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335A -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335A
KR20220064335A KR1020210154571A KR20210154571A KR20220064335A KR 20220064335 A KR20220064335 A KR 20220064335A KR 1020210154571 A KR1020210154571 A KR 1020210154571A KR 20210154571 A KR20210154571 A KR 20210154571A KR 20220064335 A KR20220064335 A KR 2022006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user
mode
music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근
Original Assignee
올리브유니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리브유니온(주) filed Critical 올리브유니온(주)
Publication of KR2022006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335A/ko
Priority to PCT/KR2022/01778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858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7Circuits for combin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transduc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8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constructional mean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9Reducing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noise on the functioning of hearing aids, by, e.g. shielding, signal processing adaptation, selective (de)activation of electronic parts in hearing a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1Noise reduction using microphones having different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의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히어 모드에서의 외부 소음레벨과 노출시간,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의 음악 볼륨레벨과 노출시간을 포함한 청력 습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상기 히어 모드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MONITORING AUDITORY USING HEARING EAR EARPHONES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의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공학적 기술의 도약적인 발전에 의하여 이전에 보청기를 착용하여 큰 도움을 받지 못하던 환자들이 적합한 보청기를 선정하여 착용함으로써, 훌륭한 청력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보청기는 의료기기 중에도, 늘 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첨단 의료기기 이다. 보청기는 청력의 변화에 따라 꾸준히 관리를 받아야 하고, 습기와 귀 내 이물질로 인해 손상되는 부분에 대한 A/S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보청기는 의공학적 기술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라고 여겨진다.
기존의 보청기는 나팔형의 집음기의 형태였으나, 현재는 보통 음의 증폭을 돕는 전기보청기의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보청기는 유돌부에 장착하는 골도식이 있으나 대개는 기도식의 구조이며,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 진동으로 바꾸고, 이것을 확대하여 이어폰으로 다시 음파를 변환하여 귀에 들리게 한다.
최근에는 보다 강력한 보청기 전용 프로세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보청기 전용 프로세서는 기존의 프로세서에 비해 2배 이상 빨라진 처리 속도와 메모리를 탑재하고, 진화된 나노 기술로 작게 구성된 칩과 부품들로 구성된다.
다만, 기존의 보청기에 대한 기술은 난청인(이하에서는 ‘사용자’로 칭함)의 청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것이므로, 사용자의 실시간 주변 소음에 대한 데이터를 적용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기존의 보청기에 대한 기술은 보청기에 한정된 기능만을 제공한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청 이어폰(또는 보청기)와 연동되어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에서의 사용자의 청력 습관을 파악하여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히어 모드에서의 외부 소음레벨과 노출시간,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의 음악 볼륨레벨과 노출시간을 포함한 청력 습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상기 히어 모드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은 목소리, TV 소리 및 외부 소리의 각 상황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사용자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로 개인 맞춤형 청각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히어 모드에서의 외부 소음레벨과 노출시간,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의 음악 볼륨레벨과 노출시간을 포함한 청력 습관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상기 히어 모드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청 이어폰(또는 보청기)와 연동되어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에서의 사용자의 청력 습관을 파악하여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청력 습관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소음을 많이 접하는 패턴에 자동으로 소음제거 기능을 온(On)하거나, 알림으로 푸시하는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부담을 최소화하며, 청력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의 사용자의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 이어폰은 사용자의 좌측 이어와 우측 이어 각각에 착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일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이어폰 또는 헤드폰일 수 있으나,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연동 가능한 이어폰이면 무관하다.
상기 단말기(또는 전자 기기)는 사용자는 소지하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보청 이어폰으로부터 사용자의 청력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터치-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기능 집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 또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므로 종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보청 이어폰들(110), 복수의 전자 기기들(120), 서버(14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2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2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사용자 착용 장치(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들(120) 각각은 서버(140) 및 보청 이어폰(11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며,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전자 기기(12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지칭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3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4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20)과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4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접속한 제1 전자 기기(120)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 기기(120)는 서버(14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12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40)에 접속하여 서버(14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20)가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40)로 전송하면, 서버(14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전자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120)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인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제1 전자 기기(120), 그리고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4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이에, 이하 제1 전자 기기(120)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며, 서버(140)는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이나 서버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20)와 서버(14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40))이 네트워크(1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제1 전자 기기(120)와 서버(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12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버(14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4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30)를 거쳐 제1 전자 기기(12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제1 전자 기기(12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4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제1 전자 기기(12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12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40)나 제2 전자 기기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4) 또한 마찬가지로 서버(14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 서버(14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기기(120) 및 서버(14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2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12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방위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제1 전자 기기(12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의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를 감지한다.
단계 S310은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된 외부 소리의 데시벨을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난청 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히어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히어 모드(hear mode)는 보청기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보청 이어폰을 각 귀에 착용한 후,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에 선택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은 히어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에 따라 외부 소리를 증폭 또는 감소하여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10은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악 소리의 데시벨을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뮤직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뮤직 모드(music mode)는 이어폰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보청 이어폰을 각 귀에 착용한 후, 노래를 들을 때에 선택하는 모드이며, 보청 이어폰의 마이크(Mic)가 잠긴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은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에 따라 음악 소리를 증폭 또는 감소하여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히어 모드 또는 뮤직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히어 모드와 뮤직 모드를 모두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서, 히어 모드에서의 외부 소음레벨과 노출시간, 및 뮤직 모드에서의 음악 볼륨레벨과 노출시간을 포함한 청력 습관을 측정한다.
단계 S320은 히어 모드에서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하는 외부 소리로 측정되는 외부 소음레벨과 소음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며, 뮤직 모드에서 보청 이어폰을 통한 음악 소리로 측정되는 음악 볼륨레벨과 음악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의 단계 S320은 사용자가 보청 이어폰을 착용한 후,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면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소음레벨과 소음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소음레벨은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데시벨의 소음을 나타내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소음의 강도에 따라 레벨이 설정될 수 있으므로, 레벨 수치 및 범위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소음 노출시간은 전술한 소음레벨에 노출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한다.
단계 S330은 측정된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에 출력되는 외부 소리 및 음악 소리의 노출 평균값을 산출하여 일별 또는 시간별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수치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330은 사용자의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를 사용한 보청 및 음악 청취 습관에 따라 외부 소음에 많이 노출되는 특정 시간대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퇴근 시간과 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 주로 외부 소음에 많이 노출될 수 있으며, 단계 S330은 평일, 그리고 출퇴근 시간에 소음에 많이 노출됨을 패턴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계 S330은 일별 또는 시간별로 수치화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기반으로, 외부 소음에 비교적 많이 노출되는 특정 시간대에 소음제거 기능을 온(On)하거나, 알림 푸시(push)하여 사용자의 청력 개선을 위한 청각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330은 평일, 그리고 출퇴근 시간에 소음제거 기능을 온(On)하여 소음 데시벨을 감소시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대임을 알림 푸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좌측 이어 및 우측 이어 각각에 착용되는 좌측 보청 이어폰 및 우측 보청 이어폰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양쪽 귀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후에,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 상태를 판단하며, 청력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난청인이라도 왼쪽 청력과 오른쪽 청력 상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맞는 좌측 및 우측 각각의 청력 상태를 판단하며, 좌측 이어 및 우측 이어 각각에 맞는 주파수를 EQ(Equalizer)로 보정하여 음악 소리 및 외부 소리에서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서, 본 발명은 히어 모드 또는 뮤직 모드, 그리고 히어 모드와 뮤직 모드를 결합한 결합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소리를 증폭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방법은 목소리, TV 소리 및 외부 소리의 각 상황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사용자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로 개인 맞춤형 청각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히어 모드에서 감지되는 목소리(또는 음성), TV 소리 및 외부 소음 소리를 각 상황에 맞게 데시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맞춤형 데시벨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 증폭 또는 감소를 비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좌측 이어의 맞춤형 데시벨이 10이고, 우측 이어의 맞춤형 데시벨이 3으로, 10 대 3의 비율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20으로 올리는 경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우측 이어의 데시벨을 6으로 설정함으로써, 데시벨 증폭 또는 감소를 비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기술은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 외부 소음레벨 및 노출시간을 측정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또는 ‘소리 큼’과 같은 문구로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청력 습관에 따른 청력 보고서는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별 또는 시간대별과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에서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수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기술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수치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a)를 참조하여 히어 모드(hear mode)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설명하면, 히어 모드에서 좌측 보청 이어폰과 우측 보청 이어폰 각각의 음성 증폭량 그래프(501)를 나타내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Custom)에 따라 목소리(Talk, 511), TV 소리(512) 및 외부 소리(Outdoor, 513)의 각 상황에서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사용자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로 개인 맞춤형 청각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소리를 듣는 히어스루 모드(520)를 온(On)/오프(Off)하고, 소음 감소 모드(Noise Reduction, 531)를 온(On)/오프(Off)하여 모드 각각에서의 좌측 이어(533) 및 우측 이어(534)에서의 데시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비율 제어 모드(532)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데시벨 증폭 또는 감소를 비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좌측 이어의 맞춤형 데시벨이 10이고, 우측 이어의 맞춤형 데시벨이 3으로, 10 대 3의 비율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20으로 올리는 경우, 본 발명은 우측 이어의 데시벨을 6으로 설정함으로써, 데시벨 증폭 또는 감소를 비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목소리(또는 음성, 511)에서 목소리 주파수 영역의 데시벨을 부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소음을 제거하여 맑은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TV 소리(512) 또한 데시벨을 조절함으로써, TV에서 나오는 소리의 특정 주파수만을 강조하여 보다 선명한 TV 음질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외부 소리(513)에서의 불필요한 소음 데시벨을 최소화하고,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소리 예를 들면, 자동차 경적 소리, 구급차 소리, 안내 소리와 같은 데시벨을 증폭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외부의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기술은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도 6 참조), 보청기에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보청기 적응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도 7 참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의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감지부(810), 측정부(820), 모니터링부(830) 및 제어부(840)를 포함한다.
감지부(81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를 감지한다.
감지부(810)는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된 외부 소리의 데시벨을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난청 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히어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히어 모드(hear mode)는 보청기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보청 이어폰을 각 귀에 착용한 후,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에 선택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히어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에 따라 외부 소리를 증폭 또는 감소하여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810)는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악 소리의 데시벨을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뮤직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뮤직 모드(music mode)는 이어폰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보청 이어폰을 각 귀에 착용한 후, 노래를 들을 때에 선택하는 모드이며, 보청 이어폰의 마이크(Mic)가 잠긴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에 따라 음악 소리를 증폭 또는 감소하여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히어 모드 또는 뮤직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히어 모드와 뮤직 모드를 모두 선택할 수도 있다.
측정부(820)는 히어 모드에서의 외부 소음레벨과 노출시간, 및 뮤직 모드에서의 음악 볼륨레벨과 노출시간을 포함한 청력 습관을 측정한다.
측정부(820)는 히어 모드에서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하는 외부 소리로 측정되는 외부 소음레벨과 소음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며, 뮤직 모드에서 보청 이어폰을 통한 음악 소리로 측정되는 음악 볼륨레벨과 음악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820)는 사용자가 보청 이어폰을 착용한 후,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행하면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소음레벨과 소음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소음레벨은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데시벨의 소음을 나타내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소음의 강도에 따라 레벨이 설정될 수 있으므로, 레벨 수치 및 범위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소음 노출시간은 전술한 소음레벨에 노출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모니터링부(830)는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부(830)는 측정된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에 출력되는 외부 소리 및 음악 소리의 노출 평균값을 산출하여 일별 또는 시간별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수치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830)는 사용자의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를 사용한 보청 및 음악 청취 습관에 따라 외부 소음에 많이 노출되는 특정 시간대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퇴근 시간과 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 주로 외부 소음에 많이 노출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부(830)는 평일, 그리고 출퇴근 시간에 소음에 많이 노출됨을 패턴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모니터링부(830)는 일별 또는 시간별로 수치화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기반으로, 외부 소음에 비교적 많이 노출되는 특정 시간대에 소음제거 기능을 온(On)하거나, 알림 푸시(push)하여 사용자의 청력 개선을 위한 청각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부(830)는 평일, 그리고 출퇴근 시간에 소음제거 기능을 온(On)하여 소음 데시벨을 감소시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대임을 알림 푸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제어부(840)는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840)는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좌측 이어 및 우측 이어 각각에 착용되는 좌측 보청 이어폰 및 우측 보청 이어폰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양쪽 귀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후에,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 상태를 판단하며, 청력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난청인이라도 왼쪽 청력과 오른쪽 청력 상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제어부(840)는 사용자에게 맞는 좌측 및 우측 각각의 청력 상태를 판단하며, 좌측 이어 및 우측 이어 각각에 맞는 주파수를 EQ(Equalizer)로 보정하여 음악 소리 및 외부 소리에서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서, 제어부(840)는 히어 모드 또는 뮤직 모드, 그리고 히어 모드와 뮤직 모드를 결합한 결합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소리를 증폭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40)는 목소리, TV 소리 및 외부 소리의 각 상황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사용자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로 개인 맞춤형 청각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히어 모드에서 감지되는 목소리(또는 음성), TV 소리 및 외부 소음 소리를 각 상황에 맞게 데시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840)는 사용자의 맞춤형 데시벨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 증폭 또는 감소를 비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좌측 이어의 맞춤형 데시벨이 10이고, 우측 이어의 맞춤형 데시벨이 3으로, 10 대 3의 비율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20으로 올리는 경우, 제어부(840)는 우측 이어의 데시벨을 6으로 설정함으로써, 데시벨 증폭 또는 감소를 비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비록, 도 8의 시스템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8을 구성하는 각 구성 수단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히어 모드에서의 외부 소음레벨과 노출시간,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의 음악 볼륨레벨과 노출시간을 포함한 청력 습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상기 히어 모드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된 외부 소리의 데시벨을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난청 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상기 히어 모드를 감지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악 소리의 데시벨을 상기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상기 뮤직 모드를 감지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히어 모드에서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하는 외부 소리로 측정되는 외부 소음레벨과 소음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뮤직 모드에서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한 음악 소리로 측정되는 음악 볼륨레벨과 음악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상기 히어 모드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에 출력되는 외부 소리 및 음악 소리의 노출 평균값을 산출하여 일별 또는 시간별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수치화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일별 또는 시간별로 수치화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기반으로, 외부 소음에 비교적 많이 노출되는 특정 시간대에 소음제거 기능을 온(On)하거나, 알림 푸시(push)하여 사용자의 청력 개선을 위한 청각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목소리, TV 소리 및 외부 소리의 각 상황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사용자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로 개인 맞춤형 청각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청각 모니터링 방법.
  9. 보청 이어폰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보청기 기능의 히어 모드 및 이어폰 기능의 뮤직 모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히어 모드에서의 외부 소음레벨과 노출시간,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의 음악 볼륨레벨과 노출시간을 포함한 청력 습관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상기 히어 모드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된 외부 소리의 데시벨을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난청 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상기 히어 모드를 감지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악 소리의 데시벨을 상기 맞춤형 데시벨에 맞게 증폭 또는 감소하여 출력하는 상기 뮤직 모드를 감지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히어 모드에서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해 입력하는 외부 소리로 측정되는 외부 소음레벨과 소음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뮤직 모드에서 상기 보청 이어폰을 통한 음악 소리로 측정되는 음악 볼륨레벨과 음악에 노출되는 노출시간을 측정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측정된 상기 청력 습관을 분석하여 상기 히어 모드 및 상기 뮤직 모드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에 출력되는 외부 소리 및 음악 소리의 노출 평균값을 산출하여 일별 또는 시간별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수치화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일별 또는 시간별로 수치화된 노출시간 및 노출 평균값을 기반으로, 외부 소음에 비교적 많이 노출되는 특정 시간대에 소음제거 기능을 온(On)하거나, 알림 푸시(push)하여 사용자의 청력 개선을 위한 청각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ear) 및 좌측 이어(ear) 각각의 청력을 테스트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난청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 각각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목소리, TV 소리 및 외부 소리의 각 상황에서 사용자의 우측 이어 및 좌측 이어의 데시벨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사용자의 청력을 보완하는 맞춤형 데시벨로 개인 맞춤형 청각 상태를 제어하는, 청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54571A 2020-11-11 2021-11-11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64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7780 WO2023085859A1 (ko) 2020-11-11 2022-11-11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9939 2020-11-11
KR1020200149939 2020-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335A true KR20220064335A (ko) 2022-05-18

Family

ID=81800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570A KR20220064334A (ko) 2020-11-11 2021-11-11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를 제공하는 보청 이어폰의 모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10154571A KR20220064335A (ko) 2020-11-11 2021-11-11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570A KR20220064334A (ko) 2020-11-11 2021-11-11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를 제공하는 보청 이어폰의 모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64334A (ko)
WO (2) WO20230858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85A1 (ko) * 2022-10-04 2024-04-11 올리브유니온(주) 이어폰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60B1 (ko) * 2011-09-15 2013-04-15 이귀봉 스마트 보청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보청 지원 시스템
KR101398466B1 (ko) * 2012-06-01 2014-05-27 임용무 음향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단말
KR101442022B1 (ko) * 2012-09-04 2014-09-25 (주)다하미 커뮤니케이션즈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482420B1 (ko) * 2013-07-17 2015-01-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청자용 휴대폰 단말기의 음향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5349B1 (ko) * 2016-05-27 2018-03-16 김형호 좌우 청력 보정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906298B1 (ko) * 2017-02-17 2018-10-11 유한회사 청텍 피팅이 용이하고 체온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보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3374B1 (ko) * 2017-09-01 2018-11-22 올리브유니온(주) 환경 변화 및 소음에 따른 적응형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5856B1 (ko) * 2018-03-02 2019-10-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KR101941680B1 (ko) * 2018-07-13 2019-01-23 신의상 사용자 맞춤형 오디오 주파수 이퀄라이저 조절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85A1 (ko) * 2022-10-04 2024-04-11 올리브유니온(주) 이어폰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858A1 (ko) 2023-05-19
KR20220064334A (ko) 2022-05-18
WO2023085859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303B2 (en) Speaker equalization for mobile devices
US10275210B2 (en) Privacy protection in collective feedforward
US8781142B2 (en) Selective acoustic enhancement of ambient sound
CN111447539A (zh) 一种用于听力耳机的验配方法和装置
US11006202B2 (en) Automatic user interface switching
CN108475502A (zh) 语音增强感知模式
EP3892009A1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 head on/off state detection
KR20170055329A (ko)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2306448A (zh) 根据环境噪声调节输出音频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0636405B1 (en) Automatic active noise reduction (ANR) control
CN112019975B (zh) 环境和聚合声学剂量测定
CN112423175B (zh) 耳机降噪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468924A (zh) 一种耳机降噪方法及装置
KR102133004B1 (ko) 상황에 따라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7686B1 (ko) 환경 및 종합 음향 선량측정
CN113746983A (zh) 助听方法及装置、存储介质、智能终端
KR20220064335A (ko)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73538A (ko) 음향 광고 또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보청기
CN112614507A (zh) 检测噪声的方法和装置
KR102461608B1 (ko) 스피커에 포함된 진동판을 이용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20370249A1 (en) Multi-device integration with hearable for managing hearing disorders
US20170147280A1 (en) Processing sound using collective feedforward
KR20200112791A (ko)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54438A (ko) 능동 방향성 이득 조정 가능한 양이 보청기 시스템
US20240113675A1 (en) Earphone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