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846A -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846A
KR20220061846A KR1020210135232A KR20210135232A KR20220061846A KR 20220061846 A KR20220061846 A KR 20220061846A KR 1020210135232 A KR1020210135232 A KR 1020210135232A KR 20210135232 A KR20210135232 A KR 20210135232A KR 20220061846 A KR20220061846 A KR 2022006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eception
information
terminal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로
유창완
이희수
홍승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511,14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17669B2/en
Publication of KR2022006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기술이 개시된다. 제1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탐색 신호를 제1 수신빔을 이용하여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여 제1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탐색 신호를 제2 수신빔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여 제2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제1 빔 쌍 정보, 제2 빔 쌍 정보와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송수신점들이 간섭의 증가 없이 단말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될 수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을 수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에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은 밀집한 단말 환경에서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송수신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송수신기들은 다수의 송수신점(transmit receive point, TRP)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은 각 TRP들의 타이밍 오차가 발생하고 동일한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다수의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옵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무선 채널상의 오버헤드 증가, 보정을 위한 복잡도 증가 및 주파수 추정 오차에 의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TRP들은 컨트롤러로 TRP들과 단말들 사이의 채널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컨트롤러는 결정된 빔 가중치들을 TRP들로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TRP들과 컨트롤러 간의 통신을 위한 많은 유선 또는 무선 자원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송수신점들이 간섭의 증가 없이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송신빔을 이용하여 제1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탐색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2 송신빔을 이용하여 제2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탐색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한 제1 수신빔의 제1 수신빔 식별자와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1 송신빔의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한 제2 수신빔의 제2 수신빔 식별자와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2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송신빔의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빔 쌍 정보, 상기 제2 빔 쌍 정보,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identifier)와 제1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2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1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2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수신빔을 이용하여 인접한 다른 송수신점으로부터 제3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탐색 신호의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송신빔 식별자와 제3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3 빔 쌍 정보와 상기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제3 빔 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는 심볼들의 전송 방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수신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제4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의 제4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4 송신빔 식별자와 제4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4 빔 쌍 정보와 상기 제4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4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제4 빔 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3 전송용 빔 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은, 다수의 송수신점(transmit receive point, TRP), 다수의 단말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탐색 신호를 제1 수신빔을 이용하여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탐색 신호의 제1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탐색 신호를 제2 수신빔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탐색 신호의 제2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와 제1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와 제2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2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1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2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1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2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들을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장치는,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제1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탐색 신호를 제1 수신빔을 이용하여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탐색 신호의 제1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제2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탐색 신호를 제2 수신빔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탐색 신호의 제2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와 제1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와 제2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2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1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2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1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2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제3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들을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하면, 컨트롤러가 다수의 TRP들 간의 간섭과 다수의 TRP들과 단말 간의 신호 세기 등을 고려하여 다수의 TRP들이 사용할 송신빔들을 결정함에 따라 다수의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TRP들이 간섭의 증가 없이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여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TRP는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미리 정해져 있는 빔을 사용하여 주위의 인접 TRP들이 송신하는 빔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TRP는 인접 TRP들이 송신하는 빔들 중에서 간섭을 크게 미치는 빔들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빔들의 정보를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동적 TDD 동작에서 TRP들 간의 간섭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TRP는 단말이 송신하는 송신빔의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한 송신빔의 세기를 이용하여 단말과 단말 간의 간섭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TRP는 TRP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심볼의 전송 방향을 결정할 수 있어, 최상의 통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UDN(ultra-dense network) 환경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RAN 구조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슬롯 포멧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동적 TDD(dynamic time division duplex)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송수신 모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C-RAN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와 같은 무선 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3.5th generation)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망 또는 LTE-Advanced와 같은 4G(4th generation) 이동통신망, 및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은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 기지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 B(node B), 고도화 노드 B(evolved 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BS(Mobile Multi-hop Relay - Base Station)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례로 3GPP LTE/LTE-A 시스템뿐만 아니라, 3GPP NR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3GPP 통신 시스템(LTE, NR 등)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기술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 다양한 접속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UDN(ultra-dense network) 환경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DN 환경에서 다수의 TRP(transmit receive point)들은 단말들 주위에 밀집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밀집된 단말 환경에서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TRP들을 높은 밀도로 위치시킬 수 있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각 TRP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TRP들은 수 m~수십 m의 매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TRP들은 gNB, RRH(radio remote head) 또는 일부 L1(layer 1) 기능을 포함한 RRH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TRP들이 밀집된 환경에서 용량 증대를 위하여 다수의 TRP들은 협력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최근의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대역의 효율적 사용과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에 비하여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주요하게 고려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UDN 환경에서 TRP와 단말의 수신 신호 세기는 TRP와 단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UDN 환경에서 간섭의 세기는 TRP와 단말의 수신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DN 환경에서 시스템 용량은 TRP들의 수가 증가하여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UDN 환경에서 협력 전송은 모든 TRP들의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최대로 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UDN 환경에서 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구조는 효율적인 협력 전송을 위하여 TRP와 각 TRP들의 빔 가중치들(weights)을 결정하는 컨트롤러가 존재하여 주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RAN 구조에서 다수의 단말들은 TRP들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다수의 TRP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하나의 컨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C-RAN 구조는 각 TRP들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필요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클라우드에 위치할 수도 있고, TRP들과 클라우드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TRP들 중에 하나가 컨트롤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C-RAN 구조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RAN 구조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300)인 TRP, 단말 및 컨트롤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3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저장 장치(3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3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370)가 아니라, 프로세서(3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송수신 장치(3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슬롯 포멧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슬롯 포멧은 LTE와 달리 한 슬롯내에서 "하향 링크(DL) 전송과 상향 링크(UL) 전송을 스위칭하는 위치"(이하 "DL/UL 스위칭 위치"라고 함)를 심볼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통신 시스템이 DL/UL 스위칭 위치를 기지국별로 변경하는 동적 TDD(dynamic time division duplex)를 사용한다면 기지국과 기지국간에, 단말과 단말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5는 동적 TDD(dynamic time division duplex)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적 TDD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은 DL/UL 스위칭 위치를 기지국(510a, 510b)별로 변경할 수 있다. 즉, 기지국 A(510a)는 심볼 5 내지 9에서 단말 A(520a)로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A(520a)는 기지국 A(510a)로부터 심볼 5 내지 9에서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B(520b)는 기지국 B(510b)로부터 심볼 5 내지 9에서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 B(510b)는 심볼 5 내지 9에서 단말 B(520b)로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 A(510a)가 단말 A(520a)로 전송하는 하향 링크 신호는 기지국 B(510b)에 간섭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B(520b)가 기지국 B(510b)로 전송하는 상향 링크 신호는 단말 A(520a)에 간섭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시스템이 DL/UL 스위칭 위치를 기지국(510a, 510b)별로 변경하는 동적 TDD를 사용한다면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기지국 A(510a), 기지국 B(510b), 단말 A(520a), 단말 B(520b))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다수의 TRP들이 밀집한 환경에서 간섭 정도는 더욱 심해져서 용량 저하가 커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지국들 사이에 동일한 DL/UL 스위칭 위치를 가지는 정적 TDD(static TDD)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시스템이 정적 TDD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향 링크 전력 제어, 셀 클러스터링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정적 TDD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여전히 DL/UL 스위칭 위치가 심볼 단위로 변경 가능하여 이동 통신에서 성능 개선이 제한적일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시스템이 정적 TDD를 사용하게 되면 TRP별로 DL과 UL의 송신 비율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이 정적 TDD를 사용하게 되면, DL과 UL의 송신 비율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가 필요한 단말들에서 자원 낭비가 커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이 정적 TDD를 사용하게 되면 지연(latency)에 민감한 단말들을 지원하는데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TRP들과 단말들이 밀집되는 UDN 환경에서 통신 시스템이 정적 TDD를 사용하게 되면 송신 자원의 비효율성이 점점 커지게 되어 동적 TDD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은 TDD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하향 링크의 데이터를 송신(일 예로, 빔포밍)하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TDD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의 안테나 수가 많아질수록 채널 정보 교환에 따른 무선 자원 사용에서 오버헤드가 점점 커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DD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상향 링크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이 TDD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의 무선 채널 정보를 하향 링크의 송신에 사용하기 위해서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의 채널 가역성이 보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송수신 모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송수신 모델에서 하향 링크 채널 정보는
Figure pat00001
일 수 있고, 상향 링크 채널 정보는
Figure pat00002
일 수 있다. 채널 가역성이 보장되는 TDD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Figure pat00003
일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송수신 모델에서
Figure pat00004
는 기지국의 송신 RF(radio frequency) 하드웨어 함수일 수 있고,
Figure pat00005
는 단말의 송신 RF 하드웨어 함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6
는 하향 링크의 무선 채널일 수 있고,
Figure pat00007
는 상향 링크의 무선 채널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일 수 있다. 송수신 RF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일 수 있고,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일 수 있어
Figure pat00018
일 수 있다.
따라서,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가 되기 위해서는 보정(calibration)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송수신 안테나가 물리적으로 기지국에 모여 있는 통신 시스템(일 예로 중앙화된 MIMO(centralized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은 동일한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사용하므로 채널 가역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은 각 TRP들의 타이밍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동일한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다수의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옵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무선 채널상의 오버헤드 증가, 보정을 위한 복잡도 증가 및 주파수 추정 오차 등에 의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은 컨트롤러로 전달해야 하는 많은 수의 TRP들과 단말들 사이의 채널 정보와 컨트롤러에서 결정된 빔 가중치들을 TRP들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TRP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은 TRP들과 컨트롤러 사이에 대용량의 유선 또는 무선 자원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고용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다중 송수신점을 이용한 전송 방법에서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다수의 송수신점들이 간섭의 증가 없이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여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각 TRP가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미리 정해져 있는 빔을 사용하여 주위의 인접 TRP들이 송신하는 빔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각 TRP가 인접 TRP들이 송신하는 빔에서 간섭을 크게 미치는 송신빔들을 식별하여 이를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동적 TDD 동작에서 TRP들 간의 간섭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TRP가 단말이 송신하는 송신빔의 세기를 측정하여, 이를 이용하여 단말과 단말 간의 간섭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링크를 선택하는 절차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C-RAN 구조에서 다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TRP들의 각각은 미리 정의한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단말들의 각각은 다수의 TRP들로부터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신호들을 수신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빔은 송신빔과 동일한 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신빔은 수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송신빔 인덱스와 수신빔의 수신빔 인덱스가 동일할 수 있다. 다수의 TRP들의 각각은 단말이 선택한 수신빔과 동일한 패턴의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각 TRP의 송신빔과 각 단말의 수신빔 사이의 연결을 링크(link)라고 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다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TRP들의 각각은 미리 정의한 하나 이상의 송신빔들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들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단말들로 송신할 수 있다(S701).
여기서, TRP들은 6개로 가정할 수 있고, 단말들도 6개로 가정할 수 있다. TRP는 TRP ID와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탐색 신호에 포함된 TRP ID는 해당 탐색 신호를 전송한 TRP의 식별자일 수 있고, 탐색 신호에 포함된 송신빔 인덱스는 해당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 송신빔의 식별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들은 각각의 탐색 신호에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TRP들의 각각은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각각의 제어 채널(일 예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 채널에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TRP는 송신빔에 연관된 TRP ID와 TRP에 연관된 송신빔 인덱스를 구별할 수 있는 시퀀스를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해당하는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구별할 수 있는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시퀀스를 이용하여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하나 이상의 수신빔들을 이용하여 TRP들로부터 탐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된 탐색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한 탐색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한 송신빔들에 대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들의 각각은 측정한 탐색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이용하여 단말의 수신빔들과 연관된 송신빔들의 빔 쌍(pair)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탐색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들의 각각은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TRP들로 전송할 수 있다(S702).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SINR은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탐색 신호의 SINR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여기서, SINR은 신호 세기의 한 예로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등 다양한 측정값으로 대신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한 SINR들에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SINR들만 피드백 정보에 포함하여 TRP들로 전송하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단말은 피드백 정보에 단말 ID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단말은 TRP나 컨트롤러가 단말을 위하여 상향 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 TRP가 송신하는 단말을 알고 있으므로 단말 ID를 피드백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아래 표 1은 단말이 TRP들에게 전송하는 피드백 정보의 일 예를 보여줄 수 있다. 표 1은 8개의 수신빔들을 가진 하나의 단말과 그 주위에 TRP ID들이 TRP w, TRP w+1, TRP w+2, TRP w+3, TRP w+4, TRP w+5인 6개의 TRP가 존재하는 경우에 단말의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TRP w은 16개의 송신빔을 가질 수 있고, TRP w+1도 16개의 송신빔을 가질 수 있으며, TRP w+2는 8개의 송신빔을 가질 수 있고, TRP w+3는 16개의 송신빔을 가질 수 있으며, TRP w+4는 4개의 송신빔을 가질 수 있고, TRP w+5는 8개의 송신빔을 가질 수 있다.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들, TRP들의 TRP ID들, TRP들이 송신하는 TRP의 송신빔 인덱스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결정한 것으로 연속되지 않는 다른 ID 또는 인덱스가 사용될 수 있고, SINR은 dB 단위일 수 있다.
표 1에서 단말은 측정한 SINR들에서 2db 이상을 가지는 SINR들에 대해서 피드백 정보에 포함하여 TRP들로 전송하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표 1에서 진하게 밑줄로 표시된 피드백 정보가 2db이상의 SINR을 가지는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피드백 정보는 빔 쌍 정보와 빔 쌍 정보의 해당하는 송신빔들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에 대한 SINR일 수 있다. 또한, 수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는 ((w+3, 10), 1)의 빔 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3은 TRP ID일 수 있고, 10은 TRP w+3의 송신빔 인덱스일 수 있으며, 1은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빔 쌍 정보가 ((w+3, 10), 1)인 경우, 송신빔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인 송신빔의 SINR은 8.2db일 수 있다.
단말
수신

인덱스
TRP w TRP w+1 TRP w+2 TRP w+3 TRP w+4 TRP w+5
송신

인덱스
SI
NR
송신

인덱스
SI
NR
송신

인덱스
SI
NR
송신

인덱스
SI
NR
송신

인덱스
SI
NR
송신

인덱스
SI
NR
0 - - - - - - - - - - - -

1
- - - - - - 10 8.2 1 0.2 - -
- - - - - - 11 20.6 - - - -
- - - - - - 12 18.1 - - - -
2 - - - - - - - - 1 16.8 - -

3
- - - - - - - - - - 1 4.8
- - - - - - - - - - 2 24.7
- - - - - - - - - 3 3.6

4
6 6.3 - - - - - - - - 2 4.2
7 7.9 - - - - - - - - 3 1.8
8 4.2 - - - - - - - - - -
5 8 1.2 6 1.3 - - - - - - - -

6
- - 7 2.8 2 3.8 - - - - - -
8 6.4 - - - - - - - -
9 1.3 - - - - - - - -

7
- - - - 2 4.9 - - - - - -
- - - - 3 17.3 - - - - - -
- - - - 4 3.6 - - - - - -
한편, TRP들은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들은 수신한 피드백 신호들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TRP들은 획득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수신한 수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링크 정보는 해당하는 TRP의 각각의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수신한 수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 링크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 식별 정보는 수신빔을 이용한 단말의 단말 ID와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일 수 있다.
표 2는 수신 링크 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링크 정보는 ((w, 0), (y+2, 2))의 빔 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는 해당 TRP의 TRP ID일 수 있고, 0은 TRP의 송신빔 인덱스일 수 있으며, y+2는 단말의 ID일 수 있고, 2는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 링크 정보의 빔 쌍 정보가 ((w,0), (y+2, 2))인 경우, 송신빔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인 SINR은 21.5db일 수 있다. TRP내 임의의 송신빔에는 1개의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다수의 수신빔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RP내 임의의 송신빔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다수의 수신빔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2에서 진하게 밑줄로 표시된 값들은 단말 y로부터 피드백 된 값들일 수 있다.
TRP ID TRP의 송신빔 인덱스 단말 ID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 SINR(단위:db)
w 0 y+2 2 21.5
y+4 4 32.2
5 11.3
1 y+2 3 1.8
y+5 2 8.4
2 y+2 7 6.7
3 y+3 1 18.8
2 22.4
y+2 1 2.8
4 - - -
5 y+1 0 4.9
6 y 4 6.3
y+3 2 17.2
7 y 4 7.9
y+1 3 18.8
8 y 4 4.2
5 1.2
y+4 3 21.1
15 y+3 2 21.1
w+2
3 y 7 17.3
y+2 3 3.8
w+3
11 y 1 20.6
12 y 1 18.1
w+4
1 y 2 16.8
y+4 3 4.2
2 1.8
w+5
2 y 3 24.7
4 4.2
3 4.1
한편, TRP들은 생성한 수신 링크 정보를 포함한 보고 신호들을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S703). 그러면, 컨트롤러는 TRP들로부터 수신 링크 정보를 포함한 보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수신한 보고 신호들로부터 수신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는 획득한 수신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TRP들이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송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링크 정보는 해당하는 TRP의 각각의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신빔들에 대한 전송용 빔 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 링크 정보의 전송용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 식별 정보는 수신빔을 이용할 단말의 단말 ID와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표 3은 전송 링크 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링크 정보는 ((w, 0), (y+2, 2))의 전송용 빔 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는 해당 TRP의 TRP ID 일 수 있고, 0은 TRP의 송신빔 인덱스일 수 있으며, y+2는 단말의 ID일 수 있고, 2는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각각의 TRP가 모든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TRP는 다수의 단말들과 다수의 단말들의 수신빔들에 대한 링크들을 형성할 수 있다. 표 3에서 진하게 밑줄로 표시된 값들은 단말 y를 위하여 선택된 TRP ID들과 TRP의 송신빔 인덱스들일 수 있다.
TRP ID TRP의 송신빔 인덱스 단말 ID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
w 0 y+2 2
y+4 4
1 y+5 2
2 - -
3 y+3 1
2
6 y+3 2
7 y+1 3
8 y+4 5
15 y+3 2
w+2
3 y 7
w+3
11 y 1
12 1
w+4
1 y 2
w+5
2 y 3
한편, 컨트롤러는 전송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들을 TRP들로 전송할 수 있다(S704). 그러면, TRP들은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들은 수신한 제어 신호들에서 전송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표 4는 TRP의 TRP ID가 w+2인 경우의 전송 링크 정보의 상세한 일 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ID가 w+2인 경우의 전송 링크 정보는 (0, (y+3, 2))의 전송용 빔 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0은 TRP w+2내의 송신빔의 인덱스일 수 있으며, y+3은 단말의 ID일 수 있고, 2는 단말내 수신빔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표 4를 참조하면, TRP w+2가 송신빔 1 내지 7을 사용하여 데이터들을 단말 y 내지 y+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RP들은 단말들로 데이터들을 전송할 때에 획득한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전송 링크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TRP들은 단말들로 데이터들을 전송할 때에 전송할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TRP들은 생성한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단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S705).
이때, TRP들은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송신빔들의 개수가 2 개 이상일 경우에는 송신빔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거나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통하여 에러 오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표 4에서 진하게 밑줄이 있는 값은 단말 y를 위하여 선택한 TRP의 송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TRP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데이터 전송 신호들에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모든 수신빔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전력소모 및 하드웨어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향 링크로 피드백한 SINR 값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단말은 TRP들이 송신이 예상되는 송신빔들과 대응되는 수신빔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여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TRP의 송신빔 인덱스 단말 ID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
0 y+3 2
1 y+2 3
y+5 0
2 y+1 4
3 y 7
4 y+1 6
3
y+4 1
5 y+2 4
6 y+3 5
y+4 2
7 y+5 4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TRP들중에서 단말 y의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TRP들은 w+2 내지 w+5일 수 있다. 그리고,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TRP들에서 TRP w+2는 송신빔 #3을 사용하여 단말 y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y는 수신빔 #7을 사용하여 TRP w+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TRP들에서 TRP w+3는 송신빔 #11 및 #12를 사용하여 단말 y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y는 수신빔 #1을 사용하여 TRP w+3에서 송신빔 #11과 #12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TRP들에서 TRP w+4는 송신빔 #1을 사용하여 단말 y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y는 수신빔 #2를 사용하여 TRP w+4에서 송신빔 #1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TRP들에서 TRP w+5는 송신빔 #2를 사용하여 단말 y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y는 수신빔 #3을 사용하여 TRP w+5에서 송신빔 #2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1은 편의상 1 개의 단말과 인접하는 일부 TRP들과 컨트롤러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으로 더 많은 TRP들과 단말들의 포함하는 UDN 환경으로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도 9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다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TRP들의 각각은 미리 정의한 하나 이상의 송신빔들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들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단말들과 인접 TRP들로 송신할 수 있다(S901). 여기서, 일 예로 TRP들은 2개로 가정할 수 있고, 단말들은 6개로 가정할 수 있다.
TRP는 TRP ID와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탐색 신호에 포함된 TRP ID는 해당 탐색 신호를 전송한 TRP의 식별자일 수 있고, 탐색 신호에 포함된 송신빔 인덱스는 해당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 송신빔의 식별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들과 인접 TRP는 각각의 탐색 신호에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TRP와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TRP들의 각각은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각각의 제어 채널(일 예로 PDCCH)을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과 인접 TRP는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 채널에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TRP는 송신빔에 연관된 TRP ID와 TRP에 연관된 송신빔 인덱스를 구별할 수 있는 시퀀스를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과 인접 TRP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과 인접 TRP는 해당하는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구별할 수 있는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시퀀스를 이용하여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단말과 인접 TRP는 하나 이상의 수신빔들을 이용하여 TRP들로부터 탐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과 인접 TRP는 수신된 탐색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과 인접 TRP는 수신한 탐색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한 송신빔들에 대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인접 TRP는 측정한 탐색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이용하여 인접 TRP의 수신빔들과 연관된 송신빔들의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신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탐색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인접 TRP는 제1 수신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1차 보고 신호들을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S902). 그러면, 컨트롤러는 제1 수신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1차 보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1차 보고 신호들에서 제1 수신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접 TRP가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제1 수신 링크 정보는 해당하는 인접 TRP의 각각의 수신빔을 이용하여 수신한 송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수신 링크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송신 TRP의 TRP ID와 송신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 식별 정보는 수신빔을 이용한 인접 TRP, 즉 수신 TRP의 수신 TRP ID와 수신 TRP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을 포함할 수 있다.
표 5는 제1 수신 링크 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 링크 정보는 ((0,2), (1, 4))의 빔 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0은 해당 송신 TRP의 송신빔 인덱스일 수 있고, 2는 송신 TRP의 송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그리고, 1은 수신 TRP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고, 4는 수신 TRP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수신 링크 정보의 빔 쌍 정보가 ((0,2), (1, 4))인 경우, 송신빔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인 SINR은 1.8db일 수 있다. 송신 TRP내 임의의 송신빔에는 1개의 수신 TRP로부터 피드백되는 다수의 수신빔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 TRP내 임의의 송신빔에는 다른 인접 TRP로부터 피드백되는 다수의 수신빔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TRP ID(w) 송신 TRP의 송신빔 인덱스(x) 수신 TRP ID(w+1) 수신 TRP의
수신빔 인덱스(x)
SINR(db)
w 0 w+1 4 4.3
5 2.1
1 w+1 3 8.8
4 21.4
5 6.2
2 w+1 3 5.1
4 1.8
한편, 단말은 측정한 탐색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이용하여 단말의 수신빔들과 연관된 송신빔들의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탐색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들을 TRP들로 전송할 수 있다(S903).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SINR은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탐색 신호의 SINR일 수 있다. 또한, 수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위의 표 1은 단말이 TRP들에게 전송하는 피드백 정보의 일 예를 보여줄 수 있다.
한편, TRP들은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들은 수신한 피드백 신호들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TRP들은 획득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수신한 수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신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신 링크 정보는 해당하는 TRP의 각각의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수신한 수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수신 링크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 식별 정보는 수신빔을 이용한 단말의 단말 ID와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표 2는 제2 수신 링크 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한편, 송신 TRP는 생성한 제2 수신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2 보고 신호들을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S904). 그러면, 컨트롤러는 TRP들로부터 제2 수신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2 보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수신한 제2 보고 신호들로부터 수신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는 TRP들로부터 획득한 제1 수신 링크 정보와 제2 수신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TRP들이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송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들간의 송신빔의 수신 신호 세기, 즉 SINR을 고려하여 전송 링크들의 슬롯 포멧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는 TRP들간의 송신빔의 수신 신호 세기, 즉 SINR을 고려하여 TRP들과 단말 사이의 전송 링크들의 심볼들의 전송 방향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TRP w의 빔 #1과 TRP w+1의 빔 #4 간에 링크 0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TRP w의 빔 #1과 단말 y+2의 빔 #6 간에 링크 1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TRP w+1의 빔 #4와 단말 y+1의 빔 #4 간에 링크 2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TRP w의 빔 #2와 단말 y의 빔 #4 간에 링크 3이 설정될 수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링크 0을 구성하는 TRP w가 빔 #1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링크 0을 구성하는 TRP w+1가 빔 #4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INR은 21.4db이기 때문에 간섭 신호의 세기가 매우 클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링크 0을 구성하는 TRP w+1가 빔 #4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때, 링크 0을 구성하는 TRP w가 빔 #1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SINR이 21.4db로 간섭 신호의 세기가 매우 클 수 있다. 이처럼 링크 0을 구성하는 TRP w의 빔 #1과 TRP w+1의 빔 #4 간에는 간섭 신호의 세기가 매우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TRP들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컨트롤러는 TRP w의 빔 #1과 TRP w+1가 빔 #4를 포함하는 링크 1과 링크 2가 동일한 심볼에서 동일한 전송 방향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TRP w의 빔 #1과 TRP w+1가 빔 #4를 포함하는 링크 1과 링크 2중에서 어느 하나만 해당 심볼에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러는 TRP w의 빔 #1과 TRP w+1가 빔 #4을 포함하는 링크 1과 링크 2가 동일한 심볼에서 서로 다른 전송 방향을 갖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표 6은 가능한 링크 조합과 링크들에서 가능한 전송 방향들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표 6에서 링크 1이 DL일 수 있고, 링크 2가 DL일 수 있는 경우에 동일한 전송 방향을 가질 수 있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1이 DL일 수 있고, 링크 2가 미사용인 경우에 하나만 해당 심볼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있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링크 1이 DL일 수 있고, 링크 2가 UL일 수 있으면 링크 2의 수신빔인 TRP w+1의 빔 #4에 수신이 필요한 UE y+1의 빔 #3의 신호 이외에 링크 1의 송신 신호인 TRP w의 빔 #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간섭으로 수신되므로 사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러는 TRP들간에 간섭이 큰 빔 쌍과 관련된 빔들을 사용하는 전송 링크들의 경우에 동일한 심볼에서 동일한 전송 방향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거나, 전송 링크들 중에서 어느 하나만 해당 심볼에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TRP들간에 간섭이 큰 빔 쌍은 해당 빔 쌍의 SINR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일 예로 링크 0과 관련이 있는 빔을 TRP들과 단말이 송수신에 사용할 경우에는 DL과 UL에 따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링크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표 6의 경우 6에 해당하는 것으로, TRP w는 TRP내의 빔 #1을 통하여 단말 y+2에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TRP w+1은 TRP내의 빔 #4를 통하여 단말 y+1에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경우 6에 경우에 TRP w는 TRP내의 빔 #1을 통하여 단말 y+2에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링크 0가 링크 2에 미치는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표 6과 같이 링크 0로부터 간섭이 크지 않은 링크 3은 DL과 UL 모두 가능할 수 있다.
경우 가능한 링크 조합 : DL/UL/미사용(Not used) 가능
여부
(O,X)
링크 1
(TRP{w,1}, UE{y+2,6})
링크 2
(TRP{w+1,4}, UE{y+1,3})
링크 3
(TRP{w,2}, UE{y,4})
0 DL DL DL/UL/X O
1 DL UL DL/UL/X X
2 DL 미사용 DL/UL/X O
3 UL UL DL/UL/X O
4 UL DL DL/UL/X X
5 UL 미사용 DL/UL/X O
6 미사용 UL DL/UL/X O
7 미사용 DL DL/UL/X O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는 심볼들의 전송 방향들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들을 TRP들로 전달할 수 있다(S905). 그러면, TRP들은 컨트롤러로부터 심볼들의 전송 방향들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들은 수신한 제어 신호들에서 심볼들의 전송 방향들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RP들은 단말들로 데이터들을 전송할 때에 획득한 심볼들의 전송 방향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전송 링크들을 이용하여 심볼들의 전송 방향과 일치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TRP들은 단말들로 데이터들을 전송할 때에 전송할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TRP들은 생성한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전송 방향이 하향 링크인 심볼들을 통하여 단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S906).
여기서, TRP들은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송신빔들의 개수가 2 개 이상일 경우에는 송신빔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거나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통하여 에러 오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말은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TRP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데이터 전송 신호들에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모든 수신빔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전력소모 및 하드웨어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향 링크로 피드백한 SINR 값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단말은 TRP들이 송신이 예상되는 송신빔들과 대응되는 수신빔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신호들을 수신하여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단말은 TRP들로 데이터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전송 방향이 상향 링크인 심볼들을 통하여 수신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TRP들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TRP는 동적 TDD 전송에서 단말들간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하여 TRP의 동일한 수신빔을 사용하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측정한 수신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DL로 사용할지, UL로 사용할지 또는 사용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다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TRP들의 각각은 미리 정의한 하나 이상의 송신빔들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들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단말들로 송신할 수 있다(S1101). 여기서, TRP들은 2개로 가정할 수 있고, 단말들도 2개로 가정할 수 있다.
TRP는 TRP ID와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탐색 신호에 포함된 TRP ID는 해당 탐색 신호를 전송한 TRP의 식별자일 수 있고, 탐색 신호에 포함된 송신빔 인덱스는 해당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 송신빔의 식별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들은 각각의 탐색 신호에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TRP와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TRP들의 각각은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각각의 제어 채널(일 예로 PDCCH)을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 채널에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TRP는 송신빔에 연관된 TRP ID와 TRP에 연관된 송신빔 인덱스를 구별할 수 있는 시퀀스를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해당하는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구별할 수 있는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시퀀스를 이용하여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하나 이상의 수신빔들을 이용하여 TRP들로부터 탐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된 탐색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한 탐색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한 송신빔들에 대한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은 측정한 탐색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이용하여 단말들의 수신빔들과 연관된 송신빔들의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탐색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들을 TRP들로 전송할 수 있다(S1102).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SINR은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탐색 신호의 SINR일 수 있다. 또한, 수신빔에 대한 식별 정보는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한편, TRP는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수신한 피드백 신호들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단말 y는 TRP w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 y+1은 TRP w와 TRP w+1에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예에서는 TRP w는 단말 y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TRP w+1는 단말 y와 단말 y+1로부터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TRP는 획득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송신빔들과 신호들을 수신한 수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링크 정보는 해당하는 TRP의 각각의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 수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 링크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 식별 정보는 수신빔을 이용한 단말의 단말 ID와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일 수 있다. 위의 표 2는 수신 링크 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한편, 단말 미리 정의한 하나 이상의 송신빔들을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들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TRP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단말은 피드백 신호들의 각각에 각각의 피드백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한 송신빔의 단말 ID와 단말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RP는 각각의 피드백 신호에서 단말 ID와 단말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하여 송신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처럼 TRP는 하나 이상의 수신빔들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송신빔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송신빔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피드백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측정할 수 있다(S1103).
또한, TRP는 수신한 피드백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한 송신빔들에 대한 단말 ID와 단말의 송신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TRP w는 단말 y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여 피드백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TRP w+1는 단말 y와 단말 y+1로부터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한 피드백 신호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에, TRP들의 각각은 측정한 피드백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을 이용하여 TRP들의 수신빔들과 연관된 단말들의 송신빔들의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피드백 신호의 신호 세기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링크 정보는 해당하는 단말의 각각의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수신한 수신빔들에 대한 빔 쌍 정보와 송신빔들의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드백 링크 정보의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단말의 단말 ID와 단말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 식별 정보는 수신빔을 이용한 TRP의 TRP ID와 TRP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빔의 신호 세기 정보는 송신빔의 SINR일 수 있다.
한편, TRP는 생성한 수신 링크 정보와 피드백 링크 정보를 포함한 보고 신호를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S1104). 그러면, 컨트롤러는 TRP들로부터 수신 링크 정보와 피드백 링크 정보를 포함한 보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수신한 보고 신호들로부터 수신 링크 정보와 피드백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는 획득한 수신 링크 정보와 피드백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TRP들이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송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링크 정보는 해당하는 TRP의 각각의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송신빔들과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신빔들에 대한 전송용 빔 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 링크 정보의 전송용 빔 쌍 정보는 (송신빔 식별 정보, 수신빔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빔 식별 정보는 송신빔을 송신한 TRP의 TRP ID와 TRP의 송신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빔 식별 정보는 수신빔을 이용할 단말의 단말 ID와 단말의 수신빔 인덱스일 수 있다.
표 3은 전송 링크 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들간의 송신빔의 수신 신호 세기들과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되는 피드백 신호들의 수신 신호 세기들을 고려하여 전송 링크들의 슬롯 포멧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에서 TRP w의 빔 #1과 단말 y의 빔 #2 간에 링크 0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TRP w의 빔 #1과 단말 y+2의 빔 #4 간에 링크 1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TRP w+1의 빔 #4와 단말 y+1의 빔 #6 간에 링크 2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표 7은 도 12에서 가능한 DL과 UL의 조합을 나타내는 일 예일 수 있다. 링크 0과 링크 1은 TRP w의 빔 인덱스가 1인 빔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표 7를 참조하면, 동일한 전송 방향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표 7에서 링크 0과 링크 1의 전송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들인 경우 4, 경우 5, 경우 6, 경우 10, 경우 11 및 경우 12는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TRP w의 빔 #1과 TRP w+1의 빔 #4은 간섭이 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전송 방향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표 7에서 TRP w의 빔 #1과 TRP w+1의 빔 #4가 서로 다른 전송방향을 가지는 경우들인 경우 2, 경우 경우 13, 경우 20 및 경우 22는 송수신이 가능할 수 없다. 다만, 표 7에서 링크 0와 링크 2가 서로 다른 전송 방향인 DL과 UL로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는, 경우 8 및 경우 16은 동적 TDD 방식으로 동작 할 수 있다.
경우 링크 0
{w,1, y,2})
링크 1
{w,1, y+1,4}
링크 2
{w+1,4,y+1,6}
송수신가능여부(O,X)
1 DL DL DL O
2 DL DL UL X
3 DL DL 미사용 O
4 DL UL DL X
5 DL UL UL X
6 DL UL 미사용 X
7 DL 미사용 DL O
8 DL 미사용 UL O(동적 TDD 가능)
9 DL 미사용 미사용 O
10 UL DL DL X
11 UL DL UL X
12 UL DL 미사용 X
13 UL UL DL X
14 UL UL UL O
15 UL UL 미사용 O
16 UL 미사용 DL O(동적 TDD 가능)
17 UL 미사용 UL O
18 UL 미사용 미사용 O
19 미사용 DL DL O
20 미사용 DL UL X
21 미사용 DL 미사용 O
22 미사용 UL DL X
23 미사용 UL UL O
24 미사용 UL 미사용 O
25 미사용 미사용 DL O
26 미사용 미사용 UL O
27 미사용 미사용 미사용 -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러는 심볼들의 전송 방향들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들을 TRP들로 전송할 수 있다(S1105). 그러면, TRP는 컨트롤러로부터 심볼들의 전송 방향들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서 심볼들의 전송 방향들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RP는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획득한 심볼들의 전송 방향이 지정된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전송 링크들을 이용하여 심볼들의 전송 방향과 일치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TRP는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생성한 데이터 전송 신호를 송신빔들을 사용하여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전송 방향이 하향 링크인 심볼들을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S1106). 여기서, TRP는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송신빔들의 개수가 2 개 이상일 경우에는 송신빔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거나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통하여 에러 오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말은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전송 신호를 TRP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데이터 전송 신호들에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모든 수신빔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전력소모 및 하드웨어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향 링크로 피드백한 SINR 값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단말은 TRP가 송신이 예상되는 송신빔들과 대응되는 수신빔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단말은 TRP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송 링크 정보에 있는 전송 방향이 상향 링크인 심볼들을 통하여 수신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TRP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TRP는 동적 TDD 전송에서 단말들 간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하여 TRP의 동일한 수신빔을 사용하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TRP는 측정한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링크를 DL로 사용할지, UL로 사용할지 또는 사용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2와 3은 각각 사용할 수도 있고, 결합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C-RAN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C-RAN 구조는 컨트롤러(1310), TRP들(1320-1~1320-n) 및 단말들(1330-1~1330-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310)는 링크 정보 수신부(1311), 송수신 가능 링크 및 링크의 전송 방향 결정부(1312) 및 결정된 링크 정보 송신부(13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TRP들(1320-1~1320-n)의 각각은 링크 정보 생성부(1321), 결정된 링크 정보 수신부(1322), U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부(1323), D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송신부(1324), 피드백 수신부(1325), 미리 정의된 빔 패턴 및 제어 정보 송신부(1326) 및 미리 정의된 빔 패턴 및 제어 정보 수신부(132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들(1330-1~1330-n)의 각각은 U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송신부(1331), D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부(1332), 피드백 송신부(1333) 및 미리 정의된 빔 패턴 및 제어 정보 수신부(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TRP들(1320-1~1320-n)의 미리 정의된 빔 패턴 및 제어 정보 송신부들(1326)은 미리 정해진 빔 패턴으로 빔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단말들(1330-1~1330-n)과 인접한 TRP들(1320-1~1320-n)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들(1330-1~1330-n)의 미리 정의된 빔 패턴 및 제어 정보 수신부들(1334)은 빔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TRP들(1320-1~1320-n)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접 TRP들(1320-1~1320-n)의 미리 정의된 빔 패턴 및 제어 정보 수신부들(1323)은 빔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TRP들(1320-1~1320-n)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들(1330-1~1330-n)의 피드백 송신부들(1333)은 TRP들의 빔 인덱스들, SINR들이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피드백 정보가 포함된 피드백 신호들을 TRP들(1320-1~1320-n)들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RP들(1320-1~1320-n)의 피드백 수신부들(1325)은 단말들(1330-1~1330-n)로부터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TRP들(1320-1~1320-n)은 인접 TRP들(1320-1~1320-n)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른 인접 링크 정보와 단말들(1330-1~1330-n)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컨트롤러(1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310)의 링크 정보 수신부(1311)는 인접 링크 정보와 수신 링크 정보를 TRP들(1320-1~1320-n)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310)의 송수신 가능 링크 및 각 링크의 전송 방향 결정부는 TRP들(1320-1~1320-n)로부터 수신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송수신 가능한 링크와 각 링크의 전송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1310)의 결정된 링크 정보 송신부(1333)는 결정된 전송 링크 정보를 TRP들(1320-1~1320-n)로 전송할 수 있다. TRP들(1320-1~1320-n)의 결정된 링크 정보 수신부들(1322)은 컨트롤러(1310)로부터 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RP들(1320-1~1320-n)의 D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송신부들(1324)은 수신한 결정된 링크 정보를 D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단말들(1330-1~1330-n)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1330-1~1330-n)의 D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부들(1332)은 TRP들(1320-1~1320-n)로부터 D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들(1330-1~1330-n)의 U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송신부들(1331)은 U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TRP들(1320-1~1320-n)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RP들(1320-1~1320-n)의 U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부들(1323)은 단말들(1330-1~1330-n)로부터 UL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고밀도 네트워크(UDN) 환경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송수신점과 단말들 사이의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간섭의 증가 없이 각 TRP별로 DL/UL 스위칭 위치를 유연하게 변경하여 시스템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정적 TDD에 비하여 송신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보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보정을 위하여 필요한 유무선 자원 및 복잡한 구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의하면, 컨트롤러와 TRP들 사이에 빔 인덱스와 SINR 정보만을 전달하여, TRP들과 단말들 사이의 무선 채널 정보 전달을 위한 대용량의 유무선 자원의 필요성을 감소시켜서 네트워크 구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송신빔을 이용하여 제1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탐색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2 송신빔을 이용하여 제2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탐색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한 제1 수신빔의 제1 수신빔 식별자와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1 송신빔의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한 제2 수신빔의 제2 수신빔 식별자와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2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송신빔의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빔 쌍 정보, 상기 제2 빔 쌍 정보,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identifier)와 제1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2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1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2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는,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수신빔을 이용하여 인접한 다른 송수신점으로부터 제3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탐색 신호의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송신빔 식별자와 제3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3 빔 쌍 정보와 상기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제3 빔 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는 심볼들의 전송 방향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심볼들의 전송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4 수신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제4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의 제4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4 송신빔 식별자와 제4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4 빔 쌍 정보와 상기 제4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4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제4 빔 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3 전송용 빔 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6.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탐색 신호를 제1 수신빔을 이용하여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탐색 신호의 제1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탐색 신호를 제2 수신빔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탐색 신호의 제2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와 제1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와 제2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2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1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2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1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2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3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들을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에서 선택된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제1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탐색 신호를 제1 수신빔을 이용하여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탐색 신호의 제1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제2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탐색 신호를 제2 수신빔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탐색 신호의 제2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와 제1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와 제2 수신빔 식별자로 이루어진 제2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1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송신빔 식별자는 상기 송수신점의 송수신점 ID와 제2 송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1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신빔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단말 ID와 제2 수신빔 인덱스로 이루어지는, 단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에서 선택된 제1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제3 송신빔 식별자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들을 상기 송수신점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2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제3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 쌍 정보와 상기 제2 빔 쌍 정보에서 선택된 제2 전송용 빔 쌍 정보에 따른 송신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KR1020210135232A 2020-11-06 2021-10-12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61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11,140 US11917669B2 (en) 2020-11-06 2021-10-2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8145 2020-11-06
KR1020200148145 2020-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846A true KR20220061846A (ko) 2022-05-13

Family

ID=8158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232A KR20220061846A (ko) 2020-11-06 2021-10-12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8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5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channe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071749B (zh) 一种天线选择指示方法、装置和系统
WO2019170089A1 (zh) 信息传输的方法、装置和通信节点
CN110166190B (zh) 准共址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
CN109150439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网络侧设备和用户设备
US1143804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overhead
CN111971906B (zh) 压缩抽头位置信息用于新无线电中时域显式信道状态信息反馈
US111092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868420A (zh) 与组信息相关联的用于测量和报告的方法
WO2018228356A1 (zh) 通道校正的方法和网络设备
US20230008939A1 (en) Method for unified uplink and downlink beam indication
KR202200619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호성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200098567A (ko)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9176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64521A (ko) 통신 시스템에서 los-mimo 기반의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64536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KR20220061846A (ko)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2054831B (zh)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及装置
CN116806437A (zh) 用于通信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11677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terminal-centric cooperative transmission
KR102577484B1 (ko) 단말 중심 협력 전송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8565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power control, and storage medium
WO2024065746A1 (en) Indications of precoder and transmission layer for subscriber data management based simulation uplink transmission
WO2023206528A1 (en) Multiple panel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30083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usch transmission in single dci based multi-trp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