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417A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417A
KR20220062417A KR1020227013505A KR20227013505A KR20220062417A KR 20220062417 A KR20220062417 A KR 20220062417A KR 1020227013505 A KR1020227013505 A KR 1020227013505A KR 20227013505 A KR20227013505 A KR 20227013505A KR 20220062417 A KR20220062417 A KR 20220062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terface
display
managing
smartwatches
scre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도아르도 프란치
장-마르끄 콜러
Original Assignee
띠쏘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띠쏘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띠쏘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6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4G99/006Electronic time-pieces using a microcomputer, e.g. for multi-function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중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이동하고 있는 부분들에 착용한 스마트워치들 (10) 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3) 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워치들 (1) 은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9
함께 형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3) 의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을 추정하는 단계 (10);
Figure pct00010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에 관련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들을 생성하는 서브단계 (18) 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시각적 메세지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단계 (15) 로서, 각각의 부분은 각각의 스마트워치 (1) 의 상기 스크린 (3)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의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단계 (15), 및
Figure pct00011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크린 (3) 에 상기 메시지의 부분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19).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동일한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착용한 스마트워치의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콘서트 또는 스포츠 이벤트의 형태인 쇼와 같은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의 과정 동안, 대중의 멤버들이 스마트폰,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이 특히 쇼의 순간들을 남기도록 휘두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쇼 동안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사용은 시각적 오염을 체계적으로 생성하는 주요한 단점을 가지며, 이는 그 후 그들의 적절한 경로를 방해한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종래 기술의 이 결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아야 하는 현실적인 필요성이 있음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이러한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의 시각적 쇼에 기여하기 위해 스마트워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중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이동하고 있는 부분에 착용한 스마트워치들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마트워치들은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함께 형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을 추정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02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에 관련된 측정 데이터의 함수로서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들을 생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시각적 메세지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부분은 각각의 스마트워치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의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03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크린 상에 상기 메시지의 부분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 추정 단계는, 각각의 스마트워치에 의해, 스크린들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다른 스마트워치들에 대한 상기 스마트워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특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에 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확립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 추정 단계는, 각각의 스마트워치에 의해, 상기 스마트워치의 스크린의 적어도 하나의 배향 특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에 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확립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 확립 서브단계는, 자신의 즉각적 환경에 위치된 다른 스마트워치들에 대한 각각의 워치의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확립 서브단계는, 각각의 워치의 스크린의 배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추정 단계는, 스마트워치들에 의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 디스플레이 관리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 디스플레이 관리 단계는, 모든 스마트 워치들 및 특히 이들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스크린들의 포지션에 관한 맵핑을 설계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 설계 서브단계는, 생성된 시각적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스크린들을, 이들을 다른 스크린들과 분리하는 배향 및 거리의 함수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스마트워치들의 스크린들은 각각 관리 서버에 의해 송신된 시각적 메시지의 일부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특별하게 전용되고 구성된다;
- 스마트워치들의 스크린들은 관리 서버에 의해 송신된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유일한 기능을 갖는다;
- 스마트워치들의 스크린들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유일한 기능 및/또는 목적을 갖는다;
- 상기 스마트워치는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이동하고 있다;
- 스마트워치들은 각각 시간 정보와 관련된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전용된 메인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련되며, 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이 스마트워치의 프로세싱 유닛들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관리 서버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방법의 이러한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들을 포함한다.
예로써 제공되며 결코 제한적이지 않은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아래에서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동일한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착용한 스마트워치의 복수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도면이다.
도 1 은 동일한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착용한 스마트워치 (1) 의 복수의 화면 (3) 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워치들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들에 착용된다. 이러한 부분들은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이동하고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들 각각의 손목, 발목, 팔, 발, 목, 다리 또는 팔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위치/상황/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스마트워치 (1) 의 스크린 (3) 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스마트워치 (1) 를 각각 착용한 사용자들은 콘서트 홀 또는 경기장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스포츠 이벤트가 발생해야 하는 스타디움에서 그룹화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모든 스크린 (3) 에 의해 시각적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각각의 스크린 (3) 은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의 2 차 스크린 (3) 일 수 있다. 이 스크린 또는, 예를 들어, 이 2 차 스크린 (3) 은 상기 워치의 사용자를 위해 특별하게 또는 독점적으로 의도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정의되지 않는다. 이러한 정보는 여기서 워치 (1) 의 메인 스크린 (4) 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간 정보, 알람 정보, 지리적 위치 정보, 기상 정보, 건강 정보 (혈압, 심박수, 맥박산소측정, 심전도), 활동 정보, 스포츠 훈련 또는 "스포츠 코칭" 정보 등과 같이, 워치 (1) 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스크린 (3) 은 워치 (1) 상에, 예를 들어 그 스트랩 (5) 에 배열되고, 원격 기술 플랫폼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관리 서버 (2) 에 의해 제어/관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매트릭스 타입의 스크린 (3) 이고, 발광 전극들을 포함한다. 또한, 이것은 변형가능하고 신장가능하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이들 스크린 (3) 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구체적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전용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시 말해서, 스마트워치의 레퍼런스 스크린 (3) 각각은 관리 서버가 송신하는 시각적 메시지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유일한 기능을 갖는다. 추가로, 이들 스크린 (3) 각각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유일한 기능 및/또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시각적 메시지는 워치 (1) 에 의해 수행된 기능들과는 상이한데, 이는 특히 그들의 브로드캐스팅이 사용자에 의해 워치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의 사전 구성으로부터, 또는 심지어 상기 워치 (1) 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시각적 메시지들은 알람과 같은 워치 (1) 의 기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워치 (1) 의 착용자를 위해 독점적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각각의 시각적 메시지는 상기 워치 (1) 가 위치되는 환경/위치/장소 내에 포함되는/조직되는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 (예를 들어, 스포츠 이벤트, 문화 이벤트, 쇼, 콘서트 등) 에 관련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 시각적 메시지는 스마트워치 (1) 에 근접한 환경/위치/장소에 배열된 스마트워치들 (1) 의 복수의 스크린들에 의해 형성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대해 의도된다. 더욱이, 이 시각적 메시지는 예를 들어,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들에 시각적 기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 시각적 메시지의 콘텐츠는 스마트워치 (1) 및 따라서 스마트워치 (1) 의 사용자가 위치되는 환경에 포함된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콘텐츠는 이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과 동기화되거나 조화될 수 있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그러한 시각적 메시지는 애니메이팅된 또는 정적 그래픽 표현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및 비-포괄적인 방식으로, 이 메시지는 조명 패턴 또는 심지어는 감정을 상징하는 이모티콘-타입 도형에 대한 객체들, 이미지 교환 포맷 ("Graphics Interchange Format" 에 대한 약어 GIF 로 더 잘 알려짐), 단어/용어 또는 단어/용어의 그룹 또는 심지어 비디오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각각의 스마트워치 (1) 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6) 에 의해, 이들이 함께 형성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3) 의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을 추정하는 단계 (10) 를 포함한다.
이 단계 (10) 는 각각의 스마트워치 (1) 에 의해 수행되는, 브로드캐스팅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확립하는 서브단계 (11) 를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팅 특성은 비-제한적이고 비-포괄적인 방식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다른 스마트워치 (1) 에 대한 상기 스마트워치 (1) 의 위치 특성, 그 스크린 (3) 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이들 스마트워치들의 2 차 스크린을 형성함, 및/또는
- 상기 스마트워치 (1) 의 스크린 (3) 의 배향 특성, 예를 들어 이들 스마트워치들의 2 차 스크린의 배향.
이러한 피처들은 스크린들 (3) 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브로드캐스팅 특성들을 최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스크린 (3) 의 브로드캐스팅 특성들을 식별/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스크린 (3) 이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는 것, 다시 말해서 그의 포지션 및/또는 그의 배향에 의존하여 시각적 메시지의 일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거나 브로드캐스팅할 수 없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서브단계 (11) 는 각 워치 (1) 의 포지션 캡처 모듈 (7) 에 연결된 프로세싱 유닛 (6) 에 의해 구현되는 평가 단계 (12) 를 제공한다. 이 단계 (12) 동안, 측정 동작들은 그것의 즉각적인 환경에 위치된 다른 스마트워치들 (1) 에 대한 각각의 워치 (1) 의 포지션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스마트워치 (1) 의 이러한 포지션 캡처 모듈 (7) 은 그 즉각적 환경에 배열된 다른 스마트워치 (1), 다시 말해서 근접하거나 근처에 있는 다른 스마트워치 (1) 를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워치 (1) 의 이 모듈 (7) 은 이를 다른 워치들 (1) 과 분리하는 거리를 결정하고 자신의 포지션과 관련하여/자신의 포지션에 대해 근접하는 다른 워치들 (1) 의 각각을 포지셔닝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모듈 (1) 은 다음을 사용할 수 있다:
- 또한 약어 "BLE" 로 알려진 BluetoothTM Low Energy 기술, 특히 무선 방위계로 불리는 이 기술의 기능, 및/또는
- 약어 "UWB" 로 알려진 초광대역 기술.
확립 서브단계 (11) 는 또한 각각의 워치 (1) 의 스크린 (3) 의 배향을 추정하는 단계 (13) 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 (13) 는, 특히, 각 워치 (1) 의 이 스크린 (3) 의 브로드캐스팅 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단계 (13) 는 프로세싱 유닛 (6) 및 이 유닛 (6) 에 연결된 스크린 (3) 의 배향을 측정하기 위한 모듈 (8) 에 의해 구현된다. 이 측정 모듈 (8) 은 가속도계들 및/또는 자이로스코프들을 결합하는 수개의 축들에 따라 각속도 및 선형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MEMS 기술로 제조된 다축 (multi-axis) 센서들과 같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또는 소형 다축 자이로미터 타입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법은 스마트워치들에 의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관리 서버 (2) 로 송신하는 단계 (14) 를 포함한다. 이 단계 (14) 동안, 각각의 스마트워치 (1) 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프로세싱 유닛 (6) 은 이들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2) 에 전송하며, 이러한 측정 데이터는 위치 및 배향 특성들을 포함한다. 서버 (2) 에 의해 수신된 이들 데이터는 이 서버 (2) 의 메모리 엘리먼트 (9) 에 보관된다.
그 후에,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에 관련된 측정 데이터의 함수로서 상기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들을 생성하는 서브단계 (18) 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시각적 메세지의 디스플레이 (15) 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부분은 각각의 스마트워치 (1) 의 스크린 (3)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의도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단계 (15) 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브단계 (16) 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단계 (16) 는 시각적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시각적 메시지 데이터는 이 메시지의 생성에 참여한다. 이러한 시각적 메시지 데이터는 다음과 관련된 정보와 관련된 컨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 시각적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의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이벤트의 테마/주제, 및/또는
- 이 활동/이벤트와 브로드캐스팅될 시각적 메시지 간의 동기화 또는 조화 기준.
즉, 이러한 시각적 메시지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이러한 시각 및/또는 사운드 활동과 동기화되거나 조화됨으로써 브로드캐스트될 활동/이벤트의 테마와 관련하여 생성된다. 시각적 메시지 데이터는 또한 관리 서버 (2) 의 프로세싱 유닛 (20) 에 의해, 예를 들어, 서버 (2) 의 입력 인터페이스 (21) 로부터 설계되고, 프로세싱 유닛 (20) 에 연결되는 시각 메시지 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여기서 메시지를 입력하거나 또는 서버 (2) 의 메모리 엘리먼트 (9) 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관리 단계 (15) 는 모든 스마트 워치들 (1), 특히 이들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스크린 (3), 예를 들어 2 차 스크린 (3) 의 배열에 관한 맵핑을 설계하는 서브단계 (17) 를 포함한다. 서버 (2) 의 프로세싱 유닛 (20) 에 의해 구현되는 이 서브단계 (17) 는 생성된 시각적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트에 가장 적합한 스크린 (3), 예를 들어 2 차 스크린 (3) 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는 그들의 배향, 그들을 다른 스크린 (3) 으로부터 분리하는 거리 및 이들 다른 스크린 (3) 에 대한 그들의 배열과 관련하여 그러하다. 이러한 선택 단계는 측정 데이터 및 가상 메시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가상 메시지 데이터는 특히, 브로드캐스팅되도록 생성된 시각적 메시지의 본질 또는 타입을 정의하는데 참여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선택은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리고 또한 브로드캐스팅될 시각적 메시지의 본질 또는 타입의 함수로서 수행된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유닛 (20) 은 그 후, 시각적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가상 표현을 구성한다. 또한, 시각적 메시지는 개인이 읽고 인식해야 하는 정보 (예를 들어, 객체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를 전달하기 때문에, 스크린 (3) 과 그 배향 사이의 거리는, 이러한 읽기를 허용하기 위해, 조명 효과를 생성하려는 시각적 메시지보다 더 제한적으로 평가되는 파라미터들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이 서브단계 (17) 의 수행에 이어서, 생성 서브단계 (18) 는 그 과정 동안, 서버 (2) 의 프로세싱 유닛 (20) 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스크린 (3) 의 배열에 관한 맵핑으로부터, 상기 시각적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 스크린 (3) 을 식별하는 것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이 프로세싱 유닛 (20) 은 시각적 인터페이스 상에서 시각적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팅을 보장하기 위해 스크린들 (3) 이 있는 만큼 많은 부분들로 시각적 메시지를 분리/분할하는 동작들을 수행한다. 이들 부분들은 서버 (2) 및 스마트워치 (1) 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대응하는 스마트워치들 (1) 로 송신된다.
그 부분들은, 예를 들어, 시각적 메시지가 동위상 및 조정된 광 효과에 관련되는 경우에, 유사한 콘텐츠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그 후에, 상기 방법은, 특히 이 인터페이스 상의 그들의 배열의 함수로서, 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스마트워치 (1) 의 각각의 스크린 (3) 상에 상기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19) 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단계들 10 내지 19 은 시각적 메시지의 최적 브로드캐스팅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이 반복되고, 이는, 특히 손목과 같은 이들 사용자들의, 이동하고 있거나 또는 이동가능한 신체의 부분에 착용된 이들 스마트워치 (1) 의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많은 이동들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련되며, 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이 스마트워치 (1) 의 프로세싱 유닛들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관리 서버 (2) 에 의해 실행될 때, 그 방법의 단계들 (10 내지 19)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들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사용자의 신체 중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이동하고 있는 부분들에 착용한 스마트워치들 (1) 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3) 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워치들 (1) 은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방법은,
    Figure pct00004
    함께 형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3) 의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을 추정하는 단계 (10);
    Figure pct00005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에 관련된 측정 데이터의 함수로서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들을 생성하는 서브단계 (18) 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시각적 메세지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단계 (15) 로서, 각각의 부분은 각각의 스마트워치 (1) 의 스크린 (3)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의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단계 (15), 및
    Figure pct00006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크린 (3) 상에 상기 메시지의 부분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19)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 (10) 는 각각의 스마트워치 (1)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에 관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확립하는 서브단계 (11)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팅 특성은,
    Figure pct00007
    그 스크린들 (3) 이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다른 스마트워치들 (1) 에 대한 상기 스마트워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특성, 및/또는
    Figure pct00008
    상기 스마트워치의 상기 스크린 (3) 의 적어도 하나의 배향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 서브단계 (11) 는, 그 즉각적 환경에 위치된 다른 스마트워치들 (1) 에 대한 각 워치 (1) 의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 (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 서브단계 (11) 는 각 워치의 상기 스크린 (3) 의 배향을 추정하는 단계 (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는 상기 스마트워치들 (1) 에 의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서브단계 (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 단계 (15) 는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상기 시각적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브단계 (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 단계 (15) 는, 모든 상기 스마트워치들 (1) 및 이들을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특히 스크린들 (3) 의 포지션에 관한 맵핑을 설계하는 서브단계 (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서브단계 (17) 는 생성된 상기 시각적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스크린들 (3) 을, 이들을 다른 스크린들 (3) 과 분리하는 배향 및 거리의 함수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들 (1) 의 상기 스크린들 (3) 은 각각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송신된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특별하게 전용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들 (1) 의 상기 스크린들 (3) 은 각각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시각적 메시지의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유일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들 (1) 의 상기 스크린들 (3) 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유일한 기능 및/또는 목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들 (1) 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이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3) 은 이들 스마트워치들의 2 차 스크린들이고, 이들 스크린들 (3) 각각은 대응하는 워치 스트랩에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들은 각각 그 사용자에 대해 특별하게 또는 독점적으로 의도된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전용된 메인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스마트워치 (1) 의 프로세싱 유닛들 (6, 20)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관리 서버 (2) 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 (10 내지 19)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13505A 2019-11-08 2020-10-3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220062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8052.1 2019-11-08
EP19208052 2019-11-08
PCT/EP2020/080565 WO2021089437A1 (fr) 2019-11-08 2020-10-30 Procede de gestion d'une interface d'affich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417A true KR20220062417A (ko) 2022-05-16

Family

ID=6850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505A KR20220062417A (ko) 2019-11-08 2020-10-3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90905A1 (ko)
EP (1) EP4055449A1 (ko)
JP (1) JP7487294B2 (ko)
KR (1) KR20220062417A (ko)
CN (1) CN114730159A (ko)
WO (1) WO2021089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1662B1 (en) * 2021-12-13 2024-02-27 Wunup LLC Method to use sensors for games of skil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5785B2 (en) 2001-07-17 2005-11-15 Wildseed Ltd. Cooperative wireless luminescent imagery
JP2005250442A (ja) * 2004-01-30 2005-09-15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870802A1 (en) * 2006-06-22 2007-12-26 Barco NV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user equipment part of a display device
US9077843B2 (en) * 2012-04-06 2015-07-07 Realtek Semiconductor Corp. Video playback syste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jointly displaying video with multiple screens
US9318043B2 (en) * 2012-07-09 2016-04-19 Mobb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portable display devices
GB2509157A (en) 2012-12-21 2014-06-25 Crowd Connected Ltd Forming an image using plural pixel devices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US20140313103A1 (en) * 2013-04-19 2014-10-23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ng a display function between a plurality of proximate client devices
US9727298B2 (en) * 2013-05-28 2017-08-08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data based on an arrangement of elements in an image
US20150012308A1 (en) 2013-07-05 2015-01-08 Harry Snyder Ad hoc groups of mobile devices to present visual and/or audio effects in venues
US20150084837A1 (en) * 2013-09-19 2015-03-26 Broadcom Corporation Coordination of multiple mobile device displays
KR20160061053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CN107533449B (zh) 2015-05-08 2022-04-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移动定位信息来控制体育场布置中的超宽视频显示器
US9584648B2 (en) * 2015-06-09 2017-02-28 Brillio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coming notifications
WO2017204301A1 (ja) * 2016-05-27 2017-11-3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1347465B2 (en) * 2016-07-21 2022-05-31 Disney Enterprises, Inc. Display device array
CN106782293A (zh) 2016-12-18 2017-05-31 吴凡 基于客户端的显示方法及系统
KR20180095409A (ko) * 2017-02-17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CN110351426B (zh) * 2019-05-31 2021-01-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智能手表信息输入方法、智能手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51443A (ja) 2022-12-09
EP4055449A1 (fr) 2022-09-14
CN114730159A (zh) 2022-07-08
JP7487294B2 (ja) 2024-05-20
WO2021089437A1 (fr) 2021-05-14
US20220390905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285B2 (en) Redundant tracking system
US10933311B2 (en) Generating collectible item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11887258B2 (en) Dynamic integ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with a physical environment
US111734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nnected augmented environment
US20160109953A1 (en) Holographic Wristband
CN105637854B (zh) 可重聚焦图像
KR20180028939A (ko) 감정 상태 검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9882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169920B2 (en) Virtual guard rails
KR20150092226A (ko) 헤드 탑재형 디스플레이 자원 관리
Ranck The wearable computing market: a global analysis
US20230412897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live distributing video containing animation of character object generated based on motion of actors
JP2022531372A (ja) 対戦外環境での対戦中の行動のプレビュー方法、装置、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62417A (ko)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JP201501993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端末、サーバー、プログラム、並びに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
JP7317786B2 (ja) ビジュアル・アニメーション・スクリーンを備えるスマート・ウォッチ
CN107920757B (zh) 电子装置及其显示方法
CN111921191A (zh) 状态图标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6451110B2 (ja) 撮影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312488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nnected augmented environment
CN109240566A (zh) 显示设定方法、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及系统
JP2018190397A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Martin Sensors and computing systems in smart clothing
Kim et al. Glanceable and Informative WearOS User Interface for Kids and Parents
KR20240049836A (ko) 전자 안경류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캔 기반 메시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