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776A -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 Google Patents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776A
KR20220064776A KR1020200151259A KR20200151259A KR20220064776A KR 20220064776 A KR20220064776 A KR 20220064776A KR 1020200151259 A KR1020200151259 A KR 1020200151259A KR 20200151259 A KR20200151259 A KR 20200151259A KR 20220064776 A KR20220064776 A KR 2022006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shing
protrusion
cov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831B1 (ko
Inventor
최혁수
Original Assignee
최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수 filed Critical 최혁수
Priority to KR102020015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8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낚시 받침틀에 있어서, 받침뭉치가 고정되는 받침프레임을 측방향으로 2개 이상 확장연결할 때, 효율적인 구성으로 안출된 조인트를 이용하여 연결토록 하면서 확장을 위한 결합과 분리 동작이 쉽고 편리하도록 구성한 낚시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Fishing pedestal easy to disconnect for connection}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낚시 받침틀에 있어서, 받침뭉치가 고정되는 받침프레임을 측방향으로 2개 이상 확장연결할 때, 결합하는 동작이 부드럽고 편리하면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분리시에도 힘들이지 않고 쉽고 빠르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낚시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때는 낚싯대의 후단부와 중단부를 받침대로 받쳐주어야 낚싯대를 손을 잡고 있는 불편을 제거하면서 편안하게 낚시를 할 수 있으며, 낚싯대의 후단은 통상 낚싯대가 들려 올라가지 않게 거치하는 받침뭉치를 이용한다.
최근에는 여러 대의 낚싯대를 연속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긴 받침프레임의 위에 낚싯대의 후단을 거치하는 받침뭉치를 여러 개 설치하도록 된 낚시 받침틀이 사용되고 있다.
그 예는 아래 선행기술 문헌과 같은데, 선행기술 문헌과 같은 종류의 낚시 받침틀은 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홈이 형성된 받침프레임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받침프레임의 고정홈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받침뭉치를 고정시키거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받침프레임의 양끝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마감커버가 결합된다.
그런데 낚시받침틀 사용자의 취향이나 낚시 여건에 따라서 더 많은 숫자의 낚싯대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받침프레임의 좌측 우측에 또 다른 받침프레임을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확장연결 구성의 종래 구성 예로는 받침프레임이 일측에는 돌출부를 갖는 마감커버를 결합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요입부를 갖는 마감커버를 구성하여 일측 받침프레임의 돌출 마감커버가 다른 받침프레임의 요입 마감커버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확장연결 구성의 단점으로는 연결이 필요 없이 하나의 낚시 받침틀만을 사용하더라도 항상 일측에는 돌출된 마감커버가 결합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거추장스러운 단점이 있었으며, 지면에 꽂히면서 낚시 받침틀 전체의 수평을 유지해주는 지지간을 받침프레임에 설치시 받침프레임의 끝단부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밖에 없으므로 받침뭉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고 양측 지지간 사이의 간격이 충분하지 못하여 불안정하게 설치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확장연결 수단에 의하면 결합시 돌출 마감커버가 요입 마감커버에 결합되면서 볼플런저가 볼요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이 되는데, 이러한 결합구성만으로는 고정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사용도중 의도하지 않게 분리가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좀 더 꽉 끼이는 결합방식을 취할 경우에는 결합과 분리에 힘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분리시에는 강한 힘을 가하다가 낚시 받침틀 위에 정렬된 낚싯대가 흐트러져버려 낚시를 망치게 되는 경우의 문제도 있었다.
특허공개공보 10-2012-0075310(공개일자 2012년07월06일)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낚시 받침틀의 받침프레임을 결합하는 구성을 개선하여 양단에 결합되는 마감커버의 구성을 개선하고 연결을 위한 별도의 조인트를 구성하여 받침프레임을 연결토록 하되, 조인트와 마감커버 간의 결합은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분리시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 받침틀은, 받침프레임을 갖고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형성한 뭉치고정홈을 이용하여 낚싯대의 후단을 거치하는 받침뭉치를 고정하며, 받침뭉치는 뭉치고정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를 조절하도록 된 낚시 받침틀에 적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받침프레임의 양단에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 마감커버를 각각 구성하여 결합하고, 상기 마감커버에 삽입되는 조인트를 사용하여 연결하도록 구성하되, 조인트의 돌출부의 일측에는 직선부와 경사부를 구성하여 마감커버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분리시 경사만큼 일측 받침프레임의 마감커버가 젖혀지도록 한 후 쉽게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 받침틀의 연결이 필요할 때는 가벼운 힘을 가하여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정교한 걸림작용이 일어나면서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분리시에도 힘들이지 않고 약간 젖힌 후 당기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분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낚시 받침틀을 이용한 낚시를 더욱 재미있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결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 낚시 받침틀의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은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낚시 받침틀은 기존의 구성과 같이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직선 또는 곡선형으로 구성된 받침프레임(10)을 갖고, 받침프레임(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뭉치고정홈(11)을 이용하여 낚싯대의 후단을 거치하는 받침뭉치(20)를 하나 이상 고정하여 뭉치고정홈(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받침프레임(10)의 양단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마감커버(30)를 구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낚시 받침틀은 받침프레임(10)의 양단에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 마감커버(30)를 각각 구성하여 결합하며, 상기 마감커버(30)에 삽입되는 조인트(40)를 사용하여 받침프레임(10)을 연결하도록 구성하였다.
마감커버(30)는 받침프레임(1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의 외부커버부(31)와 받침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삽입부(32)로 구성되며, 내부삽입부(32)의 중앙에는 조인트(40)의 돌출부(41) 또는 기타 장치의 돌출부가 삽입될 삽입구멍(33)을 갖는다.
삽입구멍(33)의 내부 하면에는 볼홈(34)을 구성하여 조인트(40)의 볼플런저(42)가 삽입되도록 하였으며, 마감커버(30)의 측면에는 결합홈(35)을 구성하여 조인트(40)와 결합시 조인트(40)의 탄성바(43)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조인트(40)는 중앙의 판체(40-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마감커버(30)의 삽입구멍(33)에 삽입될 돌출부(41)를 구성하였으며, 돌출부(41)에는 양측에 탄성을 가하기 위한 탄성구멍(44)을 형성하여 돌출부(41)가 삽입구멍(33)에 삽입될 때 돌출부(41)의 측면이 약간 수축되면서 삽입되어 견고한 삽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 마감커버(30)의 삽입구멍(33) 끝단에는 내측을 향하는 걸림턱(36)을 구성하였고, 조인트(40)의 돌출부(41) 끝단에는 돌출부(41)가 완전히 삽입시 상기 걸림턱(36)에 걸리는 걸림돌부(45)를 구성하여 결합시 걸림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분리시에도 장애를 갖지 않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조인트(40)는 일측의 돌출부의 일면에는 직선부(46-1)와 경사부(46-2)를 동시에 갖도록 구성하고 이에 따라 마감커버(30)와 결합시 경사부(46-2)에 의해 삽입구멍(33)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46-3)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사면이 형성된 부분의 끝단 걸림돌부(45')는 걸림턱(36)에 걸리지 않도록 짧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살펴본다.
낚싯대의 설치 숫자를 늘이기 위해 받침프레임(10)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는 조인트를 이용하여 또 다른 받침프레임을 연결하는데, 조인트(40)의 돌출부(41)를 일측 받침프레임(10)의 마감커버(30) 삽입구멍(33)에 삽입하고 조인트(40)의 반대측 돌출부(41)는 추가로 연결할 받침프레임(10)의 마감커버(30) 삽입구멍(33)에 삽입하여 연결을 완료한다.
상기 삽입구멍(33)에 돌출부(41)가 삽입되면 돌출부의 볼플런저(42)가 삽입구멍(33)의 볼홈(34)에 삽입되면서 촉감이나 소리로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또한, 결합을 완료하면, 조인트(40)의 탄성바(43)가 마감커버(30)의 결함홈(35)에 삽입되어 흔들림 없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조인트(40)의 끝단 걸림돌부(45)은 조인트(40)의 삽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걸림턱(36)에 걸리는 상태가 되고, 일측의 걸림돌부(45')는 걸리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 (도 3a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분리를 할 때는 도 3b와 같이 우측의 연결된 받침프레임(10)을 반시계방향으로 살짝 밀어주는데, 이러한 동작으로 우측 연결된 받침프레임(10)와 마감커버(30)는 상기 설명한 경사부(46-2)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46-3) 만큼 젖혀지게(각도 a) 되며, 이로 인하여 걸림돌부(45)는 해당위치의 걸림턱(36)을 벗어나게 되고, 동시에 볼플런저(42)도 볼홈(34)을 벗어나게 되므로 곧바로 조인트(40)와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일측 받침프레임(10)이 젖혀진 상태로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쉽게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만약 상기와 같이 일측 받침프레임(10)이 젖혀지지 않은 상태로 분리를 하려고 하면 걸림돌부(45)가 걸림턱(36)에 걸린 상태가 되고 볼 플런저(42)도 불홈(34)에 완전히 걸린 상태가 되므로 상당한 힘이 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하나의 받침프레임의 양측 어느 방향으로든 또 다른 받침프레임을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견고한 연결상태와 손쉬운 결합 분리를 가능하게 된다.
10: 받침프레임
11: 뭉치고정홈
20: 받침뭉치
30: 마감커버
31: 외부커버부
32: 내부삽입부
33: 삽입구멍
34: 볼홈
35: 결합홈
36: 걸림턱
40: 조인트
40-1: 판체
41: 돌출부
42: 볼플런저
43: 탄성바
44: 탄성구멍
45: 걸림돌부
46-1: 직선부
46-2: 경사부
46-3: 공간

Claims (2)

  1. 직선 또는 곡선형으로 구성된 받침프레임(10)을 갖고, 받침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한 뭉치고정홈을 이용하여 낚싯대의 후단을 거치하는 받침뭉치(20)를 하나 이상 고정하며, 받침뭉치는 뭉치고정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를 조절하도록 된 낚시 받침틀에 있어서,
    받침프레임(10)의 양단에 대칭적인 형태를 갖는 마감커버(30)를 각각 구성하여 결합하고, 상기 마감커버(30)에 삽입되는 조인트(40)를 사용하여 받침프레임(10)을 연결하도록 구성하며,
    조인트(40)는 중앙의 판체(40-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마감커버(30)의 삽입구멍(33)에 삽입될 돌출부(41)를 구성하여 결합하되, 돌출부의 일측에는 직선부와 경사부를 구성하여 마감커버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분리시 경사만큼 일측 받침프레임의 마감커버가 젖혀지도록 한 후 쉽게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2. 제1항에 있어서, 마감커버(30)의 삽입구멍(33) 끝단에는 내측을 향하는 걸림턱(36)을 구성하였고, 조인트(40)의 돌출부(41) 끝단에는 돌출부(41)가 완전히 삽입시 상기 걸림턱(36)에 걸리는 걸림돌부(45)를 구성하여 결합시 걸림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분리시에도 장애를 갖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KR1020200151259A 2020-11-12 2020-11-12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KR10253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59A KR102539831B1 (ko) 2020-11-12 2020-11-12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59A KR102539831B1 (ko) 2020-11-12 2020-11-12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776A true KR20220064776A (ko) 2022-05-19
KR102539831B1 KR102539831B1 (ko) 2023-06-02

Family

ID=8180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259A KR102539831B1 (ko) 2020-11-12 2020-11-12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8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945U (ko) * 1998-01-08 1999-08-16 김진웅 낚시대 받침대의 지지다리 조절구조
KR20010035084A (ko) * 2000-12-19 2001-05-07 정대인 낚시릴의 핸들 절첩장치
KR200443902Y1 (ko) * 2008-10-10 2009-03-24 조용주 낚시대받침틀
KR20120055057A (ko) * 2010-11-23 2012-05-31 세 진 박 낚시대 받침장치
KR20120075310A (ko) 2010-12-28 2012-07-06 최종대 낚시받침대 골조의 연결장치
KR20200114666A (ko) * 2019-03-29 2020-10-07 김기범 낚시릴용 진열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945U (ko) * 1998-01-08 1999-08-16 김진웅 낚시대 받침대의 지지다리 조절구조
KR20010035084A (ko) * 2000-12-19 2001-05-07 정대인 낚시릴의 핸들 절첩장치
KR200443902Y1 (ko) * 2008-10-10 2009-03-24 조용주 낚시대받침틀
KR20120055057A (ko) * 2010-11-23 2012-05-31 세 진 박 낚시대 받침장치
KR20120075310A (ko) 2010-12-28 2012-07-06 최종대 낚시받침대 골조의 연결장치
KR20200114666A (ko) * 2019-03-29 2020-10-07 김기범 낚시릴용 진열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831B1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5005A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KR20120027185A (ko) 기타 행거
US20100177276A1 (en) Eyeglass retainer device
US8272619B2 (en) Wire guide
KR20220064776A (ko) 연결을 위한 결합분리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US7909186B1 (en) Clothes hanger apparatus
KR101195711B1 (ko) 접이식 지팡이
KR20150080671A (ko)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
KR20220064774A (ko) 확장연결이 용이한 낚시 받침틀
US9301586B1 (en) Arise ponytail holder
US20070137681A1 (en) Beach umbrella article storage accessory
CN102995949A (zh) 帐篷收折关节
KR101458767B1 (ko) 바닥재 패널 조립용 클립
US8151384B2 (en) Shower expander
US3654983A (en) Device for forming pleats on curtains
KR200489812Y1 (ko) 유리창 고정구조
KR20220001126U (ko) 받침뭉치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한 낚시 받침틀
US10561236B2 (en) Connector apparatus
KR200495290Y1 (ko) 조립이 용이한 떠구지
US8413860B2 (en) Pullover garment hanger assembly
KR200254088Y1 (ko) 텐트용 고리
CN217241690U (zh) 一种瓜果栽培爬蔓架
KR200494061Y1 (ko) 낚시대 받침장치
KR200313457Y1 (ko) 자동닫힘우산의 구성
KR20210136758A (ko) 레저용 다용도 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