는 KTC와 같거나 KTC의 인수 중 하나이고, KTC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콤 구조 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5. 제2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의 첫 번째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6. 제23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롱 텀 에볼루션 포지셔닝 프로토콜(LPP) 시그널링에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하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6, 8 및 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8. 제23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준 신호는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LPP 시그널링에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향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가 지원하는 콤 구조 크기는 2, 4 및 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40. 단말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에 있어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함 - ;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각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
  41.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에 있어서,
    단말에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매핑 정보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 자원에서 적어도 일부 심볼의 상대 자원 요소 오프셋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장치.
  42. 프로세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비.
  43.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14155A 2019-09-29 2020-09-25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KR20220069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935784.X 2019-09-29
CN201910935784 2019-09-29
CN201910959843.7 2019-10-10
CN201910959843.7A CN112583564B (zh) 2019-09-29 2019-10-10 定位参考信号的映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CT/CN2020/117737 WO2021057904A1 (zh) 2019-09-29 2020-09-25 定位参考信号的映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095A true KR20220069095A (ko) 2022-05-26

Family

ID=7511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155A KR20220069095A (ko) 2019-09-29 2020-09-25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31816A1 (ko)
EP (1) EP4024743A4 (ko)
JP (1) JP7376704B2 (ko)
KR (1) KR20220069095A (ko)
CN (1) CN112583564B (ko)
WO (1) WO2021057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7385B (zh) * 2019-03-22 2021-10-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参考信号配置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11552735B2 (en) 2020-06-29 2023-01-10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unit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comb patterns with cyclic shifting
US11924134B2 (en) * 2021-12-07 2024-03-05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with sub-band-based comb offset
CN116418643A (zh) * 2021-12-30 2023-07-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参考信号端口区分方法、装置及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1480B2 (en) * 2009-07-01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10037431A (ko) * 2009-10-06 2011-04-13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방법 및 그 송신장치, 이에 대응하는 수신장치
CN102647790B (zh) * 2011-02-18 2015-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10439775B2 (en) * 2014-09-02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Randomization of PRS frequency offsets and muting patterns in LTE for EOTDOA
CN106211312B (zh) * 2015-04-30 2020-06-26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07277921B (zh) * 2016-04-08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参考信号的传输方法、设备和系统
CN108259148B (zh) * 2016-12-29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11102736B2 (en) * 2017-10-24 2021-08-24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nd synchronization raster
US20220078836A1 (en) * 2019-01-23 2022-03-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1669257B (zh) * 2019-03-07 2021-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Prs的频域资源映射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998751A4 (en) * 2019-08-14 2022-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50149A (ja) 2022-11-30
EP4024743A1 (en) 2022-07-06
EP4024743A4 (en) 2022-10-26
WO2021057904A1 (zh) 2021-04-01
CN112583564B (zh) 2022-03-08
JP7376704B2 (ja) 2023-11-08
US20220231816A1 (en) 2022-07-21
CN112583564A (zh)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7354A1 (en) Method for configur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network device, and terminal
KR102574215B1 (ko) 준 코로케이션 배치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20069095A (ko) 포지셔닝 기준 신호의 매핑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US11601902B2 (e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JP7179160B2 (ja) 情報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
CN112769531B (zh) 定位参考信号的配置方法及装置
KR102573527B1 (ko) 신호 리소스 측정 방법 및 단말
KR20210102425A (ko) 상향 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CN110691408A (zh) 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10858999B (zh) 探测参考信号srs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2825578B (zh) 收发能力上报方法及装置、通信设备
KR102497446B1 (ko)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CN113395748B (zh) 寻呼方法及装置、通信设备、网络侧设备
RU2796662C2 (ru) Способ настройки опорного сигнал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591425B1 (ko)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JP2022553350A (ja) 物理下り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検出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