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927A -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927A
KR20220067927A KR1020200154724A KR20200154724A KR20220067927A KR 20220067927 A KR20220067927 A KR 20220067927A KR 1020200154724 A KR1020200154724 A KR 1020200154724A KR 20200154724 A KR20200154724 A KR 20200154724A KR 20220067927 A KR20220067927 A KR 2022006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hesive
microfluidic chip
manufacturing
micro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357B1 (ko
Inventor
김영호
박지웅
신화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20015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0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the container or its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로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미세유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 하부에 결합되되,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a sticky microfluidic chi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미세유체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량 생화학시료의 성분 분석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물체 표면으로부터 탈부착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화학시료 분석 등의 수단으로서 랩온어칩(Lab-on-a-chip, LOC) 이라고도 불리우는 미세유체칩(Microfluidic chip)이 있다.
미세유체칩은 미세유로(Microfluidic channel) 및 미세챔버(Micro-chamber)를 포함하는바, 그 내부로 분석 대상 물질을 극미량 주입하여 조작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시료의 분석이나 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세유체칩은 개발 초기에 생화학 및 화학 시료의 특정 성분을 분리하거나 분석하는 등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마이크로 입자 합성이나 세포 배양 등으로 그 활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즉, 미세유체칩은 생화학이나 생물뿐만 아니라 질병진단이나 야외 환경 모니터링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여 연구개발되고 활용되고 있다.
한편,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유로나 미세챔버를 포함하는 미세유체칩의 제조는 통상 고청정룸 시설과 고가의 사진식각 공정 장비들이 요구되는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즉, 마이크로 미세유체칩 몰드 제작을 위해서 스핀 코팅기(Spin coater)를 사용하여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미세한 광감제를 코팅하고, 일정한 마이크로 패턴형상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포토마스크가 장착된 자외선 경화장치인 얼라이너(Aligner)를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반응을 진행시키며, 미반응 광감제를 용해 제거해줌으로써 미세유체칩 몰드를 얻게된다.
또한, 미세유로나 미세챔버 등의 미세구조물을 양각으로 갖는 기판 위에 폴리머 용액을 도포한 후에 열이나 자외선을 부가하여 반응시킨 후 이형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소프트리소그래피(Softlithography) 공정에 의해서도 미세유체칩을 제조할 수 있었고, 이 외에 레이저 장비를 이용하여 기판 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미세유체칩을 제조하는 방법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미세유체칩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유체칩은 2차원적인 평면 구조에 미세유로와 미세챔버가 형성된 것이므로 요철이 있는 거친 표면이나 둥근 원기둥 및 인체의 피부 등과 같이 불규칙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물체 표면에 부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미량 생화학시료의 성분 분석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물체 표면으로부터 탈부착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미세유체칩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6500호(2018.05.0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3436호(2012.09.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3333호(2013.07.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미량 생화학시료의 성분 분석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물체 표면으로부터 탈부착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로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미세유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 하부에 결합되되,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시블 소재를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의 상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별개로 점착성 소재를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의 하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미세유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유로가 형성된 상기 상부기판 하면을 상기 하부기판 상면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기판 및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는바, 상부기판에 의해 굽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기판에 의해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물체 표면에서 탈부착이 원활할 수 있어 제품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은, 미량의 생화학시료, 혈액과 뇨 등의 생체시료 및 화학시료 등을 주입하여 분광분석법이나 전기화학법 등의 다양한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시료용액 중의 특정 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바, 시료 분석이 원활할 수 있어 제품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은, 실리콘고무, 생체친화성 폴리머소재, 유무기 복합소재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바, 제조가 용이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이 물체 표면에 부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이 물체 표면에 부착된 다른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미세유로에 시료가 주입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을 이용한 시료의 흡광도 측정 결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하부기판 흡광도 측정 결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은, 기판(10); 및 미세유로(20)를 포함한다.
기판(10)은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10)에 의해 미세유로(20) 형성면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때, 기판(10)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기판(11); 및 상기 상부기판(11) 하부에 결합되되,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기판(12);을 포함함으로써 상부기판(11)에 의해 굽힘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기판(12)에 의해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기판(11)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되, 플라스틱과 고무 등의 폴리머 소재, 유리와 실리콘 웨이퍼 등의 세라믹 소재 및 유무기 복합소재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11)은, 미세유로(20)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기판(11a);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기판(11a)에 상하로 맞대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1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층의 상부기판(11)에 일정한 깊이로 미세유로(20)를 직접 형성할 때에 비에 미세유로(20)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부기판(11)은 유연하여 굽힘성을 갖는 것이라면 용도와 제조과정 등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부기판(11)은 스카치테이프와 같이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실리콘 고무판과 같이 수 밀리미터 두께의 굽힙성이 좋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하부기판(12)은 평판 형태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부기판(12)에 상부기판(11)의 미세유로(20)와 연통하는 미세유로(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기판(12)은,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전체가 점착성 고분자 소재로 형성된 것 또는 일 면에 점착성 고분자 소재가 도포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점착성 고분자 소재는 주제 및 경화제의 혼합물이다.
일 실시예로서, 경화제가 주제 100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 미만이면 주제의 경화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경화제가 주제 100중량부에 대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주제의 경화반응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점착성의 저하와 경도의 증가로 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는바, 경화제는 주제 100중량부에 대해 3~30중량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점착성 소재는 실리콘고무, 아크릴레이트 기능기 및 메타크릴레이트 기능기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폴리머 및 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하부기판(12)은 점착성을 가지고 전체가 유연하여 굽힙성이 있는 것이라면 용도와 제조과정 등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하부기판(12)은 테이프와 같이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판과 같이 수 밀리미터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부기판(12)은 아주 얇게 점착성 소재를 도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세유로(20)는 기판(10)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유로(20)에 의해 시료 유동 경로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미세유로(20)는 폭이나 깊이 중 어느 하나가 30~3000μm로 형성되며, 직선 또는 다양한 형태의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은 상기 기판(10) 외부에서 상기 미세유로(20) 내측으로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 주입 레저버(30); 및 상기 미세유로(20) 내의 시료를 상기 기판(10) 외부로 배출하는 시료 배출 레저버(40);를 더 포함함으로써 시료 주입 레저버(30) 및 시료 배출 레저버(40)에 의해 시료의 주입 및 배출이 원활할 수 있다.
한편, 시료 주입 레저버(30) 및 시료 배출 레저버(40)는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을 통한 시료 분석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판(10)에는 미세유로(20)가 형성되는바, 미세유로(20)에 의해 기판(10) 내측으로 액상 시료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미세유로(20)에 시료가 투입된 상태에서 형광분석법, 화학발광분석법 및 전기화학분석법 등으로 분석함으로써 시료의 성분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어 질병 진단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기판(10)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기판(11); 및 상기 상부기판(11) 하부에 결합되되,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기판(12);을 포함하는바, 상부기판(11)에 의해 굽힘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기판(12)에 의해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물체 표면에 간단히 부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의 제조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아크릴 소재 또는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플라스틱 평판 소재을 이용하여 상부기판(11)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부기판(11)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음각으로 미세유로(20)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점착성을 갖는 하부기판(12)을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 siloxane, PDMS)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서는 다우코닝 기업의 실가드 184(Sylgard 184) 제품인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 siloxane, PDMS)을 이용하여 하부기판(12)을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디메틸실록세인이 점착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경화반응 조건을 조절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세인(Sylgard 184) 기판(10)을 제조할 시에 전구체 폴리머 대비 경화제 함량을 10:1 비율로 혼합하여 경화반응을 진행시키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구체 폴리머 대비 경화제 함량을 10:0.5 비율로 혼합 상온에서 경화반응을 진행하여 경화제 함량을 일반적인 사용 시에 비해 절반 정도로 감소시킴으로써 경화반응 후에 점착성을 갖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제의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예시로 제시하고 있으나 폴리머 소재의 화학적인 조성과 열반응과 자외선 반응 등의 경화반응 조건을 달리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점착성을 갖는 하부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유로(20)가 형성된 상부기판(11)과 하부기판(12)을 접합하여 미세유체칩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한 점착성 있는 하부기판(12)을 상부기판(11)과 접촉시킴으로써 접합하여 미세유체칩 제조를 완성하였다. 상기한 점착성 있는 하부기판(12)은 하부기판(12)의 윗면과 아래면 모두 점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부기판(11)과 하부기판(12)의 접합 과정에서 접착제 사용이 없이 단순히 가까이 접촉시킴으로써 접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접합 과정에서 열이나 자외선 또는 초음파 등의 외부 에너지 주입이 없이 단순히 상부기판(11)과 하부기판(12)을 접촉시킴으로써 접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의 부착 시험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미세유체칩의 하부기판(12)을 접촉면으로 하여 원통형의 유리병 표면, 고무 재질의 구형 물체 및 사람의 손등에 각각 부착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미세유체칩은 2차원 평면상에 미세유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유연성이 적고 거친 표면이나 불규칙한 표면에 부착되지 않아서 그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도 3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이 원통형의 유리병 표면, 고무 재질의 구형 물체 및 사람의 손등에 안정적으로 부착됨을 확인할 수 있고, 도 4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이 알루미늄 재질의 요철이 많은 물체의 표면, 알루미늄 재질의 요철이 많고 경사가 심한 물체의 표면 및 알루미늄 재질의 요철이 많고 수직으로 세워진 물체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됨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점착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부기판(12)에 의해 미세유체칩이 점착성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성 미세유체칩은 유리, 고무, 알루미늄, 인체피부 등 다양한 종류의 소재 표면에 부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와 실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심하게 구겨져서 요철이 심한 알루미늄 표면에도 본 발명의 점착성 미세유체칩이 잘 부착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도 4의 (a)), 요철이 심한 알루미늄 표면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점착성 미세유체칩이 겅사가 심하도록 한 표면(도 4의 (b)) 및 수직으로 세운 표면(도 4의 (c))에서도 탈착되지 않고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성 미세유체칩을 다양한 소재와 표면에 부착하여 생화학시료의 분석 및 질병진단 등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A)의 분석 시험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미세유로에 분석하고자하는 시료 용액을 주입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뉴트럴 레드(Neutral Red) 시약을 알드리치 사로부터 구입하여 증류수에 용해키는 과정을 통해 0.001% 뉴트럴 레드 용액(이하, 시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미세유체칩의 미세유로(20)에 주입(붉은색 액체가 시료임)하였으며 붉은색의 용액이 미세유로에 주입된 상태를 볼 수 있다.
그 후 본 실시예에서 시료 용액 분석을 흡광도 분석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릴 소재의 상부 기판과 점착성을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세인 하부기판으로 구성된 점착성 미세유체칩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시료 용액을 미세유로에 주입 후 흡광도 측정을 하였다.
도 6을 통해 시료의 흡광도 분석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세유체칩을 이용한 시료 분석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흡광도 분석결과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시료 용액 분석을 흡광도 분석과 같은 분광분석법으로 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점착성 미세유체칩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 용액을 주입한 후 형광분석법, 화학발광분석법, 전기화학분석법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미량 시료 용액 중의 성분 분석과 질병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유체칩의 미세유로(20)에 시료가 주입되기 이전의 하부기판(12) 흡광도 측정 결과이다. 즉 본 발명의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하부 점착성 기판으로 사용한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ene siloxane, PDMS) 기판의 흡광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기판
11 : 상부기판
11a : 제1기판
11b : 제2기판
12 : 하부기판
20 : 미세유로
30 : 시료 주입 레저버
40 : 시료 배출 레저버
A : 점착성 미세유체칩

Claims (10)

  1.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로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미세유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판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기판 하부에 결합되되,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되, 폴리머 소재, 세라믹 소재 및 유무기 복합소재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미세유로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기판;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기판에 상하로 맞대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은, 점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전체가 점착성 고분자 소재로 형성된 것 또는 일 면에 점착성 고분자 소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 소재는, 주제 및 경화제의 혼합물이되, 상기 경화제는 상기 주제 100중량부에 대해 3~30중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 소재는, 실리콘고무, 아크릴레이트 기능기 및 메타크릴레이트 기능기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폴리머 및 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미세유로 내측으로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 주입 레저버; 및 상기 미세유로 내의 시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시료 배출 레저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플렉시블 소재를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의 상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별개로 점착성 소재를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의 하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미세유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유로가 형성된 상기 상부기판 하면을 상기 하부기판 상면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점착성 소재이되,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고분자 소재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의 상기 경화제는 상기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3~30중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미세유체칩의 제조방법.
KR1020200154724A 2020-11-18 2020-11-18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24A KR102580357B1 (ko) 2020-11-18 2020-11-18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24A KR102580357B1 (ko) 2020-11-18 2020-11-18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27A true KR20220067927A (ko) 2022-05-25
KR102580357B1 KR102580357B1 (ko) 2023-09-19

Family

ID=8179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724A KR102580357B1 (ko) 2020-11-18 2020-11-18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436B1 (ko) 2010-03-15 2012-09-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유체 칩 및 그 제조방법, 상기 미세유체칩의 미세채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333B1 (ko) 2010-12-24 2013-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톱니 모양의 단면을 갖는 실린더 채널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 채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7699B1 (ko) * 2016-02-11 2017-03-17 아이큐어 주식회사 카타플라스마제용 자외선 경화형 하이드로젤 수지,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카타플라스마제
KR101856500B1 (ko) 2016-07-26 2018-06-21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레이저 가공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미세유체칩 제조방법
KR20200015919A (ko) * 2017-06-02 2020-02-13 노오쓰웨스턴 유니버시티 표피 샘플링 및 감지를 위한 마이크로유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436B1 (ko) 2010-03-15 2012-09-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유체 칩 및 그 제조방법, 상기 미세유체칩의 미세채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333B1 (ko) 2010-12-24 2013-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톱니 모양의 단면을 갖는 실린더 채널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 채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7699B1 (ko) * 2016-02-11 2017-03-17 아이큐어 주식회사 카타플라스마제용 자외선 경화형 하이드로젤 수지,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카타플라스마제
KR101856500B1 (ko) 2016-07-26 2018-06-21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레이저 가공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미세유체칩 제조방법
KR20200015919A (ko) * 2017-06-02 2020-02-13 노오쓰웨스턴 유니버시티 표피 샘플링 및 감지를 위한 마이크로유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357B1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Photochemically patterned poly (methyl methacrylate) surfaces used in the fabrication of microanalytical devices
Culbertson et al. Micro total analysis systems: fundamental advances and biological applications
KR100677860B1 (ko) 미세하게 제조되는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9200245B2 (en) Multiwell plate
Yamada et al. Nanoliter-sized liquid dispenser array for multiple biochemical analysis in microfluidic devices
NL2021377B1 (en) Interposer with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Pu et al. On-chip micropatterning of plastic (cylic olefin copolymer, COC) microfluidic channels for the fabrication of biomolecule microarrays using photografting methods
US20100061892A1 (en) Microfluidic device having an array of spots
Wang et al. Recent progresses in microfabricating perfluorinated polymers (Teflons) and the associated new applications in microfluidics
Geissler et al. Microfluidic patterning of miniaturized DNA arrays on plastic substrates
Rahmanian et al. Microscale patterning of thermoplastic polymer surfaces by selective solvent swelling
Millare et al. Dependence of the quality of adhesion between poly (dimethylsiloxane) and glass surfaces on the conditions of treatment with oxygen plasma
KR20220067927A (ko) 점착성 미세유체칩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030701U (zh) 一种基因测序芯片
CN109370891B (zh) 一种生物芯片及其制备方法
WO2022045355A1 (ja) 液体試料分析用マイクロチップの製造方法
JP2006053090A (ja) 検査用プレートと、前記検査用プレートを用いた検査方法
KR101151221B1 (ko) 마이크로 채널을 가진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구조물
Shirtcliffe et al. Surface treatments for microfluidic biocompatibility
KR101053772B1 (ko)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모듈,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몰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몰드
JP2008281381A (ja) 高密度マイクロアレイ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473930B1 (ko) 식품재료의 항산화능 측정용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EP2416163A1 (en) Microchip
Gumuscu et al. Capillary pinning assisted patterning of cell-laden hydrogel microarrays in microchips
Kwon et al. A microfluidic flow sensor for measuring cell adhe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