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24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246A
KR20220061246A KR1020227013096A KR20227013096A KR20220061246A KR 20220061246 A KR20220061246 A KR 20220061246A KR 1020227013096 A KR1020227013096 A KR 1020227013096A KR 20227013096 A KR20227013096 A KR 20227013096A KR 20220061246 A KR20220061246 A KR 2022006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binet
front panel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현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6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스톤 재질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함께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발포 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접촉하는 패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도어 라이너가 고정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에 다른 가전기기 들과 함께 빌트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의 가구 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냉장고를 주방이 아닌 거실이나 방에 놓아 사용하는 등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짐으로써,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가구 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5782호에는 우드 재질의 가구 도어 본체 및 상기 가구 도어 본체 일측에 고정되어 우드 이외의 재질로 장식부로 이루어진 가구 도어를 포함하는 빌트인 냉장고의 조립구조가 개시된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도어 본체가 우드 재질로 이루어져 얼룩, 스크래치, 화학물에 의한 파손,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냉장고 내부에서 내용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냉장고의 도어를 비롯한 외관에 묻을 경우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외부 자극에 의해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톤 재질의 캐비닛 커버 및 도어의 전면 패널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품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상부 캐비닛 커버가 분리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냉장고의 후면에 배치되는 다른 물건에 의해 냉장고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가공이 어려우나 내구성과 파손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스톤 재질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톤 재질로 형성되는 전면 패널 및 캐비닛 커버의 가공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성 간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톤 재질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어 라이너가 스크류 결합이 아닌 전면 패널과 도어 라이너가 형성하는 발포 공간에 주입되는 발포액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스톤 재질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함께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발포 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접촉하는 패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도어 라이너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부는, 상기 전면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패널 결합부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캐비닛 인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 인입부의 일면에서 상기 전면 패널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와 함께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캐비닛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비닛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에는 상기 캐비닛 고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 고정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 커버에 삽입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분보다 직경이 큰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은, 상기 캐비닛 고정부의 제2부분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부분의 직경보다 큰 제1홀과, 상기 제1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보다 직경이 작은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홀은 상기 제2부분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1부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 고정홀을 감싸는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커버는, 상기 커버 고정홀과 이격되어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저면에 배치되는 커버 함몰부와, 상기 커버 함몰부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저면에 접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고정홀의 적어도 일면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하방을 향해 함몰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커버 고정홀 사이에 상기 결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흡입홀을 포함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외기 흡입홀을 감싸고,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패널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외기 흡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패널을 연결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다수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하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스톤 재질의 캐비닛 커버가 캐비닛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냉장고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 커버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냉장고의 외관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드 재질에 비해 표면 내구성이 강화되고, 외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얼룩, 스크래치, 화학물에 의한 파손,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아우터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 사이의 단열재가 인너 케이스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후면에 위치하는 물건에 의해 냉장고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내측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8-8'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가 제거된 캐비닛의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13-13'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가 미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1)을 구비하는 캐비닛(10: cabinet)과,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하는 도어(20: do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10: inner case)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100: outer case) 및 캐비닛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일부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케이스(100)는 알루미늄(Al)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거나 밴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복수개의 금속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일 예로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side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2)은 상기 냉장고(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좌우 폭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2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전면 및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상기 냉장고(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60: rear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제외한 냉장고(1)의 외관은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 캐비닛 커버(190) 및 상기 리어 패널(16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지지하는 케이스 서포터(130: case supporter)와,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20: b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함께 발포 공간(도 13의 159참조)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150: middle pl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 및 후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에 레일 어셈블리(90: rail assembly)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냉장고(1)를 주방이나 거실, 방 등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더라도 상기 도어(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111)을 개폐하므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90)는 일측이 상기 도어(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스톤(stone) 재질의 전면 패널(210)과,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230: door l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발포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발포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됨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 사이에 단열재(240, 도 8 참고)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핸들용 공간(290)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일 예로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측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용 공간(290)으로 손을 인입한 후에 상기 도어(20)를 잡아 당겨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과 같은 구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냉장고(1)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일반적인 성인의 키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용량이 낮을 수록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핸들용 공간(290)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1)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 또는 앉아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캐비닛 커버(190: cabiner cover)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냉장고(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상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상단부(102b)와 동일 평면 또는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일 예로 스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 패널(210) 및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각각 스톤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 간에 재질의 통일성이 있어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냉장고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스톤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기본적인 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표면 내구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일 예로 협탁 냉장고로 사용할 수 있다.
협탁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 기능 이외에도 협탁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흔히 부엌에 비치되는 일반 냉장고와 달리, 협탁 냉장고는 침실의 침대 옆에 비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협탁 냉장고의 높이는 일 예로 침대의 높이와 유사함이 바람직하며, 일반 냉장고보다 높이가 낮고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190a)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111)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의 효율화를 위하여 상기 저장실(111)에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drawer assembly)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중 일부는 상기 저장실(11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레일(rail)에 연결되어 레일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중 일부는 상기 도어(2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중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개방 과정에서 개방 초기에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출되고, 소정 거리 인출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상단 후측에 디스플레이 유닛(60: display unit)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이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냉장고(1)의 높이가 낮더라도, 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쉽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캐비닛(1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리어 패널 및 리어 커버의 구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리어 패널(160)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170, rear co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60)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리어 플레이트(152, 도 4 참고)의 후측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는 상기 리어 패널(160)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지지 돌기(139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60)에는 상기 패널 지지 돌기(139a)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 수용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패널(160)에는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볼트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홀(162) 및 상기 리어 커버(170)와 볼트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패널(160)에는 상기 냉각 장치(5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1)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흡입홀(16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각 장치(50)가 상기 외기 흡입홀(166)을 통해 노출되어 미감을 해칠 수도 있고, 상기 냉장고(1)의 후방에 커튼과 같은 물건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냉각 장치(50)로의 공기 흡입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리어 커버(170)는, 상기 리어 패널(160)보다 후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커버(170)는, 상기 리어 패널(160)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커버 플레이트(17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71)와 상기 리어 패널(160)을 연결하는 측면부(172) 및 상면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71)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홀(17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홀(171a)은 그릴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외기 흡입홀(166)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홀(171a)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71) 상측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72)에도 다수의 홀(17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장고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건에 의해 외부의 공기의 흡입을 방해받지 않으면서 공기의 유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면부(17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71)와 연결되어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리어 패널(16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72)의 면적 전체에 그릴 형태의 다수의 홀(172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어 커버(170)는, 하면과 정면이 개방된 형태의 육면체일 수 있고, 상기 리어 커버(170)의 정면은 상기 리어 패널(160)과 맞닿고, 상기 리어 커버(17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120)의 돌출부(126, 도 3 참고)와 맞닿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커버(170)는, 상기 측면부(172) 및 상기 상면부(173)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결합부(17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174)에 형성된 체결홀(175)을 통해 상기 리어 패널(16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체결홀(175)과 상기 리어 패널(160)의 제2체결홀이 볼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6)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벽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역할과 냉장고(1)의 이동시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12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126)의 상면 상기 리어 커버(170)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26) 및 상기 리어 커버(170)를 통해 냉장고(1) 후방의 물건이 냉장고(1)의 외부의 공기 흡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도어(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내측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8-8'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2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10)과,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에 고정되는 도어 라이너(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1)의 전방에서 상기 도어(20)를 바라볼 때 보이는 면이 상기 전면 패널(210)의 전면이고, 상기 전면의 반대면이 배면(211)이다.
또한,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 라이너(230)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111)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는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하 길이 및 좌우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크기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230)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에 상기 도어 라이너(2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표면 일부가 발포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발포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됨으로써, 상기 도어(20) 내에 단열재(2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단열재(240)는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 및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표면 일부와 접촉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상기 전면 패널(210)과 결합되기 위한 패널 결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부(232)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부(232)는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에 접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널 결합부(232)는, 상기 전면 패널(210)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34)는, 상기 가이드 홈(211a)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홈(211a)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홈(211a)의 직경과 상기 삽입부(234)의 직경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의 가이드 홈(2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함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233)는 상기 패널 결합부(232)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33)에는 후술하는 가스켓(25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34)의 직경은 상기 함몰부(233)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결합부(232)의 일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210)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고정부(23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239)는, 상기 패널 결합부(232)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239)는, 상기 패널 결합부(232)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 패널(210)의 하면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홈(211a)과 더불어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39)는, 상기 가이드 홈(211a)의 깊이보다 더 크게 상기 전면 패널(21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패널(210)의 전면에서 상기 가이드 홈(211a)까지의 거리는 상기 고정부(239)의 일단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9)는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234)는 단순하게 상기 가이드 홈(211a)에 삽입만 된 상태일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상기 삽입부(234)가 상기 가이드 홈(211a)과 맞닿는 부분이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상기 패널 결합부(232)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캐비닛 인입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111)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 내로 인입된다.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와 접촉하는 단열재(239)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 자체의 의해서 상기 저장실(111)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단열재(240)의 두께 증가에 의해서 단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의 일부가 상기 저장실(111)의 내부로 인입되므로, 상기 단열재(240)의 일부도 상기 저장실(11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230)와 상기 전면 패널(210)이 형성하는 발포 공간으로 발포액이 주입되기 위한 주입구(2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238)는 도시되지 않은 패킹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중 하측 드로워 어셈블리(4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 프레임(270)이 좌우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2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 예로 한 쌍의 지지 프레임(270)이 도시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270)은, 전후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272)과, 상기 수평 프레임(272)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2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274)은 상기 도어 라이너(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프레임(274)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도어 라이너(230)에는 상기 각 수직 프레임(274)이 수용되는 복수의 프레임 수용부(246)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레임 수용부(246)는, 캐비닛 인입부(237)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수용부(246)는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의 일부가 상기 전면 패널(210)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수용부(246)에 상기 수직 프레임(274)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274)은 상기 도어 라이너(230)에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30)와 상기 수직 프레임(274)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프레임 수용부(246)에는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프레임 수용부(246)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드로워 어셈블리(40)는 상기 각 수평 프레임(27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수평 프레임(272)의 간격은 상기 하측 드로워 어셈블리(40)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각 수평 프레임(272)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9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측 드로워 어셈블리(40)가 상기 각 수평 프레임(272)에 안착되므로, 상기 도어(20)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측 드로워 어셈블리(40)가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제1자석(285)이 수용되는 제1자석 수용부(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 수용부(243)는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 수용부(243)는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의 일부가 상기 전면 패널(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자석 수용부(243)가 상기 캐비닛 인입부(237)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면에는 상기 핸들용 공간(290)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함몰되는 핸들 함몰부(236)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함몰부(236)는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아우터 테두리가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측에는 도어 데코 부재(2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데코 부재(280)는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데코 부재(280)는 상기 핸들 함몰부(236)와 대응되는 형상의 라운드부(282)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데코 부재(280)에서 상기 라운드부(282)가 형성하는 공간이 실질적으로 상기 핸들용 공간(290)이 된다.
상기 도어 데코 부재(280)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23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리브(28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리브(284)는 상기 도어 데코 부재(280)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 리브(284)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홈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데코 부재(280)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핸들 함몰부(236)가 형성하는 공간이 상기 핸들용 공간(290)이 된다.
한편, 상기 인너 케이스(110)는, 상기 저장실(111)의 입구 측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둘레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전면 프레임(11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의 가스켓(250)은 상기 전면 프레임(112)의 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50)이 상기 도어 라이너(230)에 결합되므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은 상기 전면 프레임(112)과 이격된다.
이때, 상기 냉장고(1)의 상방으로 상기 가스켓(250)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은 상기 전면 프레임(112) 보다 상기 전면 패널(21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은 상기 전면 프레임(112) 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가스켓(250)의 상방에서 상기 가스켓(250)의 상측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이 상기 전면 프레임(112) 보다 전방에 위치하여도 상기 핸들용 공간(29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어(20)의 구조를 바탕으로 도어(2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면 패널(210)을 스톤 재질로 구성하면, 미감과 내구성이 향상되고, 스크래치나 얼룩 등의 외부 자극에 강한 장점을 가지나 우드 재질이나 금속 재질에 비해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스톤 재질로 구성되는 상기 전면 패널(210)의 가공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를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 간의 체결 구조를 삭제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230)가 상기 전면 패널(210)과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238)을 통해 발포액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발포액은 상기 도어 라이너(230)와 상기 전면 패널(210)이 형성하는 발포 공간으로 유입되어 전체 발포 공간으로 골고루 분배된 후 굳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230)와 상기 전면 패널(2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발포액이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기 전면 패널(210)을 향한 내측면과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211)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230)와 상기 전면 패널(2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 라이너(230)와 상기 전면 패널(210) 간에 고정 및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210)의 가이드 홈(211a)에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삽입부(23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34)가 상기 가이드 홈(211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라이너(230)와 상기 전면 패널(210) 간에 틈이 없게 되어 상기 발포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들 플레이트의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배면을 커버하는 리어 플레이트(152: rear plate)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어퍼 플레이트(154: upper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ㄱ"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의 상면부에 접착 수단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발포 공간(159)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는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배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배면 사이에 발포 공간(159)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후측에서 고정 브라켓(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각 사이드 패널(102, 10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가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발포액의 충진 과정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상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상단부(102b)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상측에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배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후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후방에 상기 냉각 장치(50)의 방열을 위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에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부(1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저면(191)에 상기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홈(192a 내지 192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부(미도시) 안착되기 위한 충전함몰부(1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192a 내지 192e)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191)에 좌우 방향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0을 참고하면, 제1홈(192a)과 제3홈(192c)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홈(192a)과 제2홈(192b)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함몰부(197)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측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충전함몰부(197)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제4홈(192d) 및 제5홈(192e)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홈(192d)은, 상기 충전함몰부(197)의 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5홈(192e)은 상기 충전함몰부(197)의 측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의 위치는 일 예일 뿐,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무선충전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복수의 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스톤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는 접착제,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각 커버 고정부(192)는, 제1부분(193)과, 상기 제1부분(193) 보다 직경 또는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제2부분(19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상기 제2부분(194) 사이에 상기 제1부분(193)이 위치되며, 상기 제1부분(193)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에 접촉한다.
즉, 상기 제1부분(19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191)으로부터 소정간격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커버 고정홀(156)에 상기 커버 고정부(19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고정부(192)는 상기 제2부분(194)으로부터 상기 제1부분(193)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부분(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부분(195)의 직경은 상기 제1부분(19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고, 상기 제2부분(194)의 직경보다는 작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가 제거된 캐비닛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13-13'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 충전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57)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어퍼 플레이트(15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후방 모서리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충전부(157)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57a)과 상기 제1면(157a)과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를 연결하는 수직부(15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커버 고정부(192)가 고정되기 위한 커버 고정홀(1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일 예로 어퍼 플레이트(154)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복수의 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고정홀(156)도 상기 복수의 홈과 마찬가지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형성되는 상기 충전부(157)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커버 고정홀(156a) 및 제2커버 고정홀(156b)은 상기 충전부(157)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커버 고정홀(156a)과 제3커버 고정홀(156c)은 전면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커버 고정홀(156d)은 상기 충전부(157)의 전방에, 제5커버 고정홀(156e)은 상기 충전부(157)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5커버 고정홀(156a 내지 156e)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제1홈 내지 제5홈(192a 내지 192e)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부(157)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제4커버 고정홀(156d) 및 상기 제5커버 고정홀(156e)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큰 제1홀(1561)과, 상기 제1홀(156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1561) 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홀(15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상기 제1홀(1561)과 상기 제2홀(1562)이 구비되는 고정함몰부(156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함몰부(1563)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2홀(1562)은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홀(1562)은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는, 후술하는 고정커버(158)를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부(1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155)은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전후 방향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55a)과 양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55b) 및 제3가이드부(15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55a)은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고정함몰부(1563)의 전후 방향 중 하나의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155a)의 길이는 상기 고정함몰부(1563)의 전면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55b) 및 제3가이드부(155c)은 상기 고정함몰부(1563)를 기준으로 양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부(155b) 및 제3가이드부(155c)간의 길이는 상기 제1가이드부(155a)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가이드부(155a 내지 155c)이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고정커버(158)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커버 고정홀(156a 내지 156c)는 상기 제1홀(1561), 제2홀(1562), 고정함몰부(1563) 및 상기 가이드부(155)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제4 내지 제5커버 고정홀(156d, 156e)은 상기 구성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내지 제5커버 고정홀(156d, 156e)은 상기 충전부(157)와 함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함몰되어 형성되는 상기 충전부(157)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157)의 형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상기 제4, 5커버 고정홀(156d, 156e)은, 상기 가이드부(155)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5)은 상기 고정커버(158)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인데, 상기 제4, 제5커버 고정홀(156d, 156e)의 경우 상기 충전부(157)의 사출 성형시 커버를 함께 성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4커버 고정홀(156d)은, 상기 제1홀(1561)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커버 고정홀(156d)의 제1홀(1561)은 상기 제2홀(1562)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57)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바, 후술하는 캐비닛 커버(190)의 조립과정과 같이 상기 제1홀(1561)에 상기 캐비닛 고정부(192)가 삽입될 때 상기 충전부(157)의 함몰된 부분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4 내지 제5커버 고정홀(156d, 156e)이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충전부(157)가 설치되는 위치 및 충전부(157)의 형상에 따라 구성이 변할 수 있다.
또한, 함몰되어 형성되는 충전부(157)를 포함하는 미들 플레이트(150)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충전부(157)의 주변으로 상기 커버 고정홀(156)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에 고정커버(15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158)에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 간에 형성되는 발포 공간(159)에 발포액이 주입됨에 따라 상기 커버 고정홀(156)에 의해 상기 발포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158)는, 상기 커버 고정홀(156)을 모두 감쌀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고정함몰부(1563)를 감싸는 커버함몰부(1581)와 상기 커버함몰부(1581)에서 연장되는 결합부(15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함몰부(1581)은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상기 결합부(1582)의 내부에서 함몰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커버(158)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될 때, 상기 결합부(1582)는, 상기 고정함몰부(1563)의 주위에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버함몰부(1581)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하면과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안착되면, 상기 캐비닛 고정부(192)가 상기 고정함몰부(1563)와 상기 커버함몰부(1581)가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58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함몰부(1563)와 상기 가이드부(15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158)는, 상기 제1커버 고정홀(156a)에 대응되는 제1고정커버(158a), 상기 제2커버 고정홀(156b)에 대응되는 제2고정커버(158b), 상기 제3커버 고정홀(156c)에 대응되는 제3고정커버(158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커버 고정홀(156d)과 제5커버 고정홀(156e)은 충전부(157)의 사출 성형에 의해 커버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구성에 따라, 상기 제4커버 고정홀(156d)과 제5커버 고정홀(156e)에 대응되는 고정커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가 미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과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1홀(1561)과 정렬시킨다. 그 다음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1홀(1561)을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1홀(156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은 상기 제1홀(1561) 내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2홀(1562)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14의 (a)와 같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커버 고정부(192)가 상기 제1홀(15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도 14의 (b)와 같이 상기 커버 고정부(192)가 상기 제2홀(1562)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2홀(1562)에 위치되면, 상기 제2부분(194)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뒤쪽으로 밀지 않는 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커버 고정홀(196)을 상기 고정커버(158)로 막은 상태에서 상기 발포 공간(159)으로 발포액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이나 색상의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냉장고(1)의 외관 디자인이 다양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단부는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후단부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이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Claims (18)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스톤 재질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함께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발포 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접촉하는 패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도어 라이너가 고정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결합부는, 상기 전면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저면과 접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패널 결합부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캐비닛 인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 인입부의 일면에서 상기 전면 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와 함께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캐비닛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비닛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에는 상기 캐비닛 고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 고정홀이 구비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 커버에 삽입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분보다 직경이 큰 제2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고정홀은,
    상기 캐비닛 고정부의 제2부분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부분의 직경보다 큰 제1홀과,
    상기 제1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보다 직경이 작은 제2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은 상기 제2부분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1부분의 크기보다 큰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 고정홀을 감싸는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버는, 상기 커버 고정홀과 이격되어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저면에 배치되는 커버 함몰부와,
    상기 커버 함몰부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저면에 접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고정홀의 적어도 일면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하방을 향해 함몰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커버 고정홀 사이에 상기 결합부가 배치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흡입홀을 포함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외기 흡입홀을 감싸고,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패널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외기 흡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홀이 구비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패널을 연결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다수의 홀이 구비되는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하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냉장고.
KR1020227013096A 2020-01-07 2020-01-07 냉장고 KR202200612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0295 WO2021141155A1 (ko) 2020-01-07 2020-01-0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246A true KR20220061246A (ko) 2022-05-12

Family

ID=7678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096A KR20220061246A (ko) 2020-01-07 2020-01-0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30975A1 (ko)
KR (1) KR20220061246A (ko)
WO (1) WO20211411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8301B2 (en) * 2009-08-27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JP2013061133A (ja) * 2011-09-14 2013-04-04 Sharp Corp 冷蔵庫
US20160258671A1 (en) * 2015-03-02 2016-09-08 Whirlpool Corporation Gas barrier for vacuum insulation
WO2017188571A1 (en) * 2016-04-28 2017-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insula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317213B1 (ko) * 2017-03-16 202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85845B1 (ko) * 2017-03-21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04277B1 (ko) * 2017-03-21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59753B1 (ko) * 2017-03-24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0226B1 (ko) * 2018-03-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230036523A1 (en) * 2020-01-07 2023-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10125379A (ko) *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650004B1 (en) * 2021-11-17 2023-05-16 Whirlpoo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0975A1 (en) 2023-02-02
WO2021141155A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KR102285845B1 (ko) 냉장고
KR102396040B1 (ko) 냉장고
US8382218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telescopic pull-out mechanism
KR20220054275A (ko) 냉장고
US20230408170A1 (en) Refrigerator
US11725865B2 (en) Refrigerator drain system
CN111527360B (zh) 冰箱
KR102510226B1 (ko) 냉장고
KR20220061246A (ko) 냉장고
KR102445184B1 (ko) 냉장고
US20230036523A1 (en) Refrigerator
JP6838019B2 (ja) 冷蔵庫
KR101803625B1 (ko) 냉장고
KR20210156156A (ko) 냉장고의 도어
US20080011006A1 (en) Built-in refrigerator with increased internal volume
KR20220067545A (ko) 냉장고
KR20210156154A (ko) 냉장고의 도어
KR100568214B1 (ko) 김치냉장고
KR20210094905A (ko) 냉장고
KR200295377Y1 (ko) 개선된 손잡이를 갖는 김치냉장고
JP2001263922A (ja) 冷却貯蔵庫