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039A -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039A
KR20220063039A KR1020200148895A KR20200148895A KR20220063039A KR 20220063039 A KR20220063039 A KR 20220063039A KR 1020200148895 A KR1020200148895 A KR 1020200148895A KR 20200148895 A KR20200148895 A KR 20200148895A KR 20220063039 A KR20220063039 A KR 20220063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lr
predistor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adjacen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민
이준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039A/ko
Publication of KR2022006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2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linearisation using pre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33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linearisation using feedb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타겟 채널(target channel)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target channel)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REDISTOR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를 대칭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전형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주파수 증폭기(radio frequency amplifier)가 사용되는데, 그 중 고효율을 얻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고 전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는 비선형 동작 점에 근접하여 동작한다.
이러한 경우 증폭기의 출력은 혼 변조 왜곡(inter modulation distortion: IMD) 성분을 만들어 내어 대역 내(in-band) 뿐만 아니라 다른 주파수 대역에 스퓨리어스(spurious) 신호로 영향을 주게 된다. 스퓨어리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주로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방식이 사용된다. 피드 포워드 방식은 스퓨어리스 성분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지만 증폭 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무선 주파수 단(RF stage)에서의 제어가 필요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시스템의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 분야에서는 높은 효율과 적은 비용을 고려하여 디지털 전치 보상(digital pre-distortion: DPD)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디지털 전치 보상 방식은 디지털 부(digital stage)에서 비선형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nonlinearity)에 대한 역을 취하여 입력신호를 전치보상함으로써 비선형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선형화 되도록 만들어 준다. 비선형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은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서 출력 신호의 크기가 바뀌는 AM/AM(Amplitude Modulation to Amplitude Modulation)특성과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서 출력 신호의 위상이 바뀌는 AM/PM(Amplitude Modulation to Phase Modulation) 특성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의 광대역 비선형 증폭기의 선형화 방식으로 볼테라(Volterra)방식을 좀더 간략화 한 다항식 메모리(Memory polynomial)방식의 디지털 전치 왜곡기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증폭기의 비선형성 제거 능력은 메모리 차수와 다항식 차수의 크기에 민감하게 작용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에 기초한 전치 왜곡기를 사용하여 인접 채널 누설 비를 대칭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타겟 채널(target channel)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target channel)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타겟 채널(target channel)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겟 채널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하고,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ACLR 측정부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ACLR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타겟 채널의 주파수 축 상으로 양쪽에 위치한 인접 채널의 신호의 인접 채널 누설비를 대칭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효율 개선 및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채널과 인접 채널의 전력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전치 왜곡의 구조 중 하나인 간접 학습 방식(Indirect Learning Architectur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전치 왜곡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람표(look-up table: LUT) 방식으로 구현된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람표(look-up table: LUT) 방식으로 구현된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채널과 인접 채널의 전력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전력 스펙트럼(100)을 참고하면, 비선형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는 타겟 채널(target channel)에서 증폭되나, 주파수 축 상에 인접한 좌우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right adjacent channel)에 간섭을 발생시킨다. 이 간섭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인접 채널 누설 비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라는 미터법(metric)을 정의하여 간섭량이 특정 수치를 넘지 않도록 규제한다.
여기서, ACLR은 타겟 채널의 전력과 일정 오프셋 주파수만큼 떨어진 인접 채널의 누설 전력 간의 차이를 계산한 파라미터(parameter)이다. 5G NR의 경우 3GPP 표준 38.101에서 단말의 RF(radio frequency) spectrum에 대한 ACLR 규격을 정의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Frequency Range 1(FR1)의 경우 좌우 인접 채널에 대한 ACLR이 -31dB(PC2)/-30dB(PC3)보다 작아야 함을 규격으로 정의한다.
주파수 축 상에 인접한 양쪽 사이드 밴드, 즉 좌우 인접 채널에서 각각 측정된 타겟 채널에 대한 ALCR은 좌측 인접 채널에서 얻은 ACLR 값(이하, 제1 ACLR)과 우측 인접 채널에서 얻은 ACLR 값(이하, 제2 ACLR) 모두 규격을 만족해야 하고, ACLR 관점에서 채널의 품질은 좌우 인접 채널의 ACLR 값 중 좋지 않은 ACLR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일 예로, 도 1에는 좌우 인접 채널의 ACLR 값이 비대칭인 제1 스펙트럼(102)과 좌우 인접 채널의 ACLR 값이 대칭인 제2 스펙트럼(104)이 도시되어 있다.
ACLR 관점에서의 채널의 품질은 제2 스펙트럼(104)의 경우가 제1 스펙트럼(102)의 경우보다 더 좋은 품질에 해당한다. 제1 스펙트럼(102)의 경우와 같이 인접 채널의 ACLR 값의 비대칭이 발생하는 원인은, 시간적으로 과거의 비선형성으로 발생된 신호가 현재의 비선형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본래의 비선형 성분의 크기나 위상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의미하는 메모리 효과(memory effect), 이득 왜곡(AM-AM distortion), 위상 왜곡(AM-PM distortion)일 수 있다.
ACLR 관점에서의 채널의 품질 측면에서, 제1 스펙트럼(102)인 경우의 채널 품질을 제2 스펙트럼(104)인 경우의 채널과 같은 품질로 만들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기의 전압을 증가시켜야 하고, 따라서 소모 전류가 증가하는 결과가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전압 증가 또는 소모 전류 증가 없이 ACLR 관점에서 채널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ACLR을 대칭으로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모니터링하여 디지털 전치 왜곡을 조정함으로써 각종 왜곡을 추가적으로 보상해주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전치 왜곡의 구조 중 하나인 간접 학습 방식(Indirect Learning Architecture)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력 증폭기는 비선형성이 클수록 이득 왜곡 및 위상 왜곡이 심해지며 ACLR 값이 증가한다. 이러한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 중 디지털 영역에서 비선형성을 보상하는 디지털 전치 왜곡(digital pre-distortion: DPD)이 있고, 디지털 전치 왜곡의 일 예로 간접 학습 방식(200)을 도 2에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간접 학습 방식(200)은, 전력 증폭기(202)의 출력을 후 왜곡 처리(post-distortion)한 신호와 전력 증폭기의 입력 간의 차이가 최소화 되도록 후 왜곡 처리부(204)를 설계한 후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206)에 복사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전치 왜곡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ACLR 측정부(306) 및 ACLR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ACLR 측정부(306)는 타겟 채널의 전력 증폭기(304)의 출력을 모니터링 하고, 타겟 채널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하며,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 간의 차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ALCR 제어부는 ACLR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304)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LR 측정부와 ACLR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도 3a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a에 따르면, ACLR 측정부(306) 및 ACLR 제어부(308)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가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302)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b에 따르면,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302)과 전력 증폭기(304) 사이에 ACLR 제어부(308)를 위치하도록 하고, ACLR 측정부(306)가 ACLR 제어부(308)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신호를 통해 ACLR의 비대칭을 제어하는 ACLR 제어부가 제어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일 예로, 폐루프(closed-loop) 방법을 이용한 이론적인 방법(Analytical method)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는,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알고리즘 및 기술을 이용한 머신 러닝(machin learning)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미 정해진 오프셋 함수를 이용하여 제일 성능이 좋은 시점을 발견하는 방식으로 계산량을 감소시키고, ACLR 제어부의 제어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302)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ACLR 제어부(308)는 ACLR 측정부(306)에서 측정된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 간의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전력 증폭기(304) 입력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람표(look-up table: LUT) 방식으로 구현된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4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도 4과 같이 순람표(look-up table: LU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400)은 이득 왜곡을 보상해주는 이득 대 이득(amplitude-to-amplitude: AM-AM) LUT(402) 및 위상 왜곡을 보상해주는 이득 대 위상(amplitude-to-phase: AM-PM) LUT(404)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다수 개의 AM-AM LUT 및 다수 개의 AM-PM LUT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LCR 제어부는 AM-AM LUT 및 AM-PM LUT로부터 ACLR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기반으로 제1 값 및 제2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2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위상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람표(look-up table: LUT) 방식으로 구현된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CLR 제어부(506)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이 비대칭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순람표 방식의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에 추가적인 왜곡을 더하는 방식 등으로 전치 왜곡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예로, ACLR 제어부(506)는 ACLR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전치 왜곡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된 상기 전치 왜곡에 의해 변경된 제1 ACLR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이 될 때까지 전치 왜곡을 반복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ACLR 제어부(506)는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 정도, 상기 전력 증폭기의 설정(configuration)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된 오프셋을 이용하여 AM-AM LUT(502) 및 AM-PM LUT(504)를 업데이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오프셋은 상기한 고려 사항 이외에도 다른 여러 요소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오프셋 값은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 정도, 상기 전력 증폭기의 설정(configuration)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환경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일 수도 있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이용한 반복적인 피드백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값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타겟 채널(target channel)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의 출력을 모니터링(602)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타겟 채널(target channel)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604)하고,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를 측정(606)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610)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이득 대 이득(amplitude-to-amplitude: AM-AM) 순람표(look-up table: LUT) 및 이득 대 위상(amplitude-to-phase: AM-PM) 순람표(look-up table: LUT)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에 부합하는 제1 값 및 제2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2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치 왜곡을 조정(610)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 정도, 상기 전력 증폭기의 설정(configuration)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된 오프셋을 이용하여 상기 AM-AM LUT 및 상기 AM-PM LUT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ACLR들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608)하는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치 왜곡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전치 왜곡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제1 및 제2 ACLR들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전치 왜곡을 반복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ACLR들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이 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은 종료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700)는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712), ALCR 제어부(714), ALCR 측정부(71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전치 왜곡 블록(712), ALCR 제어부(714), ALCR 측정부(716)는 baseband processor(BP)(7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LCR 제어부(704)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ALCR 측정부(716)는 타겟 채널(target channel)의 전력 증폭기(728)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겟 채널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하고,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ALCR 제어부(714)는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728)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Digital-to-analog converter(DAC)(722), baseband filter(BBF)(724), driver amplifier(DA)(726), interface(730), antenna(740)를 포함할 수 있다.
baseband filter(BBF)(724) 및 driver amplifier(DA)(726)는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7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타겟 채널(target channel)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타겟 채널(target channel)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단계는,
    이득 대 이득(amplitude-to-amplitude: AM-AM) 순람표(look-up table: LUT) 및 이득 대 위상(amplitude-to-phase: AM-PM) 순람표(look-up table: LUT)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에 부합하는 제1 값 및 제2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 정도, 상기 전력 증폭기의 설정(configuration)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된 오프셋을 이용하여 상기 AM-AM LUT 및 상기 AM-PM LUT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때에 상기 전치 왜곡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전치 왜곡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치 왜곡을 반복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6. 타겟 채널(target channel)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겟 채널에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좌측 인접 채널(left adjacent channel) 및 우측 인접 채널(right adjacent channel)과의 인접 채널 누설 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각각을 측정하고,
    상기 좌측 인접 채널과의 제1 ACLR 및 상기 우측 인접 채널과의 제2 ACLR간의 차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ACLR 측정부;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에 대한 전치 왜곡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ACLR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CLR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CLR 제어부는,
    이득 대 이득(amplitude-to-amplitude: AM-AM) 순람표(look-up table: LUT) 및 이득 대 위상(amplitude-to-phase: AM-PM) 순람표(look-up table: LUT)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에 부합하는 제1 값 및 제2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2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의 위상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CLR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 정도, 상기 전력 증폭기의 설정(configuration)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된 오프셋을 이용하여 상기 AM-AM LUT 및 상기 AM-PM LUT를 업데이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CLR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때에 상기 전치 왜곡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전치 왜곡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제1 및 제2 ACLR들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치 왜곡을 반복적으로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200148895A 2020-11-09 2020-11-09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20063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95A KR20220063039A (ko) 2020-11-09 2020-11-09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95A KR20220063039A (ko) 2020-11-09 2020-11-09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39A true KR20220063039A (ko) 2022-05-17

Family

ID=8180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895A KR20220063039A (ko) 2020-11-09 2020-11-09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30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0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using nonlinear and feedback gain parameters
US7561636B2 (en) Digital predistortion apparatus and method in power amplifier
US8472897B1 (en) Power amplifier predistortion methods and apparatus
JP3690988B2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歪み補償装置
US70346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re-distortion of a power amplifier
US7948311B2 (en) Power series predisto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087180B2 (ja) 入力信号に予め歪みを加える方法および予歪みシステム
US7755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requency memory effects in RF power amplifiers
US20030197559A1 (en) Active predistorting linearizer with agile bypass circuit for safe mode operation
KR20050012835A (ko) 개선된 전력증폭기 구조
EP2795792B1 (en) Adaptive predistortion for a non-linear subsystem based on a model as a concatenation of a non-linear model followed by a linear model
JP5049562B2 (ja) 電力増幅器
US7274255B2 (en) Efficient generation of radio frequency currents
KR101768905B1 (ko)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63039A (ko) 전치 왜곡을 조정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486547B1 (ko) 전력증폭기의 전치왜곡 보상장치 및 방법
KR101358096B1 (ko) 전력 증폭기
Zhang et al. Design of a memory polynomial predistorter for wideband envelope tracking amplifiers
JPWO2007049474A1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方式歪補償増幅装置
EP3061185B1 (en) Pre-distortion based power control
KR101134072B1 (ko)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용 고출력 증폭기의 디지털 전치왜곡 또는 아날로그 전치왜곡을 통한 최적화된 출력 송출 방법 및 그 고출력 증폭기
KR20120070143A (ko) 포락선 왜곡 감소 전력 증폭 장치
JP2000261255A (ja) 歪補償電力増幅回路
KR20190049344A (ko) 디지털 전치왜곡 장치 및 방법
KR1003204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왜곡 신호 보상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