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552A -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552A
KR20220064552A KR1020200150728A KR20200150728A KR20220064552A KR 20220064552 A KR20220064552 A KR 20220064552A KR 1020200150728 A KR1020200150728 A KR 1020200150728A KR 20200150728 A KR20200150728 A KR 20200150728A KR 20220064552 A KR20220064552 A KR 2022006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ed grip
surgical instrument
auxiliary device
medica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민
Original Assignee
손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민 filed Critical 손종민
Priority to KR102020015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552A/ko
Publication of KR2022006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01Clamping means for connecting accessories to the oper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53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hydrophobic and corrosion-resistant fluorocarbon resin coating (pt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7Accessory clamps
    • A61B2090/571Accessory clamps for clamping a support arm to a bed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는 고정부, 바디부 및 고정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의료용 침대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바와 결합할 수 있다. 바디부는 고정부와 연결되어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 그립부는 바디부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는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바디부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를 이용하여 수술용 기구를 고정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사람의 힘으로 수술용 기구를 고정하지 않아도 되어 수술실에서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MEDICAL ASSISTANCE EQUIPMENT}
본 발명은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분야의 경우,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기술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분야에서는 여전히 인간의 인력에 의존하여 수술을 진행함으로써 비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의료계의 비효율적인 수술진행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9-0019193 (공개일자 2019.02.2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바디부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위치를 잡거나 환부를 보여주기 위한 수술용 기구를 고정함으로써 수술실에서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는 고정부, 바디부 및 고정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의료용 침대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바와 결합할 수 있다. 바디부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 그립부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는 상기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수술용 기구와 결합되어 상기 수술용 기구를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는 손 모양으로 구현되고,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그립버튼을 푸시(Push)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의 손가락을 접어서 상기 수술용 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기구가 상기 고정 그립부에 포함되는 가이드 영역과 접촉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의 손가락을 접어서 상기 수술용 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에 포함되는 가이드 영역은 고무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 제2 바디, 관절부,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상기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관절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1 바디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바디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바이 및 상기 제2 바디 사이를 연결하여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바디 및 상기 고정 그립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2 바디 및 상기 고정 그립부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바디버튼이 푸시(Push)되는 동안, 상기 바디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버튼이 푸시(Push)되지 않는 동안, 상기 바디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위치조절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와 연결되는 수술용 기구를 이동시켜 수술부위가 보다 넓게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위치조절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와 연결되는 수술용 기구를 이동시켜 수술부위가 보다 좁게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는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환자의 신체부위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는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바디부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를 이용하여 수술용 기구를 고정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사람의 힘으로 수술용 기구를 고정하지 않아도 되어 수술실에서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와 변수를 막을 수 있으며 수술방 감염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 그립부의 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바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7 및 8은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들 중 위치조절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는 고정부(100), 바디부(200) 및 고정 그립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수술실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바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실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바는 의료용 침대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바일 수 있고, 고정부(100)는 의료용 침대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바(50)와 결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의료용 침대의 좌우 측면에는 고정부(100)와 결합될 수 있는 측면바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상에는 의료용 침대의 일 측면에만 측면바가 도시되어 있으나, 의료용 침대의 타 측면에도 측면바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부(100)는 수술실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바와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모양은 'ㄷ'자 모양 및 고리모양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고정부(100)와 연결되어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부(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관절부(201), 제1 연결부(230) 및 제2 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관절부(201)는 고정부(100)와 제1 바디(210) 사이를 연결하여 제1 바디(210)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30)는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 사이를 연결하여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바디(220)는 제1 연결부(230) 및 제1 바디(210)를 이용하여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 복합적으로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40)는 제2 바디(220) 및 고정 그립부(300) 사이를 연결하여 제2 바디(220) 및 고정 그립부(300)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그립부(300)는 제2 연결부(240) 및 제2 바디(220)를 이용하여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고정 그립부(300)는 바디부(200)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P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그립부(300)는 바디부(200)에 포함되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관절부(201), 제1 연결부(230) 및 제2 연결부(240)를 이용하여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고정위치(P1)에 도달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에 배치되는 수술용 기구(70)와 결합되어 수술용 기구(70)를 고정위치(P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신체에 포함되는 수술부위(SA)를 수술하기 위해서는 수술부위(SA)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수술부위(SA)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수술용 기구(70)가 사용될 수 있다. 수술부위(SA)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수술용 기구(70)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이 수술용 기구(70)를 잡고 있음으로써 수술부위(SA)를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를 사용하면, 고정 그립부(300)를 고정위치(P1)에 배치하여 수술용 기구(70)와 결합/고정시킴으로써 수술부위(SA)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는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바디부(200)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P1)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300)를 이용하여 수술용 기구(70)를 고정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사람의 힘으로 수술용 기구(70)를 고정하지 않아도 되어 수술실에서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 그립부의 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바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고정 그립부(300)는 손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에 포함되는 그립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의 손가락을 접어서 수술용 기구(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들은 제1 버튼(BT1), 제2 버튼(BT2) 및 제3 버튼(BT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BT1)은 그립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버튼(BT1)이 눌려지는(푸시) 경우, 고정위치(P1)에 배치되는 수술용 기구(70)를 잡기 위해서 고정 그립부(300)는 손가락을 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술용 기구(70)가 고정 그립부(300)에 포함되는 가이드 영역(GR)과 접촉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의 손가락을 접어서 수술용 기구(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그립부(300)의 특정영역을 이용해서 수술용 기구(70)를 잡아 고정하는 경우, 고정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고정효과가 우수한 고정 그립부(300)의 특정영역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고정효과가 우수한 고정 그립부(300)의 특정영역은 가이드 영역(GR)일 수 있다. 수술용 기구(70)를 이용하여 수술부위(SA)를 개방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기구(70)가 가이드 영역(GR)과 접촉되는 경우, 복수의 버튼들 중 제1 버튼(BT1)을 푸시하여 고정 그립부(300)의 손가락을 접어 수술용 기구(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그립부(300)에 포함되는 가이드 영역(GR)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은 고무재질일 수 있다. 가이드 영역(GR)이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와 수술용 기구(70)가 보다 밀착되어 수술 중에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가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부(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관절부(201), 제1 연결부(230) 및 제2 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30)는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 사이를 연결하여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40)는 제2 바디(220) 및 고정 그립부(300) 사이를 연결하여 제2 바디(220) 및 고정 그립부(300)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에 포함되는 바디버튼이 푸시(Push)되는 동안, 바디부(200)에 포함되는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바디버튼이 푸시(Push)되지 않는 동안, 바디부(200)에 포함되는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들 중 제2 버튼(BT2)은 바디버튼일 수 있다. 제2 버튼(BT2)이 눌려지는 동안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 이동하여 그립 고정부(100)가 고정위치(P1)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의 위치이동 및 위치고정은 유압 방식, 공기압 방식 및 모터 방식 등을 통해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6, 7 및 8은 도 1의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들 중 위치조절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에 포함되는 위치조절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와 연결되는 수술용 기구(70)를 이동시켜 수술부위(SA)가 보다 넓게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들 중 제3 버튼(BT3)은 위치조절버튼일 수 있다. 위치조절버튼이 1회 눌려지는(푸시) 경우,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로부터 제1 이동방향(MD1)으로 0.5cm만큼 이동할 수 있다.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로부터 제1 이동방향(MD1)으로 0.5cm만큼 이동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와 연결된 수술용 기구(70)도 제1 이동방향(MD1)으로 0.5cm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술부위(SA)는 이전보다 더 넓게 개방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조절버튼이 4회 눌려지는(푸시) 경우,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로부터 제1 이동방향(MD1)으로 2.0cm만큼 이동할 수 있다.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로부터 제1 이동방향(MD1)으로 2.0cm만큼 이동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와 연결된 수술용 기구(70)도 제1 이동방향(MD1)으로 2.0cm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술부위(SA)는 이전보다 더욱 더 넓게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에 포함되는 위치조절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와 연결되는 수술용 기구(70)를 이동시켜 수술부위(SA)가 보다 좁게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조절버튼이 2회 눌려지는(푸시) 경우,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으로 1.0cm만큼 이동할 수 있다.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로부터 제2 이동방향(MD2)으로 1.0cm만큼 이동하는 경우, 고정 그립부(300)와 연결된 수술용 기구(70)도 제2 이동방향(MD2)으로 1.0cm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술부위(SA)는 이전보다 더 좁게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그립부(300)는 고정위치(P1)에 고정되어 환자의 신체부위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전, 수술 중 및 수술 후 환자의 신체의 일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위치(P1)에 환자의 신체부위를 배치시키고, 고정 그립부(300)를 고정위치(P1)로 이동시켜 고정하면 환자의 신체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10)는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바디부(200)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P1)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300)를 이용하여 수술용 기구(70)를 고정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사람의 힘으로 수술용 기구(70)를 고정하지 않아도 되어 수술실에서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막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의료용 보조기구 100: 고정부
200: 바디부 300: 고정 그립부

Claims (10)

  1. 수술실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바와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는,
    상기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수술용 기구와 결합되어 상기 수술용 기구를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는,
    손 모양으로 구현되고,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그립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의 손가락을 접어서 상기 수술용 기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기구가 상기 고정 그립부에 포함되는 가이드 영역과 접촉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의 손가락을 접어서 상기 수술용 기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에 포함되는 가이드 영역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환자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1 바디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바디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부;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사이를 연결하여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바디 및 상기 고정 그립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2 바디 및 상기 고정 그립부의 회전 및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바디버튼이 푸시(Push)되는 동안, 상기 바디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바디버튼이 푸시(Push)되지 않는 동안, 상기 바디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위치조절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와 연결되는 상기 수술용 기구를 이동시켜 수술부위가 보다 넓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에 포함되는 위치조절버튼이 푸시(Push)되는 경우, 상기 고정 그립부와 연결되는 상기 수술용 기구를 이동시켜 수술부위가 보다 좁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립부는,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환자의 신체부위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KR1020200150728A 2020-11-12 2020-11-12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KR20220064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28A KR20220064552A (ko) 2020-11-12 2020-11-12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28A KR20220064552A (ko) 2020-11-12 2020-11-12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552A true KR20220064552A (ko) 2022-05-19

Family

ID=8180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728A KR20220064552A (ko) 2020-11-12 2020-11-12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23562C2 (ru) * 2023-01-23 2024-07-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ым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И. Вернад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о удержания ранорасширител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193A (ko) 2016-07-14 2019-02-26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수술용 드레이프 설치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193A (ko) 2016-07-14 2019-02-26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수술용 드레이프 설치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23562C2 (ru) * 2023-01-23 2024-07-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ым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И. Вернад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о удержания ранорасширител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0647B2 (ja) 超音波ロボット用具の作動
EP3076885B1 (en) Access device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device
US8827901B2 (en) Access assembly with translating lumens
EP2269683B1 (en) Driving device for linear body
ES2672387T3 (es) Amplificador de movimiento para un mecanismo de orientación de una herramienta orientable
US9962186B2 (en) Trocar
CN106175849B (zh) 一种基于柔性手术工具的单孔腔镜手术系统
CN101919737B (zh) 一种用于介入性诊治胆囊疾病的医疗器械
Phee et al. Design of a master and slave transluminal endoscopic robot for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US10959796B2 (en) Medical instrument
CN107126236A (zh) 夹式卡圈先进的固定
CN115089299A (zh) 机器人臂的安全装置、机器人臂和用于机器人手术系统的控制系统
DE10294318D2 (de) Multifunktionsinstrument für die Mikroinvasive Chirurgie
US10085618B2 (en) Treatment tool exchanging device and medical system
KR20100100278A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EP1736093B1 (en) Endoscope treatment system
JP2016540572A5 (ko)
EP2958506A1 (en) Surgical tool holding device, endoscope, and medical system
KR100956760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1830389B1 (ko) 수술용 로봇의 마스터 그립퍼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로봇의 제어방법
GB2550575A (en) Surgical instrument
KR20220064552A (ko) 의료용 보조기구 장치
KR20110010836A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EP2848189B1 (de) Endoskopisches System
JP2009056131A (ja) 多自由度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