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666A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4666A KR20220064666A KR1020200150999A KR20200150999A KR20220064666A KR 20220064666 A KR20220064666 A KR 20220064666A KR 1020200150999 A KR1020200150999 A KR 1020200150999A KR 20200150999 A KR20200150999 A KR 20200150999A KR 20220064666 A KR20220064666 A KR 20220064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 generating device
- atomizer
- aerosol generating
- guide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로졸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discharge an aerosol to the outsid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증기를 생성한 후 생성한 증기를 고체 상태의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echnology to replace a method of supplying an aerosol by burning a conventional cigarette. For example, generating an aerosol from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a liquid or solid state, or generating a vapor from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a liquid state and passing the generated vapor through a solid fragrance medium to supply an aerosol having a flavor Research on such methods is in progress.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기, 및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atomizer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atomiz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tomizer to the outside.
종래에는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통로 내에서 오랜 시간 체류하면,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구강에 빠르게 도달하지 못하거나 배출통로 내에 와류(Vortex) 등이 발생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Conventionally, when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tomizer stays in the discharge passage for a long time, the aerosol does not reach the user's oral cavity quickly or a vortex is gener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performan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reduced. Therefore, a technology for easily discharging the generated aerosol to the outside is required.
실시예들은 에어로졸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discharging an aerosol to the outsid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imple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기; 상기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통로;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통로의 일 단에 배치된 제 1 배출공; 상기 무화기를 향하는 상기 배출통로의 타 단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통로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배출공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배출공; 및 상기 배출통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무화기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상기 곡면을 따라 상기 제 1 배출공을 향해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면;을 포함한다.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tomizer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atomiz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tomizer; a first discharge hole dispos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so that the aeroso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second discharge hol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toward the atomiz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charge hole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extends; and a guide surface including a curved surface at least partially curv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guiding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atomizer to flow along the curved surface toward the first discharge hole.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receiving part connected 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receiv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through which the generated aerosol passes.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곡면인 유도면을 이용한 코안다(Coanda) 효과를 통해 에어로졸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discharge the aerosol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anda effect using a curved induction surface.
또한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배출통로 내에서 에어로졸이 체류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배출통로 내의 와류(Vortex)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reduce the time the aerosol stays in the discharge passage,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a vortex in the discharge passage.
또한,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배출통로 내에서 에어로졸을 빠르게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을 비교적 높은 온도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an rapidly flow the aerosol in the discharge passage, the aerosol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기준으로 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정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기 위해 정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유입통로의 여러가지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요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in which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inserted in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
5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6A is an enlarged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front 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6B and 6C are enlarged views of a part of a front sectional view to show a modified example of a par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7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A to 8C are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let passage.
9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some elem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11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inserted in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삽입될 수 있다. 1 and 2 ,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를 포함하지만,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현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증기화기가 생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증기화기가 생략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히터(130)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가열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Although the aerosol-generatin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히터(13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도 1에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 제어부(120),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1 illustrates that the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140)를 작동시켜, 증기화기(14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14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증기화기(140)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When the aerosol-generating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 또는 증기화기(14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도 1 및 도 2에는 히터(130)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1 and 2 , the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히터(1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증기화기(14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The liquid reservoir may store the liquid composition. 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comprising a volatile tobacco flavor component, or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non-tobacco material. The liquid storage unit may be manufactured to be detachably/attached from the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iquid delivery means may deliver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liquid reservoir to the heating element. For example, the liquid delivery mean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wick such as cotton fiber, ceramic fiber, glass fiber, or porous ceramic.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The heating element is an element for heating the liquid composition delivered by the liquid delivery means. For example, the heating elem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etal heating wire, a metal heating plate, a ceramic heat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may be composed of a conductive filament, such as a nichrome wire, and may be arranged to be wound around the liquid delivery means. The heating element may be heated by supplying an electrical current, and may transfer heat to the liquid composition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thereby heating the liquid composition. As a result, an aerosol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배터리(11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가 가열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 and 2 , the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aerosol-generating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The entire firs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at least one air passage formed in the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기준으로 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 and FIG. 5 is FIG. 4 It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화기(11),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통로(2),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통로(2)의 일 단에 배치된 제 1 배출공(2a), 무화기(11)를 향하는 배출통로(2)의 타 단에 배치되고, 배출통로(2)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제 1 배출공(2a)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배출공(2b), 및 배출통로(2)의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곡면을 포함하고, 무화기(1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곡면을 따라 제 1 배출공(2a)을 향해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면(3)을 포함한다. 3 to 5, the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첫째,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곡면인 유도면(3)을 이용한 코안다(Coanda) 효과를 통해 에어로졸을 제 1 배출공(2a)으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도면(3)을 통해 배출통로(2) 내에서 에어로졸이 체류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배출통로(2) 내의 와류(Vortex)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둘째,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출통로(2) 내에서 에어로졸을 빠르게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 2 배출공(2b)으로부터 배출된 에어로졸이 비교적 높은 온도로 제 1 배출공(2a)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방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하에서 설명할 배출통로(2) 및 유도면(3)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 한 원통형의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이하에서는 무화기(11), 배출통로(2), 및 유도면(3)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무화기(1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무화시켜서 에어로졸(Aerosol)을 생성한다. 무화기(1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가열할 수 있다. 무화기(1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 상태의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4 and 5 , the
무화기(11)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력공급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공급기는 무화기(1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만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와 함께 무화기(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용 칩이나 제어용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무화기(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일 예로서, 무화기(1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흡수하는 다공성 판, 다공성 판에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부, 및 흡수부에 감겨 있거나 흡수부와 접촉하거나 흡수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가열부는 전력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저항성 발열체일 수 있다. 가열부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가열부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흡수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may be an electrically resistive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The heating element inclu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 heating element can be heated as a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However, the heating un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heated to a desired temperature. The aerosol-generating
가열부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부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heating element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 For example,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s include titanium, zirconium, tantalum, platinum, nickel, cobalt, chromium, hafnium, niobium, molybdenum, tungsten, tin, gallium, manganese, iron, copper, stainless steel, nichrome, etc. It may be a metal or metal alloy inclu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metal hot wire, a metal hot plate on which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is disposed, a ceramic heating element,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예로서, 무화기(11)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무화기(11)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무화기(11)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진동자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으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다.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은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The vibrator can generate short-period vibrations.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or may be ultrasonic vibr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 ultrasonic vibration may be, for example, 100 kHz to 3.5 MHz. By the short-perio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or, the
진동자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세라믹은 물리적인 힘(압력)에 의해 전기(전압)를 발생하고 역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진동(기계적인 힘)을 발생함으로써 전기와 기계적인 힘을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이다. 따라서 진동자에 인가된 전기에 의해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작은 진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The vibrator may include, for example, piezoelectric ceramic, which generates electricity (voltage) by a physical force (pressure) and conversely generates vibration (mechanical forc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hereby generating electricity and It is a functional material that can convert mechanical forces into one another. Therefore, vibration (physical force) is generated by the electricity applied to the vibrator, and the small physical vibration can split the
진동자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에 의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는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진동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소자의 종류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The vibra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y a pogo pin or a C-clip. Therefore, the vibrator may generate vibration by receiving a current from a pogo pin or a C-clip. However, the type of element connected to supply current to the vibrator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저장부(12)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수용한다. 저장부(12)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일 수 있다. 저장부(12)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12)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은 예컨대,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 물질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은 저장부(12)의 내부에서 액체 상태의 스펀지나 솜과 같은 다공성 소재에 의해 함침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The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12a)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정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기 위해 정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6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front sectional view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and FIGS. 6B and 6C are modified examples of a part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It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front sectional view to show the
도 3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배출통로(2)는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배출통로(2)는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6C , the
배출통로(2)의 일 단과 배출통로(2)의 타 단의 사이에는 적어도 일 부분이 만곡되어 무화기(1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배출통로(2)의 타 단을 향해 안내하는 유도면(3)이 위치할 수 있다. 배출통로(2)의 일 단과 배출통로(2)의 타 단은 배출통로(2)가 연장된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is curved between on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 and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배출통로(2)의 일 단은 외부로 개방되고, 배출통로(2)의 타 단은 무화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통로(2)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 is open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 may be connected to the atomizer (11). The
배출통로(2)의 일 단에는 마우스피스(2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0)는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 구강에 맞닿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일부일 수 있다.A
제 1 배출공(2a)은 배출통로(2)의 일 단에 배치된다. 제 1 배출공(2a)은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통로(2) 및 외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배출공(2a)은 마우스피스(20)에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hole (2a)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 The first discharge hole (2a)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2) and the outside so that the generated aerosol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제 2 배출공(2b)은 배출통로(2)의 타 단에 배치된다. 제 2 배출공(2b)은 무화기(11) 및 배출통로(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배출공(2b), 배출통로(2), 및 제 1 배출공(2a)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hole (2b)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2). The second discharge hole (2b)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제 2 배출공(2b)은 배출통로(2)가 연장된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배출공(2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배출공(2b)을 통과한 에어로졸은 제 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다음 제 1 배출공(2a)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hole (2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charge hole (2a) based on a seco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2) extends. Accordingly, the aerosol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2b)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2a) after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econd direction.
도 4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유도면(3)은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 2 배출공(2b)을 통과한 에어로졸이 유도면(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도면(3)의 표면을 따라서 흐르는 소위 코안다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면(3)에 의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 2 배출공(2b)을 통과한 에어로졸의 유동은 유도면(3)을 향하여 유도되므로, 자유 유동에 비해 에어로졸의 속도의 감쇠가 작고 에어로졸의 도달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4 to 6c, the
유도면(3)은 배출통로(2)를 향해 휘어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면(3)은 에어로졸의 제 1 입자(1a,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됨)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 1 입자(1a)는 무화기(11)로부터 증기화된 기체 상태의 에어로졸일 수 있다. 유도면(3)은 배출통로(2)를 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의 면일 수 있다.The
유도면(3)은 제 2 배출공(2b)에서 제 1 배출공(2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유도면(3)을 따라 쉽게 유동할 수 있는 영역이 증대될 수 있다.The
도 5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유도면(3)은 제 1 유도면(31), 및 제 2 유도면(32)을 포함할 수 있다.5 to 6C , the
제 1 유도면(31)은 배출통로(2)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유도면(31)은 무화기(11) 및 제 2 유도면(32)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유도면(31)은 제 2 배출공(2b)의 위치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 2 유도면(32)은 제 1 유도면(31)에 연결된다. 제 2 유도면(32)은 제 1 배출공(2a)을 향하여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유도면(32)은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유도면(32)은 제 1 배출공(2a)의 위치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유도면(32)은 배출통로(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 2 유도면(32) 및 제 1 유도면(31)은 모서리 없이 연속되는 면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면(3)을 따라 흐르는 에어로졸의 유동성이 안정화될 수 있다.The
도 5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방지면(4)을 더 포함할 수 있다.5 to 6c , the
방지면(4)은 제 2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방지면(4)은 에어로졸의 제 1 입자(1a)에 비해 더 큰 크기인 제 2 입자(1b,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됨)가 충돌할 수 있다. 제 2 입자(1b)는 무화기(11)로부터 증기화되지 못한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일 수 있다. 제 2 입자(1b)는 방지면(4)에 충돌하여서 제 1 입자(1a)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The
방지면(4)은 제 2 입자(1b)가 바로 제 1 배출공(2a)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물리적인 장벽(Barrier)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되지 못한 제 2 입자(1b)가 제 1 배출공(2a)을 통해 사용자의 구강에 바로 흡입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방지면(4)은 유도면(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유도면(3)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방지면(4)은 유도면(3)을 마주보는 위치에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지면(4)은 배출통로(2)를 흐르는 에어로졸의 흐름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지면(4)은 배출통로(2)를 향해 배치된다. 방지면(4)은 배출통로(2)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지면(4)은 제 2 입자(1b)가 바로 제 1 배출공(2a)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물리적인 장벽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vention surface (4) is arranged towards the discharge passage (2). The
도 4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안내면(5)을 더 포함할 수 있다.4 to 6c , the
안내면(5)은 방지면(4)에 연결될 수 있다. 안내면(5)은 일 단이 방지면(4)에 연결되고, 타 단이 무화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방지면(4)은 일 단이 제 1 배출공(2a)을 향하고, 타 단이 안내면(5)에 연결될 수 있다. 안내면(5)은 배출통로(2)를 흐르는 에어로졸의 흐름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안내면(5)은 에어로졸의 제 2 입자(1b)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 2 입자(1b)는 제 1 입자(1a)에 비해 더 큰 크기를 가져 상대적으로 제 1 입자(1a)에 비해 무거우므로, 유도면(3)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지 않고 안내면(5)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반면에 제 1 입자(1a)는 제 2 입자(1b)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가져 상대적으로 제 2 입자(1b)에 비해 가벼우므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 1 입자(1a)의 흐름 경로가 제 2 방향으로 변경되어 유도면(3)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The
안내면(5)은 배출통로(2)를 향해 배치된다. 안내면(5)은 제 1 유도면(3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유도면(31)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내면(5)은 배출통로(2)의 중심을 향하여 휘어진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지면(4)은 안내면(5)과 경사를 이룰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하여 방지면 및 안내면의 연결구조에 관한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vention surface and the guide surface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
도 6a를 참고하면, 방지면(4)은 안내면(5)과 대략적으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방지면(4)에 충돌된 제 2 입자(1b)는 크기가 감소되어 제 1 입자(1a)로 변환된 후에 제 1 배출공(2a)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체 상태의 제 1 입자(1a)를 흡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 the
도 6b를 참고하면, 방지면(4)은 안내면(5)의 연장방향에 대해 110도 이하인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방지면(4)은 제 1 배출공(2a)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 the
실시예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방지면(4) 및 안내면(5)이 110도 이상인 경사를 이루는 일 비교예를 구현하여 실험하였다. 일 비교예에 의하면 제 2 입자(1b)가 방지면(4)에 충분히 충돌하지 못하고 방지면(4)이 이루는 경사를 따라 제 1 배출공(2a)으로 배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일 비교예에 의하면 에어로졸을 제 1 배출공(2a)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반면에 사용자가 액체 상태인 제 2 입자(1b)를 흡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방지면(4)이 안내면(5)과 110도 이하인 경사를 이루므로, 제 2 입자(1b)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사용자가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을 흡입할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에어로졸을 방지면(4)을 따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Since the
도 6c를 참고하면, 방지면(4)은 안내면(5)과 70도 이상인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방지면(4)은 제 2 배출공(2b)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즉 방지면(4)은 배출통로(2)가 연장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6c , the
실시예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방지면(4) 및 안내면(5)이 70도 이하인 경사를 이루는 다른 비교예를 구현하여 실험하였다. 다른 비교예에 의하면 제 1 입자(1a)가 방지면(4)을 따라 제 1 배출공(2a)으로 배출되기 어려운 것을 관찰하였다. 방지면(4)이 안내면(5)과 이루는 과도한 경사로 인해 제 1 입자(1a)의 이동 경로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비교예에서는 제 2 입자(1b)의 크기를 쉽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에 에어로졸이 제 1 배출공(2a)을 따라 배출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another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방지면(4)이 안내면(5)과 70도 이상인 경사를 이루므로, 에어로졸을 방지면(4)을 따라 제 1 배출공(2a)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액체 상태인 에어로졸을 흡입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고하면, 유도면(3)은 마우스피스(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유도면(3)을 따라 유동하는 영역을 증대시켜서 코안다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모할 수 있다. 배출통로(2), 방지면(4), 및 안내면(5)은 유도면(3)을 중심으로 하여 마우스피스(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 components not described ar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유입통로(6)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5 and 7 , the
유입통로(6)는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유입통로(6)는 무화기(11)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무화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무화기(11)는 유입통로(6)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유입통로(6)는 일 단이 외부로 개방되고, 타 단이 무화기(11)에 연결될 수 있다.The
도 8a 내지 도 8c는 유입통로의 여러가지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8A to 8C are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let passage.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면, 유입통로(6)는 제 1 유입공(61), 및 제 2 유입공(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입공(61)은 외부로 개방되도록 유입통로(6)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유입공(62)은 무화기(11)에 연결되도록 유입통로(6)의 타 단에 배치될 수 있다.8A to 8C , the
제 2 유입공(62)은 제 1 유입공(61)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통로(6)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는 무화기(11)를 향할수록 빨라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속도 증가는, 유입통로(6) 내에서 유체가 크기가 작은 부분을 유동할 때 압력이 감소함에 따른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무화기(11)에 도달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켜서 에어로졸을 배출통로(2)로 용이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공기의 유입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유입통로(6)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유입통로(6)의 크기는 외부에서 무화기(11)를 향할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입통로(6)는 전체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5 and 7 , the size of the
도 8a를 참고하면, 제 2 유입공(62) 및 제 1 유입공(61)은 모두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유입공(62) 및 제 1 유입공(61)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 both the
도 8b를 참고하면, 제 2 유입공(62) 및 제 1 유입공(61)은 무화기(11)를 향할수록 크기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실시에에서, 제 2 유입공(62) 및 제 1 유입공(61) 사이에는 크기가 일정한 구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통로(6)의 일 단 및 타 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 the sizes of the
도 8c를 참고하면, 제 2 유입공(62) 및 제 1 유입공(61)은 모두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유입공(62) 및 제 1 유입공(61) 사이에는 크기가 무화기(11)를 향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구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통로(6)의 중간 부분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C , both the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요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9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some elem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회전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화살표는 회전부(7)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방향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9 and 10 , the
회전부(7)는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배출통로(2)로 배출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회전부(7)는 회전함에 따라 에어로졸이 배출통로(2)를 향하여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무화기(1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배출통로(2)로 더욱 용이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The rotating part (7) forms an airflow for discharging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tomizer (11) to the discharge passage (2). The
회전부(7)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 수용부(7a)에 수용될 수 있다. 회전부(7)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회전 수용부(7a)와 연통된 기류통로(70)를 통해 배출통로(2)로 유동할 수 있다.The
기류통로(70)는 일 단이 회전 수용부(7a)에 연결되고, 타 단이 무화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기류통로(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이 회전 수용부(7a)에 연결되고, 타 단이 배출통로(2)에 연결될 수도 있다. 기류통로(70)는 유입통로(6)를 우회할 수 있다. 회전부(7)는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회전할 수 있다.The
회전부(7)는 회전축(71), 및 회전날(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회전축(71)은 회전부(7)의 회전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축(71)은 본체(10)의 일부를 관통함으로써, 회전축(71)의 일 단부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회전날(72)은 회전축(71)과 결합되어서 회전축(71)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날(72)은 회전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을 배출통로(2)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회전날(72)은 회전축(7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회전날(7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회전축(71)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부(7)는 회전축(7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는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축(71)을 회전시키는 모터(moto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the
회전날(72)은 에어로졸을 원활하게 유동시키도록 회전 수용부(7a)의 하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회전축(71)에 배치될 수 있다.The
회전날(72)이 회전축(71)에 비스듬하게 결합되면, 회전날(72)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회전날(72)의 면을 따라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7)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기류통로(70)를 따라 무화기(11) 또는 배출통로(2)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날(72)이 제 2 방향과 나란하게 회전축(71)에 배치되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볼 때, 에어로졸이 배출통로(2)로 유동하는 유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도 1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11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도 2, 및 도 1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및 수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및 수용부(60)를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1, 2, and 11 , an aerosol-generating
도 1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11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고하면, 수용부(6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수용한다. 수용부(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부(60)는 마우스피스(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기(1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배출공(2b), 배출통로(2), 제 1 배출공(2a),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구강에 흡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수용부(60)의 일 단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삽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수용부(60)의 타 단은 마우스피스(2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용부(6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용부(6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30)가 배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receiving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aerosol-generating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도 1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21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12 , the
도 12에는 필터 로드(22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2 이상의 래퍼(24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 또는 필터 로드(22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The
담배 로드(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필터 로드(22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The
또한, 필터 로드(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 배출통로
2a : 제 1 배출공
2b : 제 2 배출공
3 : 유도면
4 : 방지면
5 : 안내면
6 : 유입통로
7 : 회전장치
11 : 무화기
12 : 저장부
20 : 마우스피스
60 : 수용부
100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0 : 에어로졸 생성 물품
31 : 제 1 유도면
32 : 제 2 유도면
61 : 제 1 유입공
62 : 제 2 유입공
70 : 기류통로
1a : 제 1 입자
1b : 제 2 입자1: aerosol generating device 2: exhaust passage
2a:
3: guide surface 4: prevention surface
5: guide surface 6: inlet passage
7: rotation device 11: atomizer
12: storage unit 20: mouthpiece
60: accommodation unit 100: aerosol generating system
200: aerosol-generating article 31: first guide surface
32: second guide surface 61: first inlet hole
62: second inlet hole 70: airflow passage
1a:
Claims (15)
상기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통로;
에어로졸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통로의 일 단에 배치된 제 1 배출공;
상기 무화기를 향하는 상기 배출통로의 타 단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통로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배출공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배출공; 및
상기 배출통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무화기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상기 곡면을 따라 상기 제 1 배출공을 향해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n atomizer that atomize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tomizer;
a first discharge hole dispos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so that the aeroso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second discharge hol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toward the atomiz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charge hole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extends; and
A guiding surface including a curved surface at least partially curv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guiding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atomizer to flow along the curved surface toward the first discharge hole;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
상기 유도면은 상기 제 2 배출공에서 상기 제 1 배출공까지 연장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ing surface extends from the second outlet hole to the first outlet hole.
상기 유도면은 상기 무화기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통로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 1 유도면, 및 상기 제 1 유도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배출공을 향하여 연장된 제 2 유도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surface includes a first guide surface connected to the atomizer and having a convex shape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and a second guide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surface and extending toward the first discharge hole. generating device.
상기 제 1 배출공을 포함하는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면은 상기 마우스피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mouthpiece including the first outlet hole;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dispos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outhpiece.
상기 유도면을 따라 유동하는 에어로졸의 제 1 입자에 비해 더 큰 크기의 제 2 입자가 충돌하도록 상기 배출통로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방지면;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
상기 방지면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의 제 2 입자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 guiding surface connected to the prevention surface and guiding the flow of the second particle of the aerosol; further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상기 안내면은 상기 배출통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방지면은 상기 안내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The guide surface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wherein the prevention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uide surface.
상기 방지면은 상기 안내면과 70도 이상 110도 이하인 경사를 이루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vention surface forms an inclination of 70 degrees or more and 110 degrees or less with the guide surfac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상기 방지면은 상기 배출통로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vention surface comprises a curved surface convex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상기 무화기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무화기에 연결된 유입통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inlet passage connected to the atomizer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atomizer.
상기 유입통로의 크기는 외부에서 상기 무화기를 향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ize of the inlet passag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side toward the atomiz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상기 유입통로는 외부로 개방된 제 1 유입공, 및 상기 제 1 유입공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무화기에 연결된 제 2 유입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let passage comprises a first inlet hole open to the outside, and a second inlet hol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inlet hole and connected to the atomizer.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 1 유입공 및 상기 제 2 유입공의 사이에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구간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let passage further comprises a section in which the size gradually decreases between the first inlet hole and the second inlet hole.
상기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무화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5.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and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the receptacle receiv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through which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tomizer pas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999A KR102493439B1 (en) | 2020-11-12 | 2020-11-12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999A KR102493439B1 (en) | 2020-11-12 | 2020-11-12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4666A true KR20220064666A (en) | 2022-05-19 |
KR102493439B1 KR102493439B1 (en) | 2023-01-30 |
Family
ID=8180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0999A KR102493439B1 (en) | 2020-11-12 | 2020-11-12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343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8659B1 (en) * | 1998-08-14 | 2006-09-05 | 니코 퍼프 코포레이션 | Inhaler |
KR20120074596A (en) * | 2010-12-28 | 2012-07-06 | 신종수 | Electronic cigarette |
KR20120090737A (en) * | 2011-06-02 | 2012-08-17 | 주식회사 에바코 | Inhaling apparatus and negative ion forming member applied the inhaling apparatus |
KR20190091369A (en) * | 2010-12-03 | 2019-08-05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prevention of condensate leakage |
-
2020
- 2020-11-12 KR KR1020200150999A patent/KR10249343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8659B1 (en) * | 1998-08-14 | 2006-09-05 | 니코 퍼프 코포레이션 | Inhaler |
KR20190091369A (en) * | 2010-12-03 | 2019-08-05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prevention of condensate leakage |
KR20120074596A (en) * | 2010-12-28 | 2012-07-06 | 신종수 | Electronic cigarette |
KR20120090737A (en) * | 2011-06-02 | 2012-08-17 | 주식회사 에바코 | Inhaling apparatus and negative ion forming member applied the inhal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3439B1 (en) | 2023-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89862B2 (en) | Apparatus and system for generating aerosols | |
JP7245241B2 (en) | aerosol generator | |
CN111050573B (en) | Vaporizer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 |
JP7396767B2 (en) |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03276B1 (en) |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 |
KR102560715B1 (en) |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ntaining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
JP7210721B2 (en) |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or containing same | |
CN111655058A (en) |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 |
KR20210043291A (en) | Vaporiz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2647902B1 (en) |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artridg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KR102663245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493439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JP7428805B2 (en) | Aerosol generator | |
JP726022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aerosol with increased transfer of nicotine contained in the medium | |
KR102524632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aerosol | |
KR20210101046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 |
KR102546288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JP7120709B2 (en) |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or | |
KR20200122668A (en)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
CN116867384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20030009A (en) |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