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037A -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037A
KR20220063037A KR1020200148891A KR20200148891A KR20220063037A KR 20220063037 A KR20220063037 A KR 20220063037A KR 1020200148891 A KR1020200148891 A KR 1020200148891A KR 20200148891 A KR20200148891 A KR 20200148891A KR 20220063037 A KR20220063037 A KR 20220063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recast structure
plate
precast
hard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923B1 (ko
Inventor
이상섭
박금성
박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아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아드보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9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215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omprising metallic plates 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U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등과 같이 중량물을 적층시공 함에 있어 접합면에 사용되는 접합철물에 대한 것으로서, 접합철물에 설치되는 앵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 오차를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횡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은 하부판, 볼트이동부, 연결볼트, 상부판,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PRECAST STRUCTURE WITH LOCATION-ADJUSTABLE CONNECTING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U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등과 같이 중량물을 적층시공 함에 있어 접합면에 사용되는 접합철물에 대한 것으로서, 접합철물에 설치되는 앵커의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시공 오차를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횡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콘크리트 기초와 수직벽체의 연결시공도 및 앵커시공도이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10)와 수직벽체(20)는 콘크리트로 제작되거나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하게 되는데, 특히 수빅벽체(20)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콘크리트 기초(10)와 수직벽체(20)가 서로 일체화 시공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에는 앵커(30)의 하단이 매립되고, 상단은 노출되도록 먼저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앵커(30)의 상단은 수직벽체(20)의 저면에 수직으로 매립된 연결슬리브(40)에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슬리브(40)에 미도시된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를 주입 및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횡방향력에 대하여 상기 앵커(30)가 저항하게 되는데 앵커의 전단강도와 수직벽체 부재단면의 크기 등에 따라 다수의 앵커(30)를 설치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앵커(30) 설치개수가 많아지는 것이 통상적이고, 각각의 연결슬리브(40)에 앵커(30) 모두가 삽입되도록 시공 함에 있어 제작 및 시공오차 때문에 앵커(30)를 연결슬리브(40)에 정확하게 삽입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품질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b는 종래 콘크리트 기초와 수직벽체의 다른 연결시공도이다.
즉, 도 1a가 앵커(30), 연결슬리브(40) 및 충진재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수직벽체(20)의 연결수단이라고 한다면,
도 1b의 경우에는 앵커(51a)를 사용하되, 앵커 상단이 수직벽체(20)의 저면에 미리 매립된 사각박스 강재(13a)에 노출되도록 하고, 고정너트(52,53)를 체결하여 콘크리트 기초(10)와 수직벽체(20)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고정너트(53,53)와 매립된 사각박스 강재(13a)를 이용한다는 장점은 있을 수 있으나, 역시 수직벽체 부재단면의 크기 등에 따라 앵커(51a)의 설치개수가 많아지는 경우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도 1c는 종래 콘크리트 수평판의 다른 상,하 연결시공도이다.
즉, 콘크리트 기초(10)와 수직벽체(20)는 서로 직교하여 일체화된 방식이고 콘크리트 수평판(11,21)끼리 적층되는 경우에는,
하부의 콘크리트 수평판(11)에는 수직앵커(12)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부의 콘크리트 수평판(21)에는 앵커홀(31)을 형성시켜,
상기 수직앵커가 앵커홀(31)에 삽입되도록 하고, 충진재를 앵커홀(31)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역시 앵커홀(31)과 다수의 앵커(31)를 형성시킴에 따라, 앵커홀(31)에 앵커(31)를 정밀하게 삽입하는 작업의 품질관리 문제는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954387호(발명의 명칭: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8년03월1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18453호(발명의 명칭: 안전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패널 구조물, 공개일자: 2019년02월22일)
이에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서로 상,하로 적층시킴에 있어 접합면에 상,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볼트(고장력볼트 포함하며 이하 동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제작 및 시공오차에 따른 시공성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품질관리에 효과적인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볼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접합철물을 제공하되, 상기 접합철물은 하부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매립시키지 않고 노출시켜 연결볼트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 및 작업성이 뛰어난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상면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 저면을 포함하는 적층면에 설치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로서,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은,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 상면에 설치된 하부판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양 지지블록 내측으로, 연결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져 상방으로 이동이 구속되도록 수평마감판이 상기 양 지지블록 상단 사이에 형성된 볼트이동부: 및 상기 볼트이동부의 양 지지블록 내측으로 연결볼트의 머리부가 끼워져 구속되고, 볼트부가 상기 수평마감판 사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수평마감판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볼트가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블록아웃부 내측에서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은 (a)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상면에 하부판과 볼트이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볼트이동부에 위치가 이동되는 연결볼트를 설치하는 단계; (c)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형성된 블록아웃부에 상기 연결볼트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볼트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블록아웃부에서 체결부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서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을 매립시키지 않고, 상면에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에 연결볼트의 위치를 조정 세팅한 후,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형성된 블록아웃부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의 연결볼트가 노출되도록 하여 적층시킨 후, 상기 블록아웃부에서 연결볼트를 체결부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상,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제작 및 시공오차를 상기 연결볼트의 위치 조정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상,하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에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다양한 전단강도를 구비한 연결볼트를 이용함으로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에 설치개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연결볼트 설치개수는 최소화시켜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 적층시공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을 상,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매립시키지 않고 블록아웃부에 수용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단면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접합철물은 프리캐스트 구조물에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종전의 앵커를 함께 이용하여 제작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콘크리트 기초와 수직벽체의 연결시공도 및 앵커시공도,
도 1b는 종래 콘크리트 기초와 수직벽체의 다른 연결시공도,
도 1c는 종래 콘크리트 수평판의 다른 상,하 연결시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의 구성사시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예시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2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구성사시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은 도 2d를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구조물(200)의 상,하 적층 시, 적층면에 위치하여 상,하부의 프리캐스트 구조물(200)을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상면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 저면을 포함하는 적층면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부,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220)을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c와 같이, 하부의 프리캐스트 구조물(200)에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하부판(110), 볼트이동부(120), 연결볼트(130)를 설치하고,
상부의 프리캐스트 구조물(200)에는 블록아웃부(230)를 형성시켜,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연결볼트(130)가 블록아웃부(230)에 수용되어 노출되도록 한 후,
체결부(150)를 이용하여 연결볼트(130)를 블록아웃부(230)의 상부판(140)에 체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볼트이동부(120)는 도 3b를 참조하면, 연결볼트(130)를 위치 조절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위치 고정된 블록아웃부(230)에 필요한 연결볼트(130)의 세팅위치를 현장에서 바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은 예컨대, 역 U형으로 바닥판(211)과 양 경사플랜지(212)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은 양 플랜지(222)가 바닥판(221) 양 측방 상방으로 연장되어 U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양 플랜지, 바닥판이 서로 접하면서 적층면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하부판(110), 볼트이동부(120), 연결볼트(130), 상부판(140), 체결부(150)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판(110), 볼트이동부(120), 연결볼트(130)는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설치되고,
상부판(140), 체결부(150)는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적층되는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에 설치된다.
이에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에 상기 연결볼트(130)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블록아웃부(230)의 연결볼트를 상부판(140)에 체결부(150)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결국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을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하부판(11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수평판 형태로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로부터 인출된 앵커(111)에 의하여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 상면 또는 매립되도록 고정된다.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상기 앵커(111)가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판 형태의 하부판(110)의 모서리에는 다수의 앵커홀을 형성시켜, 하부판(110)은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 상면에 고정된다.
이에 상기 앵커(111)는 도 2b를 참조하면 다양한 설치 높이를 가지게 되는데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형성두께에 따라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바닥판(211), 양 플랜지(212)의 저면에 앵커(111)를 설치함에 있어 앵커(11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하부판(110)을 설치 위치를 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이러한 앵커(111)를 연결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후술되는 연결볼트(130)를 연결수단으로 이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이동부(12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설치되는 하부판(110)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블록으로서 양 지지블록(121) 내측으로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끼워져 상방으로 이동이 구속되도록 수평마감판(122)이 양 지지블록(121) 상단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양 지지블록(121)은 적어도 2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블록(121) 상단에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수평마감판(122)에 의하여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수평마감판(122) 사이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구속되고,
연결볼트(130)의 볼트부(132)가 수평마감판(122) 사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연결볼트(130)는 수평마감판(12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연결볼트(130) 위치가 고정되어 조정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제작, 시공 오차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가 아닌 곳에서의 연결볼트(130)의 체결이 어렵게 되지만 연결볼트(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작, 시공오차를 연결볼트(130)의 위치 조절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양 지지블록(12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시켜 연결볼트(130)의 위치 이동도 일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서로 직교하는 십자형태롤 연장시켜 연결볼트(130)의 위치 이동도 십자형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연결볼트(130)의 이동 거리 및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볼트(13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설치되는 볼트이동부(120)의 지지블록(121)과 수평마감판(122)에 형성된 하부공간에 머리부(131)가 구속되고,
볼트부(132)가 수평마감판(122) 사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볼트이동부(12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후술되는 체결부(150)에 의하여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에 노출된 상부판(140)에 체결됨으로서 하부 및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220)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볼트(130)는 머리부(131)와 볼트부(132)로 구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므로 고강도를 가진 것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최소한의 연결볼트(130)를 적용함에 따른 연결성능 확보도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앵커(30)를 연결수단으로 바로 사용했기 때문에 고강도 앵커(30)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고강도 앵커(30)는 제작 및 구입이 제한적이었지만 연결볼트(130)는 앵커와 달리 고강도용 연결볼트(130) 구입이 용이하여 특이한 제한사항이 없어 앵커(30) 대신 연결수단으로 사용하여 사용성이 증진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판(14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저면에 형성된 블록아웃부(230)의 저면을 마감하는 링 형태의 수평판으로서 역시 다수의 앵커(141)를 이용하여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저면에 일체화된다.
이러한 상부판(140) 내측으로 앞서 살펴본 연결볼트(130)의 볼트부(132)가 연장되며 볼트부(132)가 관통되는 상부판(140)에 체결부(150)를 체결시켜 최종 연결볼트(130)에 의하여 하부,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2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상부판(140)은 블록아웃부(230) 하부의 초입을 보강하는 역할도 하게 되며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에 체결부(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블록아웃부에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15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에 도 3b를 참조하면 연장된 연결볼트(130)의 볼트부(132)가 관통하는 지지판으로서, 블록아웃부(230)에 노출된 상부판(140) 상면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결국 연결볼트(130)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에 체결시키는 체결판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연결볼트(130)의 볼트부를 체결부(150) 상면에 체결너트로 체결시켜 체결부(150)가 상부판(140)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로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200)은 도 2c 및 도 2d를 기준으로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c와 같이 프리캐스트 구조물(200)은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을 서로 상,하로 적층시켜 시공하되,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적층면에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이 장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은 역 U형으로 바닥판(211)과 양 경사플랜지(212)로 구성되며, 상기 양 경사플랜지(212)가 기초판(240)에 접하도록 세팅되어 바닥판(211)이 상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바닥판(211) 상면에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하부판(110), 볼트이동부(120)가 앵커(111)에 의하여 고정되어 노출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은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바닥판(211)과 접하도록 바닥판(221)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양 플랜지(222)가 바닥판(221) 양 측방 상방으로 연장되어 U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하부판(110), 볼트이동부(120)가 수용되는 블록아웃부(230)가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블록아웃부(230)는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바닥판(2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부판(140)이 블록아웃부에 노출되도록 매립되어 일체화시키게 되며 체결부(150)는 블록아웃부(230) 내부에서 별도로 상부판(140)에 연결볼트(130)를 체결시키게 된다.
이에, 도 2d에 의하면 하부 및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220)을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로 상,하 적층시켜 벌집형태(육각단면 구조체)로 기초판 상면에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기초판(240) 상면에는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 또는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 모두에 앵커(111) 설치높이만 조절하면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을 다양하게 이용하여 건축물인 프리캐스트구조물(200)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 ]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200) 시공방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200) 시공방법은 U형 단면의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을 기초판(240) 상면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물론 역 U형 단면의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을 기초판(240)에 바로 시공할 수도 있으며,
기초판(240)에 시공된 U형 단면의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을 이용하여 역 U형 단면의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을 적층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도 3a와 같이, 기초판(240)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하부판(110)과 볼트이동부(12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타설 등에 의하여 바닥에 기초판(240)을 시공하게 되며, 이러한 기초판(240)을 시공하면서 앵커(111)를 설치하되, 앵커(111)는 기초판(240) 상면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인출된 앵커의 상단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을 구성하는 하부판(110)과 볼트이동부(120)를 기초판(240) 상면에 노출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게 된다.
즉, 앵커(111)의 두부를 하부판(110)의 앵커홀을 관통하도록 하고, 고정너트로 앵커 두부를 하부판(110) 상면에 체결시켜 하부판(110)과 볼트이동부(120)가 기초판(240)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기초판(240)에 노출된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볼트이동부(120)에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수평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연결볼트(130)의 위치를 세팅시키게 된다.
즉, 연결볼트(130)는 머리부(131)와 볼트부(132)로 구성되어 볼트이동부(120)에 머리부(131)가 구속되도록 하되 볼트부(132)는 볼트이동부(120)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볼트이동부(12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외부 노출된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프리캐스트 구조물(210)로서 U형 단면의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바닥판(211)이 기초판(240) 상면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의 상부판(140)과 체결부(15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즉,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바닥판(211)에는 블록아웃부(230)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아웃부(230)에는 상부판(140)이 노출되어 있게 된다.
이에 연결볼트(130)가 상부판(140) 내측으로 위치하여 블록아웃부(230)에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을 기초판(240) 상면에 세팅시켜 놓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d와 같이, 체결부(150)를 이용하여 블록아웃부(230)에 인출된 연결볼트(130)를 상부판(140)에 체결시켜, 기초판(240) 상면에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을 연결시키게 된다. 최종 블록아웃부(230)는 충진재로 마감시켜 마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초판(240) 상면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 4개소 정도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3e에 의하면 설치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 상부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을 이용하여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 다수를 더 설치하고, 병렬로 다수를 조립 설치하게 되면 다양한 형태(다층의 전시관, 전원주택, 타운하우스, 플로팅형 하우스등)의 최종 프리캐스트 구조물(200)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
110: 하부판 111: 앵커
120: 볼트이동부 121: 양 지지블록
122: 수평마감판 130: 연결볼트
131: 머리부 132: 볼트부
140: 상부판 150: 체결부
200: 프리캐스트 구조물 210: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
211: 바닥판 212: 경사플랜지
220: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
221: 바닥판 222: 경사플랜지
230: 블록아웃부 240: 기초판

Claims (12)

  1.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상면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 저면을 포함하는 적층면에 설치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200)로서,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은,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 상면에 설치된 하부판(110)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양 지지블록(121) 내측으로,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끼워져 상방으로 이동이 구속되도록 수평마감판(122)이 상기 양 지지블록(121) 상단 사이에 형성된 볼트이동부(120): 및
    상기 볼트이동부(120)의 양 지지블록(121) 내측으로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끼워져 구속되고, 볼트부(132)가 상기 수평마감판(122) 사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수평마감판(12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볼트(13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볼트(130)가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 내측에서 체결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은 역 U형으로 바닥판(211)과 양 경사플랜지(212)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은 양 플랜지(222)가 바닥판(221) 양 측방 상방으로 연장되어 U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양 플랜지, 바닥판이 서로 접하면서 적층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10)은,
    수평판 형태로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로부터 인출된 앵커(111)에 의하여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앵커(111)를 하부 및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연결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연결볼트(130)를 연결수단으로 이용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이동부(120)는,
    양 지지블록(121)은 적어도 2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블록(121) 상단에 수평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수평마감판(122)에 의하여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수평마감판(122) 사이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구속되도록 하며,
    상기 양 지지블록(121)은 서로 직교하는 십자형태롤 연장시켜 연결볼트(130)의 위치 이동도 십자형 방향으로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130)는,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설치되는 볼트이동부(120)의 지지블록(121)과 수평마감판(122)에 형성된 하부공간에 머리부(131)가 구속되고, 볼트부(132)가 수평마감판(122) 사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볼트이동부(12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체결부(150)에 의하여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에 노출된 상부판(140)에 체결됨으로서 하부 및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220)을 서로 연결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40)은,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저면에 형성된 블록아웃부(230)의 저면을 마감하는 링 형태의 수평판으로서 앵커(141)를 이용하여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저면에 일체화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40) 내측으로 앞서 살펴본 연결볼트(130)의 볼트부(132)가 연장되며 볼트부(132)가 관통되는 상부판(140)에 체결부(150)를 체결시켜 연결볼트(130)에 의하여 하부,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2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50)는,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에 연장된 연결볼트(130)의 볼트부(132)가 관통하는 지지판으로서, 연결볼트(130)를 블록아웃부(230)에 노출된 상부판(140) 상면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볼트(130)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에 체결시키는 체결판 역할을 하며, 연결볼트(130)의 볼트부를 체결부(150) 상면에 체결너트로 체결시켜 체결부(150)가 상부판(140)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9.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및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220)을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로 상,하 적층시켜 육각단면 구조체로 기초판 상면에 건축물을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10. (a)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의 상면에 하부판(110)과 볼트이동부(120)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볼트이동부(120)에 위치가 이동되는 연결볼트(130)를 설치하는 단계;
    (c)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형성된 블록아웃부(230)에 상기 연결볼트(130)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볼트(130)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의 블록아웃부(230)에서 체결부(150)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은,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 상면에 설치된 하부판(110)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양 지지블록(121) 내측으로,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끼워져 상방으로 이동이 구속되도록 수평마감판(122)이 상기 양 지지블록(121) 상단 사이에 형성된 볼트이동부(120): 및 상기 볼트이동부(120)의 양 지지블록(121) 내측으로 연결볼트(130)의 머리부(131)가 끼워져 구속되고, 볼트부(132)가 상기 수평마감판(122) 사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수평마감판(12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볼트(130);를 포함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의 프리캐스트 구조물(200)은,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 상부에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100)을 이용하여 상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20) 다수를 설치하고, 병렬로 다수를 조립 설치하여 시공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130)는, 하부 프리캐스트 구조물(210)에 설치되는 볼트이동부(120)의 지지블록(121)과 수평마감판(122)에 형성된 하부공간에 머리부(131)가 구속되고, 볼트부(132)가 수평마감판(122) 사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볼트이동부(12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00148891A 2020-11-09 2020-11-09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5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91A KR102459923B1 (ko) 2020-11-09 2020-11-09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91A KR102459923B1 (ko) 2020-11-09 2020-11-09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37A true KR20220063037A (ko) 2022-05-17
KR102459923B1 KR102459923B1 (ko) 2022-10-28

Family

ID=8180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891A KR102459923B1 (ko) 2020-11-09 2020-11-09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9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796A (ko) * 2002-11-28 2004-06-05 이강남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
KR20160004710A (ko) * 2014-07-04 2016-01-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c 박스용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이음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18453A (ko) 2019-02-01 2019-02-22 김태준 안전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패널 구조물
KR101954387B1 (ko) 2016-09-02 2019-03-05 삼성물산 주식회사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2105457B1 (ko) * 2018-05-29 2020-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코너부에 접합철물을 갖는 박스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시공방법
KR102154095B1 (ko) * 2018-09-04 2020-09-10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Pc세그먼트를 이용한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796A (ko) * 2002-11-28 2004-06-05 이강남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
KR20160004710A (ko) * 2014-07-04 2016-01-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c 박스용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이음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954387B1 (ko) 2016-09-02 2019-03-05 삼성물산 주식회사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2105457B1 (ko) * 2018-05-29 2020-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코너부에 접합철물을 갖는 박스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시공방법
KR102154095B1 (ko) * 2018-09-04 2020-09-10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Pc세그먼트를 이용한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8453A (ko) 2019-02-01 2019-02-22 김태준 안전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패널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923B1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5423A (en) Lightweight building module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US20090196694A1 (en) Construction connector anchor cage system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US8453406B2 (en) Precast composite structural girder and floor system
KR102312319B1 (ko) 자력 조립형 몰드패널
KR20190135671A (ko) 코너부에 접합철물을 갖는 박스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시공방법
US20110271617A1 (en) Precast composite structural floor system
KR20210038684A (ko) 프리캐스트 건축물 시공 시스템
JP2018526555A (ja) 材木ポール基礎構造
KR102310267B1 (ko) 유닛블록 시스템
KR102050046B1 (ko) 장부이음을 갖는 분절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코어 시스템
JP2006104883A (ja) 免震建物
JP4472726B2 (ja) 免震建物構造
KR102459923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접합철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21946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US20070261335A1 (en) Precast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size elevated platform
KR101845078B1 (ko)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4446544B2 (ja) 住宅の基礎構造
KR102179542B1 (ko) 기둥구조물 연결용 기초강박스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 시공방법
US20140196398A1 (en) Masonry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asonry building
JP3384785B2 (ja) 制震壁の施工方法
KR20130022656A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