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845A -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845A
KR20220061845A KR1020210134755A KR20210134755A KR20220061845A KR 20220061845 A KR20220061845 A KR 20220061845A KR 1020210134755 A KR1020210134755 A KR 1020210134755A KR 20210134755 A KR20210134755 A KR 20210134755A KR 20220061845 A KR20220061845 A KR 20220061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coated
tensile strength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용희
강병찬
박성준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509,79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49491A1/en
Priority to JP2021179982A priority patent/JP2022075609A/en
Priority to EP21206758.1A priority patent/EP3996165A1/en
Priority to CN202111304509.1A priority patent/CN114447265B/en
Publication of KR2022006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8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ic collector formed of metal and a slurry applied to a part of the electric collector, comprises: a coated part including a part coated with the slurry in the electric collector and the slurry; and a non-coated part including a remaining part not coated with the slurry in the electric collector, wherein the non-coated part comprises: a first non-coated part extending from the coated part; and a second non-coated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non-coated part and having a tab connection part coupled to an electrode tab, a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non-coated part is greater than a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and a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non-coated part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art coated with the slurry in the electric collector may be 0.65 to 0.8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wrinkles generated on the electrode of a battery cell.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인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가량으로,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A general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cell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etc. or electric vehicles. In particula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operating voltage of about 3.6V, has about three times the capacity of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hydrogen battery, which are often used as power sources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There is a trend of explosive increase in severity.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 중에 전지의 고용량 및 고밀도의 배터리 셀을 구현을 위해서는 전극 공정에서 압연 공정이 중요하다. 압연 공정이란 전극 공정에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전극을 통과시켜 목표로 하는 배터리 셀의 설계 두께로 눌러주는 공정을 말한다.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rolling process is important in the electrode process in order to realize high capacity and high density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The rolling process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an electrode is passed between a pair of rollers in the electrode process and pressed to the target battery cell design thickness.

그러나 이와 같은 공정에 있어서, 전극의 일부변형으로 인한 주름 및 파단 현상이 증가하여 제품 품질 및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However, in such a process, wrinkles and fractures due to partial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increase, which greatly affects product quality and productivity, so improvement is required.

공개특허 KR 10-2017-0137355 APatent Publication KR 10-2017-0137355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전극 주름생성을 최소화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minimizes wrinkling of the electrode in a battery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전극에 대해 전극 탭 연결공정시 소착 문제를 방지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prevents a problem of burning during an electrode tap connection process with respect to an electrode of a battery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연공정시 배터리 셀의 전극의 파단을 최소화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minimizes breakage of the electrode of a battery cell during a rolling proc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전극 불량을 방지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prevents electrode failure of a battery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으로 형성된 집전체(electric collector)와 상기 집전체의 일부에 도포되는 슬러리(slurry)로 구성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으로서, 상기 집전체 중에서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부분 및 상기 슬러리를 포함하는, 도포부; 그리고 상기 집전체 중에서 상기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지부는, 상기 도포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무지부; 그리고 상기 제1 무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극 탭에 결합되는 탭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 2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는 상기 탭 연결부의 인장강도 보다 크고, 상기 집전체 중에서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부분의 인장강도 대비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의 비율은 0.65 내지 0.85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ic collector formed of a metal and a slurry applied to a part of the current collector, the current collector an applicator comprising a portion to which the slurry is applied and the slurry from among; and an uncoated portion includ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to which the slurry is not applied, wherein the uncoated portion includes: a first uncoat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applying portion;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uncoated portion and having a tab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where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is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and where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current collector. A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ortion to which the slurry is applied is 0.65 to 0.85,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금속으로 형성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일부에 도포되는 슬러리로 구성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 면에 상기 슬러리를 도포하여,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을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도포 영역과 상기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슬러리 도포 단계(S110); 상기 무지 영역은 상기 도포 영역에 인접한 제1 무지부와 상기 제1 무지부에 연결되며 전극 탭에 결합되는 탭 연결부와 상기 탭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S120); 그리고 상기 가열된 전극을 압연하는, 압연 단계(S130)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 영역의 집전체의 인장강도 대비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의 비율은 0.65 내지 0.85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urrent collector formed of a metal and a slurry applied to a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wherein the slurry is appli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a slurry application step (S110) of dividing th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to an application region to which the slurry is applied and an uncoated region to which the slurry is not applied; The uncoated region includes a first uncoated region adjacent to the application region, a tab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uncoated region and coupled to an electrode tab, and a cut portion extending from the tab connection portion, and heating the cut portion ( S120); and a rolling step (S130) of rolling the heated electrode, wherein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application region is 0.65 to 0.85,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전극 주름생성을 최소화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minimizes the generation of wrinkles in the electrode of a battery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전극에 대해 전극 탭 연결공정시 소착 문제를 방지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provided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or preventing a problem of burning during an electrode tab connection process with respect to an electrode of a battery cell.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압연공정시 배터리 셀의 전극의 파단을 최소화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minimizes the breakage of the electrode of a battery cell during a rolling proc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전극 불량을 방지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provided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prevents electrode failure of a battery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과 가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압연공정을 거친 후에 전극을 전극 밀도와 인장강도에 따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에 전극 탭을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nd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electrode density and tensile strength after the rolling proces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an electrode tab to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part", "~ group", "~ block", "~ member", and "~ module"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the terms may refer to at least one process processed by at least one hardware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t least one software stored in a memory, or a processor. there i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matter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은 배터리 셀에 포함될 수 있다. 전극(10)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 전극(10)은, 양전극(positive electrode) 또는/및 음전극(negative electrode)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d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 battery cell. The electrode 10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10 may be a positive electrode and/or a negative electrode.

전극(10)은 집전체(20, current col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전체(20)는 “전극 집전체”라 칭할 수 있다. 집전체(2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전체(20)는 금속 호일(metal foil)일 수 있다. 집전체(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전체(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10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20 .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include a metal. For example,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a metal foil.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전극(10)은 슬러리(30, slurry)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30)는 “전극 물질(electrode material)”이라 칭할 수 있다. 슬러리(30)는, 집전체(20)의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The electrode 10 may include a slurry 30 . The slurry 30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de material”. The slurry 30 may be applied to a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20 .

전극(10)은, 슬러리(30)가 집전체(20)에 도포된 영역과 나머지 영역으로 구분되거나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10)은, 도포부(40, coated part)와 무지부(50, uncoated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10 may be divided or partitioned into a region in which the slurry 30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remaining region. For example, the electrode 10 may include an applied part 40 (coated part) and an uncoated part 50 (uncoated part).

도포부(40)는, 전극(10) 중에서 슬러리(30)가 집전체(20)에 도포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부(40)는, 슬러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부(40)는, 집전체(20) 중에서 슬러리(30)가 도포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40 may refer to a portion of the electrode 10 in which the slurry 30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20 . For example, the applicator 40 may include the slurry 30 . For example, the application unit 40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20 to which the slurry 30 is applied.

무지부(50)는, 집전체(20) 중에서 슬러리(30)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지부(50)는, 전극(10) 중에서 도포부(40)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포부(40)와 무지부(50)는, 집전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uncoated region 50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20 to which the slurry 30 is not applied. That is, the uncoated region 50 may mean a portion of the electrode 10 excluding the application portion 40 . The application part 40 and the uncoated part 50 may be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20 .

배터리 셀의 제조공정 중 고용량 및 고밀도 배터리 셀 구현을 위해서는 압연 공정이 중요하다. 압연 공정은, 전극(10)을 가공하는 공정 중 슬러리를 도포하는 공정의 다음 공정으로, 한 쌍의 압연롤러 사이에 전극(10)을 통과시켜 전극을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공정을 말한다. During the battery cell manufacturing process, the rolling process is important for realizing high capacity and high density battery cells. The rolling process is a process following the process of applying the slurry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electrode 10 , and refers to a process of pressing the electro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by passing the electrode 10 between a pair of rolling rollers.

도포부(40)의 두께는 슬러리(30)로 인하여 무지부(50)의 두께 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전극(10)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도포부(40)는 압력을 받고, 무지부(50)는 압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포부(40)의 집전체(20)는 압력에 의하여 연신(stretching)되는 반면, 무지부(50)의 집전체(20)는 연신 되지 않을 수 있다. 도포부(40)의 집전체(20)는, 집전체(20) 중에서 슬러리(30)가 도포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pplication part 4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ncoated part 50 due to the slurry 30 .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olling the electrode 10 , the application part 40 may receive pressure and the uncoated part 50 may not receive pressure. For this reason,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part 40 may be stretched by pressure, whereas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uncoated part 50 may not be stretched.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unit 40 may mean a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20 to which the slurry 30 is applied.

이 때문에 도포부(40)와 무지부(50)의 경계 부위에서 집전체(2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집전체(20)의 변경은 집전체(20)의 파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극 밀도가 높아질수록 또는/및 집전체(20)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집전체(20)의 변형이 발생할 확률 또는 집전체(20)가 파단될 확률이 커질 수 있다. 전극 밀도는, 슬러리(30)의 밀도를 의미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deforma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occu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pplication part 40 and the uncoated part 50 . A change in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lead to breakage of the current collector 20 . In general, as the electrode density increases and/or the thickness of the current collector 20 decreases, the probability that the current collector 20 will be deformed or the probability that the current collector 20 will break may increase. The electrode density may mean the density of the slurry 30 .

이로 인해 압연공정에서의 수율(yield) 및 가동률(operating rate)이 저하되는데 현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압연공정에 앞서, 무지부(50)를 가열하여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를 낮춤으로써 도포부(40)와 무지부(50)의 경계 부위에서 집전체(20)의 변형 또는/및 파단이 억제될 수 있다.Due to this, the yield and operating rate in the rolling process are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ating part 40 is heated by heating the uncoated part 50 prior to the rolling process to lower the tensile strength. ) and the uncoated region 50 , deformation and/or breakage of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suppressed.

하지만 무지부(50)의 온도를 너무 높게 올리면, 무지부(50)와 전극 탭을 초음파 용접을 통해 접합하는 과정에서, 무지부(50)가 초음파 가열 금형에 달라 붙는 소착(燒着)이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temperature of the uncoated area 50 is raised too high, in the process of bonding the uncoated area 50 and the electrode tab through ultrasonic welding, seizure occurs in which the uncoated area 50 sticks to the ultrasonic heating mold. can be

무지부(50)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올리면, 무지부(50)와 전극 탭을 초음파 용접을 통해 접합하는 과정에서, 소착이 발생할 확률은 감소하나 압연 공정에서 집전체(20)의 변형 또는/및 파단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uncoated region 50 is relatively low, the probability of seizure occurring in the process of bonding the uncoated region 50 and the electrode tab to the electrode tab through ultrasonic welding is reduced, but deforma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r /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breakage may increase.

무지부(50)를 가열하는 가열장치(70, 도 2 참조)의 출력 파워(output power)와 형태(configuration)를 최적화함으로써, 압연공정에서 전극(10)의 파단 및 전극 탭 연결 공정에서 소착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By optimizing the output power and configuration of the heating device 70 (refer to FIG. 2) that heats the uncoated region 50, the breaking of the electrode 10 in the rolling process and sintering in the electrode tap connection process are prevented. can be solved at the same time.

전극(10)의 전극 밀도는, 3.6g/cc 내지 3.8g/cc일 수 있다. 전극 밀도는, 슬러리(30)의 질량 밀도로서, 압연 공정을 통과한 슬러리(30)의 질량 밀도(mass density)를 의미할 수 있다.The electrode density of the electrode 10 may be 3.6 g/cc to 3.8 g/cc. The electrode density is a mass density of the slurry 30 , and may mean a mass density of the slurry 30 that has passed through a rolling process.

슬러리(30)는, 활물질(active material), 바인더(binder), 그리고 도전제(conductive agent)의 혼합물(mixture)일 수 있다. 활물질은, 양극(positive electrode)에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active material for cathode)과 음극(negative electrode)에 사용되는 음극 활물질(active material for anode)로 구분될 수 있다. 활물질은,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The slurry 30 may be a mixture of an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agent. The active material may be divided into an active material for cathode used for a positive electrode and an active material for anode used for a negative electrode. The active material may mean at least one of a positiv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active material.

슬러리(30)는, 양극 슬러리와 음극 슬러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양극 슬러리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슬러리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urry 30 may mean at least one of a positive electrode slurry and a negative electrode slurry.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집전체(20)는,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는, 양극(positive electrode)에서 사용되는 집전체일 수 있다. 음극 집전체는, 음극(negative electrode)에서 사용되는 집전체일 수 있다. 집전체(20)는, 금속 박판(metal foil)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urrent collector 20 may mean at least one of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a current collector used in a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a current collector used in a negative electrode.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formed of a metal foil.

무지부(50)는 제1 무지부(51)와 제2 무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지부(51)는 도포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무지부(52)는, 도포부(40)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무지부(51)는, 도포부(40)와 제2 무지부(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지부(51)는, 도포부(40)와 제2 무지부(5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uncoated area 50 may include a first uncoated area 51 and a second uncoated area 52 . The first uncoated area 51 may be connected to the applicator 40 . The second uncoated area 5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pplication unit 40 . The first uncoated area 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pplication unit 40 and the second uncoated area 52 . The first uncoated area 51 may connect the applicator 40 and the second uncoated area 52 .

제1 무지부(51)는 도포부(4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지부(51)는 설정된 인장강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지부(52)에 열(heat)을 가함으로써, 제1 무지부(51)는 설정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17kgf/mm2 내지 24kgf/mm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17kgf/mm2 일 수 있다.The first uncoated area 5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application unit 40 .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t tensile strength. For example, by applying heat to the second uncoated area 52 , the first uncoated area 51 may have a set tensile strength.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17 kgf/mm 2 to 24 kgf/mm 2 . For exampl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be 17 kgf/mm 2 .

제2 무지부(52)는 제 1 무지부(5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지부(52)는 전극 탭(80, 도 5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무지부영역(51)이 설정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2 무지부(52)는 열처리될 수 있다. 가열 공정에 의한 열처리를 통해, 무지부(50)의 인장강도는, 제1 무지부(51)에서 제2 무지부(52)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The second uncoated area 52 may extend from the first uncoated area 51 . The second uncoated region 52 may be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80 (refer to FIG. 5 ). The second uncoated area 52 may be heat treated so that the first uncoated area 51 may have a set tensile strength. Through the heat treatment by the heating proces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uncoated area 50 may decrease sequentially from the first uncoated area 51 to the second uncoated area 52 .

제2 무지부(52)는, 탭 연결부(52a)와 절단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탭 연결부(52a)는, 제1 무지부(51)에 연결되며, 전극 탭(80, 도 5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탭 연결부(52a)는 설정된 인장강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지부(51)의 설정된 인장강도를 제1 인장강도, 탭 연결부(52a)의 설정된 인장강도를 제2 인장강도라 할 수 있다. The second uncoated portion 52 may include a tab connection portion 52a and a cut portion 52b. The tab connection part 52a is connected to the first uncoated part 51 and may be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80 (refer to FIG. 5 ). The tab connection part 52a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t tensile strength. The set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tensile strength, and the set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ensile strength.

탭 연결부(52a)는, 제2 무지부(52)의 열처리를 통해, 제2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무지부(50)의 인장강도는, 제1 무지부(51)에서 제2 무지부(52)의 단부를 향할수록 작을 수 있다. 제1 무지부(51)는, 설정된 인장강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may have a second tensile strength through heat treatment of the second uncoated portion 52 . The tensile strength of the uncoated area 50 may decrease from the first uncoated area 51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uncoated area 52 .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t tensile strength.

즉,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 보다 크고,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는 절단부(52b)의 인장강도 보다 클 수 있다. 절단부(52b)는, 열처리가 이루어진 후, 절단되어 탭 연결부(52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도 5 참조). 탭 연결부(52a)는 “제2 무지부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 절단부(52b)는 “제3 무지부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무지부(51)는 “제1 무지부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That i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cut portion 52b . The cut portion 52b may be cut and separated from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after heat treatment is performed (see FIG. 5 ). The tab connection part 52a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uncoated region”. The cut portion 52b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uncoated region”.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uncoated reg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과 가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무지부(50)는 설명의 편의상 각 영역이 구획되게 도시되어 설명되나, 무지부(50)에 관한 본 발명의 범위는 도 2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지부(50)의 각 영역은 구획되는 구성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nd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 the uncoated area 50 is illustrated in which each area is 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ing the uncoated area 50 is not limited to FIG. 2 . Each region of the uncoated region 50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partitioned configuration.

도 2를 참조하면, 가열 장치(70)는 전극(10)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장치(70)는, 전극(10)의 압연이 이루어지기 전에, 무지부(50)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장치(70)는 유도 가열 방식(Induction Heating Annealing, IHA)으로 무지부(50)를 가열할 수 있다.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금속 물체를 가열시키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가열 장치(70)는, 출력 파워를 조절함으로써, 무지부(5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heating device 70 may heat the electrode 10 . The heating device 70 may heat the uncoated region 50 before the electrode 10 is rolled. The heating device 70 may heat the uncoated region 50 by induction heating annealing (IHA). Induction heating may refer to a method of heating a metal object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heating device 7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uncoated area 50 by adjusting the output power.

가열 장치(70)는, 전극(10)을 압연하는 장치(이하, “압연 장치”)와 제어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70)의 출력 파워는, 압연 장치의 공정 속도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70)의 출력 파워는, 전극(10)의 재질 및 태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heating device 70 may be controlledly interlocked with a device for rolling the electrode 10 (hereinafter, “rolling device”). For example, the output power of the heating device 70 may depend on the processing speed of the rolling device. Also, the output power of the heating device 70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the type of the electrode 10 .

가열 장치(70)는 유도 가열 유닛(72)과 차폐 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device 70 may include an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a shielding member 74 .

유도 가열 유닛(72)은, 전자기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전극(10)에 유도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전극(10)에 유도 전류가 흐르면, 전극(10)에서 열(heat)이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 가열 유닛(72)은, 코일(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 유닛(72)은, 고주파의 전류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use electromagnetic induction action to cause an induced current to flow through the electrode 10 . When an induced current flows in the electrode 10 ,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electrode 10 .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include a coil.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can form a high-frequency current.

차폐 부재(74)의 적어도 일부는, 유도 가열 유닛(72)과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부재(74)의 적어도 일부는, 유도 가열 유닛(72)과 도포부(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부재(74)의 적어도 일부는, 유도 가열 유닛(72)과 제1 무지부(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부재(74)의 적어도 일부는, 유도 가열 유닛(72)과 탭 연결부(5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7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the electrode 10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7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the applicator 40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7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 member 7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차폐 부재(74)는, 유도 가열 유닛(72)에서 발생된 자속(magnetic flux)을 차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부재(74)에 입사된 자속(또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는, 차폐 부재(74)에 의해 더 이상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유닛(72)에서 발생되어 도포부(40)를 향하는 자속의 적어도 일부는, 차폐 부재(7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유닛(72)에서 발생되어 제1 무지부(51)로 향하는 자속의 적어도 일부는, 차폐 부재(7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유닛(72)에서 발생되어 탭 연결부(52a)로 향하는 자속의 적어도 일부는, 차폐 부재(7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74 may have an effect of shielding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magnetic flux (or magnetic field) incident on the shielding member 74 may no longer travel by the shielding member 74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directed toward the applicator 40 may be shielded by the shielding member 74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directed to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be shielded by the shielding member 74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and directed to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may be shielded by the shielding member 74 .

전극(10) 중에서 기 설정된 부분이 유도 가열 유닛(7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52b)는 유도 가열 유닛(7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유도 가열 유닛(72)은, 주로(mainly) 절단부(52b)를 가열시킬 수 있다. 차폐 부재(74)의 비투자율(relative permeability)은 10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부재(74)는 강자성 물질(ferromagnetic material)을 포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lectrode 10 may be he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 For example, the cut portion 52b may be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unit 72 .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mainly heat the cut portion 52b. The relative permeability of the shielding member 74 may be 10 or more. For example, the shielding member 7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a ferromagnetic material.

차폐 부재(74)는 노출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부(76)는, 노출 공간(78)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도 가열 유닛(72)은, 노출 공간(78)을 통해 무지부(50)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공간(78)은, 절단부(52b)와 유도 가열 유닛(7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노출부(76)는, “자기장 노출부”라 칭할 수 있다. The shielding member 74 may include an exposed portion 76 . The exposed portion 76 may form an exposure space 78 .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be exposed to the uncoated area 50 through the exposure space 78 . For example, the exposure space 78 may be located between the cut portion 52b a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 The exposed portion 76 may be referred to as a “magnetic field exposure portion”.

유도 가열 유닛(72)에서 발생된 자속(magnetic flux)은 노출부(76)를 통과하여 집전체(20)에 입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공간(78)을 통과한 자속(magnetic flux)은 무지부(50)의 적어도 일부에 입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열 장치(70)는 전극(10) 중에서 특정 영역을 주로 가열할 수 있다.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pass through the exposed portion 76 and be incident on the current collector 20 . For example, magnetic flux passing through the exposure space 78 may be incident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region 50 .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heating device 70 can mainly heat a specific region of the electrode 10 .

예를 들어, 가열 장치(70)는 제2 무지부(52)를 주로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52b)에서 발생되는 열은, 제1 무지부(51)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70)는 절단부(52b)를 주로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ating device 70 may be configured to mainly heat the second uncoated region 52 . For example, heat generated in the cut part 52b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uncoated part 51 . For example, the heating device 70 may be configured to primarily heat the cut 52b.

유도 가열 유닛(72)은 노출 공간(78)을 통해 절단부(52b)와 마주할 수 있다. 다른(another) 예를 들면, 유도 가열 유닛(72)은 노출 공간(78)을 통해 절단부(52b)의 외측 공간과 마주할 수 있다. 가열 장치(70)는 유도 가열을 통해 절단부(52b)를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절단부(52b)에서 발생되는 열은, 제1 무지부(51)로 열전도(heat-conduction)될 수 있다.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face the cut portion 52b through the exposure space 78 . In another example,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face the space outside of the cut-out 52b through the exposure space 78 . The heating device 70 may locally heat the cut portion 52b through induction he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cut portion 52b may be heat-conducted to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

이하는 가열 공정에 따른 전극(10)의 인장강도 등의 변화를 알기 위한 실험에 관한 내용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표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압연공정을 거친 후에 전극(10)을 전극 밀도와 인장강도에 따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에 표시된 인장강도는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를 의미할 수 있다. The following is the content of the experiment to know the change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electrode 10 according to the heating process.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Table 1.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lectrode 10 according to the electrode density and tensile strength after the rolling process. The tensile strength shown in FIG. 3 may me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무지부(51)의 길이는 제1 길이(L1)이고, 탭 연결부(52a)의 길이는 제2 길이(L2)이며, 절단부(52b)의 길이는 제3 길이(L3)일 수 있다. 무지부(50)의 길이는, 무지부(50)가 도포부(40)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1 to 3 , the length of the first uncoated part 51 is the first length L1 , the l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is the second length L2 , and the length of the cut part 52b is It may be the third length L3. The length of the uncoated area 50 may be measured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uncoated area 50 extends from the application unit 40 .

예를 들어, 무지부(50)의 전체 길이는 15mm 일 수 있다. 제1 길이(L1)는 5mm 일 수 있다. 제2 무지부(52)의 길이는, 제2 길이(L2)와 제3 길이(L3)의 합(合)으로서, 10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길이(L2)는 7mm 일 수 있고, 제3 길이(L3)는 3mm 일 수 있다. 제1 길이(L1), 제2 길이(L2), 그리고 제3 길이(L3)는,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tal length of the uncoated region 50 may be 15 mm. The first length L1 may be 5 mm. The length of the second uncoated region 52 is the sum of the second length L2 and the third length L3 , and may be 10 mm. For example, the second length L2 may be 7 mm, and the third length L3 may be 3 mm. The first length L1 , the second length L2 , and the third length L3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changed within a rang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구분division 집중가열
영역
intensive heating
area
최대가열
온도
(℃)
maximum heating
temperature
(℃)
무지부영역별
인장강도 (kgf/mm2)
By area of Mujibu
Tensile strength (kgf/mm 2 )
주름
상태
wrinkle
state
초음파 용접시
소착 발생 횟수
(10회 기준)
for ultrasonic welding
Number of occurrences of seizures
(Based on 10 episodes)
파단
횟수
(500m 기준)
break
number
(based on 500m)
제1무지부the 1st branch 가열 후 제1무지부/가열 전 제1 무지부First uncoated area after heating / First uncoated area before heating 가열 후 탭연결부 Tap connection part after heating 가열 후 탭연결부/가열전 탭 연결부Tap connection part after heating / Tap connection part before heating 가열 후 절단부 cut after heating 가열 후 절단부/가열 절단부Cut after heating/Heated cut 실시예1Example 1 절단부cut 220220 1919 0.760.76 1717 0.680.68 1010 0.40.4 OO 00 0회0 times 실시예2Example 2 절단부cut 200200 2020 0.80.8 1818 0.720.72 1212 0.480.48 OO 00 0회0 times 실시예3Example 3 절단부cut 180180 2020 0.80.8 1919 0.760.76 1515 0.60.6 OO 00 4회4 times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무지부 전체Unclear whole 220220 1414 0.560.56 1010 0.40.4 1010 0.40.4 ΔΔ 55 0회0 times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무지부 전체Unclear whole 200200 1616 0.640.64 1414 0.560.56 1414 0.560.56 ΔΔ 22 3회3rd time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무지부 전체Unclear whole 180180 1717 0.680.68 1717 0.680.68 1616 0.640.64 OO 00 7회Episode 7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제1 무지부1st uncoated area 220220 1010 0.40.4 1717 0.680.68 1919 0.760.76 XX 00 2회Episode 2

(무지부 주름 : O는 양호, Δ는 약간 심함, X는 매우 심함을 의미)(Crinkle on the cheek area: O means good, Δ means slightly severe, X means very severe)

표 1은, 무지부(50)의 집중 가열 영역과 최대 가열 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압연 공정 이후 무지부(50)의 인장강도 및 주름 상태, 초음파 용접 공정에서 발생된 소착 횟수(초음파 용접 10회 당), 그리고 압연 공정 이후 전극(10)의 파단 횟수(전극을 500m 이송하는 과정에서)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무지부(50)가 가열되기 이전 무지부(50)의 인장강도는 25kgf/mm2 이다. 표 1에서 압연 공정 이후 전극(10)의 전극 밀도는 3.65g/cc 이다. 표 1에서 가열되기 이전 무지부(50)의 인장강도는, 가열되기 이전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와 동일할 수 있다.Table 1 shows the tensile strength and wrinkle state of the uncoated area 50 after the rolling process when the intensive heating area and the maximum heating temperature of the uncoated area 50 are different, and the number of sinterings generated in the ultrasonic welding process (ultrasonic welding 10 times) per), and the number of fractures of the electrode 10 after the roll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electrode 500 m). In Table 1, the tensile strength of the uncoated area 50 before the uncoated area 50 is heated is 25 kgf/mm 2 . In Table 1, the electrode density of the electrode 10 after the rolling process is 3.65 g/cc. In Table 1, the tensile strength of the uncoated portion 50 before heating may be the same a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portion 40 before heating.

도 1 내지 도 3과 표 1을 참조하면, 무지부(50)의 특정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도 무지부(50)의 영역별 인장강도가 모두 변화될 수 있다. 이는 무지부(50)의 열전도성에 기인할 수 있다. 1 to 3 and Table 1, even when only a specific area of the uncoated area 50 is selectively heated, the tensile strength of each area of the uncoated area 50 may all be changed. This may be due to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uncoated region 50 .

무지부(50)의 주름은, 직접 압력을 받는 도포부(40)의 연신율과 압력을 받지 않는 무지부(50)의 연신율 사이의 차이로 인해, 도포부(40)와 무지부(50)의 경계에 인접한 제1 무지부(51)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주름 발생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rinkles of the uncoated area 50 are formed between the coated area 40 and the uncoated area 50 du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elongation of the uncoated area 50 that is not subjected to direct pressure and the elongation of the uncoated area 50 that is not subjected to pressure. It may occur in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adjacent to the boundary. In this cas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affect the degree of wrinkling.

실시예 1과 비교예 4를 대비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무지부(50)의 단부인 절단부(52b)를 집중 가열하여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19 kgf/mm2 이고, 비교예 4의 경우 제1 무지부(51)를 집중 가열하여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10kgf/mm2 이다. 비교예 4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실시예 1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보다 상당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에서 주름 상태가 비교예 4에서 주름 상태 보다 양호하다. Comparing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by heating the cut portion 52b, which is the end of the uncoated area 50, is 19 kgf/mm 2 , In Comparative Example 4, the first uncoated area 51 was intensively heated so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was 10 kgf/mm 2 . Althoug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n Comparative Example 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n Example 1, the wrinkled state in Example 1 was the wrinkled state in Comparative Example 4 better than

비교예 4에서와 같이 제1 무지부(51)를 집중 가열할 경우 제1 무지부(51)에서 발생된 열이 도포부(40)의 집전체(20)에 전달되어, 도포부(40)에서 집전체(20)의 인장강도와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사이의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도포부(40)에서 집전체(20)의 인장강도와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사이의 차이가 크지 않으면, 압연 공정에서 제1 무지부(51)의 변형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비교예 4와 비교예 1을 비교해보면, 비교예 1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14kgf/mm2)가 비교예 4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10kgf/mm2) 보다 높음에도, 비교예 1에서 주름 상태가 비교예 4에서 주름 상태 보다 양호하다. As in Comparative Example 4, when the first uncoated area 51 is heated intensively, heat generated in the first uncoated area 51 is transferred to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unit 40 , and the application unit 40 . In ,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may not be larg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in the application unit 40 is not larg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deformation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will occur in the rolling process. can Comparing Comparative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tensile strength (14kgf/mm 2 )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the tensile strength (10kgf/mm)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in Comparative Example 4 2 ) Although higher, the wrinkle state in Comparative Example 1 is better than the wrinkle state in 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1에서 집중 가열 영역이 무지부(50) 전체이고 비교예 4에서 집중 가열 영역이 제1 무지부(51)이므로, 비교예 1에서 도포부(40)의 집전체(20)에 전달되는 열(heat)이 비교예 4에서 도포부(40)의 집전체(20)에 전달되는 열(heat) 보다 작고, 따라서 비교예 1에서 도포부(40)의 집전체(20)와 제1 무지부(51) 사이의 인장강도 차이는 비교예 4에서 도포부(40)의 집전체(20)와 제1 무지부(51) 사이의 인장강도 차이 보다 커서, 비교예 1에서 주름 상태가 비교예 4에서 주름 상태 보다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Comparative Example 1, since the intensive heating region is the entire uncoated region 50, and in Comparative Example 4, the intensive heating region is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Heat is less than the heat transferred to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unit 40 in Comparative Example 4, and therefore,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first plain fabric of the application unit 40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between the parts 51 was larger than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first uncoated part 51 of the application part 40 in Comparative Example 4, so that the wrinkle state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4, it can be seen that it is better than the wrinkle state.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무지부(50)의 단부인 절단부(51b)를 집중 가열할 경우, 절단부(51b)에서 발생된 열은 탭 연결부(51a)를 거쳐 제1 무지부(51)에 도달할 수 있다. 열전도를 통해 제1 무지부(51)가 열을 제공받으므로, 제1 무지부(51) 중에서 탭 연결부(51a)에 인접한 부분의 온도가 제1 무지부(51) 중에서 도포부(40)에 인접한 부분의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즉 비교예 4에 대비하여,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낮아지더라도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는 상대적으로 미미하게 낮아질 수 있다.When the cut portion 51b, which is the end of the uncoated area 50, is heated intensively as in Example 1,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ut portion 51b may reach the first uncoated area 51 through the tab connection portion 51a. can Since the first uncoated area 51 receives heat through heat conduction, the temperature of a portion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adjacent to the tab connection portion 51a is increased to the applied portion 40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 It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djacent part. That i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4, even i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is lower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portion 40 may be relatively insignificantly lowered.

제1 무지부(51)의 온도를 높여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를 낮추되 도포부(40)에서 집전체(20)의 인장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제1 무지부(51)의 변형을 억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1 무지부(51) 중에서 도포부(40)의 맞은편 부분에서 열이 전도되도록 하면, 주름 상태가 양호할 수 있다.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to lower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 while maintain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in the application unit 40 , the first uncoated area 51 ) It may be a method of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As in Example 1, if heat is conducted from the portion opposite to the application unit 40 in the first uncoated area 51 , the wrinkle state may be good.

제1 무지부(51) 중에서 도포부(40)의 맞은편 부분에서 도포부(40)를 향하여 열이 전도되므로, 도포부(40)에서 집전체(20)의 인장강도는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보다 크고,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 보다 크며,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는 절단부(52b)의 인장강도 보다 클 수 있다.Since heat is conducted toward the applicator 40 from the portion opposite to the applicator 40 among the first uncoated section 51 ,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in the applicator 40 is determined by the first uncoated section ( 51),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is greater than that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may be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t portion 52b. .

비교예 2와 비교예 3을 대비해보면, 비교예 2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16kgf/mm2 이고 주름 상태는 약간 심하며, 비교예 3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17kgf/mm2 이고 주름 상태는 양호하다. 비교예 2와 3에서 무지부(50) 전체가 집중 가열된다 하더라도, 제1 무지부(51)에서 도포부(40)의 집전체(2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비교예 2에서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와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사이의 차이는, 비교예 3에서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와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사이의 차이 보다 작을 수 있다. Comparing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n Comparative Example 2 was 16 kgf/mm 2 and the wrinkle state was slightly severe, and in Comparative Example 3,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was The strength is 17kgf/mm 2 and the wrinkle condition is good. In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even when the entire uncoated area 50 is intensively heated,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coated area ( 40),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unit 40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n Comparative Example 3 (51) may be small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strengths.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전극 밀도가 3.65g/cc인 전극(10)에 있어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17kgf/mm2 보다 작은 경우 무지부(50)의 주름 발생 정도가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 비교예 2, 그리고 비교예 4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17kgf/mm2 보다 작으며 주름 상태가 양호하지 않았다. As can be seen in Table 1, in the electrode 10 having an electrode density of 3.65 g/cc,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s less than 17 kgf/mm 2 , the degree of wrinkles in the uncoated region 50 . It can be seen that aggravation of That is, referring to Table 1, in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4,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was less than 17 kgf/mm 2 , and the wrinkle state was not good.

반면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에서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는 17kgf/mm2 이상 24kgf/mm2 이하이며 주름 상태가 양호하다. 즉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17kgf/mm2 내지 24kgf/mm2 인 경우, 무지부(50)의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3, 1, 2, and 3,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was 17 kgf/mm 2 or more and 24 kgf/mm 2 or less, and the wrinkle state was good. That is,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s 17 kgf/mm 2 to 24 kgf/mm 2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rinkle improvement of the uncoated region 50 is effective.

표 1에서 나타난 인장강도와 주름 상태의 상관 관계로부터, 제1 무지부(51)에서의 인장강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면 무지부(50)가 연질화가 되어 무지부(50)는 주름 발생에 취약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wrinkle state shown in Table 1, when the tensile strength in the first uncoated area 51 decreases to a certain level or less, the uncoated area 50 becomes soft, and the uncoated area 50 reduces the occurrence of wrinkles. can be understood as being vulnerable.

다만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밀도가 낮은 3.55g/cc인 전극의 경우에는 도포부(4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도포부(40)와 무지부(50) 사이 연신율 차이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1 무지부영역(51)의 인장강도에 따른 주름의 차이도 밀도가 높은 전극(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as can be seen in FIG. 3 , in the case of an electrode having a low density of 3.55 g/cc, a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ating part 40 decreases, the difference in elongation between the coating part 40 and the uncoated part 50 decreases.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wrinkles according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s also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electrode 10 having a high density.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밀도가 3.55g/cc인 전극(10)은 전극 밀도가 3.65g/cc인 전극(10)에 비하여 압연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밀도가 3.55g/cc인 전극(10)에서 도포부(40)와 무지부(50) 사이의 연신율 차이는, 전극 밀도가 3.65g/cc인 전극(10)에서 도포부(40)와 무지부(50) 사이의 연신율 차이 보다 작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ode 10 having an electrode density of 3.55 g/cc may receive relatively less pressure in the rolling process than the electrode 10 having an electrode density of 3.65 g/cc. Therefore, in the electrode 10 having an electrode density of 3.55 g/cc, the difference in elongation between the coated portion 40 and the uncoated portion 50 is that of the coated portion 40 and the coated portion 40 in the electrode 10 having an electrode density of 3.65 g/cc. It may be smaller than the difference in elongation rates between the uncoated regions 50 .

이와 같은 이유로, 전극 밀도가 낮은 전극(10)에서 발생되는 주름의 상태는, 전극 밀도가 높은 전극(10)에서 발생되는 주름의 상태 보다 더 좋을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state of wrinkles occurring in the electrode 10 having a low electrode density may be better than the state of wrinkles occurring in the electrode 10 having a high electrode density.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일정 범위이고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 보다 크면, 무지부(50)의 주름 상태가 양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3과 비교예 1, 2, 4를 대비해보면,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16.5kgf/mm2 보다 크고 20.5kgf/mm2 보다 작은 범위에서 무지부(50)의 주름 상태가 양호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 대비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의 비율이 0.65 내지 0.85이면, 무지부(50)의 주름 상태가 양호할 수 있다.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is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area 51 is greater than that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the wrinkle state of the uncoated area 50 may be good. For example, comparing Examples 1, 2, 3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4,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s greater than 16.5 kgf/mm 2 and 20.5 kgf/mm 2 In a smaller range, the wrinkle state of the uncoated region 50 may be good. In other words, when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unit 40 is 0.65 to 0.85, the wrinkle state of the uncoated region 50 may be good.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는, 가열 공정에 의해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에서 집중 가열 영역이 절단부(52b)인 경우 열(heat)이 탭 연결부(52a)와 제1 무지부(51)를 거쳐 도포부(40)로 전달되므로, 도포부(40)에 전달되는 열(heat)은 미미하여,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는 가열 공정에 의해 변하지 않을 수 있다.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unit 40 may not be changed by the heating process. For example, in Table 3, when the concentrated heating region is the cut portion 52b, heat is transferred to the application portion 40 through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and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and thus the application portion 40 ) is insignificant, s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unit 40 may not be changed by the heating process.

초음파 용접 공정에서 발생하는 소착의 경우, 초음파 용접이 탭 연결부(52a)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중요할 수 있다.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15kgf/mm2 이상인 실시예 1 ~ 3과 비교예 3 및 4의 경우 10번의 테스트에서 소착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15kgf/mm2 미만인 비교예 1과 2의 경우 소착이 발생하게 되고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낮으면 소착 횟수가 많아짐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seizure occurring in the ultrasonic welding process, since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in the tab connection part 52a,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may be important. As can be seen in Table 1,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in whic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was 15 kgf/mm 2 or more, no seizure occurred in 10 tests.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whic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is less than 15 kgf/mm 2 , seizure occurs, and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is low, the number of seizures increases.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보다 크지 않은 경우 무지부(50)의 주름 상태가 매우 심하지 않으므로,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20kgf/mm2 보다 작은 조건이 무지부(50)의 주름 상태가 양호할 필요조건일 수 있다. 즉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14.5kgf/mm2 이상 19.5kgf/mm2 이하인 조건은, 소착 횟수가 적고 무지부(50)의 주름 상태가 양호한 필요조건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 대비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의 비율이 0.55 내지 0.8이면 소착이 억제될 수 있다.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is not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art 51, the wrinkle state of the uncoated part 50 is not very severe, s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is less than 20 kgf/mm 2 A small condition may be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wrinkle state of the uncoated area 50 to be good. That is, the condition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is 14.5 kgf/mm 2 or more and 19.5 kgf/mm 2 or less may be a necessary condition in which the number of sintering is small and the wrinkle state of the uncoated part 50 is good. In other words, if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part 40 is 0.55 to 0.8, the seizure may be suppressed.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단은 절단부(52b)의 인장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표 1에서 절단부(52b)의 인장강도가 13kgf/mm2 이하인 실시예 1, 2, 그리고 비교예 1의 경우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 이유는,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파단은 응력이 집중되는 절단부(52b)에서 시작되고, 절단부(52b)의 인장강도를 낮추면 파단 확률이 감소하기 때문이다.For fracture occurring during the rolling proces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t portion 52b ma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Table 1, in the case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t portion 52b was 13 kgf/mm 2 or less, no fracture occurred. This is because the fracture occurring in the rolling process starts at the cut portion 52b where the stress is concentrated, and i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t portion 52b is lowered, the fracture probability decreases.

실시예 2와 실시예 3을 대비해보면, 실시예 2에서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18kgf/mm2 이고 파단이 발생하지 않은 반면, 실시예 3에서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19kgf/mm2 이고 파단이 4회 발생하였다. 이로부터,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18.5kgf/mm2 이하인 조건이 파단 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Comparing Example 2 and Example 3, in Example 2,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was 18 kgf/mm 2 and no fracture occurred, whereas in Example 3,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was 19 kgf /mm 2 and fracture occurred 4 times.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ndition in which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is 18.5 kgf/mm 2 or les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fracture.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극 밀도가 3.65g/cc인 전극(10)에 있어서, 절단부(52b)를 집중하여 가열하되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16.5kgf/mm2 이상 20.5kgf/mm2 이하이고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14.5kgf/mm2 이상 18.5kgf/mm2 이하가 되도록 하면, 무지부(50)의 주름, 소착 및 파단이 개선될 수 있다. Tak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in the electrode 10 having an electrode density of 3.65 g/cc, the cut portion 52b is concentrated and heated, bu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is 16.5 kgf/mm 2 or more 20.5 If kgf/mm 2 or less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are 14.5 kgf/mm 2 or more and 18.5 kgf/mm 2 or less, wrinkles, seizure, and breakage of the uncoated part 50 may be improved.

달리 말하면, 전극 밀도가 3.65g/cc인 전극(10)에 있어서, 절단부(52b)를 집중하여 가열하되,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 대비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의 비율이 0.65 내지 0.85이고, 도포부(40)의 집전체(20)의 인장강도 대비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의 비율이 0.55 내지 0.75이면, 무지부(50)의 주름, 소착 및 파단이 개선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electrode 10 having an electrode density of 3.65 g/cc, the cut portion 52b is concentrated and heated, but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compared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portion 40 . When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is 0.65 to 0.85, and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20 of the application part 40 is 0.55 to 0.75, the wrinkle of the uncoated part 50, Sedimentation and fracture can be improved.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가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 보다 크고,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가 절단부(52b)의 인장강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무지부(50)의 주름, 소착 및 파단에 있어서 가장 유리한 조건일 수 있다.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51 is greater than that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is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t portion 52b, the wrinkle of the uncoated region 50, It may be the most favorable condition for sintering and fracture.

탭 연결부(52a)의 길이인 제2 길이(L2)는 제1 무지부(51)의 길이인 제1 길이(L1) 보다 클 수 있다.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2) 보다 크면, 절단부(52b)를 주로 집중 가열하여 탭 연결부(52a)의 인장강도와 제1 무지부(51)의 인장강도 사이의 차이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ength L2 that is the l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52a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L1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uncoated part 51 . When the second length l2 is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L2, the cut portion 52b is mainly heated to intensively he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effectively. can be

절단부(52b)는 전극 탭(80, 도 5 참조)의 부착 전에 제거되므로, 절단부(52b)는 배터리 셀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절단부(52b)는, 압연 과정에서 파단을 개선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Since the cut portion 52b is removed before attachment of the electrode tab 80 (refer to FIG. 5 ), the cut portion 52b may not direct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cell. However, the cut portion 52b may have an effect on improving the fracture during the rolling process.

이하는 배터리 셀의 전극을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방법(S100)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이라 칭할 수 있다.Hereinafter, a process of processing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방법(S100)은 슬러리 도포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10)에서, 슬러리(30)는 집전체(20)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도포될 수 있다. 1 to 4 , th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lurry application step ( S110 ). In this step ( S110 ), the slurry 30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20 .

집전체(20)는 도전성 금속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전체(20)는 금속 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박판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러리(30)는, 집전체(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 단계(S110)를 통해 전극(10)은, 도포부(40)와 무지부(50)로 구분될 수 있다.Th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thin plate. The current collector 20 may include a thin metal plate. For example, the thin metal plate may be formed of aluminum. The slurry 30 may be appli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20 . Through this step ( S110 ), the electrode 10 may be divided into an applied part 40 and an uncoated part 50 .

전극(10)의 영역은, 도포부(40)가 위치하는 영역과 무지부(50)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포부(40)는, “도포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 무지부(50)는, “무지 영역”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10)은, 도포 영역(40)과 무지 영역(50)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region of the electrode 10 may be divided into a region in which the application part 40 is positioned and a region in which the uncoated part 50 is positioned. The application unit 40 may be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region”. The uncoated area 50 may be referred to as a “uncoated area”. For example, the electrode 10 may be divided into an applied region 40 and an uncoated region 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방법(S100)은 가열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20)에서, 가열 장치(70)는 전극(10)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단계(S120)에서 가열 장치(70)는 절단부(52b)를 주로 가열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 단계(S120)에서 가열 장치(70)는 무지부(50)의 단부(end portion)를 주로 가열할 수 있다. 즉, 이 단계((S120)에서 가열 장치(70)는 무지 영역(50)의 단부(end portion)를 주로 가열할 수 있다.Th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ing step ( S120 ). In this step ( S120 ), the heating device 70 may heat the electrode 10 . For example, in this step (S120), the heating device 70 may mainly heat the cut portion (52b). In other words, in this step ( S120 ), the heating device 70 may mainly heat the end portion of the uncoated region 50 . That is, in this step ( S120 ), the heating device 70 may mainly heat the end portion of the uncoated region 50 .

가열 단계(S120)는 노출부 형성 단계(S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21)에서, 유도 가열 유닛(72)에서 발생된 자속(magnetic flux)이 기 설정된 범위로 한정되어 진행하도록, 차폐 부재(74)를 통해 노출 공간(7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단계(S121)에서, 유도 가열 유닛(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이 기 설정된 범위로 한정되어 분포할 수 있다.The heating step ( S120 ) may include a step ( S121 ) of forming an exposed part. In this step ( S121 ), the exposure space 78 may be formed through the shielding member 74 so that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is limited to a preset range and proceeds. In this step (S121), the magnetic field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be distributed limited to a preset range.

가열 단계(S120)는 무지부 가열 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22)에서, 유도 가열 유닛(72)에서 발생된 자속 중에서 일부는 차폐 부재(74)에 의하여 차폐되고 다른 일부는 노출 공간(78)을 통과하여 무지부(50)에 입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단계(S122)에서 유도 가열 유닛(72)은 무지부(50)의 단부인 절단부(52b)를 주로 가열할 수 있다.The heating step ( S120 ) may include a heating step ( S122 ) of the uncoated area. In this step ( S122 ), some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be shielded by the shielding member 74 , and the other portion may pass through the exposure space 78 to enter the uncoated area 50 . . For example, in this step ( S122 ),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mainly heat the cut part 52b that is the end of the uncoated part 50 .

가열 단계(S120)에서 유도 가열 유닛(72)은, 무지부(50)의 일부가 설정된 인장강도를 갖도록, 무지부(50)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연결부(52a)가 설정된 인장강도인 제2 인장강도를 갖도록 절단부(52b)가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지부(51)가 설정된 인장강도인 제1 인장강도를 갖도록 절단부(52b)가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지부(51)는 제1 인장강도를 갖고, 탭 연결부(52a)는 제2 인장강도를 갖도록, 절단부(52b)가 가열될 수 있다.In the heating step S120 , the induction heating unit 72 may heat the uncoated area 50 so that a portion of the uncoated area 50 has a set tensile strength. For example, the cut portion 52b may be heated so that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has a second tensile strength that is a set tensile strength. For example, the cut portion 52b may be heated so that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has a first tensile strength that is a set tensile strength. For example, the cut portion 52b may be heated so that the first uncoated portion 51 has a first tensile strength and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has a second tensile str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방법(S100)은 압연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연 단계(S130)는, 슬러리(30)와 집전체(20)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전극(10)을 압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압연 단계(S130)를 통해, 설정된 두께까지 전극(10)이 압착될 수 있다.Th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lling step ( S130 ). The rolling step ( S130 ) may be a step of compressing the electrode 10 so tha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lurry 30 and the current collector 20 is increased. Through the rolling step (S130), the electrode 10 may be compressed to a set thick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방법(S100)은, 절단부(52b)를 절단하는, 절단 단계(S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35)에서, 절단부(52b)는 탭 연결부(52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tting step ( S135 ) of cutting the cutting part ( 52b ). In this step (S135), the cut portion (52b) may be separated from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방법(S100)은 탭 연결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탭 연결 단계(S140)는 압연 단계(S130) 이후 수행될 수 있다. 탭 연결 단계(S140)에서, 무지부(50)에 전극 탭(80, 도 5 참조)이 연결될 수 있다. 탭 연결 단계(S140)에서, 무지 영역(50)에 전극 탭(80, 도 5 참조)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단계(S140)에서, 탭 연결부(52a)는 전극 탭(80, 도 5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S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ab connection step ( S140 ). The tap connection step ( S140 ) may be performed after the rolling step ( S130 ). In the tab connection step ( S140 ), the electrode tab 80 (refer to FIG. 5 ) may be connected to the uncoated region 50 . In the tab connection step S140 , the electrode tab 80 (refer to FIG. 5 ) may be connected to the uncoated region 50 . In this step ( S140 ), the tab connection part 52a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80 (refer to FIG. 5 ).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지부(50)의 각 영역을 점선으로 구획하고 설명하였으나, 무지부(50)의 각 영역은 구획되는 구성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FIG. 5 , each region of the uncoated region 50 is divided by a dotted lin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each region of the uncoated region 50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a partitioned configuration.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무지부(52)가 적층되어 용접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절단부(52b)는 탭 연결부(52a)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제2 무지부(52)에서 절단부(52b)가 제거된 상태에서, 탭 연결부(52a)가 용접을 통해 전극 탭(8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전극(10)과 전극 탭(80)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 a plurality of second uncoated regions 52 may be stacked and welded. Referring to FIG. 5C , the cut portion 52b may be separated from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and removed. Referring to FIG. 5D , in a state in which the cut portion 52b is removed from the second uncoated region 52 , the tab connection portion 52a may be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80 through welding. Accordingly, the electrode 10 and the electrode tab 80 may be connected.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0 : 전극 20 : 집전체
30 : 슬러리 40 : 도포부
50 : 무지부 51 : 제1 무지부
52 : 제2 무지부 52a : 탭 연결부
52b : 절단부
10: electrode 20: current collector
30: slurry 40: application part
50: uncoated region 51: first uncoated region
52: second uncoated part 52a: tap connection part
52b: cut

Claims (15)

금속으로 형성된 집전체(electric collector)와 상기 집전체의 일부에 도포되는 슬러리(slurry)로 구성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으로서,
상기 집전체 중에서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부분 및 상기 슬러리를 포함하는, 도포부; 그리고
상기 집전체 중에서 상기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지부는,
상기 도포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무지부; 그리고
상기 제1 무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극 탭에 결합되는 탭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는 상기 탭 연결부의 인장강도 보다 크고,
상기 집전체 중에서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부분의 인장강도 대비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의 비율은 0.65 내지 0.85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ic collector formed of a metal and a slurry applied to a part of the current collector,
an applicator comprising a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to which the slurry is applied and the slurry; And
Including a non-coated portion includ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to which the slurry is not applied,
The uncoated part,
a first uncoated part extending from the application part; And
and a second uncoat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uncoated portion and having a tab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electrode tab,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is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ortion to which the slurry is applied in the current collector is 0.65 to 0.85,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 중에서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부분의 인장강도 대비 상기 탭 연결부의 인장강도의 비율은 0.55 내지 0.75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According to claim 1,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ortion to which the slurry is applied in the current collector is 0.55 to 0.75,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전극 밀도는 3.6 내지 3.8 g/cc이고,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는 16.5 내지 20.5 kgf/mm2 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density of the electrode f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3.6 to 3.8 g/cc,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art is 16.5 to 20.5 kgf / mm 2 of,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전극 밀도는 3.6 내지 3.8 g/cc이고,
상기 탭 연결부의 인장강도는 14.5 내지 18.5 kgf/mm2 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density of the electrode f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3.6 to 3.8 g/cc,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is 14.5 to 18.5 kgf / mm 2 of,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지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무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무지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탭 연결부의 길이 보다 작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According to claim 1,
A l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uncoated portion extends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uncoated part is extended, the l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ab connection part;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금속으로 형성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일부에 도포되는 슬러리로 구성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 면에 상기 슬러리를 도포하여,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을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도포 영역과 상기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슬러리 도포 단계(S110);
상기 무지 영역은 상기 도포 영역에 인접한 제1 무지부와 상기 제1 무지부에 연결되며 전극 탭에 결합되는 탭 연결부와 상기 탭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S120); 그리고
상기 가열된 전극을 압연하는, 압연 단계(S130)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 영역의 집전체의 인장강도 대비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의 비율은 0.65 내지 0.85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urrent collector formed of a metal and a slurry applied to a part of the current collector,
A slurry application step (S110) of applying the slurry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to divide th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to an application region to which the slurry is applied and an uncoated region to which the slurry is not applied;
The uncoated region includes a first uncoated region adjacent to the application region, a tab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uncoated region and coupled to an electrode tab, and a cut portion extending from the tab connection portion, and heating the cut portion ( S120); And
Including a rolling step (S130) of rolling the heated electrode,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region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application region is 0.65 to 0.85,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S120)에서,
유도 가열 유닛이 고주파 전류를 형성하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에 의해 상기 무지 영역이 가열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heating step (S120),
Wh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generates a high-frequency current, a magnetic field is formed to heat the uncoated region by induction he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S120)는,
상기 유도 가열 유닛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차폐 부재가 상기 유도 가열 유닛과 상기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장 노출부를 형성하는 단계(S121); 그리고
상기 자기장 노출부를 통해 상기 무지 영역의 단부를 가열하는 단계(S122)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ing step (S120) is,
A shield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heating unit and the electrode to form a magnetic field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to form a magnetic field exposure portion (S121);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comprising heating (S122) an end of the uncoated region through the magnetic field exposure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 가열 단계(S122)에서,
상기 유도 가열 유닛이 고주파 전류를 형성하여 형성된 자기장은, 상기 자기장 노출부를 통해 상기 절단부를 가열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uncoated area heating step (S122),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induction heating unit forming a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the cut portion through the magnetic field exposure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된 전극 중 상기 절단부를 절단하는 단계(S135)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utting the cut portion of the rolled electrode (S135),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단계(S135) 이후 상기 탭 연결부에 상기 전극 탭을 연결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cutting step (S13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S140) of connecting the electrode tab to the tab connection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 이후,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는 상기 탭 연결부의 인장강도 보다 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7. The method of claim 6,
After the heating step,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is greater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전극 밀도는 3.6 내지 3.8 g/cc 이고,
상기 제1 무지부의 인장강도는 16.5 내지 20.5 kgf/mm2 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7. The method of claim 6,
The electrode density of the electrode f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3.6 to 3.8 g/cc,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rst uncoated part is 16.5 to 20.5 kgf / mm 2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영역의 집전체의 인장강도 대비 상기 탭 연결부의 인장강도의 비율은 0.55 내지 0.75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atio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art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application area is 0.55 to 0.75,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전극 밀도는 3.6 내지 3.8 g/cc 이고,
상기 탭 연결부의 인장강도는 14.5 내지 18.5 kgf/mm2 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S100).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lectrode density of the electrode f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3.6 to 3.8 g/cc,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b connection portion is 14.5 to 18.5 kgf / mm 2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100).
KR1020210134755A 2020-11-06 2021-10-12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61845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09,793 US20220149491A1 (en) 2020-11-06 2021-10-25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179982A JP2022075609A (en) 2020-11-06 2021-11-04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EP21206758.1A EP3996165A1 (en) 2020-11-06 2021-11-05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2111304509.1A CN114447265B (en) 2020-11-06 2021-11-05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7990 2020-11-06
KR1020200147990 2020-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845A true KR20220061845A (en) 2022-05-13

Family

ID=8158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755A KR20220061845A (en) 2020-11-06 2021-10-12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84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355A (en) 2016-06-03 2017-12-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355A (en) 2016-06-03 2017-12-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6165A1 (en)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592946B2 (en) Clad material for battery negative electrode lead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clad material for battery negative electrode lead material
CN107534106B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by using bimetal
JP6475404B2 (en) Aluminum alloy foil for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416778B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40148498A (en) Aluminum alloy foil for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9825275B2 (en) Bi-cell for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220061845A (en)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637238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2021012701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thereof
KR20140106174A (en) Multilayer ceramic device
JP4484497B2 (en) Square seal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08475A (en) Sputtering targ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054727A (en) Power semiconductor component
EP4213278A1 (en) Secondary battery
EP3993087A1 (en) Cath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506404B1 (en) Foil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collector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8076590A (en) Aluminum alloy foil for electrode collector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124039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ithium metal electrode
US20200127297A1 (e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4657B1 (en) Pressing Apparatus for Electrode Sheet Having Guide Roller
KR2021003496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JP7172311B2 (en)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il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4254531A1 (en) Electrode driving roller and notch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CN112437700B (en) Rolling joint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reinforced heat dissipation member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