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589A -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589A
KR20220064589A KR1020200150821A KR20200150821A KR20220064589A KR 20220064589 A KR20220064589 A KR 20220064589A KR 1020200150821 A KR1020200150821 A KR 1020200150821A KR 20200150821 A KR20200150821 A KR 20200150821A KR 20220064589 A KR20220064589 A KR 20220064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uthentication
voucher
informatio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기
어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리핀
어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리핀, 어창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리핀
Priority to KR102020015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589A/ko
Publication of KR2022006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사업을 위해 차입자가 필요로 하는 대출 요청 금액 및 차입자가 제공할 전자 바우처 제공 정보를 포함한 대출 요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 전달하는 차입자 단말,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부터 상기 대출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전달 받고, 투자 계약 실행을 위한 사용자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는 투자자 단말, 비밀키, 공개키, 블록체인 주소, 토큰홀더키, 인증 1키, 토큰홀더해시키TxID, 인증 2키를 생성하고 사용자를 인증하며, 블록체인 계정인 OPM 계정 및 OP 계정을 생성 및 제어하는 사용자 키 모듈 및 상기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투자 계약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1키 및 인증 2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고, 사용자 인증 후 업데이트 된 상기 계약정보를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투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투자자와 차입자의 비밀키 및 공개키, 상기 계약정보, 상기 계약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키 값이 저장되는 토큰인덱스 DB, 토큰홀더키가 저장되는 토큰홀더키 DB, 인증 1키가 저장되는 인증1키 DB, 인증 2키가 저장되는 인증 2키 DB 및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off-chain DB)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 및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의 토큰인덱스 DB에 저장된 상기 계약정보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 지급 여부를 판단하는 바우처 지급 판단부, 상기 바우처 지급 판단부에서 전자 바우처 지급을 결정하면, 상기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를 생성하는 바우처 생성부, 상기 바우처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자 바우처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달하는 바우처 전달부 및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상기 사용 승인 내역을 관리하는 바우처 관리부를 포함하는 바우처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WARD CROW FUNDING}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증키를 이용하여 투자자 및 차입자 간의 투자 및 대출 계약의 유효여부를 검증하고, 계약에 따른 투자 실행 및 전자 바우처 제공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수행된 동작에 대한 무결성을 증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크라우드 펀딩이란 차입자가 자신의 프로젝트나 사업을 인터넷이나 SNS를 통하여 공개 및 홍보하고, 불특정다수 각자로부터 소액을 지원받아 원하는 금액의 자금을 모집하는 행위이다. 크라우드 펀딩은 현행 자금조달방식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인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개방적 법률구조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자금조달방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은 반대급부의 유무 및 종류에 따라 기부형, 보상형, 대출형, 투자형으로 구분된다. 기부형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상형은 문화예술산업에서 자금조달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대출형의 경우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대안금융 중 하나로 발전되어 왔다. 투자형은 증권형 크라우드 방식으로 제조업 위주이며, 법인 사업자를 위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여기서, 대출형 크라우드 펀딩은 일종의 P2P 금융서비스로,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대안금융으로서 기존 금융권 대출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금리를 차입자 겸 생산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제도권 은행차입이 제한된 저 신용자 및 신용불량자들의 새로운 자금 조달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어, 제 1 금융권 대출을 받는 차입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환능력이나 상환의지가 낮은 차입자의 비율이 많아 투자자는 선뜻 투자를 결정하기 어렵고, 투자가 결정되더라도 차입자의 대출상환 연체로 인해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나아가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의 횡령 및 파산, 이해 상충, 업무 해태 등의 -문제로 인해 참여자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크라우드 펀딩이 가지는 문제점 및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 투자자와 차입자간 성사된 계약을 블록체인 기술로서 인증/검증하여 중개인의 업무 해태, 이해 상충, 횡령 등을 방지하고, (2) 투자자와 차입자를 소비자와 생산자로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투자자 및 차입자 모두 상생할 수 있는 보상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투자자와 차입자간 성사된 대출 계약의 전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로서 인증/검증하여 중개인의 업무 해태, 이해 상충, 횡령 등을 방지하고, 투자자와 차입자를 소비자와 생산자로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투자자 및 차입자 모두 상생할 수 있는 보상을 제공하여 투자자는 투자금 손실위험을 줄이고, 차입자는 상환능력을 극대화하고 유통채널을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입자 겸 생산자가 생산한 상품 또는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차입자 겸 생산자에게 제공하여 상품 및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할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플랫폼 전체 회원에게 유익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전체회원을 대상으로 차입자 겸 생산자의 상품 및 서비스 판매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크라우드 플랫폼 펀딩 사업자는 추가로 수익 모델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사업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대출 요청 금액 및 사용자가 제공할 전자 바우처 제공 정보를 포함한 대출 요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 전달하는 차입자 단말;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부터 대출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전달 받고, 투자 계약 실행을 위한 사용자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는 투자자 단말; 비밀키, 공개키, 블록체인 주소, 토큰홀더키, 인증 1키, 토큰홀더해시키TxID, 인증 2키를 생성하고 사용자를 인증하며, 블록체인 계정인 OPM 계정 및 OP 계정을 생성 및 제어하는 사용자 키 모듈 및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투자 계약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1키 및 인증 2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고, 사용자 인증 후 업데이트 된 계약정보를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투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사용자의 비밀키 및 공개키, 계약정보, 계약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키 값이 저장되는 토큰인덱스 DB, 토큰홀더키가 저장되는 토큰홀더키 DB, 인증 1키가 저장되는 인증1키 DB, 인증 2키가 저장되는 인증 2키 DB 및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off-chain DB)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 및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의 토큰인덱스 DB에 저장된 계약정보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고,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 지급 여부를 판단하는 바우처 지급 판단부, 바우처 지급 판단부에서 전자 바우처 지급을 결정하면,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를 생성하는 바우처 생성부, 바우처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자 바우처를 투자자 단말로 전달하는 바우처 전달부 및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사용 승인 내역을 관리하는 바우처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는 바우처 제공 서버가 생성한 전자 바우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계약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바우처의 정보, 계약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해싱하여 바우처 키 값을 생성하고, 바우처 키 값을 포함한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며,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하고, 사용자로부터 바우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바우처 사용 요청 시점 이후 바우처 키 값을 재생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된 키 값을 기초로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된 키 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키 값을 비대칭키의 대응키로 복호화하여 구한 바우처 키 값과 재생성된 바우처 키 값을 비교하는 위변조 판단을 기초로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우처 제공 서버는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사용 승인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우처 제공 서버는 바우처 관리부는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고,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 받는 경우에,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우처 제공 서버는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저장하는 바우처 피드백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자율보증 증명 대출서버는 투자자 단말이 투자 계약 실행을 진행하기 위해 입력한 사용자 로그인 암호와 매칭되는 비밀키를 토큰인덱스 DB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비밀키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사용권한 및 접근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는 인증 1키는 사용자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며, 사용자 고유 정보는, 사용자 ID, 사용자 블록체인 계정 주소, 공개키, 및 사용자 가상계좌 번호를 사용자의 첫 로그인 시간 정보를 비밀키로 하여 SHA 알고리즘을 기초로 암호화한 고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이 수행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제공 방법은 (1)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2)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전달 받으면,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전달 받은 시점에 생성된 사용자 고유 정보를 암호화하여 인증 1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1키를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고, 생성된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1키 값을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는 단계, (3)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생성하는 단계, (4)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단계, (5) 사용자 단말이 대출요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 전달하고,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는 대출요청 정보를 기초로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6)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7) 사용자 단말은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전달 받고 투자 실행을 위하여 사용자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는 단계, (8)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 시점 이후 인증 1키를 재생성 하는 단계, (9)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된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 (10)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기초로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된 키 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키 값을 OPM 계정의 비대칭키의 대응키로 복호화하여 구한 인증 1키와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 시점 이후에 재생성된 인증 1키를 비교하는 위변조 판단을 기초로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에 대한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 (11)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이 실행되는 경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 발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투자계약을 관리하는 OP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12)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OPM 계정이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한 키 값을 복호화하여 구한 인증 1키를 OP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 (13) OP 계정이 OPM 계정으로부터 전송 받은 인증 1키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으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단계, (14)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OP 계정이 OPM 계정으로부터 전송 받은 인증 1키와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된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로부터 추출한 인증 1키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트랜잭션 생성을 결정하는 단계, (15)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OP 계정으로 전송한 인증 1키를 OPM 계정으로 재 전송 받는 단계, (16)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OPM 계정이 OP 계정으로부터 재 전송받은 인증 1키를 재생성된 인증 1키와 비교하고, 재생성된 인증 1키가 유효하면, 토큰 지급 명령을 실행하고, OPM 계정으로부터 OP 계정에 토큰을 지급하는 명령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배포하고, 토큰 발행에 대한 사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단계, (17)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토큰 발행에 대한 사실을 블록에 기록한 이후, 대출 요청에 대응되는 투자금이 확보된 시점에 OP 계정이 보유한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인증 2키와 투자금을 지급할 시점에 생성한 인증 2키와 비교하고 유효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투자금을 차입자에게 입금하는 명령, 투자자에게 전자 바우처를 지급하는 명령 및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을 지급하는 명령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배포하는 단계, (18)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가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 지급 및 전자 바우처를 지급하는 명령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바우처 제공 서버에 전자 바우처 지급 요청을 하는 단계 및
(19) 바우처 제공 서버가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으로부터 전달 받은 전자 바우처 지급 요청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전자 바우처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에게 차입자가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바우처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를 소비자로, 차입자를 생산자로 자연스럽게 역할을 변경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가 접목된 P2P 금융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자자 겸 소비자는 보상으로 제공된 바우처를 이용하여 양질의 상품 및 서비스를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차입자 겸 생산자가 생산한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투자금에 대한 손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차입자 겸 생산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소비자로서의 권익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차입자 겸 생산자는 투자자 겸 소비자라는 기본적인 유통채널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투자자 겸 소비자를 통한 수익을 통해 대출금 상환이 가능하여 연체율이 낮출 수 있고, 투자자 겸 소비자가 제공한 피드백을 통해 상품 및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플랫폼을 이용하는 전체 소비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차입자 겸 생산자는 새로운 유통채널을 얻게 되고, 플랫폼은 추가적인 회원의 유입을 유도하고, 추가적인 수수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가형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투자자 및 차입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플랫폼에서 직접 관리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로그인 암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부여된 블록체인 계정에 접근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복잡한 비밀키(Private key)의 사용없이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사용자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가형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실명 거래 기반의 특성상 개인정보보호 침해 및 소수의 네트워크 내지는 소수의 노드 구성으로 인한 보안의 취약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인증키(인증 1키 및 인증 2키) 및 토큰을 이용하여, 투자자와 차입자간 성사된 계약정보 및 계약실행에 대한 데이터 및 거래 내역을 검증하고 업데이트 함으로써, 계약 및 대출 거래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가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실행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실행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차입자 겸 생산자가 대출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 이용료를 지불하면 투자자에게 대출 요청과 관련된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하고 투자자가 투자를 실행하면 투자한 채권에 대한 원리금수취권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차입자 겸 생산자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을 통하여 투자자에게 전자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 바우처는 투자자의 투자 실행에 대한 계약조건에 포함된 보상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투자실행에 따른 대출금을 지급할 뿐 아니라, 투자자의 대출금을 기초로 상품을 생산한 차입자가 전달한 상품 관련 전자 바우처 정보를 이용하여 투자자 겸 소비자에게 전자 바우처를 생성 및 지급하고, 투자자 겸 소비자는 전자 바우처를 이용하여 차입자 겸 생산자의 상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자연스럽게 소비자로 전환되면서, 차입자 겸 생산자의 상품 및 서비스를 소비하게 되어 투자금 손실 리스크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투자자 겸 소비자가 제공한 상품 및 서비스에 관한 피드백을 생산자에게 전달하여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은 투자자 겸 소비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평가로서 생산자 겸 차입자가 상품 및 서비스 품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보가 되므로, 단순 보상 방식의 플랫폼 서비스와 차별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투자자를 소비자로, 차입자를 생산자로 상호 전환시켜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자연스럽게 전환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 내에서 상품 및 서비스의 생산/소비를 발생시켜 전자상거래가 가능하게 되므로 단순 펀딩 플랫폼이 아닌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품 판매 프로젝트 수수료를 새로운 수익원으로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투자자 겸 소비자가 제공한 피드백을 통하여 차입자 겸 생산자가 완성도 높은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이러한 상품 및 서비스에 관한 피드백을 플랫폼을 이용하는 전체회원들에게 공유하여 생산자의 유통채널이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전체회원을 대상으로 생산자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에 대한 상품 판매 프로젝트 수수료를 추가 수익원으로 가져갈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의 구성도로,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 투자자 단말(20), 차입자 단말(30) 및 바우처 제공 서버(40)를 포함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고,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과 연동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징을 설명한다.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 투자자 단말(20), 차입자 단말(30) 및 바우처 제공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 투자자 단말(20), 차입자 단말(30) 및 바우처 제공 서버(4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가상 네트워크, 원격 통신 등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금융기관의 중개 기능 없이 차입자의 대출 요청에 대해 투자자의 투자를 이어주는 방식으로 대출을 달성하는 P2P 대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P2P 대출 서비스의 기능 속에서,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인증키(인증 1키, 인증 2키)를 생성하고, 투자자 및 차입자에 의해 발생하는 요청의 동작의 수행 여부를 인증키(인증 1키, 인증 2키)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투자자 및 차입자의 요청이 수행 및 완료되면, 각각에게 고유의 토큰을 발행하여, 투자자 및 차입자의 요청에 대한 수행이 완료된 것을 증명하면서 요청이 완료되어 발생한 권리를 양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이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은 투자자 및 차입자가 각각의 단말(20, 30)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투자자 단말(20)은 투자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투자자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 가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에 게시된 차입자의 대출 요청 리스트를 확인하여 원하는 대출 조건에 투자하고 기 설정된 이자율에 따라 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는 대출 조건에 투자하는 경우 원리금 수취권이라는 권리가 생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리금 수취권이 투자자 고유의 토큰으로 구현되어 제3자에게 양도될 수 있다.
차입자 단말(30)은 차입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차입자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 가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출을 신청하여 소정의 심사 조건을 통과하면, 온라인 플랫폼에 자신의 대출 조건을 게시할 수 있다. 대출 조건은 대출 금액, 대출 기간, 이자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출 조건은 소정의 기간 안에 1인 이상의 투자자들이 투자를 실행하여 대출 금액을 달성하면, 해당 차입자의 대출 조건에 따라 투자자와 연결되어 대출이 성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차입자는 대출에 성공하는 경우 채무 의무가 생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무 의무가 차입자 고유의 토큰으로 구현되어 제3자에게 양도될 수 있다.
바우처 제공 서버(40)는 차입자의 대출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채권에 대해 투자자가 투자를 실행되는 경우, 특정 채권에 기재된 바우처 정보를 기초로 전자 바우처를 생성하여 투자자 단말(20)에 전자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투자자 및 차입자’를 통칭할 경우 ‘사용자’라 지칭하며, ‘투자자 단말(20) 및 차입자 단말(30)’을 통칭할 경우 ‘사용자 단말(20, 30)’로 지칭하기로 한다.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 사용자 단말(20, 30), 바우처 제공 서버(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유무선 통신망 네트워크를 통해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과 연동되며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구조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이하, ‘노드’)들을 포함하는 P2P 네트워크로 이해될 수 있고, 각각의 노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에 참여하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 사용자 및 바우처 제공 서버(4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블록체인 계좌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다양한 노드가 제한없이 참여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 및 허가 받은 노드만 참여가 가능하고 노드에 따른 권한이 나눠진 허가형 블록체인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계좌 정보는 비밀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밀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예: 제1 사용자 계정(지갑)으로부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디지털 지급수단’이 이체되도록 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배포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키는 트랙잭션 등)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의 디지털 서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공개 키는 사용자의 계정 주소(account address)로 기능할 수도 있다.
비밀키 및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 및 복호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어떤 암호화된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가 특정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것인지를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비밀키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주소를 이용하면 이와 같은 검증이 가능하며, 이러한 검증에는 공개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에 기초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비밀키와 대응되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경우, 소정의 값과 동일한 값이 도출된다면 암호화된 데이터가 특정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소정의 값과 동일한 값이 도출되지 않는다면 암호화된 데이터가 특정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비밀키를 이용한 암호화를 “서명”, 공개키를 이용한 복호화를 해당 서명의 “검증”이라고 각각 칭할 수 있다. 특정 비밀키를 통한 서명의 검증은, 해당 비밀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이용한 복호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은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이라 칭해지며, 구체적으로는 RSA, ECDSA 등의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시에 기재된 ‘디지털 지급수단’은 암호화폐(crypto currency)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기록되는 지급수단이며,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이하 ‘토큰’)을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본 문서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암호화폐’와 ‘토큰’을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본 문서의 설명에서 암호화폐는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탄생하는 순간부터 데이터 기록 및 신뢰 유지의 보상 수단으로 사용되는 지급수단을 지칭하며, 이러한 의미로 암호화폐를 지칭하는 경우에는 네이티브 암호화폐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본 문서의 설명에서 토큰은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디지털 교환수단으로서 소정의 용도 또는 가치(ex.원리금 수취권, 채무 증명)를 지닐 수 있다. 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가 자발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토큰의 발생, 이체, 사용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은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가 관리하는 블록체인 계정인 OPM(Operator Master) 또는 OP(Operator) 계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은 투자자, 차입자, 대출 정보, 투자 정보, 고유 토큰의 발행/이체에 관한 정보, 스마트 컨트랙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트랜잭션의 처리 결과를 블록체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들은 상기 트랜잭션들을 생성한 주체의 블록체인 계좌의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 서명되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위변조가 불가능한 암호학적 증명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발생한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현된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해 기 생성된 블록에 이어질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며, 새로이 생성된 블록은 다른 노드들에게 전파되면서 트랜잭션이 실행될 수 있다. 블록은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에 대한 정보는 노드들이 공유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의 노드들이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공공 원장(public ledger)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업로드되는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된다고 표현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되지 않고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에 저장되는 정보는 off-chain에 저장된다는 통상의 용어로 기술하기로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다양한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 및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디지털 명령어로 기재된 규약으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규약의 조건을 따르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정해진 규약에 따라 특정 트랜잭션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컨트랙트 계좌(contract account)를 보유할 수 있다. 컨트랙트 계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노드 또는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동작시키기 위해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주소로 이해될 수 있다. 컨트랙트 계좌는 트랜잭션 메시지를 받은 경우, 내부 규약으로 정해진 디지털 명령어에 따라 다음 동작(예: 토큰 발행,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에 담긴 정보를 비교, 특정 트랜잭션을 생성, 메시지를 읽거나 다른 계좌로 메시지 전송,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가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허가형 블록체인에 대해서 설명하면, 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이란 미리 정해진 조직이나 개인들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폐쇄형 블록체인, 기업형 블록체인 또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enterprise blockchain)이라고도 칭한다. 이하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으로 대변되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허가형 블록체인은 서비스가 다르고 운영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요구사항이 다르며, 특히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모든 사람이 운영 하므로 운영 주체가 불분명하고 독자적인 화폐를 통해 금융 활동을 하므로 법적 구속력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으나 허가형 블록체인은 운영 주체가 명확하고 새로운 금융거래를 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 있던 금융 거래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금융 관련 법과 규제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는 일종의 금융 서비스로서, 각국의 금융 관련 법과 규제사항을 준수할 수 있는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현존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은 읽기, 트랜잭션 생성을 누구나 할 수 있고, 모든 사용자는 모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나 기관 간 블록체인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개인의 금융정보가 담긴 데이터가 네트워크상으로 오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모두에게 데이터가 공개되면 안 되며, 법적으로 책임 질 수 있는 기관만 트랜잭션을 생성해야지 누구나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면 금융사고가 일어났을 때 책임 주체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트랜잭션 검증 요구사항에도 차이가 있어,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트랜잭션 내역 모두에게 공개되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가 트랜잭션을 검증하지만, 허가형 블록체인에서 이해관계자가 아닌 모든 노드가 트랜잭션의 검증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노드별로 권한을 다르게 하는 것 또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불가능하여, 감독기관은 모든 데이터를 검증해야 하고 나머지 기관들은 자신에 관련된 데이터를 검증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퍼블릭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엔진 수정이 어렵기 때문에 엔진에서 제공해야만 가능한 기능들을 추가하는 게 매우 어렵다.
다만, 퍼블릭 블록체인과 허가형 블록체인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 블록체인 종류지만 서로 공유하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상의 노드들이 검증된 분산된 장부를 서로 공유하고, 네트워크의 정해진 합의에 따라 데이터들을 보관 및 공유하며, 몇몇 노드들이 잘못되어도, 이미 저장된 장부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는 불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특징은 그대로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퍼블릭 블록체인,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분류되게 된다. 이 분류의 기준은 누가 네트워크 그리고 합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분산된 장부를 보관하는지에 관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전한 허가형 블록체인(Fully permissioned blockchain)이 접목될 수 있으며, 완전한 허가형 블록체인은 하나의 기관 또는 기업 아래서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관리와 검증 그리고 거래 내역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기관 또는 기업에서 허가를 받아야만 가능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였지만, 하나의 기관 또는 기업이 네트워크 관리 권한을 가지고 있고,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만 갖는 구조로, 전통의 시스템에 블록체인의 보안 검증 성의 특징만 가져오는 구조에 해당한다. 다만, 이러한 허가형 블록체인은 기밀성 및 트랜잭션 속도가 빠르다는 강점이 있으나, 소수의 참여자들에 의한 합의모델로 보안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허가형 블록체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증키(인증 1키 및 인증 2키)를 이용한 자체 합의모델 및 토큰을 이용하여, 투자자와 차입자간 성사된 계약정보 및 계약실행에 대한 데이터 및 거래 내역을 검증하고 업데이트 함으로써, 계약 및 대출 거래의 보안성을 제공한다. 관련된 내용은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0, 30)을 통하여 회원가입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 30)이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에 접속하면, 사용자는 일반적인 사용자 ID 및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블록체인 계정에 부여된 비밀키를 입력하지 않아도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이 제공하는 모든 블록체인 접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사용자의 회원가입 시 부여된 사용자 ID 및 사용자 ID 로그인 암호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계정 및 비밀키를 메모리(52)(off-chain DB)에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계정에 부여된 비밀키에 대한 사용권한을 가지고, 비밀키 권한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프로세서(51), 메모리(52) 및 통신 인터페이스(5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사용자 키 모듈(80) 및 투자 관리 모듈(85)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메모리(52)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해 사용자 키 모듈(80) 및 투자 관리 모듈(85)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 키 모듈(80) 및 투자 관리 모듈(85)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51)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키 모듈(80)은 비밀키, 공개키, 블록체인 주소, 토큰홀더키, 토큰홀더키를 해싱한 키 값인 인증 1키, 토큰홀더해시키TxID, 인증 2키 등의 키를 생성하고 사용자를 인증하며, 블록체인 계정인 OPM 계정 및 OP 계정을 생성 및 제어할 수 있다.
토큰홀더키는 사용자 ID, 사용자 블록체인 계정 주소, 공개키 및 사용자 가상계좌 번호 등을 상기 사용자의 첫 로그인 시간 정보를 비밀키로 하여 SHA 알고리즘을 기초로 암호화한 것이다.
인증 1키는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함한 토큰홀더키를 해싱한 값이다. 인증 1키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와 메모리(52)(off-chain DB)에 각각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율보증 증명 대출서버에 소정의 요청(ex.대출요청, 투자실행요청, 투자 및 대출정보 인증요청, 가상계좌 거래인증요청, 이전 거래인증요청 등)을 하는 시점에 새로 인증 1키를 생성하고 기존에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와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된 인증 1키와 새로 생성된 인증 1키를 비교함으로써, 요청 시점에서 사용자 정보의 위변조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와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된 인증 1키를 새로 생성된 인증 1키를 비교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인증 1키를 특정하는 인덱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2키는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계약정보에 배치된 토큰에 부여된 토큰아이디 정보, 사용자 공개키, OP 계정의 정보(사용자 인증 1키, 계약 OP 계정의 공개키, 인증 2키를 생성하기 위해 정보를 호출 했을 때의 시간, 즉, 인증 2키 생성 함수에 정보들이 입력되었을 때의 시간)을 OP 계정의 비밀키로 서명하여 해싱한 값이다. 인증 2키는 사용자의 권리나 채무 상태를 증명하는 고유 토큰의 이체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 2키는 다른 개입자가 임의의 토큰을 전송하여 권리 증명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토큰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인증 2키는 토큰아이디와 연관된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계약정보와 연동되어 있어, 계약정보에 기초한 계약이 진행됨에 따라 인증 2키의 상태 값을 생성, 업데이트 및 검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 값이 업데이트 된 인증 2키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계약 상태임을 확정하고, 투자자 및 차입자의 블록체인 계정으로 정상적인 계약 상태에서 발행된 토큰을 부여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키 모듈(8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될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규약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키 모듈(80)은 서버가 관리하는 블록체인 계정인 OPM 계정 및 OP 계정을 생성 및 제어할 수 있다.
OPM 계정(Operator Master)은 인증 1키를 기초로 OP 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플랫폼 마스터 계정으로, 블록체인 계정이다. OPM 계정은 투자자의 투자실행에 따라 새로운 계약정보가 발생하면 새로운 계약정보와 관련된 인증1키를 기초로 새로운 OP 계정을 생성한다.
OP 계정은 OPM 계정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계정으로 신규 투자 계약을 주관하며, 채권정보, 계약정보, 투자자 및 차입자 관련 정보에 대해 읽기, 쓰기 권한을 가지는 계정이다.
투자 관리 모듈(85)은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투자 계약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1키 및 인증 2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고, 사용자 인증 후 업데이트 된 상기 계약정보를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자 관리 모듈(85)은 투자와 관련된 투자자 정보, 대출과 관련된 차입자 정보 및 투자자와 차입자가 매칭되어 성사된 계약정보를 생성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투자 관리 모듈(85)은 개별 투자 계약정보 관리를 위하여, 각각의 OP 계정에 계약번호를 할당하여 관리할 수 있다.
투자 관리 모듈(85)이 생성한 정보는 사용자의 인증에 사용될 수 있고, 인증 후 생성된 정보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기록될 수 있다. 투자 관리 모듈(85)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될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규약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할 수 있다.
메모리(52)는 토큰인덱스 DB(100, 150)(투자자 저장: 100, 차입자 저장: 150), 토큰홀더키 DB(200), 인증 1키 DB(300), 및 인증 2키 DB(400, 450)(투자자 저장: 400, 차입자 저장: 45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51)의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토큰인덱스 DB(100, 150)는 투자자 및 차입자의 키들, 대출 계약정보, 계약에 따라 생성되는 키 값들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토큰인덱스 DB(100, 150)에는 투자자 단말(20)이 투자 계약 실행을 진행하기 위해 입력한 사용자 로그인 암호와 매칭되는 비밀키를 저장하고 있으며, 투자자 단말(20)이 투자 계약 실행을 위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진행하면 토큰인덱스 DB(100, 150)로부터 비밀키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밀키는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가 사용권한 및 접근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간단히 사용자 로그인 암호 입력만으로 블록체인 계정 주소 및 비밀키를 관리하지 않아도 투자 및 대출 계약 시작 시,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및 계약 인증절차를 통해 참여자 계약과 연동된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으며, 모든 거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화 하여 자연스럽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기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토큰홀더키 DB(200)는 투자자 및 차입자의 토큰홀더키, 인증 1키 DB(300)는 투자자 및 차입자의 인증 1키, 인증 2키 DB(400, 450)는 투자자 및 차입자의 인증 2키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3)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에 포함된 구성들과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3)는 무선 통신모듈 또는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제공 서버(40)의 구성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바우처 제공 서버(40)는 바우처 지급 판단부(41), 바우처 생성부(42), 바우처 전달부(43), 바우처 관리부(4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의 토큰인덱스 DB(100, 150)에 저장된 계약정보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고,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 지급 여부를 판단하는 바우처 지급 판단부(41), 바우처 지급 판단부(41)에서 전자 바우처 지급을 결정하면,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를 생성하는 바우처 생성부(42), 바우처 생성부(42)로부터 생성된 전자 바우처를 상기 투자자 단말(20)로 전달하는 바우처 전달부(43) 및 투자자 단말(20)로부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사용 승인 내역을 관리하는 바우처 관리부(44)를 포함한다.
바우처 지급 판단부(41)는 토큰인덱스 DB(100, 150)에 저장된 계약정보를 기초로 바우처 지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계약정보는 투자자와 차입자간 성립된 계약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차입자가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사업을 위해 차입자가 필요로 하는 대출 요청 금액에 대한 정보 및 차입자가 생산 예정인 상품 및 서비스의 이용 가격에 대한 정보, 이용 가능 시점에 대한 정보 및 바우처가 제공할 수 있는 이용 가격 할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기초로 투자자가 투자를 실행하여 생성된 계약정보를 의미한다.
바우처 지급 판단부(41)는 투자자가 바우처 제공에 대한 조건이 포함된 투자대상 채권정보에 따라 투자를 실행한 경우, 바우처 지급에 대한 조건이 포함된 계약정보를 기초로 바우처를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
바우처 생성부(42)는 바우처 지ƒi 판단부에서 바우처 지급 결정을 내리면,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를 생성한다.
바우처 전달부(43)는 바우처 생성부(42)로부터 생성된 전자 바우처를 투자자 단말(20)로 전달한다.
바우처 관리부(44)는 바우처 전달부(43) 및 투자자 단말(20)로부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사용 승인 내역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바우처 관리부(44)는 투자자 단말(20)로부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사용 승인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여, 사용 승인 내역 및 사용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바우처 관리부(44)는 투자자 단말(20)로부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상품 평가 피드백을 요청하고, 투자자 단말(20)로부터 상기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 받는 경우에,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을 전달 받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바우처의 사용을 승인함으로써, 투자자에게 피드백 의무를 간접적으로 부과할 수 있다. 피드백을 전달 받지 못한 경우, 전자 바우처에 대한 사용 승인이 내려지지 않게 되고 바우처로 인해 선 할인 받은 내역은 추후 투자 수익금 환수 시 차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상 바우처 제공 서버(40)는 바우처 피드백 저장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저장부는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상품 평가 피드백을 저장하고 저장된 피드백 데이터를 가공하여 플랫폼을 이용하는 전체 사용자에게 공유하여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은 추가적인 회원의 유입을 유도하고, 차입자는 이를 통해 새로운 유통채널을 얻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상 바우처 제공 서버(40)가 생성한 전자 바우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계약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바우처의 정보, 상기 계약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해싱하여 바우처 키 값을 생성하고, 바우처 키 값을 포함한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하며,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상기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하고, 사용자로부터 바우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바우처 사용 요청 시점 이후 바우처 키 값을 재생성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된 키 값을 기초로 상기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된 키 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키 값을 비대칭키의 대응키로 복호화하여 구한 바우처 키 값과 재생성된 바우처 키 값을 비교하는 위변조 판단을 기초로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이 수행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른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방법의 각 단계는 도 2를 통해 설명된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00-1, S100-2) 사용자 단말(20, 30)은 사용자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로 전달한다.
(S200-1)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1)이 제공하는 서비스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전달 받으면,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전달 받은 시점에 생성된 사용자 고유 정보를 암호화하여 인증 1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1키 값을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한다. 이어서,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생성 하고, 생성된 인증 1키 값을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한다.
(S200-2)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생성한다.
(S200-3)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통신 인터페이스(53)를 이용하여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한다.
(S300) 사용자 단말(20, 30)은 대출요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로 전달하고,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대출요청 정보를 기초로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생성한다.
(S400)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 30)로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전달한다.
(S500) 사용자 단말(20, 30)은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전달 받고 투자 실행을 위하여 사용자 로그인 암호를 입력한다.
(S600-1)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 시점 이후 인증 1키를 재생성 한다.
(S600-2)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통신 인터페이스(53)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다운로드 한다.
(S600-3)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다운로드 받은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된 키 값을 기초로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된 키 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키 값을 상기 비대칭키의 대응키로 복호화하여 구한 인증 1키와 재생성된 인증 1키를 비교하는 위변조 판단을 기초로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에 대한 수행을 결정한다.
(S600-4)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 발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투자계약을 관리하는 OP 계정을 생성한다.
(S600-5)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통신 인터페이스(53)를 통하여 OPM 계정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된 키 값을 복호화하여 구한 인증 1키를 OP 계정으로 전송한다.
(S600-6)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통신 인터페이스(53)를 통하여 OP 계정이 OPM 계정으로부터 전송 받은 인증 1키를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로부터 다운로드 한다.
(S600-7)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OP 계정이 OPM 계정으로부터 전송 받은 인증 1키와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된 인증 1키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트랜잭션 생성을 결정한다. 이때, 메모리(52)(off-chain DB)에 저장된 인증 1키는 (S600-3)과 동일한 절차로 인증 1키를 추출할 수 있다.
(S600-8)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통신 인터페이스(53)를 통하여 OP 계정으로 전송한 인증 1키를 OPM 계정으로 재전송 받는다.
(S600-9, S600-10)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OPM 계정이 OP 계정으로부터 재전송받은 인증 1키를 재생성된 인증 1키와 비교하고, 재생성된 인증 1키가 유효하면, 토큰 지급 명령을 실행한다.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통신 인터페이스(53)를 통하여 OPM 계정으로부터 OP 계정에 토큰을 지급하는 명령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배포하고, 토큰 발행에 대한 사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한다.
(S700-1, S700-2)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는 토큰 발행에 대한 사실을 블록에 기록한 이후, 대출 요청에 대응되는 투자금이 확보된 시점에 OP 계정이 보유한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인증 2키와 투자금을 지급할 시점에 생성한 인증 2키와 비교하고 유효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통신 인터페이스(53)를 통하여 투자금을 차입자에게 입금하는 명령, 투자자에게 전자 바우처를 지급하는 명령 및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을 지급하는 명령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배포한다.
(S700-3)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10)로부터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 지급 및 전자 바우처를 지급하는 명령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바우처 제공 서버(40)에 전자 바우처 지급 요청을 한다.
(S800) 바우처 제공 서버(4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로부터 전달 받은 전자 바우처 지급 요청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20, 30)에 전자 바우처를 전달 한다.
한편, 상술한 각 단계의 주체인 구성 요소들이 해당 단계를 실시하기 위한 과정과 다양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10: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
20: 투자자 단말
30: 차입자 단말
40 : 바우처 제공 서버

Claims (8)

  1.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사업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대출 요청 금액 및 사용자가 제공할 전자 바우처 제공 정보를 포함한 대출 요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 전달하는 차입자 단말;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부터 상기 대출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전달 받고, 투자 계약 실행을 위한 사용자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는 투자자 단말;
    비밀키, 공개키, 블록체인 주소, 토큰홀더키, 인증 1키, 토큰홀더해시키TxID, 인증 2키를 생성하고 사용자를 인증하며, 블록체인 계정인 OPM 계정 및 OP 계정을 생성 및 제어하는 사용자 키 모듈 및 상기 투자대상 채권 정보를 기초로 실행된 투자 계약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1키 및 인증 2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고, 사용자 인증 후 업데이트 된 상기 계약정보를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투자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 및 공개키, 상기 계약정보, 상기 계약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키 값이 저장되는 토큰인덱스 DB, 토큰홀더키가 저장되는 토큰홀더키 DB, 인증 1키가 저장되는 인증1키 DB, 인증 2키가 저장되는 인증 2키 DB 및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off-chain DB)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 및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의 토큰인덱스 DB에 저장된 상기 계약정보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 지급 여부를 판단하는 바우처 지급 판단부, 상기 바우처 지급 판단부에서 전자 바우처 지급을 결정하면, 상기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바우처를 생성하는 바우처 생성부, 상기 바우처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자 바우처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달하는 바우처 전달부 및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상기 사용 승인 내역을 관리하는 바우처 관리부를 포함하는 바우처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는,
    상기 바우처 제공 서버가 생성한 상기 전자 바우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기 계약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바우처의 정보, 상기 계약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해싱하여 바우처 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바우처 키 값을 포함한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며, 상기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상기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바우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바우처 사용 요청 시점 이후 바우처 키 값을 재생성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된 키 값을 기초로 상기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된 키 값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키 값을 상기 비대칭키의 대응키로 복호화하여 구한 바우처 키 값과 상기 재생성된 바우처 키 값을 비교하는 위변조 판단을 기초로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처 제공 서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고, 상기 사용 승인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처 제공 서버는,
    상기 바우처 관리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고,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 받는 경우에, 상기 전자 바우처의 사용 승인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처 제공 서버는 상기 전자 바우처가 사용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저장하는 바우처 피드백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 단말이 상기 투자 계약 실행을 진행하기 위해 입력한 사용자 로그인 암호와 매칭되는 비밀키를 상기 토큰인덱스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비밀키는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사용권한 및 접근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인증 1키는 사용자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사용자 고유 정보는, 사용자 ID, 사용자 블록체인 계정 주소, 공개키, 및 사용자 가상계좌 번호를 상기 사용자의 첫 로그인 시간 정보를 비밀키로 하여 SHA 알고리즘을 기초로 암호화한 고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8.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방법은,
    (1)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2)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전달 받으면, 상기 회원가입 신청 정보를 전달 받은 시점에 생성된 사용자 고유 정보를 암호화하여 인증 1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 1키를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 1키 값을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는 단계;
    (3)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생성하는 단계;
    (4)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단계;
    (5)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출요청 정보를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는 상기 대출요청 정보를 기초로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6)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7)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투자대상 채권정보를 전달 받고 투자 실행을 위하여 사용자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는 단계;
    (8)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 시점 이후 인증 1키를 재생성 하는 단계;
    (9)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된 상기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
    (10)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상기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OPM 계정의 비대칭키로 암호화한 키 값을 기초로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된 키 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키 값을 상기 OPM 계정의 비대칭키의 대응키로 복호화하여 구한 인증 1키와 상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 시점 이후에 재생성된 인증 1키를 비교하는 위변조 판단을 기초로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에 대한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
    (11) 상기 대출 요청 또는 투자 실행 요청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 발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투자계약을 관리하는 OP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12)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OPM 계정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한 키 값을 복호화하여 구한 인증 1키를 OP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
    (13) 상기 OP 계정이 상기 OPM 계정으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인증 1키를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으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단계;
    (14)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OP 계정이 상기 OPM 계정으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인증 1키와 상기 메모리(off-chain DB)에 저장된 상기 인증 1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암호화한 TxID로부터 추출한 인증 1키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트랜잭션 생성을 결정하는 단계;
    (15)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OP 계정으로 전송한 인증 1키를 상기 OPM 계정으로 재 전송 받는 단계;
    (16)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상기 OPM 계정이 상기 OP 계정으로부터 재 전송받은 인증 1키를 상기 재생성된 인증 1키와 비교하고, 상기 재생성된 인증 1키가 유효하면, 토큰 지급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OPM 계정으로부터 상기 OP 계정에 토큰을 지급하는 명령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배포하고, 토큰 발행에 대한 사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업로드 하는 단계;
    (17)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가 토큰 발행에 대한 사실을 블록에 기록한 이후, 상기 대출 요청에 대응되는 투자금이 확보된 시점에 상기 OP 계정이 보유한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인증 2키와 투자금을 지급할 시점에 생성한 인증 2키와 비교하고 유효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투자금을 차입자에게 입금하는 명령, 투자자에게 전자 바우처를 지급하는 명령 및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을 지급하는 명령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에 배포하는 단계;
    (18)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가 상기 자율보증 증명 대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증명하는 토큰 지급 및 전자 바우처를 지급하는 명령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바우처 제공 서버에 전자 바우처 지급 요청을 하는 단계 및
    (19) 상기 바우처 제공 서버가 블록체인 네트워크(on-chain)으로부터 전달 받은 전자 바우처 지급 요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자 바우처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방법.

KR1020200150821A 2020-11-12 2020-11-12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64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21A KR20220064589A (ko) 2020-11-12 2020-11-12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21A KR20220064589A (ko) 2020-11-12 2020-11-12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589A true KR20220064589A (ko) 2022-05-19

Family

ID=8180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821A KR20220064589A (ko) 2020-11-12 2020-11-12 보상형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887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in exchange for fiat
US11063770B1 (en) Data authorization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s
EP3799642B1 (en) Data authorization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s
US10026118B2 (en) System for allowing external validation of data in a process data network
US10142312B2 (en) System for establishing secure access for users in a process data network
US10607285B2 (en) System for managing serializability of resource transfers in a process data network
WO2019015474A1 (zh) 用于提高票据交易安全性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10679215B2 (en) System for control of device identity and usage in a process data network
US20170243222A1 (en) System for use of secure data from a process data network as secured access by users
US20200051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rbitrating a blockchain transaction
US20150269541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20220311611A1 (en) Reputation profile propagation on blockchain networks
US20210217002A1 (en) Blockchain content purchasing protocol
US20210029194A1 (en) System for generating event-based linkages between distributed resources for tailored data access
US20220172198A1 (en) Real-time blockchain settlement network
CN112991045B (zh) 基于区块链的医疗健康消费融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4363327A (zh) 区块链网络中的合规机制
US20210029121A1 (en) System for selective mapping of distributed resources across network edge framework for authorized user access
US118871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digital assets while maintaining security and privacy
KR10232415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p2p 대출 서비스 자율보증증명 방법 및 장치
CN110766548A (zh) 基于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Bhardwaj et 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in various domains
CN110910252A (zh) 一种管理与知识产权资产相关的证券单元的系统和方法
WO2021060340A1 (ja) 取引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450412B1 (ko) 사물인터넷에서 서비스 수준 협약 기반 공유경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