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010A -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 Google Patents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010A
KR20220068010A KR1020200154887A KR20200154887A KR20220068010A KR 20220068010 A KR20220068010 A KR 20220068010A KR 1020200154887 A KR1020200154887 A KR 1020200154887A KR 20200154887 A KR20200154887 A KR 20200154887A KR 20220068010 A KR20220068010 A KR 20220068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ling
support
diaper changing
chang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문희
Original Assignee
김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희 filed Critical 김문희
Priority to KR102020015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010A/en
Publication of KR2022006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0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unit that has one side in close contact with a wall or is wholly or partially inserted into the wall; a bed unit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bed unit.

Description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Adult diaper changing table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본 발명은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aper changing st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diaper changing stations for adults.

저출산 및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심각 해지는 추세에 따라 고령화 사회에 맞춰 많은 제품 및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 맞춰 개발되는 제품들 중 요실금이나 변실금에 시달리는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성인용 기저귀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As the aging of the world becomes more serious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e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many products and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in line with the aging society. Among the products being developed to meet the aging society, the demand for adult diapers is increasing as the number of elderly suffering from incontinence or fecal incontinence increases.

성인용 기저귀는 요실금이나 변실금에 시달리는 노인들 뿐만 아니라 갑작스러운 사고로 장애를 가지거나 혼자 용변을 해결하지 못하는 성인들도 사용한다. 그러나 성인용 기저귀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혼자 기저귀를 교체하는 것이 어려워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기저귀를 교체한다. Adult diapers are used not only by the elderly suffering from incontinence or fecal incontinence, but also by adults who have a disability due to a sudden accident or who cannot go to the toilet alon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people who use adult diapers to change diapers by themselves, so they change diapers with the help of a caregiver or guardian.

그러나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기저귀 교체 시 교체 대상을 바닥에 눕혀 기저귀를 교체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교체 대상을 눕히고 일으키는 것 및 허리의 통증과 같은 육체적 부담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자세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a caregiver or guardian changes a diaper, the replacement object is laid on the floor to change the diaper. There is a problem.

일본등록특허 제4789694호(2011.07.29 공고)Japanese Patent No. 4789694 (published on July 29, 2011)

본 발명은 기저귀 교체 대상들의 육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편리성을 상승시키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that reduces the physical burden of diaper changing subjects and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caregivers or guardi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는 일면이 벽에 밀착되거나 전체 또는 일부가 벽에 삽입되는 지지부,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dult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hole or part is inserted into the wall, one side of the b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It is provided in the part and the support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bed part.

또한, 상기 지지부는 타면에 상기 베드부의 일측이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body to which one side of the bed part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at least one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upport handle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또한, 상기 베드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기설정된 각도 까지 회전 가능한 베드, 상기 베드의 타측에 구비되는 베드 손잡이 및 상기 베드의 일면에 내장되며,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드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d part includes a be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nd rotatable to a predetermined angle, a bed hand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ed, and a bed leg embedded in one surface of the bed,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드를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베드의 양단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actuator for rotating the bed and both ends of the b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rod rotated by the actuator.

또한, 상기 회전 로드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tary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pport spring is provided therein.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는 상기 베드의 가장 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환자용 이송 베드로부터 환자를 상기 베드로 옮길 때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이송슬링과, 상기 베드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환자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를 더 포함한다.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further includes a transfer sling formed at the edge of the bed to support the patient when transferring the patient from the patient transfer bed to the bed, and a transfer belt for transferring the pati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ed. .

상기 이송슬링은 상기 베드의 바깥쪽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슬링롤과, 상기 슬링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링롤에 감기거나 풀리는 슬링 카펫과, 상기 슬링 카펫의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링 헤드를 포함한다. The conveying sling is form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bed and includes a sling roll having a longitudinal axis of rotation, a sling carpet that is wound or unwound on the sling rol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ling roll, and the outermost of the sling carpet. and a sling head formed longitudinally on the edge.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베드의 안쪽 및 바깥쪽 내측에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드의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2개의 드럼과, 상기 2개의 드럼에 감겨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드의 상면에 일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노출되는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더베드와, 상기 벨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한다. The conveying bel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and outside the bed, two drums having a rotation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and the bed wound around the two drum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a belt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while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um; a slider bed formed under an area where the belt is exposed to support the belt; and a drum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according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드부가 고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기저귀 교체 대상의 육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보다 편하게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physical burden of the diaper replacement target by forming the bed portion of a high elastic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caregiver or guardian to change the diaper more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은 베드부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시 베드부를 오픈하여 교체 대상을 눕혀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고, 미사용 시 베드부를 폴딩하여 보관하는 것에 의해 사용의 효율 및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ed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open the bed part when in use, and the diaper can be changed by laying down the replacement object. may have the effect of

게다가, 본 발명은 베드부의 일면에 베드 다리가 내장되고, 베드부가 오픈되면 베드 다리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어 베드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safety by supporting the bed part by automatically rotating the bed leg by gravity when the bed leg is built-in one side of the bed part, and the bed part is opened.

더욱이, 본 발명은 간병인이 슬링 헤드를 잡아 당겨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 사이로 밀어 넣어 통과시켜 슬링 카펫이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 상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후, 슬링 헤드를 잡은 상태로 베드의 안쪽으로 천천히 이동하면, 이송슬링 및 이송벨트에 의해 환자를 자연스럽게 베드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병인의 육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편리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egiver pulls the sling head and pushes i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patient transfer bed so that the sling carpet is interpose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tient transfer bed, and then slowly moves to the inside of the bed while holding the sling head If it is, the patient can be seated on the bed naturally by the transfer sling and the transfer bel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caregiver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caregiver or guardi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폴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폴딩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전 로드가 회전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슬링의 슬링 카펫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자용 이송베드에서 환자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 교환대로 옮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ting rod of FIG. 4 is rotat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sling carpet of the transfer sling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
9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transferring a patient from a transfer bed for a patient to a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 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폴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폴딩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전 로드가 회전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Hereinafter,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ting rod of FIG. 4 is rotated. Hereinafter, descriptions of previously known matters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는 기저귀 교체 대상의 육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보다 편하게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는 지지부(100), 베드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hysical burden of a diaper change target, and allows a caregiver or guardian to change the diaper more conveniently.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may include a support unit 100 , a bed unit 200 , and a driving unit 300 .

지지부(100)는 일면이 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 또는 일부가 벽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타면에 베드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면에 형성된 지지 손잡이(130)를 통해 기저귀를 교체해야하는 노인 및 몸이 불편한 사람(이하, '교체 대상이라 칭함')이 자세를 바꾸거나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본체(110), 수용공간(120) 및 지지 손잡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00 may be installed so that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may be installed in whole or in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wall. The support part 1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ed part 200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elderl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eed to change the diaper through the support handle 13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placement target') ) can change or maintain this posture. The support part 100 may include a body 110 , an accommodation space 120 , and a support handle 130 .

본체(110)는 일면이 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 또는 일부가 벽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타면에 베드부(200)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으며, 베드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may be installed so that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hole or part of the body 110 may be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wall.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d unit 200 to the other surface, and may support the bed unit 200 .

수용공간(120)은 본체(110)의 타면, 즉, 본체(110)와 베드(210)가 접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지지 손잡이(13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20)은 교체 대상의 기저귀 교체 시 주머니나 손에 들고 있는 소지품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여분의 기저귀를 청결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At least one accommodating space 12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that is, on the surface where the main body 110 and the bed 210 contact each other, and may accommodate the support handle 130 therein.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space 120 can accommodate the belongings held in the pocket or hand when the replacement diaper is replaced, and the caregiver or guardian can keep the extra diaper in a clean state.

지지 손잡이(130)는 수용공간(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교체 대상이 자세를 바꾸거나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The support handle 130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120 , and may help the replacement target change or maintain the posture.

베드부(200)는 일측이 지지부(100)의 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교체 대상을 눕혀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기저귀를 보다 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베드부(200)는 베드(210), 베드 손잡이(220) 및 베드 다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bed unit 2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00 , and a caregiver or guardian may change the diaper more conveniently by laying down the replacement object. The bed unit 200 may include a bed 210 , a bed handle 220 , and a bed leg 230 .

베드(210)는 일측이 지지부(10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드(210)는 양단의 내부에 회전 로드(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 로드(320)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베드(21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드(210)가 오픈 또는 폴딩되는 것에 의해 사용의 효율 및 공간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베드(210)는 교체 대상의 육체적 부담감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베드(210)를 고탄성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베드틀(211) 및 다리 홈(212)를 포함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bed 21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00 ,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 preset angle. In addition, the bed 21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rod 320 inside both ends, the bed 21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ng rod 320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300 .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and the efficiency of space by opening or folding the bed 210 . In addition, the bed 210 may be formed of a high elastic material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replacement target, and may include a bed frame 211 and a leg groove 212 .

베드틀(211)은 베드(2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교체 대상의 무게 또는 베드(210) 회전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 손잡이(1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bed frame 211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d 210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by the weight of the replacement object or rotation of the bed 210 , and may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handle 130 .

다리 홈(212)은 베드(2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드(210)를 지지하는 베드 다리(23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다리 홈(212)는 베드 다리(230)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베드 다리(23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드(210)가 회전하여 오픈되는 경우, 베드 다리(230)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여 다리 홈(212)으로부터 벗어나 베드(2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베드(210)가 폴딩되는 경우, 베드 다리(230)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폴딩되어 다리 홈(212)으로 내장될 수 있다. The leg groove 21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ed 210 , and a bed leg 230 supporting the bed 210 may be built-in. In addition, the leg groove 212 may rotatably fix one side of the bed leg 230 , and may support one side of the bed leg 230 . Accordingly, when the bed 210 is rotated and opened, the bed leg 230 automatically rotates by gravity to escape from the leg groove 212 and support the bed 210, and the bed 210 is folded. In this case, the bed leg 230 may be automatically folded by gravity to be built into the leg groove 212 .

베드 손잡이(220)는 베드(2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300)의 고장 발생 시, 베드(210)의 오픈 또는 폴딩을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베드 손잡이(220)와 지지 손잡이(130)는 도면 상에 교차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고, 마주보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드 손잡이(220)와 지지 손잡이(130)가 마주보고 있는 경우, 교체 대상의 자세를 바꾸는 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기본 기능인 베드(210)의 오픈 또는 폴딩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bed handle 22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ed 210 , and may be a means for opening or folding the bed 210 when a failure of the driving unit 300 occurs. In addition, although the bed handle 220 and the support handle 130 are shown to be provided at an intersectio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bed handle 220 and the support handle 130 face each other, the direction of changing the posture of the replacement object can be freely change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used as a means for opening or folding the bed 210, which is a basic function. have.

베드 다리(230)는 베드(210)의 일면에 형성된 다리 홈(212)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일측이 다리 홈(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드 다리(230)는 타측이 중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중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다리 홈(212)에 내장 또는 베드(210) 지지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The bed leg 230 may be embedded in a leg groove 21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ed 210 , and one side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eg groove 212 .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bed leg 230 can be freely rotated by gravity, and as it rotates by gravity, either a built-in or bed 210 support can be performed in the leg groove 212 .

구동부(300)는 지지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동력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베드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엑츄에이터(310) 및 회전 로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pport unit 100 , and may electrically rotate the bed unit 200 using a power unit (not shown).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n actuator 310 and a rotating rod 320 .

엑츄에이터(310)는 일측이 지지부(100)의 내측 상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베드부(2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원동기와 같은 동력 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실린더의 피스톤 부분이 압입 또는 인출되는 것에 의해 베드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One side of the actuator 31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100 , and the other side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d unit 200 . Accordingly, the bed 200 may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tor or a prime mover, and press-fitting or withdrawing the piston portion of the cylinder.

여기서, 엑츄에이터(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형 실린더일 수 있으며, 압입 및 인출에 의해 베드(210)가 회전하는 원리는 반대의 경우로도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actuator 310 may be a piston-type cylinder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principle of rotating the bed 210 by press-in and withdrawal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case.

또한, 엑츄에이터(310)는 피스톤형 실린더로 한정하지 않고, 베드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대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tuator 310 is not limited to a piston-type cylinder, and may be replaced if 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bed unit 200 .

회전 로드(320)은 베드(210)의 양단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엑츄에이터(31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로드(320)는 엑츄에이터(310)의 피스톤이 압입되는 것에 의해 회전하여 베드(210)를 회전시켜 오픈할 수 있으며, 엑츄에이터(310)의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 즉, 인출되는 것에 의해 베드(210)를 폴딩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로드(32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스프링(3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엑츄에이터(310)의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The rotating rod 320 may be provided inside both ends of the bed 210 and may be rotated by the actuator 310 . The rotating rod 320 can be opened by rotating the bed 210 by rotating by the piston of the actuator 310 being press-fitted, and the piston of the actuator 31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that is, by being drawn out. 210) can be folded. In addition, the rotation rod 3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pport spring 321 therein, and may assist the rotation of the actuator 310 .

또한, 회전 로드(32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스프링(321)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엑츄에이터(310)가 인출되어 베드(210)를 폴딩하는 경우, 지지 스프링(321)의 탄성력을 통해 베드(210)의 회전 시 엑츄에이터(31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엑츄에이터(310)의 고장 시 베드(210)의 무게에 의해 피스톤이 압입되어 베드(210)가 오픈되는 상황에서도 지지 스프링(321)의 탄성력이 지지 스프링(321)의 인장을 억제하여 베드(210)가 회전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드(210) 및 구동부(3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rod 3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pport spring 321 therein, so that when the actuator 310 is drawn out and the bed 210 is folded, the support spring 321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bed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actuator 310 when the 210 is rotated, and when the actuator 310 fails, the piston is press-fitted by the weight of the bed 210 and the support spring ( The elastic force of the 321 suppresses the tension of the support spring 321 , thereby reduc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ed 210 . Accordingly, damage to the bed 210 and the driving unit 300 may be minimiz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슬링의 슬링 카펫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이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sling carpet of the transfer sling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는 지지부(100), 베드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 베드부(200) 및 구동부(300)에 추가로 이송슬링(400) 및 이송벨트(500)를 더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100 , a bed part 200 and a driving part 300 , and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 1 further includes a conveying sling 400 and a conveying belt 500 in addition to the support 100 , the bed 200 and the driving unit 300 as shown in FIGS. 6 to 8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베드(210) 내에서 폭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부(100)와 가까운 쪽을 안쪽 그리고 지지부(100)와 먼쪽을 바깥쪽이라고 할 때, 이송슬링(400)은 베드(210)의 바깥쪽 소정 영역에 형성되어 환자용 이송 베드로부터 환자를 상기 베드로 옮길 때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벨트(500)는 베드(2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환자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6 to 8, when the side close to the support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bed 210 is called the inside and the side far from the support 100 is called the outside, the transfer sling 400 is the bed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utside the 210 to support the patient when transferring the patient from the transfer bed for the patient to the bed. The transfer belt 500 is for transferring the pati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ed 210 .

이송슬링(400)은 슬링 헤드(410), 슬링 카펫(420) 및 슬링롤(430)을 포함한다. 슬링롤(430)은 베드(210)의 바깥쪽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가진다. 슬링 카펫(420)은 슬링롤(430)의 회전에 따라 슬링롤(430)에 감기거나 펼쳐진다. The transfer sling 400 includes a sling head 410 , a sling carpet 420 and a sling roll 430 . The sling roll 430 is form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bed 210, and has a rotation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ng carpet 420 is wound or unfolded on the sling roll 4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ling roll 430 .

슬링 헤드(410)는 슬링 카펫(420)의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링 헤드(410)는 환자용 이송베드에 누워있는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 상면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링 헤드(410)에 연결된 슬링 카펫(420)이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 상면 사이 개재되도록 한다. The sling head 410 is formed on the outermost edge of the sling carpet 4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ng head 41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easily pass between the patient lying on the patient transfer b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tient transfer bed. Accordingly, the sling carpet 420 connected to the sling head 410 is interpose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ed for the patient.

이송벨트(500)는 2개의 드럼(510), 벨트(520), 슬라이더베드(530) 및 드럼구동부(540)를 포함한다. The transfer belt 500 includes two drums 510 , a belt 520 , a slider bed 530 , and a drum driving unit 540 .

2개의 드럼(510)은 베드의 안쪽 및 바깥쪽 내측에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베드(210)의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며, 그 회전축에 따라 회전한다. The two drums 51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ed, have a rotation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210, and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xis.

벨트(520)는 2개의 드럼(510)에 감겨 드럼(510)의 회전에 따라 베드(210)의 상면에 일부가 노출되면서 드럼(510)의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belt 520 is wound around the two drums 510 and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510 while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210 is exposed as the drum 510 rotates.

슬라이더베드(530)는 베드(210)의 상면에 벨트(520)가 노출되는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어 벨트(520)를 지지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베드(530) 대신 복수의 서포트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서포트롤러는 드럼과 동일한 길이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며 벨트(520)가 노출되는 영역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서포트롤러는 벨트(520)를 지지하면서 드럼(510)의 회전 및 벨트(51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The slider bed 5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210 under the area where the belt 520 is exposed to support the belt 520 .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may be used instead of the slider bed 530 . The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may have the same longitudinal axis of rotation as that of the drum and may be formed under the area where the belt 520 is expose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510 and the movement of the belt 510 while supporting the belt 520 .

드럼구동부(540)는 벨트(520)가 이동하도록 드럼(510)이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The drum driving unit 540 provid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drum 510 rotates along a rotation axis so that the belt 520 move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자용 이송베드(600)에서 환자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자용 이송베드에서 환자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 교환대로 옮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a method for transferring a patient from the patient transfer bed 600 to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9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transferring a patient from a transfer bed for a patient to a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환자용 이송베드(600)를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는 옆으로 이송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링 헤드(410)를 잡아 당겨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600) 사이로 밀어 넣어 통과시킨다. 그러면, 슬링 헤드(410)에 연결된 슬링 카펫(420)이 슬링롤(430)에서 펼쳐져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600) 상면 사이에 개재된다. 슬링 헤드(410)는 환자용 이송베드에 누워있는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 상면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형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9 , as shown in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transfer bed 600 and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are transferred sideways, the sling head 410 is pulled to pull the patient and patient transfer bed. (600) and push it through. Then, the sling carpet 420 connected to the sling head 410 is spread out from the sling roll 430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ed 600 for the patient. The sling head 41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easily pass between the patient lying on the patient transfer b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tient transfer bed.

이후, 도 11을 참조하면, 간병인이 슬링 헤드(410)를 잡은 상태에서 서서히 베드(210)의 안쪽을 향해 이동하면, 슬링 카펫(420)은 슬링롤(430)의 회전에 따라 슬링롤(430)에 감기기 시작한다. 슬링 카펫(420)이 슬링롤(430)에 감김에 따라 감기지 않은 부분의 슬링 카펫(420)은 환자를 지지하면서 환자를 베드(210)의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Thereafter, referring to FIG. 11 , when the caregiver slowly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bed 210 while holding the sling head 410 , the sling carpet 420 is rotated by the sling roll 4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ling roll 430 . ) begins to wind. As the sling carpet 420 is wound around the sling roll 430 , the sling carpet 420 of the unwound portion moves the patient to the inside of the bed 210 while supporting the patient.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몸 일부가 베드에 안착되면, 이송벨트(500)가 작동한다. 드럼구동부(540)는 드럼(510)을 회전시키고, 드럼(510)의 회전에 따라 벨트(520)가 이동한다. 베드(210)의 상면에 벨트(520)가 노출되는 영역은 베드(2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벨트(520)의 이동에 따라 환자가 베트(2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2 , when a part of the patient's body is seated on the bed, the transfer belt 500 operates. The drum driving unit 540 rotates the drum 510 , and the belt 520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510 . The area in which the belt 520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210 mov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ed 210 .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elt 520 , the patient is mo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ed 210 .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링 카펫(420) 전체가 슬링롤(430)에 감겨지고, 슬링 헤드(410)만 베드(210)에 노출되면서, 환자의 몸 전체가 베드(210)에 안착되어 환자용 이송베드(600)에서 환자를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로의 이동이 완료된다. And as shown in FIG. 13 , the entire sling carpet 420 is wound on the sling roll 430 , and only the sling head 410 is exposed to the bed 210 , while the entire body of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bed 210 . The transfer of the patient from the transfer bed 600 for the patient to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간병인은 슬링 헤드(410)를 잡아 당겨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600) 사이로 밀어 넣어 통과시켜 슬링 카펫(420)이 환자와 환자용 이송베드(600) 상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후, 슬링 헤드(410)를 잡은 상태로 베드(210)의 안쪽으로 천천히 이동하면, 이송슬링(400) 및 이송벨트(500)에 의해 환자를 자연스럽게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1)의 베드(210) 상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간병인의 육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편리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egiver pulls the sling head 410 and pushes i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patient transfer bed 600 to pass the sling carpet 4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 transfer bed 600 . After being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slowly moving inside the bed 210 while holding the sling head 410, the patient is naturally transferred to the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 by the transfer sling 400 and the transfer belt 500. It is seated on the bed 210 of th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caregiver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caregiver or guardian.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using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xample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s su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doctrine of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 :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100 : 지지부
110 : 지지대 120 : 수용 공간
130 : 지지 손잡이 200 : 베드부
210 : 베드 211 : 베드틀
212 : 다리 홈 220 : 베드 손잡이
230 : 베드 다리 300 : 구동부
310 : 엑츄에이터 320 : 회전 로드
321 : 지지 스프링 400: 이송슬링
410: 슬링 헤드 420: 슬링 카펫
430: 슬링롤 500: 이송벨트
510: 드럼 520: 벨트
530: 슬라이더베드 540: 드럼구동부
1: adult diaper changing table 100: support
110: support 120: receiving space
130: support handle 200: bed part
210: bed 211: bed frame
212: leg groove 220: bed handle
230: bed leg 300: driving unit
310: actuator 320: rotation rod
321: support spring 400: transfer sling
410: sling head 420: sling carpet
430: sling roll 500: transfer belt
510: drum 520: belt
530: slider bed 540: drum driving unit

Claims (8)

일면이 벽에 밀착되거나 전체 또는 일부가 벽에 삽입되는 지지부;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a support part whose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whole or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wall;
a bed part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a driving unit provided inside the support unit and rotating the bed unit;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타면에 상기 베드부의 일측이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 body to which one side of the bed part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At least one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Diaper changing table for adul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handle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기설정된 각도까지 회전 가능한 베드,
상기 베드의 타측에 구비되는 베드 손잡이 및
상기 베드의 일면에 내장되며,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드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ed part
A bed with one side coupled to the support and rotatable to a preset angle;
a bed hand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ed; and
A bed leg that is built into one side of the bed and that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Diaper changing table for adult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드를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베드의 양단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ving unit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bed; and
a rotating rod provided inside both ends of the bed and rotated by the actuator;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드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ng rod is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pport spring is provided there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가장 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환자용 이송 베드로부터 환자를 상기 베드로 옮길 때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이송슬링; 및
상기 베드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환자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4. The method of claim 3,
a transfer sling formed at the edge of the bed to support the patient when transferring the patient from the transfer bed for the patient to the bed; and
a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the pati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ed;
Diaper changing table for adul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슬링은
상기 베드의 바깥쪽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슬링롤;
상기 슬링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링롤에 감기거나 풀리는 슬링 카펫; 및
상기 슬링 카펫의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링 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fer sling is
a sling roll form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bed and having a rotation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ling carpet wound around or unwound on the sling rol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ling roll; and
a sling hea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most edge of the sling carpet;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베드의 안쪽 및 바깥쪽 내측에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드의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2개의 드럼;
상기 2개의 드럼에 감겨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드의 상면에 일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상기 벨트가 노출되는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더베드; 및
상기 벨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럼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기저귀 교환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veying belt is
two drum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ed, and having a rotation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a belt wound around the two drums and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um while a part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a slider bed formed under an area where the belt is exposed to support the belt; and
a drum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drum rotates along a rotation axis to move the belt;
An adult diaper changing table comprising a.
KR1020200154887A 2020-11-18 2020-11-18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KR202200680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87A KR20220068010A (en) 2020-11-18 2020-11-18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87A KR20220068010A (en) 2020-11-18 2020-11-18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010A true KR20220068010A (en) 2022-05-25

Family

ID=8180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887A KR20220068010A (en) 2020-11-18 2020-11-18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0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2052A (en) * 2022-07-27 2022-10-21 连云港市妇幼保健院(连云港市第三人民医院) Multifunctional nursing bed and method for obstetrical nurs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694B2 (en) 2006-05-11 2011-10-12 由紀子 羽鳥 Diaper changing car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694B2 (en) 2006-05-11 2011-10-12 由紀子 羽鳥 Diaper changing car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2052A (en) * 2022-07-27 2022-10-21 连云港市妇幼保健院(连云港市第三人民医院) Multifunctional nursing bed and method for obstetrical nursing
CN115212052B (en) * 2022-07-27 2023-07-18 连云港市妇幼保健院(连云港市第三人民医院) Obstetrical nursing is with multi-functional nursing b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8648B2 (en) Transfer device, transfer device connector, and storage device thereof
US6976698B2 (en) Manually operable standing wheelchair
US6006377A (en) Patient carrying device
KR20220068010A (en) Adult am diaper changing facility
KR101445456B1 (en) Apparatus transfer of patient
GB2198339A (en) Invalid transfer arrangement
FR2568470A1 (en) DEVICE FOR ENABLING A HANDICAPPED SICK TO MOVE ITSELF BETWEEN MULTIPLE PREDETERMINED POSITIONS.
PT1658031E (en) Raiser seat
KR102268100B1 (en) Device for movement auxiliary in wheelchair user
US20020004961A1 (en) Wheel cleaning apparatus for a wheelchair
JPH01190326A (en) Closing mechanism for stool seat and stool cover
US3076678A (en) Elevating wheel chair seat
JP2004321630A (en) Motor-driven wheelchair
CN213406837U (en) Department of neurolog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JP2015126817A (en) Bed
CA3099951C (en) Stair lift
JP4415149B2 (en) Transfer support mechanism, stretcher and bed equipped with this transfer support mechanism
JP2017529177A (en) Assistance lift device
CN104528549B (en) A kind of mobile telescopic rotary suspension arm
JP6537217B1 (en) Stand-up assisting device and offset member
JPH11301958A (en) Base isolation escalator
ES2869698T3 (en) Access control device for people or vehicles
DK155076B (en) TRANSPORTABLE LIFTING EQUIPMENT OF THE SCALE LIFTY TYPE, NECESSARY FOR USE OF A WHEELCHAIR PATIENTS
JPH01274760A (en) Human body transferring device
CN217066828U (en) Folding mechanism and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