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868A -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868A
KR20220062868A KR1020200148552A KR20200148552A KR20220062868A KR 20220062868 A KR20220062868 A KR 20220062868A KR 1020200148552 A KR1020200148552 A KR 1020200148552A KR 20200148552 A KR20200148552 A KR 20200148552A KR 20220062868 A KR20220062868 A KR 2022006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mental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6702B1 (en
Inventor
김종훈
서상준
오동주
장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훈
서상준
오동주
장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서상준, 오동주, 장명호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20014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702B1/en
Publication of KR2022006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by a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displaying, in real time,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by a display unit; determining, by a control unit, a first experiment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by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experiment tool to be photograph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information.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험도구를 촬영하고, 단말기는 표시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실험도구와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n more detail, a user who wants to conduct an experiment uses a terminal to photograph an experiment tool, and the terminal uses a display unit to perform an experiment with the experiment tool in real time To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a tool and provide it to a user,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과학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실험도구들이 사용된다. 과학 실험에 사용되는 실험도구들은 그 명칭과 정의, 사용방법, 유의사항들이 모두 상이할 수 있고, 실생활에 흔히 사용되는 도구들이 아닌 바, 과학 실험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은 실험도구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In general, many experimental tools are us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scientific experiments. Experimental tools used in science experiments may have different names, definitions, usage methods, and precautions, and they are not commonly used in real life. can

실험도구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서적 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으나, 실험도구의 외관만을 통하여 실험도구의 명칭을 알기는 쉽지 않으며, 실험도구의 명칭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서적 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al tool can be obtained through books or Internet searches, but it is not easy to know the name of the experimental tool only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experimental tool. It may not be eas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tool.

이에, 과학 실험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실제 자신의 앞에 놓여진 실험도구의 외형에 대한 정보만에 기초하여 실험도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user who conducts a scientific experiment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about an experimental tool based only on information about the appearance of the experimental tool placed in front of hi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학 실험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 등의 단말기로 실험도구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user conducting a scientific experiment can photograph an experimental tool with a terminal such as his or her mobile phone,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al tool in real time using the captured imag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은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가 촬영부가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촬영되는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간편하여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and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a display unit photographing unit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in real time,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the first experiment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step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by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al tool to be photograph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i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가 촬영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촬영부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표시부는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촬영되는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간편하여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hotographing unit that captur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al tool and provide it to the user. Accordingly,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al tool to be photograph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i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has various effects as follows.

본 발명은 실험도구를 단말기로 촬영하고, 촬영된 실험도구의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단말기에 표시되며, 이와 동시에 실험도구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함께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eriment tool is photographed with a terminal, and an image of the photographed experiment tool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in real time,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 tool can be displayed together in real tim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Reference to a device or layer “on” another device or layer includes any intervening layer or other device directly on or in the middle of the other device or layer.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llustrated component.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이미지에 포함된 실험도구를 식별하고,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촬영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s a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n experiment tool included in an image captured in real time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 tool to a user. Specifically,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10 , a display unit 120 , and a control unit 130 .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촬영부(110)는 실험도구를 촬영하는 구성이다. 촬영부(110)는 실시간으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 외부를 촬영하며,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제어부(130) 및 표시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10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100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n experiment tool.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display unit 120 .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판별한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로부터 전달받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100 is configured to determine an experiment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experiment tool from the storage unit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or may b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실시간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또한, 표시부(12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촬영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display a real-time photograph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 too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고,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표시부(120)에 터치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120)는 입력부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be a touch screen, and the user may transmit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120 using a finger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20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또 다른 입력부로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 주위의 소리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microphone as another input unit. The microphone may receive a sound input around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us may receive the user's voice data.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외부 서버와 함께 실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룰 수도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 및 관리자 등에 의하여 관리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와 신호 및 정보를 주고받으며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실험도구를 판별하고,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로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외부 서버다.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form an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gether with an external server.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an external server managed by a manager or the like. The external server exchanges signals and information with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 and uses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to determine the experiment tool, and uses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for the experiment tool. This is the main external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폰, 테블릿 PC 등의 전자 단말기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외부 서버 등의 외부 기기와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an electronic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used by a user using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by accessing the Internet.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xternal server.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by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먼저,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촬영부(110)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한다(S110). 도 3a를 참조하면,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진 및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촬영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촬영부(110)는 실험도구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실험도구를 향할 수 있고, 실험도구, 예를 들면, 점화기는 촬영부(110)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First, the photographing unit 11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captur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S110). Referring to FIG. 3A ,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110 such as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pictures and images. The photographing unit 11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photograph an experiment tool.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face the experimental tool, and the experimental tool, for example, the igniter may b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가 촬영부(110)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120). 촬영부(110)가 비추는 실험도구는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는 촬영부(110)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의 제1 영역에는 도 3a와 같이 촬영부(110)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점화기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The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display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in real time (S120). Experimental tools illumin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 The display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a first area in which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in real time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 as shown in FIG. 3A , an igniter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in real time may be displayed.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한다 (S130).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는 실시간으로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termine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130).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in real time.

제어부(130)는 실시간 촬영 이미지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여러 도구 중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특정 도구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실험도구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실험도구의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특정 도구의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특정 도구를 제1 실험도구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촬영 이미지에서 점화기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고, 점화기 이미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실험도구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실험도구 이미지 중 점화기라는 실험도구의 이미지가 매칭된다고 판별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0)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도구가 제1 실험도구, 즉, 점화기라고 판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experimental tool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based on the real-time photographed imag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among various tools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received from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torage unit, and the controller 130 may compare a specific tool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with images of various experimental too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images of the various experimental tools stored in the storage and the images of the specific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match,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specific tool a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n igniter imag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may compare the igniter image with various experimental tool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an image of an experimental tool called an igniter is matched among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 images.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hat is, the igniter.

제어부(13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로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a의 경우, 제어부(130)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도구가 제1 실험도구, 즉, 점화기라고 판별할 수 있고, 점화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는 제1 실험도구의 명칭, 정의, 사용상 유의사항, 사용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to the display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In the case of FIG. 3A ,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hat is, the igniter,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igniter to the display unit 120 .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ame, a definition, notes for use, and a usage method of the first experiment tool.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150).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는 제1 영역과 인접하여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에 제1 실험도구의 명칭 및 정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a에서, 표시부(120)는 촬영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인접하여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에 제1 실험도구의 명칭인 '점화기', 및 제1 실험도구의 정의인 '가스에 불꽃을 일으켜 불을 붙이기 위해 사용하는 실험 도구'가 표시될 수 있다. Next, the display unit 120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S150). 3A to 3C ,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20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cond area adjacent to the first area, and display the name and definition of the first experiment tool in the second area. In FIG. 3A ,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second area adjacent to a first area on which a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and in the second area, 'igniter', which is the name of the first experiment tool, and the first experiment tool. A definition, 'a laboratory instrument used to ignite a gas by igniting it' may be displayed.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는 제2 영역과 인접한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영역에는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영역에는 복수의 아이콘, 예를 들면, 유의점 아이콘, 사용방법 아이콘, 웹페이지 아이콘 및 챗봇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20)의 제3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의점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도 3b와 같이 제1 실험도구의 유의점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방법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도 3c와 같이 제1 실험도구의 사용방법이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웹페이지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표시부(120)는 제1 실험도구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챗봇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표시부(120)는 제1 실험도구에 대한 다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채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공지능 채팅 화면에서 제1 실험도구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third area adjacent to the second area, and a plurality of icons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 tool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there is. In the third area, a plurality of icons, for example, a note icon, a usage method icon, a web page icon, and a chatbot icon may be displayed. The user may touch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third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with a finger or the like.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the note icon, information on the note point of the first experimental too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s shown in FIG. 3B .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the usage method icon, the usage method of the first experimental too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s shown in FIG. 3C .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a webpage icon,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webpage related to the first experiment tool.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the chatbot icon,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ting screen that can provide various other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he user may request m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 tool on the AI chatting screen, and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information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10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촬영부(110)가 실시간으로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가 표시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하는 제1 실험도구를 실시간으로 판별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부(12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특정한 실험도구를 촬영할 수 있고,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실험도구를 촬영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다양한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the apparatus 100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 a captured image captured in real time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on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120 may display, an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first experimental tool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n real time.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on the display unit 120 in real time and provide it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may photograph a specific experimental tool from which he/she wants to obtain information by using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and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 tool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cquire information on various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by simply photographing the experimental tools from which he or she wants to obtai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단계(S13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단계(S13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서만 수행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단계(S130)는 외부 서버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달리 단계(S13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외부 서버 모두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step S130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an external server. That is, step S130 may be performed only by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whereas step S130 may be performed only by an external server. Alternatively, step S130 may be performed by both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server.

단계(S130)가 외부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관리자 등이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통신부는 단계(S110)가 수행된 후에 외부 서버로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20)의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는 통신부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외부 서버에 전달될 수 있다.If step S13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being performed by an external server,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server managed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an external server in real time after step S110 is performed. That is,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in real time by the communication unit.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서버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판별한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실시간 촬영 이미지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버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여러 도구 중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서버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특정 도구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실험도구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실험도구의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특정 도구의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특정 도구를 제1 실험도구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는 촬영 이미지에서 점화기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고, 점화기 이미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실험도구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복수의 실험도구 이미지 중 점화기라는 실험도구의 이미지가 매칭된다고 판별할 수 있다. 이에, 외부 서버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도구가 제1 실험도구, 즉, 점화기라고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 tool determined by the external server from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external server.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e experimental tool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based on the real-time photographed image. Specifically,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among various tools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The external server may include a storage unit, and the external server may compare images of a specific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with various experimental too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images of the various experimental tools stored in the storage and the images of the specific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match,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e specific tool a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or example, the external server may extract the igniter imag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may compare the igniter image with the images of various experimental too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at the image of the experimental tool called the igniter is matched among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 images. Accordingly,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at the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hat is, the igniter. 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 tool to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도 1 내지 도 3c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100)와 비교하여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이 단계들(S260, S27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S. 4 to 5 and the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S. 1 to 3C and the apparatus 100 using the same, and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includes steps S260 and S270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for that,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먼저,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한다(S11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12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한다(S13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150). 이러한 단계들(S110 내지 S150)은 도 1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단계들(S110 내지 S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captur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S11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 S120 ).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termine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13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S150). These steps ( S110 to S150 )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eps ( S110 to S150 )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어서,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실험도구가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실시간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는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2 실험도구를 판별한다(S260).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는 촬영하는 실험도구를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를 이용하여 제1 실험도구를 촬영하다가, 이어서 제2 실험도구로 촬영부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여 제2 실험도구를 촬영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부의 촬영하는 물체의 변경에 대응하여 표시부는 제1 실험도구를 제1 영역에 표시하다가 제2 실험도구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실험도구는 스포이트일 수 있고, 표시부의 제1 영역에는 스포이트가 표시될 수 있다.Next, when the experimental tool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s changed from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in real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from the captured image ( S260 ).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change the experiment tool to be photographed from the first experiment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 tool. That is, the user may photograph the first experiment tool by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then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hotographing unit faces to the second experiment tool to photograph the second experiment tool. Referring to FIG. 5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first experiment tool in the first area and display the second experiment tool in the first area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may be an eyedropper, and the eyedropper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이때,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로부터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물체의 이미지와 저장부에 저장된 실험도구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제2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제2 실험도구, 즉, 스포이트의 이미지와 저장부가 포함하는 다양한 실험도구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고, 제2 실험도구가 스포이트라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xperimental tool from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in real tim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ag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image of the experimental tool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compare the image of the second experiment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that is, the eyedropper, with the images of various experiment tools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e that the second experiment tool is the eyedropper.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270). 표시부는 제2 영역에 제2 실험도구의 명칭 및 정의를 표시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제2 실험도구의 명칭은 '스포이트'이고, 제2 실험도구의 정의는 '한쪽 끝에는 고무 꼭지가 달려 있고 다른 쪽 끝은 가늘게 되어 있는 유리관으로 된 실험 도구'일 수 있다.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on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S270).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name and definition of the second experiment tool in the second area, as shown in FIG. 5 , the name of the second experiment tool is 'eyedropper', and the definition of the second experiment tool is 'A rubber stopper is attached to one end. and a tapered glass tube at the other end.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의 제3 영역에는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영역에는 복수의 아이콘, 예를 들면, 유의점 아이콘, 사용방법 아이콘, 웹페이지 아이콘 및 챗봇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의 제3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의점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도 3b와 같이 제2 실험도구의 유의점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방법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도 3c와 같이 제2 실험도구의 사용방법이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웹페이지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표시부는 제2 실험도구와 관련된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챗봇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할 경우, 표시부는 제2 실험도구에 대한 다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채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공지능 채팅 화면에서 제2 실험도구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표시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 plurality of icons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experiment tool may be displayed on the third area of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In the third area, a plurality of icons, for example, a note icon, a usage method icon, a web page icon, and a chatbot icon may be displayed. The user may touch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third area of the display unit with a finger or the like.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the note icon, information about the note point of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the usage method icon, the usage method of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3C .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the webpage ic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webpage related to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the chatbot ic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ting screen that can provide various other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The user may request m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ting screen, and the display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촬영부가 촬영하는 실험도구가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변경된 경우,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실시간 이미지를 그대로 표시함으로써, 표시부가 표시하는 이미지가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2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표시부는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다가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제1 실험도구를 촬영하다가 변경하여 제2 실험도구를 촬영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다.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perimental tool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s changed from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a real-tim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by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y displaying as it is,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experiment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 too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from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periment tool while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 tool. Accordingly, the user can change the shooting of the first experiment tool to take a picture of the second experiment tool, and in response to thi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periment too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an be quickly provided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단계(S26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단계(S13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실험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서만 수행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단계(S260)는 외부 서버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달리 단계(S260)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 및 외부 서버 모두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step ( S260 )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an external server. That is, step S130 may be performed only by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whereas step S260 may be performed only by an external server. Alternatively, step S260 may be performed by both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external server.

단계(S260)가 외부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실험도구가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실시간으로 변경된 경우,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서버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판별한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는 촬영하는 실험도구를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를 이용하여 제1 실험도구를 촬영하다가, 이어서 제2 실험도구로 촬영부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여 제2 실험도구를 촬영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tep S260 being performed by the external server, when the experimental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changed from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in real time,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s sent from the external server. The external serv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determin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change the experiment tool to be photographed from the first experiment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 tool. That is, the user may photograph the first experiment tool by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then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hotographing unit faces to the second experiment tool to photograph the second experiment tool.

이때, 외부 서버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로부터 표시부가 실시간으로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촬영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실시간으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로부터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다양한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물체의 이미지와 저장부에 저장된 실험도구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제2 실험도구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는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제2 실험도구, 즉, 스포이트의 이미지와 저장부가 포함하는 다양한 실험도구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고, 제2 실험도구가 스포이트라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실험 정보 제공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rnal serv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by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e experimental tool from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n real time. The external server may include a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on various experimental tools, and may determine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ag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image of the experimental tool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the external server may compare the image of the second experiment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that is, the eyedropper, with the image of various experiment tools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e that the second experiment tool is the eyedropper. The external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cond experiment tool to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c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이 단계들(S360 내지 S38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6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are substantially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S. 1 to 3C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except that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includes steps S360 to S380. Since it is the sam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먼저,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한다(S11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12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한다(S13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150). 이러한 단계들(S110 내지 S150)은 도 1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단계들(S110 내지 S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captur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S11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 S120 ).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termine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13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S150). These steps ( S110 to S150 )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eps ( S110 to S150 )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실험 중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360). 구체적으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실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실험 리스트는 복수의 실험의 명칭을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실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험 리스트에서 하나의 실험, 예를 들면 제1 실험을 선택할 수 있고,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n,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a first experiment among a plurality of experiments from the user (S360). In more detail, the storage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store an experiment list. The experiment list may be a list including names of a plurality of experiments.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display an experiment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user may select one experiment, for example, the first experiment from the experiment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receive a selection input for the first experiment from the user.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를 표시한다(S37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는 복수의 실험 준비물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험 준비물은 실시간으로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를 이용하여 주위에 놓여진 실험 준비물을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촬영되는 실험 준비물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Next, a confirmation mark is displayed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captured image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S370). Subsequently,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photograp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preparations, and the at least one experimental prepar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That is, the user may photograph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placed around it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photograph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이때, 실험 준비물은 제1 실험을 위한 실험 준비물과 제1 실험을 위한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험 준비물들 중 일부는 제1 실험에 사용되는 실험 준비물일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제1 실험에 사용되지 않는 물품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may include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nd articles other tha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That is, some of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may be experimental preparations used in the first experiment, and other parts may be items not used in the first experiment.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되고 표시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은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전달받은 실험 준비물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을 판별할 수 있다. 저장부에는 실험 리스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실험 준비물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실험에 사용되는 실험 준비물의 이미지, 명칭, 정의, 사용방법, 유의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실시간 실험 준비물의 이미지와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및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을 각각 판별할 수 있다.Experiment preparation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may be delivered to the control unit in real tim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based on the image of the received experimental preparation. The storage unit may store information about preparations for each experiment included in the experiment list. The information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may include images, names, definitions, usage methods, precautions, etc. of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used for each experimen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image of the real-time experimental preparation with the image of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etermine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article other tha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spectively can do.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확인 마크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임이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마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인 마크는 'Ο'등의 동그라미 표시 또는 'V'등의 체크 표시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촬영부가 촬영하는 실험 준비물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상에 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확인 마크는 위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모양의 표시로 대체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a confirmation mark on the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The confirmation mark may be a mark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as the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For example, the confirmation mark may be a circle mark such as 'Ο' or a check mark such as 'V'.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and may display a 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displayed experimental preparations. The confirmation ma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replaced with a mark of another shape if necessary.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에 비확인 마크를 표시한다(S380).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에 비확인 마크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비확인 마크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님이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마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확인 마크는 'X'등의 엑스 표시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촬영부가 촬영하는 실험 준비물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 상에 비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비확인 마크는 위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모양의 표시로 대체될 수 있다.Next, a non-confirmation mark is displayed on an article that is not an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S380).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in real time, an unconfirmed mark on items other than the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reparations for the experim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The non-confirmation mark may be a mark by which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that it is not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For example, the non-confirmation mark may be an X mark such as 'X'.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and may display an unconfirmed mark on items other tha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displayed experimental preparations. The non-confirmation ma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replaced with a mark of another shape if necessa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가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표시부가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를 표시하며,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에 비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부를 이용하여 실험 준비물을 촬영할 수 있고, 표시부를 통하여 준비된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을 위한 실험 준비물이 무엇인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확인 마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하여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을 위한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이 무엇인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비확인 마크는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 a non-confirmation mark may be displayed on items not prepared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The user may photograph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by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and may check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prepared through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confirmation mark displayed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rough the non-confirmation mark displayed in real time what is not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through the display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60)에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실험 리스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는 앞서 설명한 실험 리스트를 외부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고,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실험 리스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제1 실험을 선택했다는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370)에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을 실시간으로 외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전달받은 실험 준비물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을 판별할 수 있다. 외부 서버의 저장부에는 실험 리스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실험 준비물의 이미지와 외부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험 준비물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및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을 각각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는 판별한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및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 각각에 대한 정보를 실험 정보 제공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in step S360 may receive an experiment list from an external server. The external server may store the above-described experiment list in a storage unit of the external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receive the experiment list from the external server. Also,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transmit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selected the first experiment to an external server. Subsequently, in step S370 ,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deliver the experiment prepar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an external server in real time.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based on the image of the received experimental preparations. The storage unit of the external server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preparations for each experiment included in the experiment list. The external server compares the images of the real-time experimental preparations received from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with the images of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external server, and among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second 1 Each item that is not an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experiment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each of the determined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nd items that are not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to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S370)에서, 표시부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강조 표시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강조 표시는 다른 실험 준비물과 비교될 수 있도록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을 강조시키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조 표시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의 테두리에 표시되는 특정한 색상, 예를 들면, 청색의 굵은 테두리일 수 있고, 이와 달리, 강조 표시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전체 면적에 표시되는 특정한 색상, 예를 들면, 청색의 투명도를 가진 필터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강조 표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step (S370) of displaying a 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further displays a highlighting mark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You may. The highlighting may be an indication that highlights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so that it can be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example, the highlighting mark may be a bold border of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blue, displayed on the border of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in contrast, the highlighting mark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It may be a filter having transparency of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blue. By displaying a highlight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by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user may more clearly recognize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에 비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S380)에서, 표시부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에 비강조 표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비강조 표시는 다른 실험 준비물과 비교될 수 있도록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을 강조시키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강조 표시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의 테두리에 표시되는 특정한 색상, 예를 들면, 적색의 굵은 테두리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비강조 표시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의 전체 면적에 표시되는 특정한 색상, 예를 들면, 적색의 투명도를 가진 필터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에 비강조 표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tep (S380) of displaying a non-confirmation mark on an article that is not a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is not the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The article may be further marked with an unemphasized statement. The de-emphasis mark may be a mark highlighting an article that is not the experimental prepa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so that it can be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example, the non-emphasis mark may be a bold border of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red, displayed on the border of an article that is not the test prepa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It may be a filter having a specific color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article, for example, red transparency. By displaying a non-emphasis mark on the non-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by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user may more clearly recognize the non-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 설명한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단계(S380) 이후에,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준비되어야 할 실험 준비물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준비되어야 할 실험 준비물에 대한 리스트는 단계(S370)에서 확인 마크가 표시된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이외에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로서 더 필요한 다른 실험 준비물에 대한 리스트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실험을 위하여 준비한 실험 준비물을 단계(S370)에서 확인받을 수 있으나,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을 모두 준비하지 않았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준비하지 못한 제1 실험의 나머지 실험 준비물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중 확인 마크가 표시된 실험 준비물 이외에 다른 실험 준비물에 대한 리스트를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에 전달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준비되어야할 실험 준비물을 표시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제1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더 준비되어야 할 실험 준비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in FIG. 6 and the apparatus using the same may further include, after step S380 , displaying a list of experimental preparations to be prepar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The list of experimental preparations to be prepared may be a list of other experimental preparations that are more necessary as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in addition to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marked with a confirmation mark in step S370 . That is, the user may receive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prepared for the first experiment in step S370, but may not have prepared all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In this case, the user may need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that have not been prepared.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list of other experimental preparations in addition to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marked with a confirmation mark among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to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the preparations for the experiment to be prepared, and thus, the user may check the preparations for the experiment to be further prepared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first exper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 설명한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단계(S380) 이후에,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 모두에 확인 마크가 표시된 경우,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의 진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370)에서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가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실험의 모든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실험 준비물이 준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모든 실험 준비물이 준비되었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제1 실험을 진행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모두 준비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고, 제1 실험을 비로소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in FIG. 6 and the apparatus using the same, after step S380, when confirmation marks are displayed on all of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ceeds with the first experiment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Specifically, a confirmation mark may be displayed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in step S370, and the confirmation mark may be displayed on all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of the first experiment through this process.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all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performing the first experiment are ready.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a message that all preparations for the experiment are ready to the user, and may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experiment is being performed.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all of the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re ready, and can only proceed with the first experiment.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c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이 단계들(S360, S470 내지 S492)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7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S. 1 to 3C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except that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includes steps S360, S470 to S492 Since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먼저,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한다(S11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12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한다(S13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150). 이러한 단계들(S110 내지 S150)은 도 1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단계들(S110 내지 S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captur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S11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 S120 ).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termine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13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S150). These steps ( S110 to S150 )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eps ( S110 to S150 )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실험 중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360). 구체적으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실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실험 리스트는 복수의 실험의 명칭을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실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실험 리스트에서 하나의 실험, 예를 들면 제1 실험을 선택할 수 있고,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n,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a first experiment among a plurality of experiments from the user (S360). In more detail, the storage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store an experiment list. The experiment list may be a list including names of a plurality of experiments.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display an experiment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user may select one experiment, for example, the first experiment from the experiment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receive a selection input for the first experiment from the user.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한다(S470).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는 제1 실험을 진행할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할 수 있다. Next,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captures the user's appearance (S470).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photograph the appearance of the user who will perform the first experiment.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480).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촬영부가 촬영한 사용자의 외형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the user's external image in real time (S480).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an image of the user's appearanc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복수의 실험 착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한다(S491). 사용자는 제1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제1 실험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실험 착용품을 착용하고 있을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에 기초하여, 외형 이미지가 포함하는 착용품들 중 제1 실험의 복수의 실험 착용품을 판별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wear items of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external image of the user (S491). The user may be wearing the experimental wear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first experiment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first experiment.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etermine, based on the user's external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plurality of experimental wearables of the first experiment from among the wearables included in the external image.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 중 제어부에 의하여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실험 착용품에 확인 마크를 표시한다(S492). 제어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가 포함하는 착용품들 중 제1 실험의 실험 착용품이 판별될 수 있고, 표시부는 판별된 제1 실험의 실험 착용품에 실시간으로 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확인 마크는 제1 실험의 실험 착용품임이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마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인 마크는 'Ο'등의 동그라미 표시 또는 'V'등의 체크 표시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착용품들 중 제1 실험의 실험 착용품 상에 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확인 마크는 위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모양의 표시로 대체될 수 있다.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a confirmation mark on at least one experimental wear item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mong the external images of the user (S492). The experimental wearables of the first experiment may be discriminated by the control unit among the wearables included in the user's external image,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confirmation mark on the determined experimental wearables of the first experiment in real time. The confirmation mark may be a mark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that it is the experimental wear item of the first experiment. For example, the confirmation mark may be a circle mark such as 'Ο' or a check mark such as 'V'.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a 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wearable article of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wearable articl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firmation ma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replaced with a mark of another shape if necessar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를 촬영하고, 표시부가 외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외형 이미지가 포함하는 착용품들 중 제1 실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1 실험의 실험 착용품을 판별할 수 있고, 표시부는 제1 실험의 실험 착용품에 실시간으로 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현재 자신이 착용한 착용품들 중 제1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착용품이 무엇인가를 확인 마크를 통하여 확인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external image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experimental wear item of the first experiment required to perform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wear items included in the external image,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wear item of the first experiment in real time. can Accordingly, the user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ation mark which wear item is worn for performing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wear items currently worn by the user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first exper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서 설명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표시하는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변경이 필요한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부가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변경이 필요한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는 제1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변경해야 할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팔이 모두 가려진 옷을 입어야 하지만, 팔의 일부가 노출되는 옷을 입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팔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에 기초하여 팔의 전체가 가려진 옷을 입어야 한다는 메시지가 포함된 변경이 필요한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scribed in FIG. 7 and the apparatus using the same, the control uni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experimental wearable items that need to be changed, based on the external image of the user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t. The information on the experimental wearables that needs to be changed may be information on the experimental wearables to be changed by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xperimental wearables required to proceed with the first experiment. For example, the user may be wearing clothes that cover all of the arms, but part of the arms are expos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al wearable item that needs to be changed includ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ntire arm should be worn based on the user's external image in which a part of the arm is exposed.

그리고, 표시부는 이러한 변경이 필요한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는 변경이 필요한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를 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글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al wear that requires such a change.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experimental wear item that needs to be changed in writing. In this case, the user can check the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그러나 이와 달리, 표시부는 변경이 필요한 실험 착용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에 실시간으로 비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비확인 마크는 'X'등의 엑스 표시일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표시되는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 중 변경이 필요한 실험 착용품 상에 비확인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비확인 마크는 위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모양의 표시로 대체될 수 있다. However, unlike this,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non-confirmation mark in real time on the user's external image display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xperimental wear item that needs to be changed. The non-confirmation mark may be an X mark such as 'X'.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display a non-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wearable item that needs to be changed among the displayed external images of the user. The non-confirmation ma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replaced with a mark of another shape if necessary.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도 1 내지 도 3c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100)와 비교하여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이 단계들(S560 내지 S58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8 and the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S. 1 to 3C and the apparatus 100 using the same, except that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includes steps S560 to S580 When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먼저,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한다(S11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12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한다(S13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150). 이러한 단계들(S110 내지 S150)은 도 1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단계들(S110 내지 S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captur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S11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 S120 ).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termine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13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S150). These steps ( S110 to S150 )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eps ( S110 to S150 )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제1 실험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을 촬영한다(S560). 사용자는 제1 실험의 각각의 단계를 진행할 수 있고, 각각의 단계를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이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될 수 있다. 표시부는 촬영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는 수신한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대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실험의 복수의 단계 중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단계를 판별할 수 있다.Next,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captures the user's experimentation process in the first experiment ( S560 ). The user may proceed with each step of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image of the user performing each step may b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being photographed in real time.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transmit an image of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the control unit in real time,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user's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steps of the first experiment based on the received image of the user's experimental procedure. You can determine the steps you are taking.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S570).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대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실험 단계가 올바르게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실험 과정은 제1 실험 중 제1 단계일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 단계가 올바르게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rroneous experimentation in real time based on the user's experiment process (S570).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experimental step performed is correctly performed based on the image of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received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may be a first stage among the first experiments, an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tage is correctly performed using an image of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만약, 사용자가 제1 단계를 올바르게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제1 단계의 올바르지 못한 수행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단계의 올바르지 못한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는 실험도구의 잘못된 사용, 제1 실험의 실험순서를 벗어난 실험 수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user does not correctly perform the first step, the controller may recognize the incorrect execution of the first step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rroneous experimentation based on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incorrect performance of the first step. The information on the erroneous experiment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rroneous use of an experimental tool and an experiment performed out of the experimental sequence of the first experiment.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을 진행하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580).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제어부가 생성한 사용자의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포이트를 스포이트의 올바른 사용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며 제1 실험의 제1 단계를 진행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스포이트를 올바른 사용방법이 아닌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vides information on erroneous experimentation to the user conducting the first experiment in real time (S580).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rroneous experiment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provide it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may be using the eyedropper in a way other than the correct way of using the eyedropper and performing the first stage of the first experiment.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yedropper is being used in a way other than the correct way to the user.

또한, 표시부는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올바른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올바른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있는 잘못된 실험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포이트를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올바른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는 스포이트의 사용방법일 수 있다. 표시부는 이러한 스포이트의 사용방법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올바른 스포이트의 사용방법에 의하여 제1 단계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on correct experimentation along with information on incorrect experimentation to provide to the user. The information on the correct experimentation may be information on how the user can improve the wrong experimentation method being performed in real time. For example, if the user is using the eyedropper in an incorrect way, information on correct experimentation may be the method of using the eyedropper.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method of using the dropper on the display unit, and the user may proceed with the first step again according to the correct method of using the eyedropp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560)에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어부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로 전달한 경우, 외부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대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실험의 복수의 단계 중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단계를 판별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570)에서 외부 서버는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대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실험 단계가 올바르게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 단계를 올바르게 수행하지 않는 경우, 외부 서버는 실시간으로 제1 단계의 올바르지 못한 수행을 인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실험 정보 제공 장치로 제1 단계의 올바르지 못한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step S560 ,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may transmit the image of the user's experiment proces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external server in real tim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to the external server,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the step the user is performing among the plurality of steps of the first experiment based on the received image of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Subsequently, in step S570 , the external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experimental step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image of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received in real time is correctly performed. If the user does not correctly perform the first step, the external server may recognize the incorrect execution of the first step in real time. The external server may deliver specific information about incorrect performance of the first step to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도 1 내지 도 3c의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100)와 비교하여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이 단계들(S660 내지 S68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 9 and the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FIGS. 1 to 3C and the apparatus 100 using the same, except that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includes steps S660 to S680 When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먼저,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한다(S11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S12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한다(S130).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150). 이러한 단계들(S110 내지 S150)은 도 1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단계들(S110 내지 S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captur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S11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 S120 ).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termines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130). Next, the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S150). These steps ( S110 to S150 )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eps ( S110 to S150 )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제1 실험이 포함하는 복수의 단계 각각에 대한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을 수신한다(S660). 구체적으로, 제1 실험은 복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실험의 복수의 단계 중 제1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계를 수행하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인 실험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마이크는 사용자에 의하여 실험 수치에 대한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험 수치를 소리내어 말할 수 있고,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마이크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Next, the microphone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receives a voice input of an experimental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steps included in the first experiment from the user ( S660 ). Specifically, the first exper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s, and a first step among the plurality of steps of the first experiment may be performed. The user may obtain an experimental value that is a result of performing an experiment while performing the first step. The microphone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receive a voice input for the experimental value by the user. The user may speak the experimental value aloud, and the microphone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receive the voice inpu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가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한다(S670). 제어부는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구성된 실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험 수치는 숫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숫자를 읽는 음성 입력을 제어부는 숫자가 포함된 텍스트인 실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generates experimental data based on the voice input of the experimental value (S670). The controller may convert the voice input of the experimental value into experimental data composed of text. For example, the experimental value may be made of numbers, and the control unit may convert a voice input for reading the number into experimental data that is text including numbers.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제1 실험의 복수의 단계 각각에 대한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을 이어서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는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계 각각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subsequently receive a voice input of an experimental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ages of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controller may generate experimental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ages based on the voice input.

이어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가 제1 실험의 종료 후 사용자에게 실험 데이터를 제공한다(S680).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생성한 제1 실험의 복수의 단계 각각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실험의 전체 실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사용자가 제1 실험을 모두 종료한 후에, 실험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vides the experiment data to the user after the end of the first experiment (S680). The control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generate the entire experiment data of the first experiment by using the experimental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stages of the generated first experiment. The display unit of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display and provide the experiment data to the user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first experi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의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실험의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며 직접 실험 수치를 노트에 작성하여 기록하지 않고,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마이크에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제1 실험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모든 실험 수치를 실험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제1 실험이 종료된 후에 사용자에게 실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실험 데이터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 편리하게 실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experimental data in response to a user's voice input. That is, the user may perform each step of the first experiment and directly input the experimental value into a microphone of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y voice, without writing and recording the experimental value in a notebook.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may generate all experimental values as experimental data while the first experiment continues.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provide experimental data to the user after the first experiment is completed, and the user may conveniently obtain experimental data without directly writing the experimental dat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단계(S670)에서 이상적인 실험 수치와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실험 수치가 생성된 경우, 사용자에게 실험 수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낫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험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생성된 실험 데이터와 이상적인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고, 오차를 퍼센트로 산출할 수 있다. 이상적인 데이터는 제1 실험의 제1 단계가 이상적으로 진행되었을 경우의 수치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는 단계(S670)를 통하여 생성된 실험 데이터와 이상적인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적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수치상으로 벗어난 실험 데이터의 오차를 퍼센트로 산출할 수 있다. 실험 데이터의 이상적인 데이터에 대한 오차가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보다 큰 경우, 표시부는 실험 수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낫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이 진행한 제1 실험의 특정 단계가 잘못 수행되었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실험을 다시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the device using the same, when compared with the ideal experimental value and the experimental value out of the error range is generated in step (S670), a message to the user that the experimental value is out of the error range can transmi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may generate experimental data based on the voice input of the experimental value.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generated experimental data with the ideal data, and may calculate the error as a percentage. The ideal data may be numerical data when the first stage of the first experiment was performed ideally.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experimental data generated through step S670 with the ideal data to calculate an error of the experimental data numerically deviating from the ideal data as a percentage. When the error with respect to the ideal data of the experimental data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xperimental value is out of the error range. Accordingly, the user can effectively recognize that a specific step of the first experiment performed by the user was erroneously performed, and can proceed with the experiment again.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 결합된 새로운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의 단계들(S260 내지 S270), 도 6에서 설명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의 단계들(S360 내지 S380), 도 7에서 설명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의 단계들(S360 내지 S492), 도 8에서 설명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의 단계들(S560 내지 S580), 및 도 9에서 설명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의 단계들(S660 내지 S680) 중 적어도 둘은 도 1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단계들(S110 내지 S150)에 이어서 순서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고, 새로운 실시예를 이룰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may include a new embodiment in which one or mor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re combined. For example, steps S260 to S27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scribed in FIGS. 4 to 5 , steps S360 to S38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and steps S360 to S38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scribed in FIG. At least two of the steps S360 to S492, the steps S560 to S58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described in FIG. 8, and the steps S660 to S68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described in FIG. Following the steps S110 to S150 described in 3c, various combinations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order, and a new embodiment may be achiev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은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가 촬영부가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displaying a photograph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It may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first experiment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by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는, 제1 실험도구의 명칭, 정의, 유의사항, 사용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 to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ame, definition, notes, and usage method of the first experiment too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은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실험도구가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실시간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는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2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when the experimental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changed from the first experiment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 tool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econd experiment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 and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실험 중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표시부가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부가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이 아닌 물품에 비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first experiment among a plurality of experiments from a user, and displaying a 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on which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non-confirmation mark on an article that is not an experimental preparation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on which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실험 중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촬영부가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는 단계, 표시부가 촬영부가 촬영하는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가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 중 제1 실험의 복수의 실험 착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 중 제어부에 의하여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실험 착용품에 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first experiment among a plurality of experiments from a user; The step of displaying the appearance image in real time,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test wear items of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user's external images, and at least one experiment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among the external images of the user by the display uni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confirmation mark on the wearable art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은 촬영부가 제1 실험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제1 실험을 진행하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 user's experimental process in which a first experiment is per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nd the display unit providing information on erroneous experimentation in real time to a user who conducts the first experi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실험 정보 제공 방법은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제1 실험이 포함하는 복수의 단계 각각에 대한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제1 실험의 종료 후 사용자에게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 microphone receives a voice input of an experimental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steps included in the first experiment from a user,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voice input of the experimental value It may include generating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display unit providing the experimental data to the user after the end of the first experimen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가 촬영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촬영부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표시부는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that captur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mag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iscriminating the first experiment tool from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experiment tool.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devi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ly or equivalent to the claims described below ar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0: 실험 정보 제공 장치
110: 촬영부
120: 표시부
130: 제어부
100: Experiment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10: shooting department
120: display unit
130: control unit

Claims (8)

촬영부가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
표시부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A step of the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displaying, by a display unit,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a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ing the step of the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실험도구의 명칭, 정의, 유의사항, 사용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definition, notes, and usage method of the first experimental tool, a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이미지가 포함하는 실험도구가 상기 제1 실험도구에서 제2 실험도구로 실시간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2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from the captured image when the experimental tool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changed from the first experimental tool to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in real time; and
The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experimental tool.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실험 중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가 표시되는 상기 촬영 이미지 중 상기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에 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가 표시되는 상기 촬영 이미지 중 상기 제1 실험의 실험 준비물을 제외한 물품에 비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first experiment among a plurality of experiments from a user;
displaying a confirmation mark o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on which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n unconfirmed mark on articles other than the experimental preparations for the first experim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실험 중 제1 실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가 상기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상기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 중 상기 제1 실험의 복수의 실험 착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의 외형 이미지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실험 착용품에 확인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first experiment among a plurality of experiments from a user;
photographing, by the photographing unit, an appearance of the user;
displaying, by the display unit, an external imag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perimental wearables of the first experiment from among the external images of the user; and
The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by the display unit, a confirmation mark on at least one experimental wear item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mong the external image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제1 실험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실험 과정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실험 과정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실험을 진행하는 상기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잘못된 실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hotographing, by the photographing unit, an experiment process of a user conducting a first experiment;
generating, by the controller, information on the user's erroneous experimentation in real time based on the user's experimental process; and
The method of providing experim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by the display unit, information on the erroneous experimentation in real time to the user conducting the first experiment.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가 사용자로부터 제1 실험이 포함하는 복수의 단계 각각에 대한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험 수치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실험의 종료 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by a microphone, a voice input of an experimental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steps included in the first experiment from a user;
generating, by the controller, experimental data based on the voice input of the experimental value; and
Comprising the step of the display unit providing the experiment data to the user after the end of the first experiment, experi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복수의 실험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제1 실험도구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실험도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험 정보 제공 장치.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perimental tools in real tim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real time;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first experimental tool from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rst experimental tool,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0200148552A 2020-11-09 2020-11-09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16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52A KR102516702B1 (en) 2020-11-09 2020-11-09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52A KR102516702B1 (en) 2020-11-09 2020-11-09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68A true KR20220062868A (en) 2022-05-17
KR102516702B1 KR102516702B1 (en) 2023-03-30

Family

ID=8180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552A KR102516702B1 (en) 2020-11-09 2020-11-09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702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439A (en) * 2001-06-11 2002-12-18 (주)에스엔티소프트 Computer-based apparatus for artificial science laboratory
KR20070076827A (en) * 2006-01-20 2007-07-25 (주)엔앤에스 Ubiquitous laboratory service system using ubiquitous network and the presenting method
KR20110113831A (en)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영재마루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for publishing science experiment reports
KR20130042219A (en) * 2011-10-18 2013-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ixed object, tangible science experiment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370977B1 (en) * 2013-06-14 2014-03-10 김진영 Offering method of information of experimentation and management of science laboratory
US20160117944A1 (en) * 2013-07-03 2016-04-28 Qingdao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Experiment Teaching Achievement
KR101992424B1 (en) * 2018-02-06 2019-06-24 (주)페르소나시스템 Apparatus for mak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for augmented reality and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US20200160214A1 (en) * 2018-11-16 2020-05-21 Cognizant Technology Solutions India Pvt.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ab processes and predicting their outcomes
KR20200110102A (en)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듀코젠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scientific experimen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439A (en) * 2001-06-11 2002-12-18 (주)에스엔티소프트 Computer-based apparatus for artificial science laboratory
KR20070076827A (en) * 2006-01-20 2007-07-25 (주)엔앤에스 Ubiquitous laboratory service system using ubiquitous network and the presenting method
KR20110113831A (en)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영재마루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for publishing science experiment reports
KR20130042219A (en) * 2011-10-18 2013-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ixed object, tangible science experiment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370977B1 (en) * 2013-06-14 2014-03-10 김진영 Offering method of information of experimentation and management of science laboratory
US20160117944A1 (en) * 2013-07-03 2016-04-28 Qingdao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Experiment Teaching Achievement
KR101992424B1 (en) * 2018-02-06 2019-06-24 (주)페르소나시스템 Apparatus for mak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for augmented reality and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US20200160214A1 (en) * 2018-11-16 2020-05-21 Cognizant Technology Solutions India Pvt.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ab processes and predicting their outcomes
KR20200110102A (en)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듀코젠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scientific experi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702B1 (en)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5645B (en) Organizing digital images by correlating faces
US8023700B2 (e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for enabling access to functions
US9746928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615632C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communication messages
KR102482361B1 (en) Direct input from remote device
WO20160731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annotations
US10803988B2 (en) Color analysis and control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creen on a mobile device with non-transparent, bendable display screen or multiple display screen with 3D sensor for tele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TW200849109A (en) Note capture device
US20170139911A1 (en) Address book based picture matching method and terminal
CN106385537A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US201501691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ing content during image sharing
US11822879B2 (en) Separately collecting and storing form contents
CN107408173A (en) The non-transitory storage media of image processing equipment, authenticat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storage program
US20130298246A1 (en) Obfuscating entry of sensitive information
JP2014044502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220414042A1 (en) Image based pairing system
CN110046009A (en) Method for recording, device, serv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CN110209762B (en) Reading table and reading method
KR20220062868A (en) Method for providing experiment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339636A (en) Hiding setting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 program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5303082A (en) Server, user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190114131A1 (en) Context based operation execution
JP2009211205A (en) Control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image data
US116168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nalyzing an image capture in a time series with respect to content of parameter and making an assumption how user performed operation in an apparatus
KR101427820B1 (en) Drawing Type Image Based CAPTCHA Providing System and CAPTCHA Provi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