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273A - 면도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273A
KR20220066273A KR1020227008861A KR20227008861A KR20220066273A KR 20220066273 A KR20220066273 A KR 20220066273A KR 1020227008861 A KR1020227008861 A KR 1020227008861A KR 20227008861 A KR20227008861 A KR 20227008861A KR 20220066273 A KR20220066273 A KR 20220066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ember
plane
cutting
longitudinal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아니스 보지키스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2006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31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characterised by special geometric shaving parameters, e.g. blade span or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22Containers or carriers for storing shaving appliances
    • A45D27/24Containers or carriers for storing shaving appliances for storing thin flat razor blades, e.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2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unchangeable blades
    • B26B21/06Safety razors with fixed blade, e.g. with moulded-in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7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with blades being resiliently mounted in the changeable un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선단 종방향 부재(24) 및 후단 종방향 부재(25), 및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선단 종방향 부재와 후단 종방향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카트리지 평면(CP)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를 포함하는 프레임(21)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a-d)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은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28a-d)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는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근접한 제1 평면(50)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제1 평면(50)보다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으로부터 더 먼 중간부(53b)를 더 포함한다. 제1 종방향 거리(d1)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1 평면(50)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종방향 거리(d2)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최광 지점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중간부의 폭에 의해 규정된다. 제1 종방향 거리(d1)와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
본 출원은 2019년 9월 25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EP19199652.9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기술분야
다음 개시내용에서 설명되는 양태는 면도기 카트리지, 면도기 카트리지 제조 방법,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 및 연관된 부품 키트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 카트리지(안전 면도기 카트리지로도 알려짐)는 사용 시 쉐이빙 방향으로 배향되는 면도기 핸들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절단 부재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쉐이빙 방향에 수직으로 장착된 블레이드를 지지한다. 또한, 면도기 카트리지에는 통상적으로 (쉐이빙 방향으로 면도기 카트리지의 선단(leading) 종방향 측부에 있는) 가드 및 (쉐이빙 방향으로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단(trailing) 종방향 측부에 있는) 캡이 제공된다. 사용 시, 사용자는 면도기 핸들을 쉐이빙 방향으로 잡고 면도기 카트리지를 쉐이빙 평면을 규정하는 피부의 일부와 접촉시킨다.
통상적으로, 쉐이빙 평면은 예를 들어 쉐이빙 헤드의 절단 에지의 제1 및 제2 피부 접촉점을 교차하는 접선으로서 정의된다. 더 간단히 말해서, 쉐이빙 평면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피부 접촉면에서 최고 지점 사이의 라인으로서, 예를 들어 가드의 상단과 쉐이빙 헤드의 캡의 상단 사이의 편평한 평면으로서, 근사화될 수 있다. 면도기 핸들을 움직이면 면도기 카트리지의 블레이드가 쉐이빙 방향으로 쉐이빙 평면을 가로질러 이동되어, 원치 않는 모발을 블레이드가 제거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성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프레임은 카트리지 평면을 규정하는 선단 종방향 부재 및 후단 종방향 부재, 및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선단 종방향 부재와 후단 종방향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은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는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근접한 제1 평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제1 평면보다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중간부를 더 포함한다.
제1 종방향 거리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1 평면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종방향 거리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최광 지점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중간부의 폭에 의해 규정된다.
제1 종방향 거리와 제2 종방향 거리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a) 선단 종방향 부재 및 후단 종방향 부재, 및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선단 종방향 부재와 후단 종방향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카트리지 평면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근접한 제1 평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제1 평면보다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종방향 거리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1 평면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종방향 거리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최광 지점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중간부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1 종방향 거리와 제2 종방향 거리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는, 단계; 및
b) 복수의 절단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면도기 핸들, 및 제1 양태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가 제공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면도기 핸들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비회동식 연결부를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회동식 연결부를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복수의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홀더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가 제공된다.
전술한 양태의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절단 부재(블레이드)가 형상으로 인해 강화된 절단 부재 가이드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절단 부재 가이드는 예를 들어 쉐이빙 중에 절단 부재 지지체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 편향에 더 잘 저항할 수 있다. 그러므로, 쉐이빙 중 절단 부재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술에 따라 설계된 절단 부재 가이드의 안정성은 쉐이빙 중에 쉐이버 헤드로부터 잔해물의 헹굼 및 세정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형 아키텍처 쉐이버 헤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양태의 또 다른 효과는 얇고 민감한 영역을 갖는 절단 부재 가이드가 회피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양태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 도구가 더 간단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얇고 민감한 영역을 포함하는 절단 부재 가이드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시스템으로 제조될 때 더 낮은 생산 품질 및 반복성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음의 명세서에서, "절단 부재"란 용어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돌출한 모발을 절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절단 부재는 별도의 굴곡 지지 부재에 접착되거나 레이저 용접된 절단 에지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적어도 면도기 블레이드를 의미할 수 있다. 굴곡 지지 부재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의 돌기와 같은 2개의 대향하는 절단 부재 가이드 사이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끼워진다. 블레이드는 사용 시에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용자를 향하는 굴곡 지지 부재의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블레이드는 사용 시에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굴곡 지지 부재의 면에 부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각 절단 부재는 사용자의 피부와의 두 접촉점(블레이드 에지, 및 굴곡 지지 부재의 원위단)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절단 부재는 "굴곡 블레이드"일 수 있다. 이는 반경형 굴곡부, 및 반경형 굴곡부의 원위단에 형성된 절삭 에지를 포함하는 일체로 형성된 절단 부재이다.
"절단 부재 그룹"은 동일한 유형의 절단 부재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굴곡 블레이드나 다른 유형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명세서에서, "카트리지 평면"이란 용어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와 절단 부재 가이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조인트를 통과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카트리지 평면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쉐이빙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카트리지 평면은 절단 부재 지지체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쉐이빙 평면에 가장 가까운 표면과 정렬되기 때문에 쉐이빙 평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다음의 명세서에서, "선단"이란 용어는 정상적인 사용 시에 사용자 피부의 일부와 처음에 접촉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측부를 의미한다.
다음의 명세서에서, "후단"이란 용어는 정상적인 사용 시에 사용자 피부의 일부와 마지막에 접촉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측부를 의미한다.
실시예는 독자가 이제 참조해야 하는 종속 청구항 및 상세한 설명에서 논의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특징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본 개시내용을 추가로 설명하고 당업자가 이를 실시할 수 있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도면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의도된다. 서로 다른 도면에서 공통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낸다.
도 1은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1 단부의 개략적인 단부도이다.
도 6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2 단부의 개략적인 단부도이다.
도 7a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공통 중심선을 따라 배열된 수개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b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공통 중심선을 따라 배열된 수개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면도기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위치에 끼워진 절단 부재를 나타낸 대안적인 면도기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가변 블레이드간 간격을 갖는 추가 대안적인 면도기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일 양태에 따른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절단 부재를 포함한다.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1)는 핸들(2)을 포함하고, 핸들(2)은 핸들(2)의 근위부(4)와 원위부(6) 사이에서 핸들 방향(H)으로 연장된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핸들(2)의 원위부(6)에 장착된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1)의 논의 후에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면에서 핸들(2)의 원위부(6)에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장착은, 일 실시예에서, 회동식 베어링 부재(8)를 통해 이루어져, 핸들(2)의 기준 프레임이 면도기 카트리지(20)의 기준 프레임에 대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는 사용 중 변경되고 변화에 대해 적응할 수 있다.
특히,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사용 시에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종축(L)을 중심으로 핸들(2)에 대해 회동한다. 예를 들어, 회동에 의해 사용자는 신체의 윤곽에 적응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종축(L)은 핸들(2)을 따라 쉐이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면도기 카트리지(20)를 핸들(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메커니즘의 또 다른 예는 WO2006/027018 A1호에 논의되어 있다. 또 다른 예는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피벗 축(락킹 축)에 대해 회동할 수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이다.
예시에서, 회동식 베어링 부재(8)는 생략될 수 있고(미도시), 핸들(2)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지지체의 일체로 연결된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회동식 베어링 부재(8)는 핸들(2)로부터 소진된 면도기 카트리지의 신속한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해제 메커니즘(5a, 5b)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핸들(2) 및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지지체는 탄성적 플라스틱 스프링 부재와 같은 회동식 베어링 부재(미도시)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에서, 핸들(2)에는 파지 마찰을 개선하기 위해 고무 또는 고무 유사 재료로 형성된 핸들 그립(9)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핸들에는 사용자에 의한 핸들(2)의 보다 확실한 그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섬 레스트(7)가 제공된다.
도 2는 제1 양태의 일 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부분 분해도"는 도면의 명확성을 돕기 위해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일부 사소한 구성요소가 분해도로부터 생략되었음을 의미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프레임(21)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제공된다. 프레임(21)은 선단 종방향 부재(24) 및 후단 종방향 부재(25), 및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횡방향으로 선단 종방향 부재(24)와 후단 종방향 부재(25)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카트리지 평면(CP)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는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은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복수의 절단 부재(28a-d)를 더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28a-d)는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근접한 제1 평면을 포함한다. 절단 부재 가이드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횡방향으로 제1 평면보다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중간부를 더 포함한다.
제1 종방향 거리(d1)는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의 제1 평면(50)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종방향 거리(d2)는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최광 지점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a)의 중간부(53b)의 폭에 의해 규정된다.
제1 종방향 거리(d1)와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다.
쉐이빙 방향(S)은 화살표(S)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 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쉐이빙 평면(SH)(도 4에 미도시)과 접촉되고,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S) 방향으로 쉐이빙 평면(SH)을 가로질러 병진된다.
프레임(21)은 플라스틱,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합성 재료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21)은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1)의 핸들(2)에 일체로, 또는 회동식 베어링 부재(8a)와 같은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상호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 가능한 플랫폼 부재(22)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가드 부재(23)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실질적인 종방향 에지로서 제공된다. 사용 시, 가드 부재(23)는 미절단된 모발과 접촉하기 위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제1 부분이고, 이에 따라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선단 종방향 부재(24)에 위치된다.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선단 종방향 부재(24)와 반대이고 쉐이빙 방향과 반대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측부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후단 종방향 부재(25)이다. 따라서, 후단 종방향 부재(25)는 사용 시에 쉐이빙 평면(SH)과 접촉하기 위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최종 부분이다.
"선단 종방향 부재(24)" 및 "후단 종방향 부재(25)"란 용어는 면도기 카트리지(20) 상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특정 특징부의 부재 또는 존재를 암시하거나 요구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드 부재(23)는 일 예에서 "선단 종방향 부재(24)"를 포함하는 측부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예에서 트리밍 블레이드(도 4에 미도시)는 "후단 종방향 부재(25)"를 포함하는 측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이러한 측부가 이러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일 예에서, 가드 부재(23)는 엘라스토머 부재(도 2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엘라스토머 층은 가드 부재(23)에 평행하고 쉐이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핀(fin)을 포함한다. 이러한 엘라스토머 층의 한 가지 목적은 예를 들어 절단 전에 피부를 팽팽하게 하는 것이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실시예에서 후단 종방향 측부(25)에 또는 그 부근에 캡 부재(도 2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명확성을 돕기 위해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되지 않는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프레임(21)의 절단 부재 수용 섹션(31)에 수용된 절단 부재 그룹(28a-d)을 더 포함한다. 절단 부재 그룹(28a-d)은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28a-d)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종방향 절단 부재(28a-d) 각각은 절삭 에지(30a-d)를 갖는 블레이드(33a-d)를 포함한다. 절단 부재 그룹(28a-d)은 종방향 및 쉐이빙 방향(S)에 횡방향으로 프레임(21)에 배치되어, 사용 시에 절단 부재(28a-d)의 블레이드(33a-d)는 쉐이빙 평면(SH)과 접촉하고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쉐이빙 방향(S)으로 쉐이빙 평면(SH)을 가로질러 이동됨에 따라 쉐이빙 평면(SH)에 존재하는 모발을 절단한다.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28a-d)의 특정 디자인을 이후에 논의할 것이다.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에는 3개의 절단 부재가 제공된다.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에는 4개의 절단 부재가 제공된다.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에는 5개의 절단 부재가 제공된다.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에는 6개의 절단 부재가 제공된다.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에는 7개 이상의 절단 부재가 제공된다.
절단 부재 그룹(28a-d)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블레이드간 스팬(40, 41, 42)을 규정한다. 3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갖는 지지체 위에 블레이드를 갖는 종래의 면도기 카트리지에서, 각 블레이드간 스팬은 약 1.05 mm 내지 1.5 mm의 범위에서 일정한 것으로 측정된다.
블레이드간 스팬(40, 41, 42)의 수는 절단 부재의 수보다 하나 적다. 프레임(21)은 면도기 카트리지(20) 하우징 내에 절단 부재(28a-d)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를 더 포함한다. 프레임(21)은 제1 측부(16) 및 제2 측부(18)를 더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조립될 때, 제1 및 제2 측부(16, 18)는 가드 부재(23), (존재하는 경우, 도 2에 미도시) 캡 부재 및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종방향 단부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부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도시된 것과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동식 베어링 부재(8)는, 일 예에서, 회동식 핸들(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식 베어링 부재(8)는, 일 예에서, 핸들(2)의 회동식 베어링 부재(8a)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둘 이상의 쉘 베어링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절단 부재 그룹(28a-d)에 포함된 절단 부재(28a-d)는 면도기 카트리지(20)에 배치되어, 절단 부재 그룹(28a-d)의 2개의 최전방(면도기 카트리지(20)의 선단 종방향 부재(24)에 가장 가까운) 절단 부재(28a,b)에 각각 포함된 2개의 절삭 에지(30a,b)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선단 종방향 측부(24)에 가장 가깝고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단 종방향 측부(25)에 가장 가까운 2개의 절삭 에지 사이에 규정된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보다 큰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을 규정한다. 가변 블레이드간 스팬을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실시예를 도 9 및 10에 추가로 도시하고 이후에 논의한다.
도 2의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제1 리테이너(26) 아래에 4개의 탄성 핑거(38a, 38b, 38c, 38d)를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제1 리테이너(26) 아래의 4개의 탄성 핑거(38a, 38b, 38c, 38d)와 횡방향으로 대응 정렬되는 4개의 탄성 핑거를 제2 리테이너(27) 아래에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8개의 탄성 핑거 각각은 쉐이빙 평면(SH)의 방향으로 절단 부재 그룹(28a-d)의 각각의 절단 부재(28a-d)에 대해 바이어스력을 가하여,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28a-d)는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조립될 때 휴지 위치에 있다. 휴지 위치에서, 절단 부재(28a-d)의 블레이드(33)의 절삭 에지(30)는 예를 들어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 근처의 블레이드(33)의 각 측방향 단부에서 대응하는 정지부에 대해 지지된다. 일 예에서, 정지부는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일 수 있다.
따라서, 절단 부재(28a-d)의 휴지 위치는 양호하게 규정되어, 높은 쉐이빙 정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물론, 도시된 바이어싱 배열은 많은 변형예를 갖는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복수의 탄성 핑거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단순화된 면도기 카트리지 디자인(예를 들어, 저렴한 일회용 면도기)에서, 탄성 핑거는 생략될 수 있다. 제공될 탄성 핑거(38)의 수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28a-d)의 수와 관련되며, 8개보다 적거나 많은 탄성 핑거(38)가 제공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예에서, 절단 부재 그룹(28a-d)의 각 절단 부재(28a-d)는 종방향 블레이드 지지체(32)를 포함한다. 종방향 블레이드(33)는 블레이드 지지체(32)에 장착된다. 블레이드(28a-d)의 절삭 에지(30)는 쉐이빙 방향(S)으로 전방으로 배향된다. 블레이드(28a-d)의 블레이드 지지체(32)는 세장형의 굴곡된 경질 재료 편이다. 일 예에서, 블레이드 지지체(32)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이다.
절단 부재 그룹(28a-d)의 각 절단 부재(28a-d)는,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에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을 수용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종방향 공간을 포함한다.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28a) 내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모든 절단 부재는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의 도시된 예에서, 프레임(21)의 횡방향 내측부는 복수의 유지 슬롯(34)을 포함한다. 횡방향 내측부 상의 각 유지 슬롯(34)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28a)의 블레이드 지지체(32)의 일측의 단부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28a-d)는 횡방향(-x 내지 x)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블레이드간 스팬으로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프레임(21)의 각 횡방향 내측부에는 블레이드의 수만큼 많은 유지 슬롯(34)이 제공된다.
절단 부재 수용 섹션(31)과 핸들(예를 들어, 핸들(2) 연결부에 인접한 부분에 있음) 사이에, 예시에서,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가 제공된다.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는 프레임(21)의 횡방향 내측부에서 유지 슬롯(34a-d)과 정렬된 복수의 돌출부로서 제공된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를 포함한다. 절단 부재 가이드(36a-d)는 평행 블레이드간 스팬을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도 3은 제1 양태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일부에 돌기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사출 성형 돌기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에서,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의 각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공통 축에 정렬된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각 절단 부재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중심 축(58)에 정렬된다. 다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공통 축 또는 중심 축(35)으로부터 떨어져 정렬된다.
도 3에 도시된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형상의 모든 세부사항이 필수적인 특징이 아님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선단 종방향 부분(53a), 중간 종방향 부분(53b) 및 후단 종방향 부분(53c)으로 분할된다. 선단 종방향 부분(53a)은 제1 평면(50)을 포함하고, 제1 평면(50)은 제1 평면(50)(도 3에 미도시) 옆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위치될 때 종방향 절단 부재(28)(도 3에 미도시)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조립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예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a)의 제1 평면(50)은 절단 부재(28)와 억지 끼워맞춤된다.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제1 평면(50)이 절단 부재(28)(도 3에 미도시)와 접촉하는 거리는 제1 종방향 거리(d1)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종방향 거리(d1)는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제1 평면(50)의 폭에 의해 규정된다. 도 3에서, 카트리지 평면(CP)은 점선 박스로 도시되어 있다.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중간 종방향 부분(53b)은 제1 종방향 거리(d1)에 비해 카트리지 평면(CP)을 가로지르는 더 넓은 범위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2 종방향 거리(d2)는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중간 종방향 부분(53b)의 폭에 의해 규정된다.
도 3의 예에서, 선단 종방향 부분(53a)은 사다리꼴의 형태에 가깝고, 중간 종방향 부분(53b)은 직사각형의 형태에 가깝다. 도 3의 예에서, 후단 종방향 부분(53c)은 또한 사다리꼴의 형태에 가깝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종방향 부분(53b)의 횡방향 길이는 실질적으로 0일 수 있어서, 카트리지 평면(CP) 상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평면 형태는 불규칙 육각형 또는 절단 다이아몬드와 유사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전체 횡방향 길이는 선단 종방향 부분(53a), 중간 종방향 부분(53b), 및 후단 종방향 부분(53c)의 횡방향 길이(d3 + d4 + d5)의 합이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전체 횡방향 길이(d3, d4, d5)는 0.30mm 내지 1.00mm의 범위에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종방향 거리(d1)와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율은 0.2:0.7 범위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율은 0.3:0.6 범위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율은 0.45:0.55 범위에 있다.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특정 예에서, 제1 종방향 거리(d1)는 0.35mm이고, 제2 종방향 거리(d2)는 1.0mm이며, 0.35의 비율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선단 종방향 부분(53a)은 0.60mm의 횡방향(-y 내지 y)의 길이를 갖는다. 중간 종방향 부분(53b)은 0.48mm의 횡방향(-y 내지 y)의 길이를 갖는다. 후단 종방향 부분(53c)은 0.50mm의 횡방향(-y 내지 y)의 길이를 갖는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교시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치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선단 종방향 부분(53a) 및/또는 후단 종방향 부분(53c)의 설명된 사다리꼴 형상은 절단 부재 가이드의 강도를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절단 부재가 쉐이빙 헤드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것이다. 이는 쉐이빙 중에 절단 부재의 편향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선단 종방향 부분(53a) 및/또는 후단 종방향 부분(53c)은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제2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근접하고 제1 평면(50)을 갖는 측부에 대한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반대측 상에 제2 평면(52)을 더 포함한다. 제3 종방향 거리(d6)는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제2 평면(52)의 폭에 의해 규정된다.
카트리지 평면(DP)에서 제3 종방향 거리(d6)와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절단 마름모 형태를 갖는다. 절단 마름모(54)는 도 3에 점선 삽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 효과는 절단 마름모 형태의 절단 부재 가이드(36)가 더 강성이고, 더 큰 안정성으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절단 부재(28a)를 지지할 수 있는 점이다.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각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절단 마름모의 형태를 갖는다. 당업자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모든 절단 부재 가이드(36)가 유익한 효과가 달성되기 위한 조건을 충족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일체형 돌출부이다.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상부는 절단 부재의 횡단면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높이 및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절단 부재(28a-d)가 굴곡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굴곡 블레이드 아래의 부재 가이드(36)는 만곡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제1 평면(50)을 나타낸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제1 단부의 개략적인 단부도이다.
도 6은 제2 평면(52)을 나타낸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제2 단부의 개략적인 단부도이다.
당업자는, 제1 종방향 거리(d1)와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전술한 바와 같음)이 0.1:0.8 범위에 있으면, 제1 양태에 따른 절단 부재 가이드(36)가 많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가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에서 절단 부재 가이드 서브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가 0.1:0.8 범위의 비율을 갖는 제1 종방향 거리(d1) 및 제2 종방향 거리(d2)(전술한 바와 같음)를 갖는다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a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공통 중심선(58)을 따라 배열된 3개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a는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a),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b), 및 제3 절단 부재 가이드(36c)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절단 부재 가이드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당업자는,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가 (제1 평면(50)의) 제1 종방향 거리(d1)의 비율을 갖고 제2 종방향 거리(d2)가 0.1:0.8 범위에 있으면,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각 절단 부재 가이드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7a는 또한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사다리꼴 형태의 절단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는 선단 단부 지지체(60), 및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사다리꼴 형태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를 포함하는 후단 단부 지지체(62)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선단 단부 지지체(60)와 후단 단부 지지체(62)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단 부재 가이드(36)와 마찬가지로, 선단 단부 지지체(60) 및/또는 후단 단부 지지체(62)는 절단 부재(36)(도 7a에 미도시)와 접촉하는 평면을 포함한다. 선단 단부 지지체(60) 및 후단 단부 지지체(62)는 프레임(21)의 선단 종방향 부재(24) 또는 후단 종방향 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부분에서 각각의 평면보다 큰 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단 단부 지지체(60)의 평면의 폭과 선단 종방향 부재(24)와 접촉하는 선단 단부 지지체(60) 부분의 폭의 비율은 또한 0.1:0.8 범위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단 단부 지지체(62)의 평면의 폭과 후단 종방향 부재(25)와 접촉하는 후단 단부 지지체(62) 부분의 폭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다.
도 7a에 예시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a), 제2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b), 제3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c) 및 제4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d)에서 4개의 절단 부재(28a-d)를 유지하도록 의도된 프레임을 갖는다.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은 선단 단부 지지체(60) 또는 후단 단부 지지체(62)와 조합된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 및/또는 2개의 연속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a-d)을 형성하는 선단 단부 지지체(60) 또는 후단 단부 지지체(62)와 조합된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 및/또는 2개의 연속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평면 사이의 카트리지 평면(CP)의 횡방향(-y 내지 y)의 거리(d7)(횡방향 길이)는 0.1mm 내지 0.35mm, 보다 구체적으로 0.15mm 내지 0.3mm 범위에 있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공통 중심선을 따라 배열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a),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b), 제3 절단 부재 가이드(36c)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절단 부재 및 리테이너가 생략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특히, 절단 부재 가이드(36)를 포함하는 제1 횡방향 프레임 부재(35a) 및 제2 횡방향 프레임 부재(35b)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제1 횡방향 프레임 부재(35a)로부터 3개의 일체형 돌출부로서 제공된다. 제2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제2 횡방향 프레임 부재(35b)로부터 3개의 일체형 돌출부로서 제공된다. 제1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 및 제2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각각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a 및 35b) 상의 중심 축(58)에서 중심으로 각각 배향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각각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a 및 35b)의 중심 축(58)으로부터 오프셋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양태에 따른 절단 부재 가이드(36)를 사용하는 다른 이점을 도시하고 있다.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개선된 강도 및 견고성은 감소된 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를 갖지만 유사한 절단 부재 강성을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양태에 따르지 않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 상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를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20)는 더 적은 절단 부재 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2개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보다 3개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증가된 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가 면도기 카트리지(20)를 통한 물의 통과를 차단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물 헹굼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중요하다.
제1 양태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특별한 형상을 통해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수는 감소될 수 있는 반면, 사용 시에 절단 부재(28a-d)의 강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고, 제1 양태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잔해물 세척 가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위치에 끼워진 절단 부재를 나타낸 제1 양태에 따른 대안적인 면도기 카트리지 디자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예를 들어 예시적인 종방향 후단 조립체(49) 상에 유지되는 종방향 스킨케어 요소(50)를 포함하는 제1 양태에 따른 대안적인 면도기 카트리지 디자인을 도시하고 있다. 일 예에서, 대안적인 면도기 카트리지는 트리밍 블레이드 조립체(53)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예시적인 종방향 후단 조립체(49)가 보편성 손실 없이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블레이드 지지체(32a-32d) 및 절단 부재 가이드(36a-36d) 사이에 위치된 블레이드(33)를 포함하는 절단 부재(28a-d)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블레이드 지지체(32a-32d)(및 그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2개, 3개,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의 절단 부재(28a-d)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지지체(32a-32d) 각각은 쉐이빙 평면(SH)(미도시)을 향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지지체(32a-32d) 각각은 쉐이빙 평면(SH)으로부터 멀어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지지체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위해 "블레이드 지지체 아래"라는 문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카트리지가 사용 중일 때 사용자의 쉐이빙 평면(SH)(피부)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블레이드 지지체의 측부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가이드(36a-36d)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블레이드 지지체와 절삭 에지가 일체형인(동일한 금속 편으로 형성됨) 반경부를 갖는 "굴곡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굴곡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가이드(36a-36d)는 예를 들어 "굴곡 블레이드"의 반경부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된 만곡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단 절단 부재 대 프레임 스팬(44)은 사용 시 쉐이빙 평면(SH)(원점)에 가장 가까운 절단 부재 수용 섹션(55)의 내부 선단 종방향 벽과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선단 절단 부재의 절삭 에지(30d) 사이의 공간에 걸쳐 있는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의 종방향 배향에 수직인 횡방향 스팬(쉐이빙 방향(S)과 실질적으로 정렬됨)이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선단 종방향 측부(24)에 가장 가까운 블레이드간 스팬인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28)의 종방향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 스팬(사용 시 쉐이빙 방향(S)과 실질적으로 정렬됨)이다.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은 절삭 에지(30a) 상의 지점에서 시작하여 제1 중간 블레이드(33b)의 절삭 에지(30c) 상의 대응 지점에서 종료된다.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1)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의 종방향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 스팬(사용 시 쉐이빙 방향(S)과 실질적으로 정렬됨)이다.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1)은 절삭 에지(30b) 상의 지점에서 시작하여 제2 중간 블레이드(33b)의 절삭 에지(30c) 상의 대응 지점에서 종료된다.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28)의 종방향 배향에 수직인 횡방향 스팬(사용 시 쉐이빙 방향(S)과 실질적으로 정렬됨)이다.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은 절삭 에지(30c) 상의 지점에서 시작하여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후단 종방향 측부(25)에 가장 가까운 블레이드(33a)의 절삭 에지(30d) 상의 대응 지점에서 종료된다.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의 종방향 배향에 수직인 횡방향 스팬(사용 시 쉐이빙 방향(S)과 실질적으로 정렬됨)인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은 절삭 에지(30a) 및 절단 부재 수용 섹션(56)의 내부 후단 종방향 벽 상의 대응 지점이다.
따라서, 절단 부재 수용 섹션(31)의 전체 스팬은 스팬(44, 40, 41, 42, 및 45)의 합에 대응한다. 실제로, 절단 부재 수용 섹션의 전체 스팬은 7 내지 15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후에 논의될 바와 같이, 각 절단 부재 장착부(71)는 사용 시 쉐이빙 평면(SH)으로부터 멀어지는 각각의 블레이드 지지체(32)의 내면(66) 상에 배치된다. 절삭 에지(30)는 블레이드 지지체(32)의 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블레이드 지지체(32)는 무시할 수 없는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지지체(32)는 0.12 mm 내지 0.21 mm 범위의, 보다 구체적으로 0.155 mm 내지 0.185 mm 범위의, 가장 구체적으로 0.17 mm의 두께를 갖는다.
일 예에서,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지지체(32)는 블레이드 지지체(32)의 나머지에 대해 다른 두께 및/또는 경사각을 갖는다.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의 종방향 배향에 수직인 횡방향 스팬(사용 시 쉐이빙 방향(S)과 실질적으로 정렬됨)이다.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일 예에서, 쉐이빙 평면(SH)에 가장 가까운 내부 선단 종방향 벽(55) 상의 지점에서 시작된다.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은, 일 예에서, 쉐이빙 평면(SH)에 가장 가까운 선단 절단 부재(28a)의 블레이드(33a)의 절삭 에지(30a) 상의 대응 지점에서 종료된다.
일 예에서, 선단 프레임 대 블레이드 스팬(44)은 0.5 mm 내지 0.9 mm이고, 구체적으로 0.7 mm이다.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의 종방향 배향에 수직인 횡방향 스팬(사용 시 쉐이빙 방향(S)과 실질적으로 정렬됨)이다. 다음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은 후단 절단 부재(28a-d)의 블레이드(33d)의 절삭 에지(30d) 상의 지점에서 시작된다.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은, 일 예에서, 쉐이빙 평면(SH)에 가장 가까운 내부 후단 종방향 벽(57) 상의 대응 지점에서 종료된다.
일 예에서, 후단 프레임 대 블레이드 스팬(44)은 1.6 mm 내지 2.0 mm이고, 구체적으로 1.8 mm이다. 일 예에서,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보다 크다. 일 예에서,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보다 작다. 일 예에서,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보다 크다. 일 예에서,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보다 작다. 일 예에서,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보다 크다. 일 예에서,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보다 작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1) 및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2) 각각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1) 및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 각각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1)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1)보다 작고,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보다 크다.
일 예에서,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과 동일하다.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의 선단 종방향 측부에 가장 가까운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단 종방향 측부에 가장 가까운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보다 크다.
도 9는 또한 절단 부재 그룹(28a-d) 아래의 잔해물 유출부를 도시하고 있다. 잔해물 유출부의 폭은 절단 부재 그룹(28a-d)의 절단 부재의 상대 간격에 의해 규정된다. 가변 블레이드간 간격의 효과는 사용 시에 제1(상대적으로 더 넓은) 잔해물 유출부를 통해 더 많은 양의 모발 클리핑 및 거품이 제거될 수 있는 점이다. 이는 특히 면도기 카트리지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쉐이버 사용자가 사용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잔해물이 제1(상대적으로 더 넓은) 잔해물 유출부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잔해물 유출부의 막힐 위험을 감소시킨다.
선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4)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보다 크거나,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후단 블레이드 대 프레임 스팬(45)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보다 크거나,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보다 크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과 같거나 이보다 작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과 같거나 이보다 크다.
4개의 절단 부재(28a-d)를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도시되었지만, 본 명세서는 3개의 절단 부재(28) 또는 4개 초과의 절단 부재(28)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5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절단 부재(28)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쉐이빙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에 인접하게 규정된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1) 및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 각각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41) 및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 각각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제1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은 선단 블레이드간 스팬(40)보다 작고,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보다 크다. 일 예에서, 제2 중간 블레이드간 스팬은 후단 블레이드간 스팬(42)과 동일하다.
일 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의 연속적인 블레이드간 스팬은 쉐이빙 방향으로 면도기 카트리지의 선단 종방향 측부(24)와 후단 종방향 측부(25)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일 예에서, 지지체(32a-d)의 각각은 사용 시에 블레이드의 절삭 에지(30)에 더하여 쉐이빙 평면(SH)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쉐이빙 평면 접촉부(58)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쉐이빙 평면과의 각 절삭 에지 접촉점에서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절삭 에지 접촉점에서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0은 가변 블레이드간 간격을 갖는 대안적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실시예에서, 제1 양태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는 가변 블레이드간 스팬(IBS)을 갖는다.
그러므로, 일 변형예에서, 절단 부재의 간격은 면도기(20)의 선단 종방향 측부(24)와 후단 종방향 측부(25)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가변 블레이드간 스팬(IBS)을 생성한다. 이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선단 종방향 측부(24)를 향해 상대적으로 큰 블레이드간 공간을 제공하여 두꺼운 잔해물(절단된 모발)이 빠져나갈 수 있는 더 넓은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후단 종방향 측부(25)를 향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블레이드간 공간이 제공되어,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더 얇은 블레이드간 간격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절단 부재(28a-d)의 간격은 선단 종방향 측부(24)와 후단 종방향 측부(25)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선단 종방향 측부(24)와 후단 종방향 측부(25) 사이에서 블레이드간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가변 블레이드간 간격을 제공하는 경우, 블레이드 가이드(36a-d)의 치수 및/또는 간격의 변화는 가변 블레이드간 간격을 생성하는 데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단 종방향 부재(24)와 후단 종방향 부재(25) 사이에서 절단 부재 가이드(36a-36d)의 치수를 점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가변 블레이드간 간격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으로 돌아가면,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a) 및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b)는 공통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에 제공된다.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a)는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b)보다 선단 종방향 부재(24)에 더 가깝다.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a)의 후단 종방향 부분(52c) 및/또는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중간 종방향 부분(52b)은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a)의 후단 종방향 부분(52c)보다 및/또는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중간 종방향 부분(52b)보다 횡방향으로 더 길게 치수화된다. 절단 부재 가이드(64)의 치수가 절단 부재를 제위치에 유지하고 가변 블레이드간 간격을 생성하기에 충분하다면, 중간 및 후단 종방향 부분의 많은 다양한 횡방향 치수가 선택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a) 선단 종방향 부재 및 후단 종방향 부재, 및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선단 종방향 부재와 후단 종방향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카트리지 평면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46)로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근접한 제1 평면(50)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제1 평면(50)보다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종방향 거리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1 평면(50)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종방향 거리는 카트리지 평면에서 제1 블레이드 가이드의 최광 지점에서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중간부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1 종방향 거리와 제2 종방향 거리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는, 단계; 및
b)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48)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면도기 핸들(2)이 제공되고;
- 제1 양태 또는 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 면도기 카트리지는 면도기 핸들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비회동식 연결부를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회동식 연결부를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 또는 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면도기 카트리지(20)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홀더, 및 선택적으로 면도기 핸들(2)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가 제공된다.
선행 명세서에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수많은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을 실시하기 위해 특정 세부사항이 이용될 필요가 없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모호함을 회피하기 위해 주지 재료 또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선행 명세서 전체에 걸쳐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하나의 예" 또는 "일 예", "하나의 양태" 또는 "일 양태"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하나의 예" 또는 "일 예", "하나의 양태" 또는 "일 양태"라는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조합 및/또는 하위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Claims (15)

  1. 면도기 카트리지(20)로서,
    - 선단 종방향 부재(24) 및 후단 종방향 부재(25),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상기 선단 종방향 부재와 상기 후단 종방향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카트리지 평면(CP)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를 포함하는 프레임(21)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a-d)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은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프레임; 및
    -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28a-d)로서, 각 절단 부재는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
    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a)에 근접한 제1 평면(50)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상기 제1 평면(50)보다 상기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a)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중간부(53b)를 더 포함하고;
    제1 종방향 거리(d1)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제1 평면(50)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종방향 거리(d2)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에서 상기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최광 지점에서 상기 제1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중간부(53b)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종방향 거리(d1)와 상기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 중 각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공통 축에 정렬되는, 면도기 카트리지(2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일부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2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제2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b)에 근접하고 상기 제1 평면(50)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의 반대측 상에 제2 평면(52)을 더 포함하고;
    제3 종방향 거리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2 평면(52)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3 종방향 거리(d6)와 상기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CP)에서 절단 마름모 형태를 갖고,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 중 각 절단 부재 가이드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에서 절단 마름모 형태를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2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로서 제공되는, 면도기 카트리지(2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와 이격된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64a)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1 평면(50) 및 상기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b)의 제2 평면(52)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횡방향 길이(d7)를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2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의 횡방향 길이(d7)는 0.10 mm와 0.35 mm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0.15 mm와 0.30 mm 사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 중 각 절단 부재 가이드(36a)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 상의 연속적인 절단 부재 가이드(36b)로부터 균일하게 이격되는, 면도기 카트리지(20).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의 전체 횡방향 길이(d3, d4, d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절단 부재 가이드(36b)의 전체 횡방향 길이와 상이한, 면도기 카트리지(2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 중 각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전체 횡방향 길이(d3, d4, d5)를 가져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블레이드간 스팬을 갖는 복수의 절단 부재(28a-d)를 제공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방향 거리(d1)와 상기 제2 종방향 거리(d2)의 비율은 0.2:0.7 범위에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율은 0.3:0.6 범위에 있고,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비율은 0.45:0.55 범위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0).
  13.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선단 종방향 부재 및 후단 종방향 부재,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상기 선단 종방향 부재와 상기 후단 종방향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카트리지 평면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46)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근접한 제1 평면(50)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으로 상기 제1 평면(50)보다 상기 제1 절단 부재 지지 슬롯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종방향 거리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제1 평면(50)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종방향 거리는 상기 카트리지 평면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 가이드의 최광 지점에서 상기 제1 절단 부재 가이드의 중간부의 폭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종방향 거리와 상기 제2 종방향 거리의 비율은 0.1:0.8 범위에 있는, 상기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48)를 포함하고, 각 절단 부재 지지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1)로서,
    - 면도기 핸들(2); 및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
    를 포함하되,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는 상기 면도기 핸들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비회동식 연결부를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회동식 연결부를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쉐이빙 면도기 조립체(1).
  15. 부품 키트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면도기 카트리지(20), 및 선택적으로 면도기 핸들(2)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홀더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
KR1020227008861A 2019-09-25 2020-09-04 면도기 카트리지 KR20220066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9652.9 2019-09-25
EP19199652.9A EP3797947A1 (en) 2019-09-25 2019-09-25 Razor cartridge
PCT/EP2020/074710 WO2021058258A1 (en) 2019-09-25 2020-09-04 Razor cart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273A true KR20220066273A (ko) 2022-05-24

Family

ID=6806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861A KR20220066273A (ko) 2019-09-25 2020-09-04 면도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24128A1 (ko)
EP (1) EP3797947A1 (ko)
KR (1) KR20220066273A (ko)
CN (1) CN114269530A (ko)
BR (1) BR112022003316A2 (ko)
IL (1) IL290711A (ko)
MX (1) MX2022002199A (ko)
WO (1) WO2021058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2773B1 (en) * 2020-05-20 2024-03-06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head with improved spring fingers
PL3912772T3 (pl) * 2020-05-20 2024-05-13 BIC Violex Single Member S.A. Główka maszynki z ulepszonymi sprężystymi palcami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9238B1 (en) 2004-09-07 2008-03-19 BIC Violex S.A. Razor handle and shaver including such a handle
KR100749925B1 (ko) * 2006-06-29 2007-08-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US10391652B2 (en) * 2008-05-30 2019-08-27 The Gillette Company Llc Blade support for multi-blade razor cartirdges
US9308657B2 (en) * 2008-05-30 2016-04-12 The Gillette Company Blade support for multi-blade razor cartridges
KR20100091622A (ko) * 2009-02-11 2010-08-19 주식회사 도루코 일체형 카트리지
US8726518B2 (en) * 2010-03-16 2014-05-20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s and cartridges
EP2823941A1 (en) * 2013-07-10 2015-01-14 The Gillette Company Razor cartridges
KR101925281B1 (ko) * 2017-11-29 2018-12-0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AU2019242213B2 (en) * 2018-03-30 2022-03-24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8258A1 (en) 2021-04-01
CN114269530A (zh) 2022-04-01
US20220324128A1 (en) 2022-10-13
MX2022002199A (es) 2022-03-11
BR112022003316A2 (pt) 2022-09-06
IL290711A (en) 2022-04-01
EP3797947A1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9193B2 (en) Razor cartridge
EP2866982B1 (en) Shaving razor cartridge
US11691306B2 (en) Razor cartridge
EP1259359B1 (en) Shaving razor and blade unit with improved guard
AU2006258078B2 (en) Inter-blade gu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A2557297A1 (en) Razors and shaving cartridges with guard
US20140283387A1 (en) Razor head having a low shaving angle
US20220314476A1 (en) Razor cartridge
KR20220066273A (ko) 면도기 카트리지
US20230035264A1 (en) Razor heads, kits, razors & methods comprising the same
KR20200106030A (ko)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EP2823941A1 (en) Razor cartridges
US20220314478A1 (en) Shaving razor cartridge
US20220234228A1 (en) Razor cartridge
EP3744489B1 (en) Razor cartridge
EP3744488B1 (en) Razor cartridge
RU2782107C1 (ru) Кассета для бритвы
RU2815775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бритв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