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166A -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166A
KR20220064166A KR1020200150384A KR20200150384A KR20220064166A KR 20220064166 A KR20220064166 A KR 20220064166A KR 1020200150384 A KR1020200150384 A KR 1020200150384A KR 20200150384 A KR20200150384 A KR 20200150384A KR 20220064166 A KR20220064166 A KR 20220064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electrical
user
signal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영
유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카텍
Priority to KR102020015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166A/en
Publication of KR2022006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1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training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ethod of an EMS training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body part of a user; measuring a contact resistance of each of the electric stimulation pads with the body part; and controlling the signal strength of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based on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MS training system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capable of maximizing exercise effects.

Description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EMS training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개시는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 저항, 운동 지속 시간, 사용자의 자세 등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MS training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based on contact resistance, exercise duration, user's posture, etc.,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It relates to an EMS training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전기근육자극, 즉, EMS(Electrical Muscular Stimulation)는 도선 또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체내에 전류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근육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한 근육증강, 근육운동, 실금의 관리, 척추기형의 관리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골격근 수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몸을 움직일 때 뇌에서 근육으로 하달되는 전기적 명령신호와 동일한 전류를 기계장치를 통해 근육에 직접 흘려넣어 운동신경과 근섬유가 수축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전류가 흐르지만 그것은 인체의 신호와 유사하게 조절된 것이라 감전된다는 느낌은 없다.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hat is, EMS (Electrical Muscular Stimulation), is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s muscles by supplying electric current to the user's body through a wire or electrode. It is known to induce skeletal muscle contraction by being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management of skeletal muscle and spinal deformity. In other words, when the body moves, the same current as the electrical command signal sent from the brain to the muscle is passed directly into the muscle through the mechanical device to cause the motor nerves and muscle fibers to contract. There is no feeling of being electrocuted.

EMS에 의한 운동은 덤벨 운동과 같이 무거운 것을 사용하는 운동과는 상위하며, 근육을 전기적으로 자극함으로 써 근육이 수축되는 것을 이용해서 근육을 단련시킨다는 것이며, 보다 안정성이 높은 운동 방법으로서 평가되고 있다.Exercise by EMS is different from exercise using heavy objects such as dumbbell exercise, and it is evaluated as a more stable exercise method because it strengthens the muscle using the muscle contraction by electrically stimulating the muscle.

종래, EMS 운동을 제공하는 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도록 전기자극용 패드가 부착된 운동복을 이용하며, 이러한 전기자극용 패드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수행이 된다.Conventionally, an apparatus for providing EMS exercise generally uses sports clothes to which electrical stimulation pads are attach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body parts of a user, and is performed in a manner that controls electrical signals applied to thes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do.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운동 모드에 따라 자동 설정된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전기 강도로 단순히 전기 신호를 제공할 뿐이어서, 사용자의 운동 자세, 시간, 땀 등으로 접속 저항이 변경되는 경우, 균일한 운동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 실시하고 있는 운동 동작을 고려하여 전기적 자극이 가해지는 위치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evice simply provides an electrical signal with an electrical strength automatically set or set by a user according to an exercise mode,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is changed by the user's exercise posture, time, sweat, etc., uniform exercis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id not provide an effect.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xercise that the user is currently performing, the position or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cannot be automatically adjusted, so that the exercise effect cannot be maximized.

본 개시는 접촉 저항, 운동 지속 시간, 사용자의 자세 등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MS training system capable of maximizing an exercise effect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based on a contact resistance, an exercise duration, a user's posture, and the lik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operating method of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body part of a user; measuring a contact resistance with the body part for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and controlling a signal strength for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based on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는, 통신부;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nd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body part of the user, measuring a contact resistance with the body part for each electrical stimulation pad, and receiving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Based on it, it may include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signal strength for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execute an operating method of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apparatus.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의 복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상기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operating method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for a plurality of first users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an exercise mode, at least one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in each exercise mode collecting training information on body parts and signal strengths for each body part; and setting at least one of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ed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 parts for each exercise mode, based on the training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은, 통신부;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의 복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상기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MS training device; and for a plurality of first users of the EMS training device, collect training information about an exercise mode, at least one body part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in each exercise mode, and a signal strength for each body part, and add the training information to the training information. The processor may include a processor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of a recommendation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ation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 parts for each exercise mode, based on the exercise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execute an operating method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apparatu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S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of hardware and/or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may be implemented by circuit configurations for a predetermined function. Also,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Th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prior art for electronic configuration,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re is. “Part” and “module” are stored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 processor.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part” and “module”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grams. It may be implemented by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장치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 device interposed therebetwee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only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an actual device, a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ed.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That is, the description of “including” a specific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nd it means that additional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for performing essential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optional components for merely improving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only essential components to implement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components us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a structure including only essential components excluding optional components us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S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시스템(1000)은, 의복(10), EMS 트레이닝 장치(100), 단말(200)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EMS trai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garment 10 , an EMS training device 100 , a terminal 200 , and a network.

의복(1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자극 패드(11)는 양극, 음극의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의복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등, 어깨, 가슴, 복근, 허벅지, 등의 신체 부위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극 패드(11)는 각각 대응하는 전선(12)을 통해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복(10) 또는 전기자극 패드(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등)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의복(10)의 일 측에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에는 전선(12) 및 전기자극 패드(11)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The garmen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 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transmit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parts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nd when the user wears clothes, the user's back, shoulders, chest, abdominal muscles, and thighs , may be implemented to be disposed on body parts, such as. Each of thes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S training device 100 through a corresponding wire 12 .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ensor (eg,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ilt sensor, etc.) may be mounted on the garment 10 or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a connection part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MS training device 100 to one side of the garment 10 while detachably coupling it may be formed. At this time,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12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로 전기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11)와 신체 부위 간의 접속 저항,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 및/또는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단말(200)과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EMS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로부터 운동 모드의 선택,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 및/또는 신호 패턴 등의 자동 또는 수동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200)에 1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트레이닝 정보(운동 모드, 운동 모드별 신체 부위에 대한 신호 강도 등)를 전달할 수 있다.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nd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to transmit electrical stimulation to a body part of the user. In one embodiment,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detects the connection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nd the body part, the user's exercise duration and/or the operation state, and applies it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based on this The signal strength can be controlled. In an embodiment,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communication to perform EMS training.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eive a user input or control signal for automatic or manual adjustment, such as selection of an exercise mode, signal strength and/or signal pattern for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from the terminal 200, and the terminal ( 200), training information (exercise mode, signal strength of body parts for each exercise mode, etc.) for one or more users may be transmitted.

단말(2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가전 디바이스, 의료 디바이스,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EMS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운동 모드의 선택,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 및/또는 신호 패턴 등의 자동 또는 수동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1 이상의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부터 사용자들의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고, 누적된 정보를 기초로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별 추천 신호 강도/신호 패턴을 설정하여, 이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가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ll devices capable of accessing a network.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smartphone, a tablet, a PC, a notebook computer, a home appliance device, a medical device, a camera, and a wearable device. In an embodiment, the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provide EMS training to the user by interworking with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receives a user input for automatic or manual adjustment, such as selection of an exercise mode, signal strength and/or signal pattern for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nd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 can be passed as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collects training information of users from one or more EMS training devices 100, and sets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signal pattern for each body part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mode based on the accumulated information. , accordingly,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 EMS 트레이닝 장치(100)과 서버가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Network, Bluetooth (bluetooth), Wi-Fi (wifi), Internet (internet), intranet (intranet), extranet (extranet), LAN (Local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etc. It may include all networks that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and the server can connect to.

실시에에 따라,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팅 자원, 저장 자원 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ystem 10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rver (not shown). The server may provide computing resources, storage resources, and the like to provide services to users through a network.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전기 신호 발생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110), 메모리(120), 전기 신호 발생부(130), 프로세서(140)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 memory 120 , an electrical signal generator 130 , and a processor 140 . 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For example,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memory 120 ,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or 130 , and the processor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chip.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6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receive a signal to/from an external device.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n external device may include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the terminal 200 interworking with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signal through a wired/wireless channel and output it to the processor 160 , and transm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160 through a wired/wireless channel.

메모리(120)는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20)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가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20 may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for performing EMS training. In an embodiment, the memory 120 may store control information or data included in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 The memory 120 may be configured as a storage medium or a combination of storage media such as ROM, RAM, hard disk, CD-ROM, and DVD. In addition, the number of memories 120 may be plur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120 may store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기 신호 발생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가지며, 프로세서(140)의 지시에 따라, 전선(12) 등을 통해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신호 발생부(130)는 전원부(또는, 배터리), 파형 발생기, 전극, 단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ical signal generator 130 has at least one terminal, an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processor 140 , electricity applied to the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through the electric wire 12 , etc. signal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or 130 may include a power source (or a battery), a waveform generator, an electrode, a terminal, and the like.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가 동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EMS 트레이닝 동작(전기자극 패드(11)로의 전기 신호 인가 등)을 수행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control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operat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the components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n EMS training operation (eg, applic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ocessors 140 , and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applies an electrical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body part, and for each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 the processor 140 communicates with the body part. The contact resistance is measured, and a signal strength for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측정된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기준 저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the signal strength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n which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sistance. In this case, the reference resistances set for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전기자극 패드(11)에 현재 인가된 전기 신호의 강도 대비 소정의 비율 내에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the signal strength within a predetermined ratio compared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currently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기준 저항과 측정된 접촉 저항의 차이에 대응하여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the signal strength for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n respons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istance and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접촉 저항과 운동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운동 지속 시간은,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전기 신호가 인가된 시점부터 기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measure the user's exercise duration, and control the signal strength for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based on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and the exercise duration. In this case, the duration of the exercise may be calculated from a time point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운동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상이고, 측정된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may increase the signal strength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for which the exercise dur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nd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resistan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판단하며, 판단된 운동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 및 신호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40 detects the user's motion state through at least one sensor, determines the user's motion motion based on the sensed motion status, and responds to the determined motion motion with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 11), the signal strength and signal pattern for at least one may be controlled.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31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기자극 패드(11)가 부착된 의복(10)을 착용하면,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은, 예를 들어, 가슴, 팔, 등, 허벅지 등의 신체 부위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이러한 전기자극 패드(11)와 전선(12)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체 부위의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In step 310 ,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body part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clothing 10 to which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s attached,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may be disposed on body parts such as, for example, chest, arm, back, thigh, etc.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nd the electric wire 12, and the like, and may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stimulate the muscles of the body part.

이때,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 신호 패턴(예를 들어, 강도 변화, ON/OFF 변화, 펄스 파형 변화 등) 등은 사용자가 단말(200)을 통해 선택한 운동 모드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strength, signal pattern (eg, strength change, ON/OFF change, pulse waveform change, etc.)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is the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200 . It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mode or the like.

32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 신호가 인가된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피부와 접촉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을 통해 전달되는 저항(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320 ,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measure a contact resistance with a body part for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to which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For example, the EMS training device 100 detects a change in resistance (impedance) transmitted through the positive (+) electrode and the negative (-) electrod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n contact with the skin. can measure the contact resistance of

33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330 ,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signal strength of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based on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근육 자극 및/또는 운동량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increase the strength of a signal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n which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sistance. Through this,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maintain the muscle stimulation and/or exercise amount for the user's body part at a certain level.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복(10)을 착용한 채로 운동을 수행하면, 운동 자세 등에 따라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일부와 신체 부위 간의 접촉 강도가 달라지거나, 사용자의 피부에 흐르는 땀 등으로 인해 전기자극 패드(11)의 양 전극을 통해 측정되는 접촉 저항이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접촉 저항이 증가하게 되면,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낮은 전기 신호가 신체 부위로 전달됨으로 인하여,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근육 자극이 낮아져 운동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for example, when a user performs an exercise while wearing the clothes 10, the contact strength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nd a body part varies depending on the exercise posture, etc., or sweat flowing on the user's skin For example, the contact resistance measured through both electrodes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may change. In particular, when the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an electrical signal lower than the set signal strength is transmitted to the body part, so that the muscle stimulation for the body part is lower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exercise is reduced.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저항이 일정한 기준 저항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해당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를 미세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신체 부위에 대한 동일한 근육 자극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change in contact resistance with a body part is sensed and the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above a certain reference resistance, the signal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s slightly increased to increase the signal strength of the body. It can be done to maintain the same muscle stimulation for the area.

이때,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기준 저항과 측정된 접촉 저항의 차이가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신호 강도를 더 많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resistance and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the signal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mor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기자극 패드(11)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기준 저항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에 현재 인가된 전기 신호의 강도 대비 소정의 비율 내에서 신호 강도를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운동 모드 또는 신체 부위의 특성 등에 따라 각 신체 부위별로 최초 설정된 신호 강도가 상이하거나, 신체 부위별 전기 자극 변화에 대한 민감도 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전기자극 패드(11) 별로 기준 저항을 상이하게 설정하거나, 최대 증가 가능한 신호 강도의 범위를 설정된 신호 강도대비 소정의 비율내로 제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resistance set for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EMS training device 10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currently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signal strength in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exercise mode set by the user or the characteristics of body parts, the signal strength initially set for each body part may be different, or the sensitivity to electrical stimulation changes for each body part may be different. It may be implemented to set the reference resistance differently for each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or to limit the range of the maximum increaseable signal strength within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set signal strength.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동작 방법(400)에서, 410 단계 및 430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 방법(300)의 310 단계 및 320 단계와 동일하므로,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In the operation method 400 , steps 410 and 430 are the same as steps 310 and 320 of the operation method 3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and thus, the description of FIG. 3 will be referred to.

42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1 이상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된 전기 신호의 유지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전기자극 패드(11) 중 임의의 일부에 대하여 전기 신호가 인가된 시점으로부터 기산하여 동일 또는 상이한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까지를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In step 420,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measure the duration of the user's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measure the duration of the user's exercise based on the maintenance time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one or mor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 That is, for example, the EMS training device 100 calculates from the time point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any par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nd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same or different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Up to the current time point may be measured as the user's exercise duration.

440 단계에서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운동 지속 시간 및 전기자극 패드(11)의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전기자극 패드(11)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440 ,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signal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based on the measured exercise duration and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

일 실시예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측정된 운동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상이고,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운동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측정된 접촉 저항이 기준 저항보다 높다고 하더라도, 운동 자세나 땀에 의해 접속 저항이 변화되기 보다는, 전기자극 패드(11) 자체의 결함, 오작동 또는 사용자의 잘못된 착용으로 기인한 것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increase the strength of a signal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having a measured exercise dur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nd a contact resis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resistance. . This is, when the exercise duration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time, even if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esistance, rather than chang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due to exercise posture or sweat, a defect, malfunction, or user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tself It is considered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it is caused by incorrect wearing of

한편, 실시예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운동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임에도 접촉 저항이 기준 저항보다 높은 경우에는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200 when the contact resist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esistance even though the exercise dura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erforming EM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동작 방법(500)에서, 510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 방법(300)의 310 단계와 동일하므로,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In the operating method 500 , step 510 is the same as step 310 of the operating method 3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and thus the description of FIG. 3 will be referred to.

52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복(10), 전기자극 패드(11) 및/또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 자체에 장착될 수 있으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의 각도나 기울기, 속도 등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step 520,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detect the user's operation state through at least one sensor. For example, at least one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garment 10 worn by the user,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and/or the EMS training device 100 itself, and the EMS training device 100 uses these sensors. Through this, the angle, inclination, speed, etc. of each body part of the user are measured, and based on this, the user's motion state can be detected. The senso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gyro sensor, a til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53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감지된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운동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가 엉덩이를 일정한 각도로 내밀면서 하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 상태를 반복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스쿼드(squat)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step 530 ,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n exercise motion that the user is currently performing based on the sensed motion state. For example, i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detects that the user repeats the operation state of moving the lower body up and down while protruding the hip at a certain angl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doing a squat exercise. .

540 단계에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판단된 운동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자극 패드(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 및 신호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5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스쿼드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EMS 트레이닝 장치(100)는 스쿼드 운동에 이용되는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에 대한 신호 강도를 증대시키거나, 근육의 수축 및 이완에 맞춰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In step 540 ,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signal strength and signal pattern for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11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exercise motion. That is,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30 that the user is doing the squad exercise, the EMS training device 100 increases the signal strength for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used for the squad exercise. Alternatively, the pattern to which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muscle.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500)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신체 부위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강도 및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ercise effect can be maximized by determining the user's exercise motion and changing the strength and pattern of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body part accordingly.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단말(20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200)는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등)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terminal 200 interworking with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 a memory 220 , and a processor 230 . 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20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display unit, input unit, etc.)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communication unit 210 , the memory 220 , and the processor 2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e chip.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 또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receive a signal to/from an external device.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n external device may include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the EMS training device 100 or a server.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Also,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a signal through a wired/wireless channel and output it to the processor 230 , and transm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230 through a wired/wireless channel.

메모리(220)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여 EMS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20)는 단말(200)가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20 may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performing EMS training in conjunction with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 In an embodiment, the memory 220 may store control information or data included in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terminal 200 . The memory 220 may be configured as a storage medium or a combination of storage media, such as ROM, RAM, hard disk, CD-ROM, and DVD. In addition, the number of memories 220 may be plur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220 may store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프로세서(2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이 동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2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EMS 트레이닝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2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230 may control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terminal 200 interworking with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operat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components of the terminal 20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ocessors 230 , and the processor 23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interworking with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20 .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복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고,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relates to an exercise mode, at least one body part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in each exercise mode, and signal strength for each body part for a plurality of first users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 Training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nd at least one of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ed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 parts may be set for each exercise mode based on the training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 2 사용자로부터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제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2 사용자의 신체 부위 각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n exercise mode from the second user, and based on at least one of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ed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mode selected by the second user, 2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disposed on each of the user's body parts.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 2 사용자로부터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수동 조절 입력을 수신하고, 수동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동안 동일한 신체 부위에 대하여 연속되는 복수 회의 수동 조절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신호 강도의 최대 상승 범위는 소정의 강도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receives a manual adjustment input of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s from the second user, and based on the manual adjustment input,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s.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be manually controlled to adjust the signal strength of (11).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consecutive manual adjustment inputs are received for the same body par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aximum increas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may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strength or les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710 단계에서, 단말(200)은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는 동일 또는 상이한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각각 이용하여 EMS 트레이닝을 수행한 사용자일 수 있으며, 운동 모드는, 예를 들어, 기초 운동, 지구력 운동, 유산소 운동, 전신 근력 운동, 하체 집중 운동, 지방 연소 운동, 정리 운동, 마사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710 , the terminal 200 relates to at least one first user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in an exercise mode, at least one body part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in each exercise mode, and signal strength for each body part. You can collect training information. Here, at least one first user may be a user who has performed EMS training using the same or different EMS training apparatus 100, respectively, and the exercise mode is, for example, basic exercise, endurance exercise, aerobic exercise, whole body muscle strength. It may include exercise, lower body concentration exercise, fat burning exercise, cool-down exercise, massage, and the like.

720 단계에서, 단말(200)은 수집된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동 모드별로 설정된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는 단말(200) 자체에 저장되거나, 외부 장치(서버 등) 또는 연동하는 EMS 트레이닝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In operation 720, the terminal 200 may set at least one of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ed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body part for each exercise mode based on the collected training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the recommended signal pattern set for each exercise mode is stored in the terminal 200 itself, or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server, etc.) or an EMS training device 100 that interworks. can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추천 신호 강도는 각 운동 모드에서 신체 부위 각각에 인가된 전기 신호의 신호 강도에 대한 평균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추천 신호 강도는 1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신호 강도는, 상기 평균의 50%, 75% 100%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recommended signal strength may be calculated based on an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s of electrical signals applied to each body part in each exercise mode,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commended signal strength may be 1 or more . For example, the recommended signal strength may be selected as at least one of 50%, 75%, and 100% of the average.

730 단계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게 운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 일 수 있다.In operation 730, the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n exercise mode from the second user.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exercise mode to the second user, and receive a user's input for selecting an exercise mode in response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user may be the same user as the first user.

740 단계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 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운동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된 각 신체 부위별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천 신호 패턴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 하여금 제 2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 및/또는 신호 패턴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In step 740 , the terminal 200 EMS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based on at least one of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ed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mode selected by the second us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training apparatus 1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n exercise mo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terminal 200 detects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or recommended signal pattern for each body part stored in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exercise mode, and based on this Thus,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signal strength and/or the signal pattern of the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in contact with the second user's body part.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동 모드에 복수의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천 신호 패턴이 설정된 경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recommended signal strengths and/or recommended signal patterns are set in the exercise mode selected by the second user, the terminal 2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m.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동작 방법(800)에서, 810 단계 내지 840 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 방법(700)의 710 단계 내지 740 단계와 동일하므로, 도 7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operating method 800, steps 810 to 840 are steps 710 of the operating method 7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Since it is the same as steps 740 to 740,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FIG. 7 .

850 단계에서, 단말(200)은 제 2 사용자로부터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수동 조절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제 2 사용자에게 신체 부위별로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한 신호 강도를 수동 조절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n operation 850, the terminal 200 may receive a manual adjustment input of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s from the second user.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each body part to the second user, and in response, the user who manually adjusts the signal strength for at least one body part. input can be received.

850 단계에서, 단말(200)은 수동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도록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단말(200)은 신호 강도의 수동 조절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EMS 트레이닝 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EMS 트레이닝 장치(100)로 하여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In step 850, the terminal 200 may manually control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to adjust the signal strengt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11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s based on the manual adjustment input. That is,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transmits a user input for manual adjustment of signal strength to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thereby causing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to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corresponding to a body part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d 11 .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동일한 신체 부위에 대하여 연속되는 복수회의 수동 조절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신호 강도의 최대 상승 범위는 소정의 강도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1 회 입력 시 상승되는 강도가 '5'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단말(200)에 동일 신체 부위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3회 이상 하더라도, 최대 상승되는 강도는 '10'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의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n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consecutive manual adjustment inputs are received with respect to the same body par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aximum increase range of the signal strength for the corresponding body part may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strength or less. That is,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intensity increased when one input is '5', even if the user inputs to the terminal 200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same body part three or more times, the maximum rise The strength to be used may be limited to '1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occurs when the strength of an electric signal applied to a body part rapidly increases.

단말(200)은 EMS 트레이닝 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예를 들어, 운동 모드, 진행 시간, 신체 부위별 신호 강도 등)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단말(200)의 화면의 일정한 부분을 접촉하는 입력일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current operating state (eg, exercise mode, running time, signal strength for each body part, etc.)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100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 In this case, the user input may be an input for contacting a certain part of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0 on which the user interface is displayed.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선 신호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버튼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추천 신호 강도 및/또는 추선 신호 패턴으로 자동 제어를 시작하게 하는 제 2 버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버튼 이미지는 각각 누적된 동일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평균 강도의 50%, 75%, 100%에 대응하는 3개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3개 이미지 중 하나를 접촉(즉, 선택)한 다음 제 2 버튼 이미지를 접촉하면, 각 신체 부위에 인가되는 신호 강도가 자동으로 설정되면서, EMS 트레이닝 장치(100)를 통해 각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패드(11)로 전기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terminal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utton images for selecting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or a main line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an exercise mode, and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or a main line selected by the user. A second button image for starting automatic control with a signal pattern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first button image includes three images each corresponding to 50%, 75%, and 100% of the accumulated average intensity of the same user or another user, and the user touches one of the three images (i.e. . may be authoriz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단말(2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 신체 부위에 현재 설정된 신호 강도를 표시하고, 각 신체 부위를 선택하여 신호 강도를 수동 조절하기 위한 제 3 버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3 버튼 이미지 중에서 하나를 접촉하여 조절을 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선택하고, 해당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신호 강도를 수동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third button image for displaying the signal strength currently set on each body part and manually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by selecting each body part. there is.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 body part to be adjusted by touching one of the third button images, and may manually adjust the signal strength applied to the body part.

다만,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is exemplary and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embodiments.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For example, methods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or algorith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computer-readable codes or program instructions.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Computer-readable media may be any recording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may include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and the like, and an optically readable medium, for example,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or DV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be distributed in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data stored in the distributed recording media, for example, program instructions and codes, may be executed by at least one computer. there is.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re merely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disclosure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Claims (10)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신체 부위와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device,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body part of the user;
measuring a contact resistance with the body part for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and
based on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controlling a signal strength for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상기 전기자극 패드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ignal strength,
and increasing a signal strength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in which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s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패드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기준 저항은 서로 상이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erence resistance set for each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기자극 패드에 현재 인가된 전기 신호의 강도 대비 소정의 비율 내에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ignal strength,
A method of increasing the signal strength within a predetermined ratio compared to the strength of the electrical signal currently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과 상기 운동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user's exercise duration,
The controlling of the signal strength is performed based on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and the duration of the exercis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운동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 이상이고, 측정된 상기 접촉 저항이 소정의 기준 저항 이상인 상기 전기자극 패드에 대하여 인가되는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ignal strength,
and increasing a signal strength appli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for which the exercise dur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nd the measured contact res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s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운동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자극 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 강도 및 신호 패턴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cting the user's operating state through at least one sensor;
determining an exercise mo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ed motion state;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a signal strength and a signal pattern for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exercise motion.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상기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device,
collecting, for at least one first user of the EMS training device, training information regarding an exercise mode, at least one body part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in each exercise mode, and signal strength for each body part; and
and setting at least one of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ed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 parts for each exercise mode, based on the training in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로부터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운동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추천 신호 강도 및 상기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의 신체 부위 각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극 패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를 자동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n exercise mode from a second user; an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ation signal strength and the recommendation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mode selected by the second user,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pad disposed on each body part of the second user.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MS training device to apply.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트레이닝 장치와 연동하는 단말에 있어서,
통신부;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EMS 트레이닝 장치의 복수의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 모드, 각 운동 모드 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및 상기 신체 부위 별 신호 강도에 관한 트레이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트레이닝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모드 별로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신호 강도 및 추천 신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In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device,
communication department;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MS training device; and
For a plurality of first users of the EMS training apparatus, training information about an exercise mode, at least one body part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in each exercise mode, and signal strength for each body part is collected, and based on the training information and a processor for setting at least one of a recommended signal strength and a recommended signal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 parts for each exercise mode.
KR1020200150384A 2020-11-11 2020-11-11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641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84A KR20220064166A (en) 2020-11-11 2020-11-11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84A KR20220064166A (en) 2020-11-11 2020-11-11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166A true KR20220064166A (en) 2022-05-18

Family

ID=8180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384A KR20220064166A (en) 2020-11-11 2020-11-11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16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766B2 (en)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KR102527188B1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80028810A1 (en) System for controlling stimulation impulses
CN108882875B (en) Device for neurovascular stimulation
US20240163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iofeedback to a user through a wearable device
RU2741287C2 (en) Simulator controller and simulator control program
JP5739896B2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US9089285B2 (en) Energy expenditure computation based on accelerometer and heart rate monitor
Dakin et al. Muscle-specific modulation of vestibular reflexes with increased locomotor velocity and cadence
US10772528B2 (en)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CN107961523B (en) Human body training system and intelligent fitness system based on heart rate detection
KR1017755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muscular stimul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performing the method
KR20190041239A (en)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lower limb activity and the personalized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motion signals
WO2018214523A1 (en) Electromyographic signal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3140030A1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level of fatigue
KR101633186B1 (en) Apparatus for head mount vestibular function test using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80133682A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omyogram Using Fitness Ware Equipped Electromyogram Sensors
KR20180047780A (en) Method for Measuring Electromyogram by Mobile Terminal Wireless-Connected with Fitness Ware Equipped Sensors, and Software Distributing Server Managing a Software therefor
KR102185840B1 (en) Low frequency stimul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42495A (en) Exercise data processing method and exercise monitoring system
US20200297248A1 (en) Posture monitoring device employing elastic resistance element, an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osture by using same
KR20220064166A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00133458A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102053546B1 (en) System for dystonia mitigation and monitring of muscle activation information
KR102142535B1 (en) Game-based rehabilitation system combin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brain-computer interface technique to maximize activation of mirror nerve cell and its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