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140A -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140A
KR20220064140A KR1020200150330A KR20200150330A KR20220064140A KR 20220064140 A KR20220064140 A KR 20220064140A KR 1020200150330 A KR1020200150330 A KR 1020200150330A KR 20200150330 A KR20200150330 A KR 20200150330A KR 20220064140 A KR20220064140 A KR 2022006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tent
imag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503B1 (ko
Inventor
이동균
Original Assignee
엔티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티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5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은. (a)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이 가능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물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상기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물 이미지 상에 소정의 상기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ERFOMANCE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가 서버에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와 대응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수신한 사물 이미지 상에 소정의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013년 구글 글래스가 공개된 후 2016년 포켓몬고 열풍과 2019년 5G 상용화에 따라 AR(Augmented Reality)을 포함한 실감콘텐츠 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인 Statist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AR 시장 규모가 연 평균 약 60.3%씩 성장하여 2025년에는 약 1,982억 달러의 글로벌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AR 기기 물량도 연 평균 약 42%씩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가트너와 PwC등 글로벌 시장전망 기관에서는 AR 기술이 3~5년내에 범용적인 기술이 될 것이고 ICT 생태계를 비롯한 여러 산업에서 부가가치 높은 서비스의 형태로 확산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애플, 페이스북, 구글, 삼성, LG 등 기존의 ICT기업들을 비롯한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이 최근 AR시장에 인력과 자금을 투입하며 새로운 서비스를 잇따라 출시하는 모습은 이러한 핑크빛 전망을 입증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국내의 경우 AR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AR, VR(Virtual Reality)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참여해왔으나 향후 AR, VR 글래스시장에도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통신 3사의 경우에도 5G의 보급과 더불어 스마트폰을 대체할 새로운 플랫폼으로 AR시장을 염두에 두고 있으나, 현재 보급되어 있는 플랫폼 혹은 프로그램들 중에서 실제로는 고객들이 사용할 수 있는 AR콘텐츠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좀 더 고객들에게 다가갈수 있는 콘텐츠 개발이 하드웨어 개발과 함께 가장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으며, 여러 사업자들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유통하는 플랫폼으로 역할함과 동시에 플랫폼에서 소비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에 다양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가 서버에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마커와 대응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수신한 사물 이미지 상에 소정의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을 통해 소정의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관람이 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연계되어 있는 다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제공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은. (a)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이 가능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물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상기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물 이미지 상에 소정의 상기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공연 영상이거나, 사물 또는 장소에 대한 소개 영상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콘텐츠는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장소 정보, 상기 콘텐츠의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각 위치 별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안내 메세지를 통하여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메세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순서에 맞게 관람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트의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상기 위치의 순서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내 메시지를 따라 기 설정된 상기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 가능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 가능한 상기 콘텐츠의 존재 유무, 상기 콘텐츠를 관람하는 방법 및 상기 콘텐츠와 연계되어 있는 다음 순서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사물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이 되는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과 기 설정된 AR 마커 이미지와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물 이미지는 실내 또는 야외의 특정 공간에 관한 이미지이거나, 책자 이미지 또는 특정 물건에 대한 이미지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의 크기 및 각도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 어느 하나의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증강현실로 재생 완료되는 경우, 이어지는 스토리의 다른 상기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다른 상기 장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제공장치에 있어서,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 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 받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이 가능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사물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상기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물 이미지 상에 소정의 상기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콘텐츠는 공연 영상이거나, 사물 또는 장소에 대한 소개 영상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콘텐츠는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촬영모드 통하여 사물을 촬영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전송 받은 이미지와 기 저장된 AR마커가 대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영상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 공연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공간상 제약을 제거하고, 또한 시간적 제약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 콘텐츠 제작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고, 공연 콘텐츠와 실내, 외 문화재들을 비롯 하여 여러 전시 예술품들과의 연계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방법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저장된 AR마커와 특정 공간에서 AR마커 이미지가 대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공연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저장된 AR마커와 책자 이미지의 AR마커 이미지가 대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공연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공연영상이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지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콘텐츠" 는 공연영상이거나, 사물 또는 장소에 대한 소개영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이미지 및 영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콘텐츠는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방법의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 주변에 이용 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내의 특정공간 또는 책자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400) 와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특정공간 또는 책자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400) 와 대응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상에 기 소정의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하는 명령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전송 받은 소정의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복수의 특정 공간 또는 책자 이미지 마다 다른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복수의 콘텐츠는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200)상에서 증강현실로 재생이 완료되는 경우, 이어지는 스토리의 다른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다른 공간정보 또는 책자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경복궁의 입구인 광화문의 현판을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영하는 경우, 광화문 앞에 광화문을 소개하는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콘텐츠가 재생완료 되는 경우, “경복궁 근정전에 가면 더 자세한 경복궁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근정전의 위치와 현판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 받은 위치와 현판의 이미지를 통하여 근정전으로 이동하여 근정전의 현판을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영하면, 경복궁 근정전에 대한 설명을 담은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단말들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복수의 실내 또는 야외의 특정공간 혹은 책자 이미지 마다 콘텐츠가 매칭되어 서버(100)에 저장되며, 복수의 콘텐츠는 하나의 스토리로 구성될 수 있다. (S800)
예를 들어, 경복궁에 입장하기 위한 광화문에는 수문장 교대식에 대한 콘텐츠가 매칭되어 서버(100)에 저장되고, 경복궁 근정전에는 왕의 즉위식에 대한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콘텐츠들은 조선의 역사를 주제로 하나의 스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200)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810)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장소)정보 및 각 콘텐츠의 순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각 콘텐츠의 순서정보와 공간정보를 통하여 복수의 콘텐츠를 순서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이용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는 특정 공간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안내 메시지를 통하여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는 장소 정보, 길 안내, 인근 편의 시설 안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단말(200)이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는 특정 공간에 도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특정 공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특정 공간에 매칭된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정 공간의 사진 촬영 또는 특정 공간에 소재한 사물을 촬영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카메라 촬영모드를 실행하여 전방의 특정공간 또는 책자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100)로 전송 할 수 있다. (S820)
특정 프로그램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된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전방의 특정 공간 또는 책자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서버(100)로 전송 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공간은 실내 또는 야외의 특정 공간이며, 특정 공간에 설치된 사물 혹은 사물의 이미지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박물관 혹은 미술관 앞에 설치된 입간판 이나 대형 이미지일 수도 있다.
서버(100)는 수신된 이미지 내의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기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AR (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400) 와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830)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기 저장된 AR마커 이미지(400)에 대응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서 콘텐츠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명령을 전송 할 수 있다. (S840)
서버(100)는 어느 하나의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는 경우, 이어지는 다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순서정보에 따라 특정 공간에 대한 장소정보 또는 책자 이미지의 페이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S850)
이 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순서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특정 공간에 대한 장소 정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안내 메시지는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는 장소 정보, 길 안내, 인근 편의 시설 안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를 통하여 관람 콘텐츠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은 오프라인 장소 별로 어떤 콘텐츠가 있는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이 특정 콘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길찾기 기능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장소에 방문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 된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GPS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장소가 콘텐츠가 있는 장소 인지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 모드를 통하여 지정된 배경이미지를 촬영 하면 서버(100)로부터 해당 장소와 매칭되는 AR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콘텐츠 이용을 완료한 경우, 그 다음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다음 장소에 대한 안내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다음 장소로 방문하여 앞 단락에서 상술한 과정을 반복 실행 할 수 있다.
이하, 도 4및 도5을 참조하여 기 저장된 AR마커 (400) 이미지가 특정 공간 또는 책자 이미지와 대응하는 경우를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도4 및 도5에 "공연영상"은 상술한 콘텐츠의 한 종류로서, 특정 장소에 소개나 설명을 담은 영상 및 특정 장소를 배경으로 하는 이미지를 포함한 콘텐츠 일 수 있다.
도 4은 특정 공간에 이미지가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공연영상 (510)이 재생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 모드를 통하여 특정 공간에 위치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마커 (400)와 대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공연연상(51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복궁의 입구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경복궁에 대한 에피소드. 역사 등과 같은 설명을 가이드가 증강현실을 통하여 등장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추가 실시예로 공연영상 (510)이 재생되기 전에 언어 선택이나 등장 인물 선택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제어명령 식별자가 먼저 등장하여, 사용자가 제어명령 식별자를 통하여 입력을 서버(100)로 전송하면, 서버(100)는 제어명령 식별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공연영상 (510)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공연영상 (510)이 재생이 완료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이어지는 공연영상 (510)을 재생 가능하도록, 특정 공간에 대한 장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특정 공간 또는 야외 공간에서 특정 사물이 존재하고, AR영상이 특정 사물과 연계되어 재생되는 콘텐츠인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공연영상(510)에 등장하는 사물의 크기를 비교하여, 해당 사물의 위치와 이미지 크기에 대응하도록 공연영상(510)의 크기를 수정하여, 사용자 단말(200)상에 촬영된 이미지 내의 사물의 크기와 각도에 대응하는 공연영상(51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외 공간에 벤치가 실제로 조성되어 있고, 공원의 벤치에 앉아 있는 주인공이 다른 누군가와 대화하는 공연 AR영상에서, AR영상 내의 주인공이 벤치에 앉는 영상과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촬영되어 보여지는 벤치 영상과의 크기나 각도 등의 SYNC가 서로 맞아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먼저 실제 촬영되는 사물이 사용자 단말 화면성에서 어느 정도의 크기와 각도로 표시되는 지를 측정하고, 공연영상(510) 상의 등장인물의 크기 및 등장인물이 앉는 동작에 대한 방향과 서로 매칭되는지 판단하고, 표시할 AR영상 내 등장인물의 크기를 조정하여 수정된 공연영상(510)을 사용자 단말(200)에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은 기 저장된 AR마커 (400) 이미지가 책자 이미지와 대응 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 모드를 통하여 책자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마커 (400)와 대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공연연상(510)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공연영상 (510)은 책자 이미지에 대한 소개나 설명을 담은 영상 및 책자 이미지를 배경으로 하는 영상을 포함한 공연영상 (510) 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를 통하여 관람 콘텐츠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특정 콘텐츠를 클릭하고, 해당 콘텐츠와 매칭되는 팝업북을 펼친 상태에서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촬영 모드를 실행시켜 지정된 배경이미지를 촬영 하면, 서버(100)로부터 해당 배경 이미지와 매칭되는 AR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200)이 콘텐츠 이용을 완료한 경우, 그 다음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페이지 정보에 대한 안내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안내 받은 페이지의 팝업북을 펼치고 앞 단락에서 상술한 과정을 반복 실행 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초대장 이미지를 통하여 초대영상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첩장 이미지를 통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청첩장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경우, 청접장의 이미지를 배경으로 공연영상 (510)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 할 수 있다. 서버(100)는 공연영상 (510)의 재생이 완료되면 참석여부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참석여부 식별자를 서버(100)로 전송 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되는 참석여부 식별자는 이벤트에 대한 초대 수락 혹은 불참에 대한 응답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호스트는 사용자가 이벤트에 참석 할 수 있을 지 없을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복수의 콘텐츠가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지니는 것에 대하여 설명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공연영상(510)이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지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공연영상(510)은 특정 공간에 따라, 등장인물은 같지만 내용이 달라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특정공간에 따라 매칭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공연영상)가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방법의 시스템
100: 서버
110: 통신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200: 사용자 단말
400: AR 마커 이미지
510: AR공연 영상

Claims (12)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은.
    (a)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이 가능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물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상기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물 이미지 상에 소정의 상기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공연 영상이거나, 사물 또는 장소에 대한 소개 영상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콘텐츠는 하나의 스토리 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장소 정보, 상기 콘텐츠의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각 위치 별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안내 메세지를 통하여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세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순서에 맞게 관람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트의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상기 위치의 순서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내 메시지를 따라 기 설정된 상기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 가능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 가능한 상기 콘텐츠의 존재 유무, 상기 콘텐츠를 관람하는 방법 및 상기 콘텐츠와 연계되어 있는 다음 순서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사물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의 특징이 되는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과 기 설정된 AR 마커 이미지와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물 이미지는 실내 또는 야외의 특정 공간에 관한 이미지이거나, 책자 이미지 또는 특정 물건에 대한 이미지인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의 크기 및 각도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어느 하나의 상기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증강현실로 재생 완료되는 경우, 이어지는 스토리의 다른 상기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다른 상기 장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12.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제공장치에 있어서,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 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 받되,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서 관람이 가능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카메라 촬영모드를 통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사물 이미지 내의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물에 대한 이미지가 상기 기 저장된 AR(Augmented Reality )마커 이미지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물 이미지 상에 소정의 상기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장치.
KR1020200150330A 2020-11-11 2020-11-11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KR10242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30A KR102420503B1 (ko) 2020-11-11 2020-11-11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30A KR102420503B1 (ko) 2020-11-11 2020-11-11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140A true KR20220064140A (ko) 2022-05-18
KR102420503B1 KR102420503B1 (ko) 2022-07-14

Family

ID=8180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330A KR102420503B1 (ko) 2020-11-11 2020-11-11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728B1 (ko) * 2023-07-28 2024-02-14 주식회사 앰버린 인터렉티브 vr 기술이 결합된 공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735A (ko) * 2010-10-12 2012-04-20 강지영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구현 방법
KR20120071444A (ko) * 2010-12-23 2012-07-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단말기
KR20160141087A (ko) * 2015-05-27 2016-12-08 주식회사 윈드밸리 증강현실 기반의 멀티미디어 영상 촬영지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3434A (ko) * 2017-10-18 2019-04-26 (주)네오인터넷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여행 가이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735A (ko) * 2010-10-12 2012-04-20 강지영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구현 방법
KR20120071444A (ko) * 2010-12-23 2012-07-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단말기
KR20160141087A (ko) * 2015-05-27 2016-12-08 주식회사 윈드밸리 증강현실 기반의 멀티미디어 영상 촬영지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3434A (ko) * 2017-10-18 2019-04-26 (주)네오인터넷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여행 가이드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728B1 (ko) * 2023-07-28 2024-02-14 주식회사 앰버린 인터렉티브 vr 기술이 결합된 공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503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06310B (zh) 教学方法及系统
JP5869140B2 (ja) 無線通信デバイスのためのハンズ・フリー拡張現実感
CN104918105B (zh) 媒体文件的多屏播放方法、设备及系统
CN108600632B (zh) 拍照提示方法、智能眼镜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92301A (zh) 上下文笔记记录
KR20120090388A (ko) 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2105403A1 (zh) 跨设备的内容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80373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resour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5515669A (ja) 拡張現実通信及び情報の方法
KR10242050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CN112770151A (zh) 支持多人截取投屏播放画面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2202864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mobile client audiovisual into a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
US891808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ing crowd sourced landscape images
US109368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nter-cut time range in media item
KR20120072820A (ko)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과거 및 미래 영상을 보여주는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KR20140136088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22102803A1 (ko)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장치
WO2021223671A1 (zh) 基于ar的会议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090552B1 (ko) 웹하드와의 연계를 통한 이동단말 간의 정보공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97199B1 (ko) 위치 기반 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2588B1 (ko)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32027A (ko)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휴대 단말기
KR20120004615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되는 모바일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4025217A (zh) 一种图像显示的方法、设备以及存储介质
CN115243097B (zh) 一种录制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