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453A -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453A
KR20220062453A KR1020217040762A KR20217040762A KR20220062453A KR 20220062453 A KR20220062453 A KR 20220062453A KR 1020217040762 A KR1020217040762 A KR 1020217040762A KR 20217040762 A KR20217040762 A KR 20217040762A KR 20220062453 A KR20220062453 A KR 2022006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access
target primary
cell
radio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7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access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plit of the control plane or user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른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기능이 도입되었으며, DC는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과 2차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의 두 개의 셀 그룹을 포함한다. MCG는 하나의 1차 셀(Primary Cell, PCell)을 포함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2차 셀(Secondary Cell, SCell)을 추가로 포함하고, SCG는 하나의 1차 2차 셀(Primary Secondary Cell, PSCell)을 포함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2차 셀(Secondary Cell, SCell)을 추가로 포함한다. MCG를 관리하는 기지국을 1차 노드(Master Node, MN)라고 하고, SCG를 관리하는 기지국을 2차 노드(Secondary Node, SN)라고 한다.
타겟 1차 2차 셀의 채널 품질이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기 위해 타겟 1차 2차 셀의 추가/변경을 수행한다. 그러나, 단말 기기의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가 단말 기기에 대한 이중 연결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단말 기기의 액세스가 단말 기기에 대한 이중 연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는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은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가 액세스할 타겟 1차 셀을 커버하고, 상기 타겟 1차 셀은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거나,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액세스한 것이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무시 모듈로 구성되는 무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무시 모듈은,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가 액세스할 타겟 1차 셀을 커버하고, 상기 타겟 1차 셀은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거나,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액세스한 것이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제6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제7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8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과 같이 무선 자원 제어 연결에 변경이 발생한 시나리오에서 신규 1차 셀에 연결되어, 신규 1차 셀을 커버하는 MN과 새로 액세스한 1차 2차 셀을 커버하는 SN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 연결이 신규 MN에서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단말 기기의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가 이중 연결이 단말 기기를 위해 제공한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보장하고, 네트워크의 서비스 성능을 보장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집합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연결의 선택적인 셀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연결의 선택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N-DC의 선택적인 전반적인 네트워킹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전환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선택적인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단말 기기의 선택적인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지국의 선택적인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전자 기기의 선택적인 구성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해지도록, 이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 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먼저 DC 및 조건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DC에 있어서,
차세대 무선망(New Radio, NR) 시스템('5G 시스템'이라고 칭할 수도 있음)의 주요 응용 시나리오에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초신뢰성 저지연 통신(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of Communication, mMTC) 등 고속 서비스를 구현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여기서, eMBB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및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에 대한 수요는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eMBB는 실내, 도시 지역, 농촌 지역과 같은 다양한 시나리오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그 능력 및 수요의 차이도 비교적 크므로, 일반화할 수 없고 구체적인 배치 시나리오를 결합하여 상세히 분석해야 한다. URLLC의 전형적인 응용에는 산업 자동화, 전력 자동화, 원격 의료 조작(수술), 교통 안전 보장 등이 포함된다. mMTC의 전형적인 특징은 높은 연결 밀도, 작은 데이터 량, 지연에 민감하지 않는 서비스, 저렴한 모듈, 및 긴 서비스 수명 등을 포함한다.
고속 서비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5G는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지원한다. CA는 복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상의 자원을 통합 스케줄링하고 사용함으로써, 5G 시스템이 더 큰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 더 높은 시스템 피크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집합 캐리어의 스펙트럼에서의 연속성은 도 1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연속적 캐리어 집합 및 도 1의 102와 같은 연속적 캐리어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집합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대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Intra-band 캐리어 집합 및 inter-band 캐리어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의 101에서는 두 개의 연속되지 않은 컴포넌트 캐리어(컴포넌트 캐리어 A 및 컴포넌트 캐리어 B)가 통합되며,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은 20 MHz이고, 캐리어 집합 후 총 대역폭은 40 MHz이다. 도 1의 102에서는 5 개의 연속된 캐리어가 통합되며,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은 20 MHz이고, 캐리어 통합 후 총 대역폭은 100MHz이다.
집합 캐리어는 최대 5 개의 CC를 지원한다. 즉, 통합 후 최대 대역폭은 100MHZ이며, 집합 캐리어는 동일한 기지국에 속한다. 모든 집합 캐리어는 동일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를 사용하고, 기지국은 C-RNTI가 각 캐리어가 위치한 셀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중 연결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G 및 SCG를 포함할 수 있다. MCG는 하나의 PCell을 포함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Cell을 추가로 포함하며, SCG는 하나의 PSCell을 포함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Cell을 추가로 포함한다. MCG의 PCell과 MCG의 SCell은 CA 기술을 통해 하나로 결합된다. SCG의 PCell과 SCG의 SCell은 CA 기술을 통해 하나로 결합된다.
PCell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와 같은 단말 기기가 초기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을 수행하는 셀, 또는 핸드오버(handover) 과정에서 지정된 1차 셀이다. PCell은 UE와의 RRC 통신을 담당한다. PCell에 대응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PCC)라고 칭한다. RRC 시그널링 연결, 비 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기능, 안정 등을 제공하는 단 하나의 PCC만 있다.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은PCC에만 있다.
SCell(Secondary Cell, 2차 셀)은 RRC 재구성 시 추가된 것이며,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Cell에 대응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보조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 SCC)라고 칭한다.
NR 초기 배치에서는 완전한 NR 커버리지를 획득하기 어려우므로 전형적인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광역의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커버리지 및 NR 아일랜드 커버리지 모드이다. 또한, 대량의 LTE가 6GHz 이하에 배치되므로, NR에 사용될 수 있는 6GHz 이하 스펙트럼이 매우 적다. 따라서, NR은 6GHz 이상의 스펙트럼 응용을 연구해야 하며 고주파 대역은 제한된 커버리지와 빠른 신호 페이딩을 가지고 있다. 한편, LET에 대한 이동 통신사의 초기 LTE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LTE와 NR 간의 긴밀한 연동(tight interworking) 작업 모드를 제출하였다.
LTE와 NR 간의 긴밀한 연동(tight interworking) 작업 모드에서, 도 3에 도시된 EN-DC, NE-DC, NGEN-DC 및 NR-DC 아키텍처의 몇몇 아키텍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는 진화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지상파 무선 접속망(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즉 4G 무선 접속망을 나타내고, N은 NR, 즉 5G 차세대 무선망을 나타내고, NG는 차세대 핵심망, 즉 5G 핵심망을 나타낸다. EN-DC는 4G 무선 접속망과 5G NR 간의 이중 연결이고, EN-DC 아키텍처의 네트워크 배치는 도 3의 301과 같은 비 독립형 네트워킹(NSA) 모드이고 4G 핵심망, 즉 진화된 패킷 핵심망(Evolved Packet Core network, EPC)을 연결하며, LTE의 진화된 기지국(Evolved Node B, eNB)은 1차 노드이고, 5G의 기지국(5G Node B, gNB)은 2차 노드이다. NE-DC는 5G NR와 4G 무선 접속망의 이중 연결이고, NE-DC 아키텍처의 네트워크 배치는 도 3의 302와 같은 비 독립형 네트워킹(NSA) 모드이고 진화된 장기 진화(Enhanced LTE, eLTE)의 핵심망, 즉 차세대 핵심망(NextGen Core)을 연결하며, gNB는 1차 노드이고, eNB는 2차 노드이다. NGEN-DC는 5G 핵심망의 4G 무선 접속망과 5G NR의 이중 연결이고, NGEN-DC 아키텍처의 네트워크 배치는 도 3 중 303과 같은 비 독립형 네트워킹(NSA) 모드이고, 차세대 핵심망을 연결하며, eNB는 1차 노드이고, gNB 2차 노드이다. NR-DC는 5G NR와 5G NR의 이중 연결이고, NR-DC 아키텍처의 네트워크 배치는 도 3의 304와 같은 비 독립형 네트워킹(NSA) 모드이고, 차세대 핵심망을 연결하며, gNB 1차 노드이고, gNB 2차 노드이다.
1차 노드는 주요 RRC 제어 기능 및 CN에 대한 제어 평면을 담당한다. 2차 노드는 보조적인 시그널링(예를 들어, SRB3)을 구성하며, 주로 데이터 송신 기능을 제공한다.
일예에서, EN-DC의 전반적인 네트워킹 아키텍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접속망은 E-UTRAN이고 그 기지국은 4G 핵심망에 접속한 5G 기지국 en-gNB 및 4G 기지국 eNB를 포함한다. 핵심망의 네트워크 요소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를 포함한다. en-gNB와 핵심망 간의 인터페이스를 S1-U 인터페이스라고 하고, eNB와 핵심망 간의 인터페이스를 S1 인터페이스라고 하고, en-gNB와 eNB 간의 인터페이스를 X2 인터페이스라고 하고, en-gNB와 en-gNB 간의 인터페이스를 X2-U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Rel-15 표준에서, E-UTRAN과 NR의 이중 연결(MR-DC) 시나리오에 대해, MN에 의해 트리거되는 PSCell 추가 과정, 즉 SN 추가 과정을 지원하는 동시에, MN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과 SN에 의해 트리거되는 두 가지 PSCell 변경 과정을 지원하며, PSCell의 변경은 동일한 SN 내부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SN 사이(즉 소스 SN과 타겟 SN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조건 핸드오버에 있어서,
고속 전송 시나리오 및 고주파수 배치 시나리오에 핸드오버가 빈번하고 쉽게 실패하는 문제가 존재하는 것에 대해, 3GPP는 현재 LTE 및 NR 시스템에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핸드오버 과정 즉 조건 핸드오버를 도입할 것을 논의하고 있다. 조건 핸드오버의 기본 원리는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따라 타겟 셀과 관련된 트리거 조건이 트리거된 것으로 판단하면, 사전 설정된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상기 타겟 셀에 대한 핸드오버(즉, 랜덤 액세스 과정을 트리거하고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함)를 수행하여, 빈약한 커버리지 영역에 고속으로 전송하여 측정 리포트의 송신 및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을 수행하기에 너무 늦거나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한다.
조건 핸드오버의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1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과 UE 사이에서 측정 제어 정보와 측정 리포트의 상호 작용을 수행한다.
소스 기지국은 측정 제어 정보를 UE에 구성하여, UE가 소스 기지국 제어 연결 하에서 이동성 기능을 측정하도록 한다. UE는 사전 설정된 룰에 따라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한다.
단계 502에 있어서, 타겟 기지국과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준비를 수행한다.
UE에 의해 리포팅된 측정 결과에 따라 UE가 핸드오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준비를 수행하고, 핸드오버 조건을 획득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 503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 조건이 포함된 핸드오버 명령을 UE에 송신한다.
핸드오버 명령에는 타겟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핸드오버 조건이 포함된다. 여기서, 핸드오버 명령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기지국의 핸드오버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04에 있어서, UE가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하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된다.
Rel-16 이동성 향상 과제는 조건 핸드오버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처음에는 PCell 핸드오버를 위해 도입하였고, 그 후 MR-DC 시나리오를 위해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SCell 추가/변경(addition/change)을 도입할 것을 결정하였다.
조건부 트리거 기반 PSCell 추가/변경을 도입한 후, PSCell의 추가/변경은 더이상 네트워크에 의해 완전히 제어되지 않는다. 즉, 네트워크 측(즉, 소스 MN 및 소스 SN)은 UE가 언제 조건을 충족하여 PSCell 추가/변경 과정을 트리거할 것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따라서, 소스 1차 셀을 기반으로 PCell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등 RCC 연결 변경 시, 신규 MN과 PScell 추가/변경 후 신규 PSCell이 위치한 SN 사이에 전에 협상하지 않았으므로(예를 들어, X2/Xn 인터페이스가 없음) DC 모드를 통해 UE를 위해 서비스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 오류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제어 방법은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통합 전송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5G 시스템 또는 미래의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통신 시스템(6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통신 시스템(600)은 기지국(610)을 포함할 수 있고, 기지국(610)은 단말 기기(620, 또는 통신 단말기, 단말기로 칭함)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기지국(610)은 특정된 지리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610)은 LTE 시스템 중의 진화된 기지국(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NR/5G 시스템 중의 기지국(gNB)일 수도 있다.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육상전송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기지국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600)은 기지국(6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6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말 기기'는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와 같은 유선 회선 연결을 통한 것;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 FM 방송 송신기, 및/또는 다른 단말 기기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장치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 및/또는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기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된 단말 기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전송 단말기'라고 칭할 수 있다. 전송 단말기의 예로는 위성 또는 휴대폰;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Web 브라우저, 메모 패드, 달력 및/또는 위치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일반 랩톱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액세스 단말기,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전송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전송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휴대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핸드헬드형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변조 복조 장치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620)는 서로 단말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두 개의 기지국과 하나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600)은 복수 개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수량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한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는 경우, 핸드오버 전의 기지국을 소스 기지국이라고 하고, 핸드오버 후의 기지국을 타겟 기지국이라고 한다. 단말 기기가 PCell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핸드오버 전 PCell을 커버하는 기지국을 소스 MN이라고 하고, 핸드오버 후 PCell을 커버하는 기지국을 타겟 MN이라고 한다. 단말 기기가 PSCell 추가를 수행하는 경우, 추가된 PSCell을 커버하는 기지국을 타겟 MN이라고 한다. 단말 기기가 PSCell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 변경 전 PSCell을 커버하는 기지국을 소스 SN이라고 하고, 변경 후 PSCell을 커버하는 기지국을 타겟 MN이라고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600)은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시스템 중 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를 통신 기기라고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600)을 예로 들면, 통신 기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지국(610) 및 단말 기기(620)를 포함할 수 있고, 기지국(610) 및 단말 기기(620)는 상술한 구체적인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통신 기기는 통신 시스템(600) 중 다른 기기(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을 제공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701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무시한다.
여기서,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무시하는 것은,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을 수행하는 과정은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통해 타겟 1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은 타겟 1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단말 기기가 소스 셀에서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비 DC 모드에서 작동된다. 비 DC 모드에서 작동되는 단말 기기가 액세스하는 기지국은 MN만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DC 모드에서 작동된다. DC 모드에서 작동되는 단말 기기가 액세스하는 기지국은 MN 및 SN을 포함한다.
예에서, 단말 기기가 타겟 PSCell로의 액세를 수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RRC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이 충족되면, 수행 중인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 과정을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한다.
예에서,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고 RRC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 기기는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예에서,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 기기는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종료되거나 중지된 수행 중인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 과정은 제1 트리거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는 것,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구성 정보를 삭제하는 것, 및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을 삭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한다.
예에서, 단말 기기가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를 수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RRC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며, 수행 중인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 과정을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을 삭제한다.
예에서,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고 RRC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 기기는 수행하려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구성 정보를 삭제하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을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단계 S701을 수행하기 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S700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제1 트리거 조건을 구성한다.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트리거 조건은 A3/A5/A4/B1 등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이벤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소스 기지국은 소스 MN이다. 선택적으로, 소스 기지국은 소스 SN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비 DC 모드에서 작동되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 방식은 소스 MN에 의해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된다.
소스 MN이 단말 기기에 제1 트리거 조건을 설정할 때, 타겟 PSCell의 관련 설정을 설정한다. 이때, 제1 트리거 조건은 단말 기기가 PSCell 추가를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DC 모드에서 작동되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 방식은 소스 1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1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거나, 또는 소스 2차 노드가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3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스 MN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ling Radio Bearer) SRB1 상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제1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SCell의 관련 구성을 구성하거나, 소스 SN이 SRB3 상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제1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SCell의 관련 구성을 구성한다. 이때, 제1 트리거 조건은 단말 기기가 PSCell 추가 또는 변경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PSCell 추가는 단말 기기를 위해 PSCell, 즉 타겟 PSCell을 추가하는 것을 의미하고, PSCell 변경은 단말 기기가 액세스한 PSCell을 소스 PSCell에서 타겟 PSCell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소스 1차 셀 사이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와 상기 소스 1차 셀 사이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는 아래의 단계를 더 수행한다.
단계 S800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한다.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는 것은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기 전 또는 후에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는 것이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 기기는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는 것이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한 후에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든다. 예에서,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을 충족하면,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고,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한다. 다른 예에서,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고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을 충족하면,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셀 선택 과정을 개시하고,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을 재구성하도록 선택된 셀에 RRC 연결 재구성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셀을 타겟 1차 셀이라고 하며, 네트워크 중 타겟 1차 셀과의 RRC 연결을 재구성한다. 타겟 1차 셀과 소스 1차 셀은 동일한 셀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셀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1차 셀로부터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상기 단말 기기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소스 1차 셀과 타겟 1차 셀은 동일한 기지국 커버리지 하의 셀일 수 있으며, 각각은 서로 다른 기지국 커버리지 하의 셀일 수도 있다.
핸드오버 조건이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1차 셀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경우, 단말 기기는 소스 1차 셀을 커버하는 소스 주 기지국에 의해 하향 송신된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며, 핸드오버 명령은 단말 기기의 1차 셀이 현재의 소스 1차 셀에서 타겟 1차 셀로 핸도오버하도록 지시한다.
핸드오버 조건이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상기 단말 기기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인 경우, 단말 기기에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제2 트리거 조건 및 타겟 1차 셀에 관련된 구성 정보가 저장된다.
제2 트리거 조건의 구성 방식은,
소스 MN에 의해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구성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소스 MN은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PCell 핸드오버를 위한 제2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Cell의 관련 구성을 구성하며, 제2 트리거 조건은 A3/A5 등 RRM 측정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는 아래의 단계를 더 수행한다.
단계 S90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에서 1차 셀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소스 1차 셀의 무선 링크를 상기 타겟 1차 셀과와 무선 링크로 전송하도록, 소스 1차 셀을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한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기 전 또는 후에 소스 1차 셀에서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시작한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이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기 전인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단말 기기는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이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한 후인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에서,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을 충족하면,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고,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다른 예에서,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고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시작하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RRC 연결 실패가 존재하고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등 무선 자원 제어 연결에 변화가 발생하여 단말 기기가 신규 1차 셀과 무선 연결을 구성할 수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트리거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된 PSCell의 추가/변경을 무시하여, 신규 PCell을 커버하는 MN과 신규 PSCell을 커버하는 SN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말 기기의 이중 연결의 정상적인 기능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한 후,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RRC 연결 실패를 검출하거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거나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고, 타겟 PSCell 관련 구성 및 제1 트리거 조건 구성을 삭제하며, RRC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거나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RRC 연결 실패를 검출하거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거나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고,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 과정 또는 RRC 연결 재구성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트리거하는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타겟 PSCell 관련 구성 및 제1 트리거 조건 구성을 삭제한다.
수행 중인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한 후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스 1차 셀의 무선 링크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며, 소스 1차 셀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하면,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고, RRC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한다.
수행 중인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한 후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에 성공하기 전에, 단말 기기가 소스 1차 셀에 의해 하향 송신된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거나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고, 소스 1차 2차 셀의 구성을 복원하며,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바로 수행한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는 핸재 액세스한 1차 셀의 무선 링크를 모니터링하는바, 소스 1차 셀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RRC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며, 재구성 셀에 대해 RRC 연결 재구성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트리거하는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는 소스 1차 셀의 무선 링크를 모니터링하는바, 소스 1차 셀과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하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트리거하는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단말 기기는 RRC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한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거나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 과정에서,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트리거하는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거나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확정하였을 때, 동시에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트리거하는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RRC 연결 재구성을 수행하거나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한다.
타겟 1차 셀을 커버하는 기지국, 즉 타겟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타겟 1차 셀은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에 의해 트리거된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무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 또는 후이며, 상기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타이밍이다.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충족 타이밍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인 것을 예로 들면, 제1 트리거 조건을 기반으로, 단말 기기는 타겟 1차 2차 셀로 액세스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소스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하며, 이때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는 과정을 종료하고,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한다.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충족 타이밍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인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충족하면,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핸드오버 과정에서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며, 이때 제1 트리거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타겟 1차 셀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후에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전달된다.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는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RRC 재구성을 개시하는 경우, RRC 재구성 과정 중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지시 정보가 포함되거나, RRC 재구성 과정 완료 후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PCell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PCell 핸드오버 과정 중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지시 정보가 포함되거나, PCell 핸드오버 과정 완료 후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물리적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셀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S901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1차 셀에 의해 하향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액세스 지시 메시지에는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식별자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다.
여기서, 타겟 MN은 SN addition/change 요청을 타겟 SN에 송신하고, 타겟 SN은 신규 PSCell의 구성 정보를 응답 메시지를 통해 타겟 MN에 송신하며, 타겟 MN은 신규 PSCell의 구성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신규 PSCell 추가 또는 변경을 완료한다.
RRC 시그널링에 포함된 신규 PSCell은 제1 트리거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 PSCell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셀일 수도 있다.
단계 S90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액세스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RRC 시그널링은 RRC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단말 기기와 소스 1차 셀의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의 변경 방식의 차이 및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핸드오버의 차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방법은 아래의 몇 가지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 1에 있어서, PCell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은 수행 중인 PSCell 추가/변경(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한다.
시나리오 2에 있어서, PCell 조건 핸드오버 과정은 수행 중인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한다.
시나리오 3에 있어서, PCell 핸드오버 조건 및 PSCell addition/change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 PCell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고,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시나리오 4에 있어서, PCell 무선 링크 실패는 수행 중인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고, RRC 연결 재구성을 트리거한다.
설명할 것은, 이상의 4 가지 시나리오는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적인 설명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방법은 다른 응용 시나리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기기가 RRC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무시함으로써, RRC 연결 재구성 또는 1차 셀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등 RRC 연결에 변경이 발생한 시나리오에서 신규 1차 셀에 연결된 경우, 신규 1차 셀과 새로 액세스한 1차 2차 셀 사이에 X2/Xn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 연결이 신규 1차 노드에서 작동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단말 기기의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가 이중 연결이 단말 기기를 위해 제공한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장하고, 네트워크의 서비스 성능을 보장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통신 시스템이 NR/5G 시스템인 것을 예로, 서로 다른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 1에 있어서,
예 1에서, PCell 기반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은 수행 중인,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01에 있어서, 소스 MN은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제1 트리거 조건을 구성한다.
제1 트리거 조건은 PSCell addition/change의 트리거 조건이다.
여기서, S1001단계에서, 소스 기지국은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PSCell 관련 구성도 구성한다.
a. UE가 비 DC 모드(즉, MN만 존재함)에서 작동되는 경우, 소스 MN은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PSCell addition을 위한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SCell의 관련 구성을 UE에 구성하며, 트리거 조건은 A3/A5/A4/B1 등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b. UE가 DC 모드(즉, MN 및 SN)에서 작동되는 경우, PSCell change의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SCell의 관련 구성은 소스 MN에 의해 SRB1 상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UE에 구성되거나, 소스 SN에 의해 SRB3 상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UE에 구성된다.
단계 S1002에 있어서,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UE는 타겟 SN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를 개시한다.
단계 S1003 - 단계 S1004 에 있어서, UE는 타겟 PSCell에 액세스할 때, 소스 MN에 의해 송신된 RRC 메시지를 계속하여 수신하며, 타겟 PSCell 액세스에 아직 성공하지 못한 경우(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에 아직 성공하지 못한 경우) UE가 소스 MN에 의해 송신된 PCell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면, UE는 수행 중인 타겟 PSCell 액세스를 종료하고, 소스 PSCell 구성을 복원한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UE는 타겟 MN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타겟 PSCell로 핸드오버한다.
UE는 수행 중인 타겟 PSCell 액세스를 종료하고 소스 PSCell 구성을 복원한 후, 소스 PCell에서 타겟 PCell로 액세스하도록 PCell 핸드오버 과정을 바로 수행한다.
실시예 1에서, PCell 핸드오버 명령에 PSCell 구성이 언급되지 않은 경우, UE는 핸드오버 후 소스 PSCell의 구성을 계속하여 사용하며, PCell 핸드오버 명령에 신규 PSCell(예를 들어, 신규 PSCell을 변경) 구성이 지시되어 있으면, UE는 핸드오버 후 신규 PSCell 구성을 적용한다.
예 1에서,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SCell addition/change는 UE 측이 조건에 따라 자동 트리거를 평가하며, 네트워크 측은 절대적인 제어가 없다. PCell 핸드오버로 수행 중인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하는 것은 연결 상태의 이동성이 네트워크 측의 제어를 완전히 받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PCell 핸드오버와 PSCell addition/change를 동시에 수행한 후 신규 타겟 PSCell 셀과 핸드오버 후 타겟 MN 사이에 협상이 없어(예를 들어, X2/Xn 인터페이스가 없음) DC 모드를 통해 UE를 위해 서비스할 수 없어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 2에 있어서,
예 2에서, PCell 조건 핸드오버 과정을 기반으로 수행 중인,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01에 있어서, 소스 MN은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구성한다.
제1 트리거 조건은 PSCell addition/change의 트리거 조건이고, 제2 트리거 조건은 PCell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이다.
여기서, S1101 단계에서, 소스 기지국은 또한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PCell 관련 구성 및 PSCell 관련 구성을 구성한다.
a. 소스 MN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UE에 PCell 핸드오버를 위한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SCell의 관련 구성을 구성하며, 트리거 조건은 A3/A5 등 RRM 측정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b. UE가 비 DC 모드(즉, MN만 존재함)에서 작동되는 경우, 소스 MN은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PSCell addition을 위한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SCell의 관련 구성을 UE에 구성하며, 트리거 조건은 A3/A5/A4/B1 등 RRM 측정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c. UE가 DC 모드(즉, MN 및 SN)에서 작동되는 경우, PSCell change의 트리거 조건 및 타겟 PSCell의 관련 구성은 소스 MN에 의해 SRB1 상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UE에 구성되거나, 소스 SN에 의해 SRB3 상에서 RRC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UE에 구성된다.
단계 S1102에 있어서,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UE는 타겟 SN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를 개시한다.
단계 S1103 - 단계 S1104에 있어서, UE는 타겟 PSCell에 액세스할 때, 소스 MN에 의해 송신된 RRC 메시지를 계속하여 수신하며, 타겟 PSCell 액세스에 아직 성공하지 못한 경우(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에 아직 성공하지 못한 경우) UE 측이 제2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평가하면, UE는 수행 중인 타겟 PSCell 액세스를 종료하고, 소스 PSCell 구성을 복원한다.
단계 S1105에 있어서, UE는 타겟 MN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타겟 PCell로 핸드오버한다.
UE는 수행 중인 타겟 PSCell 액세스를 종료하고 소스 PSCell 구성을 복원한 후, 소스 PCell에서 타겟 PCell로 액세스하도록 PCell 핸드오버 과정을 바로 수행한다.
예 2에서,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Cell 핸드오버와 조건에 의해 트리거되는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은 두 개의 독립된 과정이며, 양자 사이에 충돌이 있다. 예를 들어,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Cell 핸드오버의 타겟 PCell이 위치한 타겟 MN은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SCell addition/update의 타겟 PSCell이 위치한 타겟 SN과 X2/Xn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PCell 핸드오버를 기반으로 수행 중인 조건을 기반으로 트리거되는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하는 것은 PCell 핸드오버와 PSCell addition/change를 동시에 수행한 후 신규 타겟 PSCell 셀과 핸드오버 후 타겟 MN 사이에 협상이 없어 DC 모드를 통해 UE를 위해 서비스할 수 없어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 3에 있어서,
예 3에서, PCell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 및 PSCell addition/change의 트리거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 PCell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201에 있어서, 소스 MN은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구성한다.
제1 트리거 조건은 PSCell addition/change의 트리거 조건이고, 제2 트리거 조건은 PCell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이다.
여기서, S1201 단계에서, 소스 기지국은 또한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PCell 관련 구성 및 PSCell 관련 구성을 구성한다.
단계 S1202에 있어서,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 PCell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며, 타겟 MN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타겟 PCell로 핸드오버한다.
여기서, PSCell addition/change의 트리거 조건 및 PCell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 UE는 타겟 PCell 및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를 동시에 개시하지 않으며, UE는 PSCell addition/change 트리거 조건이 충족된 사실을 무시하며, PCell 핸드오버의 트리거 조건의 충족에 의거하여, PCell 조건 핸드오버 관련 구성을 사용하여 타겟 PCell에 액세스를 개시한다.
단계 S1203에 있어서, UE는 타겟 PSCell이 PSCell addition/change 조건을 충족하는 지시 정보를 PCell 핸드오버 완료 후 타겟 PCell/MN에 리포팅한다.
a. 상기 지시 정보는 타겟 PSCell의 주파수 포인트 및 PC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 상기 지시 정보는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c. 상기 지시 정보는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 후의 RRC 메시지(예를 들어, U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204에 있어서, 타겟 MN은 UE가 PScell을 추가 또는 변경하도록, 상기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PSCell로의 추가/변경 요청을 바로 개시한다.
예 3에서, PCell 핸드오버 및 PScell addition/change를 동시에 수행하지 않아 시스템 오류를 피할 수 있는 동시에, PCell 핸드오버 완료 후, 바로 사용 가능한 PSCell을 리포팅하여 신규 MN이 바로 신규 PScell 추가 또는 변경을 개시하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가 측정을 재구성하고 측정 리포트를 수신해야 함으로 인한 추가적인 지연을 방지하고, DC 구성에 신속히 진입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예 4에 있어서,
예 4에서, PCell 핸드오버/조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을 때 PSCell addition/change 조건이 충족되면, PCell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301에 있어서, 소스 MN은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제1 트리거 조건 및 제2 트리거 조건을 구성한다.
단계 S1302에 있어서, PCell 핸드오버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거나 UE가 PCell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경우, UE는 타겟 MN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타겟 PCell로의 액세스를 개시한다.
단계 S1303에 있어서, 타겟 PCell의 액세스 과정에서, UE는 타겟 SN의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UE가 타겟 PCell로의 액세스를 개시할 때의 PSCell addition/change 처리에 관하여, UE는 타겟 SN의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으며, 아래의 몇 가지 처리 방식을 포함한다.
a. UE는 PSCell addition/change 트리거 조건에 대한 평가를 정지하거나, 및/또는 UE는 타겟 PSCell 관련 구성을 삭제한다.
b. UE는 트리거 조건을 계속하여 평가하며,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UE가 트리거 조건을 계속하여 평가하면, UE는 타겟 PSCell이 PSCell addition/change 조건을 충족하는 지시 정보를 PCell 핸드오버 완료 후 타겟 PCell/MN에 리포팅할 수 있다.
a. 상기 지시 정보는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b. 상기 지시 정보는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 후의 RRC 메시지(예를 들어, U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1304에 있어서, 타겟 PCell/MN은 UE가 PScell을 추가 또는 변경하도록, 상기 리포팅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SN에 타겟 PSCell/SN로의 addition/update 요청을 바로 개시한다.
예 4에서, PCell 핸드오버 및 PScell addition/change를 동시에 수행하지 않아 시스템 오류를 피할 수 있는 동시에, 핸드오버 완료 후 사용 가능한 PSCell을 바로 리포팅하여 신규 MN이 신규 PScell 추가 또는 변경을 바로 개시하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가 측정을 재구성하고 측정 리포트를 수신해야 함으로 인한 추가적인 지연을 피하고, DC 구성에 신속히 진입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 5에 있어서,
예 5에서, PCell 무선 링크 실패는 수행 중인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종료하고, RRC 연결 재구성을 트리거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40에 있어서, 소스 MN은 연결 상태의 UE에 대한 제1 트리거 조건을 구성한다.
단계 S1402에 있어서, 제1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UE는 타겟 SN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타겟 PSCell로의 액세스를 개시한다.
단계 S1403 - 단계 S1404에 있어서, PSCell addition/change 수행 과정에서, UE는 PCell에 대해 계속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radio link monitoring)을 수행하며, PCell에 무선 링크 실패(RLF)가 발생하면, UE는 수행 중인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정지한다.
단계 S1405에 있어서, UE는 RRC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한다.
단계 S1405 전에, UE는 타겟 PSCell 관련 구성을 삭제할 수 있다.
예 5에서, PCell 무선 링크 실패 시 수행 중인 PSCell addition/change 과정을 정지하는 것은, UE가 신규 MN/PCell에 재구성된 경우, 신규 MN/PCell과 타겟 PSCell 사이에 X2/Xn 인터페이스/협상이 없음으로 인한 DC가 신규 MN에서 작동할 수 없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액세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1500)를 제공하며, 도 15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1500)는 무시 모듈(1500)을 포함하며,
상기 무시 모듈(1501)은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시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는 것,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구성 정보를 삭제하는 것, 및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을 삭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소스 1차 셀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재구성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1차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상기 단말 기기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오버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리포팅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 또는 후이며, 상기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타이밍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후에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물리적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1차 셀에 의해 하향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이중 연결 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 방식은,
소스 1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1 상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는 방식, 또는
소스 2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3 상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1600)을 더 제공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160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모듈(160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가 액세스할 타겟 1차 셀을 커버하고, 상기 타겟 1차 셀은 상기 단말 기기가 다음의 조건 하에 액세스한 것이다. 즉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거나,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액세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후에 송신한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물리적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하향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단말 기기 또는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도이다. 전자 기기(1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1), 메모리(1702)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4)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1700) 중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705)을 통해 하나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버스 시스템(1705)은 이러한 컴포넌트들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1705)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도 17에서 각종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1705)으로 표기하였다.
이해할 것은, 메모리(17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메모리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는 ROM, 피롬(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성 램(FRAM, ferro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표면 메모리, 광 디스크, 또는 시디롬(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일 수 있으며, 자기 표면 메모리는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자기 테이프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캐시로 기능한다. 예시적이지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여러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정적 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 정적 램(SSRAM, Synchronous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디램(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에스디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더블 데이터 레이트 에스디램(DDR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향상된 에스디램(ESDRAM, Enhanced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싱크링크 디램(SLDRAM, SyncLink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직접 램버스 램(DRRAM, Direct Rambus 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메모리(1702)는 이러한 메모리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고자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메모리(1702)는 전자 기기(1700)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는 애플리케이션(17021)과 같은 전자 기기(17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17021)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1701)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17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1)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701)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17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을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해독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되어 수행 완료되거나 해독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1702)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701)는 메모리(1702) 중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7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MCU, MPU 또는 다른 전자소자로 구현되어 전술한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상응하는 흐름을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기지국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상응하는 흐름을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할 것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 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럭,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 중의 흐름 및/또는 블럭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기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 개 흐름 및/또는 블럭도의 한 블럭 또는 복수 개 블럭 중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의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장치를 포함하는 제품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명령장치는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 개 흐름 및/또는 블럭도의 한 블럭 또는 복수 개 블럭 중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기기에서 수행되는 명령은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 개 흐름 및/또는 블럭도의 한 블럭 또는 복수 개의 블럭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이상의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어떠한 수정, 동등교체 및 개진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8)

  1. 액세스 제어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는 단계;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구성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을 삭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와 소스 1차 셀 사이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셀과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구성하기 위해,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은,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1차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상기 단말 기기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셀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 또는 후이며, 상기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타이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후에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물리적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1차 셀로부터,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이중 연결 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 방식은,
    소스 1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1 상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는 방식, 또는
    소스 2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3 상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4. 액세스 제어 방법으로서,
    기지국이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가 액세스할 타겟 1차 셀을 커버하고, 상기 타겟 1차 셀은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거나,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액세스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후에 송신한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물리적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18. 단말 기기로서,
    무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시 모듈은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는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될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시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는 것,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구성 정보를 삭제하는 것, 및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을 삭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소스 1차 셀의 무선 링크에 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겟 1차 셀과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구성하도록,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과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재구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전송 조건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타겟 1차 셀로의 핸드오버 조건은,
    상기 소스 1차 셀로부터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1차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상기 단말 기기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오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리포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1차 셀에서 상기 타겟 1차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 또는 후이며, 상기 충족 타이밍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타이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후에 상기 타겟 1차 셀로 송신되는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물리적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1차 셀에 의해 하향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0. 제18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이중 연결 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의 구성 방식은,
    소스 1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1 상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는 방식, 또는
    소스 2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3 상에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구성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1. 기지국으로서,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은 상기 단말 기기가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가 액세스할 타겟 1차 셀을 커버하고, 상기 타겟 1차 셀은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 조건을 충족하거나,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또는 전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행 중인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수행할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액세스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재구성 완료 메시지 후에 송신한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타겟 1차 2차 셀의 물리적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1차 2차 셀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는 액세스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기기에 하향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하향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5.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세스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6. 기지국으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세스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7. 저장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세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38. 저장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세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KR1020217040762A 2019-09-19 2019-09-19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KR20220062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06777 WO2021051357A1 (zh) 2019-09-19 2019-09-19 一种接入控制方法、终端设备、基站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453A true KR20220062453A (ko) 2022-05-17

Family

ID=7488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762A KR20220062453A (ko) 2019-09-19 2019-09-19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12567B2 (ko)
EP (2) EP4221345A1 (ko)
JP (1) JP2022548191A (ko)
KR (1) KR20220062453A (ko)
CN (2) CN113412680A (ko)
BR (1) BR112021026814A2 (ko)
MX (1) MX2022000763A (ko)
WO (1) WO2021051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2003425A (es) * 2019-09-26 2022-04-18 Fg innovation co ltd Metodo y aparato para el cambio condicional de la celda primaria del grupo secundario de celdas (pscell).
CN114222336A (zh) * 2019-09-29 2022-03-2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小区条件更新方法及用户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068898A4 (en) * 2019-11-26 2022-12-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ACCESSING A CELL,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A
US11985557B2 (en) * 2020-10-12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conditional primary secondary cell addition/change configuration
WO2022151417A1 (en) * 2021-01-15 2022-07-21 Apple Inc. HANDOVER WITH PSCell BASED ON TRIGGER MESSAGE
JP2024512656A (ja) * 2021-04-01 2024-03-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ュアルコネクティビティにおけるプライマリ基地局およびセカンダリ基地局へのハンドオーバ
CN115190549A (zh) * 2021-04-01 2022-10-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主辅小区配置方法、装置、ue、网络侧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2256982A1 (zh) * 2021-06-07 2022-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辅助主小区的条件变更方法和装置
CN117560653A (zh) * 2022-08-04 2024-02-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Ue能力控制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8042545A (zh) * 2022-11-04 2024-05-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条件配置的控制方法、控制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031A1 (ko) * 2012-01-29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포지셔닝을 기반으로하는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5141637A1 (ja) * 2014-03-19 2015-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3146759B1 (en) * 2014-05-19 2021-04-0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establishment procedure in dual connectivity networks
WO2016019493A1 (zh) * 2014-08-04 2016-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检测方法及相关装置
CN107852658B (zh) * 2015-07-31 2021-01-12 日本电气株式会社 基站设备及其方法
CN107690163A (zh) * 2016-08-03 2018-0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小区切换方法及装置
CN110546975B (zh) * 2017-03-17 2021-06-04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电接入网络通知区域更新失败
WO2018182231A1 (en) * 2017-04-01 2018-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cg recovery in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2206336B1 (ko) * 2017-06-16 2021-01-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마스터 기지국 착수형 2차 기지국 해제 및 2차 기지국 착수형 2차 기지국 변경 프로시저들 사이의 경쟁 조건 회피
US11700553B2 (en) * 2017-08-10 2023-07-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of apparatus for monitoring for a radio link failure associated with a secondary cell of a secondary base station
CN111194535B (zh) * 2017-10-09 2023-06-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主节点、辅助节点以及在其中执行的方法
CN110198550B (zh) * 2018-02-24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辅小区组维护方法、终端设备及网络节点
CN110198553B (zh) * 2018-02-24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辅小区组删除方法、终端设备及网络节点
CN110198545B (zh) * 2018-02-24 2021-1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辅小区组添加方法、终端设备及主节点
US11470517B2 (en) * 2018-06-12 2022-10-11 Nokia Technologies Oy Two-step addition of a primary-secondary cell, PSCell, in a multi-connected handover
WO2020076230A2 (en) * 2018-10-09 2020-04-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rat (radio access technology) re-establishment enhancements in multi-rat dual connectivity (mr-dc)
CN109619491A (zh) 2018-11-28 2019-04-16 北京工商大学 一种制作马铃薯全粉的新方法
CN109819491B (zh) * 2019-03-21 2021-07-06 创新维度科技(北京)有限公司 切换控制方法、基站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5833A1 (en) 2021-11-03
EP4221345A1 (en) 2023-08-02
US11412567B2 (en) 2022-08-09
US20210400760A1 (en) 2021-12-23
CN113412680A (zh) 2021-09-17
EP3905833A4 (en) 2022-01-12
EP3905833B1 (en) 2023-06-07
CN113766591A (zh) 2021-12-07
MX2022000763A (es) 2022-02-21
CN113766591B (zh) 2023-03-28
JP2022548191A (ja) 2022-11-17
WO2021051357A1 (zh) 2021-03-25
BR112021026814A2 (pt)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2453A (ko) 액세스 제어 방법, 단말 기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JP7236521B2 (ja) 測定レポートの方法および装置
US10827483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effectively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about small cell that has small cell service region
CN112020897A (zh) 无线通信网络中的用户设备、网络节点以及方法
WO2019237763A1 (zh) 一种rlf的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
US11523312B2 (en) Capability interac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20061931A1 (zh) 一种切换上报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20220053392A1 (en)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611925B2 (en) Switching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1196100A1 (zh) 一种小区切换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20279400A1 (en) Cell ac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518397A (zh) 一种测量方法和装置
TW202008842A (zh) 一種保證數傳輸可靠性的方法及裝置
CN112789889B (zh) 一种无线资源控制消息的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44575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422123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ue experience with a new type of radio bearer during inter-du inter-cell beam management
US20240015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48325A1 (en) Status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3201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iance check in communication system
CN113711638B (zh) 一种确定无线链路连接状态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1097627A1 (zh) 一种确定无线链路连接状态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27600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