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427A -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427A
KR20220063427A KR1020200149264A KR20200149264A KR20220063427A KR 20220063427 A KR20220063427 A KR 20220063427A KR 1020200149264 A KR1020200149264 A KR 1020200149264A KR 20200149264 A KR20200149264 A KR 20200149264A KR 20220063427 A KR20220063427 A KR 2022006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oling
pipe
hea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006B1 (ko
Inventor
김민휘
이동원
안영섭
윤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0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3Domestic delivery stations hav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60/00Arrangements for storing heat collected by solar heat collectors
    • F24S60/30Arrangements for storing heat collected by solar heat collectors storing heat in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2Solar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난방과 냉방을 수행하도록 히트펌프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택, 상기 주택으로 열원을 공급 및 회수하는 통합열원배관, 상기 통합열원배관에 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주택의 난방 및 냉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택 중 적어도 하나에서 냉방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통합열원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넘는 경우, 상기 통합열원배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당해 주택 또는 타 주택에서 난방을 실시하여 상기 통합열원배관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District cooling and he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실시예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 냉난방에서 발생되는 잉여열을 프로슈머로서 제공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역난방이란 아파트, 주택, 상가, 사무실 등 각종 건물에 개별난방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대규모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매설된 열배관을 통해 지역전체에 일괄적으로 공급해 에너지절약과 환경공해 개선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난방방식이다.
현재 지역난방은 집단에너지 사업자에서 보내는 뜨거운 온수를 공동주택 기계실에서 열교환을 한 후 각 세대로 난방과 급탕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지역난방이 건물의 단열 효율을 증가시켜 열 사용량을 줄이고, 공급온도를 낮춰 열 손실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및 미활용에너지를 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지역난방의 추세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열병합 발전, 보일러 등 중앙열원에서 생산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열의 온도를 기존보다 저온으로 혹은 신·재생에너지원의 열 생산온도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효율적으로 열을 공급하거나 사용하는 방식, 공급 및 사용자 간의 양방향 열 거래, 열 사용량 예측을 통한 잉여열 감소 등 지역 난방의 효율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실시예는 지역 냉난방에서 발생되는 잉여열을 프로슈머로서 제공하여 열사용 효율을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난방과 냉방을 수행하도록 히트펌프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택; 상기 주택으로 열원을 공급 및 회수하는 통합열원배관; 상기 통합열원배관에 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주택의 난방 및 냉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택 중 적어도 하나에서 냉방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통합열원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넘는 경우, 상기 통합열원배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당해 주택 또는 타 주택에서 난방을 실시하여 상기 통합열원배관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열원배관은 상기 주택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배관, 상기 주택에서 생산되는 냉열을 이송하고 공급하는 냉열배관 및 상기 주택에서 생산되는 온열을 이송하고 공급하는 급탕 및 난방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택은 상기 열원배관과 연결되는 히트펌프, 상기 히트펌프 및 상기 냉열배관과 연결되는 냉방부하, 상기 히트펌프 및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와 연결되는 난방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난방부하와 사이에 배치되는 축열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열조와 상기 히트펌프는 태양광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택이 네트워크 냉난방 모드의 경우, 상기 주택의 상기 냉방부하는 상기 냉열배관과 연결되어 냉방을 수행하며, 상기 주택의 상기 난방부하는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 열결되어 급탕 및 난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택이 히트펌프 냉난방 모드의 경우, 상기 주택의 상기 냉방부하는 및 상기 난방부하는 상기 히트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택이 열프로슈머 모드인 경우, 상기 주택의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난방부하 및 상기 냉방부하를 거치지 않고 상기 냉열배관 및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과 직접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택이 열프로슈머 모드인 경우,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축열조의 온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가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원배관은 10 내지 30℃의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주택에서 냉방 부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제어부를 통해 상기 부하가 발생한 주택의 히트펌프를 가동하는 제1 히트펌프 가동 단계; 상기 주택으로 열원을 공급 및 회수하는 통합열원배관의 온수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지 온도를 판단하는 온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타 주택의 급탕을 위한 히트펌프를 가동하는 제2 히트펌프 가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히트펌프 가동 단계에서 상기 히트펌프의 동작으로 생성되는 냉수는 상기 통합열원배관으로 유입되어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 냉난방에서 발생되는 잉여열을 프로슈머로서 제공하여 열사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개별 주택의 시스템 구조도의 제1 실시예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개별 주택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서 모드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구성요소인 개별 주택의 시스템 구조도의 제2 실시예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개별주택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서 모드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은 복수의 주택(100), 통합열원배관(200), 온도센서(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택(100)은 복수로 마련되어 전체 시스템의 제어 대상이 되며, 독립적으로 난방과 냉방을 수행하도록 내부에 히트펌프(1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주택(100)은 통합열원배관(200)으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아 냉방과 난방을 실시하도록 내부가 구성되며,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상태나 주택(100)의 상황에 따라 열원을 사용하는 열컨슈머나 열원을 공급하는 열프로슈머로 동작할 수 있다.
주택(100)에 구비되는 히트펌프(100)는 난방이나 급탕에 필요한 온수를 생산하거나, 냉방에 필요한 냉수를 생산하여 주택(100)에 공급할 수 있다.
통합열원배관(200)은 주택(100)으로 열원을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통합열원배관(200)은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관과 회수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합열원배관(200)에는 주택(100)과 연결되어 열원을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공급관과 회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통합열원배관(200)은 저온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통합열원배관(200)은 10~30℃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통합열원배관(200)은 주택(100)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배관(210), 주택(100)에서 생산되는 냉열을 이송하거나 공급하는 냉열배관(220) 및 주택(100)에서 생산되는 온열을 이송하고 공급하는 급탕 및 난방배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열원배관(200)에 배치되는 냉열배관(220) 및 급탕 및 난방배관(230)은 주택(100)에서 생산되는 잉여열을 열프로슈머로 공급하거나, 잉여열을 사용하기 위한 열컨슈머로 동작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온도센서(300)는 통합열원배관(200)에 배치되어 배관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온도센서(300)는 통합열원배관(200)의 열원배관(210)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300)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공지의 온도센서(300)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주택(100)의 난방 및 냉방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냉방부하(130)나 난방부하(150)의 동작을 감지하여 히트펌프(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고,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합열원배관(200)은 기설정된 범위의 온도를 가지는 열원을 공급한다. 공급된 열원이 주택(100)에서 냉방이 사용되는 경우, 냉방을 위해 히트펌프(100)가 가동되고 냉방을 위해 공급된 열원이 승온되어 다시 회수되어 통합열원배관(200)으로 공급된다.
이때, 승온된 열원이 통합열원배관(200)으로 유입되는 경우,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온도상승은 히트펌프(100)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400)를 통해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어부(400)는 주택(100) 중 하나에서 냉방을 실시하는 경우, 온도센서(300)를 이용하여 통합열원배관(20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넘는 경우, 통합열원배관(200)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당해 주택(100) 또는 타 주택(100)에서 난방을 실시하여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연결된 주택(100)의 일부에서 냉방을 실시하는 경우, 통합열원배관(20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다른 주택(100)에서 열원을 이용하여 열을 생산하는 경우 온도가 하강한 열원이 통합열원배관(200)으로 유입되어 통합열원배관(2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합열원배관(2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생산되는 온수는 통합열원배관(200)의 급탕 및 난방배관(230)으로 공급되어 열프로슈머로서 판매를 하는 방법을 통해 열 사용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개별 주택(100)의 시스템 구조도의 제1 실시예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개별 주택(100)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서 모드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별 주택(100)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별 주택(100)의 제1 실시예는 히트펌프(100), 냉방부하(130), 축열조(170) 및 난방부하(15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100)는 통합열원배관(200)의 열원배관(210)과 연결되어 열원이 순환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트펌프(100)의 종류나 구조는 제한이 없으며, 냉방과 난방이 가능한 다양한 공지의 히트펌프(100)가 사용될 수 있다.
냉방부하(130)는 냉방을 실시하기 위한 부하를 의미하며, 난방부하(150)는 난방을 실시하기 위한 부하를 의미한다.
냉방부하(130)에서 생산되는 냉열은 주택(100)에 직접 사용될 수 있으나, 냉열배관(220)과 연결되어 주택(100)에서 사용되지 않는 냉열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냉열배관(220)으로부터 직접 냉열을 이용하여 냉방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배관이 존재할 수 있다.
난방부하(150)에서 생성되는 온열은 주택(100)에 직접 사용될 수 있으나, 급탕 및 난방배관(230)과 연결되어 주택(100)에서 사용되지 않는 온열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냉열배관(220)으로부터 직접 냉열을 이용하여 냉방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배관이 존재할 수 있다.
히트펌프(100)와 난방부하(150) 사이에는 축열조(170)가 배치될 수 있다.
축열조(170)는 히트펌프(100)에서 공급되는 열원을 저장했다가 난방부하(150)측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트펌프(100)의 가동없이 온수를 난방부하(15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축열조(170)의 구조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냉방부하(130)는 제1 냉방배관(131)과 제2 냉방배관(132)이 연결되어 열원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냉방부하(130)는 제1 냉방배관(131)과 제2 냉방배관(132)이 냉열배관(220)과 연결되어 냉열배관(220)을 통해 이동하는 냉열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히트펌프(100)와 연결되는 제1 냉방펌프배관(111) 및 제2 냉방펌프배관(112)이 제1 냉방배관(131) 또는 제2 냉방배관(132)과 연결되어 히트펌프(100)로부터 냉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냉방배관(131)과 제2 냉방배관(132) 사이에는 복수의 냉방배관 바이패스 라인이 배치되어 제어부(400)의 동작에 따라 냉열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난방부하(150)는 제1 난방배관(151)과 제2 난방배관(152)이 연결되어 열원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난방부하(150)는 제1 난방배관(151)과 제2 난방배관(152)이 급탕 및 난방배관(230)과 연결되어 급탕 및 난방배관(230)을 통해 이동하는 온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난방부하(150)는 히트펌프(100)와 연결되는 제1 난방펌프배관(113)과 제2 난방펌프배관(114)이 제1 난방배관(151) 또는 제2 난방배관(152)에 연결되어 히트펌프(100)로 온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만약 축열조(170)가 히트펌프(100)와 난방부하(150) 사이에에 배치되는 구조인 경우, 제1 난방펌프배관(113)과 제2 난방펌프배관(114)은 축열조(170)와 연결되며, 축열조(170)와 연결되는 제1 축열배관(171)과 제2 축열배관(172)이 제1 난방배관(151) 또는 제2 난방배관(152)에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난방배관(151)과 제2 난방배관(152) 사이에는 복수의 난방배관 바이패스라인(10)이 배치되어 제어부(400)의 동작에 따라 온열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바이패스라인(10)의 일측에는 3방밸브를 통해 냉열 또는 온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각 배관라인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주택(100)이 네트워크 냉난방 모드에서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냉난방의 경우, 주택(100)의 상기 냉방부하(130)는 상기 냉열배관(220)과 연결되어 냉방을 수행하며, 주택(100)의 난방부하(150)는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230) 열결되어 급탕 및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난방부하(150)는 온열을 이송하는 급탕 및 난방배관(230)의 열원을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냉방부하(130)는 냉열을 이송하는 냉방배관의 열원을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히트펌프(100)는 동작하지 않으며, 주택(100)들에서 생산되어 판매된 냉열과 온열을 이동하여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난방배관과 냉방배관에 배치되는 바이패스라인(10)은 개방되지 않아 히트펌프(100)와 열순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 4는 주택(100)이 히트펌프(100) 냉난방 모드에서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트펌프(100) 냉난방 모드의 경우 주택(100)의 냉방부하(130)는 및 난방부하(150)는 히트펌프(100)와 연결되어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냉방부하(130) 및 난방부하(150)는 히트펌프(100)에서 생산되는 냉열을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냉열배관(220)이나 급탕 및 난방배관(230)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바이패스라인(10)이 작동할 수 있다.
특히 난방부하(150)에서 축열조(170)가 사용되는 경우는 히트펌프(100)에서 생산되는 온열이 축열조(170)에 축열되며, 난방부하(150)는 축열조(170)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냉방부하(130)로 이송되는 냉열을 제1 냉방펌프배관(111) 및 제2 냉방배관(132)을 통해 이동하여 냉방을 수행하며, 제1 냉방배관(131)과 바이패스라인(10) 및 제2 냉방펌프배관(112)을 따라 히프펌프로 순환할 수 있다.
난방부하(150)로 이송되는 온열은 히트펌프(100), 축열조(170) 및 제1 난방배관(151)을 통해 유입되며, 제2 난방배관(152) 및 바이패스라인(10)을 통해 축열조(170) 및 히트펌프(100)를 순환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주택(100)이 열프로슈머 모드에서 동작을 설명하고 잇다.
도 5를 참조하면, 열프로슈머 모드에서 주택(100)의 히트펌프(100)는 난방부하(150) 및 냉방부하(130)를 거치지 않고 냉열배관(220) 및 급탕 및 난방배관(230)과 직접연결될 수 있다.
냉방부하(130)는 히트펌프(100)에서 생산된 냉열을 이용하지 않으며, 냉열은 냉방펌프 배관 및 냉방배관을 통해 냉열배관(2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라인(10)은 냉방부하(130)측으로 냉열이 이동하지 않도록 배관을 제어할 수 있다.
난방부하(150)는 히트펌프(100)에서 생산된 온열을 이용하지 않으며, 온열은 축열조(170)와 난방배관을 거처 급탕 및 난방배관(2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라인(10)은 냉방부하(130)측으로 냉열이 이동하지 않도록 배관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구성요소인 개별 주택(100a)의 시스템 구조도의 제2 실시예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개별주택(100)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서 모드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개별 주택(100a)의 시스템 구조도의 제2 실시예는 온열의 생산을 위해 태양열모듈(190)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는바, 아래에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히트펌프(100)와 축열조(170)가 태양열 모듈(190)과 연결될 수 있다.
태양열모듈(190)은 태양을 통해 열원을 얻고 이를 순환배관(191)을 통해 순환시켜 축열조(170)로 온열을 공급할 수 있다. 태양열모듈(190)의 종류나 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된 태양열모듈(190)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양열모듈(190)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태양열모듈(190)을 접목시킨 것으로 일사량에 따라 태양열모듈(19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일사량이 좋은 경우, 태양열모듈(190)이 구동되며, 온열을 획득한 냉매가 이동하여 축열조(170) 내부의 물의 온도를 승온하게 된다. 이때, 히트펌프(100)는 동작하지 않으며, 태양열모듈(190)에서 발생되는 온도만으로 축열조(170)의 물을 승온할 수 있다.
일사량이 좋지 않은 경우, 태양열모듈(190)의 작동은 중단되며, 이 경우 히트펌프(100)를 구동하여 온열을 생산하게 된다.
또한, 일정수준의 일사량이 존재하는 경우, 태양열모듈(190)에서 생성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부족한 부분을 히트펌프(100)로 보충하는 방식으로 온열을 생성할 수도 있다.
각 모드에 따른 통합열원배관(200)과 냉방부하(130) 및 난방부하(150)의 동작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주택(100)과 동일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부하 감지 단계(S100), 제1 히트펌프 가동단계(S200), 온도 판단 단계(S300), 제2 히트펌프 가동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감지 단계(S100)는 주택(100)에서 발생되는 냉방 부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부하 감지 단계(S100)는 주택(100)에서 냉방 운전이 가동되는 경우 냉방 부하가 운전을 하게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히트펌프 가동단계(S200)는 제어부(400)를 통해 부하가 발생한 주택(100)의 히트펌프(100)를 가동하는 단계이다. 냉방부하(130)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히트펌프(100)를 구동하여 냉열을 냉방부하(130)로 이송할 수 있다.
온도 판단 단계(S300)는 주택(100)으로 열원을 공급 및 회수하는 통합열원배관(200)의 온수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지 온도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온도 판단 단계(S300)는 냉방운전으로 생성되는 온수가 통합열원배관(200)으로 유입시 통합열원배관(200)의 열원배관(210)에서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히트펌프(100)의 가동효율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도 판단 단계(S300)는 통합열원배관(20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30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을 넘는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히트펌프(100)의 가동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바, 제어부(400)를 통해 통합열원배관(2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히트펌프 가동 단계(S400)는 온도 판단 단계에서 통합열원배관(200)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타 주택(100)의 급탕을 위한 히트펌프(100)를 가동할 수 있다.
제2 히트펌프 가동 단계(S400)에서 히트펌프(100)의 동작으로 생성되는 냉수는 통합열원배관(200)으로 유입되어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목표로 히트펌프(100)의 가동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바이패스라인
100 : 주택
110 : 히트펌프
111 : 제1 냉방펌프배관
112 : 제2 냉방펌프배관
113 : 제1 난방펌프배관
114 : 제2 난방펌프배관
130 : 냉방부하
131 : 제1 냉방배관
132 : 제2 냉방배관
150 : 난방부하
151 ; 제1 난방배관
152 : 제2 난방배관
170 : 축열조
171 : 제1 축열배관
172 : 제2 축열배관
190 : 태양열 모듈
191 : 순환배관
200 : 통합열원배관
210 : 열원배관
220 : 냉열배관
230 : 급탕 및 난방배관
300 : 온도센서
400 : 제어부

Claims (12)

  1. 독립적으로 난방과 냉방을 수행하도록 히트펌프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택;
    상기 주택으로 열원을 공급 및 회수하는 통합열원배관;
    상기 통합열원배관에 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주택의 난방 및 냉방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택 중 적어도 하나에서 냉방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통합열원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 온도를 넘는 경우, 상기 통합열원배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당해 주택 또는 타 주택에서 난방을 실시하여 상기 통합열원배관을 이동하는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열원배관은
    상기 주택으로 기설정된 범위의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배관
    상기 주택에서 생산되는 냉열을 이송하고 공급하는 냉열배관 및
    상기 주택에서 생산되는 온열을 이송하고 공급하는 급탕 및 난방배관
    을 포함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은 상기 열원배관과 연결되는 히트펌프,
    상기 히트펌프 및 상기 냉열배관과 연결되는 냉방부하
    상기 히트펌프 및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와 연결되는 난방부하
    를 포함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난방부하와 사이에 배치되는 축열조를 더 포함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와 상기 히트펌프는 태양광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이 네트워크 냉난방 모드의 경우,
    상기 주택의 상기 냉방부하는 상기 냉열배관과 연결되어 냉방을 수행하며,
    상기 주택의 상기 난방부하는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 열결되어 급탕 및 난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이 히트펌프 냉난방 모드의 경우,
    상기 주택의 상기 냉방부하는 및 상기 난방부하는 상기 히트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이 열프로슈머 모드인 경우,
    상기 주택의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난방부하 및 상기 냉방부하를 거치지 않고 상기 냉열배관 및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과 직접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이 열프로슈머 모드인 경우,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축열조의 온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가 상기 급탕 및 난방배관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배관은 10 내지 30℃의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
  11. 주택에서 냉방 부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제어부를 통해 상기 부하가 발생한 주택의 히트펌프를 가동하는 제1 히트펌프 가동 단계;
    상기 주택으로 열원을 공급 및 회수하는 통합열원배관의 온수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지 온도를 판단하는 온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온도 판단 단계에서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타 주택의 급탕을 위한 히트펌프를 가동하는 제2 히트펌프 가동 단계;
    를 포함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운영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트펌프 가동 단계에서 상기 히트펌프의 동작으로 생성되는 냉수는 상기 통합열원배관으로 유입되어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200149264A 2020-11-10 2020-11-10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KR102413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64A KR102413006B1 (ko) 2020-11-10 2020-11-10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64A KR102413006B1 (ko) 2020-11-10 2020-11-10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27A true KR20220063427A (ko) 2022-05-17
KR102413006B1 KR102413006B1 (ko) 2022-06-24

Family

ID=8179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264A KR102413006B1 (ko) 2020-11-10 2020-11-10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0235A1 (en) * 2022-10-03 2024-04-10 Renson Ventilation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for collective residential housing units and a method for the control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7119A1 (en) 2016-07-07 2018-01-10 E.ON Sverige AB Combin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2025A (ja) * 2012-11-19 2014-06-05 Osaka City Univ 熱エネルギー搬送システム、熱融通システム及び熱エネルギー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2025A (ja) * 2012-11-19 2014-06-05 Osaka City Univ 熱エネルギー搬送システム、熱融通システム及び熱エネルギー搬送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0235A1 (en) * 2022-10-03 2024-04-10 Renson Ventilation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for collective residential housing units and a method for the control thereof
BE1030936B1 (nl) * 2022-10-03 2024-04-29 Renson Ventilation Nv Een verwarmings- en/of koelingssysteem voor collectieve residentiële wooneenheden, een sturingsinrichting daarvoor en een werkwijze voor het aansturen daarv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006B1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122B2 (en) Solar thermal system
US20120227953A1 (en) Energy-saving central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system
CN102269484B (zh) 太阳能辅热地源空调热水一体机
KR100758820B1 (ko) 지열과 태양열 및 보조열원을 사용하는 급탕 및냉난방시스템과 그 운전제어방법
KR102413006B1 (ko) 지역 냉난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운영 방법
KR101497457B1 (ko)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CN104832973B (zh) 主动式太阳能和co2空气热源泵联合采暖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201463076U (zh) 太阳能地面供暖装置
CN103900248B (zh) 即热式热水器
KR20120076812A (ko) 태양열 보일러 시스템
CN104534685A (zh) 一种分体式太阳能与空气源热泵复合系统
KR101168551B1 (ko)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별 축열탱크가 구비된 태양열 온수시스템에서 집열 열원 공급 및 과열 방지방법
CN101586827B (zh) 太阳能地面供暖系统
KR20100004436A (ko) 태양열 집열장치와 이를 이용한 온수 겸용 난방시스템
CN217402896U (zh) 基于地源热系统的土壤补热组件和地源热系统
KR101168542B1 (ko)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별 축열탱크가 구비된 태양열 온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3052802U (zh) 一种内置水箱空气能热泵供热供暖系统
KR101090376B1 (ko) 태양열 난방시스템
CN205332605U (zh) 一种模块化集成控制管路太阳能地源热泵系统
CN209386466U (zh) 一种跨季节太阳能及地源热泵多能互补系统
KR20210108660A (ko) 태양열 보일러 시스템
JP2012180962A (ja) 補助熱源付貯湯タンク給湯システム
CN207365153U (zh) 采暖换热站的管网及系统
KR20200016306A (ko) 급탕과 난방 복합시스템
KR102447180B1 (ko) 제로에너지 건물의 저온 지역난방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