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788A - 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 Google Patents

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788A
KR20220068788A KR1020200155955A KR20200155955A KR20220068788A KR 20220068788 A KR20220068788 A KR 20220068788A KR 1020200155955 A KR1020200155955 A KR 1020200155955A KR 20200155955 A KR20200155955 A KR 20200155955A KR 20220068788 A KR20220068788 A KR 2022006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inlet
housing
membran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1005B1 (en
Inventor
한다운
박응규
쩡깍푸끄엉
오혜리
박지민
신익수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에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에스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에스택
Priority to KR102020015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05B1/en
Priority to PCT/KR2021/015312 priority patent/WO2022108168A1/en
Priority to US18/032,302 priority patent/US20230398534A1/en
Publication of KR2022006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7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6Focussing flows, e.g. to laminate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63Whol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gnostic strip, comprising: a housing, the interior of which has an accommodation space, and the upper surface of which has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arranged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embrane pad exposed to the second inlet and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sample pad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mbrane pad, thereby absorbing a sample solution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a solution supply apparatus which is arranged into the second inlet in an integrated or separable form, which accommodates a washing solution and a reaction solution, and which injects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reaction solution into the second inle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 absorbing pa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such that one side surface thereof comes into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surfac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and a sliding member which includes a gripping part for gripping the sample pad and an extending part for extending from the absorbing pa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have at least a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protruding outwardly.

Description

용액 공급장치를 이용한 진단 스트립{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Diagnostic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진단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워싱 용액과 반응 용액을 적절한 시간에 자동 투입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가능하며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한 분석이 가능한 용액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gnostic strip, and to a solution supply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injects a washing solution and a reaction solution at an appropriate time, which can be easily used by users, and which enables quick and simple analysis in the field, and a diagnostic strip using the same.

혈액·소변 등과 같은 신체의 체액에 존재하는 분석물질의 농도나 존재를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진단 스트립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생체 특이적인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센서 스트립, DNA 센서 스트립 등이 최근에 개발되고 있다.Many diagnostic strip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quickly and accurate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r presence of analytes in bodily fluids such as blood and urine. This has been recently developed.

측면유동면역 분석법 기반의 나노 입자를 이용한 진단 스트립은 가장 보편화된 일회용 현장진단 스트립으로, 항원 결합에 의한 나노 입자들이 뭉쳐지며 띠를 형성하여 육안으로 양성/음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낮은 농도의 항원 분석 시, 띠가 생기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석 민감도의 한계가 있다. 낮은 농도에서 육안으로 띠가 구분될 수 있도록 민감도를 개선하는 방식이 있긴 하나, 재료적으로 한계가 있다. 또한, 형광이나 발광을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여 민감도를 개선하는 방식도 있으나, 추가적인 이미지 분석용 장치가 필요하여 일회용 현장진단 키트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아울러, 발색된 띠를 일반 광학 또는 형광 이미지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디지털화 할 수 있으나, 추가적인 이미지 분석용 장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The diagnostic strip using nanoparticles based on the lateral flow immunoassay method is the most common disposable point-of-care diagnostic strip, and the nanoparticles are aggregated by antigen binding to form a band, and positive/negative can be visually determined. However, when analyzing a low concentration of antigen, there is a limit in assay sensitivity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visually observing band formation. There is a way to improve the sensitivity so that bands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at low concentration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materials.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sensitivity by analyzing an image through fluorescence or light emiss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n additional image analysis device is required, which is not suitable for a disposable point-of-care diagnostic kit. In addition, although the colored band can be analyzed as a general optical or fluorescent image and the result can be digitiz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dditional apparatus for image analysis is required.

낮은 농도의 항원을 분석하기위해 고민감도 전기화학분석법을 측면 유동면역 분석법에 접목시키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검출 항체에 결합된 효소의 촉매 역할을 통해 반응한 기질의 정량분석이 중요하므로 미반응 검출항체는 제거하는 워싱 단계와 이후 일정량의 기질 분주 단계가 필수로 수반된다. 이 과정은 실험실 단계에서 수행되는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와 유사한 과정이며, 여러 단계의 분석과정이 복잡한 한계가 있어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analyze a low concentration of antigen, high-sensitivity electrochemical analysis was applied to the lateral flow immunoassay. For this purpos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acted substrate through the catalytic role of the enzyme bound to the detection antibody is important. It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a washing step to remove it and then a step of dispensing a certain amount of substrate.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performed in the laboratory,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complexity of the analysis process in several steps, making it difficult for general users to use.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육안 관찰법에서 발생하는 민감도의 한계를 개선하여 현장진단 키트로 사용 가능한 진단 스트립을 필요로 하였다.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a diagnostic strip that can be easily used by general users and can be used as a point-of-care diagnostic kit by improving the sensitivity limit that occurs in the visual observation method.

일본 공개특허 제6190395호(“단일 신호로 복수 피검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조성물”, 인비져블 센터널, 2017 08 10)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90395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tecting multiple subjects with a single signal,” Invisible Central, 2017 08 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8876호(“항원 검출용 장치 및 이들의 용도”, 인비져블 센터널, 2017 08 10)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68876 (“A device for detecting antigen and its use”, Invisible Centennial, 2017 08 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958호(“스트립센서 모듈, 그것을 이용한 스트립센서 기반의 분자진단 현장검사 장치”,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2017 05 29)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42958 (“Strip sensor module, strip sensor-based molecular diagnostic on-site inspection device using it”, Genetbio Co., Ltd., 2017 05 2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 가능하며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한 분석이 가능한 진단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relates to a diagnostic strip that can be easily used by general users and can be analyzed quickly and easily in the field.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여 이격 배치된 제1 투입구와 제2 투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2 투입구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한 형태로 장착되며, 워싱 용액과 반응 용액을 수용하며, 워싱 용액과 반응 용액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투입구를 통해 멤브레인 패드에 투입하는 용액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tic stri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 housing forming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space on the upper surface, and integrally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inlet. It is mounted in a possible form, accommodates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reaction solution, and may include a solution supply device that sequentially puts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reaction solution into the membrane pad through the second inlet at an interv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단 스트립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액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진단 스트립의 흡수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용액 공급장치(70)를 파단시키는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제1수용부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진단 스트립을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diagnostic strip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of a solution supply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absorbent pad of the diagnostic strip of FIG. 1 .
6 to 11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nfiguration for breaking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agnostic strip of FIG. 14 taken along line B-B'.
16 to 20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to 27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에,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진단 스트립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공급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진단 스트립의 제2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agnostic strip of FIG. 1 taken along line A-A',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ly unit,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pad of the diagnostic strip of FIG. 1 .

도 1 내지 도 5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은 일반 사용자들이 혈액·소변 등과 같은 신체의 체액에 존재하는 분석물질의 농도나 존재를 간편하게 측정하고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진단 키트이다.1 to 5 , the diagnostic strip 1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general users to convenient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r presence of an analyte in bodily fluids such as blood and urine, and to quickly and accurately analyze in the field. diagnostic kit for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패드(20), 샘플 패드(30), 흡수 패드(40) 및 슬라이딩 부재(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은, 내부에 수용공간(11)을 형성하고, 상면에 수용공간(11)과 외부공간을 연통하여 이격 배치된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제2 투입구(13)에 노출되고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패드(20)와, 수용공간(11)에 멤브레인 패드(20)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어 배치되고, 제1 투입구(12)로 투입되는 샘플 용액(L1)을 흡수하는 샘플 패드(30)와,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이 하우징(10)의 내측 상면과 접하고 타측면이 멤브레인 패드(20)와 이격 배치된 흡수 패드(40)와, 샘플 패드(30)를 파지하는 파지부(51)와, 파지부(5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배치된 연장부(5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50)와, 상기 제2 투입구(13)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를 순차 공급할 수 있는 용액 공급장치(70)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부재(5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샘플 패드(30)가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이격되고, 흡수 패드(40)의 타측면이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한다.The diagnostic stri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 a membrane pad 20 , a sample pad 30 , an absorbent pad 40 , and a sliding member 50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10 . . Specifically, in the diagnostic strip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pace 11 is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external space on the upper surfac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 forming the housing 10 , the membrane pad 20 exposed to the second inlet 13 and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 and the membrane pad 20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ample pad 30 for absorbing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one side The absorbent pad 4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20 , the gripper 51 for gripping the sample pad 30 , and the gripper 51 . The sliding member 50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sliding member 50 includes an extension part 52 protruding outwardly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second inlet 13 is integrally or detachable. and a solution supply device 70 capable of sequentially supplying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liding member 50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ample pad 30 is a membrane pad ( 20 ), and the other side of the absorbent pad 40 is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

하우징(10)은 진단 스트립(1)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1)을 형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평선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선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이 아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0)은 수용공간(11)에 멤브레인 패드(20), 샘플 패드(30), 흡수 패드(40) 및 슬라이딩 부재(50)를 수용한다. 하우징(10)은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각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가능하게 분리형성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상하로 분리된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결합홈(도시하지 않음)과 돌기부(121)에 의해 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면을 포함하는 제1 부재(110)에는 수용공간(11)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가 각각 이격 형성되며,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에 도달 확인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는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을 수용공간(11)으로 각각 투입하기위한 관통구로 제1 부재(1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인 z축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0 forms the main body of the diagnostic strip 1 ,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11 therei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using 10 is extended in the z-axis direction and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a cross-section cut in a horizontal lin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ross-sectional shape cut in a horizontal line is a rectangular shape It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ther than this. The housing 10 accommodates the membrane pad 20 , the sample pad 30 , the absorbent pad 40 , and the sliding member 50 in the receiving space 11 .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vertically so that each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1 can be easily disposed, and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second member 120 that are formed separately to be coupled are included. may include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second member 120 for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10 separated up and down,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and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t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groove (not shown) and the protrusion 121 formed in the . In the first member 110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 first inlet 12 and a second inlet 1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external space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inlet ( 12) and the second inlet 13,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may be formed.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are through holes for introducing the sample solution L1,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into the receiving space 11, respectively, and the first member 110 I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10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z-axis of the housing (10).

상기 제2 투입구(13)에는 용액 공급장치(70)가 결합 또는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용액 공급장치(70)는 제2 투입구(13)와 결합을 위한 원통형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여 워싱 용액(W1)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72)와, 상기 하우징(71)의 상부 및 제1수용부(72)의 측면에 위치하여 반응 용액(L2)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73)를 포함한다.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may be coupled or integrally fixed to the second inlet 13 .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71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inlet 13 , and a first accommodating part 72 position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71 to receive the washing solution W1 . )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71 and on th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to accommodate the reaction solution L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하우징(71)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를 상기 제2 투입구(13)의 제2 가이드면(13a)에 직접 접하게 설치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including a cylindrical housing 71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are attached to the second guide surface 13a of the second inlet 13 . It can be installed in direct contact.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는 분석 과정의 진행시 적절한 타이밍에 각각 파손, 파단, 절단, 가압 등의 방법에 의해 수용된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을 제2 투입구(13)를 통해 주입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each receive a washing solution (W1) accommodated by a method such as breakage, breakage, cutting, pressurization, etc. at an appropriate timing during the analysis process. )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may be injected through the second inlet 13 .

즉, 제1수용부(72)를 파단하여 워싱 용액(W1)을 주입하여 워싱 단계 진행 후 제2수용부(72)를 파단하여 반응 용액(L2)을 주입하여 HRP의 반응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을 제2 투입구에 단계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That is, by break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injecting the washing solution (W1) to proceed with the washing step,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2 is broken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is injected to analyze the reactivity of HRP, ,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may be injected into the second inlet in stages.

본 명세서 상에서의 워싱 용액(W1)은 tween 등의 계면활성제가 일부 포함된 세척용 버퍼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반응 용액(L2)은 검출 항체에 결합된 효소(peroxidase, phosphatase 등)와 반응하는 기질이 포함된 용액을 예로 들 수 있다.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은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를 통해 서로 상반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는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이 투입되는 투입 방향을 상반되도록 구현하여 비특이적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달 확인구(14)는 제1 투입구(12)로 투입된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를 타고 특정 위치로 도달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로, 제1 부재의(11)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와 z축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달 확인구(14)는 제1 투입구(12) 및 제2 투입구(13)와 이격 형성되되 제1 투입구(12) 보다 제2 투입구(1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ashing solution (W1) may include a washing buffer partially containing a surfactant such as tween,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is a substrate that reacts with an enzyme (peroxidase, phosphatase, etc.) bound to the detection antibody. A solution containing this can be given as an example. The sample solution L1 , the washing solution W1 ,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may be introduc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have a feature that can minimize non-specific reactions by implementing the input directions in which the sample solution (L1),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are put in opposite directions. have. The arrival confirmation hole 14 is a through hole for confirming that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has reached a specific position riding on the membrane pad 20, and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member 11 . It may be formed through, and may be form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and along the z-axis.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 and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inlet 13 than the first inlet 12 .

한편, 하우징(10)은 내측 상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가이드면(12a)과, 제2 가이드면(13a) 및 만입부(19)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irst guide surface 12a extending from an inner upper surface, a second guide surface 13a, and a recess 19 .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은 제1 부재(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면(12a)과, 제2 가이드면(13a)과, 만입부(19)와, 누름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housing 10 has a first guide surface 12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10, a second guide surface 13a, and a recess ( 19) and a pressing member (not shown).

제1 가이드면(12a)과 제2 가이드면(13a)은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로 투입된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로부터 수용공간(11)을 향하여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2a)과 제2 가이드면(13a)은 끝단부의 직경이 제1 투입구(12) 및 제2 투입구(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2a)과 제2 가이드면(13a)은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로 투입되는 샘플 용액(L1)과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이 샘플 패드(30)와 멤브레인 패드(20)의 특정 위치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면(12a)은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멤브레인 패드(20)를 제2 부재(120)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guide surface 12a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13a move the sample solution L1,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It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11 to guide the . The first guide surface 12a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13a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n end portion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to be inclined downward. The first guide surface 12a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13a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the sample solution L1 and the washing solution W1 are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may be guided to be introduced into specific positions of the sample pad 30 and the membrane pad 20 .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surface 12a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other portions, so that the membrane pad 2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120 .

만입부(19)는 후술할 흡수 패드(4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흡수 패드(4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만입부(19)는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에 제1 부재(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indentation 19 forms a space in which the absorbent pad 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absorbent pad 40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indentation 19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10 between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

만입부(19)는 도달 확인구(14)와 제1 투입구(12) 사이에 제1 투입구(12)와 더 인접하게 배치되어 내측에 흡수 패드(4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만입부(19)는 내측 공간에 흡수 패드(40)를 수용하고 개구된 하측이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작동과정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The indentation 19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first inlet 12 between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and the first inlet 12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absorbent pad 40 is inserted. The indentation 19 accommodates the absorbent pad 40 in the inner space, and the opened lower sid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liding memb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operation process.

누름부재는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전극부(60)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재는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에 제1 부재(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재는 도달 확인구(14)와 만입부(19) 사이의 전극부(6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극부(60)를 가압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is for pressing the electrode unit 6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pressing member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10 between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 The pressing memb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electrode part 60 between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and the indentation part 19 to press the electrode part 60 .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에 멤브레인 패드(20)가 배치된다.The membrane pad 2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housing 10 including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second member 120 .

멤브레인 패드(20)는 하우징(10)의 내측 수용공간(11)에 배치된다.The membrane pad 20 is dispos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11 of the housing 10 .

멤브레인 패드(20)는 제2 부재120)의 상면에 배치되며, 제2 투입구(13)에 의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니트로셀룰로오스(NC, Nitrocellulose) 패드(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2투입구(13), 도달 확인구(14), 누름부재, 만입부(19)와 마주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적어도 일부에 특정 타깃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포획 항체가 사전에 처리되어 있으며, 포획 항체에 결합된 항원에 2차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항체 및 포획 물질은 항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뉴클레오타이드, 압타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mbrane pad 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120 and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by the second inlet 13 . Membrane pad 20 may include a nitrocellulose (NC, Nitrocellulose) pad 2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e second inlet 13,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press member, may face the indentation (19). At least a portion of the membrane pad 20 is pretreated with a capture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specific target antigen, and the detection antibody and capture material secondary to the antigen bound to the capture antibody are not limited to the antibody. , proteins, carbohydrates, nucleotides, aptamers, and the like.

멤브레인 패드(20)는 니트로셀룰로오스 패드(21) 내 유체와 제2 부재(120)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트로셀룰로오스 패드(21)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2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유체에 의한 부식 반응 등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접착제가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The membrane pad 2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cover capable of reduc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luid in the nitrocellulose pad 21 and the second member 120 , for example, the nitrocellulose pad 21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22 may be formed by bonding. The membrane pad 20 may be formed of a member that minimizes interaction, such as a corrosion reaction by a fluid, and may be a member having an adhesive formed thereon.

멤브레인 패드(20)는 일단부가 제1 투입구(12)로부터 투입된 샘플용액(L1)을 샘플 패드(30)로부터 흡수할 수 있으며, 샘플 용액(L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도달 확인구(14)에 도달하였을 때 타단부에서 제2 투입구(13)로 투입되는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을 흡수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가 흡수한 반응 용액은 전극부(60) 전달되어 전극부(60)는 전기전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작동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일측면에 미리 결정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포획 항체가 사전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멤프레인 패드(20)는 포획 항체에 결합된 항원에 2차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항체 및 포획 물질은 항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뉴클레오타이드, 압타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일측면에 capture가 사전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capture와 detector가 항체라는 재료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One end of the membrane pad 20 can absorb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from the first inlet 12 from the sample pad 30, and the sample solution L1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ach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injected from the other end into the second inlet 13 can be absorbed. The reaction solution absorbed by the membrane pad 20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part 60 , and the electrode part 60 may generate an electric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The membrane pad 20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pre-treated with a capture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predetermined antigen. The membrane pad 20 is not limited to the detection antibody and the capture material that binds secondary to the antigen bound to the capture antibody, and may be composed of proteins, carbohydrates, nucleotides, aptamers, and the like. The membrane pad 20 may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capture is coated in advance on one side, and capture and detector may not be limited to a material called an antibody.

멤브레인 패드(20)는 전극부(60)를 통해 표면에서 발생한 반응을 전기화학분석법으로 정량분석 할 수 있다. 한편,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는 전극부(60)가 배치되고, 멤브레인 패드(20)의 일측에는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 및 분리되는 샘플 패드(30)가 배치된다.Membrane pad 20 can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action generated on the surface through the electrode unit 60 by electrochemical analysis. Meanwhile, the electrode part 6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 and the sample pad 30 that is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mbrane pad 20 .

전극부(60)는 제2 투입구(13)로 투입되어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되는 반응 용액이 검출 항체의 효소에 의해 산화·환원되는 반응으로부터 신호를 얻는 것으로, 제2 투입구(13)와 흡수 패드(40) 사이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60)는 전극이 패턴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며, 2개의 전극 또는 3개의 전극이 패턴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부(60)는 대전극(counter electrode)과,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과,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을 포함하여,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누름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부(60)는 제1 투입구(12) 및 제2 투입구(13)로 투입되는 용액과 반응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켜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분석 물질의 농도나 존재를 분석할 수 있다.The electrode unit 60 obtains a signal from a reaction in which the reaction solution that is input into the second inlet 13 and absorbed by the membrane pad 20 is oxidized/reduced by the enzyme of the detection antibody, and the second inlet 13 and It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positioned between the absorbent pads 40 . The electrode unit 60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electrodes are patterned, and two electrodes or three electrodes may be patterned. For example, the electrode unit 60 includes a counter electrode, a working electrode, and a reference electrod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to face the pressing member. can be Such an electrode unit 60 reacts with the solution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to cause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r presence of an analyte contained in the solution. .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1)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한 항원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부(60)가 형성되지 않고 멤브레인 패드(40)가 변색되는 것을 확인하여 분석 물질의 농도나 존재를 분석할 수도 있다. 검출 항체의 결합 유무의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 검출 항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효소는 peroxidase와 phosphatase이며, 대표적으로 horseradish peroxidase와 alkaline phosphatase가 사용될 수 있다. 이의 기질로는 전기화학 및 변색 반응에 TMB, dianisidine, phenylenediamine, NBT/BCIP 및 pNPP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 반응에 lumino, CSPD, 1,2-dioxet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검출 항체에 형광 염료를 부착하여 형광을 분석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agnostic strip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measuring the antigen concentration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de part 60 is not formed and the membrane is not formed. By confirming that the pad 40 is discolored, the concentration or presence of the analyte may b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signal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binding of the detection antibody, the enzym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detection antibody are peroxidase and phosphatase, and typically horseradish peroxidase and alkaline phosphatase may be used. As a substrate thereof, TMB, dianisidine, phenylenediamine, NBT/BCIP, and pNPP may be used for electrochemical and discoloration reactions, and lumino, CSPD, 1,2-dioxetane, etc. may be used for luminescence reaction. In addition, fluorescence can be analyzed by attaching a fluorescent dye to the detection antibody.

샘플 패드(30)는 제1 투입구(12)에 투입되는 샘플 용액(L1)을 흡수하는 패드이다. 샘플 패드(30)는 제1 투입구(12)로 노출되도록 제1 가이드면(12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에 멤브레인 패드(20)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제1 투입구(12)로부터 투입되는 샘플 용액(L1)을 흡수하여 멤브레인 패드(20)에 전달할 수 있다. 샘플 패드(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 및 일측면에 동시에 접촉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끝단부의 일측면이 멤브레인 패드(20)의 끝단부의 일측면과 접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일부만 접하도록 수용공간(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샘플 패드(3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다.The sample pad 30 is a pad that absorbs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 The sample pad 3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guide surface 12a so as to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inlet 12 ,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in the receiving space 11 . 1 The sample solution L1 input from the inlet 12 may be absorbed and delivered to the membrane pad 20 . As shown in FIG. 3 , the lower surface of the sample pad 30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and one side of the membrane pad 20 at the same ti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r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part of it. The sample pad 30 arranged in this way can be slidab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 by the sliding member 50 , so that it can be contacted and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

슬라이딩 부재(50)는 샘플 패드(30)를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 및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1)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패드는 샘플 패드(30)를 파지하는 파지부(51)와, 파지부(5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배치된 연장부(52)를 포함하며, 하우징(10)의 외측에서 돌출 배치된 연장부(52)를 잡아당겨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샘플 패드(30)를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 및 분리시킬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50 is for contacting and separating the sample pad 30 from the membrane pad 20 , and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 . The sliding pad includes a gripper 51 for gripping the sample pad 30 ,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gripper 51 , at least a portion of which penetrates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 52 , the sample pad 30 may be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while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pulling the extension 52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파지부(51)는 샘플 패드(30)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이격 형성된 상판(510)과 하판(51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5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판(510)과 하판(511) 사이에 샘플 패드(30)가 수용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판(5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이격공간과 제1 투입구(12)가 연통되기 위한 관통공(512)을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51)는 제1 투입구(12)와 연통되는 관통공(512)을 형성하여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샘플 패드(30)가 제1 투입구(12)에 투입되는 샘플 용액(L1)을 관통공(512)을 통해 흡수할 수 있다. 파지부(51)는 상판(510)의 끝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굴절된 굴절부(513)를 형성할 수 있다. 굴절부(513)는 슬라이딩 부재(50)의 슬라이딩 이동시에 샘플 패드(30)가 이격공간으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gripper 51 is for gripping the sample pad 30 , and may include an upper plate 510 and a lower plate 511 that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grip part 51 is formed in a 'C' shape to form a separation space in which the sample pad 30 is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plate 510 and the lower plate 511 , and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10 . A through hole 512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first inlet 12 may be formed. The gripper 51 forms a through hole 51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12 so that the sample pad 30 disposed in the spaced apart space passes through the sample solution L1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 It can be absorbed through the ball 512 . The grip part 51 may form a refracting part 513 in which an end of the upper plate 510 is bent downward. The refraction part 513 is to prevent the sample pad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space when the sliding member 50 slides.

연장부(52)는 파지부(51)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파지부(51)의 끝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연장부(52)는 파지부(51)로부터 -z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끝단부가 하우징(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하우징(10)의 외측에 돌출 배치된다. 연장부(52)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연장부(52)의 끝단부를 잡아당겨 슬라이딩 패드를 z축과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샘플 패드(30)를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 및 분리시킬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52 forms a handle for moving the grip part 51 , and extends from the end of the grip part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xtension part 52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z-axis direction from the grip part 51 , and the end part penetrates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is disposed to protrude outside the housing 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52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user pulls the end of the extension 52 to slide the sliding pad in the z-axis and -z-axis directions while the sample pad 30 may be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

한편, 슬라이딩 패드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되, 연장부(52)가 z축과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x축 또는 -x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샘플 패드(30)를 멤브레인 패드(20)에 접촉 및 분리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liding pad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xtension part 52 is formed to extend in the z-axis and -z-axis directions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sample pad 30 may be contacted and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while slidingly formed to extend in the x-axis or -x-axis direction.

계속해서, 파지부(51)는 상판(510)이 하판(51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51)는 상판(510)은 하판(511) 보다 길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패드가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에 만입부(19)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51)의 상판(510)은 슬라이딩 패드가 z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만입부(19)의 하측에 위치하거나, 만입부(19)의 하측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도록 위치하면서 만입부(19)의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패드는 만입부(19)의 개방된 하측을 개폐하여 만입부(19)에 수용된 흡수 패드(40)가 만입부(19)의 내측에 완전하게 수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만입부(19)로부터 이탈하여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흡수 패드(40)를 설명한 후에 작동과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grip part 51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plate 510 is longer than the lower plate 511 . The grip portion 51 may be positioned below the indentation portion 19 when the upper plate 510 is formed longer than the lower plate 511 and the sliding pad slides in the z-axis direction. The upper plate 510 of the gripping part 51 is positioned below the indentation part 19 while sliding the sliding pad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or is positioned so that it is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art 19 . While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is way, the sliding pad opens and closes the open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so that the absorbent pad 40 accommodated in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the indentation portion 19, or at least a part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rough the operation process after the absorbent pad 40 is described.

흡수 패드(40)는 제2 투입구(13)를 통해 투입되어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되는 워싱 용액(W1)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용액을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흡수 패드(40)는 유리 섬유(glass fiber), 코튼(cotton)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 패드(40)는 용액 공급장치(70)의 제1수용부(72)가 파단된 상태에서 제2 투입구(13)를 통해 투입되는 워싱 용액(W1)의 양에 따라 두께, 재질, 부피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흡수 패드(40)는 용액을 흡수할 수 있는 얇은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 패드(40)는 만입부(19)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절단 형성된 얇은 패드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다수회 접혀 형성될 수 있다. 흡수 패드(40)는 도면에서와 같이 5개의 층을 이루도록 접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투입구(13)에 투입되는 워싱 용액의 양에 따라 각 층의 면적, 부피, 접히는 횟수, 두께, 재질 등이 조절될 수 있다.The absorbent pad 40 is for absorbing the washing solution W1 that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let 13 and absorbed into the membrane pad 20 , and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expands in volume when the solution is absorbed. For example, the absorbent pad 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glass fiber or cotton,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 The absorbent pad 40 has a thickness, material, volume, etc.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washing solution W1 injected through the second inlet 13 in a state where the first receiving part 72 of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is broken. This can be adjusted. Referring to FIG. 5A , the absorbent pad 40 may be formed of a thin pad capable of absorbing a solution. The absorbent pad 40 may be formed by being cut to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19 , and the cut and formed thin pad may be formed by folding in different directions multiple times as shown in FIG. 5B . The absorbent pad 40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t is folded to form five layers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ea and volume of each lay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washing solution injected into the second inlet 13 . , the number of folds, thickness, material, etc. can be adjusted.

흡수 패드(40)는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다수회 접혀 적층 형성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측면이 하우징(10) 내측 상면과 접하고 타측면이 멤브레인 패드(20)와 이격 배치된다. 흡수 패드(40)는 면적, 부피, 두께, 접히는 횟수, 재질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탄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흡수 패드(40)는 도 5b에서와 같이 다수회 접은 후에 상하로 압력을 가하면 도 5c에서와 같이 각 층이 적층될 수있으며, 상면 또는 하면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각 층이 이격되면서 상하로 벌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흡수 패드(40)는 탄성에 의해 압축 및 복원 가능하며 용액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축 및 복원 가능한 탄성부재와 용액을 흡수하 는 흡수부재가 별도로 형성되어 밀착 배치되거나 접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2 실시예의 진단 스트립(1a)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absorbent pad 40 may be folded a plurality of times in opposite directions to form a stacked structure,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20 . The absorbent pad 40 may have different elasticity depending on the area, volume, thickness, number of times of folding, material, and the like. The absorbent pad 40 may be stacked as shown in FIG. 5c when pressure is applied up and down after being folded a number of times as in FIG. 5b, and when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s, each layer as shown in FIG. 5b As this spaced apart, it can open up and down. The absorbent pad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ed and restored by elasticity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absorb a solu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sorbent membe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or may be formed by bonding,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iagnostic strip 1a of the second embodiment.

흡수 패드(40)는 만입부(19)에 삽입배치되어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해 만입부(19)의 하측이 폐쇄되어 멤브레인 패드(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만입부(19)의 하측이 개방되면 탄성에 의해 일부가 만입부(19)로부터 이탈하여 타측면에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The absorbent pad 40 is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portion 19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closed by the sliding member 5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20, and the sliding member 50 is When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opened by sliding movement, a por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indentation portion 19 due to elasticity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on the other side thereof.

즉, 슬라이딩 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하기 전, 파지부(51)가 만입부(19)의 하측을 폐쇄하여 흡수 패드(40)는 만입부(19)의 내측에 완전하게 삽입 배치되어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이격되고, 샘플 패드(30)는 멤브레인 패드(20)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관통공(512)은 제1 투입구(12)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at is, before the sliding member 50 slides, the gripper 51 closes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so that the absorbent pad 4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portion 19 so that the membrane pad Spaced apart from 20 , the sample pad 3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membrane pad 20 , and the through hole 512 may be dispos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let 12 .

또한, 슬라이딩 부재(50)의 연장부(52)가 하우징(10)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파지부(51)가 만입부(19)의 하측을 개방하여 흡수 패드(40)는 타측면이 멤브레인 패드(20)와 접하고, 샘플 패드(30)는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멀어지며, 파지부(51)의 상면이 제1 가이드면(12a)의 끝단부를 폐쇄할 수 있으며, 작동과정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extended portion 52 of the sliding member 50 slides outwardly of the housing 10 , the gripping portion 51 opens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so that the absorbent pad 4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the sample pad 30 moves away from the membrane pad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er 51 can close the end of the first guide surface 12a, and the operation process is Please refer to the description in more detail.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

도면에는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인입된 형태일 수 있다.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ey may be in a retracted form.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일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6 to 11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제1 투입구(12)에 샘플 용액(L1)을 투입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샘플 용액(L1)은 분석할 항원 시료와 사전 결합시킨 검출항체-HRP(horseradish peroxide) 용액을 사용한다. HRP와 같은 peroxidase 효소는 특정 기질을 산화 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효소-기질 산화/환원 반응의 정도를 변색, 발광, 형광 분석 등의 광학 측정법 뿐만 아니라 고민감도 전기화학 측정법 등을 통해 항원의 양을 정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에, 검출항체와 HRP가 결합된 샘플 용액(L1)을 제1 투입구(12)에 투입한다. 이때, 반드시 샘플 패드(30)가 제1 투입구(12)로 노출되고, 샘플 패드(30)가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샘플 용액(L1)이 제1 투입구(12)에 투입되어야 한다. 제1 투입구(12)에 투입된 샘플 용액(L1)은 샘플 패드(30)에 흡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ample solution L1 being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 For the sample solution (L1), a detection antibody-horseradish peroxide (HRP) solution pre-bound with the antigen sample to be analyzed is used. Peroxidase enzymes such as HRP can oxidize specific substrates, and the degree of this enzyme-substrat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can be measured through optical measurement methods such as discoloration, luminescence, and fluorescence analysis as well as high-sensitivity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s. It can be measured quantitatively. Accordingly, the sample solution (L1) in which the detection antibody and HRP are combined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 At this time, the sample pad 30 must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inlet 12 , and the sample solution L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while the sample pad 30 is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 should be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may be absorbed into the sample pad 30 .

도 7은 참조하면, 도 7은 제1 투입구(12)에 투입된 샘플 용액(L1)이 샘플 패드(30)에 떨어지고, 샘플 패드(30)가 샘플 용액(L1)을 흡수하여 샘플 패드(30)와 접촉하고 있는 멤브레인 패드(20)가 젖어 들어가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 FIG. 7 shows that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falls on the sample pad 30 , and the sample pad 30 absorbs the sample solution L1 to the sample pad 30 . It shows a view that the membrane pad 20 in contact with the wet entering.

샘플 패드(30)는 제1 투입구(12)로부터 투입된 샘플 용액(L1)을 흡수하며, 적어도 일부가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하고 있어 흡수한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에 전달된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샘플 패드(30)와 접촉하고 있는 일단부에서 샘플 용액(L1)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샘플 패드(30)로부터 흡수한 샘플 용액(L1)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젖어 들어갈 수 있다. 샘플 용액(L1)은 샘플 패드(30)를 거쳐 멤브레인 패드(20)의 일단부로부터 전극부(60)를 거쳐 타단부로 젖어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달 확인구(14)로부터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의 타단부까지 흡수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달 확인구(14)의 하측부까지 샘플 용액(L1)이 도달하였을 때, 샘플 패드(30)를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sample pad 30 absorbs the sample solution L1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12 , and at least a part of it is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 so that the absorbed sample solution L1 is transferred to the membrane pad 20 . do. The membrane pad 20 can absorb the sample solution L1 from one end in contact with the sample pad 30 , and the sample solution L1 absorbed from the sample pad 30 is wet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can go in It can be seen that the sample solution L1 is wetted from one end of the membrane pad 20 through the sample pad 30 to the other end through the electrode unit 60 . At this tim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mple solution L1 is absorbed from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to the other end of the membrane pad 20, and when the sample solution L1 reaches the lower side of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The sample pad 30 is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슬라이딩 패드를 샘플 패드(30)와 멤브레인 패드(20)가 분리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되어 도달 확인구(14)의 하측까지 도달하였을 때,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패드의 연장부(52)를 잡아당긴다. 연장부(52)를 잡아당기면 연장부(52)와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51)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샘플 패드(30)는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분리된다. 슬라이딩 패드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파지부(5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샘플 패드(30)는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분리되고, 파지부(51)의 상판(510)이 만입부(19)의 하측을 개방할 수 있다. 만입부(19)의 하측이 개방되면서 만입부(19)에 삽입 배치된 흡수 패드(40)는 탄성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만입부(19)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FIG. 8 shows a diagram of sliding the sliding pad so that the sample pad 30 and the membrane pad 20 are separated. When the sample solution L1 is absorbed by the membrane pad 20 and reaches the lower side of the arrival confirmation hole 14 , the extension part 52 of the sliding pad is pull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When the extension part 52 is pulled, the grip part 51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art 52 can slide and move, and at the same time, the sample pad 30 is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 When the gripper 51 slides while the sliding pad is pul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e sample pad 30 is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and the upper plate 510 of the gripper 51 moves into the indentation ( 19) can be opened. As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opened, the absorbent pad 40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indentation portion 19 may at least partially protrude from the indentation portion 19 by elasticity.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흡수 패드(40)의 일부가 탄성에 의해 만입부(19)의 외측으로 돌출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만입부(19)의 하측이 개방되면 흡수 패드(40)가 탄성에 의해 만입부(19)의 외측으로 튀어나와 타단부가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흡수 패드(40)는 탄성에 의해 일단부가 만입부(19)의 내측 상면과 접할 수 있으며, 타단부가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흡수 패드(40)는 일단부가 만입부(19)의 내측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고정되지 않고 탄성에 의해 만입부(19)의 내측 상면으로 힘을 가하여 밀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 FIG. 9 shows a view in which a portion of the absorbent pad 40 protrudes outwardly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due to elasticity. When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opened, the absorbent pad 4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by elasticity and the other end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 One end of the absorbent pad 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due to elasticity,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 At this time, one end of the absorbent pad 40 may be fix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 but may not be fixed and may be in close contact by applying a force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by elasticity.

계속해서, 도 10 참조하면, 도 10은 제2 투입구(13)에 워싱 용액(W1)이 투입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멤브레인 패드(20)가 흡수 패드(40)와 접촉하고 샘플 패드(30)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용부(72)를 파단시켜 제1수용부(72)에 수용되어 있던 워싱 용액(W1)이 제2 투입구(13)로 투입될 수 있다.Continuingly, referring to FIG. 10 , FIG. 10 shows a view in which the washing solution W1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3 . In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pad 20 is in contact with the absorbent pad 40 and separated from the sample pad 30,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is broken and the washing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 W1) may be put into the second inlet (13).

상기 제1수용부(72)의 재질은 비닐, 수지재일 수 있으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저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파단시켜 수용된 워싱 용액(W1)이 유출되어, 제2 투입구(13)를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material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may be vinyl or resin material, and the washing solution W1 accommodated by applying pressure manually or automatically or by breaking a part or all of the bottom surface flows out, the second inlet 13 ) to allow input through

상기 제1수용부(72)를 파단시키는 예들은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xamples of break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워싱 용액은 제2 투입구(13)를 통해 수용공간(11)으로 유입되어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떨어지고, 멤브레인 패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수되어 전극부(60)와 접촉하고, 나머지는 흡수 패드(40)에 흡수될 수 있다. The washing solution flows into the receiving space 11 through the second inlet 13, fa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is absorb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rane pad 2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unit 60, The remainder may be absorbed by the absorbent pad 40 .

그 다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수용부(73)를 파단시켜 반응 용액(L2)을 제2 투입구(13)를 통해 수용공간(11)으로 공급한다.Next, as shown in FIG. 11 ,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is broken to supply the reaction solution L2 to the accommodating space 11 through the second inlet 13 .

이때, 전극부(60)는 반응 용액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TMB는 HRP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TMB 라디칼(radical)과 수소이온, 전자를 생성하고 식(2)에 따라 산화된 TMB는 작업 전극에서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환원되는 과정이 순환적으로 반복되며 일어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순환전압전류법으로 TMB의 산화 최대순간 전류가 발생하는 전류차를 확인하고 전류법으로 항원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효소에 의한 산화반응과 전극에 의한 환원반응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저농도의 항원에서도 증폭된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de unit 60 may induce an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reaction solution. TMB is oxidized by HRP enzyme to generate TMB radicals, hydrogen ions, and electrons. The process of reducing TMB oxidized according to Equation (2)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t the working electrode is cyclically repeated. . Using this principle, the current difference at which the maximum instantaneous current for oxidation of TMB occurs can be checked by cyclic voltammetry, and the antigen concentration can be measured by the amperometric metho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amplified signal can be obtained even with a low concentration of antigen while the oxidation reaction by the enzyme and the reduction reaction by the electrode are continuously cycled.

도 12는 본 발명의 용액 공급장치(70)를 파단시키는 구성의 예시도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nfiguration for breaking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용액 공급장치(70)의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 각각을 순차적으로 파단시키는 파단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파단부(80)는 연장부(5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81)와, 상기 센서(81)에서 연장부(52)의 이동이 검출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작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2)에 의해 동작하여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를 파단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72)가 파단된 후, 제2수용부(73)를 파단하기 까지 역시 소정의 지연시간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12 , a breaking part 80 for sequentially breaking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of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may be provided. The breaking part 80 includes a sensor 81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art 52, and after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sensor 81 detects the movement of the extension part 52, an operation control signal is provided. It operates by the outputting control unit 82 to break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 Aft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is broken, it also has a predetermined delay time until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is broken.

상기 하우징(71)은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의 하단측 사이로 격벽이 형성되어,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설명된 전체 도면에 적용될 수 있다.The housing 71 has a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so that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do not mix with each other, This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drawing described.

이때의 파단부(80)는 진단 스트립에 설치되거나, 진단 스트립을 사용하는 분석장치에 마련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eaking part 80 may be installed on the diagnostic strip, provided on an analysis device using the diagnostic strip, or separately provided outside.

상기 파단부(80)는 두 개의 송곳을 포함하며, 송곳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를 각각 천공하여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에 각각 수용된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의 제2 투입구(13)로 투입시킬 수 있다.The breaking part 80 includes two awls,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are perforated by the movement of the awl,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drilled.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accommodated in the unit 73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second inlet 13 by gravity.

위의 예에서는 송곳(83)을 사용하여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에 천공을 형성하는 파단부(8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를 파단시키는 예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have been described. 2 Examples of breaking the accommodating part 73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제1수용부(72)와 제2수용부(73) 각각의 저면을 슬라이딩 커터를 이용하여 시간차를 두고 파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3 may be broken with a time difference using a sliding cutter.

커터는 회전방식일 수도 있다.The cutter may be of a rotary type.

도 13은 제1수용부(72)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

도 13을 참조하면 제1수용부(72)의 저면은 타부분에 비하여 강도가 약한 파단선(74)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파단부(80)에서 제1수용부(72)의 상부를 가압하여 파단선(74)이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워싱 용액(W1)이 제2 투입구(13)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may have a breaking line 74 that is weaker in strength than other parts, and the breaking part 80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2 . By causing the breaking line 74 to break, the washing solution W1 accommodated therein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3 .

이처럼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수단을 통해 설정된 시간에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을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at a set time through a wide variety of mean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이하,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21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1)은 하우징(10a)과 흡수 패드(40a)를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iagnostic strip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housing 10a and the absorbent pad 40a.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components already describ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16 내지 도 20를 참조하여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 후에, 도 21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 and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0 , and then the diagnos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21 . Let us explain the use condition of the strip.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사시도이고,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은 도 14의 진단 스트립을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diagnostic strip of FIG. 14;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1a)은 하우징(10a)에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 및 코드 표시부(18)가 형성되며, 하우징(10a)의 내측에 탄성부재(41)와 흡수부재(42)가 결합된 흡수 패드(40a)가 배치된다.14 and 15 , the diagnostic strip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lor change confirmation hole 16 , a second color change confirmation hole 17 , and a code display unit in a housing 10a. 18 is formed, and an absorbent pad 40a to which the elastic member 41 and the absorbent member 42 are coupled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a.

하우징(10a)은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의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를 포함한다.The housing 10a includes a first color change confirmation hole 16 and a second color change confirmation hole 17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는 멤브레인 패드(20)의 변색을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로, 제1 투입구(12)와 제2 투입구(13) 사이에 제1 부재(110a)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멤브레인 패드(20)의 적어도 일부를 하우징(10a)의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는 하우징(10a)의 제1 부재(110)에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며, 제2 투입구(13)와 흡수 패드(40a)가 배치되는 만입부(19) 사이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패드(20)는 제1 변색 확인구(16) 및 제2 변색 확인구(1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반응을 유도하고자 포획 항체가 코팅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반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부는 포획 항체가 사전 처리되어 있어, 샘플 용액(L1)에 포함된 항원-검출항체-효소 복합체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반응 용액이 유입되면 반응 용액에 포함된 기질은 결합된 효소에 의해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그 결과 발광 또는 형광 반응이 일어나거나 색이 변화할 수 있다.The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hole 16 and the second color change confirmation hole 17 are through-holes for confirming the discoloration of the membrane pad 20 , and the firs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let 12 and the second inlet 13 . I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110a,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membrane pad 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a. The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hole 16 and the second color change confirmation hole 17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ember 110 of the housing 10a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econd inlet 13 and the absorbent pad 40a are disposed It can be formed spaced apart between the indentation (19). The membrane pad 20 may include one or more reaction units coated with a capture antibody to induce a reactio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lor change confirmation sphere 16 and the second color change confirmation sphere 17 . Since the reaction part is pre-treated with the capture antibody, the antigen-detecting antibody-enzyme complex included in the sample solution (L1) can be bound. Thereafter, when the reaction solution is introduced, the substrate included in the reaction solution may undergo an oxidation reaction by the bound enzyme, and as a result, a luminescence or fluorescence reaction may occur or the color may change.

제2 투입구(13)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용액 공급장치(70)가 적용된다. 이때의 용액 공급장치(70)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파단부(80)에 의해 파단되어,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을 순차 공급할 수 있다.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second inlet 13 . At this time,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is also broken by the breaking part 80 in various ways, so that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can be sequentially supplied.

반응부는 유체에 샘플 용액(L1)에 포함된 검출항체와 반응하여 색이 변화하는 시약을 포함하여 샘플 용액(L1) 내 항원의 농도에 따라 발색, 발광 및 형광 등의 반응 정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항원의 농도에 따라 발색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를 통해 반응부의 변색 여부를 확인하여 양성 또는 음성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reaction unit includes a reagent that changes color by reacting with the detection antibody contained in the sample solution (L1) in the fluid, and the degree of reaction such as color development, luminescence, and fluoresce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antigen in the sample solution (L1). , the degree of color develop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antige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reaction part is discolored through the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6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7 to determine whe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하우징(10a)의 외측 상면에는 코드 표시부(18)가 형성된다.A code display unit 18 is forme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a.

코드 표시부(18)는 하우징(10)의 외측 상면에 큐알 코드(QR code, Quick Response code), 바코드(bar code) 등과 같이, 기기를 통하여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코드 표시부(18)는 제1 패드의 상면에 인쇄되어 형성되거나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단 스트립(1a)의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코드 표시부(18)는 제2 실시예의 진단 스트립(1a)에만 적용되지 않고, 제1 실시예에서 진단 스트립(1)의 하우징(10)에 적용되어 전극부(60)의해 의해 측정된 분석 물질의 농도 및 검출을 확인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The code display unit 18 may display a code that can read information through a device, such as a QR code, a Quick Response code, or a bar code,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code display unit 18 may be printed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d or may be manufactured and attached in the form of a sticker, and a diagnostic strip using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not shown) and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diagnosis result of (1a). However, the code display unit 18 is not applied only to the diagnostic strip 1a of the second embodiment, but is applied to the housing 10 of the diagnostic strip 1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nalyzed measured by the electrode unit 60 . It can also be used to confirm the concentration and detection of a substance.

흡수 패드(40a)는 만입부(19)에 삽입 배치되어 슬라이딩 부재(50) 이동에 의해 만입부(19)가 개방되면 멤브레인 패드(20)와 접하여 워싱 용액을 흡수한다는 면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나, 탄성부재(41)와 흡수부재(4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서의 흡수 패드(40a)와 다소 차이가 있다.The absorbent pad 40a is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19, and when the indentation 19 is opened by the sliding member 50 movemen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and absorbs the washing solution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the same as, but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absorbent pad 40a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41 and an absorbent member 42 .

흡수 패드(40a)는 하우징(10a)의 내측 상면과 접하는 탄성부재(41)와, 탄성부재(41)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수부재(4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41)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고무, 용수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1)는 일측면이 하우징(10a)의 내측 상면과 밀착 배치되고 타측면에 흡수부재(42)가 밀착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1)는 만입부(19)의 내측에 삽입배치되어 슬라이딩 부재(50)가 만입부(19)의 하측을 개폐함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어 타측면에 배치된 흡수부재(42)를 만입부(19)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흡수부재(42)는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유리섬유, 코튼 등과 같이 액체를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면이 탄성부재(41)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흡수부재(42)는 탄성부재(41)가 압축되었을 경우, 탄성부재(41)와 함께 만입부(19)의 내측에 삽입되고, 파지부(51)의 상판(510)이 만입부(19)의 하측에 배치되었을 때 탄성부재(41)와 함께 만입부(19)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만입부(19)의 하측이 개방되었을 때, 탄성부재(41)의 복원력에 의해 만입부(19)의 외측으로 밀려나가 끝단부가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The absorbent pad 40a includes an elastic member 41 in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a and an absorbent member 42 disposed below the elastic member 41 . The elastic member 41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may include, for example, rubber, a spring, and the like.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41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a and the absorption member 42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thereof. The elastic member 41 is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indentation part 19, and is compressed and restored as the sliding member 50 opens and closes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art 19, and the absorption member 42 disposed on the other side is indented. It can be pushed out of the part 19 . The absorbent member 4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expands in volume when it absorbs liquid, such as glass fiber or cotton, which can absorb liquid, and one side of the absorbent member 42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41 . When the elastic member 41 is compressed, the absorbent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portion 19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41 , and the upper plate 510 of the gripping portion 51 is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portion 19 . It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indentation 19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41 when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 addition, when the sliding member 50 slides and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art 19 is opened, it is pushed out of the indentation part 19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1 and the end of the membrane pad 20 is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탄성부재(41)와 흡수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되어 일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거나, 일측면이 서로 고정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The elastic member 41 and the absorbent member 42 may be integrally formed, formed separately and disposed so that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side thereof may be disposed to be fixed to each other.

한편,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1a)은 하우징(10a)의 내측면에 만입부(19)가 형성되어 만입부(19)의 하측이 개방되었을 때, 만입부(19)가 흡수패드(40a)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만입부(19)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agnostic strip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a and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opened,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the absorbent pad. The movement of (40a) can be gu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dentation 19 is not necessarily form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진단 스트립(1a)은 흡수 패드(40a)가 탄성부재(41)와 흡수부재(4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탄성부재(41)와 흡수부재(42)를 포함하는 흡수 패드(40a)가 제2 실시예의 진단 스트립(1a)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흡수 패드(40a)는 제1 실시예에서의 진단 스트립(1)과, 후술할 제3 실시예에서의 진단 스트립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diagnostic strip 1a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that the absorbent pad 40a includes an elastic member 41 and an absorbent member 42 . However, the absorbent pad 40a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41 and the absorbent member 42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to the diagnostic strip 1a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absorbent pad 40a is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diagnostic strip 1 of , and the diagnostic strip in the thir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 및 코드 표시부(18)가 형성된 하우징(10a)과, 탄성부재(41)와 흡수부재(42)가 결합된 흡수 패드(40a)가 이 제1 실시예에서의 진단 스트립(1)과 제3 실시예에서의 진단 스트립(1b)에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a in which the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6, the second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7 and the code display uni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he elastic member 41 and the absorbing member 42 are coupled The used absorbent pad 40a may be applied to the diagnostic strip 1 in this first embodiment and the diagnostic strip 1b in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0 .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일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16 to 20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투입구(12)에 샘플 용액(L1)을 투입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샘플 용액(L1)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효소가 결합된 검출항체에 항원을 사전 반응시킨 용액을 제1 투입구(12)에 투입한다. 제1 투입구(12)에 투입된 샘플 용액(L1)은 샘플 패드(30)에 흡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a diagram for introducing a sample solution L1 into the first inlet 12 is shown. As for the sample solution (L1),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solution obtained by pre-reacting an antigen with an enzyme-bound detection antibody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may be absorbed into the sample pad 30 .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투입구(12)에 투입된 샘플 용액(L1)이 샘플 패드(30)에 떨어지고, 샘플 패드(30)가 샘플 용액(L1)을 흡수하여 멤브레인 패드(20)가 샘플 패드(30)와 접하는 일단부부터 젖어 들어가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샘플 패드(30)는 제1 투입구(12)로부터 투입된 샘플 용액(L1)을 흡수하며, 적어도 일부가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하고 있어 흡수한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에 전달된다. 샘플 용액(L1)은 샘플 패드(30)를 거쳐 멤브레인 패드(2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젖어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달 확인구(14)로부터 도달 확인구(14)의 하측부까지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도달확인구(14)로부터 샘플 용액(L1)이 확인되었을 때, 샘플 패드(30)를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분리시킨다.Referring to FIG. 17 , the sample solution L1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falls on the sample pad 30 , and the sample pad 30 absorbs the sample solution L1 so that the membrane pad 20 is the sample pad. (30) The drawing is shown in the drawing wet from one end in contact. The sample pad 30 absorbs the sample solution L1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12 , and at least a part of it is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 so that the absorbed sample solution L1 is transferred to the membrane pad 20 . d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mple solution L1 is wet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membrane pad 20 through the sample pad 30 , and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from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sample solution L1 is confirmed from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 the sample pad 30 is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

도 1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패드를 샘플 패드(30)와 멤브레인 패드(20)가 분리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되어 도달 확인구(14)의 하측까지 도달하였을 때,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패드의 연장부(52)를 잡아당긴다. 연장부(52)를 잡아당기면 연장부(52)와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51)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샘플 패드(30)는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분리된다. 슬라이딩 패드가 하우징(10a)의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파지부(5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샘플 패드(30)는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분리되고, 파지부(51)의 상판(510)이 만입부(19)의 하측을 개방할 수 있다. 만입부(19)의 하측이 개방되면서 만입부(19)에 삽입 배치된 흡수 패드(40a)는 탄성에 의해 흡수부재(42)가 만입부(19)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re is shown a diagram of sliding the sliding pad so that the sample pad 30 and the membrane pad 20 are separated. When the sample solution L1 is absorbed by the membrane pad 20 and reaches the lower side of the arrival confirmation hole 14 , the extension part 52 of the sliding pad is pull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When the extension part 52 is pulled, the grip part 51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art 52 can slide and move, and at the same time, the sample pad 30 is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 When the gripper 51 slides while the sliding pad is pul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a, the sample pad 30 is separated from the membrane pad 20, and the upper plate 510 of the gripper 51 is indented ( 19), the lower side can be opened. As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opened, the absorbent pad 40a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portion 19 can have the absorbent member 42 protrude from the indentation portion 19 by elasticity.

도 19를 참조하면, 흡수부재(42)가 만입부(19)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멤브레인 패드(20)와 접하고 있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만입부(19)의 하측이 개방되면 흡수부재(42)가 탄성부재(41)의 복원력에 의해 만입부(19)의 외측으로 밀려나와 흡수부재(42)의 하측면이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흡수부재(42)가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접하기 되면, 제2 투입구(13)에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을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re is shown a view in which the absorbent member 42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indentation portion 19 and contacts the membrane pad 20 . When the lower 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is opened, the absorbent member 42 is pushed out of the indentation portion 19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1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absorbent member 42 is the membrane pad 20 .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When the absorbent member 4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may be sequenti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3 .

도 20에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용액 공급장치(70)의 구성은 생략하였나,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은 용액 공급장치(70)에서 공급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워싱 용액(W1)은 tween 등의 계면활성제가 일부 포함된 세척용 버퍼로, 제2 투입구(13)를 통해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떨어지고, 멤브레인 패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수되어 시약패드와 접촉하고 나머지 용액은 흡수 패드(40a)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반응 용액(L2)의 공급에 의해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로 노출된 멤브레인 패드(20)의 일부는 샘플 용액(L1)에 포함된 검출항체의 효소와 반응 용액에 포함된 기질이 반응하여 그 결과 발색, 발광 및 형광 반응이 나타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또는 양성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In FIG. 20 , the configuration of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is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but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may be supplied from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 The washing solution W1 is a washing buffer containing a part of surfactant such as tween, and it fa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through the second inlet 13 and is absorb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embrane pad 20. Contact with the reagent pad and the remaining solution may be absorbed by the absorbent pad (40a).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membrane pad 20 exposed to the first color change confirmation port 16 and the second color change confirmation port 17 by the supply of the reaction solution L2 is an enzyme of the detection antibody contained in the sample solution L1. and the substrate included in the reaction solution react, resulting in color development, luminescence and fluorescence reactions,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 user is negative or positive.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1a)의 사용 상태도로,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에서 멤브레인 패드(20)가 변색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a에서와 같이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변색이 확인되면 음성의 결과임을 알 수 있고, 도 21b에서와 같이 제1 변색 확인구(16)와 제2 변색 확인구(17) 모두에서 변색이 확인되면 양성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코드 표시부(18)의 큐알코드를 촬영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단 스트립(1a)의 보다 정확한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a)은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21 is a state diagram of the diagnostic strip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mbrane pad 20 is discolored in the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6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7 . have. As shown in FIG. 21A , when color change is confi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6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7, it can be known that the result is a negative result, and as shown in FIG. 21B , the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6 )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7, when the discoloration is confirmed,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is positive. In addition, the QR code of the code display unit 18 may be photograph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ore accurate diagnosis result of the diagnostic strip 1a may be checked using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way, the diagnostic strip 1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confirm a diagnostic result.

이하,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7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1b)은 슬라이딩 부재(50a)를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iagnostic strip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sliding member 50a.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components already describ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단면도이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1b)은 슬라이딩 부재(50a)가 파지부(51)와 연장부(52)를 포함하며, 파지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된 흡수 패드 수용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in the diagnostic strip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member 50a includes a gripping part 51 and an extension part 52 , a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gripping part 51 . It may further include an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 .

흡수 패드 수용부(514)는 흡수 패드(40b)를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분리 및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부재(50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 패드 수용부(514)는 파지부(51)의 상판(5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가 연장부(52)와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여 굴절 형성되어 내측에 흡수 패드(40b)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수 패드 수용부(514)는 일단부가 상판(5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가 연장부(52)가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수 패드 수용부(514)는 상판(510)의 상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14a)을 형성할 수도 있다. 흡수 패드(40b)는 슬라이딩 부재(50a)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에 따라 흡수 패드 수용부(514)의 내측 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이격 배치되거나, 경사면(514a)을 따라 이동하여 흡수 패드 수용부(514)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작동과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흡수 패드 수용부(514)는 파지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파지부(5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파지부(51)와 결합 가능하게 분리 형성되어 파지부(51)의 상판(5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흡수 패드 수용부(514)가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50a)는 제1 실시예에서의 진단 스트립(1)과 제2 실시예에서의 진단 스트립(1a)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absorbent pad receiving part 514 is for separating and contacting the absorbent pad 40b from the membrane pad 2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ing member 50a.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art 514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10 of the gripping part 51 ,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ed part 52 , and the absorbent pad 40b is formed inside. ) can be accommodated.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10 ,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52 is formed. It may be refracted and formed.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art 514 may be formed in a 'L'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10, and an inclined surface 514a having an end inclined toward the bottom may be formed. The absorbent pad 40b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 and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20 or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514a to absorb the absorbent pad 40b depending on whether the sliding member 50a slides.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pad receiving unit 514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oper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grip portion 51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 portion 51 , but may be formed separately to be engageable with the grip portion 51 so that the grip portion 51 is formed separately. I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late 510 . 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50a on which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 is formed may be applied to the diagnostic strip 1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iagnostic strip 1a in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27 .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진단 스트립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23 to 27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agnostic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라이딩 부재(50a)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흡수 패드(40b)를 수용 및 배출하는 점을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작동과정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고 슬라이딩 부재의 작동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sliding member 50a is deformed and moved to accommodate and discharge the absorbent pad 40b. Accordingly, the previously described operation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lid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3는 제1 투입구(12)에 샘플 용액(L1)을 투입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4은 샘플 패드(30)가 샘플 용액(L1)을 흡수하여 멤브레인 패드(20)에 전달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5은 연장부(52)를 잡아 당겨 슬라이딩 패드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6은 흡수 패드(40b)가 흡수 패드 수용부(514)로부터 이탈되어 멤브레인 패드(20)와 접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7은 제2 투입구(13)에 용액 공급장치(70)의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이 투입되어 흡수 패드(40b)가 이를 흡수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ample solution L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 and FIG. 24 is a diagram in which the sample pad 30 absorbs the sample solution L1 and is transferred to the membrane pad 20 . FIG. 25 shows the sliding pad sliding movement by pulling the extension part 52, and FIG. 26 shows the absorbent pad 40b detaching from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art 514 and the membrane pad ( 20) is shown, and FIG. 27 shows that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of the solution supply device 70 are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3, and the absorbent pad 40b absorbs them. The drawing is shown.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제1 투입구(12)에 샘플 용액(L1)을 투입한다. 제1 투입구(12)에 투입된 샘플 용액(L1)은 샘플패드(30)에 흡수되고, 샘플 패드(30)는 멤브레인 패드(20)와 접촉하여 샘플 패드(30)에 흡수된 샘플 용액(L1)이 멤브레인 패드(20)로 전달된다. 하우징(10)의 상부에서 도달 확인구(14)를 통해 도달 확인구(14)의 하측까지 샘플 용액(L1)의 흡수가 확인되면, 연장부(52)를 잡아당긴다.23 to 27 , the sample solution L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2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The sample solution L1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12 is absorbed by the sample pad 30 , and the sample pad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20 and absorbs the sample solution L1 into the sample pad 30 . It is transferred to the membrane pad 20 . When absorption of the sample solution L1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to the lower side of the arrival confirmation port 14 is confirmed, the extension part 52 is pulled.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부재(50a)의 연장부(52)를 잡아당기면 파지부(51)와 흡수 패드 수용부(514)도 연장부(52)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흡수 패드 수용부(514)는 제1 가이드면(12a)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형태가 변형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흡수 패드 수용부(514)가 제1 가이드면(12a)에 의해 내측에 수용된 흡수 패드(40b)는 경사면(514a)을 따라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흡수 패드(40b)는 흡수 패드 수용부(514)로부터 점차 돌출되어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흡수 패드 수용부(514)의 경사면(514a)을 흡수 패드(40b)를 상부에서 눌러주면서 흡수 패드(40b)가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의 진단 스트립(1)은 슬라이딩 부재(50a)가 흡수 패드 수용부(514)를 포함하여 별도의 탄성부재(41)를 필요로 하지 않고 흡수 패드(40b)를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밀착 배치시킬 수 있다. When the extension part 52 of the sliding member 50a is pull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the grip part 51 and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art 514 may also sl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part 52 is pulled. The absorbent pad accommodating part 514 may move downward of the first guide surface 12a, and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as to be slidably deformed in shape. At this time, the absorbent pad 40b in which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art 514 is accommodated inside by the first guide surface 12a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514a. As the sliding member 50 slides, the absorbent pad 40b may gradually protrude from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 and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 In this case, the absorbent pad 40b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while pressing the absorbent pad 40b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514a of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art 514 . In the diagnostic strip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liding member 50a includes the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elastic member 41, and the absorbent pad 40b is attached to the membrane pad 20 )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r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

도 27은 워싱 용액(W1)과 반응 용액(L2)이 순차 공급되는 과정의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및 제2수용부(72, 73)을 생략하였다.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 in which the washing solution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are sequentially supplied, and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72 and 73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슬라이딩 부재(50a)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샘플 패드(30)가 멤브레인 패드(20)로부터 멀어지고 흡수 패드(40b)가 멤브레인 패드(20)의 상면에 밀착되면 제2 투입구(13)를 통해 워싱 용액(W1) 및 반응 용액(L2)을 투입할 수 있다. 제2 투입구(13)로부터 투입된 워싱 용액은 멤브레인 패드(20)에 흡수되어 전극부(60)에 전달되며,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항원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sliding member 50a slides to move the sample pad 30 away from the membrane pad 20 and the absorbent pad 40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20, the washing solution ( W1) and the reaction solution (L2) may be added. The washing solution injected from the second inlet 13 is absorbed by the membrane pad 20 and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unit 60 , and the antigen concentration can be measured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은 검출 항체에 결합된 효소, 효소에 따른 기질의 선택에 따라 변색, 발광, 형광을 분석하는 광학분석법 및 산화환원 반응을 분석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을 통해 다양한 센서로 응용될 수 있다.The diagnostic stri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various sensors through an optical analysis method that analyzes discoloration, luminescence, and fluorescen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n enzyme bound to a detection antibody and a substrate according to the enzyme, and an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that analyzes a redox reaction.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진단 스트립(1)은 사용되는 효소 및 기질에 따라 변색, 발광, 형광의 광학분석 및 전기화학 분석에 응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gnostic strip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ptical analysis and electrochemical analysis of discoloration, luminescence, and fluorescence depending on the enzyme and substrate u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1a, 1b: 진단 스트립 10, 10a: 하우징
11: 수용공간 12: 제1 투입구
12a: 제1 가이드면 13: 제2 투입구
13a: 제2 가이드면 14: 도달 확인구
16: 제1 변색 확인구 17: 제2 변색 확인구
18: 코드 표시부 19: 만입부
20: 멤브레인 패드 21: 니트로셀룰로오스 패드
2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0: 샘플 패드
40, 40a, 40b: 흡수 패드 41: 탄성부재
42: 흡수부재 50, 50a: 슬라이딩 부재
51: 파지부 52: 연장부
60: 전극부 70:용액 공급장치
71:하우징 72:제1수용부
73:제2수용부 74:파단선
80:파단부 110: 제1 부재
120: 제2 부재 121: 돌기부
510: 상판 511: 하판
512: 관통공 513: 굴절부
514: 흡수 패드 수용부 514a: 경사면
1, 1a, 1b: diagnostic strip 10, 10a: housing
11: accommodation space 12: first inlet
12a: first guide surface 13: second inlet
13a: 2nd guide surface 14: arrival confirmation hole
16: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7: second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18: code display part 19: indentation part
20: membrane pad 21: nitrocellulose pad
22: polyethylene terephthalate 30: sample pad
40, 40a, 40b: absorbent pad 41: elastic member
42: absorption member 50, 50a: sliding member
51: grip portion 52: extension portion
60: electrode 70: solution supply device
71: housing 72: first receiving part
73: second receiving unit 74: broken line
80: break part 110: first member
120: second member 121: protrusion
510: upper plate 511: lower plate
512: through hole 513: refractive part
514: absorbent pad receiving portion 514a: inclined surface

Claims (16)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여 이격 배치된 제1 투입구와 제2 투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2 투입구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한 형태로 장착되며, 워싱 용액과 반응 용액을 수용하며, 워싱 용액과 반응 용액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투입구를 통해 멤브레인 패드에 투입하는 용액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a housing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forming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mmunication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on an upper surface; and
It is mounted integrally or detachably to the second inlet, and accommodates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reaction solution, and includes a solution supply device that sequentially puts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reaction solution into the membrane pad through the second inlet at an interval. diagnostic stri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공급장치는,
상기 제2 투입구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며, 상기 워싱 용액을 수용하고, 파단부의 작용에 의해 파단되어 상기 워싱 용액을 상기 제2 투입구에 투입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일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반응 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파단부의 작용에 의해 파단되어 상기 워싱 용액을 상기 제2 투입구에 투입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According to claim 1,
The solution supply device,
a first housing coupled to the second inlet;
a first accommodating part located in an upper part of the first housing, accommodating the washing solution, and breaking by the action of the breaking part to put the washing solution into the second inlet;
Diagnosis compris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o receive the reaction solution, and to be broken by the action of the breaking part to put the washing solution into the second inlet stri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순차적으로 천공 또는 가압하여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reaking part,
The diagnostic st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are sequentially punctured or pressurized to break th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는,
저면에 파단선이 형성되어, 상기 파단부의 압력에 의해 파단선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 diagnostic strip, characterized in that a breaking lin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reaking line is broken by the pressure of the break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 사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과 접하고 타측면이 상기 멤브레인 패드와 이격 배치되는 흡수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수 패드는 서로 다른 반대 방향으로 다수회 접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n absorbent pa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one side contacting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The diagnostic st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absorbent pad is formed by folding a plurality of times in opposite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 사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과 접하고 타측면이 상기 멤브레인 패드와 이격 배치되는 흡수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수 패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과 접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n absorbent pa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one side contacting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wherein the absorbent pad includes an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absorbent member disposed below the elastic member.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드는 상기 제2 투입구에 투입되는 워싱 용액 및 반응 용액의 양에 따라 각 층의 면적, 접히는 횟수, 부피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In the absorbent pad, the area, the number of folds, and the volume of each layer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s of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reaction solution injected into the second inl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멤브레인 패드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투입구로 투입되는 샘플 용액을 흡수하는 샘플 패드와,
상기 샘플 패드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배치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샘플 패드가 상기 멤브레인 패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흡수 패드의 타측면이 상기 멤브레인 패드와 접촉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샘플 패드가 수용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샘플 패드와 상기 제1 투입구가 연통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상판의 양 끝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굴절된 굴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8. The method of claim 7,
a sample pa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mbrane pad and absorbing the sample solution injected into the first inlet;
Further comprising: a gripper for gripping the sample pad; and a slid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gripp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extends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sliding member sli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ample pad is spaced apart from the membrane pad, and the other side of the absorbent pad is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pad,
The gripper includes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spaced up and down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ample pad is accommodated, and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communicate the sample pad and the first inlet, wherein the The diagnostic st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portion forms a refracting portion in which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re bent downwa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장부와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여 굴절 형성되어 내측에 흡수 패드를 수용하는 흡수 패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absorbent pad accommodat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the other e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ed part to accommodate the absorbent pa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패드는 일측면에 미리 결정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포획 항체가 사전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스트립.
According to claim 1,
The membrane pad is a diagnostic strip, characterized in that pre-treated with a capture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predetermined antigen on one si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드 수용부는 끝단부가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흡수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멤브레인 패드의 상면에 안착되는 진단 스트립.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bsorbent pad accommodating part forms an inclined surface with an end inclined toward the bottom,
The absorbent pad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sliding member slides and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입구와 상기 흡수 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패드의 상면에 밀착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electrod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inlet and the absorbent pad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pa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전기 화학적 센서부를 가압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press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ace the electrode and pressing the electrochemical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 사이의 상기 상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멤브레인 패드의 변색을 확인하는 제1 변색 확인구과 제2 변색 확인구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and a second discoloration confirmation spher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confirm discoloration of the membrane pa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 상면에 기기를 통하여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코드를 표시하는 코드 표시부를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housing includes a cod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de that can read information through the device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diagnostic stri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흡수 패드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하측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한 만입부를 형성하는 진단 스트립.
10. The method of claim 9,
A diagnostic strip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absorbent pad is insert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diagnostic strip to form an indentatio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liding member.
KR1020200155955A 2020-11-19 2020-11-19 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KR102591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55A KR102591005B1 (en) 2020-11-19 2020-11-19 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PCT/KR2021/015312 WO2022108168A1 (en) 2020-11-19 2021-10-28 Diagnostic cartridge capable of automatic solution supply and multiple detection
US18/032,302 US20230398534A1 (en) 2020-11-19 2021-10-28 Diagnostic cartridge capable of automatic solution supply and multiple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55A KR102591005B1 (en) 2020-11-19 2020-11-19 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88A true KR20220068788A (en) 2022-05-26
KR102591005B1 KR102591005B1 (en) 2023-10-18

Family

ID=8180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955A KR102591005B1 (en) 2020-11-19 2020-11-19 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0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395U (en) 1984-11-16 1986-06-12
KR100295970B1 (en) * 1993-03-17 2001-11-22 에프.지.엠. 헤르만스 ; 이.에이치. 리링크 Device to detect specific reactant
KR20130048200A (en) * 2010-02-23 2013-05-09 루미넥스 코포레이션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ample preparation, reaction and detection
KR101742958B1 (en) 2017-03-31 2017-06-15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Strip sensor module, point-of-care testing equipment for molecular diagnostics based on strip sensor using the same
KR101768876B1 (en) 2009-07-31 2017-08-17 인비져블 센터널, 인코포레이션. Device for Detection of Antigen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395U (en) 1984-11-16 1986-06-12
KR100295970B1 (en) * 1993-03-17 2001-11-22 에프.지.엠. 헤르만스 ; 이.에이치. 리링크 Device to detect specific reactant
KR101768876B1 (en) 2009-07-31 2017-08-17 인비져블 센터널, 인코포레이션. Device for Detection of Antigen and Uses Thereof
KR20130048200A (en) * 2010-02-23 2013-05-09 루미넥스 코포레이션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ample preparation, reaction and detection
KR101742958B1 (en) 2017-03-31 2017-06-15 주식회사 제넷바이오 Strip sensor module, point-of-care testing equipment for molecular diagnostics based on strip sens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005B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499B2 (en) Station, used for test apparatus, having integrated reaction and detection means
JP2009525794A (en) Personal portable blood glucose meter with replaceable specimen cartridge
JP2004506223A (en) Specimen holder for use with specimen meter
JP2007517202A (en) Analytical instrument
US20190317115A1 (en) Integrated point-of-care cartridge assay system
US1106752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optical and electrochemical assays
JP2006520898A (en) Sample inspection equipment based on agglomeration
EP3669178B1 (en) Systems for performing optical and electrochemical assays
US11060994B2 (en) Techniques for performing optical and electrochemical assays with universal circuitry
KR102568065B1 (en) Diagnosis strip with automatic solution supply
KR102492978B1 (en) Diagnosis Strip
WO2019131309A1 (en) Test cartridge and test device for immunochromatographic assay
KR102591005B1 (en) Diagnosis strip using solution supply device
US20080044842A1 (en) Biological Test Strip
WO2010058471A1 (en) Test tool, and optical measurement device
US20230398534A1 (en) Diagnostic cartridge capable of automatic solution supply and multiple detection
CN108348196A (en) Without reagent test strip system and method
WO2023095965A1 (en) Diagnostic strip
KR102568066B1 (en) Diagnostic cartridge capable of multiple detection
WO20151980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analytes in samples
KR20230094050A (en) Diagnosis strip
US11554372B1 (en) Binding assay with no wash steps or moving parts using magnetic beads
WO2003038433A1 (en) Test apparatus
KR102555254B1 (en) Volumetric chip and method for detecting analyte using the same
US20100273247A1 (en) Semi-quantitative immunological detection device with differential antibodies or subst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