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823A - Radder - Google Patents

Rad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823A
KR20220067823A KR1020200154502A KR20200154502A KR20220067823A KR 20220067823 A KR20220067823 A KR 20220067823A KR 1020200154502 A KR1020200154502 A KR 1020200154502A KR 20200154502 A KR20200154502 A KR 20200154502A KR 20220067823 A KR20220067823 A KR 20220067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support
angle
lock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석
박세웅
최이웅
고준우
최준형
리우하오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823A/en
Publication of KR2022006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8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20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comprising: a ladder body having a first body part provided with a first foothold and a second body part provided with a second foothol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an angle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ladder body; and a support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unit and extending toward a support surface, wherein the angle adjusting un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first direction to move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support is installed in the angle adjusting unit to be rotatable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a support area to secure a support form optimized for situations at the work site.

Description

사다리{RADDER}ladder{RADDER}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지지점의 설정이 일방향에서 제한되지 않고 작업 현장의 상황별 최상의 지지형태로 채택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되는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dder in which stability is improved by adopting the best support form for each situation of the work site without being limited in one direction by setting the auxiliary support point.

각종 산업현장 및 가정에서는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의 작업을 위해 산(△) 형상으로 전개되는 A형 사다리 또는 일(|)자 형상의 I형(또는 H형) 사다리가 사용된다.In various industrial sites and homes, an A-shaped ladder developed in a mountain (Δ) shape or an I-shaped (or H-shaped) ladder is used for work at a high position that is not reachable by human hands.

특히 A형 사다리는 운반과 휴대의 용이성을 위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이룬다. 즉 A형 사다리를 사용시 전도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이 빈번히 발생될 우려가 있다. In particular, type A ladders are often manufactured mainly for ease of transport and portability, and their stability is relatively weak. In other words, there is a fear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falling, etc., occurs frequently when using the A-type ladder.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산업 안전사고 중 다수의 추락 사고가 사다리를 통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 사고는 사망 사고 등 커다란 인명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 안전성을 고려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실정이다.In actual industrial sites, many fall accidents among industrial safety accidents occur through ladders, and these safety accidents can cause great loss of life, such as fatal accidents.

매년 사다리 전도에 의한 추락사고로 작업자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며, 많은 작업자들이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 작업의 사고 위험 때문에 사다리를 사용하는 것을 불안해하여, 현장에서는 사다리에 전도방지대(아웃트리거 등)를 설치하여 사다리의 기저면을 넓히는 방식으로 사다리 전도 위험을 줄이고 있다.Every year, workers are seriously injured or killed in fall accidents caused by ladder fall, and many workers are anxious about using ladders due to the risk of accidents at height work using ladders. The risk of ladder overturning is reduced by installing a ladder to widen the base surface of the ladder.

그러나 전도방지대는, 사다리와 별도로 마련되어 분실 및/또는 보관 등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해 볼팅 등의 조립 작업을 위한 설치시간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the fall prevention band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adder, so that there are inconveniences such as loss and/or storage, as well as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time for assembly work such as bolting for installation.

게다가 사다리에 결합된 형태라도, 사다리의 양측으로 펼쳐지는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지지면을 확장할 뿐이어서, 작업 현장의 상황별 최상의 지지형태를 채택할 수 없어 안전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form coupled to the ladder, the support surface only expands in one direction as spread on both sides of the ladde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9529 호(2015.02.25 공개, 발명의 명칭 : 가변형 사다리)에 게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9529 (published on February 25, 2015, title of the invention: variable ladder).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 현장의 상황별 최상의 지지형태가 될 수 있도록 보조 지지점이 사다리의 사다리본체로부터 다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지지영역이 설정될 수 있는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prior art, to provide a ladder in which the support area can be set while the auxiliary support point is rotated in multiple directions from the ladder body of the ladder so that it can be the best support form for each situation of the work site.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는, 제1 발판이 마련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발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부를 구비하는 사다리본체; 상기 사다리본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되고, 지지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오가는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dder body having a first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footrest, and a second footrest provided with a second main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an angle adjustment unit coupled to the ladder body; and a support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unit and extending toward the support surface, wherein the angle adjust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support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angle adjust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팅 로드; 및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connecting ro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in the second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사다리본체에 연결되는 제1 관부재;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관부재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되는 제2 관부재; 및 상기 제1 관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2 관부재에 마련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ng rod may include a first pipe member connected to the ladder body; a second pipe member rotated id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pipe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member, wherein the rotating body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the second pipe member; a second connecting member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n angle fixing unit for fixing an angl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고정부는,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거나 휘어지는 판스프링; 사각판의 형상을 이루는 걸림편; 판 형상의 제1 원판부와 상기 제1 원판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판부에는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걸림편이 마련되는 스프링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공은 일부분에 상기 판스프링의 단부가 조립되는 호형삽입홈부가 구비되고 타부분에는 상기 걸림편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걸림홈부 및 제1 걸림홈부와 각도가 다르게 배열된 제2 걸림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공에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걸림편이 끼워져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상기 걸림편을 상기 제1 걸림홈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설치되게 구성된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원판부와 대응되는 제2 원판부와 상기 제2 원판부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되, 제2 원판부에는 상기 걸림편의 일부분이 끼워져 조립되는 걸림편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걸림편공은 제1 걸림턱부 내지 제4 걸림턱부가 계단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원판부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상기 제1 걸림턱부 내지 제4 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fixing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t or bent leaf spring; A locking piece forming the shape of a square plate; It includes a plate-shaped first disk portion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disk portion, wherein the first disk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spring ball provided with the plate spring and the engaging piece, the spring ball is in a portion An arc-shaped insertion groove to which the end of the leaf spring is assembled is provided, and the oth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groove to which the locking piece is fitted and coupled, and a second locking groove arranged at a different angle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the spring ball a first fixing member in which the plate spring and the engaging piece are fitt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spring is installed to elastically press the engaging pie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a second dis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k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disk portion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first fix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second disk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disk portion A portion of the piece is inserted and assembled therethrough is formed through the locking piece hole, the first locking jaw part to the fourth locking jaw part are provided in a stepwise fashion, so that the locking piece is the first locking jaw part to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disc part rotates. 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selectively hooked and fixed to any one of the fourth locking jaw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사다리본체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heel porti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adder body and the support.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 중첩되게 마련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may include an extension member provided to overlap one or mor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에 의하면, 사다리를 붙잡는 보조 인력없이, 사다리본체에 대한 지지대의 각도가 2축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다리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일방향에서 제한되지 않고 작업 현장의 상황별 최상의 지지형태로 채택될 수 있어, 장애물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out an auxiliary manpower to hold the ladder, the angle of the support for the ladder body can be rotated in two axes, so the support point for supporting the ladder body is not limited in one direc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work site Since it can be adopted as the best support typ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regardless of obsta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제1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제2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2 관부재와 엘보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바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보조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회전체가 일직선의 형태를 이룬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회전체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회전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회전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rst use form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use form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unit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pipe member and the elbow structure of FIG. 3 .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wheel portion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raight line.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rotating body is adjusted in FIG. 7 .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10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ng body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본체, 지지대, 각도조절부, 바퀴부를 구비하는 사다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ladder having a ladder body, a support, an angle adjustment unit, and a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제1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제2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first use form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use form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angle adjustment part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drawing shown.

또한, 도 4는 도 3의 제2 관부재와 엘보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바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보조 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pipe member and the elbow structure of Figure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wheel portion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e drawin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회전체가 일직선의 형태를 이룬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회전체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회전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raight line,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rotating body is adjusted in FIG. 7,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of the ladder is separated.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의 회전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0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ng body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100)는 사다리본체(110), 각도조절부(120), 지지대(130), 바퀴부(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1 to 13 , the ladd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ladder body 110 , an angle adjustment unit 120 , a support 130 , and a wheel unit 140 .

여기서 사다리(100)는, 사람의 손이 쉽게 닿지 않는 작업 환경에서의 작업 용이성을 위해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ladder 100 may be used to change the working position of the worker for ease of work in a work environment that is not easily reached by a person's hand.

특히 사다리의 전도는 작업자의 몸의 중심이 사다리 기저면 밖으로 나가 자세가 불안정한 경우, 또는 몸의 중심이 사다리 기저면 안에 있더라도 작업자의 무게 중심이 편향되는 경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all of the ladder may occur when the center of the operator's body goes out of the base of the ladder and the posture is unstable, or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rator is deflected even if the center of the body is in the base of the ladder.

이때 다수의 작업자는 감각적으로 위험을 느끼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려고 하나, 작업과 병행하다 보면 피로 등에 따라 감각적 인지가 낮아져 전도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저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본 실시예의 사다리(100)의 지지대(130) 및 각도조절부(120)를 조작하여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many workers sense the danger sensory and try to take a stable posture, but when working in parallel, the sensory perception is lowered due to fatigue, etc. To operate the support 130 and the angle adjustment unit 120 of the ladder 100 of this embodiment to be used.

구체적으로 사다리본체(110)는, 지면 대비 높은 위치에서 작업자가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를 포함할 수 있고,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1 발판(112A)과 제2 발판(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사다리본체(110)는, A형 형태의 벌어짐 각도 또는 I형 형태의 기울어짐 각도 등에 따라 지면에 대한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adder body 110 is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the operator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ground, and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111B, and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and second footrests 112A and 112B to support the operator. together. Ladder body 110, the angl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openness of the A-type 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shaped form.

여기서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는, 형태/형상이 서로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어,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1A)에 대하여 제2 본체부(111B)가 접철되어 산(△) 형상으로 전개되는 A형 사다리 구조를 이루거나, 제1 본체부(111A)에 대하여 제2 본체부(111B)가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일(|)자 형상의 I형(또는 H형으로 명칭) 사다리는 물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다리 구조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may be formed to be similar in form/shape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each other, an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111A, the second The body part 111B is folded to form an A-shaped ladder structure that is developed in a mountain (Δ) shape, or the second body part 111B is extend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art 111A to form a one (|) Shaped I (or designated H-shaped) ladders may of course be of various known types of ladder structures.

일례로 A형과 I형의 변경 구조는,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가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 사이를 가로지르는 결합봉(도 3 참조, 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는 생략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결합관계가 가능하고 이는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s an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A-type and I-type change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111A and a second body part 111B by a hinged connection, in which case the first body part 111A and the second body part 111B. ) A coupling rod (see FIG. 3, not shown) may be provided across the intersecting bar, but as it may be omitted, various coupling relationships are possib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lieu of a known technique.

그리고 이하에서는 사다리본체(110)가 A형 구조에서 I형으로 변환 가능한 사다리인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nd the following describes that the ladder body 110 is a ladder that can be converted from an A-type structure to an I-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이러한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는, 작업자의 오르내림 방향을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한 쌍의 바(또는 봉 등)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봉의 단면적이 상하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지지면에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바/봉의 단면적은 중심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may be formed of a pair of bars (or rods, etc.) extending in length alo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operator, an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bars/bars are vertically related. I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without it, but for stable support on the support surfa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r/rod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the end.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는, 작업자의 하중 지지를 위해 강도가 형성되면서도,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가벼운 재질일 수 있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공지된 사다리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body part 111A and the second body part 111B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since strength is form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operator, and may be made of a light material for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portability. Of course, the material of the ladder can be applied.

발판은, 제1 발판(112A)과 제2 발판(112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발판(112A)과 제2 발판(112B) 각각은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에 설치되는 위치만 다르고, 형태 및/또는 기능이 동일할 수 있다.The scaffolding may include a first scaffolding 112A and a second scaffolding 112B, and each of the first scaffolding 112A and the second scaffolding 112B is a first body portion 111A and a second body portion 111B. ), only the location where it is installed may be different, and the form and/or function may be the same.

이러한 발판은,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게 작업자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발판의 수는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의 길이에 따라 그 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의 길이가 길수록 발판의 수는 증가될 수 있다.This scaffold is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the operator so that the operator can stand up, and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along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part 111A and the second body part 111B, and the number of the scaffolding is the first Since the numb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s of the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the number of footrests may increase as the lengths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increase.

그리고 발판은, 작업자의 두발을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 두발의 폭보다 적어도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발판의 재질은 제1 본체부(111A) 및 제2 본체부(111B)와 동일/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 볼팅 등의 방식으로 발판이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 각각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결합 방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nd the footrest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orker's head so as to support both of the worker's head, and may be provided across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ootrest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similar to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and the footrest may be formed in a manner such as welding or bolting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The coupling method is not limited as it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parts 111B or may be integrally injected.

또한, 발판과 더불어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마찰력이 강하게 형성되는 고무 등의 재질이 코팅 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고무재질은 발판의 상부면이나 지면에 접촉되는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 각각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together with the footrest,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a strong frictional force to prevent slippage by coating or bonding, and the rubber material is It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the ground of the footrest.

각도조절부(120)는, 사다리본체(110)에 대해 지지대(130)가 뻗는 방향을 다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사다리본체(110)에 지지대(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Angle adjustment unit 120, the support 130 with respect to the ladder body 110 to form the extending direction in multiple directions, the support 130 can be connected to the ladder body 110 to be rotatable.

예를 들어 각도조절부(120)는, 사다리본체(110)에 결합되되,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를 오가는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면서도,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각도조절부(120)가 회전하여 지지대(130)의 회전이 다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사다리본체(110)에 대한 지지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gle adjustment unit 120 is coupled to the ladder body 110, while being rotatable in the first direction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1A and the second body part 111B, it crosses the first direction By rotating the angle adjusting unit 120 in the second direction to form the rotation of the support 130 in multiple directions, the angle of the support 130 with respect to the ladder body 110 can be adjusted.

일례로 각도조절부(120)는, 한 쌍의 지지대(130) 각각에 마련되도록 사다리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제1방향(도 3 참조 시 A방향,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를 오가는 방향)으로 지지대(130)를 회전 시키는 커넥팅 로드(121) 및 제2방향(도 3 참조 시 B방향,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대(130)를 회전 시키는 회전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ngle adjustment unit 1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adder body 110 so as to be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supports 130, respectively, in the first direction (see A direction in FIG. 3, the first body portion) (111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in the connecting rod 121 for rotating the support 130 to rotate the support and in the second direction (B directio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in FIG. 3) 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122 for rotating the 130.

커넥팅 로드(121)는, 제1방향(도 3 참조 시 A방향)으로 지지대(130)를 회전 시킬 수 있고, 제1 관부재(121A), 제2 관부재(121B) 및 고정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The connecting rod 121 may rotate the support 130 in a first direction (direction A when referring to FIG. 3 ), and a first pipe member 121A, a second pipe member 121B and a fixing member 121C. may include (see FIG. 3).

제1 관부재(121A)는, 사다리본체(110)와 일체로 사출되거나 개별로 제작된 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사다리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관부재(121B)의 회전축을 이룰 수 있도록 원통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first pipe member (121A) may be connected to the ladder body 110 by being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ladder body 110 or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pipe member 121B. A cylindrical shape can be achieved to achieve .

제2 관부재(121B)는, 원통형태를 이룰 수 있고, 제1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관부재(121A)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될 수 있으며, 제1 관부재(121A)의 내부에 중첩되게 마련되어 회전될 수 있으나, 제1 관부재(121A)의 외부에 중첩되게 마련되어 회전될 수도 있다.The second pipe member 121B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rotated id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member 121A so as to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pipe member 121A It may be provided to be overlapped inside and rotated, but may be provided to be overlapp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member 121A and rotated.

고정부재(121C)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관부재(121A)에 대하여 제2 관부재(121B)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부재(121B)가 제1 관부재(121A)의 내부에서 회전 시, 제2 관부재(121B)가 회전된 후 고정되도록 제1 관부재(121A)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210)이 형성될 수 있어, 체결홀(1210)에 고정부재(121C)가 삽입되어 제2 관부재(121B)를 가압함으로써 제2 관부재(121B)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관부재(121A)와 제2 관부재(121B) 각각에 체결홀(1210)이 형성되어 고정부재(121C)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The fixing member 121C may have a bolt shape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fix the second pipe member 121B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member 121A. For example, when the second pipe member 121B rotates inside the first pipe member 121A, the first pipe member 121A has one or more fastening holes ( 121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xing member 121C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0 to press the second pipe member 121B, thereby block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pipe member 121B. Alternatively, a fastening hole 121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ipe member 121A and the second pipe member 121B, and the fixing member 121C may be inserted therethrough to be fixed.

또는, 고정부재(121C)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자기력에 의한 이탈 방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21C)의 단부에 자석(네오디움 자석 등)이 마련되고, 제1 관부재(121A)와 제2 관부재(121B) 일측의 체결홀(1210)에 관통 삽입된 후 제1 관부재(121A) 및/또는 제2 관부재(121B)의 내측에 자기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고정부재(121C)의 외주면 또는 내측에는 스프링(121D)이 마련되어 고정부재(121C)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Alternatively, a thread may not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1C, and separation prevention by magnetic force may be formed. For example, a magnet (neodymium magnet, etc.)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fixing member 121C, and the first pipe member 121A and the second pipe member 121B are inserted through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0 on one side. The first tube member (121A) and/or the second tube member (121B)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gnetic force.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a spring 121D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inside of the fixing member 121C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fixing member 121C.

한편, 제2 관부재(121B)는,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자형의 원통형태를 이루거나, 단부가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ipe member 121B may have a straight cylindrical shape or a structure in which an end is bent or ben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예를 들어 제2 관부재(121B)가, 일자형의 원통형태를 가지는 경우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구조의 엘보 구조물(121B')(도 4 참조, 엘보 구조물 연결을 위한 볼팅 체결이 형성될 수 있음)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엘보 구조물(121B')이 생략되도록 제2 관부재(121B)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pipe member 121B has a straight cylindrical shape, the elbow structure 121B' (see FIG. 4, bolting for connecting the elbow structure may be formed) is bent or bent. Alternatively, the elbow structure 121B'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second pipe member 121B is bent or bent so that the elbow structure 121B' is omitted.

엘보 구조물(121B')은 커넥팅 로드(121)에 회전체(122)가 결합되기 위한 것이므로, 제2 관부재(121B)가 일자형 구조를 가지면서도 엘보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제2 관부재(121B)의 단부에 회전체(122)가 마련될 수 있다면 다른 변형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Since the elbow structure 121B' is for the rotation body 122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121, even if the elbow structure is not formed while the second pipe member 121B has a straight structure, the second pipe member 121B ) If the rotating body 122 can be provided at the end,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회전체(122)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도 3 참조 시 B방향)으로 지지대(130)를 회전 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체(122)는, 제1 연결부재(122A), 제2 연결부재(122B), 각도고정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122 may rotate the support 130 in a second direction (B direction when referring to FIG. 3) that is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rotating body 122 is a first connection It may include a member 122A, a second connection member 122B, and an angle fixing part 122C.

일례로 제1 연결부재(122A)는 제2 관부재(121B) 측에 마련될 수 있고(엘보 구조물(121B')이 마련되는 경우 엘보 구조물(121B')에 연결될 수 있음), 제2 연결부재(122B)는 제1 연결부재(122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면서 지지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재(122A)와 제2 연결부재(122B)는 커넥팅 로드(121)와 지지대(130)를 연결하는 매개물로 이루어지면서도 지지대(130)의 제2방향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pipe member 121B (when the elbow structure 121B' is provided, it may be connected to the elbow structure 121B'),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The suppo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122B while being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2B may support rotation of the support 130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being formed as a medium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121 and the support 130 .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122A)와 제2 연결부재(122B)는 각도고정부(122C)를 통해 회전된 각도가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제1 연결부재(122A)와 제2 연결부재(122B)가 일직선인 상태에서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각도가 다단으로 꺾이면서도, 이와 동시에 각도고정부(122C)의 걸림 구조에 의해 꺾인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7 and 8,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22B) are provided so that the rotated angle is fixed through the angle fixing part (122C),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2A) and the second 2, while the connecting member 122B is bent in multiple stages as shown in FIG. 8 in a straight state, 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bent state by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angle fixing unit 122C at the same time.

도 9를 참조하면, 각도고정부(122C)는 판스프링(1110), 걸림편(1120), 제1 고정부재(1130), 제2 고정부재(1140), 전면마감판(1150), 후면마감판(1160), 결합핀(1170)으로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angle fixing part 122C includes a leaf spring 1110 , a locking piece 1120 , a first fixing member 1130 , a second fixing member 1140 , a front closing plate 1150 , and a rear closing member. The plate 1160 and the coupling pin 1170 may be provided.

판스프링(1110)은 라운드 형상의 호형부(1112)와, 호형부(1112)의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1114)와, 연장부(1114)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가압밀착부(1116)로 구성될 수 있다.The leaf spring 1110 includes an arc-shaped portion 1112 of a round shape, an extension 1114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arc-shaped portion 1112, and a pressure-adhesive portion bent at the end of the extension 1114 ( 1116) can be configured.

걸림편(1120)은 사각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locking piece 1120 may have the shape of a square plate.

제1 고정부재(1130)는 제1 원판부(1132)와 제1 원판부(1132)에서 연장된 제1 연장부(1134)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member 1130 may include a first disk portion 1132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1134 extending from the first disk portion 1132 .

제1 원판부(1132)의 중앙에는 핀공(H)이 관통 형성되며, 제2 연장부(1144)에는 다수의 고정공(h)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원판부(1132)의 핀공(H) 주변에는 판스프링(1110)과 걸림편(1120)이 끼워져 조립되는 스프링공(1136)이 관통 형성된다. 스프링공(1136)은 일부분에 판스프링(1110)의 호형부(1112)가 끼워져 조립되는 호형삽입홈부(1136a)가 구비되고 타부분에는 걸림편(1120)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걸림홈부(1136b) 및 제1 걸림홈부(1136b)와 각도가 다르게 배열된 제2 걸림홈부(1136c)가 구비된 형상을 한다. A pin hole H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disk portion 1132 ,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h are formed throug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44 . And around the pin hole (H) of the first disk portion 1132, the spring hole 1136 into which the plate spring 1110 and the locking piece 1120 are fitted and assembled is formed through. The spring ball 1136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insertion groove portion 1136a into which the arc-shaped portion 1112 of the leaf spring 1110 is fitted and assembled, and the first engaging groove portion 1136b to which the locking piece 112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other portion. )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1136b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1136c arranged at a different angle from each other.

여기서, 제1 걸림홈부(1136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편(1120)이 결합되었을 때 걸림편공(1146)의 제1 걸림턱부(1146a) 내지 제4 걸림턱부(1146d)에 걸리는 위치이고, 제2 걸림홈부(1136c)는 걸림편(1120)이 걸림편공(1146)의 제1 걸림턱부(1146a) 내지 제4 걸림턱부(1146d)에 걸리지않는 위치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프링공(1136)에 판스프링(1110)과 걸림편(1120)이 끼워져 조립되면 판스프링(1110)의 가압밀착부(1116)가 걸림편(1120)을 제1 걸림홈부(1136b)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판스프링(1110)은 스프링공(1136)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지만 걸림편(1120)은 스프링공(1136)에 조립되었을 때 전방과 후방 일부분이 스프링공(1136)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걸림편공(1146)에 삽입되게 구성된다.Here,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1136b is a position where the first locking jaw portion 1146a to the fourth locking jaw portion 1146d of the locking piece 1146 is engaged when the locking piece 1120 is coupled as described later. 2 The locking groove portion 1136c is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piece 1120 is not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s 1146a to the fourth locking jaws 1146d of the locking piece 1146.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plate spring 1110 and the locking piece 1120 are fitted into the spring hole 1136 and assembled, the pressure-adhesive portion 1116 of the leaf spring 1110 engages the locking piece 1120 with the first locking groove ( 1136b) is installed to elastically press in the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1110 does not protrud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spring ball 1136, but when the locking piece 1120 is assembled to the spring ball 1136, the front and rear parts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pring ball 1136.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hole 1146 to be described later.

제2 고정부재(1140)는 한 쌍이 제1 고정부재(1130)를 사이에 두고 앞뒤로 밀착되게 설치되고, 제1 원판부(1132)와 대응되는 제2 원판부(1142)와 제2 원판부(1142)에서 제1 연장부(1134)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1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원판부(1142)에는 중앙에 핀공(H)이 관통 형성되고, 제2 연장부(1144)에는 다수의 고정공(h)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제2 원판부(1142)의 핀공(H) 주변에는 걸림편(1120)의 일부분이 끼워져 조립되는 걸림편공(1146)이 관통 형성된다. 걸림편공(1146)은 제1 걸림턱부(1146a), 제2 걸림턱부(1146b), 제2 걸림턱부(1146c), 제4 걸림턱부(1146d)가 계단식으로 구비되어 제2 원판부(1142)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걸림편(1120)이 제1 걸림턱부(1146a) 내지 제4 걸림턱부(1146d)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게 구성되며, 제1 걸림턱부(1146a)와 근접하게 제1 지지면부(1146e)가 구비되고 제4 걸림턱부(1146d)와 근접하게 제2 지지면부(1146f)가 구비된 형상을 한다. 따라서 제2 원판부(1142)가 전방으로 최대로 회전하면 제1 걸림홈부(1136b)에 있던 걸림편(1120)이 제2 지지면부(1146f)에 밀려 제2 걸림홈부(1136c)로 이동하면서 제2 원판부(1142)가 회전할 때 걸림편(1120)이 제1 걸림턱부(1146a) 내지 제4 걸림턱부(1146d)와 간섭되지 않게 작동되고, 제2 원판부(1142)가 원래의 상태로 후방으로 최대로 회전하면 제2 걸림홈부(1136c)에 있던 걸림편(1120)이 제1 지지면부(1146e)에 밀려 제1 걸림홈부(1136b)로 이동하면서 제2 원판부(1142)가 회전할 때 걸림편(1120)이 제1 걸림턱부(1146a) 내지 제4 걸림턱부(1146d)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back and forth with the first fixing member 11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disk portion 1142 and the second dis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k portion 1132 ( In 1142 , the first extension 1134 and the second extension 1144 ext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pin hole (H)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disk portion 1142,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h) are formed throug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44 . And around the pin hole (H) of the second disc portion 1142, a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1120 is fitted and the locking piece hole 1146 is formed through. The locking piece hole 1146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jaw portion 1146a, a second locking jaw portion 1146b, a second locking jaw portion 1146c, and a fourth locking jaw portion 1146d in a stepwise fashion, so that the second disc portion 1142 i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the locking piece 1120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aught and fixed to any one of the first locking jaws 1146a to 1146d, and the first locking jaws 1146a close to the first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146e is provided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1146f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ourth locking jaw portion 1146d. Therefore, when the second disc part 1142 rotates forward to the maximum, the locking piece 1120 in the first locking groove part 1136b is pushed to the second support surface part 1146f and moves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part 1136c. 2 When the disk portion 1142 rotates, the locking piece 1120 operate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locking jaws 1146a to the fourth locking jaws 1146d, and the second disk 1142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maximum rotation to the rear, the engaging piece 1120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1136c) is pushed to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portion (1146e) and moves to the first engaging groove (1136b), the second disc portion 1142 is rotated. When the locking piece 1120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to be in a state that can be caught by any one of the first locking jaw portion (1146a) to the fourth locking jaw portion (1146d).

전면마감판(1150)은 전방에 위치한 제2 고정부재(1140)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핀공(H)이 관통 형성된 원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front closing plate 115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located in the front and form a disk shape having a pin hole (H) penetrated in the center thereof.

후면마감판(1160)은 후방에 위치한 제2 고정부재(1140)의 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핀공(H)이 관통 형성된 원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rear end plate 116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located at the rear and form a disk shape having a pin hole (H) penetrated in the center thereof.

결합핀(1170)은 전면마감판(1150), 제2 고정부재(1140), 제1 고정부재(1130), 후면마감판(1160)에 각각 형성된 핀공(H)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핀(1170)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고정부재(1130)에 대해 제2 고정부재(1140)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ins 1170 are coupled through the pin holes H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closing plate 1150, 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the first fixing member 1130, and the rear closing plate 1160, The pin 117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llow 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to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member 1130 .

이러한 각도고정부(122C)의 조립 및 작동 관계는 아래와 같다.The assembly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angle fixing unit 122C is as follows.

각도고정부(122C)는 제1 고정부재(1130)의 스프링공(1136)에 판스프링(1110)과 걸림편(1120)을 끼워서 조립한 후, 제1 고정부재(1130)의 전면과 후면에 제2 고정부재(1140)를 대고 걸림편(1120)의 돌출 부분이 걸림편공(1146)에 끼워지도록 조립한 다음, 전면마감판(1150)과 후면마감판(1160)을 대고 결합핀(1170)을 핀공(H)에 관통하도록 박은 다음 리벳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angle fixing part (122C) is assembled by inserting the leaf spring 1110 and the locking piece 1120 into the spring hole 1136 of the first fixing member 1130, and then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fixing member 1130. After assembling 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so that the protruding part of the locking piece 1120 fits into the locking piece hole 1146, the front end plate 1150 and the rear end plate 1160 are placed against the coupling pin 1170 It can be driven to pass through the pin hole (H) and then combined by a riveting method.

여기서, 각도고정부(122C)를 통해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좀 더 설명하면, 제1 연결부재(122A)와 제2 연결부재(122B)가 수평인 상태와 같이 일직선으로 놓일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120)이 제1 걸림턱부(1146a)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122B)에 대하여 제1 연결부재(122A)를 당겨 각도를 조절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1170)을 중심으로 제2 고정부재(1140)가 회전하면서 걸림편(1120)이 제1 걸림턱부(1146a)를 타고 넘어가는 방식으로 이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와 대응되는 제2 걸림턱부(1146b), 제2 걸림턱부(1146c), 제4 걸림턱부(1146d)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부에 걸려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즉, 걸림편(1120)이 제1 걸림홈부(1136b)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2 고정부재(1140)가 전방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걸림턱부가 걸림편(1120)에 걸려 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연결부재(122A)를 다시 제2 연결부재(122B)와 수평으로 놓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122A)를 최대한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제2 원판부(1142)가 전방으로 최대로 회전하면 제1 걸림홈부(1136b)에 있던 걸림편(1120)이 제2 지지면부(1146f)에 밀려 제2 걸림홈부(1136c)로 이동하게 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판부(1142)가 회전할 때 걸림편(1120)이 제1 걸림턱부(1146a) 내지 제4 걸림턱부(1146d)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122A)의 회전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연결부재(122A)를 후방으로 밀어서 제2 원판부(1142)가 후방으로 최대로 회전하면 제2 걸림홈부(1136c)에 있던 걸림편(1120)이 제1 지지면부(1146e)에 밀려 제1 걸림홈부(1136b)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편(1120)은 다시 도 10와 같이 제1 걸림턱부(1146a)에 걸려 후방으로의 회전이 제한된 수평 상태가 된다.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is adjusted through the angle fixing unit 122C will be described in FIG. 10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2B are placed in a straight line as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the locking piece 1120 maintains a state in which it is hooked on the first locking jaw portion 1146a. When the angle is adjusted by pull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2B in this state, 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is rotated around the coupling pin 1170 as shown in FIG. 11 . The engaging piece 1120 departs in such a way that it rides over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1146a, and the second engaging jaw portion 1146b, the second engaging jaw portion 1146c, and the fourth engaging jaw portion 1146d corresponding to the angle desired by the user. ) to maintain the adjusted angle by being caught on one of the locking jaws.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iece 1120 is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1136b, it is possible for the second fixing member 1140 to rotate forward, but the locking jaw part is caught by the locking piece 1120 and rotates backward. things are limited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is to be placed horizontally wit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2B aga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is pulled forward as far as possible as shown in FIG. 12 . Then, when the second disk portion 1142 rotates forward to the maximum, the locking piece 1120 in the first locking groove 1136b is pushed to the second support surface 1146f and moves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136c. , As shown in FIG. 13 , when the second disc portion 1142 rotates, the engaging piece 1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1146a to the fourth engaging jaw portion 1146d. Accordingly,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can be made freely.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is pushed rearward and the second disc portion 1142 is rotated to the rear to the maximum, the engaging piece 1120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1136c is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portion 1146e. is pushed to move to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1136b, and the locking piece 1120 is again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portion 1146a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제1 연결부재(122A)와 수평으로 놓인 제2 연결부재(122B)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1 연결부재(122A)을 회전 시키도록 잡아당기면 각도가 조절되고 각도가 조절된 위치에서 걸림편(1120)이 제2 걸림턱부(1146b) 내지 제4 걸림턱부(1146d) 중 어느 한 부분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pulling to rotat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2B) placed horizontally, the angle is adjusted and the angle is adjusted at the position The locking piece 1120 is caught by any one of the second locking jaws 1146b to the fourth locking jaws 1146d to maintain a fixed state.

한편, 각도고정부(122C)는, 일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의 원형 테두리부에는 내치차가 형성되는 기어림과, 타측면에 록 기어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블록이 돌출 형성되어 기어림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와 기어림 사이에 개재되어 그 중앙부가 레버 회전축과 연결되는 캠과, 록 기어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외주면에 외치차가 형성된 록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 있어, 기어 맞물림에 의한 각도 고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조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ngle fixing part 122C,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a gear rim having an internal tooth difference formed on a circular edg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guide blocks forming a lock gear guide groove on the other side protrude. It includes a guide plate formed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ear rim, a cam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plate and the gear rim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lever rotation shaft, and a lock gear having an external too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erted into the lock gear guide groove to be configured, the angle may be fixed by gear meshing, and in addition, various known techniques may be combined.

지지대(130)는, 직립 상태의 사다리본체(110)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단이 사다리본체(110)에 마련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다리본체(110)의 양측에서 지지공간을 확장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다리본체(11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130, a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overturn of the ladder body 110 in an upright state, one end is provided on the ladder body 110 and the other end can be made of a free end, from both sides of the ladder body 110 It is possible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ladder body 110 so as to secure the safety by expanding the support space.

예를 들어 지지대(130)는, 사다리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 중첩되게 마련되는 연장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1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adder body 110, and may be made in a pair, and may include an extension member 131 that is provided to overlap one or more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연장부재(131)는, 다수의 관이 서로 중첩되게 마련되는 텔레스콥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설정된 길이로 조절된 후 길이가 고정될 수 있게 하나의 관에는 복수개의 관통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웃한 관에는 관통홀에 대응되어 스토퍼 기능을 이루는 돌출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extension member 131 may have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ubes are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in one tube so that the length can be fixed after being adjusted to a set length. is formed, and a protrusion member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forming a stopper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adjacent tube and fixed thereto.

또는, 이웃한 관에 돌출부재 이외에 관통홀과 동일/유사한 체결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관통홀과 체결공에 결합되는 핀(도시하지 않음)의 고정으로 길이가 고정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길이 조정 후 고정이 이루어지는 공지된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fastening hole (not shown) identical to/similar to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djacent tube in addition to the protruding member, and the length may be fixed by fixing the through hole and a pin (not shown)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As such,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various known mechanisms for fixing the length after adjusting the length may be applied.

이러한 연장부재(131)는, 앞서 언급된 제1 본체부(111A) 및 제2 본체부(111B)와 동일/유사하게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재질이 코팅 및/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지면에 접촉되는 연장부재(131)의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The extension member 131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a manner such as coating and/or adhesion of a rubber material for preventing slippage in the same/similar manner to the aforementioned first body portion 111A and second body portion 111B. It may be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extension member 131 to be.

바퀴부(140)는, 사다리(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사다리본체(110) 또는 지지대(13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사다리본체(110)에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wheel part 140 is a configuration that facilitates the movement of the ladder 100, and may be provided on the ladder body 110 or the support 130, hereinafter described as being provided on the ladder body 110, but this Of course, it is not limited.

더불어 바퀴부(140)는, 공지된 캐스트 구조에 바퀴(141)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본체부(111A)와 제2 본체부(111B) 중 어느 하나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wheel part 140 may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wheel 141 is formed in a known cast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ne of the first body part 111A and the second body part 111B.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of course,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이러한 바퀴부(140)는, 이동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되 작업자가 작업 시에 사다리(100)가 바퀴부(140)에 의해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다리(100)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지면에 닿거나 이격될 수 있다. These wheels 140, but improv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so that the ladder 100 does not slip by the wheel 140 when the operator is working, the ladder 10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or may be separated.

예를 들어 바퀴부(140)는, A형의 사다리에서 사다리본체(110)의 외측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다리(100)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구조로 사용되지 않고, A형, I형에 구분 없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를 이루므로, 수직으로 세워진 사다리본체(110)의 하단면과 동일한 하단면에 바퀴부(140)의 하단이 위치되도록 하되, A형사다리(100)가 일정한 경사를 이루면 바퀴부(140)가 지면으로부터 뜨게 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heel 14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ladder body 110 in the A-type ladder. This is generally the ladder 100, since it is not used in a vertically erected structure, and forms a certain inclination from the ground without distinction of A-type, I-type, the same lower surfac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ly erected ladder body 110 The lower end of the wheel unit 14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but when the A-shaped ladder 100 is at a certain inclination, the wheel unit 140 may be formed by floating from the ground.

한편 바퀴부(140)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11A)의 하단을 가로지르는 판부재(142)가 별도로 마련되어 판부재(142)를 매개로 사다리본체(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heel unit 140, as shown in FIG. 1, a plate member 142 cross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11A is separately provided to the ladder body 110 via the plate member 142. may be installed.

이때 판부재(142)는, 사다리본체(110)가 A형인 상태에서 사다리본체(110)의 하단 형상에 관계없이, 판부재(142)의 양측 하단면이 지면에 전체적으로 닿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te member 142,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ladder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ladder body 110 is an A-type, both lower surfaces of the plate member 14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plate member 142 can contact the ground as a whole. .

즉 사다리본체(110)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하단면이 수평한 구조를 이루는 경우, 사다리본체(110)가 A형인 상태를 이루면 사다리본체(110)의 하단의 전방은 지면에 접촉될 수 있으나 후방은 지면으로부터 뜬 상태가 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adder body 110 forms a horizontal structure in a vertically upright state, the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ladder body 110 can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ladder body 110 forms an A-shaped state. The rear can be floated off the ground.

이 경우, 사다리본체(110)의 접촉면적이 줄어 마찰력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A형 상태의 사다리본체(110)에서 판부재(142)의 양측이 지면에 닿는 각도를 이루고, 마찰력을 보다 더 높일 수 있게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ladder body 110 is reduced, the frictional force can be reduced, so that both sides of the plate member 142 in the A-type ladder body 110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make an ang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expanded toward the bottom to further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미설명된 부호 150은 보조 지지체이며, 보조 지지체(150)는 사다리본체(110) 및/또는 지지대(130)에 마련될 수 있고, 지지대(130)의 연장부재(131)가 텔레스콥 구조를 가져 길이가 조절되는 것과 동일/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 the undescribed reference numeral 150 is an auxiliary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150 may be provided on the ladder body 110 and/or the support 130 , and the extension member 131 of the support 130 . ) has a telescopic structure and thus can be provided in the same/similar way as the length is adjusted.

보조 지지체(150)는, 지지면을 추가로 확장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다리본체(110) 및/또는 지지대(13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회전을 이루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Auxiliary support 150, as to improve safety by further expanding the support surface, one end is hinged to the ladder body 110 and / or the support 130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free end to form a structure for rotation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10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어,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본체(110)가 I형 형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111A)가 제2 본체부(111B)와 일직선으로 펼쳐질 수 있다.The lad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above, and the first body portion 111A is the second body so that the ladder body 110 can be used in an I-shaped form, as shown in FIG. 1 . It may be sprea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part 111B.

이때 사다리본체(110)의 측면에 지면과 높이가 상이한 장애물(계단 등)이 있더라도, 지지대(130)의 연장부재(131)의 길이 조절을 통해 장애물 상에 지지대(130)가 맞닿을 수 있다. 더불어 지지대(130)가 제1방향 및/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어 사다리본체(110)의 설치 각도 등에 최적화된 위치에 지지대(130)의 단부가 장애물에 맞닿게 놓일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there is an obstacle (stairs, etc.) having a different height from the ground on the side of the ladder body 110, the support 130 may abut on the obstacl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member 131 of the support 130. In addition, the support 130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or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130 can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at a position optimized for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ladder body 110 and the like.

예를 들어, 사다리본체(110)가 지면에 대하여 작은 각도(일례로 10도 내외)로 배치되는 경우와 작은 각도에 대비하여 큰 각도(일례로 70도 내외)로 배치되는 경우와 같이, 사다리본체(100)의 각도가 지면에 대하여 작은 경우 사다리본체(100)의 후방 영역 및 외측방향으로 먼 영역에 지지점이 확장되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adder body 110 is disposed at a small angle (for example, around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when disposed at a large angle (for example, around 70 degrees) in comparison with a small angle, the ladder body When the angle of (100) is small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may be stable to extend the supporting point to the rear region and the outwardly distant region of the ladder body 100.

이와 달리 사다리본체(100)의 각도가 지면에 대하여 큰 경우 지지점이 후방으로 크게 확장되거나 멀어질 필요가 없으므로,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angle of the ladder body 100 is larg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support point does not need to be greatly expanded or moved away from the rear, so it can be stable to be disposed close to the center.

즉 사다리본체(100)의 설치 각도 등에 따라 최적화된 위치에 지지대(130)를 제1방향 및/또는 제2방향과 같이 다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배치시킬 수 있다.That is, it can be arranged while rotating the support 130 in multiple directions, such as the first direction and / or the second direction, in an optimized posi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ladder body 100, etc.

또한,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본체(100)가 산(△) 형상으로 전개되는 A형 형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111A)에 대하여 제2 본체부(111B)가 접철된 상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111B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111A so that the ladder body 100 can be used in an A-shaped form that is developed in an acid (Δ) shape, as shown in FIG. 2 . can be

이때 사다리본체(110)는, I형 형태와 동일/유사하게 지지대(130)가 장애물에 맞닿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지지대(130)가 제1방향과 더불어 제2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여, 사다리본체(110)의 설치 각도 등에 최적화된 위치에 지지대(130)의 단부가 장애물에도 놓일 수 있어, 사다리(100)의 안정적인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보조 인력이 사다리(100)를 붙잡지 않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adder body 110, the length of the support 130 can be adjus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in the same / similar to the I-shaped form, as well as the support 130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direction. This is possible,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130 can be placed on an obstacle in a position optimized for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ladder body 110, etc., the stable upright state of the ladder 100 can be maintained, so that the auxiliary manpower is the ladder 100 ), the safety of workers can be secured even if they do not hold onto it.

물론 장애물이 없더라도 A형 형태의 사다리(100)와 I형 형태의 사다리(100)의 설치 각도 등에 따라 지지대(130)가 제1방향과 더불어 제2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다리(100)의 전복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even if there is no obstacle, the support 130 can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A-shaped ladder 100 and the I-shaped ladder 100, so the ladder 10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rollover accidents of

그뿐만 아니라, 사다리(100)가 I형에서 A형으로 변환이 가능함은 물론, A형 상태에서 접힘이 가능하고, 지지대(130)가 제1방향과 더불어 제2방향으로도 회전하여 사다리본체(110)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접힘이 가능하므로, 사다리(100)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성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dder 100 can be converted from I-type to A-type, as well as foldable in the A-type state, and the support 130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with the first direction to rotate the ladder body ( Since it is foldable in a form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110), the overall volume of the ladder 100 can be minimized, so that portability and storage can be eas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100)는, 사다리(100)를 붙잡는 보조 인력 없이, 사다리본체(110)에 대한 지지대(130)의 각도가 2축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다리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일방향에서 제한되지 않고 작업 현장의 상황별 최상의 지지형태로 채택될 수 있어, 장애물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d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uxiliary manpower to hold the ladder 100, the angle of the support 130 with respect to the ladder body 110 is possible two-axis rotation, the ladder body ( 110) is not limited in one direction and can be adopted as the best support form for each situation at the work site, so safety is improved regardless of obstacl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사다리 110 : 사다리본체
111 : 메인프레임 112 : 발판
120 : 각도조절부 121 : 커넥팅 로드
121A : 제1 관부재 121B : 제2 관부재
121B' : 엘보 구조물 121C : 고정부재
121D : 스프링 1210 : 체결홀
122 : 회전체 122A : 제1 연결부재
122B : 제2 연결부재 122C : 각도고정부
1110 : 판스프링 1120 : 걸림편
1130 : 제1고정부재 1140 : 제2고정부재
1150 : 전면마감판 1160 : 후면마감판
1170 : 결합핀 130 : 지지대
131 : 연장부재 140 : 바퀴부
141 : 바퀴 142 : 판부재
150 : 보조 지지체
100: ladder 110: ladder body
111: main frame 112: scaffold
120: angle adjustment unit 121: connecting rod
121A: first pipe member 121B: second pipe member
121B': Elbow structure 121C: Fixing member
121D: spring 1210: fastening hole
122: rotating body 122A: first connecting member
122B: second connecting member 122C: angle fixing part
1110: leaf spring 1120: jamming piece
1130: first fixing member 1140: second fixing member
1150: front finish plate 1160: rear finish plate
1170: coupling pin 130: support
131: extension member 140: wheel part
141: wheel 142: plate member
150: auxiliary support

Claims (6)

제1 발판이 마련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발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부를 구비하는 사다리본체;
상기 사다리본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되고, 지지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를 오가는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A ladder body having a first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footrest, and a second footrest provided with a second main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an angle adjustment unit coupled to the ladder body; and
It is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unit and includes a support formed extending toward the support surface,
The angle adjust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he support is a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angle adjust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팅 로드; 및
상기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angle adjustment unit,
a connecting rod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ladd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comprises a rotating body that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second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사다리본체에 연결되는 제1 관부재;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관부재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되는 제2 관부재; 및
상기 제1 관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2 관부재에 마련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rod is
a first pipe member connected to the ladder body;
a second pipe member rotated id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pipe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member,
The rotating body is
a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the second pipe member;
a second connecting member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Ladder comprising an angle fixing part for fixing the angl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부는,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거나 휘어지는 판스프링;
사각판의 형상을 이루는 걸림편;
판 형상의 제1 원판부와 상기 제1 원판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판부에는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걸림편이 마련되는 스프링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공은 일부분에 상기 판스프링의 단부가 조립되는 호형삽입홈부가 구비되고 타부분에는 상기 걸림편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걸림홈부 및 제1 걸림홈부와 각도가 다르게 배열된 제2 걸림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공에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걸림편이 끼워져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상기 걸림편을 상기 제1 걸림홈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설치되게 구성된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원판부와 대응되는 제2 원판부와 상기 제2 원판부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되, 제2 원판부에는 상기 걸림편의 일부분이 끼워져 조립되는 걸림편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걸림편공은 제1 걸림턱부 내지 제4 걸림턱부가 계단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원판부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편이 상기 제1 걸림턱부 내지 제4 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ngle fix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t or bent leaf spring;
A locking piece forming the shape of a square plate;
It includes a plate-shaped first disk portion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disk portion, wherein the first disk portion is formed with a spring ball through which the plate spring and the engaging piece are provided, the spring ball is in a portion An arc-shaped insertion groove to which the end of the leaf spring is assembled is provided, and the other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groove part into which the locking piece is fitted and coupled, and a second locking groove part arrang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part. a first fixing member in which the plate spring and the engaging piece are fitt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eaf spring is installed to elastically press the engaging pie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first fix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a second dis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k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disk portion, wherein the second disk portion has the locking piece A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hole is formed through which is fitted and assembled, and the first locking jaw part to the fourth locking jaw part are provided in a stepwise manner, and the locking piece is the first locking jaw part to the first locking jaw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disc part. 4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fixing member that is selectively hooked to any one of the locking jaw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본체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The method of claim 1,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heel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adder body and the sup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 중첩되게 마련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is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member provided to overlap one or mor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KR1020200154502A 2020-11-18 2020-11-18 Radder KR202200678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502A KR20220067823A (en) 2020-11-18 2020-11-18 Rad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502A KR20220067823A (en) 2020-11-18 2020-11-18 Rad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823A true KR20220067823A (en) 2022-05-25

Family

ID=8180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502A KR20220067823A (en) 2020-11-18 2020-11-18 Rad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82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1710C2 (en) Adjustable ladder
US8002229B2 (en) Support device
WO2015035211A2 (en) Adjustable ladders, ladde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WO2014132733A1 (en) Stepladder
AU2004286312A1 (en) Adjustable stepladders and related methods
KR20210097099A (en) Telescopic Edge Protection Posts
JP2020007792A (en) Stepladder serving as simple scaffold
JP6774277B2 (en) Lifeline mounting guide
KR101811001B1 (en) Steel pipe strut with safty working plate
US20040178306A1 (en) Self-stabilizing telescopic leg
KR20220067823A (en) Radder
JP4476044B2 (en) Ladder scaffolding
KR102658727B1 (en)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JP2018188938A (en) Main rope suppor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KR102213724B1 (en) step assembly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KR101070381B1 (en) Ladder
KR20050031358A (en) Portable scaffolding base for step
KR200344096Y1 (en) An extension ladder
AU2022200481B2 (en) A Telescopic Edge Protection Post
JP2019203307A (en) Handrail corner member, handrail for safety belt and safety device
KR102371325B1 (en) A ladder of fold type, A ladder of A fold type, Scaffolding Ladder
JP2002089161A (en) Foldable lifting instrument
KR102452969B1 (en) Prefabricated temporary installation protection path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300595Y1 (en) Scaffolding equipment
JP5398070B2 (en) Telescopic shaft device and legged structure equipped with the telescopic shaft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