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815A -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815A
KR20220064815A KR1020200151341A KR20200151341A KR20220064815A KR 20220064815 A KR20220064815 A KR 20220064815A KR 1020200151341 A KR1020200151341 A KR 1020200151341A KR 20200151341 A KR20200151341 A KR 20200151341A KR 20220064815 A KR20220064815 A KR 2022006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
coupled
base part
dra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5801B1 (en
Inventor
지선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801B1/en
Publication of KR2022006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8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wer having a structure for coupling a base part and a clad without additional c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er may comprise: a base part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torage target; a lower clad dispos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ase part; an upper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lad; and a side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lower clad and the upper clad.

Description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wer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영역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영역 예를 들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freezes or refrigerates food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a storage area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using a refrigeration cycle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storage area, for example,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등으로 나눌 수 있다.Refrigerators ar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or example, in a Top Mount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disposed abo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left and right by a partition wall. It can be divided into a partitioned side-by-side type and the like.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넷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는 캐비넷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가스켓이 구비된다.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rovided inside a cabinet constitut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refrigerator, and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respectivel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cabinet, and each door is provided with a gasket to seal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냉장고에는 저장 대상물이 수납되는 드로어(drawer)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드로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로어의 내측에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클래드를 부착한 드로어가 제작되고 있다.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with a drawer in which a storage object is accommodated. 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rawer, a drawer having a clad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rawer is being manufactured.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드로어 외형과 이러한 드로어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클래드는 재질의 차이로 인해, 열변형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In general, the outer shape of a drawer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a clad made of a metal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drawer may have different thermal strain rates due to differences in materials.

특히, 냉동실에 드로어가 배치되는 경우, 드로어 외형과 클래드의 재질에 따른 열변형율의 차이는 냉동실의 저온의 분위기에서 크게 부각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drawer is dispos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difference in thermal strai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rawer and the material of the clad can be greatly emphasized in the low-temperature atmosphe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따라서,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해, 드로어 외형과 클래드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거나, 이들 사이의 결합이 파손되는 문제가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Therefor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strain rat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a gap occurs between the outer shape of the drawer and the clad or the coupling between them is broken. Improvement is required for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비용을 투입하지 않고, 베이스부와 클래드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진 드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wer having a structure for coupling a base portion and a clad without additional cos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변형율이 서로 다른 베이스부와 클래드가 저온의 환경인 냉장고 내부에서도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해 서로간 결합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드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w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damage to bonds between each other due to a difference in thermal strain even in a refrigerator in which the base part and the clad having different thermal strain rates are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드로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the draw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및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 및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부클래드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drawer includes a base portion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torage object, a lower clad disposed inside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 upper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portion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lad, and an inner side of the base portion It may include a side cla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ower clad and the upper clad.

상부클래드는, 하부클레드 및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clad may include a flange passing through the lower clad and the base portion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ortion.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플랜지는, 결합돌출부에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플랜지가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ar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 screw bolt is coupled,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by a screw bolt, a coupling part in whic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crew bolt is inserted is formed, and one end is coupled It is connected to the par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lad,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part that is bent when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하부클래드는, 하부클래드의 바닥을 형성하고, 베이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1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하부클래드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단부에 상부클래드의 플랜지가 관통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lad is formed to form a bottom of the lower clad, a first plat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and bent from an end of the first plate to form a sidewall of the lower clad, and a flange of the upper clad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It may include a second plate on which the hook is formed.

후크는, 일측이 제2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플랜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피스, 및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may include a first piece in which one side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end of the second plate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lange is formed, and a second piece formed to be bent from the first piece.

베이스부는, 길이방향이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형성되고 후크가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may have an opening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hook passes.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길이방향이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draw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ide of the base part and closing the opening by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drawer may further include a divide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드로어의 일 실시예는, 개구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바, 및 일측은 디바이더에 결합하고, 타측은 가이드바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하는 가이드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draw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ar disposed in the opening, and a guide bracke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divid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guide bar to be movable.

상부클래드, 하부클래드 및 측부클래드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lad, the lower clad, and the side clad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냉장고의 일 실시예는, 냉장실, 및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드로어가 구비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disposed und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drawer.

드로어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클래드 및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결합하는 측부클래드, 및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를 포함하고, 상부클래드는, 하부클레드 및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awer includes a base portion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torage object, a lower clad dispos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 upper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portion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lad, a lower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base portion, and a side clad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upper clad; and a divide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It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flange.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플랜지는, 결합돌출부에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플랜지가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ar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 screw bolt is coupled,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by a screw bolt, a coupling part in whic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crew bolt is inserted is formed, and one end is coupled It is connected to the par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lad,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part that is bent when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본 발명에 따른 드로어에서, 상부클래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하부클래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에 결합시키고, 상기 플랜지는 베이스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부클래드와 상부클래드를 베이스부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th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clad is coupled to a hook formed at the end of the lower clad, and the flange is coupled to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utside the base, thereby connecting the lower clad and the upper clad to the base. It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로어에서, 결합돌출부는 커버부재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결합돌출부에 상부클래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클래드와 하부클래드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베이스부에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Also, in the dra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for coupling the cover member. By coupling the upper cla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 separate structure for coupling the upper clad and the lower clad needs to be formed in the base part. Since there is no , the structure of the base part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전술한 구조를 가진 드로어를 채용함으로써, 냉장고 전체의 제작비용을 절약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the draw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refrigerator can be reduced and its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분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일부 부품을 추가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2 .
FIG. 4 is another exploded view of FIG. 2 .
FIG. 5 is another exploded view of FIG. 2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 6 .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6 .
9 is a view in which some parts are omitted from FIG. 2 .
FIG.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C of FIG. 9 .
FIG. 11 is a view in which some parts are added in FIG. 10 .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ta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C to D” is used, it means that there is no specific opposite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that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C and less than or equal to 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rst,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냉장고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넷(10)의 상부에는 냉장실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로, 냉장고는 캐비넷(10)의 하부에 냉장실이 구비되고, 상부에 냉동실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10 that forms an external shap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and a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In another embodiment, the refrigerat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and a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넷(100)의 상부에는 도어(20, 21)가 힌지부재(4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20, 21)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20 and 21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0 by a hinge member 4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doors 20 and 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use one door.

도어(20, 21)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 21)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2)의 형상이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s 20 and 21 are provided with a handle 22 through which the user can rotate the doors 20 and 21 . Of course,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handle portion 22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various structures can be selected.

도어(2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넷(10)의 하부에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하부도어(20a)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디스펜서(20a)는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필수구성이 아니고, 상기 디스펜서(20a)가 없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A dispenser 30 through which a user can receive water or ice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21 . A lower door 20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However, the dispenser 20a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without the dispenser 20a.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drawer)는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는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어(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상기 드로어(50)는 냉장실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draw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Hereinafter, for clarity, the drawer 50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will be described. Of course, the drawer 50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냉장고는 냉장실,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드로어(50)가 구비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5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고 음식물 등의 저장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disposed und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drawer 50 . The drawer 50 has an open top and can accommodate storage objects such as food.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동실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도어는 미닫이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하부도어를 개방하면 저장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로어(50)에 접근할 수 있다.The draw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freezing compartment dispos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this case, the lower door is provided in a sliding door method or an opening door method, so that when the user opens the lower door, the drawer 50 in which the storage object is accommodated can be accesse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측부 및 바닥부를 덮는 클래드로 구비될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 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raw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100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torage object and a cladding covering the inner side and bottom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100 .

클래드는 박판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박판의 금속을 압연, 벤딩(bending) 등의 방식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lad may be made of a thin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That is, it may be formed by processing the metal of the thin plate in a manner such as rolling or bending.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사출가공하여 제작되는 베이스부(100)에 클래드를 덮음으로써, 드로어(50)에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더할 수 있다. 또한, 클래드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되어 드로어(50)의 수납공간 전체에 균일한 온도를 가지도록 하여, 특히 음식물 등의 저장성을 높일 수 있다.In general, by covering the clad on the base 100 manufactured by injection processing plastic, it is possible to add a luxurious aesthetic to the drawer 50 . In addition, the clad is made of a met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to have a uniform temperature in the entire storage space of the drawer 50, so that storage of food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또한, 금속재질의 클래드가 구비됨으로써, 플라스틱으로부터 나오는 유해한 물질이 음식물 등의 저장 대상물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드로어(50) 전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ad made of a metal material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harmful substances emitted from plastics from flowing into the storage object such as food, and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drawer 50 as a whole.

드로어(50) 전체를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드로어(50)의 무게,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금속박판으로 된 클래드를 덮는 방식으로 상기 드로어(50)가 제작될 수 있다.The entire drawer 5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but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drawer 50, as described above, the inside of the base part 100 made of plastic is made of a thin metal plate. The drawer 50 may be manufactured by covering the clad.

이때, 클래드를 베이스부(10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클래드가 베이스부(100)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으면, 드로어(50)의 내구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At this time, a structure capable of firmly coupling the clad to the base part 100 is required. If the clad is not firmly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 durability of the drawer 50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특히, 냉장고에 수납되는 드로어(50)는 상온에 비해 큰 온도변화가 있는 분위기에 놓이게 된다. 이때, 플라스틱으로 된 베이스부(100)와 금속으로된 클래드는 온도차에 의한 변형율 즉, 열변형율이 서로 다르므로, 상온에세 결합된 베이스부(100)와 클래드는 온도가 낮은 냉장고에 배치되면,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해,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따라서 그 결합이 파손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awer 50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or is placed in an atmosphere having a large temperature change compared to room temperature. At this time, since the base part 100 made of plastic and the clad made of metal have different strain rates, that is, thermal strain rates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s, the base unit 100 and the clad coupled at room temperature are placed in a refrigerator with a low temperatur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strain, they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us the bond may be broken.

특히, 상대적으로 영하 수십도℃의 환경인 냉동실에 드로어(50)가 수납되는 경우, 열변형율의 차이로 인한 베이스부(100)와 클래드 사이의 이격, 결합파손은 더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drawer 50 is accommod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which is a relatively low tens of degrees Celsius environment, the separation between the base part 100 and the cla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strain rate and coupling damage may occur more seriously.

실시예에서는, 간결한 구조를 가지면서 베이스부(100)와 클래드 사이에 견고한 결합을 하는 구조를 가진 드로어(50)를 제안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a drawer 50 having a structure that makes a strong coupling between the base part 100 and the clad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is proposed. Hereinafter, the draw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분해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FIG. 2 . FIG. 4 is another exploded view of FIG. 2 . FIG. 5 is another exploded view of FIG. 2 .

실시예에서, 드로어(50)는 외부에 결합하는 외장재가 구비될 수 있으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외장재의 도시을 생략하였다. 드로어(50)는 베이스부(100)와 클래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drawer 5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ly coupled exterior material, but for clarity, illustration of the exterior material is omitted herein for clarity. The drawer 50 may be provided with the base part 100 and the clad.

베이스부(100)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대체로 상측이 개방된 6면체의 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ase unit 100 may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torage object. The base part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The base part 10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by,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plast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클래드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의 측부와 바닥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박막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클래드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lad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inner side and the bottom of the base part 100 , and may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thin metal plate. The clad may be made of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클래드는 하부클래드(200), 상부클래드(300) 및 측부클래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클래드(300), 상기 하부클래드(200) 및 상기 측부클래드(400)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lad may include a lower clad 200 , an upper clad 300 , and a side clad 400 . The upper clad 300, the lower clad 200, and the side clad 400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하부클래드(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지만, 상기 하부클래드(200)는 상부클래드(300)와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상부클래드(300)와 베이스부(100)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상기 베이브부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clad 200 may be disposed below the inner side of the base part 10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clad 2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clad 300 , and thus the upper clad 300 may be stabl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abe part by the strong coupling of the base part 100 .

상기 하부클래드(200)는 제1플레이트(210)와 제2플레이트(21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0)와 제2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clad 200 may include a first plate 210 and a second plate 210 .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제1플레이트(210)는 상기 하부클래드(200)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210)는 상기 제1플레이트(21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래드(200)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210 forms the bottom of the lower clad 200 and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art 100 . The second plate 210 may be bent from an end of the first plate 210 to form a sidewall of the lower clad 200 , and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se 100 .

제2플레이트(210)는 제1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2플레이트(210)는 후술하는 상부클래드(300)와 함께 베이스부(100) 내부의 4개의 측면 중 2개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10 may be provided as a pair formed by bending 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210 . The pair of second plates 210 may be disposed to cover two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base part 100 together with the upper clad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부클래드(3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200)의 상측에 결합할 수 있다. 상부클래드(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하부클래드(200)의 제2플레이트(210) 각각에 결합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클래드(300)는 한 쌍의 제2플레이트(210)와 함께 베이스부(100) 내부의 4개의 측면 중 2개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clad 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100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lad 200 . The upper clad 300 may be provided as a pair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f the second plates 210 of the lower clad 200 provided as a pair. The pair of upper cladding 300 may be disposed to cover two of the four sides of the base part 100 together with the pair of second plates 210 .

측부클래드(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200) 및 상기 상부클래드(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부클래드(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측부클래드(400)는 베이스부(100) 내부의 4개의 측면 중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덮는 부분은 제외한 나머지 2개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clad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100 and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 The side clad 400 is provided as a pair, and the pair of side clad 400 is the remaining 2 except for the portion covered by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inside the base part 100 . It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dog.

측부클래드(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부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클래드(200) 또는 상부클래드(300)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clad 40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se 100 by being coupled to the side of the base 100 or coupled to the lower clad 200 or the upper clad 300 .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베이스부(100)는 개구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후술하는 제2플레이트(210)의 후크(221)가 관통할 수 있다.The base part 100 may have an opening 120 . The opening 120 may b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ide “‡” of the base part 100 . A hook 221 of the second plate 210 to be described later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120 .

상기 개구부(12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개구부(120)에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결합하는 부위가 장착될 수 있다.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는 그 결합하는 부위가 형합부(700)를 형성할 수 있다.The opening 1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rt 100 , and a portion where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re coupled may be mounted in the opening 120 . A portion where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re coupled may form a mold portion 700 .

형합부(700)는 하부클래드(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셀(700a)과 상부클래드(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셀(700b)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형합부(700)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ld part 70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cell 700a formed at the end of the lower clad 200 and the second cell 700b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clad 300 to each other. The mold part 700 may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 and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

개구부(120)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결합하는 베이스부(100)의 양측 측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형합부(700)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개구부(120)에 결합할 수 있다.The opening 1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walls of the base part 100 to which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re coupled,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molded portion 70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to be coupled to the respective openings 120 .

상기 형합부(700)는 베이스부(100)의 개구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합부(700)가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120)에 끼워짐으로써,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는 베이스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The mold part 700 may be mounted on the opening 120 of the base part 100 . That is,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re fitted into the opening 120 of the base, so that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re connected to the base. It may be mounted on the unit 100 .

형합부(700)를 이루는 하부클래드(200)에 구비되는 제1셀(700a)은 하부클래드(200)의 제2플레이트(210)로부터 절곡된 후 다시 한번더 절곡되어 그 단면이 대체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셀(700a)의 양단에는 제1셀(700a)로부터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곡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바(63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홀(701)(도 10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ell 700a provided in the lower clad 200 constituting the mold portion 700 is bent from the second plate 210 of the lower clad 200 and then again bent so that the cross-section is generally L-shaped can have A bent portion bent from the first cell 700a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ell 700a, and a mounting hole 701 (FIG. 10) into which a guide bar 6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see) can be formed.

형합부(700)를 이루는 상부클래드(300)에 구비되는 제2셀(700b)은 상부클래드(300)의 상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셀(700b)의 단부에 구비되는 플랜지(310)가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110)와 결합함으로써, 상부클래드(300)는 베이스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cell 700b provided in the upper clad 300 constituting the mold portion 700 may be formed by b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clad 300 . By combining the flange 310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cell 700b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1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100 , the upper clad 300 can be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 there i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커버부재(610) 및 디바이더(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aw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610 and a divider 620 .

커버부재(610)는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부재(61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개구부(120)를 폐쇄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610 may be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ide of the base part 100 , and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100 to close the opening 120 . The cover member 610 may be provided as a pair in order to close the openings 120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rt 100 .

한편, 커버부재(610)는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후술하는 가이드바(630)의 양단을 덮어 상기 가이드바(630)가 드로어(5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member 61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100 to cover both ends of the guide bar 630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ort the guide bar 630 to be stably coupled to the drawer 50 . can

커버부재(610)는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상기 베이스부(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결합돌출부(110)에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61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00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100 by a screw bolt 500 to be coupled to the base 100 . can do.

후술하지만, 상기 결합돌출부(110)에는 상부클래드(300)에 구비되는 플랜지(310)가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출부(110)에는 상부클래드(300) 및 커버부재(610)가 공통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Although described later, the flange 310 provided in the upper clad 3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by a screw bolt 500 . Accordingly, the upper clad 300 and the cover member 610 may be commonly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

디바이더(620)는 상기 베이스부(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바이더(620)는 저장 대상물이 수납되는 드로어(50)의 내부를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divider 6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100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100 . The divider 620 may serve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drawer 50 in which the storage object is accommodated.

도면에서는 일 실시예로 하나의 디바이더(6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디바이더(620)는 2개 이상으로 상기 드로어(50)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one divider 620 is illustrated as an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dividers 620 may be provided in the drawer 50 as needed.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바이더(620)를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바이더(620)가 구획하는 복수의 영역에 종류가 다른 저장 대상물을 분리하여 상기 드로어(50)에 수납할 수 있다.The user moves the divider 62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unit 100 as needed to separate storage objects of different types in a plurality of areas partitioned by the divider 620 and store them in the drawer 50. can

상기 디바이더(62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몸체에 금속 박판을 덮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divider 62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astic body is covered with a thin metal plate.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50)는 가이드바(630) 및 가이드브라켓(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30) 및 가이드브라켓(640)은 상기 디바이더(620)가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다.The draw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ar 630 and a guide bracket 640 . The guide bar 630 and the guide bracket 640 may guide and support the divider 620 to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100 .

가이드바(630)는 상기 개구부(120)에 배치될 수 있고, 그 길이“‡향이 개구부(120)의 길이“‡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30)의 양단부는 하부클래드(2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630)의 양단부는 베이스부(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바(63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bar 630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120 , and the length “‡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length of the opening 120” and the ‡ direction. Both ends of the guide bar 6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lad 200 .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guide bar 630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part 100 . The guide bars 630 ar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rt 100 , respectively.

가이드바(630)의 단부는 하부클래드(200)의 제1셀(700a)의 측부에 형성되는 장착홀(701)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클래드(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630)의 단부는 장착홀(701)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장착홈(101)에 장착될 수 있다.The end of the guide bar 63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701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cell 700a of the lower clad 200 to be mounted on the lower clad 200 . In addition, the end of the guide bar 630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01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portion 100 at a position facing the mounting hole (701).

따라서, 가이드바(630)는 상기 장착홀(701)과 장착홈(101)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클래드(200)와 베이스부(100)에 의해 지지되고, 드로어(5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30)는 예를 들어, 내구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refore, the guide bar 630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701 and the mounting groove 101 , is supported by the lower clad 200 and the base part 100 , and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drawer 50 . there is. The guide bar 63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with good durability. However,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가이드브라켓(640)은 일측은 상기 디바이더(620)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630)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64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디바이더(620)의 양측에 결합하고, 한 쌍의 가이드바(63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640) 각각에 결합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guide bracket 640 may be coupled to the divider 620 , and the other side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bar 630 . A pair of guide brackets 640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vider 620 , and a pair of guide bars 63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guide brackets 640 .

가이드브라켓(640)은 가이드바(63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브라켓(640)이 가이드바(63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바(630)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상기 가이드바(630)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디바이더(620)는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guide bracket 640 may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100 while sliding with respect to the guide bar 630 . Accordingly, the guide bracket 640 is guided by the guide bar 630 and moved on the guide bar 630 while slidingly contacting the guide bar 630 , so that the divider 62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100 . can move to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 6 .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6 .

도 9는 도 2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일부 부품을 추가한 도면이다.9 is a view in which some parts are omitted from FIG. 2 . FIG.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C of FIG. 9 . FIG. 11 is a view in which some parts are added in FIG. 10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클래드(300)는 상기 하부클레드 및 상기 베이스부(100)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31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upper clad 300 may include a flange 310 that passes through the lower clad and the base part 100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100 .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500)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610)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base part 10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110 to which the screw bolt 500 is coupled may be provided. The coupling protrusion 110 may be formed to couple the cover member 610 as described above.

상기 결합돌출부(110)는 나사가 결합하기 위한 나사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110)는 커버부재(610)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610)가 장착되는 베이스부(100)의 개구부(120)에 인접하여 상기 개구부(12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개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110 may be formed with a screw hole 111 for screw coupling. The coupling protrusion 1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pening 120 adjacent to the opening 120 of the base portion 100 to which the cover member 610 is mounted in order to couple with the cover member 610 .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120 .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커버부재(610)와 플랜지(310)를 공통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를 베이스부(100)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by coupling the cover member 610 and the flange 310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n common, 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re firmly attached to the base 100. can be combined.

즉, 상부클래드(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10)를 하부클래드(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221)에 결합시키고, 상기 플랜지(310)는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110)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를 베이스부(1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lange 310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clad 300 is coupled to the hook 221 formed at the end of the lower clad 200 , and the flange 310 is formed outside the base 100 . By coupl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to be used,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00 .

또한, 결합돌출부(110)는 커버부재(610)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상부클래드(30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클래드(300)와 하부클래드(20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베이스부(100)에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부(10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s formed for coupling the cover member 610. By coupling the upper clad 300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the upper clad 300 and the lower clad 200 are coupled. Since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structure for the base portion 100, the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100 can be simplified.

상기 플랜지(310)는 상부클래드(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클래드(30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10)는 상부클래드(300)의 제2셀(700b)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clad 300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clad 300 . 7 , the flange 31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cell 700b of the upper clad 300 .

상기 플랜지(310)는 결합부(311) 및 연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1)는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상기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볼트(500)가 삽입되는 삽입홀(31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31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311 and a connection part 312 . The coupling part 311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by the screw bolt 500 , and an insertion hole 311a into which the screw bolt 500 is inserted may be formed.

하부클래드(200) 및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하는 경우에 플랜지(310)는 결합돌출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10)의 개수는 베이스부(100)의 측방향으로 배치된 결합돌출부(110)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플랜지(310)의 개수는 하부클래드(200) 및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re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 the flange 310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 The number of flanges 310 may not match the number of coupling protrusions 110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0 . The number of flanges 310 may be selected as an appropriate number in consideration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base portion 100 .

연결부(312)는 일단은 상기 결합부(3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클래드(300)의 하부 즉, 제2셀(700b)에 연결되고,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310)가 상기 결합돌출부(110)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312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3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lad 300, that is, the second cell 700b, and referring to FIG. 11, the flange 310 may be bent when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

플랜지(310)가 결합돌출부(1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312)가 벤딩되어 결합부(311)의 삽입홀(311a)이 결합돌출부(110)에 형성된 나사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에 스크류볼트(500)가 삽입홀(311a)과 나사홀(111)에 삽입된 후에 스크류볼트(500)를 체결하여 플랜지(310)와 커버부재(610)를 베이스부(100)에 결합시킨다.When the flange 3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0 , referring to FIG. 11 , the coupling part 312 is bent so that the insertion hole 311a of the coupling part 311 is a screw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110 . 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111). After the screw bolt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1a and the screw hole 111 , the screw bolt 500 is fastened to couple the flange 310 and the cover member 610 to the base part 100 . .

도 8을 참조하면, 하부클래드(200)의 제2플레이트(210)에는 그 상단부 즉, 제1셀(700a)의 단부에 상기 상부클래드(300)의 상기 플랜지(310)가 관통하는 후크(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221)는 하부클래드(200)의 제1셀(700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221)는 상기 플랜지(31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econd plate 210 of the lower clad 200 has a hook 221 through which the flange 310 of the upper clad 300 passes through its upper end, that is, at the end of the first cell 700a. )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8 , the hook 22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cell 700a of the lower clad 200 . The number of hooks 221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lange 310 .

후크(221)는 제1피스(221a) 및 제2피스(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셀(700a)은 일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21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10)가 관통하는 관통홀(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피스(221b)는 상기 제1피스(221a)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221 may include a first piece 221a and a second piece 221b. One side of the first cell 700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econd plate 210 , and a through hole 2211 through which the flange 310 passes may be formed. The second piece 221b may be bent from the first piece 221a.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하는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0 및 도 11에서는 가이드의 도시를 생략하였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are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For clarity, illustration of the guide is omitted in FIGS. 10 and 11 .

베이스부(100)에 형성되는 개구부(120)에는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형합부(7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310)는 후크(221)에 형성된 관통홀(2211)에 삽입되고 또한 개구부(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opening 120 formed in the base part 100 , the mold part 700 formed by combining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may be mounted. In this case, the flange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11 formed in the hook 221 and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opening 120 .

관통홀(2211)과 개구부(120)에 삽입된 플랜지(310)는 작업자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플랜지(310)가 벤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10)의 삽입홀(311a)과 결합돌출부(110)의 나사홀(11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The flange 31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11 and the opening 120 may be bent by an operator. When the flange 310 is bent, as shown in FIG. 11 , the insertion hole 311a of the flange 310 and the screw hole 1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0 may be plac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다음으로, 커버부재(610)를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개구부(120)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에 작업자는 스크류볼트(500)를 커버부재(610)의 홀, 플랜지(310)의 삽입홀(311a) 및 결합돌출부(110)의 나사홀(111)에 삽입할 수 있다.Next, the cover member 610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120 formed in the base part 100 . Thereafter, the operator may insert the screw bolt 500 into the hole of the cover member 610 , the insertion hole 311a of the flange 310 , and the screw hole 1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0 .

다음으로, 작업자는 스크류볼트(50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나의 스크류볼트(500)로 커버부재(610) 및 플랜지(310)를 동시에 베이스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Next, the operator may fasten the screw bolt 500 . Due to this structure, the cover member 610 and the flange 310 can b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with one screw bolt 500 .

또한, 플랜지(310)는 후크(221)의 관통홀(2211)에 삽입되므로, 플랜지(31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면, 플랜지(310)에 결합된 후크(221)도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310)가 형성되는 상부클래드(300)와 후크(221)가 형성되는 하부클래드(200)는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베이스부(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ange 3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11 of the hook 221 , when the flange 310 is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 the hook 221 coupled to the flange 310 is also inserted into the base part ( 100) can be combined. Accordingly, the upper clad 300 in which the flange 310 is formed and the lower clad 200 in which the hook 221 is formed can be stably and firmly coupled to the base 100 by the screw bolt 500 .

실시예에서, 동일한 스크류볼트(500)에 의해, 커버부재(610), 하부클래드(200) 및 상부클래드(300)가 베이스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ver member 610 , the lower clad 200 , and the upper clad 3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by the same screw bolt 500 .

전술한 구조로 인해,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베이스부(100)에 마련하지 않고, 커버부재(610)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돌출부(110)를 이용하여 하부클래드(200)와 상부클래드(300)를 베이스부(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separate structure for coupling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is not provided on the base 1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0 used for coupling the cover member 610. By using the lower clad 200 and the upper clad 300 can be stably and firmly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캐비넷 20: 도어
20a: 하부도어 21: 도어
22: 손잡이부 30: 디스펜서
40: 힌지부재 50: 드로어
100: 베이스부 101: 장착홈
110: 결합돌출부 111: 나사홀
120: 개구부 200: 하부클래드
210: 제1플레이트 220: 제2플레이트
221: 후크 221a: 제1피스
2211: 관통홀 221b: 제2피스
300: 상부클래드 310: 플랜지
311: 결합부 311a: 삽입홀
312: 연결부 400: 측부클래드
500: 스크류볼트 610: 커버부재
620: 디바이더 630: 가이드바
640: 가이드브라켓 700: 형합부
700a: 제1셀 700b: 제2셀
701: 장착홀
10: cabinet 20: door
20a: lower door 21: door
22: handle 30: dispenser
40: hinge member 50: drawer
100: base 101: mounting groove
110: coupling protrusion 111: screw hole
120: opening 200: lower clad
210: first plate 220: second plate
221: hook 221a: first piece
2211: through hole 221b: second piece
300: upper clad 310: flange
311: coupling portion 311a: insertion hole
312: connection 400: side clad
500: screw bolt 610: cover member
620: divider 630: guide bar
640: guide bracket 700: molded part
700a: first cell 700b: second cell
701: mounting hole

Claims (11)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및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부클래드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클래드는,
상기 하부클레드 및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드로어(drawer).
a base portion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torage object;
a lower clad dispos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ase;
an upper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lad; and
A side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lower clad and the upper clad.
including,
The upper clad is
and a flange passing through the lower clad and the base part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Dra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상기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드로어.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art,
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 screw bolt is coupled,
The flange is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by the screw bol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crew bolt is insert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lad, and the connecting part is bent when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containing,
Draw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래드는,
상기 하부클래드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래드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단부에 상기 상부클래드의 상기 플랜지가 관통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드로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clad is
a first plate forming a bottom of the lower clad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ase part; and
A second plate is formed to be bent from an end of the first plate to form a sidewall of the lower clad, and a hook through which the flange of the upper clad passes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containing,
Draw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일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피스; 및
상기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피스
를 포함하는,
드로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hook is
a first piece having one side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lange passes; and
A second piece formed to be bent from the first piece
containing,
Draw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드로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ase par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side "‡ direction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hook passes,
Drawer.
제5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상기 베이스부의 측“‡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드로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side "‡ direction of the base part, further comprising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to close the opening,
Draw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
를 더 포함하는,
드로어.
7. The method of claim 6,
A divide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further comprising,
Draw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바; 및
일측은 상기 디바이더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하는 가이드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드로어.
8. The method of claim 7,
a guide bar disposed in the opening;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divider, and the other side is a guide bracket coupled to the guide bar to be movable.
further comprising,
Dra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래드,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측부클래드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형성되는,
드로어.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lad, the lower clad and the side clad ar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Drawer.
냉장실; 및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드로어가 구비되는 냉동실
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클래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클래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클래드 및 상기 상부클래드의 측면에 결합하는 측부클래드; 및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바이더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클래드는,
상기 하부클레드 및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냉장고.
cold room; and
A freezer compartment disposed und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drawer
including,
The drawer is
a base portion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torage object;
a lower clad dispos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ase;
an upper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lad;
a side clad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coupled to side surfaces of the lower clad and the upper clad; and
A divider disposed inside the base part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including,
The upper clad is
and a flange passing through the lower clad and the base part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Refrigera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결합하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상기 스크류볼트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일단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클래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결합돌출부에 결합하는 경우에 벤딩(bending)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ase part,
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 screw bolt is coupled,
The flange is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by the screw bol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crew bolt is insert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lad, and the connecting part is bent when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containing,
Refrigerator.
KR1020200151341A 2020-11-12 2020-11-12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45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41A KR102445801B1 (en) 2020-11-12 2020-11-12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41A KR102445801B1 (en) 2020-11-12 2020-11-12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15A true KR20220064815A (en) 2022-05-19
KR102445801B1 KR102445801B1 (en) 2022-09-20

Family

ID=8180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341A KR102445801B1 (en) 2020-11-12 2020-11-12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80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109A (en) * 2007-09-11 2009-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Drawer and drawer type refrigerator using the drawer
KR20110136618A (en) * 2010-06-15 2011-1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A drawer-room for refrigerater
KR20150029785A (en) * 2013-09-09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basket for refrigerator
KR20150073540A (en) * 2013-12-23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vider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20160038357A (en)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Drawer for the refrigerator
KR20170034713A (en) * 2015-09-21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ld air fluid monitoring system thereof
KR20210048482A (en) * 2018-06-20 2021-05-03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Light-adjustable partitions in storage compartments for refrigerator applianc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109A (en) * 2007-09-11 2009-03-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Drawer and drawer type refrigerator using the drawer
KR20110136618A (en) * 2010-06-15 2011-1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A drawer-room for refrigerater
KR20150029785A (en) * 2013-09-09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basket for refrigerator
KR20150073540A (en) * 2013-12-23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vider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20160038357A (en)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Drawer for the refrigerator
KR20170034713A (en) * 2015-09-21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ld air fluid monitoring system thereof
KR20210048482A (en) * 2018-06-20 2021-05-03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Light-adjustable partitions in storage compartments for refrigerator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801B1 (en)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0703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02614B2 (en) Refrigerator
KR101622008B1 (en) Sealing structure of a central wall for refrigrator and refrigrator having the same
US8851590B2 (en) Refrigerator having sub door
KR102396040B1 (en) refrigerator
KR102629953B1 (en) Refrigrator
US10429121B2 (en) Refrigerator
US100479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US9709316B2 (e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ator
US20080203878A1 (en) Refrigerator with regulation members
KR102445801B1 (en)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0392404B1 (en) Refrigerator
KR20080079103A (en) Storage basket for refrigerator
CN108027196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102620275B1 (en) Refrigerator
JP7127816B2 (en) refrigerator
KR20210072537A (en) Refrigerator
CN112424549B (en) Support component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with same
KR101902247B1 (en) A refrigerator door structure having a dividing ba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thereof
JP2017207257A (en) Refrigerator and drawer type door
KR20220090198A (en) Shelf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14623647A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20230132219A (en) Refrigerator
JP2013068389A (en) Refrigerator
KR200158565Y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